KR101182351B1 - 드럼 타입 로터리 스폿 도금장치 - Google Patents

드럼 타입 로터리 스폿 도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351B1
KR101182351B1 KR1020100046039A KR20100046039A KR101182351B1 KR 101182351 B1 KR101182351 B1 KR 101182351B1 KR 1020100046039 A KR1020100046039 A KR 1020100046039A KR 20100046039 A KR20100046039 A KR 20100046039A KR 101182351 B1 KR101182351 B1 KR 101182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plating liquid
carrier
injection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6386A (ko
Inventor
기 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이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이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이앤피
Priority to KR1020100046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351B1/ko
Publication of KR20110126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 C25D5/026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using locally applied jets of electrolyt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 C25D17/12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6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 C25D17/22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having open conta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연결되며, 분리시 전자부품의 전극으로 사용될 다수의 피도금부재마다 서로 다른 위치의 도금영역에 부분적으로 도금하기 위한 포인트 스폿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축에 고정 결합되는 드럼유닛과; 상기 드럼유닛의 외측에 도포된 도금액의 윤활작용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상기 드럼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캐리어의 이송력에 의해 상기 피도금부재와 접촉회전하며 상기 피도금부재의 도금영역에 도금액을 도포하는 분사링과; 상기 드럼유닛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블록으로 도금액을 공급하는 도금액 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분사링이 큰 회전저항없이 회전하게 되므로 원활하게 피도금부재에 부분 도금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럼 타입 로터리 스폿 도금장치{DRUM TYPE ROTARY SPOT PLATING UNIT}
본 발명은 스폿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자부품에 사용될 피도금부재를 부분적으로 도금할 수 있는 도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접속용으로 사용되는 커넥터 등에 삽입되는 접속단자에는 솔더가 묻는 단자의 부분만 국부적으로 도금을 한다. 이러한 국부적인 도금을 위해 스폿 도금장치가 사용된다.
동출원인은 피도금부재의 국부적인 도금을 위한 스폿 도금장치를 10-2009-0026713으로 기 출원한바 있다. 기 출원된 도금장치는 드럼유닛의 외주연에 결합된 분사블럭이 피도금부재가 부착된 캐리어와 접촉주행하면서 피도금부재로 도금액을 분사하여 피도금부재의 일영역에만 도금을 수행한다.
그런데, 기 출원된 종래 도금장치는 하부드럼유닛에 분사블럭이 동시 조립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캐리어로 도금액을 분사하기 때문에 드럼유닛을 지지 및 회전시키기 위한 지지축과 베어링 사이의 회전저항에 의해 드럼유닛과 분사블럭의 회전속도가 캐리어의 이송속도를 쫓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이 경우 이송되는 캐리어가 드럼유닛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피도금부재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사블럭이 회전저항을 받지 않고 캐리어의 이송속도에 맞추어 원활하게 회전하여 피도금부재의 정확한 위치에 부분 도금을 수행할 수 있는 스폿 도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캐리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연결되며, 분리시 전자부품의 전극으로 사용될 다수의 피도금부재마다 서로 다른 위치의 도금영역에 부분적으로 도금하기 위한 포인트 스폿 도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폿 도금장치는 지지축에 고정 결합되는 드럼유닛과; 상기 드럼유닛의 외측에 도포된 도금액의 윤활작용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상기 드럼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캐리어의 이송력에 의해 상기 피도금부재와 접촉회전하며 상기 피도금부재의 도금영역에 도금액을 도포하는 분사링과; 상기 드럼유닛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블록으로 도금액을 공급하는 도금액 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럼유닛은,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하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도금액 공급유닛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드럼 및 하부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드럼의 외주연에 상기 분사링이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드럼에는 상기 분사링이 결합되는 