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515B1 - 흑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흑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515B1
KR101181515B1 KR1020100122763A KR20100122763A KR101181515B1 KR 101181515 B1 KR101181515 B1 KR 101181515B1 KR 1020100122763 A KR1020100122763 A KR 1020100122763A KR 20100122763 A KR20100122763 A KR 20100122763A KR 101181515 B1 KR101181515 B1 KR 101181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steaming
hours
fermentation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1442A (ko
Inventor
안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생바이팜
안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생바이팜, 안준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생바이팜
Priority to KR1020100122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515B1/ko
Priority to PCT/KR2010/008885 priority patent/WO2012074159A1/ko
Priority to CN2010800705110A priority patent/CN103260433A/zh
Publication of KR2012006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6Coating with a protective layer;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15Preserv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out heat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4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B7/155Microorganisms; Enzymes; 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흑삼 제조방법은 세척한 수삼을 70 내지 15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증숙하는 제1차 증숙단계; 물에 식용 코팅제를 혼합, 가온하여 점성의 코팅 용액을 만든 후 상기 제1차 증숙단계를 완료 후 수삼의 전면에 상기 코팅 용액이 도포 되도록 하는 코팅 단계; 상기 코팅 단계 완료된 수삼을 70 내지 15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증숙하고 자외선을 7 ~ 20시간 조사하는 제2차 증숙단계; 상기 제2차 증숙 단계가 완료된 수삼을 70 내지 100℃의 열수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의 추출물에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부가하고 25 내지 65℃에서 2 내지 7시간 동안 효소 처리하는 효소처리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가 완료된 추출물에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20 내지 40℃에서 10 내지 48시간 발효시키는 발효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흑삼 제조방법은 식용 코팅제를 이용한 코팅을 통하여 증식 시 사포닌의 손실을 방지하고 고열에 직접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벤조파이렌 등의 발암물질 생성을 억제하며, 이후의 발효 단계에서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에 아미노산을 공급하는 효모 영양제 역할을 하여 발효 역가를 높여주어 조사포닌과 진세노사이드의 체내 흡수율을 높임과 동시에 유효 성분의 함량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흑삼 제조방법은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통한 효소처리단계를 통하여 흑삼 전분의 알파 1, 4 결합과 베타 1, 4 결합을 끊어 발효단계의 발효 역가를 높여주고 전분에 결합된 사포닌을 유리시켜서 사포닌의 장내 흡수율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자외선 조사, 추출 후 발효 등을 통하여서도 조사포닌,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흑삼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ginseng}
본 발명은 흑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숙과 건조를 반복하는 흑삼 제조방법에 있어서 조사포닌,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높이며, 벤조피렌이 검출되지 않도록 하는 발효, 코팅, 자외선 조사 등을 포함하는 흑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이미 그 효능과 유효성에 대해 잘 알려져 온 한약재로써, 수천 년간 사용돼 왔다. 이러한 인삼은 흔히 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삼을 건조하여 이용하며, 또한, 삼을 증숙시켜 홍삼을 제조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삼을 증숙하여 홍삼을 제조하게 되면, 삼의 약리작용이 변화되어 삼에는 없던 성분이 생기거나, 기존에 존재하던 성분들의 함량이 증가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35억 달러 세계 인삼시장을 잡기 위하여 국내 바이오 벤처기업들이 연간 35억 달러에 달하는 세계 인삼 관련 신물질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금까지 인삼을 기능성 식품으로 표준화해 세계 시장에서 성과를 올리고 있는 기업은 스위스 베링거잉겔하임 산하의 “파머톤사" 뿐이며 국내에서도 인삼에 대한 국가차원의 연구와 벤처업계의 상품화가 속속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홍삼은 약 1,000년 전부터 제조된 역사적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중국 송나라의 서긍이 저술한 고려도경에 홍삼에 대한 기록이 있음), 한의학적 전통제약기술인 수치법에 의해 가공제조된 수치생약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약의 수치목적은 1) 독성 등 부작용의 경감, 2) 생약 성능의 개변과 약효의 증강, 3) 보관이나 저장성의 향상, 4) 맛과 냄새 교정 및 부색 등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홍삼은 적정한 열처리 공정을 거치는 동안 2차적 성분변환이 일어나 삼(fresh ginseng)이나 백삼에 존재하지 않는 홍삼 특유의 새로운 약효성분들이 생성되기도 하고, 어떤 활성성분은 함량 증가가 일어난다. 이렇듯 인삼의 가공방법에 따라 인삼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성분이 생성되며 인삼에 비해서 항암작용을 비롯한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해서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가공 인삼을 개발할 수 있다(Okamura N. et al., Biol. Pharm. Bull., 17(2), p.270, 1994).
