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265B1 -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 Google Patents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265B1
KR101362265B1 KR1020120131775A KR20120131775A KR101362265B1 KR 101362265 B1 KR101362265 B1 KR 101362265B1 KR 1020120131775 A KR1020120131775 A KR 1020120131775A KR 20120131775 A KR20120131775 A KR 20120131775A KR 101362265 B1 KR101362265 B1 KR 101362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liquid
plating
dimensional
plated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복
Original Assignee
대성하이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하이피(주) filed Critical 대성하이피(주)
Priority to KR1020120131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 C25D5/026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using locally applied jets of electrolyt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6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 C25D17/22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having open conta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핀과 같은 입체형 피도금체의 원하는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도금할 수 있는 부분 전기 도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서, 내부에 도금액 공급관이 구비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도금액 공급관과 연결되는 도금액 수용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도금액 분사공이 형성된 도금액 분사블럭과; 상기 고정몸체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지지부가 구비된 드럼마스크홀더와; 고정몸체의 상단과 연결되어 도금액 수용부에 양극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커버부재; 및 상기 드럼마스크홀더와 함께 회전되며, 외주면에는 입체형 피도금체중 돌출된 부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홈부와 도금액 노즐공이 형성되고, 외주면 하부에는 위치결정핀이 형성된 드럼마스크;를 포함한다.
따라서 입체형상을 가지는 피도금체를 정확하면서 용이하게 도금할 수 있는 것이며, 입체형상을 가지는 피도금체 따라 그에 상응하는 드럼마스크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입체형상의 피도금체를 효과적으로 도금할 수 있어 도금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By way of drum rotation portion of the stereoscopic connector pin electroplating unit}
본 발명은 커넥터핀의 필요한 부위를 선택적으로 도금하기 위한 전기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입체 형상의 피도금체의 필요한 부위만을 정확하면서 신속하고 안정되게 도금할 수 있도록 한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금은 금속이나 비금속 표면에 이질의 금속을 사용하여 피막을 만들어 주는 기술로서, 처리방법에 따라 전기도금, 화학도금, 용융도금, 진공도금, 침투도금, 이온도금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도금의 목적에 따라 장식도금, 방식도금, 장식/방식용 도금, 공업용도금 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전기도금은 전기분해의 원리를 이용하여 표면에 금속이온을 환원 석출시켜 얇은 피막을 입히는 표면처리 방법으로 도금시키려는 금속의 염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액인 전해용액인 도금용액속에 도금할 물체를 음극과 연결하고 다른 금속에 양극을 직류로 연결하여 통전시켜 용해액내의 용해된 금속이 제품 표면에 금속 피막으로 입혀지는 방식이다.
한편, 전기 및 전자 접속용으로 사용되는 커넥터 등에 설치되는 접속단자인 핀 또는 리드의 경우 1차적으로 니켈(Ni) 도금을 하여 금속층을 형성한 후 전기 전도율을 높이기 위하여 그 니켈 도금층에 2차로 금(Au)을 도금을 하게 된다.
이렇게 도금된 핀 또는 리드(이하 "피도금체" 이라 통칭함)에 합성수지가 압출 성형되어 규정된 형태의 커넥터가 제조되며, 이 커넥터는 PCB기판 등에 표면 실장 기술(SMT:Surface Mount Technology)을 적용하여 납땜 등으로 고정된다.
이때 피도금체에 전체적으로 금도금이 이루어진 경우 솔더링(soldering) 작업시 솔더가 이 접속 단자 전체에 번지게 되어 커넥터의 불량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피도금체에 전체적으로 금도금을 하게 되면 고가의 금 사용량이 증가하여 생산비용이 증가하고 접속단자의 단가를 낮추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피도금체의 필요한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도금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며, 그러한 부분 도금 방법으로는 부분침적 방식, 마스킹 방식, 브러쉬 방식, 제트분사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부분침적 방식은 피도금체를 도금액에 부분적으로 침지하여 원하는 부위만을 도금하는 방식으로 가장 간단한 방식이며, 정밀한 도금이 어려워 도금 영역 선택에 제한이 따른다.