분사링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링과 상기 분사링수용홈 사이에는 상기 도금액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도금액이 일정두께 체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사링은, 상기 분사링수용홈과 접촉되는 내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도금액이 수용되는 도금액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금액수용홈으로부터 상기 피도금부재와 접촉되는 외주면을 향해 복수개의 도금액분사공이 관통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럼유닛과 상기 도금액 공급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애노드 매쉬망과, 상기 드럼유닛의 외측에 구비되는 캐소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폿 도금장치는 종래와 달리 드럼유닛이 지지축에 고정되어 있고, 분사링이 하부드럼의 가이드 역할과 도금액의 윤활작용에 의해 회전하게 되므로 큰 회전저항 없이 분사링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분사링이 캐리어의 이송력에 의해 능동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캐리어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캐리어 및 피도금부재의 손상 없이 원활하게 피도금부재의 부분 도금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부분도금의 형상 변화시 분사링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한 개의 스폿 도금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피도금부재 모델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폿 도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폿 도금장치의 캐리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폿 도금장치의 도금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3의 도금유닛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폿 도금장치의 드럼유닛과 도금액분사링의 결합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폿 도금장치의 도금액분사링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폿 도금장치의 드럼유닛과 도금액분사링 사이의 도금액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폿 도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폿 도금장치의 캐리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폿 도금장치(1)는 피도금부재(B)가 결합된 캐리어(A)를 공급하는 캐리어공급부(100)와, 캐리어(A)를 일정속도로 이송시키는 캐리어이송부(300)와, 캐리어(A)의 이송경로에 배치되어 도금액(F)의 윤활작용에 의해 캐리어(A)의 이송력에 의해 회전하며 피도금부재(B)의 일영역에만 도금액을 분사하는 분사링(250)을 갖는 도금유닛(200)과, 도금유닛(200)으로 도금액을 공급하는 도금액공급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캐리어(A)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띄 형상으로 구비된다. 캐리어(A)는 캐리어공급부(100)의 공급롤(110)에 권취된 상태로 캐리어이송부(300)에 의해 일정속도로 이송된다. 캐리어(A)에는 피도금부재(B)가 일체로 가공형성된다. 피도금부재(B)는 전자부품의 커넥터 즉, 전극단자 또는 리드 프레임 등일 수 있다. 캐리어(A)에 일체로 가공된 피도금부재(B)는 도금유닛(200)을 경유하며 도금영역(b1,b2)에 도금액(F)이 도포된다. 피도금부재(B)는 도금과정이 완료된 후 캐리어(A)로부터 절단되어 사용된다.
캐리어(A)의 판면에는 분사링(250)의 정렬핀(257)에 결합되는 결합공(a)이 관통형성되어 분사링(250)과 밀착된 상태로 도금공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유닛(2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도금유닛(20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금유닛(200)은 캐리어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되는 캐리어(A)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캐리어(A)에 도금액(F)을 분사하여 피도금부재(B)의 도금영역(b1,b2)을 도금한다. 도금유닛(200)은 도금액공급부(400)로부터 도금액(F)을 공급받는 지지축(210)과, 지지축(210)에 결합되며 분사링(250)의 회전경로를 지지하는 드럼유닛(220)과, 드럼유닛(220)의 외주연에 도금액(F)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캐리어(A)로 도금액을 도포하는 분사링(250)과, 드럼유닛(220)과 분사링(250) 사이에 구비되는 애노드매쉬링(240)을 포함한다.
지지축(210)은 지지프레임(600)에 직립하게 설치되며, 하부영역이 도금액공급관(420)과 연결된다. 지지축(210)은 중공형상으로 구비되며 내부에 도금액이 유동되는 도금액공급채널(211)이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도금액공급채널(211)은 도금액공급관(420)과 연결되는 유입구(211a)와 바이패스연결관(450)과 연결되는 유츨구(211b)를 가지며, 도금액공급관(420)으로부터 공급된 도금액(F)이 도금액공급유닛(230)과 분사링(250)을 거쳐 바이패스연결관(450)으로 순환하여 이동되도록 한다. 도금액공급채널(211)의 가운데 영역에는 도금액공급유닛(230)으로 도금액을 공급하는 도금액공급공(213)이 형성된다.
드럼유닛(220)은 내부에 지지축(210)을 수용하며, 분사링(250)이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드럼유닛(220)은 지지축(210) 상에 고정결합되어 분사링(250)이 도금액(F)의 윤활작용과 캐리어(A)의 이송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분사링(250)을 지지하고 분사링(250)으로 도금액(F)을 공급한다.
