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25972A1 -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225972A1
WO2018225972A1 PCT/KR2018/006063 KR2018006063W WO2018225972A1 WO 2018225972 A1 WO2018225972 A1 WO 2018225972A1 KR 2018006063 W KR2018006063 W KR 2018006063W WO 2018225972 A1 WO2018225972 A1 WO 201822597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inseng
ginsenoside
steaming
enzym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60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고태훈
윤일노
임정수
김종민
최경임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금산흑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금산흑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금산흑삼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822597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259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ck ginseng having a high sugar content and a high content of ginsenoside Rd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hich can increase the sugar content in the steaming process and enhance the ginsenoside Rd.
  • Ginsenosides an indicator component of ginseng, are classified into dammarane type and oleanane type according to the chemical structure of aglycone. Dammarane types are classified as protopanaxadiol and protopanaxatriol according to the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s 3, 6 and 12 of the aglycone.
  • Protopanaxadiol ginsenosides include ginsenosides Rb1, Rd, Rc, and Rg3.
  • Protopanaxatriol ginsenosides are known as ginsenosides Rg1, Re, and F1.
  • ginsenoside Rb1 In human metabolism of protopanaxadiol ginsenosides, ginsenoside Rb1 is hydrolyzed to ginsenoside Rg3 by enzymes produced by gastric acid or intestinal microorganisms in the stomach and intestine, or to compound K via ginsenoside Rd and ginsenoside F2. Hydrolysis. In this process, various ginsenoside metabolites are fished, but the main metabolic pathway is to convert ginsenoside Rb1 to ginsenoside Rg3 or ginsenoside Rb1 to ginsenoside Rd and ginsenoside F2 to Compound K. Metabolic pathways of various ginsenosides are shown in FIG. 9.
  •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88844 relates to a cosmetic or antioxidant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osides Rg2, Rg3, Rh1, Rh2 and Rf.
  • the black ginseng extract extracted from black ginseng with water is Saccharomyces cerevisiae.
  • the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5-0160977 relates to a ginseng fruit processing method for increasing ginsenoside components, but the saccharification fermentation process using malt oil is performed, but the increase of ginsenoside Rd is a saponification fermentation process. It is not clear whether it is due to, Korean Patent No.
  • 10-1120996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omoting exercise capacity and fatigue recovery comprising ginsenosides Rg3 and Rg2 to pectinase, hemicellulase, Treatment with at least one enzyme selected from fibrinolytic enzymes such as cellulose and polysaccharide degrading enzymes such as alpha-amylase Ginsenoside Rd was not strengthened, Korean Patent No. 10-1423100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red ginseng to amplify the content of ginsenoside Rg3 and Rb1, Korean Patent No. 10-1308880 is a complex microorganis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fermented red ginseng concentrate by effective fermentation of Lactis, L.
  • Korean Patent No. 10-1018989 discloses a red ginseng polysaccharide using red ginseng sac Ultrafiltration was performed.
  • Korean Patent No. 10-1181515 an enzyme treatment step using alpha-amylase and cellulase was performed to release saponin bound to starch, but the ginsenoside Rd was not enhanced. After preparing black ginseng extract was subjected to the enzyme treatment step.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ck ginseng which hydrolyzes starch in ginseng into disaccharides and monosaccharide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black ginseng, and hydrolyzes protofanaxadiol ginsenosides to ginsenoside Rd, and a high sugar content thereof and ginsenosides. It provides black ginseng with an increased Rd content.
  • Ginsenoside Rd-enhanced black ginseng comprising the step of dehumidifying the ginseng, which has undergone the hot-air drying step to 15% moisture-cold air,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the enzyme diluent A may optionally use alpha-amylase obtained from Bacillus licheniformis , alpha-amylase obtained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 or a mixture thereof.
  • the enzyme diluent B is a glucoamylase obtained from Aspergillus niger , Trichoderma.
  • Cellulase obtained from reesei , beta-glucanase, complex enzymes of hemicellulase or mixtures thereof may be optionally used.
  • the enzyme diluent A may use alpha-amylase obtained from Bacillus licheniformis .
  • the enzyme diluent B may use glucoamylase obtained from Aspergillus niger .
  • the present invention first hydrolyzes starch in ginseng into disaccharides and monosaccharides to concentrate sugars and minimize the hydrolysis interference of starch, thereby converting the protopanaxadiol ginsenosides in ginseng to ginsenoside Rd to increase its content. Can be.
  • 1 is an analysis result of the diluent of ginsenoside standard treated with the enzyme FRED.
  • Figure 2 is an analysis of the dilution of ginsenoside standard treated with the enzyme LT300.
  • Figure 3 is an analysis of the dilution of ginsenoside standard treated with the enzyme BAG.
  • Figure 4 is an analysis of the dilution of ginsenoside standard treated with the enzyme RCL.
  • Figure 6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sugar content of glycated ginseng extract.
