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631B1 - 진세노사이드 대사체 함량을 높인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대사체 함량을 높인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631B1
KR101176631B1 KR1020100013986A KR20100013986A KR101176631B1 KR 101176631 B1 KR101176631 B1 KR 101176631B1 KR 1020100013986 A KR1020100013986 A KR 1020100013986A KR 20100013986 A KR20100013986 A KR 20100013986A KR 101176631 B1 KR101176631 B1 KR 101176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ginseng
ginsenoside
processed
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4532A (ko
Inventor
서형주
박정란
강승철
박인협
한두열
이유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약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약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한국생약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00013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63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4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을 2 단계에 걸쳐 효소 처리함으로써 진세노사이드 총 함량 및 진세노사이드 대사체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대사체 함량을 높인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A preparation method of processed red ginseng which increases ginsenoside metabolites}
본 발명은 맛을 향상시키고 진세노사이드 총 함량 및 진세노사이드 대사체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한반도가 원산인 한국의 특산 약용식물로 2000여년 전부터 동북아시아에서 보원기제로 사용되어 온 중요한 한약 중의 하나이다.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본초서인 신농본초경에 인삼은 오장을 보하고, 원기를 보충한다고 기록되어 있다(Namba, 1980).
인삼의 생리활성은 체계적인 약리학적 접근으로 심혈관계(Lee et al., 1981), 면역계(Jie et al., 1984), 신경계(Kim et al., 1998)에 대한 효능과 해독작용(Joo et al., 1977), 항암작용(Tahara et al., 1985) 그리고 항당뇨작용(Yokozawa et al., 1985) 등이 보고되었다. 인삼의 주요한 생리활성물질은 인삼사포닌(ginsenosides), polyacetylenes, 산성다당체, 인삼단백질, 폴리페놀물질 등이 알려져 있다(Park, 1996; Sanata et al., 1974; Kitagawa et al., 1987). 그 중에서 사포닌은 Sanata 등(1974)의 연구에 의해서 그 화학구조가 명확히 확인되었고, 항당뇨 활성(Yokozawa et al., 1985)을 비롯하여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동맥경화 및 고혈압의 예방, 간 기능 촉진 및 숙취제거효과, 항 피로 및 항 스트레스 작용, 노화방지 작용, 두뇌활동 촉진작용, 항염활성, 알레르기성 질환치료, 단백질합성능력의 촉진 등이 보고되었다(Park, 1996).
특히 사포닌은 홍삼/인삼이 생산하는 대표적인 이차대사산물이다. 이차대사산물인 사포닌(ginsenoside) 의 종류는 34종 (백삼 22종, 홍삼 30종) 분리하였다. 인삼의 사포닌 중 대표적인 ginsenoside의 함유조성 분포를 보면G-Rb1 23%, G-Re 15%, G-Rg1 19%, G-Rc 12%, G-Rb2 11% 등 다양한 ginsenoside들을 함유하고 있다. 사포닌 (ginsenoside)은 비당체 (aglycone)부분이 dammarane 계인 protopanaxadiol (PD), protopanaxtriol(PT) 및 oleanane 계로 구성되어 있고 olenane계 사포닌은 dammarane 계에 비해 극미량 함유되어 있다.
사람이 홍삼을 섭취하게 되면(구강 투여) 비극성이 높은 알카로이드 등은 위에서 흡수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다당체, 사포닌 등은 흡수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장내에 서식하고 있던 균주들이 이 성분들과 접하게 되고 이 세균들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당 부분을 이용하고 나머지는 버리게 된다. 그러면 사람은 이용하고 남은 부분 (예 compound K 등)을 혈액 내로 흡수되고 이러한 진세노사이드 대사체들이 우리 몸속으로 약효를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장내세균 대사체 또는 대사체들은 경구투여 되기 전의 사포닌들과 비교해서 대부분이 약효가 상당히 증가된다. 예를 들면 홍삼 중에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사포닌은 ginsenoside Rb1이다. 이 성분은 위나 소장에서 쉽게 흡수되지 않은 성분이다. 그러므로 사람이나 동물에게 투여를 하면 흡수가 되지 않고, 소장하부나 대장으로 이동하게 되고 여기에 서식하는 세균들과 만나게 되고 장내세균의 대사를 받게 되는 것이다.
