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6806A -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806A
KR20090086806A KR1020080012278A KR20080012278A KR20090086806A KR 20090086806 A KR20090086806 A KR 20090086806A KR 1020080012278 A KR1020080012278 A KR 1020080012278A KR 20080012278 A KR20080012278 A KR 20080012278A KR 20090086806 A KR20090086806 A KR 20090086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mpa
ginsenoside
pressur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0455B1 (ko
Inventor
서형주
신광순
오성훈
김태영
윤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티씨
(주) 세종고려인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티씨, (주) 세종고려인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티씨
Priority to KR1020080012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4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6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4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6Ultra high press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20 내지 110MPa의 압력 하에서 인삼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를 추출하며, 추출 전 또는 추출과 동시에 베타-글루카네이즈(β-glucanase), 펙티네이즈(pecti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셀룰레이즈(cellulase), 아라비네이즈(arabinase) 및 자일라네이즈(xylana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를 가하여 인삼을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진세노사이드의 추출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추출방법이 개시된다.
초고압, 진세노사이드, 인삼, 홍삼, 효소, 가수분해, 펙티네이즈, Rg2, Rg3, Rb1, 셀룰레이즈

Description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extract of ginseng using ultra high pressure}
본 발명은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높은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중에서 특히 Rg1, Rg2, Rg3 및 Rb1의 함량이 높은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수삼, 백삼, 홍삼, 산삼, 장뇌, 미삼, 원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가장 넓은 개념이다. 인삼은 중국 등 한방의학에서 매우 가치가 높은 의약품으로 이용되어온 천연물 소재이다. 수많은 의서에 인삼의 약효가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장구한 이용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임상연구를 통한 과학적인 규명은 부족한 형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의학이 소개된 지금도 보약으로서 인삼의 인기가 떨어지지 않고, 건강기능식품 중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오랜 임상 역사가 인정하는 약효를 나타내고 부작용이 적으며 안전도가 높은 생약이란 이유일 것이다.
인삼의 주된 기능성 성분은 식물체의 여러 사포닌 중 인삼 사포닌만을 특별하게 구분하여 명명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 불리우는 인삼 사포닌이다.
인삼 성분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시작된 것은 1960년대 이후라고 볼 수 있다. 사포닌의 화학구조를 보면 크게 당부분(glycone)과 비당부분(aglycone)으로 구성된 배당체이다. 이러한 사포닌이 체내에서 흡수될 때는 사람의 장내에 있는 특유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체내로 흡수 되어진다. 하지만 인삼 사포닌을 분해하는 장내 미생물은 사람의 체질에 따라 그리고 식습관 따라 그 존재의 유무와 보유하고 있는 정도가 다르다. 이로 인해 인삼의 복용 후 사람마다 효능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어떤 사람은 사포닌 중 디올(diol) 형태만을 흡수하고, 어떤 사람은 트리올(triol) 형태만을 흡수하며, 어떤 사람은 인삼 사포닌을 전혀 흡수를 하지 못하게 된다.
백삼과 홍삼의 성분의 차이는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종류와 함량의 차이이다. 백삼에는 진세노사이드 Ra, Rb1, Rb2, Rc, Rg1, Re 등이 주로 함유되어 있다. 홍삼은 상기 백삼에 있는 성분들이 찌는 과정에서 물리화학적 전환체가 형성된다. 예컨대, 찌는 과정에서 진세노사이드 Rg3가 다량 생성된다. 그 외에도 홍삼에는 진세노사이드 Rh2, Rh1 등을 소량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서로 전혀 다른 생리활성을 갖고 있다. 백삼은 분자량이 큰 다당체를 많이 함유하고 있지만, 산성다당체는 홍삼에 비해 낮다. 홍삼에는 분자량이 백삼에 비해 작은 다당체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인삼의 주성분은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들이며 프로토파낙사디 올(protopanaxadiol)계인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등과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계인 진세노사이드 Re, Rg1, Rf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성분들의 대표적인 약리작용으로는 항암 활성, 항염증, 항당뇨 작용 등을 들 수 있다. 이 성분들을 가지고 직접 암세포를 이용하여 인 비트로(in vitro)에서 항암 활성 등을 측정하면 활성이 없다. 그러나, 이 성분들이 경구 투여되는 경우에는 장내세균의 대사를 받아 컴파운드 케이(compound K)와 같은 화합물로 전환되면 강한 암세포 독성과 암전이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진세노사이드가 상기한 장내세균의 대사를 받는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계 화합물인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등은 진세노사이드 F2를 경유하여 컴파운드(compound) K로 대사된다. 이러한 대사 반응은 장내 우세균인 박테로이드(Bacteroides)속, 푸소박테이룸(Fusobacterium)속, 프로베텔라(Provetella)속 균주 등에 의해 촉매된다. 또한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계 화합물인 진세노사이드 Re, Rg1, Rf 등은 상기 균주들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Rh1 또는 F1로 대사되고 더 나아가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로 대사된다.