  • Ginsenoside Rd-enhanced black ginseng produc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the peeled ginseng peeled off the washed ginseng, the wax layer of the ginseng is removed; A first drying step of preparing dried ginseng by drying the peeled ginseng to a moisture content of 55 to 65% at 60 to 70 ° C .; Dipping the dried ginseng in enzyme dilution A; A primary steaming step of hydrolyzing starch in dry ginseng into disaccharides and monosaccharides while steaming for 5 to 8 hours at 60 to 80 ° C.
  • Ginsenoside Rd-enhanced black ginseng is prepared through a step of dehumidifying the ginseng that has undergone the hot air drying step to 15% moisture-cold air.
  • black ginseng is prepar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steaming and drying the ginseng without peeling it three times or more, but removing the wax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zyme diluent A that hydrolyzes starch in ginseng, and a protoparnaxadiol ginsenoside in ginseng.
  • Enzyme diluent B that hydrolyzes to allow easy penetration into ginseng tissue.
  • the peeled ginseng is first dried to a moisture content of 55 to 65% at 60 to 70 ° C. to prepare dried ginseng.
  • the dried ginseng is immersed in the enzyme diluent A.
  • Preferred enzyme diluent A is Bacillus Alpha-amylases obtained from licheniformis , alpha-amylases obtained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or mixtures thereof may optionally be used.
  • the more desirable enzyme diluent A is Bacillus Alpha-amylase obtained from licheniformis can be used. Soaking dry ginseng in enzyme diluent A allows the hydrolysis of starch, which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center of ginseng tissue.
  • While spraying the enzyme diluent A to dry ginseng immersed in the enzyme diluent A is first steamed for 5 to 8 hours at 60 to 80 °C.
  • starch in ginseng may be converted into disaccharides and monosaccharides.
  • the ginseng which has undergone the first steaming step, is secondarily dried to a water content of 55 to 65% to prepare glycosylated ginseng.
  • the sugar content of the glycated ginseng extract prepared through the second drying step may increase to 5 to 7 Brix.
  • Preferred enzyme diluent B is glucoamylase, Trichoderma , obtained from Aspergillus niger .
  • Cellulase obtained from reesei , beta-glucanase, complex enzymes of hemicellulase or mixtures thereof may be optionally used.
  • More preferred enzyme diluent B may use glucoamylase obtained from Aspergillus niger .
  • the protoparnaxadiol ginsenoside in ginseng is converted to ginsenoside Rd.
  • the ginseng which has undergone the second steaming step, is dried three times to 55 to 65% of water content, and the third dried ginseng is steamed for three to six hours at 60 to 70 ° C.
  • the ginsenoside content in the black ginseng prepared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may increase to 1.00 to 7.00 mg / g.
  • Starch extracted from ginseng was diluted in distilled water to prepare a starch diluent and the standard was dilute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ginsenoside Rb1 was 2.00 mg / mL.
  • the result of analyzing ginsenosides Rb1, Rd, F2 and Compound K was added to 2% (v / v) of spezim FR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ED) in the dilution of Example 1 and heated at 70 ° C for 24 hours. Indicated.
  • the ginsenoside Rb1 content after a 24 hour bath is 1.95 mg / mL, demonstrating that the enzyme FRED cannot hydrolyze ginsenoside Rb1 to ginsenoside Rd, F2 or Compound K.
  • the sugar content measured by the sugar meter increased from 0.01 Brx to 0.5 Brx, which proved that ginseng starch was hydrolyzed into disaccharides and monosaccharides.
  • Example 2 was performed as in Example 2, but the result of using the LT300 instead of FRED is shown in FIG. After 24 hours of bathing, the ginsenoside Rb1 content was 1.37 mg / mL, and ginsenoside Rd, F2 or Compound K was almost undetectable and the sugar content increased to 0.4 Brix. This proves that LT300 can hydrolyze ginsenoside Rb1 but not ginsenoside Rd, F2 or Compound K and that ginseng starch can be hydrolyzed.
  • Example 2 is carried out as in Example 2 but shown in Figure 3 the result of using BAG instead of FRED.
  • Ginsenosides Rb1, F2 and Compound K were not detected after 24 hours of bathing, ginsenosides Rd increased to 1.66 mg / mL and the sugar content did not increase to 0.01 Brix. This proves that BAG hydrolyzes ginsenoside Rb1 to ginsenoside Rd, which in turn cannot be hydrolyzed with ginsenoside F2, Compound K and that starch cannot be hydrolyzed.
  • the peeled ginseng was prepared by removing the wax layer of washed ginseng (10 kg) so that the enzyme solution could penetrate well, and dried ginseng was dried at 65 ⁇ 5 ° C. to a moisture content of 60 ⁇ 5%.