인삼은 물리화학적인 방법에 의해서도 ginsenosides가 전환된다. 예를 들면 ginsenoside Rb1, Rb2, Rc 등은 열처리에 의해 ginsenoside Rg3로 전환된다. 이렇게 전환된 ginsenoside를 함유한 홍삼을 복용하게 되면 장내에서 장내균총에 의해 ginsenoside Rh2 나아가 protopanxadiol로 전환될 수 있다(Ren and Chen, 1999).
홍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러한 약리효과는 진세노사이드가 장내세균이나 효소에 의해 대사되어 예컨대 화합물 K(compound K), Rg3, Rg5, Rk1, Rh1 및 Rg2와 같은 이차대사산물인 진세노사이드 대사체로 전화되었을 때 발현된다.
그러므로 홍삼의 진세노사이드들을 진세노사이드로 전환시키는 홍삼의 가공 방법을 통하여 진세노사이드 대사체의 함량이 증가하고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한 가공 홍삼을 제조할 경우, 홍삼의 생리 활성 효과는 더욱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홍삼 추출물이 단순 물 추출 또는 알코올 추출에 의해 제조 됨에 따라 쓴맛이 강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는데, 현재 시판된는 홍삼 제품들에는 이러한 쓴맛을 줄여 섭취 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과 당을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홍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진세노사이드 대사체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홍삼의 가공 방법을 연구하던 중, 홍삼을 효소 가수분해할 경우 홍삼의 진세노사이드 대사체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후 상기 효소 가수분해를 하기 전 전분 분해효소로 홍삼을 처리하여 2단계 가수분해를 수행할 경우 홍삼의 진세노사이드 대사체 함량 및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현저히 증가할 뿐 아니라 홍삼 특유의 쓴맛도 제거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Park, 1996; Sanata et al., 1974; Kitagawa et al., 1987
본 발명의 목적은 맛이 좋고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진세노사이드 대사체의 함량이 높은 가공 홍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인삼을 이용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홍삼에 전분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1차 가수분해하는 단계;및 3)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홍삼 가수분해물을 가수분해 효소로 2차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가공 홍삼을 제공하며, 상기 가공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가공 홍삼은 쓴맛이 제거되어 섭취 시 거부감을 줄이며, 홍삼의 유효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진세노사이드를 인체에 흡수되어 활용되기 쉬운 형태인 진세노사이드 대사체로 높은 효율로 전환시킨다.
도 1은 HPLC로 분석한 진세노사이드의 크로마토그래피이다.
도 2는 홍삼 1차 가수분해물의 쓴맛의 정도를 보여준다(PC-0: 효소 비처리군, PC-1: spezyme prime 처리군, PC-2: spezyme prime 및 optidex 처리군(p<0.05).
본 발명은 1) 인삼을 이용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홍삼에 전분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1차 가수분해하는 단계;및 3)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홍삼 1차 가수분해물을 가수분해 효소로 2차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인삼을 이용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홍삼에 전분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1차 가수분해하는 단계;및 3)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홍삼 1차 가수분해물을 셀룰레이즈(cellulase), 펙티네이즈(pecti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아라비네이즈(arabinase), 베타-글루카네이즈(β-glucanase) 및 자일라네이즈(xylana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효소로 2차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인삼을 이용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홍삼에 전분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1차 가수분해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3)에서 수득한 홍삼 1차 가수분해물을 환류 추출하는 단계;및 4) 상기 단계 3)에서 수득한 홍삼 추출물을 가수분해효소로 2차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1) 인삼을 이용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홍삼에 전분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1차 가수분해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3)에서 수득한 홍삼 1차 가수분해물을 환류 추출하는 단계;및 4) 상기 단계 3)에서 수득한 홍삼 추출물을 셀룰레이즈(cellulase), 펙티네이즈(pecti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아라비네이즈(arabinase), 베타-글루카네이즈(β-glucanase) 및 자일라네이즈(xylana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효소로 2차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홍삼의 쓴맛을 제거하고 수율을 증가시키며 진세노사이드 대사체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가공 홍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가공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가공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인삼을 이용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홍삼에 전분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1차 가수분해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홍삼 1차 가수분해물을 가수분해 효소로 2차 가수분해하여 가공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및 4) 상기 단계 3)에서 수득한 가공 홍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1) 인삼을 이용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홍삼에 전분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1차 가수분해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홍삼 1차 가수분해물을 가수분해 효소로 2차 가수분해하여 가공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및 4) 상기 단계 3)에서 수득한 가공 홍삼을 이용하여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삼은 Panax ginseng C.A. Meyer이다. 