물리화학적인 방법에 의해서도 인삼의 성분들이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삼 중의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등은 열처리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Rg3로 전환될 수 있다. 이렇게 전환된 인삼 사포닌을 함유한 인삼을 복용하게 되면 장내에서 장내세균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Rh2로 전환될 수 있고 나아가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xadiol)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의 차이는 인삼 약효의 차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만약,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가 많이 함유된 백삼의 경우에는 컴파운드 K가 혈액 중으로 많이 이행될 수 있다. 한편, 진세노사이드 Rg3가 많은 홍삼의 경우에는 진세노사이드 Rh2가 혈액 중으로 많이 이행될 수 있다. 그 외에 다른 인삼 사포닌들 역시 혈액 중으로 이행되는 양상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인삼의 약효를 평가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추출은 식물체로부터 유용성분을 분리하는 가장 중요한 공정이다. 인삼으로부터 유용성분인 진세노사이드를 추출하기 위해 많은 추출방법들이 사용되었다. 전통적인 추출방법으로는 용매를 이용한 가열추출방법이다. 이러한 추출방법은 오랜시간이 소요되며, 추출효율이 낮은 단점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많은 성분들이 열에 불안정하므로 가열 추출하는 과정 중에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도입된 신기술 중 하나로서 초음파를 활용한 추출방법이 있다. 초음파 추출은 에너지를 용매에 신속히 전달할 뿐만 아니라 추출 대상 시료에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초음파 기술은 추출용매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음파진동의 기계적 충격에 의해 세포막이 파괴되어 세포 내용물의 용출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산업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초임계추출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 방법은 지용성물질의 추출에는 용이하나 수용성 성분의 추출에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들은 추출에 장시간이 요하거나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인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높은 인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진세노사이드 중에서 특히, Rg1의 함량이 높은 인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진세노사이드 중에서 특히, Rg2의 함량이 높은 인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진세노사이드 중에서 특히, Rg3의 함량이 높은 인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진세노사이드 중에서 특히, Rb1의 함량이 높은 인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20 내지 110MPa의 압력 하에서 인삼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 전 또는 추출과 동시에 베타-글루카네이즈(β-glucanase), 펙티 네이즈(pecti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셀룰레이즈(cellulase), 아라비네이즈(arabinase) 및 자일라네이즈(xylana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를 가하여 인삼을 가수분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식품 조성물은 20 내지 110MPa의 압력 하에서 인삼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식품 조성물은 20 내지 110MPa의 압력 하에서 추출 전 또는 추출과 동시에 베타-글루카네이즈(β-glucanase), 펙티네이즈(pecti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셀룰레이즈(cellulase), 아라비네이즈(arabinase) 및 자일라네이즈(xylana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를 가하여 인삼을 가수분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높은 인삼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진세노사이드 중에서 Rg1, Rg2, Rg3 및 Rb1의 함량이 높은 인삼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초고압 반응을 도입한 것이다. "초고 압" 이란 2~3만 atm을 초과하는 높은 압력으로서, 실용화된 장비를 이용하면 1000만 atm 정도를 얻을 수 있다.
초고압 반응기는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초고압 반응기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일본 동양고압사의 DFS-2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압력은 20 내지 110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20MPa 미만이면 추출 효율이 미미하고, 110MPa을 초과하면 추출 효율 증가 폭이 둔화되어 비경제적이거나 특정 성분의 경우 추출 효율이 오히려 떨어지기 때문이다.
진세노사이드 Rg1의 경우, 펙티네이즈(pecti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및 셀룰레이즈(cellula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펙티네이즈이다. 이 때 바람직한 추출 시의 압력은 20 내지 40MPa 또는 90 내지 110MPa이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진다.
진세노사이드 Rg3의 경우, 베타-글루카네이즈(β-glucanase), 펙티네이즈(pecti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및 셀룰레이즈(cellula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추출 시의 압력은 40 내지 90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 범위를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진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MPa의 압력 하에서 셀룰레이즈로 가수분해하는 것이다.
진세노사이드 Rg2의 경우, 가수분해 효소로서 펙티네이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시의 압력은 90 내지 110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 범위를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진다.
진세노사이드 Rb1의 경우, 추출 시의 압력은 20 내지 40MPa 또는 90 내지 110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 범위를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진다. 효소는 펙티네이즈, 헤미셀룰레이즈 및 셀룰레이즈의 조합, 또는 펙티네이즈 단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추출 시의 압력이 20 내지 40MPa이면서 효소로는 펙티네이즈, 헤미셀룰레이즈 및 셀룰레이즈의 조합을 사용하거나, 추출 시의 압력이 90 내지 110MPa이면서 효소로는 펙티네이즈 단독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인삼을 가수분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효소인 셀룰레이즈의 예로서, 트리코더마(Tricholderma)속에서 유래된 셀룰레이즈를 들 수 있다. 트리코더마(Tricholderma)속 유래 셀룰레이즈로는 Econase CE (AB Enzymes GmbH, Darmstadt, Germany)를 들 수 있다. Econase CE의 최적 pH는 4.0 내지 5.5이며, 최적 온도는 55℃이다.
셀룰레이즈 활성을 갖는 또 다른 효소를 예를 들면, Rapidase (DSM, Delft, Netherlands) 및 Viscozyme (Novozymes, Dittingen, Switzerland)을 들 수 있다. Rapidase는 아스퍼질러스 나이저(Asp. Niger) 또는 티. 롱기브라키아툼(T. longibrachiatum)으로부터 유래된 효소로서, 셀룰레이즈 활성 이외에도 펙티네이즈(pecti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활성을 갖고 있다. Rapidase의 최적 pH는 4.0 내지 5.0이고, 최적 온도는 10 내지 55℃이다. Viscozyme은 아스 프.(Asp.) 속으로부터 유래된 효소로서, 셀룰레이즈 활성 이외에도 아라비네이즈(arabinase), 베타-글루카네이즈(β-gluca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자일라네이즈(xylanase) 활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인삼을 가수분해하기 위한 효소로서 펙티네이즈를 사용할 수 있다. 펙티네이즈의 예로서, Cytolase PCL 5 (Gist-Brocades, Seclin, France)를 들 수 있다. Cytolase PCL 5는 아스프. 니거(Asp. Niger)로부터 유래된 펙티네이즈로서, 최적 pH는 2.5 내지 5.0이고 최적 온도는 10 내지 55℃이다. 상기 언급한 Rapidase 역시 펙티네이즈의 활성을 갖고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인삼을 가수분해하기 위한 펙티네이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인삼을 가수분해하기 위한 효소로서 헤미셀룰레이즈를 사용할 수 있다. 헤미셀룰레이즈로서 앞서 언급한 Rapidase 또는 Viscozyme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인삼을 가수분해하기 위한 효소로서 베타-글루카네이즈(β-glucanase)를 사용할 수 있다. 베타-글루카네이즈의 예로 Ultraflo L (Novozymes, Dittingen, Switzerland)을 들 수 있다. Ultraflo L은 휴미콜라 인솔렌즈(Humicola insolens)로부터 유래된 효소로서 최적 pH가 6이고 최적 온도는 40℃이다. 앞서 언급한 Viscozyme 역시 베타-글루카네이즈 활성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 Ultraflo L 대신 Viscozyme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효소는 아라비네이즈(arabinase), 자일라네이즈(xylanase) 등을 들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Rg1은 면역기능 증강작용, 혈소판 응집억제, 항트롬빈, 기억 및 학습기능 증진작용, 단백질합성 촉진작용, 항피로 작용, 항스트레스작용, 중추 흥분작용, 혈관확장작용, 고온환경 및 내인성 발열물질 등 유해자극 방어작용, 스트레스성 성 행동장해 개선작용, 항 신염작용 및 신 혈류량 증대작용, 신경세포 생존율 촉진작용, 콜레스테롤 대사 촉진작용, 항염증 작용, 간 세포 증식 및 DNA 합성촉진, 간 장해 보호작용,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분비 촉진작용 등을 수행한다. Rg1은 인삼에 펙티네이즈, 헤미셀룰레이즈 및 셀룰레이즈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로 가수분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MPa 또는 90 내지 110MPa의 압력 하에서 펙티네이즈를 이용하여 가수분해시키는 것이다.
