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27742A1 -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27742A1
WO2014027742A1 PCT/KR2013/005090 KR2013005090W WO2014027742A1 WO 2014027742 A1 WO2014027742 A1 WO 2014027742A1 KR 2013005090 W KR2013005090 W KR 2013005090W WO 2014027742 A1 WO2014027742 A1 WO 201402774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inseng
fermented
ginsenoside
fermentation
red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509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표미경
김보람
성낙술
유지현
홍세철
이건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Publication of WO201402774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277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6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rmented ginseng or fermented red ginseng reinforced with ginsenoside Rd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Ginseng is a scientific name to mean that the scientists of the Soviet Union CAmeyer treating bottles in 1843. "Panax ginseng CA. Botanically named Meyer ”, belongs to the genus Araliaceae Panax and uses its roots for medicinal purposes. These ginseng is widely used as a natural health food, high recognition and trust based on the clinical demonstration of pharmacological efficacy and traditional medicine based on the clinical, and the demand for the drug and functional food is increasing.
  • Ginseng is mainly composed of glycoside ginsenosides such as Rg1, Rb1, Rb2, Rc, and Re, and red ginseng, which repeats the process of steaming and drying, has a content of Rg3, Rh1, Rh2, and Compound K, which are rarely present in ginseng. It is shown to increase.
  • the saponins are absorbed into the body by being broken down and converted by the intestinal microorganisms, and as a result, the degree of absorption of saponins differs from person to person.
  • 20.3% of the group can absorb only saponin of Protopanaxadiol (PPD) system, and Protopanaxatriol (hereinafter, ' 12.5% of the group that can only absorb saponin of the system, 4.7% of the group that can not absorb the saponin at all, the difference in absorption rate is prominent for each person.
  • PPD Protopanaxadiol
  • Protopanaxatriol hereinafter, ' 12.5% of the group that can only absorb saponin of the system, 4.7% of the group that can not absorb the saponin at all, the difference in absorption rate is prominent for each person.
  • fermented ginseng using microorganisms useful to increase the absorption rate of saponin in the body and induces the conversion of ginseng saponin (ginsenoside), a glycoside structure, using glycolytic enzymes of microorganisms to increase nutritional and functional value.
  • ginseng saponin ginsenoside
  • glycolytic enzymes of microorganisms to increase nutritional and functional value.
  • Korean Patent No. 10-0884252 “Fermented red ginseng prepar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NUC-JiKCCM10582 and its preparation”, Ginsenoside Rg3 and Rh2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NUC-J1 KCCM 10852P.
  • a method for preparing fermented red ginseng containing Compound K is provided.
  • fermented red ginseng using lactic acid bacteria contains high concentrations of ginsenoside Rg3 produced by saccharin hydrolysis by organic acid component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Most of them are.
  • fermented red ginseng released in the industrial field also features a high content of ginsenoside Rg3 or compound K as a feature of fermented red ginseng.
  • ginsenoside Rg3 or compound K is known to have a cytotoxic effect, there is a concern that may cause side effects when contained in high concentrations.
  • Patent Document 1 KR 10-0884252 B1, March 11, 2009
  • the present inventors continue to study the above problems, and do not convert ginsenoside Rb1 or Rc to ginsenoside Rg3 or Rg5 but convert ginsenoside Rd to a large amount of ginsenoside R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fermented ginseng or fermented red ginseng enhanced with ginsenoside Rd, which is a useful saponi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ermented ginseng or fermented red ginseng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ulturing the 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strain with plant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ermented ginseng or fermented red ginseng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 Ginseng saponi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ginsenosides.
  • Ginsenoside 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kind of PPD ginsenoside, and is a compound having a structure such as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 the ginsenoside Rd is present in trace amounts of less than 1% in ginseng / red ginseng and has not been used industrially well, but is known to have arthritis, cartilage regeneration, collagen formation, and the like.
  • red ginseng refers to light yellow-brown or light red-brown ginseng, which is steamed and dried by steam in the state of strictly removing 4 to 6 years old ginseng.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eparing fermented ginseng or fermented red ginseng with enhanced saponin ginsenoside Rd
  • the production method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vacuum concentration, spray drying or lyophilizatio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after fermentation. See FIG. 2.
  • the ginseng is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fresh ginseng, white ginseng, hwagisam (Panax quinquefolium), jeonchilsam (Panax notoginseng), jukjeol three (Panax japonicum), three yeopsam (Panax trifolium) and Himalayan ginseng (Panax pseudoginseng )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eferably ginse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ginseng refers to raw ginseng in the unprocessed state after digging in the field, and white ginseng is dried and processed without removing or removing the epidermis mainly from 4-6 year old ginseng.
  • the ginseng and red ginseng may be in the form of extract or extract, and preferably may be used in the form of extract prepared by hot water extraction, alcohol extraction or mixed extraction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Extraction of the extract may be pulverized or powdered in order to increase the extraction efficiency prior to extraction, it may be carried out according to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s known in the art.
  • a water extraction method an alcohol extraction method, an organic solvent extraction method, a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or the like may be used.
  • the water extraction method is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solvent used in the alcohol extraction method may be a lower alcohol having 1 to 6 carbon atoms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and the like.
  • Examples of the extraction solvent of the organic solvent extraction method include organic solvents such as acetone, ether, benzene, chloroform, ethyl acetate, methylene chloride, hexane, hydrochloric acid, acetic acid, formic acid, citric acid, cyclohexane and petroleum ether; Or mixtures thereof.