본 발명의 인삼은 증숙 혹은 팽숙하거나 기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인삼의 녹말을 호화(糊化)하여 홍삼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인삼은 증숙한 후 건조하여 홍삼으로 제조할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인삼은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로 증숙한 후 건조시켜 홍삼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삼은 6년근 수삼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인삼의 인삼이 홍삼이 되는 과정에서, 인삼의 진세노사이드들이 생체 내에서 유용한 생리 활성을 보이는 진세노사이드 대사체들로 전환되는데, 이러한 진세노사이드 대사체에는 Rg2, Rg3, Rh1, Rh2, compound K, protopanaxatriol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전분 분해효소는 홍삼의 전분을 가수분해할 수 있는 효소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전분분해효소는 알파-아밀레이즈(α-amylase), 베타-아밀레이즈(β-amylase), 글루코아밀레이즈(Glucoamylase), 아이소아밀레이즈(Isoamylase), 풀루라네이즈(Pullulanase),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리코실트랜스퍼레이즈(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CGTase)) 등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전분 분해효소는 알파-아밀레이즈(α-amylase), 글루코아밀레이즈(glucoamylas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전분 분해효소는 알파-아밀레이즈 및 글루코아밀레이즈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홍삼 2차 가수분해를 위한 가수분해효소는 셀룰레이즈(cellulase), 펙티네이즈(pecti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아라비네이즈(arabinase), 베타-글루카네이즈(β-glucanase), 자일라네이즈(xylanase), 람노시다제(rhamnosidas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셀룰레이즈, 펙티네이즈, 헤미셀룰레이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홍삼 2차 가수분해를 위한 가수분해효소는 셀룰레이즈, 펙티네이즈 및 헤미셀룰레이즈의 혼합물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홍삼 2차 가수분해는 시판 중인 효소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라피데이즈(Rapidase)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가공 홍삼을 제공한다. 상기 가공 홍삼은 가공된 홍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지만 상기 가공 홍삼을 재가공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가공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가공 홍삼의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식품 조성물의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반 식품,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이 될 수 있으며, 항산화 식품 또는 면역기능 증진용 건강보조식품이 될 수 있다. 이때 식품 조성물은 식품 첨가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가공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가공 홍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전체 원료에 대하여 5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풍미, 소비자의 기호, 경제성 등에 따라 그 양을 증감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가공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제는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공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종류의 식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가공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가공 홍삼의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화장품 제조에 허용되는 담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비누, 샴푸,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스킨, 토너),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젤, 피부 접착용 패치, 파우더, 피부외용연고, 첩포제, 현탁액, 에멀젼 스프레이,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위터, 팩, 헤어 에센스 또는 미용액 등의 통상의 화장료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의 경우 담체 성분으로는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킨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는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으며, 그의 예로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젠 알코올, 벤젠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가공 홍삼을 이용하여 화장 조성물을 제조 시 제형이 현탄액의 경우 담체 성분으로는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 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는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재료 및 방법
홍삼 가수분해물의 생리활성의 측정
폴리페놀함량은 Folin-Denis 법(Dewanto et al., 2002)으로 측정하였으며, 총당과 산성당의 함량은 phenol-sulfuric acid법 및  Blumenkrantz과 Asboe-Hansen법(Blumenkrantz and Asboe-Hansen, 1973)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홍삼 가수분해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의 측정
홍삼 가수분해물의 생리활성 물질인 진세노사이드 함량의 변화는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Sep-Pak C18 solid-phase extraction column (Waters Plus tC18 cartridge, 37-55 μm, Waters Etten-Leur, The Netherlands)방법(Lou et al. 2005)을 이용하여 홍삼추출액에서 gisenoside 분획을 분리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HPLC 장치는 Varian HPLC system (Varian, Inc., Palo Alto, CA)을 사용하였다. HPLC 컬럼은 IMtakt Cadenza CD-C18(4.6X75mm, Imtakt Corporation, Japan)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10% CH3CN(A) 와 90% CH3CN(B)을 사용하여 solvent A의 비율을 89%(0-11분), 89%에서 84%(11-15분), 84%에서 80%(15-16분), 80%에서 79%(16-18분), 79%(18-24분), 78%(25-35분), 77%(36-45분), 76%에서 63%(45-53분), 63%에서 55%(53-61분), 55%에서 54%(61-66분), 54%에서 52%(66-73분), 52%(73-75분), 52%에서 89%(75-77분), 89%(77-85분)으로 순차적으로 조절하였다. Column 온도는 40 ℃, 유속은 분당 1.3 mL, injection volume은 5 μL, UV 파장은 203 nm으로 설정하여 도 1과 같이 분석하였다.