진세노사이드 Rg2는, 백삼에는 존재하지 않고 홍삼에만 소량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이다. Rg2는 혈소판 응집 억제, 아세틸콜린 유도 카테콜아민 분비 억제 및 세포내 칼슘 유입 억제, 항 트롬빈, 기억 감퇴 개선, 평활근 세포 증식 억제 작용 등을 한다. 인삼에 펙티네이즈를 처리하여 가수분해시키면 Rg2의 함량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인삼에 셀룰레이즈 또는 헤미셀룰레이즈를 처리하는 경우에도 Rg2의 함량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Rg3 역시 백삼에는 존재하지 않고 홍삼에만 소량 존재한다. Rg3은 암세포 전이 억제 작용, 혈소판 응집 억제 및 항혈전 작용, 간 상해 억제 작용, 혈관 이완 작용, 항암제의 내성 억제 작용, 뇌신경 보호 등을 한다. 인삼에 펙티네이즈를 처리하여 가수분해하는 경우에 Rg3의 함량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그 외, 베타-글루카네이즈, 셀룰레이즈 또는 헤미셀룰레이즈를 처리하는 경우에도 Rg3의 함량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Rb 1은 백삼이나 홍삼 모두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Rb1은 중추억제 및 정신 안정 작용, 공격성 행동억제, 진통 작용, 항경련 작용, 고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항불안 작용, 콜레스테롤 생합성 촉진작용, 골수세포의 DNA, RNA, 단백질 및 지질 합성 촉진 작용, 단백질 합성 촉진 작용, 신경세포 생존 촉진 작용, 아세칠콜린 방출 촉진 작용, 기억력 개선 작용,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 지질 과산화 억제작용, 혈관 확장작용, 콜레스테롤 대사촉진작용, 항염작용, 간 상해 보호작용 등을 한다. 진세노사이드 Rb1은 펙티네이즈, 셀룰레이즈, 헤미셀룰레이즈를 처리하여 가수분해시키는 경우에 그 함량을 상당한 수준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그 외에 Rg1, Rf, Re, Rd, Rc, Rb2 등의 진세노사이드들도 인삼에 베타-글루카네이즈, 펙티네이즈, 헤미셀룰레이즈, 셀룰레이즈 및/또는 아라비네이즈 및 자일라네이즈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를 처리하여 가수분해시킴으로써 그 함량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는, 효소 처리에 의한 가수분해 과정이 추출 및/또는 농축 과정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는, 효소 처리에 의한 가수분해 과정이 추출 과정 전에 별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식품 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조된 인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식품 조성물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삼은 우수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쓴 맛이 큰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인삼에서 쓴 맛을 유발하는 성분들을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의 공동 내에 포집시키면 인삼의 쓴 맛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은 액상의 인삼 추출물, 구체적으로 인삼 농축액을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함량은 5 내지 2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이 5중량부 미만이면 쓴 맛 차폐 효과가 미미하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성과 경제성이 나빠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함량 범위는 7 내지 10중량부이다.
이하에서는 일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1 내지 실시예 4: 홍삼 추출물의 제조>
금산에서 구입한 홍삼 분말 6 g에 인산염 완충용액(50 mM, pH 5.0) 30 mL을 가하여 현탁한 후, 45℃에서, 초고압 반응기 DFS-2L (동양고압, 일본)를 이용하여 압력을 0 MPa(비교예 1), 30 MPa(실시예 1), 50 MPa(실시예 2), 80 MPa(실시예 3), 100 MPa(실시예 4)로 조절한 상태에서 12 시간 추출을 행하였다. 상기 추출물에 80% 에탄올 300 mL을 가하여 3시간 동안 환류하여 진세노사이드를 추출하였으며, 이 환류액을 30 mL까지 농축하였다.
<실험예 1: 총당, 산성당, 폴리페놀 함량 및 건물량의 측정>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얻어진 농축액에 대하여 총당, 산성당, 폴리페놀 함량 및 건물량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폴린-데니스(Folin-Denis) 법(Dewanto, V., Wu, X., & Liu, R. H. (2002b).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0, 4959-4964.)에 따라 측정하였다.
총당과 산성당의 함량은 페놀-황산(phenol-sulfuric acid)법과  Blumenkrantz과 Asboe-Hansen법(Blumenkrantz, N. and Asboe-Hansen, G. (1973) Anal. Biochem., 54, 484)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시료 압력 총당 (Total sugar) (mg/ml) 산성당 (Uronic acid) (㎍/ml) 폴리페놀 (Polyphenols) (㎍/ml) Dry weight (%)
비교예1 0(control) 103.2±14.2a 239.4±37.9b 346.3±7.8d 9.1±0.2 a
실시예1 30 MPa 113.1±10.7a 302.0±113.7ab 431.3±17.1a 8.2±0.2b
실시예2 50 MPa 81.2±4.3b 185.9±38.1b 422.4±12.4a 6.3±0.2d
실시예3 80 MPa 93.6±19.0ab 69.7±15.2c 398.1±8.6ab 6.3±0.05e
실시예4 100 MPa 76.7±27.9b 418.8±42.4a 361.8±5.3c 7.6±0.07c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총당의 함량은 30MPa일 때 가장 높은 113.1mg/ml의 함량을 보였으나, 압력을 가하지 않은 control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산성당의 함량은 100MPa의 압력을 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418.8㎍/ml 함량을 보였다. 폴리페놀의 함량은 30-50MPa 압력을 가하였을 때 431.3과 422.4㎍/ml의 함량을 보였다. 건물의 양은 압력을 가할 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예 2: 실시예 1 내지 4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함량 측정>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각 농축액 1g을 평량하여 70% 에탄올 50 mL을 가하여 80℃ 진탕 배양기에서 2회 추출하고 Whatman #1 paper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액은 진공농축기를 이용, 감압 건조하고 50 mL의 증류수를 가하여 용해하였다. 이 용액 1 mL에 디에틸에테르 2 mL을 가하여 혼합한 후, 15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디에틸에테르를 제거하고 여기에 다시 물포화 부탄올을 1.5 mL 가하여 혼합한 다음 부탄올 층을 회수하였다. 3회 재 반복하여 회수한 부탄올층에 증류수 1.5 ml을 가하여 혼합하고 원심분리하여 물층을 제거하였으며 본 조작을 2회 재반복하여 수용성 불순물을 세척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부탄올층은 40℃에서 N2 가스를 분사하며 건조하였으며 여기에 메탄올 0.5 mL을 가한 후, 0.45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HPLC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HPLC 분석은 Prevail Carbohydrate ES 5u column(Alltech, USA)이 장착된 HPLC를 이용, ELSD로 분석하였으며 하기 표 2 및 표 3(그레디언트 테이블)에 표시한 바와 같은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한편 진세노사이드 분석 시에는 엠보연구소(대덕, 한국)에서 구입한 14종의 표준물질(compound K, Rh2, Rh1, Rg5, Rk1, Rg2, Rg3, Rg1, Rf, Re, Rd, Rb2, Rc, Rb2)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고 각 피크 면적비로부터 함량을 계산하였다.