그리고 마스킹 방식은 피도금체의 도금이 필요없는 부위에 대해 마스킹 테이프와 같은 것을 부착하여 도금을 하는 방법으로 이는 마스킹 테이프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비용의 소모가 많고, 탈착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마스킹 테이프 안쪽으로 도금액이 스며들어 정밀한 도금이 어렵고 굽힘 가공 등으로 인한 3차원 형태의 제품들에 적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또한 브러쉬 방식은 브러쉬에 도금액을 묻힌 후 피도금재의 원하는 부위에 브러쉬를 접촉시켜 도금하는 방법으로 이는 고속 도금에 적용하기 어려우며, 작업성 또한 용이하지 못하고, 브러쉬와 피도금체의 접촉에 따라 피도금체가 변형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트분사 방식은 노즐을 통해 도금액을 고속으로 분사시켜 도금이 필요한 부위에만 도금액을 노출시키는 방법으로 마스킹이나 이에 상응하는 차폐물과 더불어 사용하기도 하며, 부분도금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해 펄스 전원으로부터 교대로 전류를 피도금체에 통전함으로써 도금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제트분사 방식은 제트분사를 위한 장치 및 펄스 전원장치 등의 각종 설비를 필요로 하여 설비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제트분사의 제어를 위한 센서장치 등의 부대 장치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부분 도금장치로서, 국내 공개특허 2003-0021514호 "리드프레임 도금장치"를 통해 이미 제안된 바 있으며, 상기 리드프레임 도금장치의 구성을 보면,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리드프레임의 도금될 위치에 대응되게 패턴공들이 형성된 마스크와; 도금액을 공급하는 공급관이 구비된 내부 케이스와; 상기 마스크의 패턴공들에 대응되고 내부케이스와 연통되는 플레이트와; 마스크측으로 돌출되며 도전성을 가진 노즐이 구비된 노즐유닛과; 마스크 상부면에 위치되는 리드프레임을 마스크쪽으로 가압하는 프레스부;로 구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부분 도금장치의 경우 마스크상에 올려져 프레스부에 가압되면서 이동되는 피도금체가 다양한 입체형상을 가지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적절한 구성이 없어 입체형 피도금체의 원하는 부위, 특히 돌출된 부위에 도금이 필요한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드럼마스크의 구조를 보더라도 다양한 입체형상을 가지는 피도금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환구조가 없어 도금작업의 효율성 및 용이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입체 형상을 가지는 피도금체의 원하는 부위를 효과적으로 도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입체의 형상을 가지는 피도금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드럼마스크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도금작업의 정밀성과 효율성 및 용이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로울러에 의해 연속적으로 반송되며, 음극전류가 인가되고, 하부에 핀공이 구비된 스트립형상의 입체형 피도금체를 부분적으로 도금하기 위한 전기 도금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도금액 공급관이 구비되고, 상측에는 베어링이 설치된 원통형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중앙부에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도금액 공급관과 연결되는 도금액 수용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도금액 수용부에서 외부로 관통되는 도금액 분사공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도금액 분사블럭과;
상기 고정몸체의 상부에 설치된 베어링에 내주면이 고정되어 고정몸체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드럼마스크홀더와;
상기 드럼마스크홀더의 상면에 위치되면서 고정몸체의 상단과 연결되어 도금액 수용부에 양극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커버부재; 및
상기 도금액 분사블럭을 감싸는 형태로 드럼마스크홀더의 하부에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입체형 피도금체의 돌출된 부분이 수용되는 오목한 홈부와 상기 도금액 분사공과 일치되는 도금액 노즐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하부에는 입체형 피도금체의 핀공이 끼워질 수 있도록 위치결정핀이 형성된 마스크;로 구성된 것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마스크홀더의 하부에 지지부를 구성하여 상기 드럼마스크홀더에 끼워지는 드럼마스크의 상면이 상기 지지부와 고정볼트로서 착탈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마스크의 외주면 하부 끝단에 입체형 피도금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안착면이 구비된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체형 피도금체가 접면되는 드럼마스크에 외주면에 밀착부재가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마스크의 도금액 분사공 주변에 끼움홈을 형성하고, 밀착부재를 상기 끼움홈에 설치하되 밀착부재를 도금액 분사공의 표면과 단차를 이루면서 서로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돌출시켜 형성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착부재는 실리콘인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마스크에 내주면의 일부구간 또는 전체구간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도금액 분사공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차단판을 구성하여 된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전기 도금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입체형 피도금체의 일부분을 도금처리함에 있어, 입체형상을 가지는 피도금체의 원하는 부위를 