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103B1 -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103B1
KR101665103B1 KR1020150164049A KR20150164049A KR101665103B1 KR 101665103 B1 KR101665103 B1 KR 101665103B1 KR 1020150164049 A KR1020150164049 A KR 1020150164049A KR 20150164049 A KR20150164049 A KR 20150164049A KR 101665103 B1 KR101665103 B1 KR 101665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plated
plating liquid
fixed shaft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곤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엔이 filed Critical (주)제이엔이
Priority to KR102015016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 C25D5/026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using locally applied jets of electrolyt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85Spraying of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롤러 및 가이드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피도금체를 도금할 때, 피도금체를 밸트 등으로 밀착하지 않아도 원하는 부분에 용이하게 도금할 수 있어 밀착을 위한 가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평면형 뿐만 아니라 입체형 커넥터의 측면도 용이하게 도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도금체가 접하는 드럼지그를 저렴하고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트립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입체형 피도금체를 부분 도금하기 위한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에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상부인 고정축에 고정설치되는 도금액 수용 분사부와,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의 외측에 상기 회전몸체와 같이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외주면에 피도금체가 위치하는 드럼지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a partial electroplating apparatus for a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롤러 및 가이드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피도금체를 도금할 때, 피도금체를 밸트 등으로 밀착하지 않아도 원하는 부분에 용이하게 도금할 수 있어 밀착을 위한 가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평면형 뿐만 아니라 입체형 커넥터의 측면도 용이하게 도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도금체가 접하는 드럼지그를 저렴하고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금은 금속이나 비금속 표면에 이질의 금속을 사용하여 피막을 만들어 주는 기술로서, 처리방법에 따라 전기도금, 화학도금, 용융도금, 진공도금, 침투도금, 이온도금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도금의 목적에 따라 장식도금, 방식도금, 장식/방식용 도금, 공업용도금 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전기도금은 전기분해의 원리를 이용하여 표면에 금속이온을 환원 석출시켜 얇은 피막을 입히는 표면처리 방법으로 도금시키려는 금속의 염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액인 전해용액으로 이루어지는 도금용액속에 도금할 물체를 음극과 연결하고 다른 금속에 양극을 직류로 연결하여 통전시켜 용해액내의 용해된 금속이 제품 표면에 금속 피막으로 입혀지는 방식이다.
한편, 전기 및 전자 접속용으로 사용되는 커넥터 등에 설치되는 접속단자인 핀 또는 리드의 경우 1차적으로 니켈(Ni) 도금을 하여 금속층을 형성한 후 전기 전도율을 높이기 위하여 그 니켈 도금층에 2차로 금(Au)을 도금을 하게 된다.
이렇게 도금된 핀 또는 리드(이하 "피도금체" 이라 통칭함)에 합성수지가 압출 성형되어 규정된 형태의 커넥터가 제조되며, 이 커넥터는 PCB기판 등에 표면 실장 기술(SMT:Surface Mount Technology)을 적용하여 납땜 등으로 고정된다.