홍삼 가수분해물의 쓴맛 평가
홍삼 추출액의 쓴맛의 정도는 쓴맛의 표준물질인 quinine을 사용하여 식품영양학과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다. 0 g/L 및 0.015 g/L quinine 사용하여 쓴맛의 정도를 훈련 후 9점 채점법에 의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Hebert and Joel, 1993). 이때 쓴맛의 정도는 매우 약함(1점), 약함(3점), 보통(5점), 강함(7점), 매우 강함(9점)의 5점 척도로 쓴맛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2> 홍삼 1 단계 가수분해물의 활성
가수분해효소
Econase CE, Rapidase, Viscozyme, Ultraflo L, Cytolase PCL 5 를 사용하여 홍삼 1단계 가수분해를 수행하였다. 이들의 특성은 표 1과 같다.
Enzyme Main activity Source Optimum condition
pH Temp
Econase CE Cellulase Trichoderma sp. 4.0-5.5 55
Rapidase pectinase, hemicellulase,
cellulase
Asp. Niger & T. longibrachiatum 4.0-5.0 10-55
Viscozyme arabinase, cellulase,
β-glucanase,
hemicellulase, xylanase
Asp. sp 3.3-5.5 40-50
Ultraflo L β-glucanase Humicola insolens 6 40
Cytolase PCL 5 pectinase Asp. Niger 2.5-5.0 10-55
홍삼 1단계 가수분해물의 제조
홍삼분말 6 g에 인산염완충용액(50 mM, pH 5.0) 30 mL을 가하여 현탁 후, 효소 200 μL을 가하여 45 ℃, 12 시간 가수분해를 행하였다. 이때 효소는 Econase CE, Rapidase, Viscozyme, Ultraflo L, pectinex, Cytolase PCL 5이며, 이들을 각각 200 μL 씩 가하여 홍삼 분말 1단계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대조군으로는, 효소처리를 하지 않고 그 외에는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홍삼 분말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홍삼 1단계 가수분해물의 생리 활성
효소에 의해 홍삼 분말을 가수분해시 성분 변화를 측정한 결과(표 2), 효소 처리하지 않은 시료인 RH-0은 총당, 산성당, 폴리페놀 및 건물량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즉, 효소 처리에 의해 식물세포 안에 결합되어 있던 당, 산성당, 폴리페놀 등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그 결과 건물량 역시 증가하였다. 산성당은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폴리페놀 성분 역시 많은 질병의 원인인 라디칼을 소거 할 수 있는 능력을 높임으로써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한다. 생리활성을 측정한 결과, Rapidase 및 Cytolase처리 시 홍삼 분말의 성분 변화가 뚜렷한 것이 확인되었다.
효소 가수분해물 효소
(200 μL)
총 당
(mg/mL)
산성당
(μg/mL)
폴리페놀
(μg/mL)
건물량
(%)
RH-0 대조군
(효소 미처리)
143.83±14.57 231.31±23.14 436.89±12.20 10.33±0.33
RH-1 Ultraflo L 171.21±41.45 1857.58±75.76 554.99±9.83 12.19±0.25
RH-2 Rapidase 180.02±7.57 2206.06±15.15 616.33±20.02 12.97±0.32
RH-3 Viscozyme 159.55±30.11 1000.00±75.76 492.94±31.16 12.06±0.30
RH-4 Cytolase PCL5 191.45±43.52 2818.82±131.22 503.87±26.89 11.70±0.38
RH-5 Econitase CE 197.64±36.71 1019.19±280.34 508.45±10.16 12.17±0.34
홍삼 1단계 가수분해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효소처리전 ginsenoside의 총합은 24414.4 μg/mL이었으나 효소 처리시 25376.2-29466.8 μg/mL로 증가하여 다소 높은 수준이 되었다. 한편, 흡수되기 쉬운 형태인 대사체는 RH-0 이 3619.7 μg/mL이었으나, 효소처리 시 6274.9-7900.3 μg/mL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홍삼이 지닌 활성은 주로 진세노사이드에 기인 하며, 홍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는 섭취시 장내 미생물에 의해 당이 적거나 당이 감소한 진세노사이드 대사체로 전환되어 흡수된다. 그러므로 대사체(metabolite)함량이 높을수록 홍삼의 효능이 높다. 홍삼 가수분해 전후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측정, 비교한 결과, 기존의 홍삼에 비하여 효소 처리한 홍삼의 대사체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바, 기존의 홍삼에 비하여 우수한 생리활성을 부여할 것으로 보인다.