드럼유닛(220)은 지지축(210)을 중심으로 상하에 배치된 상부드럼(221)과 하부드럼(223)으로 구성된다. 하부드럼(223)은 상부영역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지지축(210) 상에 삽입된다. 하부드럼(223)은 하부영역이 체결부재(228)에 의해 지지플랜지(215)에 고정결합된다. 이에 의해 하부드럼(223)은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분사링(250)이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하부드럼(223)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결합리브(226)는 상부드럼(221)에 끼움결합되어 하부드럼(223)과 상부드럼(221)이 상호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하부드럼(223)의 외주면에는 판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분사링(250)이 결합되는 분사링수용홈(225)이 형성되고, 하부드럼(223)의 내측에는 분사링수용홈(225)으로 도금액(F)을 공급하는 분사노즐(226)이 형성된다. 분사노즐(226)은 도금액공급유닛(230)의 도금액공급슬릿(231)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도금액공급슬릿(231)을 통해 배출되는 도금액(F)을 분사링수용홈(225)으로 공급한다.
분사노즐(226)은 피도금부재(B)의 도금영역(b1,b2)의 형상과 난이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노즐(226)은 일정 직경을 갖는 홀형상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거나,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분사노즐(226)의 직경이나 폭은 도금액분사공(255) 보다 크게 구비되어 도금액(F)이 도금액분사공(255)으로 원활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분사링수용홈(225)의 판면에는 분사노즐(226)에 의해 분사된 도금액(F)이 일정두께 도포된 상태로 유지되고, 도금액(F) 위에 분사링(250)이 결합된다. 분사링(250)은 도금액(F) 상에 적재되므로 도금액(F)의 윤활작용에 의해 분사링수용홈(225) 내를 미끄러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분사링수용홈(225)으로부터 흘러내린 도금액(F)은 하우징(600)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여 리턴관(460)을 통해 도금액공급탱크(410)로 흘러내린다. 도금액공급탱크(410)로 리턴된 도금액(F)은 다시 도금액공급유닛(230) 측으로 공급된다.
상부드럼(221)은 지지축(210) 상에 삽입되며 하부드럼(223)의 상부영역에 배치된다. 상부드럼(221)과 하부드럼(223)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내주면이 함몰 형성되어 도금액공급유닛(230)이 수용되는 공급유닛수용공간(224)를 형성한다.
도금액공급유닛(230)은 드럼유닛(220)의 내부에 수용되며 도금액(F)을 분사링(250) 방향으로 공급한다. 도금액공급유닛(230)은 지지축(210)에 형성된 도금액공급공(213)으로부터 공급받은 도금액(F)이 수용되는 도금액수용공간(233)과, 도금액수용공간(233)의 도금액(F)을 분사링(250)으로 공급하는 도금액공급슬릿(231)을 구비한다.
분사링(250)은 하부드럼(223)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캐리어(A)의 이송력에 의해 회전되며 캐리어(A)로 도금액(F)을 도포한다. 분사링(250)은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링형상으로 구비된 분사링본체(251)와, 분사링본체(251)의 내측면에 함몰형성되어 도금액이 체류하는 도금액수용홈(253)과, 분사링본체(251)에 관통형성되어 캐리어(A)로 도금액(F)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도금액분사공(255)을 포함한다.
분사링본체(251)는 하부드럼(223)의 분사링수용홈(225)에 수용된다. 분사링본체(251)의 내경은 하부드럼(223)의 분사링수용홈(225)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분사링본체(251)의 내경과 분사링수용홈(225)과의 이격공간 내에 도금액이 일정 두께 체류하여 분사링본체(251)는 분사링수용홈(225) 내를 회전할 수 있다. 즉, 분사링본체(251)는 바닥에 일정두께 도포된 도금액(F)이 윤활유 역할을 하여 외력이 가해질 경우 분사링수용홈(225)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분사링본체(251)의 분사링수용홈(225)과 접하는 바닥면에는 도금액(F)이 수용되는 도금액수용홈(253)이 일정 패턴으로 형성된다. 도금액수용홈(253)은 분사링본체(251)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도금액(F)이 일정량 수용된다. 이에 따라 분사노즐(226)로부터 분사된 도금액(F)은 분사링수용홈(225)과 도금액수용홈(253) 내에 잔류하게 된다. 특히, 도금액수용홈(253) 내에 수용된 도금액(F)은 분사링(250)이 캐리어(A)의 이송력에 의해 회전될 때 도금액분사공(255)을 통해 분사되어 피도금부재(B) 표면에 도포된다.