정확하면서 용이하게 도금할 수 있는 것이며, 입체형상을 가지는 피도금체 따라 그에 상응하는 드럼마스크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도금을 할 수 있어 도금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전기 도금장치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전기 도금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전기 도금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전기 도금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a, 5b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전기 도금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6b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전기 도금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입체형 피도금체의 이송과정 예시한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8a, 8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피도금체가 도금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9a, 9b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해 피도금체가 도금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도 1 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전기 도금장치의가 입체형 피도금체의 이송라인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기 도금장치의 구성을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기 도금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기 도금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도금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정몸체(100)는 고정체로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베이스(120) 상면에 세워져 고정되며, 내부의 중심부에는 수직 상방으로 도금액 공급관(110)이 형성되어 도면에 도시는 되지 않았지만 베이스(120) 하부의 가압 순환 펌프 및 배관 등으로 구성된 도금액 탱크로부터 도금액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된 도금액을 회수하는 장치 및 상기 장치에 의해 회수된 도금액을 다시 도금액 탱크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도 함께 구비됨에 따라 도금액이 연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고정몸체(100)와 함께 고정체인 도금액 분사블럭(200)은 상기 고정몸체(100)의 중앙부에 고정몸체(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반형상으로 형성된 것인데, 상기 도금액 분사블럭(200)의 내부에는 고정몸체(100)의 도금액 공급관(110)과 연결되어 도금액 공급관(110)으로부터 공급된 도금액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을 가지는 도금액 수용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도금액 분사블럭(20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도금액 분사공(220)이 동일선상에 형성됨에 따라 일정한 압력을 가지는 도금액이 고정몸체(100)의 도금액 공급관(110)을 거쳐 도금액 수용부(210)로 이동된 후 도금액 분사공(22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금액 분사공(220)의 직경은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크기 및 도금이 필요한 부위의 면적 등에 달라질 수 있지만 그 직경을 0.15㎜~1.25㎜의 범위 안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금액 분사공(220)의 직경이 0.15㎜ 미만인 경우에는 도금액 분사공(220) 내부의 유로 저항이 커지게 되면서 그만큼 압력의 설정치를 높여주어야 하므로 제작이나 기술의 곤란성 및 비용의 증가라는 단점이 있고, 도금액 분사공(220)의 직경이 1.25㎜ 이상인 경우에는 분사되는 도금액의 직진성이 떨어지게 되면서 정확한 분사가 어려워 도금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도금액 분사공(220)의 직경과 함께 도금액 분사공(220)의 개수는 도금액 분사블럭(200)의 크기 및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100개~200개가 바람직하며, 100개 미만인 경우 도금액의 분사량이 적어 분사 효율성 및 도금 효율성이 떨어지며, 200개 이상인 경우 제작상 측면에서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도금액 분사공(220)의 간격은 도금액 분사블럭(200)의 크기 및 구조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간격을 0.15㎜~3.5㎜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금액 분사공(220)의 간격이 0.5㎜ 미만인 경우 제작상 어려움이 있고, 도금액 분사공(220)의 간격이 3.5㎜ 이상인 경우 도금액의 분사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도금액 분사공(220)은 입체형 피도금체(600)에 도금 대상부위에 따라 동일선상의 한 라인 또는 서로 이격된 동일선상의 두 라인 또는 그 이상의 이격된 복수의 라인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동일선상의 두 라인인 경우를 예로 들면 하나의 입체형 피도금체(600) 한쪽에는 연결핀의 기능을 위한 도금을 하게 되며, 다른 한쪽에는 표면 실장 기술(SMT)을 위한 도금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회전체인 드럼마스크홀더(300)는 고정체인 고정몸체(100)와 도금액 분사블럭(200)과는 달리 고정몸체(10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인데, 이를 위해 고정몸체(100)의 상부에는 베어링(130)이 설치되며, 그 베어링(130)에 상기 드럼마스크홀더(300)가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된 것이다.