  •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used 2 to 20 times (by weight) with respect to the ginseng or red ginseng dry weight).
  •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repeated two or more times using the extraction solvent 5 times to 15 times (by weight) with respect to ginseng or red ginseng.
  • the extr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50 to 110 ° C, more preferably 70 to 100 ° C.
  • the extraction time depends on the extraction temperature, but is extracted from 1 hour to 48 hours, preferably 2 hours to 8 hours.
  • the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when stirring with a shaker (shaker) during extraction.
  • the extract can be prepared by vacuum distillation or thin film distillation.
  • the ginseng, red ginseng or a mixed extract thereof may be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use a solid content of 3 to 20 Brix (Brix).
  • the content of the solid content is not adjusted to 3 to 20 Brix, the concentration is too high, so that the fermentation is difficult to gel, so the solid content of ginseng, red ginseng or a mixed extract thereof is adjusted to 3 to 20 Brix. It is desirable to.
  • Fermented ginseng or fermented red ginse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pared using a strain of plant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 ) KACC 11451.
  • the plant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verted to ginsenoside Rb1 or Rc, but to ginsenoside Rd at the time of culture / fermentation in extracts of ginseng or red ginseng. To produce ginsenoside Rd.
  • the plant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ultured in large quantities by a conventional method for culturing lactic acid bacteria.
  • a culture medium a medium consisting of a carbon source, a nitrogen source, vitamins and minerals may be used, and preferably, an extract or crude extract containing saponin may be used. Cultivation of microorganisms is possible under conventional lactic acid culture conditions, for example, 0.5 to 7 days, preferably 3 to 5 days can be cultured at 30 °C to 40 °C, preferably 34 °C to 38 °C. More preferably, the culture is performed at 37 ° C. for about 5 days.
  • the fermentation may be made at pH 6.5 to 8.5 for 3 to 5 days, more preferably at pH 7 to 8 at a temperature of 35 to 38 °C for 5 days.
  • Fermented ginseng or fermented red ginse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itial saponin content of the ginseng or red ginseng extract, but the fermentation contains 0.5 mg / g to 100 mg / g ginsenoside Rd by the plant probiotic lactic acid fermentation. It can be prepared with ginseng.
  • the fermented ginse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fermented ginseng containing 3 mg / g to 50 mg / g ginsenoside Rd by the fermentation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fermented red ginseng 0.5 mg / g to 30 It can be prepared with fermented red ginseng containing mg / g ginsenoside Rd.
  • fermented ginseng enhanced by 6 times or more ginsenoside Rd may be prepared by incubating / fermenting 5 days at 37 ° C. and pH 7 condi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fermented ginseng enhanced by 11 times or more ginsenoside Rd by incubating / fermenting 5 days under the condition of pH 8 was confirmed. See FIG. 6.
  • the fermented ginseng or fermented red ginseng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ultured / fermented using a strain of 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under neutral to weakly alkaline conditions, thereby having no cytotoxicity, and having excellent absorption and functional function. More ginsenosides Rd can be converted to more active and can be differentiated from conventional ginseng or red ginseng.
  • the method for preparing fermented ginseng or fermented red ginse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ginsenoside Rd present in trace amounts in ginseng or red ginseng can be easily and economically converted.
  • Fermented ginseng or fermented red ginseng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ytotoxic by culturing / fermenting ginseng or red ginseng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strain under pH neutral to weakly alkaline conditio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oduced fermented ginseng or fermented red ginseng with enhanced absorption and enhanced ginsenoside Rd having a functional activity.
  • FIG. 1 illustrates a method for preparing fermented ginseng or fermented red ginseng enhanced with ginsenoside Rd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llustrates a method for preparing fermented ginseng or fermented red ginseng with enhanced ginsenoside Rd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ginsenoside content change of fermented ginseng (fermented ginseng prepared using ginseng ethanol extract) by the plant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at pH 4.0 to 6.0;
  • Figure 4 is a result of analyzing the ginsenoside content change of fermented ginseng (fermented ginseng prepared using ginseng ethanol extract) by the plant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at pH 7.0 to 9.0;
  • FIG. 5 i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in ginsenoside content of fermented red ginseng (fermented red ginseng prepared using red ginseng hot water extract) by the plant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at pH 4.0 to 6.0;
  • Figure 6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ginsenoside content change of fermented red ginseng (fermented red ginseng prepared using red ginseng hot water extract) by the plant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at pH 7.0 to 9.0 conditions;
  • fermented red ginseng Fermented red ginseng prepared using red ginseng ethanol extract
  • plant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pH of 7.0 to 9.0.
  • the ginseng ethanol extract obtained above was dissolved in water, and the ginseng extract was prepared by adjusting the specific gravity of Brix (Brix) to 3 using a refractometer, followed by heat sterilization at 95 ° C. for 10 minutes.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 ) KACC 11451 strains were inoculated in sterile MRS (MRS media, Difco, USA) liquid medium, and then cultured at 32 ° C. to prepare an activated starter strain.
  • MRS sterile MRS
  • Fermentation of ginseng was inoculated with a starter strain in the prepared ginseng extract was fermented using a fermenter (LiFlus GX 5L, HANIL, Korea).
  • Fermentation temperature is adjusted to 37 °C, DO 100, RPM 100 by 1N NaOH (Sodium hydroxide, SAMCHUN, Korea), 1N HCl (Hydrochloric acid, SAMCHUN, Korea) by pH (pH 4, 5, 6, 7, 8, 9), the contents of ginsenosides, polyphenols, and irradiated phonine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culture / fermentation time.