기기들 SP930D Solvent delivery pump SDV50A Vacuum degasser and valve module CTS 30 Column oven (Young-Lin Co. Ltd., Korea)
검출기 ELSD (GmbH, Germany)
컬럼 Prevail Carbohydrate ES 5u, 250×4.6 mm (Alltech, USA)
오븐 온도 35℃
용매 A (Acetonitrile : Water : IPA = 80 : 5 : 15) B (Acetonitrile : Water : IPA = 67 : 21 : 12)
주입 부피 20 ㎕
Time (min) Flow (ml/min) %A %B
초기(Initial) 0.8 90 10
28 0.8 15 85
35 0.8 20 80
45 0.8 25 75
50 0.8 10 90
51 0.8 0 100
57 0.8 75 25
58 0.8 90 10
65 0.8 90 10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진세노사이드 concentration (㎍/mL)
비교예1 (0 MPa) 실시예 1 (30 MPa) 실시예 2 (50 MPa) 실시예 3 (80 MPa) 실시예4 (100 MPa)
컴파운드 K 0 0.00 0.00 0.00 0
Rh2 0 0.00 0.00 0.00 0
Rh1 0 0.00 0.00 0.00 0
Rg5+RK1 0 0.00 0.00 0.00 0
Rg2 228.9 228.3 228.1 240.6 246.9
Rg3 0 0.00 0.00 0.00 0
Rg1 787.5 768.0 805.5 844.9 916.9
Rf 359.9 388.4 413.1 421.3 431.1
Re 2924.7 2909.3 2917.7 3475.9 2130.1
Rd 2453.7 2437.1 2820.5 2868.8 1499.5
Rb2 1275.8 1486.6 1689.6 2605.9 1558.7
Rc 3739.9 3388.9 3854.6 4787.0 2834.2
Rb1 5284.3 5550.1 6357.0 7831.1 5908.1
total 17054.7 17156.7 19086.1 23075.5 15255.5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압력이 증가할수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진세노사이드 성분 중 유용성분인 Rg2, Rg1의 함량 역시 압력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 변화는 비교예1(control. 0 MPa)일 때 17054.7 ㎍/mL 인데 반하여, 압력을 가한 경우 17156.7-23075.5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식품공전의 홍삼제품의 지표물질인 Rg1과 Rb1의 함량이 비교예1(control)은 6071.8 ㎍/mL 인데 반하여, 30 MPa (실시예1), 50 MPa(실시예2), 80 MPa(실시예3) 압력을 가한 경우, 각각 6318.1, 7162.5, 8676.0 ㎍/mL의 함량으로 압력을 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100 MPa (실시예4)의 경우 6925.0 ㎍/mL 감소하였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경우에는 compound K가 혈액 중으로 이행되므로 이들의 함량 역시 중요하다. 이들 함량도 control(비교예1)에 비하여 압력을 가하였을 경우 10425.6-17217.4 ㎍/mL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고압반응을 이용하여 홍삼을 추출할 경우 홍삼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내지 9 : 고압과 효소의 병용에 의한 추출물 제조>
금산에서 구입한 홍삼 분말 6 g에 인산염 완충용액(50 mM, pH 5.0) 30 mL을 가하여 현탁한 후, 하기 표 5에 따른 각 효소 200㎕를 가하여 45℃에서, 초고압 반응기 DFS-2L (동양고압, 일본)를 이용하여 압력을 0, 30, 50, 80, 100MPa로 조절한 상태에서 12 시간 추출을 행하였다. 상기 추출물에 80% 에탄올 300 mL을 가하여 3시간 동안 환류하여 진세노사이드를 추출하였으며, 이 환류액을 30 mL까지 농축하였다.
효소 주요 활성 공급원 최적 조건
pH 온도(℃)
Ultraflo L (Novozymes, Dittingen, Switzerland) 베타-글루카네 이즈 휴미콜라 인솔렌즈(H umicola insolens) 6 40
Rapidase (DSM, Delft, Netherlands) 펙티네이즈, 헤미셀룰레이즈, 셀룰레이즈 아스프 니거(Asp. Niger) & 티.롱기브라키아툼(T.longibrachiatum) 4.0-5.0 10-55
Viscozyme (Novozymes, Dittingen, Switzerland) 아라비네이즈, 셀룰레이즈, 글루카네이즈, 헤미셀룰레이즈, 자일라네이즈 아스프.(Asp.) 속 3.3-5.5 40-50
Cytolase PCL 5 (Gist-Brocades, Seclin, France) 펙티네이즈 아스프. 니거(Asp. Niger) 2.5-5.0 10-55
Econase CE (AB Enzymes GmbH, Darmstadt, Germany) 셀룰레이즈 트리코더마 (Trichoder ma) 속 4.0-5.5 55
효소와 압력을 하기 표 6과 같이 달리하여 비교예들과 실시예들을 준비하였다.