  • the dried ginseng was immersed in 30% (v / v) FRED enzyme diluent (enzyme diluent A) for 1 hour, and sprayed with enzyme diluent A every 2 hours at 70 ⁇ 10 ° C. in dry ginseng immersed in the enzyme diluent A.
  • Steam for 8 hours dry the steamed ginseng to 60 ⁇ 5% of water, dry the ginseng to hot air to 20% of moisture, dehumidify the hot-air dried ginseng and dry it to 15% of moisture It was.
  • Glycosylated ginseng was prepared using the same method as Example 6, but using enzyme diluent A prepared with LT300 enzyme instead of FRED enzyme.
  • glycosylated ginseng was prepared as in Example 6, but using distilled water instead of enzyme diluent A.
  • the saccharified ginseng prepared in Examples 6, 7 and 8 was extracted with 10-fold purified water, and the sugar content of the extract was measured using a sugar meter.
  • the sugar content of Example 8 without the enzyme was 2.45 Brix, but the sugar content of Example 6 and Example 7 using the enzyme was increased to 6,56 Brix and 5.38 Brix, respectively. This proves that starch in ginseng has been hydrolyzed into disaccharides and monosaccharides.
  • Peeled ginseng was prepared by removing the wax layer of washed ginseng (10 kg) so that the enzyme solution could penetrate well, and dried ginseng was first dried to 65 ⁇ 5 ° C. to 60 ⁇ 5% of water content.
  • the dried ginseng was immersed in 30% (v / v) FRED enzyme diluent (enzyme diluent A) for 1 hour, and sprayed with enzyme diluent A every 2 hours at 70 ⁇ 10 ° C. in dry ginseng immersed in the enzyme diluent A.
  • Black ginseng was prepared as in Example 11, using enzyme diluent B prepared by RCL enzyme instead of BAG enzyme.
  • the black ginseng was prepared as in Example 11, using distilled water instead of enzyme dilution B.
  • Example 7 The ginsenoside content analyzed using the ginsenoside analysis method used in Example 9 is shown in FIG. 7.
  • the ginsenoside content of Example 13 without enzyme was not increased and only ginsenoside Rg3 increased to 1.37 mg / g. This is part of the ginsenoside Rb1 is converted to ginsenoside Rg3 through thermodynamic hydrolysis.
  • Example 11 using the BAG enzyme showed that ginsenoside Rb1 was converted to ginsenoside Rd and increased to 6.52 mg / g, and
  • Example 12 using RCL showed 5.89 mg / d as hydrolysis of ginsenoside Rb1 to ginsenoside Rd. increased to g.
  • Enzym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 BioWin AG is an enzyme containing glucoamylase obtained from Aspergillus niger .
  • BioWin AG is used as "BAG” and Rohament CL is an enzyme containing cellulase, beta-glucanase and hemicellulase obtained from Trichoderma reesei.
  • Spezyme FRED is an enzyme containing alpha-amylase obtained from Bacillus licheniformis and labeled as "FRED”.
  • Spezyme LT300 is an enzyme containing alpha-amylase obtained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and labeled as "LT300". It wa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d 함량이 증가되고 단도가 높아진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흑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먼저, 인삼 중의 전분을 가수분해하고, 다음으로 인삼 중의 프로토파낙사디올 진세노사이드를 진세노사이드 Rd로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흑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1.00 내지 7.00 mg/g까지 증가시킬 수 있고 당도를 5.00 내지 7.00Brix 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당도가 높고 진세노사이드 Rd 함량이 높은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증숙 공정에서 당도를 높이고 진세노사이드 Rd를 강화시킬 수 있어서 기존 농축액을 이용한 제조방법보다 효율성, 경제성이 높다.