중국의 경우 백삼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홍삼에 소량 존재하는 인삼 사포닌인 Rg3를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Shenyi' 라는 상품명으로 항암치료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기능성 인삼의 대표 제품은 지난 98년 바이오벤처기업 진생사이언스가 개발한 ‘선삼’으로써 지난 2001년 선삼정으로 개발돼 국내 건강기능성 식품 시장에 출시된 적도 있다(Keum YS et al., Antioxidant and anti-tumor promoting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 of heat-processed ginseng, Cancer Lett., , 150(1), pp.41-48, 2000).
이 밖에도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바이오벤처기업 비티진이 공동 개발한 ‘황삼EX’, ㈜남일농장 인삼영농조합이 바이오벤처기업인 ㈜그린바이오와 손잡고 제품화한 ‘팽화홍삼’, 남양알로에서 분사한 ㈜유니젠은 최근 미국 UPI사와 공동으로 개발 한 `바이오맥스', (주)CJ의 ‘식스플러스’, (주)일동제약의 ‘황삼’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가공인삼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현재 인삼을 이용하여 많은 연구가 되고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서 홍삼보다 더 인삼을 여러 번 증숙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서 인삼보다 활성성분이 뛰어난 흑삼을 제조하는 것에 큰 관심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흑삼의 제조방법은 그 제조과정이 복잡하며, 시간이 오래 걸려, 제조과정에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아져서 고가의 가격으로 산업화되어 일상생활에 이용되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43862호(활성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 농축액)에는, 흑삼을 9회 증숙시키고 10회 황토건조실에서 건조시켜 제조된 흑삼으로써, 일반 흑삼에 비해 특정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함량이 높아진 흑삼과 흑삼 농축액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29475호(흑삼과 흑미삼의 제조방법)에는, 인삼을 세척하여 건조시킨 후 증숙과 건조시키는 과정을 9회 반복하여 사포닌 성분이 증가된 흑삼과 흑미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96418호(흑미삼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미삼)에는, 대부분의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는 인삼의 잔뿌리를 10증 10포법에 의해 흑미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위와 같은 흑삼 제조방법들은 증숙 온도와 시간 등의 조건을 달리하여 조사포닌, 특정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함량을 높인 것들이다. 그럼에도, 조사포닌,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이 충분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2007년도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흑삼농축액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벤조피렌 검사를 한 결과, 벤조피렌이 과다 검출되어 국민의 건강보호 차원에서 보관제품에 대해 가압류 조치하고 유통제품에 대해서도 자진회수토록 한 적이 있다.