  •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rradiated ponin, and ginsenoside content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were analyzed by sterilizing the culture / fermentation solution at 95 ° C. for 10 minutes, cooling, filtering, and lyophilization.
  •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measured by applying the Folin-Denis method (Folin and Denis, 1915). After making the extract to mg / ml concentration, 200 ⁇ l of the 2N Folin-ciocalteau reagent (Sigma, USA) to 200 ⁇ l of the sample was mixed sufficiently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6 minutes and then 7% Na 2 CO 3 (Sigma, 99 %, USA) solution was added and allowed to stand for 9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and then absorbance at 750 nm using a UV / VIS spectrophotometer (Biomate 3S, Thermo Scientific, USA). The polyphenol content was obtained by preparing 10, 20, 30, 40 and 50 mg / L of tannic acid (Sigma, USA) as a standard and preparing a standard calibration curve.
  • the concentrated flask containing the irrelevant irradiated saponin was dried in a 105 ° C. dryer for 2 hours, allowed to stand for cooling, and weighed to obtain the irradiated saponin content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 Ginsenoside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Waters-PAD (Waters 1525, detector 2998, USA) to flow water (A liquid) and ACN (B liquid) at a flow rate of 1.0 ml / min under the gradient conditions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Ginsenoside content of the ginseng fermentation product by the 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strain was examined and shown in Table 3, Table 4, and FIGS.
  • Ginsenoside Rg1 and Re which is a PPT (Protopanaxatriol) series saponin as the culture / fermentation period increases was decreased, and the content of ginsenosides F4 and Rh4 increased.
  • PPD Protopanaxadiol family saponins also showed a decrease in the main components such as ginsenosides Rb1, Rc, Rb2 and increased ginsenosides Rg3 and Rg5.
  • the irradiated ponponin content of ginseng extrac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slightly than before culture / fermentation on the 3rd day of culture / fermentation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strain. 5 days of fermentation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slightly than 3 days, but when compared with before fermentation did not show a big difference.
  • the ginsenoside Rb1 or Rc was converted to ginsenoside Rg3 or Rg5 by adjusting the pH to neutral, that is, pH 7 during fermentation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strain in the ginseng extract. It was confirmed that the fermented ginseng containing the high concentration of ginsenoside Rd can be prepared by converting the ginsenoside Rd into the ginsenoside Rd without being converted.
  • the obtained red ginseng extract was filtered and then heated and sterilized at 95 ° C. for 10 minutes, and the red ginseng hot water extract was prepared by adjusting Briggs specific gravity to 5 using a refractometer.
  • ginsenosides Rg1, Re, Rb1, Rb2, Rc, and Rd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slightly when incubated / fermented under the condition of pH 6, but ginsenosides F4 and Rh4, which appeared to be produced by the acid catalyst, The increase in Rg3 and Rg5 was not observed.
  • the ginsenoside Rd content was 1.0 mg / g before fermentation, 6.6 mg / g after 3 days culture / fermentation, and 11.6 mg / g after 5 days culture / ferment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rease was increased to 6.6 times and 11.6 times, respectively.
  • ginsenoside Rd was 0.9 mg / g before fermentation and rose to 5.3 mg / g after 3 days culture / fermentation and 12.1 mg / g after 5 days culture / fermentation, respectively, 5.8 times and 13.4.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fold increased.
  • ginsenosides Rb1 or Rc such as ginsenoside Rb1 or Rc by adjusting the pH to neutral, that is, pH 7 to pH 8 during fermentation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strain in red ginseng hot water extract It is confirmed that fermented red ginseng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ginsenoside Rd can be prepared by converting to ginsenoside Rd without being converted to Rg3 or Rg5.
  • the red ginseng ethanol extract obtained above was filtered by adjusting the specific gravity of Brix (Brix) by using a refractometer, and then heat sterilized at 95 ° C. for 10 minutes.
  •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cultured and fermented under the conditions of pH 4 increases the PPT series saponin
  • the content of cenosides Rg1 and Re is reduced or not detected, and PPD-type saponins also decrease the main components such as ginsenosides Rb1, Rc, and Rb2, and the ginsenosides Rg3 and Rg5 tend to increase by 5 to 8 times.
  • PPD-type saponins also decrease the main components such as ginsenosides Rb1, Rc, and Rb2, and the ginsenosides Rg3 and Rg5 tend to increase by 5 to 8 times.
  • ginsenosides Rg1, Re, Rb1, Rb2, Rc, and Rd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on the third day of culture, but Rd increased by three times from the fifth day of fermentation. I could confirm that.
  • the ginsenoside Rd content was 0.9 mg / g before fermentation, 4.1 mg / g after 3 days culture / fermentation, and 6.9 mg / g after 5 days culture / ferment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rease to about 4.6 times, 7.8 times, respectively.