압력 효소 30MPa 50MPa 80MPa 100MPa
control(무효소)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Ultraflo L 실시예5 실시예10 실시예15 실시예20
Rapidase 실시예6 실시예11 실시예16 실시예21
Viscozyme 실시예7 실시예12 실시예17 실시예22
Cytolase PCL 5 실시예8 실시예13 실시예18 실시예23
Econase CE 실시예9 실시예14 실시예19 실시예24
<실험예 3: 총당, 산성당, 폴리페놀 및 건물량 측정>
상기 비교예 2 내지 5, 및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24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에 대하여 효소 처리를 하지 아니한 비교예들과 함께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총당, 산성당, 폴리페놀 및 건물양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7은 총당 함량 변화에 대한 결과이고, 하기 표 8은 산성당 함량 변화에 대한 결과이고, 하기 표 9는 폴리페놀 함량 변화에 대한 결과이고, 하기 표 10은 건물량 변화에 대한 결과이다.
총 당(Total sugar) (mg/ml)
효소 30 MPa 50 MPa 80 MPa 100 Mpa
control 비교예2 113.1±10.7bc 비교예3 81.2±4.3a 비교예4 93.6±19.0ab 비교예5 76.7±27.9d
Ultraflo L 실시예5 148.8±21.1d 실시예10 91.0±11.8ab 실시예15 71.9±7.5a 실시예20 118.4±19.1cd
Rapidase 실시예6 197.6±5.6fg 실시예11 146.5±9.0d 실시예16 161.0±19.0de 실시예21 169.6±25.4ab
Viscozyme 실시예7 155.7±11.1de 실시예12 179.3±24.5ef 실시예17 188.6±16.2fg 실시예22 197.0±38.0a
Cytolase PCL 5 실시예8 187.9±20.8fg 실시예13 157.9±12.2de 실시예18 214.6±21.0g 실시예23 141.0±25.2bc
Econase CE 실시예9 137.9±23.2cd 실시예14 100.0±6.8ab 실시예19 135.3±6.1cd 실시예24 126.0±4.03bc
산성당(Uronic acid) (㎍/ml)
효소 30 MPa 50 MPa 80 MPa 100 MPa
control 비교예2 302.0±113.7abc 비교예3 185.9±38.1ab 비교예4 69.7±15.2ab 비교예5 418.8±42.4b
Ultraflo L 실시예5 130.3±30.3ab 실시예10 120.2±97.4ab 실시예15 29.3±8.8a 실시예20 320.8±194.2b
Rapidase 실시예6 1211.1±162.0gh 실시예11 741.4±114.7ef 실시예16 877.8±83.5ef 실시예21 365.9±25.0b
Viscozyme 실시예7 600.00±84.4cde 실시예12 1377.8±38.1hi 실시예17 1266.7±347.26hi 실시예22 1136.5±104.6a
Cytolase PCL 5 실시예8 630.3±367.7def 실시예13 731.3±263.5ef 실시예18 1529.3±86.2i 실시예23 546.7±120.9b
Econase CE 실시예9 867.7±46.3ef 실시예14 362.6±126.2bcd 실시예19 943.4±319.4fg 실시예24 528.6±98.7b
폴리페놀(polyphenols) (㎍/ml)
30 MPa 50 MPa 80 MPa 100 MPa
control 비교예2 431.3±17.1b 비교예3 422.4±12.4b 비교예4 398.1±8.6ab 비교예5 361.8±5.3d
Ultraflo L 실시예5 502.5±25.0c 실시예10 503.2±16.4c 실시예15 372.0±28.9a 실시예20 378.7±8.4cd
Rapidase 실시예6 702.7±27.1gh 실시예11 708.0±25.2h 실시예16 709.4±41.9h 실시예21 544.8±24.4a
Viscozyme 실시예7 651.2±35.2ef 실시예12 849.0±10.1j 실시예17 874.4±40.6j 실시예22 579.0±39.3a
Cytolase PCL 5 실시예8 662.5±24.7fg 실시예13 750.3±18.2i 실시예18 785.5±12.3i 실시예23 419.0±23.8c
Econase CE 실시예9 583.9±14.5d 실시예14 613.5±3.7de 실시예19 664.6±29.8fg 실시예24 475.3±22.0b
건물량(dry weight)(%)
30 MPa 50 MPa 80 MPa 100 MPa
control 비교예2 8.2±0.2d 비교예3 6.3±0.2b 비교예4 6.3±0.1b 비교예5 7.6±0.07f
Ultraflo L 실시예5 8.9±0.2ef 실시예10 7.2±0.1c 실시예15 5.2±0.1a 실시예20 8.6±0.08e
Rapidase 실시예6 12.3±0.2l 실시예11 8.8±0.4ef 실시예16 8.7±0.1e 실시예21 10.7±0.1b
Viscozyme 실시예7 9.6±0.1g 실시예12 10.6±0.1i 실시예17 10.9±0.2jk 실시예22 11.1±0.08a
Cytolase PCL 5 실시예8 10.7±0.2ij 실시예13 10.1±0.1h 실시예18 11.2±0.5k 실시예23 10.5±0.06c
Econase CE 실시예9 9.6±0.1g 실시예14 7.9±0.1d 실시예19 9.0±0.1f 실시예24 9.2±0.04d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Viscozyme 가수분해물은 압력이 증가할수록 총당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ultraflo 가수분해물은 압력이 증가할수록 총당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표 7). 산성당의 함량변화에서는 ultraflo, rapidase는 80 MPA 이하의 압력에서는 압력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viscozyme, cytolase 가수분해물에서의 산성당 함량은 압력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ytolase의 경우 100 MPa에서는 오히려 산성당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홍삼의 생리활성 물질중에 여러가지 활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진 산성당의 함량은 효소 처리하지 않고 압력을 가하였을 경우 최고 418.8 ㎍/ml의 함량을 보인 반면, viscozyme과 cytolase 처리하였을 경우 최고 1377.8과 1529.3 ㎍/ml의 함량을 보였다(표 8).
폴리페놀의 함량은 압력만 가하였을 경우 361.8-431.3 ㎍/ml의 함량을 보인 반면, rapidase, viscozyme, cytolase의 경우 각각 544.8-709.4, 579.0-651.2, 419.0-785.5 ㎍/ml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표 9). control의 건물량이 6.3-8.2%인 반면, 효소 가수분해물의 건물량은 5.2-12.3%까지 건물량을 보였으며, viscozyme과 cytolase 가수분해물의 건물량이 비교적 높았다(표 10).