벤조피렌은 방향족다환탄화수소(PAHs) 일종의 환경오염물질로서 식품을 고온으로 조리, 가공할 때 생성되며,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발암물질로(그룹 1)로 분류하고 있고, 식품에는 식용유지에 2ppb로 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며, 흑삼가공제품에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조사포닌, 진세노사이드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며, 조사포닌,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더욱 향상시키고, 벤조피렌이 검출되지 않는 흑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척한 수삼을 70 내지 15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증숙하는 제1차 증숙단계;
물에 식용 코팅제를 혼합, 가온하여 점성의 코팅 용액을 만든 후 상기 제1차 증숙단계를 완료 후 수삼의 전면에 상기 코팅 용액이 도포 되도록 하는 코팅 단계;
상기 코팅 단계 완료된 수삼을 70 내지 15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증숙하고 자외선을 7 ~ 20시간 조사하는 제2차 증숙단계;
상기 제2차 증숙 단계가 완료된 수삼을 70 내지 100℃의 열수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의 추출물에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부가하고 25 내지 65℃에서 2 내지 7시간 동안 효소 처리하는 효소처리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가 완료된 추출물에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20 내지 40℃에서 10 내지 48시간 발효시키는 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흑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흑삼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용 코팅제가 아교, 젤라틴, 한천, 카세인, 알긴산나트륨, 잔탄검, 퀸스시드검, 하이드록시 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팅 용액은 물 1ℓ를 기준으로 식용 코팅제 100 내지 500g이 혼합되어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흑삼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차 증숙단계는 2 내지 8번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흑삼 제조 방법은 상기 효소처리단계 후 발효단계를 시작하기 전에 80 내지 95℃로 상승시킨 후 3 내지 9시간 동안 방치하여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불활성화시키고 살균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흑삼 제조방법은 식용 코팅제를 이용한 코팅을 통하여 증식 시 사포닌의 손실을 방지하고 고열에 직접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벤조파이렌 등의 발암물질 생성을 억제하며, 이후의 발효 단계에서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에 아미노산을 공급하는 효모 영양제 역할을 하여 발효 역가를 높여주어 조사포닌과 진세노사이드의 체내 흡수율을 높임과 동시에 유효 성분의 함량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흑삼 제조방법은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통한 효소처리단계를 통하여 흑삼 전분의 알파 1, 4 결합과 베타 1, 4 결합을 끊어 발효단계의 발효 역가를 높여주고 전분에 결합된 사포닌을 유리시켜서 사포닌의 장내 흡수율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자외선 조사, 추출 후 발효 등을 통하여서도 조사포닌,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흑삼 제조방법은
세척한 수삼을 70 내지 15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증숙하는 제1차 증숙단계;
물에 식용 코팅제를 혼합, 가온하여 점성의 코팅 용액을 만든 후 상기 제1차 증숙단계를 완료 후 수삼의 전면에 상기 코팅 용액이 도포 되도록 하는 코팅 단계;
상기 코팅 단계 완료된 수삼을 70 내지 15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증숙하고 자외선을 7 ~ 20시간 조사하는 제2차 증숙단계;
상기 제2차 증숙 단계가 완료된 수삼을 70 내지 100℃의 열수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의 추출물에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부가하고 25 내지 65℃에서 2 내지 7시간 동안 효소 처리하는 효소처리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가 완료된 추출물에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20 내지 40℃에서 10 내지 48시간 발효시키는 발효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차 증숙단계는 이미 알려져 있는 종래의 제조방법(예를 들어 발명의 배경 기술에서 설명하고 있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43862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29475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96418호에 기재되어 있는 흑삼 제조방법 및 배경 기술에서는 설명하고 있지 않으나 한국등록특허공 제10-0617330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29214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54253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44990호에 기재되어 있는 흑삼 제조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1차 증숙단계 이후 수행되는 코팅단계는 본 발명에서 있어서 매우 중요한 단계로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증숙이 완료된 삼에 코팅을 하여 유효성분 손실 및 벤조피렌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코팅에 사용되는 물은 일반적인 물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첫 번째 증숙이 완료되고 증숙 용기에 남아 있는 물을 이용하여 코팅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첫 번째 증숙 용기에 남아 있는 물을 이용하여 코팅하는 것은 첫 번째 증숙 용기에 남아 있는 물에 조사포닌과 진세노사이드와 같은 유효 성분의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재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코팅이 완료되면 증숙에서 발생하는 조사포닌 및 진세노사이드 등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 이후 여러 차례의 증숙 과정에서 장시간 열에 노출되어 생성되는 벤조피렌의 생성을 간접적으로 열에 노출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는 효과 등이 발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단계는 물, 바람직하게는 증숙 용기에 남아 있는 물에 물의 점도를 증가시켜 코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용 코팅제를 혼합한 후 가온을 하여 점성을 가지는 코팅액을 만든 후 이 코팅액을 이용하여 첫 번째 증숙과 건조가 끝난 삼에 전체 표면에 골고루 도포하면 완성된다.