드럼마스크홀더(300)의 하부에는 원판형태의 지지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310) 또한 드럼마스크홀더(300)와 함께 고정몸체(10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고정체인 커버부재(400)는 드럼마스크홀더(300)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몸체(100)의 상단에 체결됨에 따라 드럼마스크홀더(300)의 회전과 관계없이 고정몸체(100)와 함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커버부재(400)의 상면 한쪽에는 전류공급장치(도면중 미도시)와 연결되어 양극전류가 커버부재(400)로 인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커버부재(400)로 인가된 양극전류는 같은 도전체인 고정몸체(100)를 거쳐 도전체인 도금액 분사블럭(200)에 인가됨에 따라 도금액 분사블럭(200)의 도금액 수용부(210)에 수용되는 도금액이 양극전류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회전체인 드럼마스크(500)는 도금액 분사블럭(200)을 감싸도록 하부만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면은 드럼마스크홀더(300)에 관통되어 끼워져 지지부(310) 상면과 고정볼트(311)로 고정됨에 따라 드럼마스크홀더(300)와 함께 드럼마스크(500)가 고정몸체(10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드럼마스크(500)의 변형 및 손상 등에 의해 교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나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도금부위에 따라 드럼마스크(500)의 도금액 노즐공(510)이 하나의 라인 또는 2개 이상의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사양이 다르게 구성된 드럼마스크(500)를 선택하여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때 드럼마스크(500)와 드럼마스크홀더(300)가 일체로 구성될 경우 드럼마스크(50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고정몸체(100)와 베어링(1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드럼마스크홀더(300)까지 함께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작업이 복잡하고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드럼마스크홀더(300)와 드럼마스크(500)를 별도로 구성하고 드럼마스크(500)에 체결공(540)을 형성하여 고정볼트(31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드럼마스크(50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드럼마스크(500)의 외주면에는 도금액 분사블럭(200)에 형성된 도금액 분사공(220)과 일직선 상태가 되도록 도금액 노즐공(510)이 동일한 선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됨에 따라 도금액 분사블럭(200)의 도금액 분사공(220)에서 분사된 도금액이 드럼마스크(500)의 도금액 노즐공(510)을 거쳐 드럼마스크(500)의 외측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전류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음극전류가 인가되는 도금체(600)는 다수개의 동일한 단위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연결되어 스트립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도금체(600)의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핀공(610)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드럼마스크(500)의 외주면 하부에는 위치결정핀(522)을 형성하므로서 드럼마스크(500)의 외주면에 접면되는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핀공(610)이 상기 위치결정핀(522)에 끼워짐에 따라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이송에 의해 드럼마스크(50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위치결정핀(522)은 박리액 노즐공(510)의 간격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박리액 노즐공(510)의 간격보다 큰 간격으로 배열해도 무방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위치결정핀(522)은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과 함께 드럼마스크(500)를 회전시켜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드럼마스크(500)의 외주면 하부 끝단에는 안착면(521)이 구비된 가이드부(520)가 형성됨에 따라 위치결정핀(522)의 핀공(610)에 끼워지는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저면이 상기 안착면(521)에 안착되면서 입체형 피도금체(600)가 가이드부(520)에 지지되는 상태로 이동되므로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안정적인 이동 및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유동을 방지함에 따라 도금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드럼마스크(500)의 외주면에는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볼록한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안쪽으로 오목한 형태의 공간을 가지는 홈부(550)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드럼마스크(500)의 위치결정핀(522)에 입체형 피도금체(600)가 끼워져 설치될 때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홈부(550)에 수용되는 상태가 되어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볼록한 부분과 드럼마스크(500)의 외주면이 간섭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볼록한 부분이 도금되는 경우 도금액 노즐공(510)은 상기 홈부(550)의 중앙에 도금액 노즐공(510)이 위치됨에 따라 상기 홈부(550)에 수용되는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선택된 부위가 정확히 도금될 수 있는 것이다.