<실험예 4: 실시예 5 내지 9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함량의 측정>
상기 실시예 5 내지 9에서 제조된 각 추출물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진세노사이드 함량의 측정은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와 같다.
진세노사이드 30 MPa (㎍/mL)
비교예2 (control) 실시예5 (Ultraflo L) 실시예6 (Rapidase) 실시예7 (Viscozyme) 실시예8 (Cytolase) 실시예9 (Econase)
컴파운드 K 0.0 0.0 0.0 0.0 0.0 0.0
Rh2 0.0 0.0 0.0 0.0 0.0 0.0
Rh1 0.0 0.0 0.0 0.0 0.0 0.0
Rg5+RK1 0.0 0.0 0.0 0.0 0.0 0.0
Rg2 228.3 256.4 308.3 0.0 378.5 254.0
Rg3 0.0 0.0 0.0 0.0 0.0 0.0
Rg1 768.0 1061.0 1275.6 854.4 1340.3 835.5
Rf 388.4 616.2 621.7 412.1 508.2 457.4
Re 2909.3 3869.4 4112.3 3209.9 2880.0 3236.3
Rd 2437.1 4482.5 6958.2 2593. 9 8070.6 3928.3
Rb2 1486.6 2348.9 3013.4 1662.7 2286.4 1948.5
Rc 3388.9 5295.0 3671.6 4388.0 1812.6 3948.4
Rb1 5550.1 7217.5 10914.3 6421.7 6927.9 6573.9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30 MPa압력하에서 가수분해한 홍삼 효소 가수분해물의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비교예2(control)가 17156.7 ㎍/ml인 반면, 효소 가수분해물의 함량은 16948.8-30875.4 ㎍/ml 함량을 보였으며, 가장 높은 함량은 rapidase 가수분해물(실시예6)이 30875.4 ㎍/ml 함량을 보였다. 홍삼제품의 지표물질인 Rg1과 Rb1의 함량이 control(비교예2)은 6318.1 ㎍/mL인데 반하여 효소 가수분해물중 viscozyme (실시예7) 가수분해물은 7276.1 ㎍/mL으로 가장 낮은 함량은 보였으나, rapidase (실시예6) 가수분해물은 12189.9 ㎍/mL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Rb1, Rb2, Rc 함량은 control(비교예2)이 10425.6 ㎍/mL인 반면, 가수분해물은 11026.9-17599.3 ㎍/mL 함량을 보였다.
<실험예 5: 실시예 10 내지 14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0 내지 14에서 제조된 각 추출물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진세노사이드 함량의 측정은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와 같다.
진세노사이드 50 Mpa (㎍/mL)
비교예3 (control) 실시예10 (Ultraflo L) 실시예11 (Rapidase) 실시예12 (Viscozyme) 실시예13 (Cytolase) 실시예14 (Econase)
Compd K 0.0 0.0 0.0 0.0 0.0 0.0
Rh2 0.0 0.0 0.0 0.0 0.0 0.0
Rh1 0.0 0.0 0.0 0.0 0.0 0.0
Rg5+RK1 0.0 0.0 0.0 172.3 193.3 132.0
Rg2 228.1 242.6 208.9 209.7 204.96 197.3
Rg3 0.0 0.0 940.7 943.5 804.6 711.9
Rg1 805.5 869.3 296.1 312.8 246.8 279.0
Rf 413.1 419.8 261.3 212.9 207.0 189.5
Re 2917.7 3117.7 3151.8 3546.9 2091.3 2988.5
Rd 2820.5 3628.2 5455.8 3574.6 5386.0 3678.7
Rb2 1689.6 2101.4 2173.3 2129.8 1710.8 2017.0
Rc 3854.6 4514.9 2934.3 4388.2 1530.0 4342.3
Rb1 6357.0 7075.2 8281.0 9227.6 5685.5 7733.4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50 MPa압력하에서 가수분해한 홍삼 효소 가수분해물의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control(비교예3)이 19086.1 ㎍/ml인 반면, 효소 가수분해물의 함량은 18060.3-24718.3 ㎍/ml 함량을 보였으며, rapidase 가수분해물(실시예 11)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홍삼제품의 지표물질인 Rg1과 Rb1의 함량이 control(비교예3)은 7162.5 ㎍/mL인데 반하여 효소 가수분해물중 cytolase 가수분해물(실시예13)은 5932.3 ㎍/mL으로 가장 낮은 함량은 보였으나, viscozyme 가수분해물(실시예12)은 9540.4 ㎍/mL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Rb1, Rb2, Rc 함량은 control(비교예3)이 11901.2 ㎍/mL인 반면, 가수분해물은 8926.3-15745.6 ㎍/mL 함량을 보였다. Viscozyme 가수분해물(실시예12)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표 11). 50 MPa에서 반응 시 30 MPa에서는 측정되지 않았던 Rg3가 rapidase (실시예11), viscozyme(실시예12), cytolase(실시예13), econase(실시예14) 가수분해물에서는 각각 940.7, 943.5, 804.6, 711.9 ㎍/mL 함량을 보였다.
<실험예 6: 실시예 15 내지 19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5 내지 19에서 제조된 각 추출물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진세노사이드 함량의 측정은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와 같다.