인삼의 지표성분인 진세노사이드는 아글리콘(aglycone)의 화학적 구조에 따라 크게 dammarane type과 oleanane type으로 분류된다. Dammarane type은 아글리콘의 3, 6, 12번 탄소에 결합된 hydroxy group에 따라 protopanaxadiol, protopanaxatriol로 분류된다. Protopanaxadiol ginsenoside는 ginsenoside Rb1, Rd, Rc, Rg3 등이 있고 protopanaxatriol ginsenoside는 ginsenoside Rg1, Re, F1 등이 알려져 있다. Protopanaxadiol ginsenosides의 인체대사과정을 살펴보면, 진세노사이드 Rb1은 위, 장에서 위산 또는 장내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서 진세노사이드 Rg3로 가수분해되거나 진세노사이드 Rd, 진세노사이드 F2를 거쳐 Compound K로 가수분해된다. 이 과정에서 여러가지 진세노사이드 대사체가 생선되나 주된 대사경로는 진세노사이드 Rb1에서 진세노사이드 Rg3로 또는 진세노사이드 Rb1에서 진세노사이드 Rd, 진세노사이드 F2를 거쳐 Compound K로 전환되는 경로이다. 다양한 진세노사이드의 대사경로를 도 9에 나타내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88844호는 진세노사이드 Rg2, Rg3, Rh1, Rh2 및 Rf를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항산화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흑삼을 물로 추출한 흑삼 추출물을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로 효모발효시키는 것이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60977호는 진세노사이드 성분 증가를 위한 인삼열매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엿기름을 이용한 당화발효공정을 실시하였으나 진세노사이드 Rd의 증가가 당화발효공정에 의한 것인지 명확히 규명하지 못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1120996호는 진세노사이드 Rg3 및 Rg2를 포함하는 운동능력증진 및 피로회복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분쇄한 흑삼에 펙티네이즈, 헤미셀룰레이즈, 셀룰레이즈와 같은 섬유소 분해효소 및 알파-아밀레이즈와 같은 다당류 분해효소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효소로 처리한 것이나 진세노사이드 Rd는 강화시키지 못하였고, 한국등록특허 제10-1423100호는 진세노사이드 Rg3 및 Rb1의 함량을 증폭시키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한국등록특허 제10-1308880호는 복합 미생물의 효율적 발효에 의한 발효홍삼농축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료홍삼농축액에 Lactis균, L. Acidophilus균 및 B. Animalis spp . Lactis균을 혼합한 균과 알파 아밀라제 효소를 동시에 사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g3, Rh2 및 Compound K의 함량을 선택적으로 높이는 기술을 실시하였고, 한국등록특허 제10-1018989호는 홍삼박을 이용한 홍삼 다당체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외여과를 실시한 것이며, 한국등록특허 제10-1181515호에서는 전분에 결합된 사포닌을 유리시키기 위하여 알파-아밀라제 및 셀룰라제를 통한 효소처리단계를 실시하였으나 진세노사이드 Rd를 강화시키지 못하였고 흑삼추출액을 제조한 후 효소처리단계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은 흑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인삼 중의 전분을 이당류, 단당류로 가수분해하고 프로토파낙사디올 진세노사이드를 진세노사이드 Rd로 가수분해하는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당도가 높고 진세노사이드 Rd 함량이 증가된 흑삼을 제공한다.
세척한 수삼을 박피해 수삼의 왁스층이 제거된 박피인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박피인삼을 60 내지 70℃에서 수분함량 55 내지 65%까지 건조해 건조인삼을 제조하는 1차 건조단계; 상기 건조인삼을 효소희석액 A에 침지하는 단계; 상기 효소희석액 A에 침지한 건조인삼에 효소희석액 A을 분무하면서 60 내지 80℃에서 5 내지 8시간 동안 증숙해 건조인삼 중의 전분을 이당류, 단당류로 가수분해하는 1차 증숙단계; 상기 1차 증숙단계를 거친 인삼을 수분함량 55 내지 65%까지 건조해 당화인삼을 제조하는 2차 건조단계; 상기 2차 건조단계를 거친 인삼에 효소희석액 B을 분무하면서 70 내지 80℃에서 6 내지 8시간 동안 증숙해 프로토파낙사디올 계열 진세노사이드를 진세노사이드 Rd로 전환하는 2차 증숙단계; 상기 2차 증숙단계를 거친 인삼을 수분함량 55 내지 65%까지 건조하는 3차 건조단계 및 3차 건조한 인삼을 60 내지 7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증숙하는 3차 증숙단계; 상기 3차 증숙한 인삼을 수분함량 20%까지 건조하는 열풍건조단계; 상기 열풍건조단계를 거친 인삼을 수분함량 15%까지 냉풍건조하면서 제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효소희석액 A는 Bacillus licheniformis에서 얻어진 알파-아밀라제, 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 얻어진 알파-아밀라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효소희석액 B는 Aspergillus niger에서 얻어진 글루코아밀라제, Trichoderma reesei에서 얻어진 셀루라제, 베타-글루카나제, 헤미샐룰라제의 복합효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효소희석액 A는 Bacillus licheniformis에서 얻어진 알파-아밀라제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효소희석액 B는 Aspergillus niger에서 얻어진 글루코아밀라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우선 인삼 중의 전분을 이당류, 단당류로 가수분해하여 당도를 농이고 전분의 가수분해 간섭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인삼 중의 프로토파낙사디올 진세노사이드들을 진세노사이드 Rd로 전환해 그 함량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효소 FRED로 처리한 진세노사이드 표준품 희석액의 분석결과이다.
도 2는 효소 LT300으로 처리한 진세노사이드 표준품 희석액의 분석결과이다.
도 3은 효소 BAG로 처리한 진세노사이드 표준품 희석액의 분석결과이다.
도 4는 효소 RCL로 처리한 진세노사이드 표준품 희석액의 분석결과이다.