  • ginsenoside Rd was 0.9 mg / g before fermentation and increased to 0.8 mg / g after 3 days of culture / fermentation and 1.4 mg / g after 5 days of culture / fermenta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tendency of the ginsenoside Rd content to decrease slightly at the pH of 9 was observ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인삼 또는 홍삼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 Rd를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구조전환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소련의 과학자 C.A.meyer가 1843년에 만병을 치료한다는 의미로 학명을 “Panax ginseng C.A. Meyer”로 명명된 식물학적으로는 오가과(Araliaceae) 인삼속(Panax)에 속하는 식물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인삼은 자연 건강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약리 효능의 과학적 입증과 전통의학을 임상을 근거로 인식과 신뢰가 높으며,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삼의 효능은 주로 인삼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가 관여하는데, 현재 인삼 진세노사이드는 약 30종이 화학 구조가 밝혀져 있으며, 현재 알려져 있는 주요 진세노사이드는 13가지 기본 진세노사이드와 전환된 진세노사이드 11가지 형태로 34종의 진세노사이드가 알려져 있다. 인삼에는 Rg1, Rb1, Rb2, Rc, Re 등의 배당체 진세노사이드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를 찌고 말리는 과정을 반복한 홍삼의 경우 인삼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Rg3, Rh1, Rh2, Compound K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 사포닌은 장내 미생물에 의해 분해 및 전환이 이루어져 체내로 흡수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결과 사람에 따라 사포닌의 흡수정도가 다른 것으로 규명되어 있다. 예를 들어, 2004년도 한국 식품영양학회 국제학술대회 Ham et al. 에 따르면 사포닌을 흡수할 수 있는 그룹을 제외하고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이하 ‘PPD’라 칭한다.)계의 사포닌만을 흡수할 수 있는 그룹이 20.3%,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이하 ‘PPT’라 칭한다.)계의 사포닌만을 흡수할 수 있는 그룹이 12.5%, 아예 사포닌 흡수를 못하는 그룹이 4.7%로 사람마다 흡수율을 차이가 두드러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사포닌의 체내 흡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용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수삼을 발효하고, 미생물의 당분해효소 등을 이용하여 배당체 구조인 인삼사포닌(ginsenoside)의 성분전환을 유도하여 영양학적, 기능적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인삼 발효 미생물의 선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Kim et al., 2007) 있다. 그 일예로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인삼제조에 가장 적합한 유산 균주 및 최적공정을 확립하여 차후 건강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유산균 발효 인삼제품화 가능성을 조사한 연구가 수행되고(Park et al., 2006) 있으며, 백삼, 홍삼과 대비하여 발효인삼의 일반성분에 대한 성분 특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Kong et al., 2008).
또한, 인삼을 비롯한 다양한 소재들을 활용하여 발효하거나 또는 첨가하여 식품의 기능성 강화, 관능적 품질을 향상시켜 발효식품으로서 개발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며(Kim and Han, 2005),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하는 사람의 장내에서 우세균으로 분포하고 체내 유익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생균활성제(probiotics)로서 당류를 발효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인 락토바실리(Lactobacilli)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과 같은 유산균이 보고된 바 있다(Goldin,1998).
한국등록특허 제10-0884252호 “Lactobacillus plantarum NUC-JiKCCM10582로 제조한 발효홍삼 및 그 제조”에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NUC-J1 KCCM 10852P를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Rg3 및 Rh2 Compound K를 함유하는 발효홍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를 포함하는 유산균을 활용한 발효 홍삼은 사포닌 배당체가 유산균에 의해 생성되는 유기산 성분에 의해 당가수분해되어 생성된 진세노사이드 Rg3가 고농도로 함유하게 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산업현장에서 출시되는 발효홍삼 역시 진세노사이드 Rg3나 컴파운드 K의 함량이 높은 것을 발효 홍삼의 특징으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진세노사이드 Rg3나 컴파운드 K는 세포독성 작용 등이 알려져 있어 고농도로 함유될 경우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우려되고 있다.
(특허문헌 1) KR 10-0884252 B1, 2009년 03월 11일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지속하던 중, 진세노사이드 Rb1이나 Rc 등을 진세노사이드 Rg3나 Rg5로 전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진세노사이드 Rd로 전환시킴으로써 다량의 진세노사이드 Rd를 생산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발효인삼 및 발효홍삼의 제조방법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용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를 배양시키는 단계;와
인삼, 홍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상기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삼 사포닌은 진세노사이드를 말한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d는 PPD계 진세노사이드의 일종으로,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Figure PCTKR2013005090-appb-I000001
상기 진세노사이드 Rd는 인삼/홍삼에 1% 미만으로 미량 존재하며 산업적으로 잘 이용되지 않아 왔으나, 관절염 개선, 연골 재생, 콜라겐 형성 등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홍삼은 4 내지 6년근 수삼을 엄격히 선별하여 표피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증기로 쪄서 건조시킨 담황갈색 또는 담적갈색 인삼을 말한다.
본 발명은 유용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으로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를 배양시키는 단계;와
인삼, 홍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상기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발효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진공농축, 스프레이 드라이 또는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수삼, 백삼, 화기삼(Panax quinquefolium), 전칠삼(Panax notoginseng), 죽절삼(Panax japonicum), 삼엽삼(Panax trifolium) 및 히말라야삼(Panax pseudoginseng)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삼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삼은 밭에서 캐낸 후 가공하지 아니한 상태의 생삼을 말하며, 백삼은 주로 4∼6년근 수삼을 원료로 하여 표피를 제거하거나 제거하지 않고 건조, 가공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삼 및 홍삼의 형태는 추출물 또는 엑기스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법, 주정(酒精)추출법 또는 혼합추출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 형태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은 추출에 앞서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분쇄 또는 분말화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추출법, 알코올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및 초임계 추출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추출법을 이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코올 추출법에 있어 사용되는 추출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 추출법의 추출용매로는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염산, 초산, 포름산, 구연산, 시클로헥산 및 석유에테르 등의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시 첨가되는 추출용매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인삼 또는 홍삼 건조 중량)에 대하여 추출용매를 2배 내지 20배(중량기준)로 사용할 수 있다. 추출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인삼 또는 홍삼에 대하여 추출용매 5배 내지 15배(중량기준)를 사용하여 2회 이상 수회 반복할 수 있다.