분획 80 Mpa (㎍/mL)
비교예4 (control) 실시예15 (Ultraflo L) 실시예16 (Rapidase) 실시예17 (Viscozyme) 실시예18 (Cytolase) 실시예19 (Econase)
Compd K 0.0 0.0 0.0 0.0 0.0 0.0
Rh2 0.0 0.0 0.0 0.0 0.0 0.0
Rh1 0.0 0.0 0.0 0.0 0.0 0.0
Rg5+RK1 0.0 88.6 198.5 223.1 42.5 222.7
Rg2 240.6 196.6 205.1 216.2 0.0 211.8
Rg3 0.0 507.3 963.2 1131.9 985.8 1026.4
Rg1 844.9 251.3 324.2 362.5 175.7 365.6
Rf 421.3 172.9 269.4 227.5 206.3 177.0
Re 3475.9 2107.5 3113.5 4418.8 2859.9 4367.3
Rd 2868.8 2718.0 5840.0 4650.9 7891.8 5574.2
Rb2 2605.9 1516.5 2185.7 2585.2 2548.0 2857.99
Rc 4787.0 2967.9 2876.3 5405.6 1942.8 6187.5
Rb1 7831.1 3952.4 8089.3 10706.8 8374.8 10372.1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80 MPa압력하에서 가수분해한 홍삼 효소 가수분해물의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control(비교예1)이 23075.5 ㎍/ml인 반면, 효소 가수분해물의 함량은 14479.0-31362.6 ㎍/ml 함량을 보였으며, econase 가수분해물(실시예19)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홍삼제품의 지표물질인 Rg1과 Rb1의 함량이 control(비교예4)은 8676.0 ㎍/mL인데 반하여 효소 가수분해물중 ultraflo(실시예15), rapidase(비교예16), cytolase(비교예18) 가수분해물은 각각 4203.7, 8413.5, 8550.5 ㎍/mL로 control (비교예4) 보다 낮은 함량은 보였으나, viscozyme(실시예17)과 econase 가수분해물(실시예19)은 11069.3과 10737.7 ㎍/mL으로 control(비교예4) 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Rb1, Rb2, Rc 함량은 control(비교예4)이 15224.0 ㎍/mL인 반면, 가수분해물은 8436.8-19417.6 ㎍/mL 함량을 보였다. Econase 가수분해물(실시예19)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표 12). 50 MPa에서 반응 시 Rg3가 측정되지 않았던 ultraflo 가수분해물도 80 MPa 반응 시(실시예15) 507.3 ㎍/mL를 함유하고 있으며, rapidase(실시예16), viscozyme(실시예17), cytolase(실시예18), econase(실시예19) 가수분해물에서는 각각 963.2, 1131.9, 985.8, 1026.4 ㎍/mL 함량을 보였다.
<실험예 7: 실시예 20 내지 24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20 내지 24에서 제조된 각 추출물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진세노사이드 함량의 측정은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와 같다.
분획 농도 (㎍/mL)
비교예5 control 실시예20 Ultraflo L 실시예21 Rapidase 실시예22 Viscozyme 실시예23 Cytolase PCL 5 실시예24 Econitase CE
Rh2 0.0 0.0 0.0 0.0 0.0 0.0
Rh1 0.0 0.0 0.0 0.0 0.0 0.0
Rg2 246.9 317.0 277.9 325.1 438.6 306.5
Rg3 0.0 110.4 0.0 109.2 107.7 110.0
Rg1 916.9 1334.6 1106.3 1326.9 1535.5 1225.5
Rf 431.1 783.5 515.2 659.8 655.3 752.2
Re 2130.1 3711.9 2514.7 3583.5 3895.0 2973.2
Rd 1499.5 4292.4 3843.7 3571.5 6147.4 2750.3
Rc 2834.2 5568.6 3210.6 4598.0 6082.2 4637.6
Rb2 1558.7 3025.0 1760.5 2504.5 4144.0 2525.8
Rb1 5908.1 9042.7 6485.7 9407.9 17948.0 8376.9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0 MPa 압력하에서 가수분해한 홍삼 효소 가수분해물의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control(비교예5)이 29367.5 ㎍/ml인 반면, 효소 가수분해물의 함량은 38790.0-63335.7 ㎍/ml 함량을 보였으며, cytolase 가수분해물(실시예23)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홍삼제품의 지표물질인 Rg1과 Rb1의 함량이 control(비교예5)은 9976.1 ㎍/mL인데 반하여 효소 가수분해물은 11374.9-26731.1 ㎍/mL이 었으며, cytolase 가수분해물(실시예23)인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Rb1, Rb2, Rc 함량은 control(비교예5)이 17217.4 ㎍/mL였으며, rapidase 가수분해물(실시예21)은 19318.0 ㎍/mL으로 효소 가수분해물중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Cytolase 가수분해물(실시예23)은 46756.3 ㎍/mL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Rg2의 함량은 control(비교예5)이 322.4 ㎍/mL 이었으나, 효소 가수분해물은 183.6-304.6 ㎍/mL의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이중 cytolase 가수분해물(실시예23)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실시예 25 내지 44: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첨가된 조성물>
상기 실시예 5 내지 24에 따라 제조된 각 홍삼 농축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7중량부에 해당하는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인 Cavamax® W8 food(WACKER, Germany)을 더 첨가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형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라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연질 캅셀제>
상기 실시예 5 내지 24에 따라 제조된 홍삼농축액 50mg, L-카르니틴 80~140mg, 대두유 180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6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캡슐당 400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정제>
상기 실시예 25 내지 44에 따라 제조된 홍삼농축액 50mg, 갈락토올리고당 200mg, 유당 60mg 및 맥아당 14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를 6mg을 첨가하여 타정기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과립제>
상기 실시예 5 내지 24에 따라 제조된 홍삼농축액 50mg, 무수결정 포도당 250mg 및 전분 55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형예 4: 드링크제>
상기 실시예 25 내지 44에 따라 제조된 홍삼농축액 50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ml를 가하여 각 병에 200ml씩 충진한다. 병에 충진한 후 130℃ 에서 4??5 초간 살균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5: 캬라멜 제형>
상기 실시예 25 내지 44에 따라 제조된 홍삼농축액 50mg, 옥수수 시럽(corn syrup) 1.8g, 탈지우유 0.5g, 대두 레시틴 0.5g, 버터 0.6g, 식물성 경화유 0.4g, 설탕 1.4g, 마가린 0.58g, 및 식염 20mg을 혼합하여 캬라멜 성형을 하였다.