도 5는 당화인삼 중의 진세노사이드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6은 당화인삼 추출액의 당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흑삼 중의 진세노사이드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8은 흑삼 추출액의 당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9는 진세노사이드의 대사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의 제조방법은, 세척한 수삼을 박피해 수삼의 왁스층이 제거된 박피인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박피인삼을 60 내지 70℃에서 수분함량 55 내지 65%까지 건조해 건조인삼을 제조하는 1차 건조단계; 상기 건조인삼을 효소희석액 A에 침지하는 단계; 상기 효소희석액 A에 침지한 건조인삼에 효소희석액 A을 분무하면서 60 내지 80℃에서 5 내지 8시간 동안 증숙해 건조인삼 중의 전분을 이당류, 단당류로 가수분해하는 1차 증숙단계; 상기 1차 증숙단계를 거친 인삼을 수분함량 55 내지 65%까지 건조해 당화인삼을 제조하는 2차 건조단계; 상기 2차 건조단계를 거친 인삼에 효소희석액 B을 분무하면서 70 내지 80℃에서 6 내지 8시간 동안 증숙해 프로토파낙사디올 계열 진세노사이드를 진세노사이드 Rd로 전환하는 2차 증숙단계; 상기 2차 증숙단계를 거친 인삼을 수분함량 55 내지 65%까지 건조하는 3차 건조단계 및 3차 건조한 인삼을 60 내지 7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증숙하는 3차 증숙단계; 상기 3차 증숙한 인삼을 수분함량 20%까지 건조하는 열풍건조단계; 상기 열풍건조단계를 거친 인삼을 수분함량 15%까지 냉풍건조하면서 제습하는 단계를 거쳐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이 제조된다.
이하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세척한 수삼을 박피해 수삼의 왁스층을 제거한 박피인삼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박피하지 않고 수삼을 증숙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3회이상 반복해 흑삼을 제조하나, 본 발명에서 왁스층을 제거하는 것은 인삼 중의 전분을 가수분해하는 효소희석액 A, 인삼 중의 프로토파낙사디올 진세노사이드를 가수분해하는 효소희석액 B가 인삼 조직으로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박피인삼을 60 내지 70℃에서 수분함량 55 내지 65%까지 1차 건조해 건조인삼을 제조한다.
상기 건조인삼을 효소희석액 A에 침지한다. 바람직한 상기 효소희석액 A는 Bacillus licheniformis에서 얻어진 알파-아밀라제, 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 얻어진 알파-아밀라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란직한 효소희석액 A는 Bacillus licheniformis에서 얻어진 알파-아밀라제를 사용할 수 있다. 건조인삼을 효소희석액 A에 침지하는 것은 인삼 조직 중앙부에 주로 분포하는 전분을 가수분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효소희석액 A에 침지한 건조인삼에 효소희석액 A을 분무하면서 60 내지 80℃에서 5 내지 8시간 동안 1차 증숙한다. 상기 1차 증숙단계에서 인삼 중의 전분이 이당류, 단당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1차 증숙단계를 거친 인삼을 수분함량 55 내지 65%까지 2차 건조해 당화인삼을 제조한다. 상기 2차 건조단계를 거쳐 제조한 당화인삼 추출액의 당도는 5 내지 7Brix까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2차 건조단계를 거친 인삼에 효소희석액 B을 분무하면서 70 내지 80℃에서 6 내지 8시간 동안 2차 증숙한다. 바람직한 효소희석액 B는 Aspergillus niger에서 얻어진 글루코아밀라제, Trichoderma reesei에서 얻어진 셀루라제, 베타-글루카나제, 헤미샐룰라제의 복합효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효소희석액 B는 Aspergillus niger에서 얻어진 글루코아밀라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차 증숙하는 단계에서 인삼 중의 프로토파낙사디올 진세노사이드가 진세노사이드 Rd로 전환된다.
상기 2차 증숙단계를 거친 인삼을 수분함량 55 내지 65%까지 3차 건조하고, 상기 3차 건조한 인삼을 60 내지 7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3차 증숙한다.
상기 3차 증숙한 인삼을 수분함량 20%까지 건조하는 열풍건조단계; 상기 열풍건조단계를 거친 인삼을 수분함량 15%까지 냉풍건조하면서 제습하는 단계를 거쳐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이 제조된다.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흑삼 중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1.00 내지 7.00 mg/g까지 증가할 수 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진세노사이드 Rb1이 함유된 인삼 전분 희석액의 조제
인삼에서 추출한 전분을 증류수에 희석해 전분희석액을 조제하고 진세노사이드 Rb1의 농도가 2.00 mg/mL가 되도록 표준품을 희석하였다.
**실시예 2**
스페자임 FRED(Spezyme FRED)의 진세노사이드 Rb1 가수분해 특성 파악
상기 실시예 1의 희석액에 스페자임 FRED(이하 FRED) 2%(v/v)를 가하고 70℃에서 24시간 동안 중탕하면서 진세노사이드 Rb1, Rd, F2 및 Compound K를 분석한 결과를 도1에 나타내었다. 24시간 중탕 후 진세노사이드 Rb1 함량은 1.95 mg/mL로 이는 효소 FRED가 진세노사이드 Rb1을 진세노사이드 Rd, F2 또는 Compound K로 가수분해할 수 없음을 증명한다. 그리고 당도계로 측정한 당도가 0.01Brix에서 0.5Brix로 증가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인삼 전분이 이당류, 단당류로 가수분해되었음을 증명한다.