진세노사이드 홍삼 1단계 가수분해물 (μg/mL)
대조군 Ultraflo L (RH-1) Rapidase (RH-2) Viscozyme (RH-3) Cytolase Econitase (RH-5)
(RH-0) (RH-4)
CK 0 0.0 0 0 0 0
Rh2 343.5 309.1 215.9 158.7 190.7 208.2
Rh1 45.7 158.9 306.4 75.2 79.2 113.9
Rg5+RK1 3015.4 6799.3 6161.1 5410.1 5983.6 5907.8
Rg2 365.1 505.0 874 341.8 310.7 409.0
Rg3 193.5 437.1 356.4 447.8 438.5 435.2
Rg1 987.4 1125.1 993 995.4 696.4 1017.9
Rf 878.1 848.0 681.7 805.1 764.6 828.2
Re 3277.3 3293.2 3321.8 3157.5 2690.6 3232.1
Rd 2308.6 3239.2 3771.7 2474.4 2606.4 2887.1
Rb2+Rc 6697.7 7447.4 3878.1 6905.3 6977.1 7137.3
Rb1 6302.1 5304.5 4816.1 5829.3 5742.9 5157.3
Total 24414.4 29466.8 25376.2 26600.6 26480.7 27334
대사체 3619.7 7900.3 7697.9 6274.9 6812.0 6865.9
*대사체: CK, Rg3, Rg5, Rk1, Rh1 및 Rg2
<실시예 3> 홍삼 2 단계 가수분해물의 활성
<실험예 1> 홍삼 1차 가수분해물의 활성
가수분해효소
Genencor INC에서 생산하는 spezyme prime와 optidex L-400을 사용하여 홍삼 1차 가수분해를 수행하였다. 이들의 특성은 표 4와 같다.
Enzyme Source Activity Opt. Temp Opt. pH enzyme
Spezyme Prime Asp. niger 360 GAU/mL 85-90℃ 6.2-6.5 α-amylase
Optidex L-400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6700-7300 AAU/g 58-65℃ 4.0-4.5 glucoamylase
Spezyme Prime 및 Optidex L-400의 특성
홍삼 1차 가수분해물의 제조
홍삼분말 6 g에 인산염완충용액(50 mM, pH 5.0) 30 mL을 가하여 현탁 후, 효소 200 μL을 가하여 45℃, 12 시간 가수분해를 행하였다. 이때 spezyme prime만 처리한 홍삼 분말 가수분해물 및, spezyme prime + optidex L400을 동시에 처리한 홍삼 분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대조군으로는, 효소처리를 하지 않고 그 외에는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홍삼 분말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홍삼 1차 가수분해물의 생리 활성
홍삼분말의 효소처리시의 수율을 의미하는 홍삼 추출액의 건물량(dry weight)은 홍삼 열수추출물(PC-0) 12.63%, Spezyme prime 처리(PC-1)시 13.59 %였으나, spezyme prime + optidex 처리(PC-2)시 15.66 %로 추추물의 수율 증가를 확인하였다. 특히 PC-2 가수분해물은 단순 열수 추출한 PC-0에 비해 24.1 % 수율이 증가하였다.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spezyme prime과 optidex 처리시 총 당 함량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홍삼이 함유하고 있는 전분이 전분 분해 효소인 spezyme prime과 optidex의 작용에 의해 당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총 당 함량뿐 아니라 면역활성물질로 알려진 산성당(uronic acid) 함량 역시 증가하였다. 또한 항산화 등 식물체의 생리활성 성분이 폴리페놀 함량도 증가하였다(표 5).