도포하는 방법에 코팅액에 삼을 완전히 담갔다가 빼고 하는 것을 반복하여 도포하는 방법, 붓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첫 번째 증숙 후 건조가 완료되고 두 번째 증숙 전에 코팅을 하는 것은 코팅을 하게 되면 증숙에서 발생하는 조사포닌 및 진세노사이드 등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 이후 여러 차례의 증숙 과정에서 장시간 열에 노출되어 생성되는 벤조피렌의 생성을 간접적으로 열에 노출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는 효과 등이 최대로 발휘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흑삼 제조방법에 있어서, 식용 코팅제로는 식용가능하며 코팅 가능하게 물의 점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나 본 발명자의 다양한 실험에 의하여 평가해본 결과 아교, 젤라틴, 한천, 카세인, 알긴산나트륨, 잔탄검, 퀸스시드검, 하이드록시 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식용 코팅제의 사용은 이후의 발효 단계에서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에 아미노산을 공급하는 효모 영양제 역할을 하여 발효 역가를 높여주어 조사포닌과 진세노사이드의 체내 흡수율을 높임과 동시에 유효 성분의 함량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팅 용액을 만들기 위한 물과 식용 코팅제의 함량 비율을 물, 바람직하게는 첫 번째 증숙 후 증숙 용기에 남아 있는 물 1ℓ를 기준으로 식용 코팅제 100 내지 500g이 혼합되는 것이 코팅에 있어서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상술한 코팅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제2차 증숙단계는 제1차 증숙단계에서와 같이 종래의 흑삼 제조방법의 증숙단계와 유사하게 수행되나 증숙 후 자외선을 7 ~ 20시간 조사하는 부분에서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자외선은 전자기파 스펙트럼에서 보라색 띠에 인접한,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영역으로 320~400nm의 UV-A, 280~320nm의 UV-B, 100~280nm의 UV-C 어떠한 것도 이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자외선 조사 시간은 본 발명자의 다양한 실험 결과에 의해 측정된 것으로서 조사포닌 및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증가를 위해서는 최소 7시간은 조사하여야 하며, 조사 시간에 따라 함량 증가의 폭이 커지기는 하나 20시간을 넘게 되면 증가의 의미가 미미하며, 전체 제조 공정이 너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2차 증숙단계는 벤조피렌의 발생, 유효성분의 손실 등을 고려하여 대략 88 ~ 9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제2차 증숙 단계는 1회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반복되는 것은 바람직한데, 그 반복횟수는 최대 8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의 제조방법에 흑삼 제조 시 총 9번의 증숙을 거치는 것을 따른 것이다.
이어 추출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제조방법은 9번 증숙을 한 후 열수 추출하여 복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제조하는 것으로 종료하거나 발효단계를 거치는 경우 증숙 과정 중에 어느 하나 사이에 수삼에 효모를 접종하여 처리하여 발효를 한 후 9번 증숙을 완료하고 열수 추출하여 복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제조하는 것으로 종료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제2차 증숙단계를 완료한 후 열수 추출을 한 다음에 이후에 효소 처리 및 발효 단계를 거쳐 제조를 완료하게 되는 차이가 있다.
종래에서와 같이 수삼을 발효하는 것이 아니라 추출물을 발효함으로써 본 발명은 발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수 추출 단계는 통상의 열수 추출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어서 추출단계를 마친 추출물을 효소로 처리하는 효소처리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효소처리단계는 열수 추출물에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부가하고 25 내지 65℃에서 2 내지 7시간 동안 효소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온도와 시간 조건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험에 의해 효율적인 온도와 시간을 정한 것이며,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는 통상에 판매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예를 들면, 알파-아밀라제(α-amylase)로는 상표명 FURGAMYL, 셀룰라제(cellulase)로는 VISCOZYME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통한 효소처리단계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흑삼 제조 방법은 흑삼 전분의 알파 1, 4 결합과 베타 1, 4 결합을 끊어 발효단계의 발효 역가를 높여주고 전분에 결합된 사포닌을 유리시켜서 사포닌의 장내 흡수율을 높여주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어 발효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발효 단계를 실시하는 목적은 흑삼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며 또한 조사포닌, 진세노사이드와 같은 유효 성분의 함량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효소처리가 완료된 추출물에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20 내지 40℃에서 10 내지 48시간 발효시키는 형태로 수행된다.