**실시예 3**
스페자임 LT300(Spezyme LT300)의 진세노사이드 Rb1 가수분해 특성 파악
상기 실시예 2과 같이 실시하되 FRED 대신에 LT300을 사용한 결과를 도2에 나타내었다. 24시간 중탕 후 진세노사이드 Rb1 함량은 1.37 mg/mL이고 진세노사이드 Rd, F2 또는 Compound K는 거의 불검출되었으며 당도는 0.4Brix까지 증가하였다. 이는 LT300은 진세노사이드 Rb1을 가수분해할 수 있지만 진세노사이드 Rd, F2 또는 Compound K로 가수분해할 수 없으며 인삼 전분은 가수분해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실시예 4**
바이오윈 AG(BioWin AG)의 진세노사이드 Rb1 가수분해 특성 파악
상기 실시예 2과 같이 실시하되 FRED 대신에 BAG를 사용한 결과를 도3에 나타내었다. 24시간 중탕 후 진세노사이드 Rb1, F2 및 Compound K는 검출되지 않았고 진세노사이드 Rd는 1.66 mg/mL까지 증가하였으며 당도는 0.01Brix로 증가하지 않았다. 이는 BAG가 진세노사이드 Rb1을 진세노사이드 Rd로 가수분해하고 이를 다시 진세노사이드 F2, Compound K로는 가수분해할 수 없음을 증명하고 전분은 가수분해할 수 없음을 증명한다.
**실시예 5**
로하멘트 CL(Rohament CL)의 진세노사이드 Rb1 가수분해 특성 파악
상기 실시예 2과 같이 실시하되 FRED 대신에 RCL을 사용한 결과를 도4에 나타내었다. 24시간 중탕 후 진세노사이드 Rb1, F2 및 Compound K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고 진세노사이드 Rd는 1.17 mg/mL까지 증가하였으며 당도는 0.01Brix로 증가하지 않았다. 이는 RCL은 진세노사이드 Rb1을 진세노사이드 Rd로 가수분해하고 이를 다시 진세노사이드 F2, Compound K로는 가수분해할 수 없음을 증명하고 전분은 가수분해할 수 없음을 증명한다.
**실시예 6**
FRED 효소로 가수분해한 당화인삼의 제조
효소액이 잘 침투할 수 있도록 세척한 수삼(10 kg)의 왁스층을 제거한 박피인삼을 준비하고, 상기 박피인삼을 65±5℃에서 수분함량 60±5%까지 건조해 건조인삼을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인삼을 30%(v/v) FRED 효소희석액(효소희석액 A)에 1시간 동안 침지하고, 상기 효소희석액 A에 침지한 건조인삼에 2시간 마다 효소희석액 A를 분무하면서 70±10℃에서 8시간 동안 증숙하고, 상기 증숙한 인삼을 수분함량 60±5%까지 건조하고, 상기 건조한 인삼을 수분함량 20%까지 열풍건조하고, 상기 열풍건조한 인삼을 냉풍건조하면서 제습해 수분함량 15%까지 건조하였다.
**실시예 7**
LT300 효소로 가수분해한 당화인삼의 제조
상기 실시예 6과 같이 실시하되 FRED 효소 대신에 LT300 효소로 제조한 효소희석액 A를 사용해 당화인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효소를 사용하지 않은 당화인삼의 제조
상기 실시예 6과 같이 실시하되 효소희석액 A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해 당화인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당화인삼의 진세노사이드 분석
건강기능식품공전의 진세노사이드분석법에 따라 실시예 6, 실시예 7 및 실시예 8에서 제조한 당화인삼 중의 진세노사이드를 분석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FRED, LT300 효소는 진세노사이드 Rb1를 가수분해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당화인삼 추출액의 당도측정
상기 실시예 6, 실시예 7 및 실시예 8에서 제조한 당화인삼을 10배수 정제수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액의 당도를 당도계로 측정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효소를 사용하지 않은 실시 예 8의 당도는 2.45Brix이나 효소를 사용한 실시예 6, 실시예 7의 당도는 각각 6,56Brix, 5.38Brix로 당도가 증가하엿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인삼 중의 전분이 이당류, 단당류로 가수분해되었음을 증명한다.