홈부(550)의 크기나 위치 및 깊이 등은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도 3 및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형상에 따라 상응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드럼마스크(500)를 제작함에 있어서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패턴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작해 두고 도금이 필요한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형상에 맞는 드럼마스크(500)를 선택하여 드럼마스크홀더(300)에 간단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도금작업성의 향상은 물론 작업공정의 효율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도금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5b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도금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입체형 피도금체(600)가 드럼마스크(500)의 외주면에 접면되어 드럼마스크(500)를 회전시키면서 이송될 때 드럼마스크(500)에 밀착부재(700)를 설치하므로서 입체형 피도금체(600)와 드럼마스크(500)의 밀착력을 높여 도금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입체형 피도금체(600)가 드럼마스크(500)의 외주면에 접면될 때 밀착력이 약할 경우 도금액이 불필요한 부위까지 스며들어 도금액의 낭비는 물론 합선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됨에 따라 입체형 피도금체(600)와 드럼마스크(500)의 외주면 간의 밀착력을 견고히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밀착부재(700)의 일예로는 드럼마스크(500)의 도금액 노즐공(510)을 차단하지 않는 범위에서 드럼마스크(500)의 도금액 노즐공(510)의 주변 상측과 하측에 드럼마스크(500)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일정한 깊이의 끼움홈(530)을 형성한 후 상기 끼움홈(530)에 환형의 밀착부재(700)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
밀착부재(700)의 설치방법으로는 밀착부재(700)를 끼움홈(530)에 억지끼움식이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인서트사출방식을 이용하여 사출성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끼움홈(530)에 설치되는 밀착부재(700)는 도금액 노즐공(510)의 표면보다 미세하게 돌출시켜 밀착부재(700)의 표면과 도금액 노즐공(510)의 표면이 단차를 이루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금액 노즐공(510)의 상하에 형성된 끼움홈(530)으로 끼워지는 밀착부재(700)간의 돌출되는 높이가 서로 동일해야만 밀착부재(700)에 입체형 피도금체(600)가 정확히 밀착되어 도금액의 불필요한 번짐을 방지하면서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원하는 부위를 정확히 도금할 수 있는 것이다.
밀착부재(700)의 재질은 입체형 피도금체(600)와 밀착력을 가질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도 6a 와 6b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도금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드럼마스크(500)의 내주면에 착탈이 가능한 차단판(800)을 일부의 구간 또는 전체구간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도금액 분사블럭(200)의 도금액 분사공(220)로부터 분사되는 도금액이 차단판(800)에 의해 드럼마스크(500)의 도금액 노즐공(51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선택된 구간 또는 전체 구간의 도금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드럼마스크(500)의 내주면에 차단판(800)을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함에 있어서 그 착탈수단으로는 돌기(810)에 의한 결합방식을 사용하거나 드럼마스크(500) 내주면에 접착물질 도포한 후 필요에 따라 차단판(800)을 착탈시킬 수도 있으며,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드럼마스크(500) 내주면에 차단판(800)을 착탈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차단판(800)의 높이는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드럼마스크(500)에 복수의 라인으로 도금액 노즐공(510)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복수의 라인중 어느 하나의 라인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입체형 피도금체(600)는 스트립형태를 가지며, 이송로울러(920)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며, 이송과정에서 드럼마스크(500)의 외주면을 통과하게 되고, 이때 드럼마스크(500)의 도금액 노즐공(510)에서 분사되는 도금액에 의해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원하는 부위가 도금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일부분이 금으로 도금되는 과정을 도 7 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트립형태의 피도금체(600)는 이송로울러(920) 및 가이드로울러(910)의 안내를 받으면서 전기 도금장치의 드럼마스크(500) 외주면을 접면된 상태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때,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핀공(610)이 드럼마스크(5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핀(522)에 각각 끼워져 있어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이송에 따라 드럼마스크(500)가 고정몸체(10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입체형 피도금체(600)는 음극전류가 흐르고, 양극전류가 인가되는 커버부재(400)와 연결된 도금액 분사블럭(200)에는 양극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도금액 분사블럭(200)의 도금액 수용부(210)를 거쳐 도금액 분사공(220)을 통해 드럼마스크(500)의 도금액 노즐공(510)으로 분사되는 금도금액에 양극전류가 흐르게 되어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으로 인해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필요한 부위가 금으로 도금이 되는 것이다.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이송과정에 있어서, 하나의 전기 도금장치를 사용할 경우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한쪽 면만 도금할 수 있는 것이며, 양쪽면 모두 도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전기 도금장치를 2개로 구성하고 입체형 피도금체(600)가 가이드로울러(910)의 도움을 받아 2개의 도금장치를 거치도록 하여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양쪽면을 모두 도금할 수 있는 것이다.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어느 한면에 한 부위만 도금할 경우 도금액 분사블럭(200)에 도금액 분사공(220)을 하나의 라인으로 구성하고, 드럼마스크(500) 또한 상기 도금액 분사공(220)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한 라인으로 도금액 노즐공(510)을 형성하므로서, 도금액이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한 부위에 도금될 수 있는 것이다.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어느 한면에 서로 이격되는 양 부위를 도금할 경우에는 도금액 분사블럭(200)에 도금액 분사공(220)을 두개의 라인으로 구성하고, 드럼마스크(500) 또한 상기 도금액 분사공(220)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두개의 라인으로 도금액 노즐공(510)을 형성하므로서, 도금액이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양쪽 부위를 동시에 도금할 수 있는 것이다.