홍삼 1차 가수분해물 건물 양(%) 총 당(mg/mL) 산성당
(μg/mL)
폴리페놀
(μg/mL)
PC-0 대조군 12.63±0.60c 178.60±14.04b 5918.18±196.97c 540.18±4.27b
PC-1 Spezyme prime 처리군 13.59±0.98bc 193.12±34.75ab 7897.98±260.82b 503.17±10.85c
PC-2 Spezyme prime + optidex 처리군 15.66±1.67a 236.21±16.89a 9039.40±213.74a 608.57±7.94a
홍삼 1차 가수분해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단순 열수 추출(PC-0)시 15957.95 μg/mL이었으나, spezyme prime 및 spezyme prime + optidex를 처리(각각 PC-1과 PC-2)시, 각각 21075.61 μg/mL과 31850.66 μg/mL으로 총 진세노사이드이 32.1 % 및 99.6 %로 증가하였다. 또한 흡수되기 쉬운 형태의 진세노사이드인 진세노사이드 대사체의 함량이 PC-0은 3220.96 μg/mL이었으나, 효소처리 후 PC-1은 6258.67 μg/mL, PC-2는 20897.22 μg/mL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효소 처리전에 비해 진세노사이드 대사체 함량은 spezyme prime 처리(PC-1)시 94.3%, spezyme+optidex 처리(PC-2)시 548.8% 증가하였다.
진세노사이드 홍삼 1차 가수분해물 (μg/mL)
PC-0
(대조군)
PC-1
(Spezyme prime 처리군)
PC-2
(Spezyme prime + optidex 처리군)
Rh2 0 0 110.92
Rh1 129.37 154.69 270.21
Rg5+RK1 2184.77 4730.5 17256.39
Rg2 395.86 503.22 1024.08
Rg3 510.96 870.26 2346.54
Rg1 444.47 422.47 620.4
Rf 694.37 334.1 769.59
Re 303.72 1677.74 1135.32
Rd 1889.72 1947.38 1597.12
Rb2 1167.82 1494.45 999.91
Rc 2537.52 3954.57 2543.76
Rb1 5699.38 4986.22 3176.43
대사체 3220.96 6258.67 20897.22
총 진세노사이드 15957.95 21075.61 31850.66
*대사체: Rg3, Rg5, Rk1, Rh1 및 Rg2
홍삼 1차 가수분해물의 맛 변화
홍삼 추출액을 활용시 진세노사이드에 의한 쓴맛의 증가는 기호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이다. 효소 처리하여 얻은 홍삼 분말 가수분해물에 대한 쓴맛의 완화 장도를 측정한 결과(도 2), PC-0은 5.8점, PC-1은 5.4점, PC-2는 3.4점이었다. 전분을 dextrin형태로 분해하는 spezyme prime의 특성상 단맛은 거의 증가하지 않았으나, glucoamylase인 optidex는 전분을 포도당 단위로 분해하므로 단맛을 증가시켜 홍삼의 쓴맛을 완화시켰다.
홍삼 1차 가수분해물 쓴맛의 정도
PC-0 5.80±0.84b
PC-1 5.40±1.14b
PC-2 3.40±1.69a
<실험예 2> 홍삼 2차 가수분해물의 활성
홍삼 2차 가수분해물의 제조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한 홍삼 1차 가수분해물 PC-2(홍삼 spezyme prime+ optidex 가수분해물) 에 증류수 300 mL을 가하여 3시간 동안 환류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 과정을 3회 실시하고, 3회 추출한 액을 20 brix로 농축하여 이를 홍삼 추출액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홍삼 추출액(20 brix) 30 mL에 Econase CE, Rapidase, Viscozyme, Ultraflo L, Cytolase PCL 5 를 각각 300 μL씩 가하여 12시간 반응시켜 2차 가수분해를 수행하여 홍삼 내 진세노사이드를 전환시켰다. 반응 종료 후 95 ℃에서 15분간 가열 처리하였다. 상기 시판되는 상업 효소들의 특성은 표 1과 같다.