이때, 피도금체에 전체적으로 금도금이 이루어진 경우 솔더링(soldering) 작업시 솔더가 이 접속 단자 전체에 번지게 되어 커넥터의 불량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피도금체에 전체적으로 금도금을 하게 되면 고가의 금 사용량이 증가하여 생산비용이 증가하고 접속단자의 단가를 낮추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362265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가이드로울러(91) 및 이송로울러(92)에 의해 연속적으로 반송되며, 음극전류가 인가되고, 하부에 핀공이 구비된 스트립형상의 입체형 피도금체(60)를 부분적으로 도금하기 위한 전기 도금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도금액 공급관(11)이 구비되고, 상측에는 베어링이 설치된 원통형 고정몸체(10); 상기 고정몸체(10)의 중앙부에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도금액 공급관(11)과 연결되는 도금액 수용부(21)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도금액 수용부(21)에서 외부로 관통되는 도금액 분사공(22)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도금액 분사블럭(20); 상기 고정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베어링에 내주면이 고정되어 고정몸체(1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드럼마스크홀더(30); 상기 드럼마스크홀더(30)의 상면에 위치되면서 고정몸체(10)의 상단과 연결되어 도금액 수용부(21)에 양극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커버부재(40); 및 상기 도금액 분사블럭(20)을 감싸는 형태로 드럼마스크홀더(30)의 하부에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입체형 피도금체(60)의 돌출된 부분이 수용되는 오목한 홈부와 상기 도금액 분사공(22)과 일치되는 도금액 노즐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하부에는 입체형 피도금체(60)의 핀공이 끼워질 수 있도록 위치결정핀이 형성된 마스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362265호에 기재된 기술은 피도금체의 원하는 부분을 효과적으로 도금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입체형 피도금체의 측면부의 도금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도금액이 사방으로 퍼지기 때문에 피도금체를 밀착벨트 등을 사용하여 마스크에 밀착시켜야 하므로 피도금체에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사용되는 마스크(50)는 금형을 사용하여 제조하게 되므로 그 제조비용이 상당하여 소량을 제조할 경우에는 금형비용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제조할 수 없으며, 금형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마스크(50)의 제작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롤러 및 이송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피도금체에 필요한 부분만 도금하는 장치로서,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축에 회전몸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몸체의 내측부인 고정축에 도금액 수용 분사부가 고정설치되며 도금액 수용 분사부의 외측에 피도금체와 접하는 드럼지그가 구비되는데, 상기 드럼지그에는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도금액이 피도금체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곡선으로 굴절되어 분사되도록 하여 입체형상의 피도금체의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용이하게 도금할 수 있는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금액 수용 분사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드럼지그에 도금액을 유도하는 분사로를 상하 또는 좌우로 곡선을 이루도록 굴절형성하여 도금액이 분사될 때 퍼지지 않고 일정한 곡선 궤도를 형성하면서 분사되도록 하여, 피도금체를 드럼지그에 밀착시키지 않더라도 피도금체의 원하는 부분에 도금할 수 있게 되므로, 피도금체를 밀착하는 과정에서 피도금체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핀의 부분 도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금액의 분사경로를 형성하는 드럼지그를 3D프린터의 3D프린팅 기법을 사용하여 제조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금형이 필요하지 않아 드럼지그의 제작 시간을 확연하게 줄일 수 있으며, 제조비용도 상당량 절감할 수 있는 커넥터 핀의 부분 도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트립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입체형 피도금체를 부분 도금하기 위한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에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상부인 고정축에 고정설치되는 도금액 수용 분사부와,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의 외측에 상기 회전몸체와 같이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외주면에 피도금체가 위치하는 드럼지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드럼지그에는 도금액 수용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도금액을 피도금체의 도금 부분으로 유도하는 분사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사로는 상하좌우 중 일측 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하도록 굴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는 체결링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링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심부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체결링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심부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심부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심부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의 내측에는 도금액을 공급하는 공급로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공급로와 도금액 수용 분사부를 연통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피도금체에는 음극전류가 인가되고,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에는 양극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몸체에는 상기 드럼지그가 접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드럼지그는 회전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의 하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의 상부에는 고정축에 나사결합되는 너트가 구비되어 도금액 수용 분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드럼지그는 3D프린터의 3D프린팅 기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롤러 및 이송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피도금체에 필요한 부분만 도금하는 장치로서,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축에 회전몸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몸체의 내측부인 고정축에 도금액 수용 분사부가 고정설치되며 도금액 수용 분사부의 외측에 피도금체와 접하는 드럼지그가 구비되는데, 상기 