본 발명자는 다양한 효모를 통한 발효시험을 하였으나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통한 발효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여 선정한 것으로서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는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며, 본 발명자는 프랑스 FERMIVIN사에서 시판하는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발효단계를 시작하기 전에 온도는 80 내지 95℃로 상승시킨 후 3 내지 9시간 동안 방치하여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불활성화시키고 다른 균을 살균처리하는 것이 발효 단계의 수행에 바람직하다.
발효 용기로 사용되는 항아리는 사전에 알코올로 소독하고 산소가 통하는 종이로 봉인하고 그 위에 참숯을 올려놓아서 잡균 및 잡냄새의 침입을 막고 깨끗이 멸균한 천연 면소재의 천을 여러 겹 덮어서 보온을 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발효 단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보호범위가 후술하는 실시예와 시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종래 방법에 따른 흑삼의 제조>
금산에서 생산되어 유통되는 5년근 삼을 구입한 후 삼을 흙만 없어지도록 물로 가볍게 세척을 한 후 인삼 증숙기에 넣고 123℃에서 5시간 동안 가압상태에서 1차 증숙하였다. 이어서 1차 증숙된 삼을 60℃가 유지되는 건조실에서 약 12시간 동안 1차 건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증숙과 건조를 8번 더 반복하여 총 9차례의 증숙과 건조 과정을 통하여 흑삼을 제조하였다. 다만, 증숙 온도는 82℃를 유지하였다.
상기 제조된 흑삼 20g를 취하여 분쇄한 후 100㎖의 물을 넣고 실온에서 5시간 방치한 뒤 메탄올 1리터를 넣고 3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여과한 뒤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메탄올을 제거하여 흑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흑삼 추출물에 물 200㎖을 넣어 현탁시킨 후 에테르 200㎖을 가하여 비극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남아있는 수층에 수포화 부탄올 200㎖을 가하여 유효 성분을 추출한 후 부탄올을 감압농축기로 제거하여 최종 부탄올 추출물 얻었다. 이 추출물을 후술하는 시험에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흑삼의 제조>
금산에서 생산되어 유통되는 5년근 삼을 구입한 후 삼을 흙만 없어지도록 물로 가볍게 세척을 한 후 인삼 증숙기에 넣고 123℃에서 5시간 동안 가압상태에서 1차 증숙하였다. 이어서 1차 증숙된 삼을 60℃가 유지되는 건조실에서 약 1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이어서 1차 증숙 후 증숙기에 남아 있는 물에 물을 더 부가하여 1ℓ로 한 다음 여기에 젤라틴 300g을 부가한 후 식용 코팅제가 용해되거나 물에 잘 풀어지도록 교반하면서 가온한 다음 이를 약 40℃로 식힌 후 1차 증숙이 완료된 삼을 식용 코팅제가 담긴 용기에 넣어 삼 전면에 도포되도록 한 다음 꺼내고 어느 정도 건조된 다음 다시 담기는 과정을 4회 반복하면 코팅 단계는 완성하였다.
다음으로 코팅 완료된 삼을 82℃에서 9시간 증숙한 다음 자외선을 14시간 동안 조사하는 2차 증숙단계를 총 8번 반복하여 총 9회의 증숙단계를 수행하였다.
이어서 9번 증숙한 삼을 곱게 분쇄한 다음 85℃의 열수 5ℓ로 72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55℃로 낮춘 다음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 각각 30g을 부가한 후 3시간 동안 효소처리를 하였다.
효소처리 후 85℃상승시킨 다음 6시간 동안 이 온도를 유지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추출물을 살균하였다.
이어서 34℃로 온도를 낮춘 다음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24시간 동안 발효한 다음, 온도를 85℃로 상승시켜 24시간 동안 유지하여 살균처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흑삼 제조를 완료하였다.