홍삼 2차 가수분해물의 생리 활성
총당의 함량은 econase를 처리한 경우를 제외하고 효소 처리한 2차 가수분해물이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높은 700.12 내지 831.07 mg/mL을 보였으며, 면역활성 증진물질인 산성당(unronic acid)의 함량은 viscozyme 처리를 제외한 나머지 효소 처리시 9944.44 내지 11914.14 μg/mL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다. 효소 처리한 홍삼 2차 가수분해물이 2차 가수분해를 거치지 않은 대조군(홍삼 1차 가수분해(Spezyme prime + Optidex L400) 후 환류추출한 농축액)에 비해 다소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으나, 큰 차이는 아니었다. 또한 수율을 의미하는 건물량(dry weight) 역시 효소처리 전, 후의 값의 차이는 미미하였다(표 8).
홍삼 2차 가수분해물 효소
(200 μL)
총 당량
(mg/mL)
산성당
(μg/mL)
폴리페놀
(μg/mL)
건물량
(%)
RG-0 대조군
(효소 미처리)
660.83±2.06c 8227.27±2258.80bc 1096.13±28.17 50.93±0.99ab
RG-1 Ultraflo L 804.88±25.34ab 10853.53±1259.34ab 1091.90±89.31 50.87±0.70ab
RG-2 Rapidase 831.07±43.45a 9944.44±1422.01abc 1118.69±20.76 51.27±0.42a
RG-3 Viscozyme 700.12±75.28c 7823.23±1461.81c 1126.80±35.59 50.60±1.11ab
RG-4 Cytolase PCL5 741.79±30.93bc 11914.14±1704.69a 1138.08±20.15 49.33±0.83b
RG-5 Econitase CE 569.17±57.18d 11787.88±757.57a 1121.16±25.99 50.13±0.83ab
홍삼 2차 가수분해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홍삼 2차 가수분해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변화는 표 9와 같다. 효소 처리 하지 않은 대조군의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139286.18 μg/mL인 반면, 2차 가수분해물의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101110.42 내지 167345.67 μg/mL 이었다. 특히 Rapidase를 처리한 RG-2는 168145.67 μg/mL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인체에 흡수되어 활성을 보이기 용이한 진세노사이드인 대사체 함량은 대조군인 RG-0가 15577.68 μg/mL인 반면, Rapidase, Cytolase, Econase로 2차 가수분해 시킨 RG-2군, RG-4군, RG-5군는 각각 22058.6, 18132.33, 17321.19 μg/mL로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Rapidase처리시 Rg2 및 Rg3 함량은 5225.24, 8824.94 μg/mL으로 대조군(3955.8, 6099.2 μg/mL)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보였는바, Rapidase 처리 시 진세노사이드의 전환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홍삼 분말을 이용하여 Spezyme prime 및 Optidex를 12시간 처리하여, 맛의 개선, 수율의 증대 및 ginsenoside의 대사체로의 전환율을 높인 후, 이를 Rapidase로 2차 가수분해하는 것이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인체에 흡수되기 쉬운 형태의 진세노사이드 대사체로의 전환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Ginsenoside concentration (μg/mL)
control Ultraflo L (RG-1) Rapidase (RG-2) Viscozyme (RG-3) Cytolase Econitase (RG-5)
(RG-0) (RG-4)
Rh2 0 0 0 0 0 0
Rh1 1255.93 0 1348.53 1242.33 1309.65 1192.07
Rg5+RK1 4266.75 2518.57 6659.89 4174.45 5270.91 4928.61
Rg2 3955.8 3370.18 5225.24 3897.75 4435.12 4349.08
Rg3 6099.2 4938.92 8824.94 6644.55 7116.65 6851.43
Rg1 3046.7 2564.44 4252.41 3107.78 3584.72 3232.55
Rf 3105.12 2611.34 3975.95 3433.49 3395.56 3599.24
Re 12747.83 9646.85 17753.38 12495.55 13237.58 12931.16
Rd 19099.82 14541.19 25765.73 17798.86 22280.93 18390.04
Rb2 12754.84 9096.86 14548.68 11306.06 12172.9 11301.34
Rc 37397.42 27096.66 35475.66 27185.24 27478.77 27441.63
Rb1 35556.77 24725.41 44315.26 33622.06 36324.43 33614.52
Total 139286.18 101110.42 168145.67 124908.12 136607.22 127831.67
대사체 15577.68 10827.67 22058.6 15959.08 18132.33 17321.19
*대사체: Rg3, Rg5, Rk1, Rh1 및 Rg2
본 발명의 가공 홍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가공 홍삼은 홍삼 특유의 쓴맛을 제거하고 진세노사이드를 체내 흡수 및 활성에 유용한 진세노사이드 대사체로 효과적으로 전환시킨다. 또한 상기 가공 홍삼의 제조방법은 높은 수율로 가공 홍삼을 수득하게 하므로 홍삼의 이용 및 섭취 효율을 높여준다.