도금액분사공(255)은 분사링본체(251)를 관통하여 분사링본체(25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금액분사공(255)은 분사링본체(251)가 캐리어(A)와 접촉하는 원주 영역에만 형성된다.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링(250)이 드럼유닛(220)을 따라 회전할 때 캐리어(A)와 접촉되는 분사링(250)의 영역에만 도금액분사공(255)이 형성된다.
한편, 분사링본체(251)의 판면에는 캐리어(A)의 결합공(a)에 삽입되어 분사링(250)이 캐리어(A)의 이송력에 의해 이송되도록 하는 정렬핀(257)이 돌출 형성된다. 정렬핀(257)은 분사링본체(251)의 판면에 돌출형성되고 이송되는 캐리어(A)의 결합공(a)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분사링본체(251)의 판면에 캐리어(A)가 접촉지지되고, 캐리어(A)의 이송력에 의해 분사링본체(251)가 드럼유닛(220)을 따라 회전하면서 도금액을 도포하게 된다.
애노드 매쉬망(240)은 도금액공급유닛(230)과 분사링(250) 사이에 배치된다. 애노드 매쉬망(240)은 공급유닛수용공간(224)의 일측에 구비되고, 캐소드(270)는 도금유닛(200)의 외측에 캐리어(2)와 접촉가능하게 구비된다(도1 참조).
애노드 매쉬망(240)은 도금되는 금속의 종류에 대응되는 금속으로 구비된다. 즉, 은도금의 경우 은으로 구비되고, 금도금의 경우 금으로 구비된다. 전기가 인가될 경우 애노드 매쉬망(240)의 양이온은 도금액(F)을 통해 산화되며 피도금물체(B)의 표면에 도금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금유닛(200)은 캐리어(A)의 이송경로 상에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도금유닛(200)은 피도금부재(B)의 도금영역의 위치 및 도금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캐리어이송부(300)는 캐리어(A)를 이송시켜 분사링(250)이 회전하며 도금액을 도포하도록 한다. 캐리어이송부(300)는 서로 대향되게 회전하며 캐리어(A)에 이송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310)와, 캐리어(A)의 이송경로에 배치되어 이송경로를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롤러(320,330)을 포함한다.
도금액공급부(400)는 도금액공급탱크(410)와, 도금액공급탱크(410)와 도금유닛(200)을 연결하는 도금액공급관(420)과, 도금액공급관(420) 상에 설치되는 공급펌프(430)와, 지지축(210)의 단부영역에 구비된 바이패스관(450)을 포함한다.
도금액공급부(400)는 공급펌프(430)의 구동여부에 따라서 도금액공급탱크(410)의 도금액이 도금유닛(200)의 지지축(21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바이패스관(450) 상에는 바이패스밸브(450a)가 구비된다. 바이패스밸브(450a)는 도금액공급탱크(410)의 도금액(F) 공급여부와 관계없이 피도금부재(B)의 도금형상과 난이도 및 도금액(F)의 유량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개폐를 조절한다.
한편, 캐리어(A)의 이송경로에는 가이드부재(260)가 더 구비된다. 가이드부재(260)는 분사링(250)의 외주연에 캐리어(A)가 밀착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폿 도금장치(1)의 도금과저을 도1 내지 도7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캐리어이송부(300)가 캐리어(A)의 이송을 시작하면 캐리어(A)는 공급롤(110)로부터 일정속도로 이송된다.