추출온도는 50 내지 110℃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이다. 추출시간은 추출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1시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8시간 추출한다. 또한, 추출시 교반기(shaker)로 교반할 경우에 더욱 추출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엑기스는 감압증류법이나 박막증류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삼, 홍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은 감압농축하여 고형분의 함량이 3 내지 20 브릭스(Brix)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의 함량을 3 내지 20 브릭스(Brix)로 조절하지 않으면 농도가 너무 진해서 발효가 잘되지 않고 겔화되기 때문에, 인삼, 홍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을 3 내지 20 브릭스(Brix)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은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은 인삼 또는 홍삼의 추출물에서 배양/발효시 진세노사이드 Rb1이나 Rc 등을 진세노사이드 Rg3나 Rg5로 전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진세노사이드 Rd로 전환시킴으로써 다량의 진세노사이드 Rd를 생산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은 통상적인 유산균의 배양방법에 의해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다. 배양배지로는 탄소원, 질소원, 비타민 및 미네랄로 구성된 배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포닌이 포함된 추출물 또는 조추출물이 첨가된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미생물의 배양은 통상의 유산균 배양 조건상에서 가능하며, 예컨대, 3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34℃ 내지 38℃에서 0.5일 내지 7일, 바람직하게는 3일 내지 5일 배양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7℃에서 5일 정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 내지 5일 동안 pH 6.5 내지 8.5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일 동안 35 내지 38℃의 온도에서 pH 7 내지 8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은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의 초기 사포닌 함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발효에 의해 0.5 ㎎/g 내지 100 ㎎/g의 진세노사이드 Rd가 함유된 발효인삼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인삼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른 발효에 의해 3 ㎎/g 내지 50 ㎎/g의 진세노사이드 Rd가 함유된 발효인삼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발효홍삼은 0.5 ㎎/g 내지 30 ㎎/g의 진세노사이드 Rd가 함유된 발효홍삼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를 활용하여 37℃, pH 7의 조건하에서 5일을 배양/발효시킴으로써 6배 이상의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를 참조한다.
또한, 홍삼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를 활용하여 37℃, pH 7 조건하에서 5일을 배양/발효시킴으로써 6배 이상의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pH 8의 조건하에서 5일을 배양/발효시킴으로써 11배 이상의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에 의해 생성되는 0.5 ㎎/g 내지 100 ㎎/g의 진세노사이드 R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은 pH 중성 내지 약알카리성 조건 하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를 활용하여 배양/발효시킴으로써 세포독성이 없고, 몸에 흡수가 뛰어나고 기능적 활성을 가진 진세노사이드 Rd로 더 많은 구조전환을 시킬 수 있어 기존의 인삼 또는 홍삼과 차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은 인삼 또는 홍삼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 Rd를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구조전환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은 인삼 또는 홍삼을 pH 중성 내지 약알카리성 조건 하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를 활용하여 배양/발효시킴으로써 세포독성이 없고, 몸에 흡수가 뛰어나고 기능적 활성을 가진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pH 4.0 내지 6.0의 조건에서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에 의한 발효인삼(인삼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인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변화를 분석한 결과이고;
도 4는 pH 7.0 내지 9.0의 조건에서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에 의한 발효인삼(인삼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인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며;
도 5는 pH 4.0 내지 6.0의 조건에서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에 의한 발효홍삼(홍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홍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변화를 분석한 결과이고;
도 6은 pH 7.0 내지 9.0의 조건에서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에 의한 발효홍삼(홍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홍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며;
도 7은 pH 4.0 내지 6.0의 조건에서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에 의한 발효홍삼(홍삼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홍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변화를 분석한 결과이고;
도 8은 pH 7.0 내지 9.0의 조건에서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에 의한 발효홍삼(홍삼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홍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인삼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한 발효인삼의 제조
국내산 건조 인삼(panax ginseng, 4-5년근) 100 g에 70% 에탄올 1 L를 넣고 70℃에서 18 시간 추출 한 후, 잔사에 30% 에탄올을 1 L를 넣고, 같은 조건으로 추출 여과하여 인삼 추출물을 수득한 후 감압농축 하였다.
상기 수득된 인삼 에탄올추출물을 물에 녹여 굴절계를 이용하여 브릭스(Brix) 비중을 3으로 조정하여 인삼 추출액을 제조한 후 95℃에서 10분간 가열 살균 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를 멸균된 MRS(MRS media, Difco, USA)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32℃에서 정치배양하여 활성화된 스타터(starter) 균주를 준비하였다.
인삼의 발효는 상기 제조된 인삼 추출액에 스타터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기(LiFlus GX 5L, HANIL, Korea)를 이용하여 발효시켰다.