**실시예 11**
BAG를 이용해 진세노사이드 Rd를 강화한 흑삼의 제조
효소액이 잘 침투할 수 있도록 세척한 수삼(10 kg)의 왁스층을 제거한 박피인삼을 준비하고, 상기 박피인삼을 65±5℃에서 수분함량 60±5%까지 1차 건조해 건조인삼을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인삼을 30%(v/v) FRED 효소희석액(효소희석액 A)에 1시간 동안 침지하고, 상기 효소희석액 A에 침지한 건조인삼에 2시간 마다 효소희석액 A를 분무하면서 70±10℃에서 8시간 동안 1차 증숙하고, 상기 1차 증숙한 인삼을 수분함량 60±5%까지 2차 건조하고였다. 상기 2차 건조한 인삼에 2시간 마다 30%(v/v) BAG 효소희석액(효소희석액 B)를 분무하면서 70±10℃에서 8시간 동안 2차 증숙하고, 상기 2차 증숙한 인삼을 수분함량 60±5%까지 3차 건조하고였다. 상기 3차 건조한 인삼을 65±5℃에서 6시간 동안 3차 증숙하고, 상기 3차 증숙한 인삼을 수분함량 20%까지 열풍건조하고, 상기 열풍건조한 인삼을 냉풍건조하면서 제습해 수분함량 15%까지 건조하였다.
**실시예 12**
RCL을 이용해 진세노사이드 Rd를 강화한 흑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과 같이 실시하되, BAG 효소 대신에 RCL 효소로 제조한 효소희석액 B를 이용해 흑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효소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한 흑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과 같이 실시하되, 효소희석액 B 대신에 증류수를 이용해 흑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흑삼 중의 진세노사이드 분석
상기 실시예 9에서 사용한 진세노사이드 분석법을 이용해 분석한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도 7에 나타내었다. 효소를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13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증가하지 않았고 진세노사이드 Rg3만 1.37 mg/g까지 증가하였다. 이는 진세노사이드 Rb1의 일부가 열역학적인 가수분해를 통해 진세노사이드 Rg3로 전화된 것이다. BAG 효소를 사용한 실시예 11은 진세노사이드 Rb1이 진세노사이드 Rd로 전환되어 6.52 mg/g까지 증가하였고 RCL을 사용한 실시예 12는 진세노사이드 Rb1이 진세노사이드 Rd로 가수분해되어 5.89 mg/g까지 증가하였다.
**실시예 15**
흑삼추출액의 당도 측정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흑삼추출액을 제조해 측정한 당도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부호의 설명**
본 발명에서 사용한 효소는 다음과 같다.
BioWin AG는 Aspergillus niger에서 얻어진 글루코아밀라제가 함유된 효소로 본 발명에서는 "BAG"로 표시해 사용하였고, Rohament CL은 Trichoderma reesei에서 얻어진 셀룰라제, 베타-글루카나제 및 헤미셀룰라제가 함유된 효소로 "RCL"로 표시해 사용하였으며, Spezyme FRED는 Bacillus licheniformis에서 얻어진 알파-아밀라제가 함유된 효소로 "FRED"로 표시해 사용하였고, Spezyme LT300은 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 얻어진 알파-아밀라제가 함유된 효소로 "LT300"으로 표시해 사용하였다.

Claims (6)

  1. 세척한 수삼을 박피해 수삼의 왁스층이 제거된 박피인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박피인삼을 60 내지 70℃에서 수분함량 55 내지 65%까지 건조해 건조인삼을 제조하는 1차 건조단계;
    상기 건조인삼을 효소희석액 A에 침지하는 단계;
    상기 효소희석액 A에 침지한 건조인삼에 효소희석액 A을 분무하면서 60 내지 80℃에서 5 내지 8시간 동안 증숙해 건조인삼 중의 전분을 이당류, 단당류로 가수분해하는 1차 증숙단계;
    상기 1차 증숙단계를 거친 인삼을 수분함량 55 내지 65%까지 건조해 당화인삼을 제조하는 2차 건조단계;
    상기 2차 건조단계를 거친 인삼에 효소희석액 B을 분무하면서 70 내지 80℃에서 6 내지 8시간 동안 증숙해 프로토파낙사디올 계열 진세노사이드를 진세노사이드 Rd로 전환하는 2차 증숙단계;
    상기 2차 증숙단계를 거친 인삼을 수분함량 55 내지 65%까지 건조하는 3차 건조단계 및 3차 건조한 인삼을 60 내지 7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증숙하는 3차 증숙단계;
    상기 3차 증숙한 인삼을 수분함량 20%까지 건조하는 열풍건조단계;
    상기 열풍건조단계를 거친 인삼을 수분함량 15%까지 냉풍건조하면서 제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효소희석액 A는 Bacillus licheniformis에서 얻어진 α-amylase, 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 얻어진 α-amylas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전분의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효소희석액 B는 Aspergillus niger에서 얻어진 글루코아밀라제, Trichoderma reesei에서 얻어진 셀루라제, 베타-글루카나제, 헤미샐룰라제의 복합효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진세노사이드 Rb1을 진세노사이드 Rd로 가수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2차 증숙단계의 프로토파낙사디올 계열 진세노사이드는 진세노사이드 Rb1, Rb2, Rb3 및 R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당도는 5.00 내지 7.00Bri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흑삼 중의 진세노사이드 Rd 함량은 1.00 내지 7.00 mg/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8/006063 2017-06-05 2018-05-29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22597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62A KR101982680B1 (ko) 2017-06-05 2017-06-05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7-0069562 2017-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25972A1 true WO2018225972A1 (ko) 2018-12-13

Family

ID=5928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6063 WO2018225972A1 (ko) 2017-06-05 2018-05-29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2680B1 (ko)