전기 도금장치가 2개로 세팅된 상태에서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한쪽 면만을 도금해야 하는 경우에는 전기 도금장치중 하나는 그대로 이용하고 나머지 전기 도금장치의 드럼마스크(500)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차단판(800)을 설치하게 되면 전기 도금장치의 세팅을 변경하지 않고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원하는 부위만을 간단히 도금할 수도 있는 것이다.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양쪽 면을 서로 다르게 도금하고자 할 경우에는 입체형 피도금체(600)가 하나의 전기 도금장치를 거쳐 한 면이 도금된 후 가이드로울러(910)에 의해 방향전환이 된 다음 다른 전기 도금장치를 거치게 되면 반대면이 도금됨에 따라 도 8a 와 도 8b 의 실시예와 같이 서로 일치하는 도금액 분사공(220)과 도금액 노즐공(510)을 전기 도금장치마다 다르게 형성하게 되면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양 면이 서로 다른 도금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한쪽면에는 한개의 도금층을 형성하고, 반대쪽면에는 두개의 도금층을 형성할 경우 도 9a 와 도 9b 의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전기 도금장치에는 도금액 분사공(220)과 및 도금액 노즐공(510)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하나의 라인을 구성하고, 다른 전기 도금장치에는 도금액 분사공(220)과 및 도금액 노즐공(51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두 개의 라인으로 구성하므로서,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양쪽면에 서로 다른 개수의 도금층을 만들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고정몸체 110 : 도금액 공급관
120 : 베이스 130 : 베어링
200 : 도금액 분사블럭 210 : 도금액 수용부
220 : 도금액 분사공 300 : 드럼마스크홀더
310 : 지지부 311 : 고정볼트
400 : 커버부재 500 : 드럼마스크
510 : 도금액 노즐공 520 : 가이드부
521 : 안착면 522 : 위치결정핀
530 : 끼움홈 540 : 체결공
550 : 홈부 600 : 입체형 피도금체
610 : 핀공 700 : 밀착부재
800 : 차단판 910 : 가이드로울러
920 : 이송로울러

Claims (6)

  1. 이송로울러에 의해 연속적으로 반송되며, 음극전류가 인가되고, 하부에 핀공이 구비된 스트립형상의 입체형 피도금체를 부분적으로 도금하기 위한 전기 도금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도금액 공급관이 구비되고, 상측에는 베어링이 설치된 원통형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중앙부에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도금액 공급관과 연결되는 도금액 수용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도금액 수용부에서 외부로 관통되는 도금액 분사공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도금액 분사블럭;
    상기 고정몸체의 상부에 설치된 베어링에 내주면이 고정되어 고정몸체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드럼마스크홀더;
    상기 드럼마스크홀더의 상면에 위치되면서 고정몸체의 상단과 연결되어 도금액 수용부에 양극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커버부재; 및
    상기 도금액 분사블럭을 감싸는 형태로 드럼마스크홀더의 하부에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입체형 피도금체의 돌출된 부분이 수용되는 오목한 홈부와 상기 도금액 분사공과 일치되는 도금액 노즐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하부에는 입체형 피도금체의 핀공이 끼워질 수 있도록 위치결정핀이 형성된 마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마스크홀더의 하부에 지지부를 구성하여 상기 드럼마스크홀더에 끼워지는 드럼마스크의 상면이 상기 지지부와 고정볼트로서 착탈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마스크의 외주면 하부 끝단에 입체형 피도금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안착면이 구비된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형 피도금체가 접면되는 드럼마스크에 외주면에 밀착부재가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마스크의 도금액 분사공 주변에 끼움홈을 형성하고, 밀착부재를 상기 끼움홈에 설치하되 밀착부재의 표면이 도금액 분사공의 표면과 단차를 이루면서 서로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돌출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마스크에 내주면의 일부구간 또는 전체구간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도금액 분사공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차단판을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KR1020120131775A 2012-11-20 2012-11-20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KR101362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775A KR101362265B1 (ko) 2012-11-20 2012-11-20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775A KR101362265B1 (ko) 2012-11-20 2012-11-20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265B1 true KR101362265B1 (ko) 2014-02-14