한편, 도금액공급부(400)는 지지축(210)의 내부로 도금액(F)을 공급하고, 지지축(210)의 도금액공급채널(211)로 공급된 도금액(F)은 도금액공급공(213)을 통해 도금액공급유닛(230)의 도금액수용공간(233)으로 유입된다. 도금액수용공간(233)에 저장된 도금액(F)은 도금액공급슬릿(231)과 분사노즐(226)에 의해 분사링수용홈(225)의 하부영역에 일정두께(d) 고이게 된다. 또한, 도금액(F)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링(250)의 도금액수용홈(253)에 일정량이 수용되게 된다. 이에 의해 분사링(250)은 도금액(F)의 윤활작용에 의해 회전저항없이 드럼유닛(220)의 표면을 미끄러지듯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캐리어(A)가 이송되어 분사링(250)과 접촉되면 분사링(250)의 정렬핀(257)이 결합공(a)에 삽입되어 캐리어(A)가 분사링(250)의 표면에 밀착되게 된다. 캐리어이송부(300)의 이송력에 의해 캐리어(A)가 이송되면, 정렬핀(257)에 의해 캐리어(A)에 밀착되어 있는 분사링(250)은 캐리어(A)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드럼유닛(220) 표면을 회전하게 된다. 즉, 분사링(250)은 도금액(F)의 윤활작용에 의해 캐리어(A)의 이송속도에 맞추어 회전하게 된다.
분사링(250)의 하부영역에 고여있던 도금액(F)은 도금액분사공(255)을 통해 분사되며 캐리어(A)에 부착되어 있는 피도금부재(B)의 도금영역(b1,b2)에 도포되어 부분도금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부분도금이 완료된 캐리어(A)는 세정장치와 같은 후속처리장치(500)로 이송된다.
여기서, 도금액(F)의 분사압력과 유량은 도금액공급펌프(410)과 바이패스관(450) 상에 구비된 바이패스밸브(450a)의 수동조작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부드럼(223)의 분사노즐(226)로부터 도금액분사공(255)으로 도금액(F)이 고압 또는 저압으로 공급되어 원활하게 피도금부재(B)에 부분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폿 도금장치는 종래와 달리 드럼유닛이 지지축에 고정되어 있고, 분사링이 도금액의 윤활작용에 의해 회전하게 되므로 큰 회전저항 없이 분사링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분사링이 캐리어의 이송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캐리어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캐리어 및 피도금부재의 손상 없이 원활하게 피도금부재의 부분 도금을 시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스폿 도금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스폿 도금장치 100 : 캐리어공급부
200 : 도금유닛 210 : 지지축
211 : 도금액공급채널 213 : 도금액공급공
215 : 지지플랜지 220 : 드럼유닛
221 : 상부드럼 223 : 하부드럼
224 : 공급유닛수용공간 225 : 분사링수용홈
226 : 분사노즐 227 : 결합리브
228 : 체결부재 230 : 도금액공급유닛
231 : 도금액공급슬릿 233 : 도금액수용공간
235 : 인서트부재 240 : 애노드매쉬링
250 : 도금액분사링 251 : 분사링본체
253 : 도금액수용홈 255 : 도금액분사공
257 : 정렬핀 260 : 가이드
270 : 캐소드 300 : 캐리어이송부
400 : 도금액공급부 410 : 도금액공급탱크
420 : 도금액공급관 430 : 도금액공급펌프
450 : 바이패스관 460 : 리턴관
500 : 후속처리장치 600 : 하우징

Claims (5)

  1. 삭제
  2. 캐리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연결되며, 분리시 전자부품의 전극으로 사용될 다수의 피도금부재마다 서로 다른 위치의 도금영역에 부분적으로 도금하기 위한 스폿 도금장치에 있어서,
    지지축에 고정 결합되는 드럼유닛과;
    상기 드럼유닛의 외측에 도포된 도금액의 윤활작용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상기 드럼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캐리어의 이송력에 의해 상기 피도금부재와 접촉회전하며 상기 피도금부재의 도금영역에 도금액을 도포하는 분사링과;
    상기 드럼유닛의 내측에 구비되며 분사블록으로 도금액을 공급하는 도금액 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유닛은,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하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도금액 공급유닛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드럼 및 하부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드럼의 외주연에 상기 분사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도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드럼에는 상기 분사링이 결합되는 분사링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링과 상기 분사링수용홈 사이에는 상기 도금액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도금액이 일정두께 체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도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링은,
    상기 분사링수용홈과 접촉되는 내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도금액이 수용되는 도금액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금액수용홈으로부터 상기 피도금부재와 접촉되는 외주면을 향해 복수개의 도금액분사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도금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유닛과 상기 도금액 공급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애노드 매쉬망과;
    상기 드럼유닛의 외측에 구비되는 캐소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스폿 도금장치.