드럼지그에는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도금액이 피도금체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곡선으로 굴절되어 분사되도록 하여 입체형상의 피도금체의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용이하게 도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금액 수용 분사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드럼지그에 도금액을 유도하는 분사로를 상하 또는 좌우로 곡선을 이루도록 굴절형성하여 도금액이 분사될 때 퍼지지 않고 일정한 곡선 궤도를 형성하면서 분사되도록 하여, 피도금체를 드럼지그에 밀착시키지 않더라도 피도금체의 원하는 부분에 도금할 수 있게 되므로, 피도금체를 밀착하는 과정에서 피도금체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금액의 분사경로를 형성하는 드럼지그를 3D프린터의 3D프린팅 기법을 사용하여 제조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금형이 필요하지 않아 드럼지그의 제작 시간을 확연하게 줄일 수 있으며, 제조비용도 상당량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도금장치에서 피도금체의 이송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기 도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전기 도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의 도금액의 이동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커넥터의 도금액 분사방향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의 도금액의 이동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커넥터의 도금액 분사방향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롤러(미도시) 및 공급롤러(미도시)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입체형 피도금체(600)의 특정 부분을 도금하기 위한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100)에 설치되는 고정축(200)과 상기 고정축(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몸체(300)와 상기 회전몸체(3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와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의 외측에 구비되는 드럼지그(5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는 상기 고정축(200)에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축(200)에서 회전몸체(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가 설치되며,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는 내부에 도금액을 수용하여 가장자리를 통하여 분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지그(500)는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몸체(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몸체(300)와 같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드럼지그(500)는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의 가장자리에서 분사되는 도금액을 외주면에 위치하는 피도금체(600)의 도금 부분으로 유도하기 위한 분사로(51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 된다.
이때, 상기 분사로(510)는 상기 드럼지그(500)의 외주면을 따라 내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분사로(5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 중 어느 일측으로 굴절되도록 형성되며, 굴절되는 경로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에서 분사되는 도금액에 방향성을 가지도록 하여 분사로(510)에서 분사된 후에도 분사로(5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곡선의 경로로 분사되게 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로(510)가 좌측 방향으로 곡선을 그리면서 굴절되게 되어 분사될 때, 도금액도 좌측 방향으로 곡선 경로로로 분사되게 됨으로써, 입체형상의 피도금체(600)의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까지도 한번에 도금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분사로(510)를 통하여 분사되는 도금액은 일정한 방향성을 띄기 때문에 분사로(510)의 외측으로 분사되더라도 분사경로의 외측 방향으로 확산되는 양을 대폭 줄여주게 됨으로써, 드럼지그(500)의 외주면에 피도금체(600)를 밸트 등을 사용하여 밀착시키지 않더라도 원하는 부분에 안정적으로 도금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도금액이 피도금체(60)에 직선 방향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입체형 피도금체의 경우에는 측면을 도금하기 위해서는 여러번 도금을 하여야 하며, 또한 도금액이 분산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도금하기 위해서는 피도금체(60)를 마스크(50)에 밀착시켜야 하므로 피도금체(60)에 변형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원 발명에서는 도금액이 분사되는 과정에서 곡선의 경로를 가지도록 방향성을 부여함으로써, 도금액이 분산되는 것을 줄여주어 피도금체(600)를 밀착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피도금체(6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피도금체(600)의 측면까지 용이하게 도금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는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410)와 하부 플레이트(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410)와 하부 플레이트(420)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410)는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420)는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의 중심부에는 내측에 도금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비교적 넓은 공간부(430)가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도금액이 분사되도록 상부 플레이트(410)와 하부 플레이트(420)의 이격거리가 좁은 분사 노즐부(4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410)와 하부 플레이트(420)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200)이 삽입되게 되며, 상기 고정축(200)의 외주면에는 플랜지(220)가 형성되는데, 상기 플랜지(22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410)의 중심부가 볼트 등을 사용하여 고정 설치되며, 플랜지(220)의 하면에는 하부 플레이트(420)의 중심부가 볼트 등을 사용하여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200)의 내측에는 도금액을 공급하는 공급로(210)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220)에는 상기 공급로(210)와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를 연통하도록 통공(222)이 형성된다.
그래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로(210)를 따라 공급되는 도금액이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의 공간부(430)로 공급되게 되며, 도금액을 공급하는 압력에 의해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분사 노즐부(440)를 통하여 빠른 속도로 분사되게 된다.