WO (1) WO20182259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680B1 (ko) * 2017-06-05 2019-05-27 금산덕원인삼약초영농조합법인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7210B1 (ko) * 2018-11-23 2020-09-17 (주)다담상사 천연 미생물 발효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580A (ko) * 2008-01-09 2009-07-13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성분강화 흑삼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18018A (ko) * 2010-01-26 2010-02-16 일양약품주식회사 가공 인삼 또는 가공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181515B1 (ko) * 2010-12-03 2012-09-10 주식회사 진생바이팜 흑삼 제조방법
KR101330864B1 (ko) * 2013-04-02 2013-11-18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펙티나아제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KR20160018147A (ko) * 2014-08-08 2016-02-17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70071457A (ko) * 2017-06-05 2017-06-23 농업회사법인 금산흑삼주식회사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631B1 (ko) * 2010-02-17 2012-08-23 한국생약영농조합법인 진세노사이드 대사체 함량을 높인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
KR20110111142A (ko) * 2010-04-02 2011-10-10 (주)바이오토피아 인삼에 함유된 활성성분 함량을 증강시키는 인삼의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580A (ko) * 2008-01-09 2009-07-13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성분강화 흑삼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18018A (ko) * 2010-01-26 2010-02-16 일양약품주식회사 가공 인삼 또는 가공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181515B1 (ko) * 2010-12-03 2012-09-10 주식회사 진생바이팜 흑삼 제조방법
KR101330864B1 (ko) * 2013-04-02 2013-11-18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펙티나아제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KR20160018147A (ko) * 2014-08-08 2016-02-17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70071457A (ko) * 2017-06-05 2017-06-23 농업회사법인 금산흑삼주식회사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680B1 (ko) 2019-05-27
KR20170071457A (ko)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pla et al. Production of xylooligosaccharides from corncob xylan by fungal xylanase and their utilization by probiotics
WO2018225972A1 (ko)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Ravn et al. Combined endo-β-1, 4-xylanase and α-l-arabinofuranosidase increases butyrate concentration during broiler cecal fermentation of maize glucurono-arabinoxylan
Wu et al. Characterization of bioactive polysaccharides from Cordyceps militaris produced in China using saccharide mapping
WO2010030118A2 (ko) 발효인삼 및 그 제조방법
KR100824285B1 (ko) 당화 인삼 및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Qiao et al. Fermented Astragalus in diet altered the composition of fecal microbiota in broiler chickens
WO2021177798A1 (ko) 홍삼을 이용한 유산균의 증식 향상 배양공정
WO2014027742A1 (ko)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739741A (zh) 一种从发酵山楂酒果渣中提取果胶的方法
CN109576324A (zh) 一种黄芪多糖及其生物提取法
WO2015012597A1 (ko) 모유 성분인 갈락토실락토스가 강화된 갈락토올리고당의 제조 방법
CN104497158A (zh) 一种提取大枣多糖的方法
CN105622701A (zh) 一种生产低极性人参皂苷的方法
Somani et al. Inhibition of carbohydrate hydrolysing enzymes by methanolic extract of Couroupita guianensis leaves
KR20020031561A (ko) 인삼 올리고당 및 그 제조방법
WO2012121484A2 (ko) 자주색 산삼배양근의 제조방법
Zhang et al. Revelation of mechanism for aqueous saponins content decrease during storage of Dioscorea zingiberensis CH Wright tubers: an essential prerequisite to ensure clean production of diosgenin
Zu et al. Application of intestinal flora in the study of TCM formulae
KR20120090644A (ko) 유산균 및 효소의 2단계 발효를 이용한 홍삼액의 제조방법
WO2021086042A1 (ko) 홍삼박으로부터 유래한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018647A1 (ko)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
WO2020013402A1 (ko) 커피찌꺼기 전처리방법 및 그 방법으로 얻어진 커피찌꺼기유래다당류로부터 기능성 바이오슈가를 생산하는 방법
Wang et al. Effects of Eucommia ulmoides Oliver leaves on gut microbiota and intestinal function during in vitro simulated digestion and fermentation
Senthil et al. Microbial conversion of major ginsenoside Rb1 to minor ginsenoside Rd by Indian fermented food bact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140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140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