발효 온도는 37℃, DO 100, RPM 100으로 조정하여 1N NaOH(Sodium hydroxide, SAMCHUN, Korea), 1N HCl(Hydrochloric acid, SAMCHUN, Korea)를 이용하여 pH 별(pH 4, 5, 6, 7, 8, 9), 배양/발효 시간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폴리페놀, 조사포닌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효 전·후의 총 폴리페놀 함량, 조사포닌,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은 배양/발효액을 95℃에서 10분간 살균하여 식힌 후 여과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하기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①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Folin and Denis, 1915)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추출물을 ㎎/㎖ 농도로 만든 후, 시료 200 ㎕에 2N Folin-ciocalteau reagent(Sigma, USA) 200 ㎕를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실온에 6분간 반응시킨 후 7% Na2CO3(Sigma, 99%, USA) 용액 2 mL를 가하여 실온에서 90분간 방치한 다음 UV/VIS spectrophotometer(Biomate 3S, Thermo Scientific, USA)를 사용하여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tannic acid(Sigma, USA)를 표준물질로 하여 10, 20, 30, 40, 50 mg/L 별로 준비하여 표준검량곡선을 작성하여 구하였다.
② 조사포닌 함량
시료 7.0 g을 정밀하게 달아 농축 플라스크에 취하고 감압 농축 건고한 후, 수포화 n-부탄올 용액 50 mL를 가하여 환류냉각기를 부착시켜 수욕 중에서 80℃로 1시간 가열추출한 다음 냉각한 다음, 여과지(Whatman No 2.)를 사용하여 분별 깔때기에 여과한다.
상기와 동일한 조작을 2회 더 반복한 후 여액과 세액이 들어 있는 분별 깔때기에 증류수 50 mL를 가하고 충분히 진탕 한 후 물층과 수포화 n-부탄올층을 완전히 분리한 다음 물층을 제거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조작을 2회 더 반복한 후 수포화 n-부탄올 추출액 전액을 미리 항량으로 한 농축플라스크에 옮겨 70℃ 수욕상에서 감압 농축하여 수포화 n-부탄올 용액을 제거하였다.
조사포닌이 들어 있는 농축 플라스크를 105℃ 건조기에 2시간 동안 건조한 후 방랭한 다음 무게를 달아, 하기 식에 따라 조사포닌 함량을 구하였다.
Figure PCTKR2013005090-appb-I000002
③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함량분석
진세노사이드 함량분석은 Waters-PAD(Waters 1525, detector 2998, USA)를 활용하여 물(A액)과 ACN(B액)을 하기 표 1 및 2와 같은 gradient 조건으로 flow rate 1.0 ml/min으로 하여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분석하였다.
Figure PCTKR2013005090-appb-I000003
Figure PCTKR2013005090-appb-I000004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에 의한 인삼 발효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조사하여 하기 표 3, 표 4, 도 3 내지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3005090-appb-I000005
Figure PCTKR2013005090-appb-I000006
상기 표 3 및 표 4 및 도 3의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pH 4와 5의 조건으로 배양/발효한 발효물의 경우 배양/발효기간이 늘어날수록 PPT(Protopanaxatriol) 계열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1과 Re의 함량이 줄어들고, 진세노사이드 F4와 Rh4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PPD(Protopanaxadiol) 계열 사포닌도 진세노사이드 Rb1, Rc, Rb2 등의 주요성분이 감소하고 진세노사이드 Rg3와 Rg5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pH 6의 조건으로 배양/발효한 발효물의 경우는 진세노사이드의 뚜렷한 성분전환 경향을 찾을 수 없었으나 pH 7의 조건으로 배양/발효한 발효물의 경우 진세노사이드 Rb1이 배양/발효 5일째 급격한 감소를 하는 대신에 진세노사이드 Rd가 급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표 5 및 도 4의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발효 전 5.1 mg/g이던 Rd의 함량이 5일 발효 후에는 32.0 mg/g으로 약 7배 이상으로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 인삼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pH 8에서는 배양/발효 3일째 Rd가 증가하다 5일째 다소 감소하였으며, pH 9에서는 배양/발효 5일째 PPD 계열 사포닌이 발효 전 보다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에 의한 인삼 발효물의 조사포닌 함량을 조사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3005090-appb-I000007
상기 표 5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인삼 추출물의 조사포닌 함량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를 이용한 배양/발효 3일에는 배양/발효 전 보다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양/발효 5일에는 3일 보다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발효 전과 비교하였을 때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에 의한 인삼 발효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조사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3005090-appb-I000008
상기 표 6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진세노사이드 RD의 함량과 유사하게 역시 pH 7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 6과 8의 조건으로 배양/발효한 5일째가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 조건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는 결과적으로 인삼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 pH를 중성 즉 pH 7로 조절함으로써 진세노사이드 Rb1이나 Rc 등이 진세노사이드 Rg3나 Rg5로의 전환되지 않고, 진세노사이드 Rd로 전환되게 하여 진세노사이드 Rd로 전환되게 하여 진세노사이드 Rd가 특히 고농도로 함유된 발효인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실시예 2] 홍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발효인삼의 제조
국내산 홍삼(panax ginseng, 4-5년근) 100 g에 증류수 2 L를 넣고 12시간 찜 기능을 한 후, 물 2 L를 넣고 72시간 숙성을 시켜 홍삼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홍삼 추출물을 여과한 후 95℃에서 10분간 가열 살균하여, 굴절계를 이용하여 브릭스(Brix) 비중을 5로 조정하여 홍삼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를 접종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발효시킨 후, pH 별(pH 4, 5, 6, 7, 8, 9), 배양/발효 시간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폴리페놀, 조사포닌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Figure PCTKR2013005090-appb-I000009
그 결과, 상기 표 7 및 도 5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pH 4와 5의 조건으로 배양/발효한 홍삼 발효물의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인삼 발효물에서와 같이 배양/발효기간이 늘어날수록 PPT 계열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1과 Re의 함량이 줄어들고, 진세노사이드 F4와 Rh4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PD 계열 사포닌도 진세노사이드 Rb1, Rc, Rb2 등의 주요성분이 줄어들고 진세노사이드 Rg3와 Rg5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H 6의 조건으로 배양/발효하였을 경우 주요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1, Re, Rb1, Rb2, Rc, Rd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산촉매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보이는 진세노사이드 F4, Rh4, Rg3 및 Rg5의 증가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Figure PCTKR2013005090-appb-I000010