Claims (7)

1) 인삼을 이용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홍삼에 전분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1차 가수분해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홍삼 1차 가수분해물을 환류 추출하는 단계;및
4) 상기 단계 3)에서 수득한 홍삼 추출물을 셀룰레이즈(cellulase), 펙티네이즈(pecti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아라비네이즈(arabinase), 베타-글루카네이즈(β-glucanase) 및 자일라네이즈(xylana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효소로 2차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홍삼의 쓴맛을 제거하고 수율을 증가시키며 CK, Rg3, Rg5, Rk1, Rh1 및 Rh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진세노사이드 대사체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전분 분해효소는 알파-아밀레이즈(α-amylase), 글루코아밀레이즈(glucoamylas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의 효소는 셀룰레이즈, 펙티네이즈, 헤미셀룰레이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의 효소는 라피데이즈(Rapida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가공 홍삼.
제 5항의 가공 홍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제 5항의 가공 홍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13986A 2010-02-17 2010-02-17 진세노사이드 대사체 함량을 높인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 KR101176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986A KR101176631B1 (ko) 2010-02-17 2010-02-17 진세노사이드 대사체 함량을 높인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986A KR101176631B1 (ko) 2010-02-17 2010-02-17 진세노사이드 대사체 함량을 높인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532A KR20110094532A (ko) 2011-08-24
KR101176631B1 true KR101176631B1 (ko) 2012-08-23

Family

ID=4493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986A KR101176631B1 (ko) 2010-02-17 2010-02-17 진세노사이드 대사체 함량을 높인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047B1 (ko) * 2012-05-25 2013-05-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알지3, 알지5 및 알케이1의 함량비율이 증가된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65502B1 (ko) * 2016-12-26 2020-01-13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 시럽의 제조 방법
KR101982680B1 (ko) * 2017-06-05 2019-05-27 금산덕원인삼약초영농조합법인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1563B1 (ko) * 2018-04-06 2020-01-30 제너럴바이오(주) 진세노사이드 Rg2가 강화된 인삼발효분말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591931B1 (ko) * 2023-02-28 2023-10-26 한국콜마주식회사 서양톱풀 효소 처리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532A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4869B2 (ja) 糖不含有パイナップル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KR100975278B1 (ko) 효소 가수분해를 이용한 천년초의 추출 방법
CN102743322A (zh) 竹荪提取物在化妆品中的应用
KR101176631B1 (ko) 진세노사이드 대사체 함량을 높인 가공 홍삼의 제조 방법
CN111434652B (zh) 双尿嘧啶、其用途及其制备方法
KR20090086806A (ko)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50005430A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JP5534747B2 (ja) アクアポリン産生促進剤
JP4441177B2 (ja) フェノール類含有シソ科植物エキスの製造法及びその用途
KR101511308B1 (ko) 홍삼박 또는 여정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조성물
JP6096943B2 (ja) 飲食品組成物
JP2013203683A (ja) Ii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WO2011043212A1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及び保湿剤
JP2008297214A (ja) 美肌作用を有する組成物
KR20140134572A (ko) 복합효모 대두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083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케피어 그레인 배지 조성물 및 그 배지 조성물에 의한 발효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91038B1 (ko) 알러지 및 탈모 개선용 산양삼 발효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21578A (ko) 갈릭산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17002B1 (ko) 금강송 간벌 부산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아토피 조성물
JP4542765B2 (ja) 酵素阻害剤
KR101680294B1 (ko)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WO2019021485A1 (ja) グネチンc高含有メリンジョ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66460A (ko) 람부탄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JP5782534B2 (ja) アクアポリン産生促進剤
JP7411205B2 (ja) AGEs形成抑制剤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