본 발명은 추출물 상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바로 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예; 사포닌 성분 분석 및 벤조피렌 함유 분석>
상기에 얻은 흑삼 추출물에 대하여 사포닌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추출물을 메탄올 녹인 후 필터로 여과한 여액에 대하여 HPLC로 성분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조사포닌
(mg/g)
Rb1
(mg/g)
Rb2
(mg/g)
Rc
(mg/g)
Re
(mg/g)
Rg1
(mg/g)
Rg3
(mg/g)
Rh1
(mg/g)
벤조피렌
(ppb)
종래 38.72 0.16 0.11 0.69 0.96 0.45 0.66 0.26 3.75
실시예 205.6 8.21 8.339 9.25 8.63 8.71 10.85 11.65 불검출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가 종래에 비하여 월등한 양의 사포닌 증가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벤조피렌에 있어서도 종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삼의 경우에는 3.75ppb라는 상당히 많은 양이 검출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Claims (5)

  1. 세척한 수삼을 70 내지 15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증숙하는 제1차 증숙단계;
    물에 식용 코팅제를 혼합, 가온하여 점성의 코팅 용액을 만든 후 상기 제1차 증숙단계를 완료 후 수삼의 전면에 상기 코팅 용액이 도포 되도록 하는 코팅 단계;
    상기 코팅 단계 완료된 수삼을 70 내지 15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증숙하고 자외선을 7 ~ 20시간 조사하는 제2차 증숙단계;
    상기 제2차 증숙 단계가 완료된 수삼을 70 내지 100℃의 열수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의 추출물에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부가하고 25 내지 65℃에서 2 내지 7시간 동안 효소 처리하는 효소처리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가 완료된 추출물에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20 내지 40℃에서 10 내지 48시간 발효시키는 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흑삼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코팅제가 아교, 젤라틴, 한천, 카세인, 알긴산나트륨, 잔탄검, 퀸스시드검, 하이드록시 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용액이 물 1ℓ를 기준으로 식용 코팅제 100 내지 500g이 혼합되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 증숙단계가 2 내지 8번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흑삼 제조 방법.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처리단계 후 발효단계를 시작하기 전에 80 내지 95℃로 상승시킨 후 3 내지 9시간 동안 방치하여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불활성화시키고 살균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제조 방법.
KR1020100122763A 2010-12-03 2010-12-03 흑삼 제조방법 KR101181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763A KR101181515B1 (ko) 2010-12-03 2010-12-03 흑삼 제조방법
PCT/KR2010/008885 WO2012074159A1 (ko) 2010-12-03 2010-12-13 흑삼 제조방법
CN2010800705110A CN103260433A (zh) 2010-12-03 2010-12-13 黑人参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763A KR101181515B1 (ko) 2010-12-03 2010-12-03 흑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442A KR20120061442A (ko) 2012-06-13
KR101181515B1 true KR101181515B1 (ko) 2012-09-10

Family

ID=4617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763A KR101181515B1 (ko) 2010-12-03 2010-12-03 흑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81515B1 (ko)
CN (1) CN103260433A (ko)
WO (1) WO20120741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72A1 (ko) * 2017-06-05 2018-12-13 농업회사법인 금산흑삼주식회사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6209B (zh) * 2013-08-11 2016-04-13 吉林农业大学 一种基于α-淀粉酶制备人参浆的方法
CN103463152A (zh) * 2013-08-11 2013-12-25 吉林农业大学 一种利用葡萄糖淀粉酶制备人参浆的方法
KR101776288B1 (ko) * 2015-06-15 2017-09-11 주식회사 다누림 우려먹는 흑삼을 이용한 흑삼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779205A (zh) * 2016-05-28 2016-07-20 刘平 一种具有补气保健作用的人参桑葚发酵酒
KR102059345B1 (ko) * 2017-06-16 2020-02-20 주식회사 다누림 홍삼 음료의 제조방법
KR102210547B1 (ko) * 2019-03-29 2021-02-01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아교를 혼합하여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된 홍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9028B1 (ko) * 2020-02-14 2021-01-28 주성수 증포 인삼열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03431B1 (ko) * 2021-02-09 2023-02-27 주식회사 진생바이팜 흑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3181274A (zh) * 2021-05-19 2021-07-30 吉林省巨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发酵黑人参粉及其制备方法