한편, 상기 피도금체(600)에는 음극전류가 인가되게 되며,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에는 양극전류가 인가되게 되는데,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외부의 전선 등을 이용하여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피도금체(600)에 도금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그액 수용 분사부(400)를 형성하는 분사 노즐부(440)에는 C링(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를 통하여 분사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상기 C링의 두께에 따라 분사 노즐부(44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분사 속도 및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몸체(300)는 고정축(2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회전몸체(300)의 내측에는 제1수용부(330)가 형성되어 제1베어링(340)이 삽입되며, 상기 제1베어링(340)은 고정축(200)에 고정되어 회전몸체(300)가 용이하게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축(200)은 제1베어링(340)이 설치된 하부에 걸림턱(230)이 형성되어 상기 제1베어링(340)이 하부로 미끄러지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몸체(300)의 하부에는 하부커버(350)가 구비되는데, 상기 하부커버(350)의 내측에는 제2수용부(355)가 형성되어 제2베어링(360)이 구비되며, 상기 제2베어링(360)은 고정축(200)에서 걸림턱(2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커버(350)는 회전몸체(300)의 하부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회전몸체(300)는 상하로 이동함이 없이 고정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몸체(30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드럼지그(500)가 안착되는 안착부(310)가 형성되고 안착부(310)의 내측에는 단턱부(320)가 형성되어, 상기 드럼지그(500)가 안착부(310)에 위치되고 단턱부(320)에 의해 내주면이 지지되며, 볼트 등을 사용하여 회전몸체(3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래서, 피도금체(600) 및 피도금체(600)의 도금 부위에 따라 적절한 드럼지그(500)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지그(500)의 외주면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핀공(520)이 형성되며, 상기 피도금체(600)의 하부에도 일정간격으로 핀공(610)이 형성되어, 별도의 핀을 사용하여 드럼지그(500)와 피도금체(600)의 위치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200)의 외측에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가 고정되는 체결링(240)이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링(240)은 고정축(200)을 따라 상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의 하부에는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50)이 구비되고,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축(2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에 대응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는 너트(260)가 구비되어, 상기 너트(260)에 의해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지그(500)는 도금하기 위한 피도금체(60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드럼지그(500)의 높이와 드럼지그(500)에 형성되는 분사로(510)에 따라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링(240)에는 상기 고정축(200)에 형성되는 통공(222)과 연통되도록 통공(242)이 형성되어 고정축(200)의 공급로(210)를 통하여 공급되는 도금액을 도금액 수용 분사부(400)의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지그(500)는 종래에는 금형을 사용하여 제작하였으나 비용 및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3D프린터를 사용하는 3D프린팅 기법을 통하여 제조하게 되므로 별도의 금형을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제조비용 또한 상당량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롤러 및 가이드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피도금체를 도금할 때, 피도금체를 밸트 등으로 밀착하지 않아도 원하는 부분에 용이하게 도금할 수 있어 밀착을 위한 가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평면형 뿐만 아니라 입체형 커넥터의 측면도 용이하게 도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도금체가 접하는 드럼지그를 저렴하고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베이스 200 : 고정축
210 : 공급로 220 : 플랜지
222,242 : 통공 230 : 걸림턱
240 : 체결링 250 : 스프링
260 : 너트 300 : 회전몸체
350 : 하부커버 400 : 도금액 수용 분사부
410 : 상부 플레이트 420 : 하부 플레이트
500 : 드럼지그 510 : 분사로
520,610 : 핀공 600 : 피도금체

Claims (12)

  1. 스트립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입체형 피도금체를 부분 도금하기 위한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에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상부인 고정축에 고정설치되는 도금액 수용 분사부와,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의 외측에 상기 회전몸체와 같이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외주면에 피도금체가 위치하는 드럼지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는 체결링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링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심부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체결링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심부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지그에는 도금액 수용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도금액을 피도금체의 도금 부분으로 유도하는 분사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로는 상하좌우 중 일측 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하도록 굴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내측에는 도금액을 공급하는 공급로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링에는 상기 공급로와 도금액 수용 분사부를 연통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7. 