반면 상기 표 8 및 도 6에서의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pH 7과 8의 조건으로 배양/발효하였을 때는 PPT 계열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1 및 Re 성분 변화는 없었으나 PPD 계열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b1은 급속도로 줄어들고, 진세노사이드 Rc도 배양/발효기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여 진세노사이드 Rd로 급격하게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pH 7의 조건으로 배양/발효한 홍삼 발효물의 경우 진세노사이드 Rd 함량이 발효 전 1.0 mg/g이던 것이 3일 배양/발효 후 6.6 mg/g, 5일 배양/발효 후 11.6 mg/g으로 상승되어 각각 6.6배, 11.6배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H 8로 발효하였을 경우는 진세노사이드 Rd가 발효 전 0.9 mg/g이던 것이 3일 배양/발효 후 5.3 mg/g, 5일 배양/발효 후 12.1 mg/g으로 상승되어 각각 5.8배, 13.4배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pH를 9의 조건에서는 진세노사이드의 함량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홍삼 발효물에서의 조사포닌의 함량은 상기 실시예 1의 인삼 발효물과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홍삼 발효물에 대한 폴리페놀 함량을 조사한 결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9의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홍삼 발효물에서의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 전에 비해 pH 7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pH가 증가할수록 점차 낮아졌으나 발효 전 보다는 높게 나타나, 상기 실시예 1의 인삼 발효물과 유사한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CTKR2013005090-appb-I000011
상기의 결과는 결과적으로 홍삼 열수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 pH를 중성 즉 pH 7 내지 pH 8로 조절함으로써 진세노사이드 Rb1이나 Rc 등이 진세노사이드 Rg3나 Rg5로의 전환되지 않고, 진세노사이드 Rd로 전환되게 하여 진세노사이드 Rd가 특히 고농도로 함유된 발효홍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실시예 3] 홍삼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한 발효인삼의 제조
국내산 홍삼(panax ginseng, 4-5년근)을 100 g을 1 L의 70% 에탄올로 70℃에서 8 시간식 2회, 100% 물 1 L를 넣어 2회 더 추출하여 총 4회 추출한 추출물을 여과하여 감압농축한 후, 홍삼 에탄올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홍삼 에탄올추출물을 굴절계를 이용하여 브릭스(Brix) 비중을 6로 조정하여 여과한 후 95℃에서 10분간 가열 살균하여 사용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를 접종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발효시킨 후, pH 별(pH 4, 5, 6, 7, 8, 9), 배양/발효 시간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Figure PCTKR2013005090-appb-I000012
그 결과, 상기 표 10 및 도 7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pH 4의 조건으로 배양/발효한 홍삼 발효물의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인삼 발효물에서와 같이 배양/발효기간이 늘어날수록 PPT 계열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1과 Re의 함량이 줄어들거나 검출이 안되고, PPD 계열 사포닌도 진세노사이드 Rb1, Rc, Rb2 등의 주요성분이 줄어들고 진세노사이드 Rg3와 Rg5가 5 내지 8배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H 5의 조건으로 배양/발효하였을 경우 주요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1, Re, Rb1, Rb2, Rc, Rd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Rg3 및 Rg5 역시 증가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pH 6의 조건으로 배양/발효하였을 경우 배양 3일에는 주요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1, Re, Rb1, Rb2, Rc, Rd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발효 5일부터 Rd가 3배가량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CTKR2013005090-appb-I000013
반면 상기 표 11 및 도 8에서의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pH 7의 조건으로 배양/발효물의 경우는 PPT 계열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1 및 Re 성분 변화는 없었으나 PPD 계열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b1은 급속도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진세노사이드 Rc 및 Rb2가 감소하여 진세노사이드 Rd로 급격하게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pH 7의 조건으로 배양/발효한 홍삼 발효물의 경우 진세노사이드 Rd 함량이 발효 전 0.9 mg/g이던 것이 3일 배양/발효 후 4.1 mg/g, 5일 배양/발효 후 6.9 mg/g으로 상승되어 각각 약 4.6배, 7.8배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H 8로 발효하였을 경우는 진세노사이드 Rd가 발효 전 0.9 mg/g이던 것이 3일 배양/발효 후 0.8 mg/g, 5일 배양/발효 후 1.4 mg/g으로 상승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pH를 9의 조건에서는 진세노사이드 Rd의 함량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홍삼 발효물에서의 조사포닌의 함량 및 홍삼 발효물에 대한 폴리페놀 함량은 상기 실시예 1의 인삼 발효물과 유사한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9)

  1.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ACC 11451 균주를 배양시키는 단계;와
    인삼, 홍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상기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 내지 5일 동안 pH 6.5 내지 8.5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발효 후, 진공농축, 스프레이 드라이 또는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은 열수추출법, 주정추출법 또는 혼합추출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 또는 엑기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고형분의 함량이 3 내지 20 브릭스(Brix)의 인삼, 홍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수삼, 백삼, 화기삼(Panax quinquefolium), 전칠삼(Panax notoginseng), 죽절삼(Panax japonicum), 삼엽삼(Panax trifolium) 및 히말라야삼(Panax pseudoginseng)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은 식물성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발효에 의해 0.5 ㎎/g 내지 100 ㎎/g의 진세노사이드 Rd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인삼은 3 ㎎/g 내지 50 ㎎/g의 진세노사이드 Rd가 함유되어 있으며,
    상기 발효홍삼은 0.5 ㎎/g 내지 30 ㎎/g의 진세노사이드 Rd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0.5 ㎎/g 내지 100 ㎎/g의 진세노사이드 Rd가 함유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PCT/KR2013/005090 2012-08-14 2013-06-10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02774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697 2012-08-14
KR1020120088697A KR101331171B1 (ko) 2012-08-14 2012-08-14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7742A1 true WO2014027742A1 (ko) 2014-02-20

Family