KR102366845B1 (ko) * 2021-08-27 2022-02-24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효모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특이성분 함량이 증가된 흑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418B1 (ko) 2002-09-11 2005-06-28 한국파낙스제조(주) 흑미삼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미삼
KR100543862B1 (ko) 2005-08-01 2006-01-23 (주) 흑삼코리아 활성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
KR100692294B1 (ko) 2006-08-31 2007-03-12 박춘자 대장암에 대해 항암효과가 뛰어난 흑삼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910585B1 (ko) 2008-09-10 2009-08-03 (주)보문피앤에프 발효흑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475B1 (ko) * 2002-11-15 2005-11-21 김항종 흑삼과 흑미삼의 제조방법
CN101181328A (zh) * 2006-10-18 2008-05-21 成仁焕 人参皂甙含量高的人参果和人参花柄的制备方法
KR100729214B1 (ko) * 2006-11-07 2007-06-19 (주)고려바이오홍삼 흑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삼
WO2009057836A1 (en) * 2007-10-31 2009-05-07 Amorepacific Corporation Use of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s from korean ginseng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 for skin whitening
KR100950108B1 (ko) * 2007-11-16 2010-03-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프로토파낙사트리올계 사포닌을 고농도로 함유하는홍삼엑기스의 제조방법
KR101152827B1 (ko) * 2008-10-13 2012-06-12 안준민 자외선 조사 단계를 포함하는 흑삼 제조방법
KR101064719B1 (ko) * 2008-10-13 2011-09-15 안준민 코팅 단계를 포함하는 흑삼 제조방법
KR101058875B1 (ko) * 2008-12-02 2011-08-23 안준민 흑삼 제조방법
CN101780128B (zh) * 2010-02-09 2012-01-18 霍虹 褐参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418B1 (ko) 2002-09-11 2005-06-28 한국파낙스제조(주) 흑미삼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미삼
KR100543862B1 (ko) 2005-08-01 2006-01-23 (주) 흑삼코리아 활성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
KR100692294B1 (ko) 2006-08-31 2007-03-12 박춘자 대장암에 대해 항암효과가 뛰어난 흑삼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910585B1 (ko) 2008-09-10 2009-08-03 (주)보문피앤에프 발효흑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72A1 (ko) * 2017-06-05 2018-12-13 농업회사법인 금산흑삼주식회사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4159A1 (ko) 2012-06-07
KR20120061442A (ko) 2012-06-13
CN103260433A (zh)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515B1 (ko) 흑삼 제조방법
KR100884044B1 (ko) 압출성형과 발효법을 이용한 고농도의 사포닌이 함유된 홍삼액과 산삼배양근액의 제조방법
CN103571721B (zh) 一种金花茶茶酒及其制作方法
KR101050821B1 (ko) 발효효소를 이용한 발효흑홍삼 및 그 제조방법과 발효도라지와 발효생강
KR100695900B1 (ko) 발효·팽화 처리에 의해 풍미와 사포닌 함량이 우수한홍삼액의 제조방법
CN104388191A (zh) 一种水果类烟用香料及其应用
KR101591708B1 (ko) 곰팡이를 이용한 천연양조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100975140B1 (ko) 한약재 또는 곡류 발효방법
KR100857003B1 (ko) 저분자화된 진피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제조된 저분자화된 진피 추출물
KR101125130B1 (ko) 인삼열매 추출물, 인삼화병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8875B1 (ko) 흑삼 제조방법
KR100844454B1 (ko) 인삼열매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68691A (ko) 사과 식초의 제조 방법
KR20090079544A (ko) 흑삼을 이용한 한방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KR100872158B1 (ko) 볶음 및 발효에 의한 유효성분이 증가된 홍삼액과산삼배양근액의 제조방법
KR20160007848A (ko) 새싹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96066B1 (ko)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
KR100852137B1 (ko)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제조방법
KR100852138B1 (ko)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064719B1 (ko) 코팅 단계를 포함하는 흑삼 제조방법
KR101152827B1 (ko) 자외선 조사 단계를 포함하는 흑삼 제조방법
KR20140023124A (ko) 레스베라트롤이 함유된 음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음료
CN113273676A (zh) 一种诺丽果干及其制备方法
KR101653124B1 (ko) 인지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7509838A (zh) 一种发酵型黑米茶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