스트립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입체형 피도금체를 부분 도금하기 위한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에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상부인 고정축에 고정설치되는 도금액 수용 분사부와,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의 외측에 상기 회전몸체와 같이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외주면에 피도금체가 위치하는 드럼지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심부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심부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내측에는 도금액을 공급하는 공급로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공급로와 도금액 수용 분사부를 연통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도금체에는 음극전류가 인가되고,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에는 양극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에는 상기 드럼지그가 접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드럼지그는 회전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의 하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도금액 수용 분사부의 상부에는 고정축에 나사결합되는 너트가 구비되어 도금액 수용 분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12.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지그는 3D프린터의 3D프린팅 기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KR1020150164049A 2015-11-23 2015-11-23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KR101665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049A KR101665103B1 (ko) 2015-11-23 2015-11-23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049A KR101665103B1 (ko) 2015-11-23 2015-11-23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103B1 true KR101665103B1 (ko) 2016-10-24

Family

ID=57256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049A KR101665103B1 (ko) 2015-11-23 2015-11-23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554A1 (ko) * 2022-10-17 2024-04-25 주식회사 아젠컴 집적회로 칩 제조를 위한 도금 장치, 집적회로 칩 제조를 위한 도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집적회로 칩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7868A (ja) * 2003-12-25 2005-07-14 Sanyu Engineering Kk 部分めっき装置および部分金めっきシステム並びに部分金めっき方法
KR20100109158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에스에프하이테크 도금장치 및 도금 시스템
KR101362265B1 (ko) * 2012-11-20 2014-02-14 대성하이피(주)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KR20140064437A (ko) * 2012-11-20 2014-05-28 대성하이피(주)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7868A (ja) * 2003-12-25 2005-07-14 Sanyu Engineering Kk 部分めっき装置および部分金めっきシステム並びに部分金めっき方法
KR20100109158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에스에프하이테크 도금장치 및 도금 시스템
KR101362265B1 (ko) * 2012-11-20 2014-02-14 대성하이피(주)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KR20140064437A (ko) * 2012-11-20 2014-05-28 대성하이피(주)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554A1 (ko) * 2022-10-17 2024-04-25 주식회사 아젠컴 집적회로 칩 제조를 위한 도금 장치, 집적회로 칩 제조를 위한 도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집적회로 칩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637B1 (ko) 전해도금 차폐판 및 이를 갖는 전해도금 장치
KR20050056263A (ko) 접촉링 성형에 의한 도금 균일도 제어
KR101420779B1 (ko)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CN201212065Y (zh) 集成电路引线框架片式电镀夹具
KR101665103B1 (ko) 커넥터의 부분 도금장치
KR20140100546A (ko) 전기화학적 프로세서용 접촉 링
JPS6318095A (ja) 連結された金属部品および/または金属被覆製品に金属堆積層を電解メツキ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362265B1 (ko)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입체형 커넥터핀의 부분 전기 도금장치
KR102283426B1 (ko) 복합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도금 장치
KR101420780B1 (ko) 드럼 회전방식을 이용한 커넥터핀의 도금회수용 박리액 분사장치 및 박리액 분사방법
TWI673393B (zh) 用於垂直電流沉積金屬於基板上之裝置
KR101451483B1 (ko) 전해도금 장치
US10808331B2 (en) Electroplating system and pressure device thereof
US9080246B2 (en) Selective plating apparatus and method
JP4922849B2 (ja) 電極構造体及び連続部分めっき装置
CN105734626A (zh) 局部电镀设备
JP4441254B2 (ja) 部分めっき装置および部分金めっきシステム
EP0114216B1 (en) Method for selective electroplating
US20080006526A1 (en) Device for plating contacts in hermetic connector assemblies
JP3364485B2 (ja) めっき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230642B1 (ko) 마스킹 패드를 포함하는 회전분사 방식의 부분도금장치
KR102238129B1 (ko) BtoB 커넥터 핀의 부분도금장치
CN202830212U (zh) 电镀装置
CN213013131U (zh) 表面处理遮蔽装置
JP5816577B2 (ja) 連続部分表面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