ID=4985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5090 WO2014027742A1 (ko) 2012-08-14 2013-06-10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31171B1 (ko)
WO (1) WO20140277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7327A (zh) * 2021-01-18 2021-11-16 山东安然纳米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人参不定根中人参皂苷的转化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104B1 (ko) * 2014-03-31 2016-04-28 송하석 생물전환 기술을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g3-고함유 발효 홍삼의 제조방법
KR101898513B1 (ko) 2017-02-03 2018-09-13 한국식품연구원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인삼 제조방법
KR102015044B1 (ko) 2017-11-14 2019-08-27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효소 및 자외선 UVB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홍삼 농축액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71186B1 (ko) 2018-11-05 2019-04-22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서브스페시스 락티스 HY8002와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HY8502의 유산균 조합을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587892B1 (ko) * 2021-07-21 2023-10-12 주식회사 에치와이 홍삼을 영양원으로 이용하여 균주의 특성이 강화되고 면역 기능이 증진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01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582772B1 (ko) * 2022-09-14 2023-09-26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인삼 발효물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7076A (ko) * 2007-01-15 2008-07-18 김인상 인삼사포닌의 저분자화 방법과 인삼사포닌 분해물을 이용한기능성식품 제조방법
JP2010132625A (ja) * 2008-12-08 2010-06-17 Nagase & Co Ltd 抗糖尿病剤
KR20100113717A (ko) * 2009-04-14 2010-10-22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한국인 장-유래의 사포닌 생물전환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인삼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10093477A (ko) * 2010-02-12 2011-08-18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 홍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120021944A (ko) * 2010-08-23 2012-03-09 김운영 인삼 발효용 균주에 의해 얻은 인삼 발효물을 이용한 인삼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441B1 (ko) * 2010-05-24 2010-11-30 주식회사 한국천연물사이언스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균주를 이용한 고순도 진세노사이드 Rd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7076A (ko) * 2007-01-15 2008-07-18 김인상 인삼사포닌의 저분자화 방법과 인삼사포닌 분해물을 이용한기능성식품 제조방법
JP2010132625A (ja) * 2008-12-08 2010-06-17 Nagase & Co Ltd 抗糖尿病剤
KR20100113717A (ko) * 2009-04-14 2010-10-22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한국인 장-유래의 사포닌 생물전환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인삼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10093477A (ko) * 2010-02-12 2011-08-18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 홍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120021944A (ko) * 2010-08-23 2012-03-09 김운영 인삼 발효용 균주에 의해 얻은 인삼 발효물을 이용한 인삼주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7327A (zh) * 2021-01-18 2021-11-16 山东安然纳米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人参不定根中人参皂苷的转化方法
CN113647327B (zh) * 2021-01-18 2022-06-17 山东安然纳米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人参不定根中人参皂苷的转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171B1 (ko)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27742A1 (ko)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0386B1 (ko) 유익균을 이용한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KR100789678B1 (ko)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KR101330864B1 (ko) 펙티나아제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KR101753077B1 (ko) 발효 인삼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37213B1 (ko) 산삼배양근의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의 체내흡수율을증진시키는 발효 및 숙성 처리방법
CN110934803B (zh) 一种具有美白淡斑功能的植物发酵组合物
KR101339706B1 (ko) 홍삼 포접화합물, 면역 농축물 및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 복합 조성물
KR101823585B1 (ko) 발효 인삼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824285B1 (ko) 당화 인삼 및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7308195A (zh) 一种通过固体动态发酵技术制备高活性人参皂苷的方法
KR101290795B1 (ko) 유효성분이 증가된 발효 도라지 제조방법
WO2011115341A1 (ko)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CN113621673B (zh) 复合菌株发酵人参的方法及发酵产物和用途
WO2024143881A1 (ko) 당근잎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79874A (ko) 소화 흡수율이 증진된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된 발효인삼 및 발효홍삼 제조방법
Popowski et al. Antiadhesive activity of hydroethanolic extract from bean pods of Phaseolus vulgaris (common bean) against uropathogenic E. coli and permeability of its constituents through Caco-2 cells monolayer
WO2016072655A1 (ko)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변비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5703A (ko) 저분자 진세노사이드의 제조방법
KR20130107940A (ko) 발효 홍삼 제조방법
WO2020091192A1 (ko)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및 오메가-6 지방산이 증진된 산양삼 숙성 복합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7018791A1 (ko)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인삼열매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139508B1 (ko) 생물전환된 화합물 k를 함유하는 인삼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인삼 막걸리
WO2011059212A2 (en) Preparation method of ginseng and red ginseng concentrates containing the increased amount of compound k by using pectinex
KR20120053564A (ko) 영지발효삼 음료 제조방법과 그 음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795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795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