KR1020100046039A 2010-05-17 2010-05-17 드럼 타입 로터리 스폿 도금장치 KR101182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039A KR101182351B1 (ko) 2010-05-17 2010-05-17 드럼 타입 로터리 스폿 도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039A KR101182351B1 (ko) 2010-05-17 2010-05-17 드럼 타입 로터리 스폿 도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386A KR20110126386A (ko) 2011-11-23
KR101182351B1 true KR101182351B1 (ko) 2012-09-20

Family

ID=4539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039A KR101182351B1 (ko) 2010-05-17 2010-05-17 드럼 타입 로터리 스폿 도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3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2819A1 (ko) * 2013-01-16 2014-07-24 주식회사 잉크테크 연속 도금 장치 및 연속 도금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779B1 (ko) * 2012-11-20 2014-07-18 대성하이피(주)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KR101420780B1 (ko) * 2012-11-20 2014-07-18 대성하이피(주)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커넥터핀의 도금회수용 박리액 분사장치 및 박리액 분사방법
KR101362265B1 (ko) * 2012-11-20 2014-02-14 대성하이피(주)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CN110004473A (zh) * 2019-05-22 2019-07-12 安徽永基电子科技有限公司 点镀电极模组及点镀装置
KR102528357B1 (ko) * 2022-10-17 2023-05-03 주식회사 아젠컴 집적회로 칩 제조를 위한 도금 장치, 집적회로 칩 제조를 위한 도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집적회로 칩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7893A (en) 1980-09-01 1982-03-18 Toyo Giken Kogyo Kk Method and device for partial plating for strip-like object to be treated
JP2000087289A (ja) * 1998-09-11 2000-03-28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金属条へのスポットメッキ方法及びスポットメッ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7893A (en) 1980-09-01 1982-03-18 Toyo Giken Kogyo Kk Method and device for partial plating for strip-like object to be treated
JP2000087289A (ja) * 1998-09-11 2000-03-28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金属条へのスポットメッキ方法及びスポットメッ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2819A1 (ko) * 2013-01-16 2014-07-24 주식회사 잉크테크 연속 도금 장치 및 연속 도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386A (ko)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351B1 (ko) 드럼 타입 로터리 스폿 도금장치
KR102513280B1 (ko) 세정 장치 및 기판 세정 방법
KR100661456B1 (ko) Fccl 필름 제조 장치 및 fccl 필름 제조 방법
KR20200072085A (ko) 판재 코팅장치
CN110944758A (zh) 筒体涂装装置
KR101122726B1 (ko) 도금장치 및 도금 시스템
CN113549986A (zh) 一种垂直电镀生产线
CN112790712A (zh) 一种新型洗碗机喷淋装置
KR102278771B1 (ko) 도금액 순환부를 가지는 바렐 도금장치
KR20010024841A (ko) 압출 헤드의 클리닝 및 프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1418526A (zh) 具有接觸環除鍍功能的電鍍設備
KR101420779B1 (ko)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TW2008317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act liquid sealing
KR101696826B1 (ko) 이물질 제거장치
KR101434995B1 (ko) 필름 동도금용 전극롤러장치
KR101378671B1 (ko) 분사관의 회전장치
KR20140094061A (ko) 연속 도금 장치 및 연속 도금 방법
US101744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plating of interior surface of elongated articles
KR101420780B1 (ko)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커넥터핀의 도금회수용 박리액 분사장치 및 박리액 분사방법
KR101362265B1 (ko)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JPS60135594A (ja) 離散片形電気端子のメッキ装置
KR100797287B1 (ko) 전기도금설비의 폭 가변형 자동노즐장치
KR20140104135A (ko) 약물 코팅용 전기방사 노즐모듈
KR101305066B1 (ko) 배럴 도금장치
JP4304188B2 (ja) 電着塗装装置、電着塗装方法、及び電着塗装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