Claims (15)

  1. 20 내지 110MPa의 압력 하에서 인삼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홍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전 또는 추출과 동시에 베타-글루카네이즈(β-glucanase), 펙티네이즈(pecti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셀룰레이즈(cellulase), 아라비네이즈(arabinase) 및 자일라네이즈(xylana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를 가하여 인삼을 가수분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Rg1이며, 상기 효소는 펙티네이즈(pecti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및 셀룰레이즈(cellula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펙티네이즈이며 상기 압력은 20 내지 40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펙티네이즈이며 상기 압력은 90 내지 110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Rg3이며, 상기 효소는 베타-글루카네이즈(β-glucanase), 펙티네이즈(pecti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및 셀룰레이즈(cellula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은 40 내지 90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은 70 내지 90MPa이며, 상기 효소는 셀룰레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Rg2이며, 상기 효소는 펙티네이즈이며, 상기 압력은 90 내지 110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Rb1이며, 상기 압력은 20 내지 40MPa이며, 상기 효소는 펙티네이즈, 헤미셀룰레이즈 및 셀룰레이즈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Rb1이며, 상기 압력은 90 내지 110MPa이며, 상기 효소는 펙티네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액상인 인삼 추출물이 100일 때 5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080012278A 2008-02-11 2008-02-11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970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278A KR100970455B1 (ko) 2008-02-11 2008-02-11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278A KR100970455B1 (ko) 2008-02-11 2008-02-11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806A true KR20090086806A (ko) 2009-08-14
KR100970455B1 KR100970455B1 (ko) 2010-07-16

Family

ID=41206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278A KR100970455B1 (ko) 2008-02-11 2008-02-11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45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956B1 (ko) * 2008-12-16 2011-09-19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효소 및 초고압을 이용한 홍삼제조방법
KR101328413B1 (ko) * 2011-09-09 2013-11-14 주식회사 이노웨이 고압/효소분해에 의한 인삼류 유용성분의 추출방법
KR101360961B1 (ko) * 2012-01-30 2014-02-12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삼자염의 제조방법
KR101397145B1 (ko) * 2014-02-26 2014-05-19 양양군 산양산삼 추출 액상과 산양산삼을 동시에 얻는 방법
KR101412682B1 (ko) * 2013-04-26 2014-08-14 주식회사 엔씨 수제홍삼 추출액의 제조방법
CN108185429A (zh) * 2017-05-20 2018-06-22 郑毅男 一种利用超高压设备提取鲜人参的方法及其在健康食品中的用途
KR20190065788A (ko) * 2017-12-04 2019-06-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인삼류로부터 진세노사이드를 고효율로 추출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추출된 진세노사이드
KR102322628B1 (ko) * 2021-02-26 2021-11-04 이유정 특정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증대된 산삼배양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진세노사이드 복합물을 이용한 탈모증상완화 및 육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51B1 (ko) * 2013-09-26 2016-02-03 샘표식품 주식회사 강화된 진세노사이드 및 어글리콘을 포함하는 인삼 또는 산삼배양근, 및 그의 가공방법
KR20230029011A (ko) 2021-08-23 2023-03-03 주식회사 한빛향료 초고압처리를 이용하여 제조된 홍삼박 또는 흑삼박으로부터 고온고압수를 이용하여 산성다당체를 추출하는 방법 및 그 추출물
KR102665525B1 (ko) 2021-08-23 2024-05-13 주식회사 한빛향료 초고압처리를 이용하여 제조된 홍삼 또는 흑삼으로부터 고온고압수를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를 추출하는 방법 및 그 추출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518B1 (ko) * 2001-05-15 2003-04-03 (주)수진바이오텍 홍삼 유효성분의 저분자화 방법
KR100445184B1 (ko) * 2002-05-08 2004-08-21 주식회사 그린바이오텍 초고압을 이용한 신규한 인삼가공 방법
KR101066676B1 (ko) * 2005-05-20 2011-09-21 (주)아모레퍼시픽 경구용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956B1 (ko) * 2008-12-16 2011-09-19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효소 및 초고압을 이용한 홍삼제조방법
KR101328413B1 (ko) * 2011-09-09 2013-11-14 주식회사 이노웨이 고압/효소분해에 의한 인삼류 유용성분의 추출방법
KR101360961B1 (ko) * 2012-01-30 2014-02-12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삼자염의 제조방법
KR101412682B1 (ko) * 2013-04-26 2014-08-14 주식회사 엔씨 수제홍삼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1397145B1 (ko) * 2014-02-26 2014-05-19 양양군 산양산삼 추출 액상과 산양산삼을 동시에 얻는 방법
CN108185429A (zh) * 2017-05-20 2018-06-22 郑毅男 一种利用超高压设备提取鲜人参的方法及其在健康食品中的用途
KR20190065788A (ko) * 2017-12-04 2019-06-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인삼류로부터 진세노사이드를 고효율로 추출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추출된 진세노사이드
KR102322628B1 (ko) * 2021-02-26 2021-11-04 이유정 특정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증대된 산삼배양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진세노사이드 복합물을 이용한 탈모증상완화 및 육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0455B1 (ko) 201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455B1 (ko)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479803B1 (ko) 약효가 증가된 특수가공처리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뇌졸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JP5528718B2 (ja) βグルカン組成物を用いた血糖値上昇抑制剤及びインスリン分泌促進剤
JP4777776B2 (ja) 酢を利用した人参製剤及びこれの製造方法
KR102478724B1 (ko) 감귤 발효 콤부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심혈관질환 치료용 조성물
CN103977409A (zh) 一种膳食补充剂组合物及其用于调控血糖的方法
KR100949247B1 (ko) 가공 인삼 또는 가공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060000488A (ko)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 그의 유산균 발효물 및 그의장내세균 발효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인삼 추출물 소양증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KR20100018018A (ko) 가공 인삼 또는 가공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750779B1 (ko) 아글리콘인 ppd 및/또는 ppt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피로용 조성물
CN110859869A (zh) 一种预防和治疗心脑血管疾病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848686B1 (ko) 유산균으로 감마-아미노부틸산과 생물전환 사포닌을 동시에강화한 발효 인삼 조성물
KR101530982B1 (ko) 감귤류 가공부산물 유래의 면역활성다당 및 비배당체 플라보노이드의 제조방법
KR20110093477A (ko) 발효 홍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200094435A (ko)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된 감국 효소처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40099670A (ko) 유효 성분으로 진세노시드 Rh2를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조성물
KR100759772B1 (ko) 유효 성분으로 진세노시드 Rh2를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조성물
KR101975018B1 (ko) 인삼열매-목이버섯 균사체 혼합 배양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JP2010059105A (ja) 炎症性腸疾患の予防又は治療剤
KR101787082B1 (ko) 유효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40123019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ameliorating liver disease and liver dysfunction comprising zizania latifolia extract
KR101620160B1 (ko) 백출 속 및 탱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454993B (zh) 一种决明子发酵物及其应用
KR102444884B1 (ko) 비타민 b1 및 b2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맥주효모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5200B1 (ko) 패에서 분리한 신규 화합물 헥사데카플로레톨 및 그 화합물을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