Family

ID=50270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775A KR101362265B1 (ko) 2012-11-20 2012-11-20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2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103B1 (ko) * 2015-11-23 2016-10-24 (주)제이엔이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KR101682193B1 (ko) 2016-05-17 2016-12-02 주식회사 중일테크 인쇄회로기판용 결합부품 도금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5677A (ja) 2005-02-15 2006-08-31 Sanyu Engineering Kk 連続部分めっき装置
KR20100109158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에스에프하이테크 도금장치 및 도금 시스템
KR20110126386A (ko) * 2010-05-17 2011-11-23 주식회사 나노이앤피 드럼 타입 로터리 스폿 도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5677A (ja) 2005-02-15 2006-08-31 Sanyu Engineering Kk 連続部分めっき装置
KR20100109158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에스에프하이테크 도금장치 및 도금 시스템
KR20110126386A (ko) * 2010-05-17 2011-11-23 주식회사 나노이앤피 드럼 타입 로터리 스폿 도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103B1 (ko) * 2015-11-23 2016-10-24 (주)제이엔이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KR101682193B1 (ko) 2016-05-17 2016-12-02 주식회사 중일테크 인쇄회로기판용 결합부품 도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779B1 (ko)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JP5763151B2 (ja) 電解メッキ遮蔽板及びこれを有する電解メッキ装置
KR20100019481A (ko) 판상 제품의 전해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87819B1 (ko) 전기화학적 프로세서용 컨택 링
KR20050056263A (ko) 접촉링 성형에 의한 도금 균일도 제어
KR101362265B1 (ko)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CN201212065Y (zh) 集成电路引线框架片式电镀夹具
US10604861B2 (en) Device for vertical galvanic metal deposition on a substrate
KR102283426B1 (ko) 복합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도금 장치
CN114059134A (zh) 高密度多排框架电镀装置
JPS6318095A (ja) 連結された金属部品および/または金属被覆製品に金属堆積層を電解メツキ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420780B1 (ko)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커넥터핀의 도금회수용 박리액 분사장치 및 박리액 분사방법
KR101329624B1 (ko) Led 리드프레임 도금용 지그장치
KR101665103B1 (ko)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US10808331B2 (en) Electroplating system and pressure device thereof
CN216891281U (zh) 高密度多排框架电镀装置
JP2006225677A (ja) 連続部分めっき装置
KR20190093760A (ko) 3d프린터를 이용한 전기화학 공정용 전극공구 및 그 제조방법
US9080246B2 (en) Selective pla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230642B1 (ko) 마스킹 패드를 포함하는 회전분사 방식의 부분도금장치
JP2009013466A (ja) 電極構造体及び連続部分めっき装置
KR20130112238A (ko) 금속판재의 포인트 금도금 방법 및 장치
JP6024613B2 (ja) 電気めっき装置
KR102238129B1 (ko) BtoB 커넥터 핀의 부분도금장치
KR200430588Y1 (ko) 균일 도금을 위한 차폐유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