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195B1 - 무릎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무릎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195B1
KR101181195B1 KR1020100066333A KR20100066333A KR101181195B1 KR 101181195 B1 KR101181195 B1 KR 101181195B1 KR 1020100066333 A KR1020100066333 A KR 1020100066333A KR 20100066333 A KR20100066333 A KR 20100066333A KR 101181195 B1 KR101181195 B1 KR 101181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airbag
tether
disposed
upper t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720A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4245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8119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6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195B1/ko
Priority to US12/911,270 priority patent/US8500160B2/en
Priority to CN201010524825.5A priority patent/CN102310835B/zh
Publication of KR20120005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승객의 무릎을 보호할 수 있도록 에어백 쿠션이 하측으로 처지지 않고 상측으로 전개되는 무릎 에어백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릎 에어백장치{Knee airbag apparatus}
본 발명은 무릎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쿠션이 하측으로 처지지 않고 상측으로 전개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무릎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사고시에 가스를 유입받아 에어백 쿠션이 팽창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인 에어백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필요에 따라 자동차의 각 부위에 설치되는데,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있는 운전석 에어백장치와, 조수석에 앉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글로브 박스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조수석 에어백장치와,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루프레일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장치와, 승객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해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무릎 에어백장치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 중에서 상기 무릎 에어백장치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 중 하부에 에어백 하우징을 설치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가스발생수단인 인플레이터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을 수납하여서, 자동차 사고시에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유입받아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됨으로서, 승객의 무릎을 보호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무릎 에어백장치는 승객의 무릎 높이보다 낮은 위치인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 쿠션이 승객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하측으로 처지지 않고 상측으로 전개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에어백 쿠션이 하측으로 처지지 않고 상측으로 전개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무릎 에어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릎 에어백장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의 하측에 배치된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이 처지지 않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의 상측으로 전개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을 지지하는 쿠션 포켓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릎 에어백장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의 하측에 배치된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측이 하측보다 길이가 짧아지게 접혀져서 결합된 접철부가 형성되어 가스가 유입되면 상기 접철부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의 상측으로 전개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백 쿠션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릎 에어백장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의 하측에 배치된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측이 하측보다 길이가 짧아지게 접혀져서 결합된 접철부가 형성되어 가스가 유입되면 상기 접철부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의 상측으로 전개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백 쿠션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이 처지지 않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의 상측으로 전개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상기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을 지지하는 쿠션 포켓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 에어백장치는, 에어백 쿠션을 수납하는 쿠션 포켓이 설치되어, 상기 쿠션 포켓이 상기 에어백 쿠션을 하측으로 처지지 않고 상측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되게 되므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승객의 무릎을 보호할 수 있는 위치까지 전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측이 하측보다 길이가 짧아지게 접철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될 때 상측이 하측보다 텐션이 커지게 되므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접철부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휘어지면서 전개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되게 되므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승객의 무릎을 보호할 수 있는 위치까지 전개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릎 에어백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릎 에어백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릎 에어백장치의 작동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철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릎 에어백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릎 에어백장치(100)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릎 에어백장치(100)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릎 에어백장치(100)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릎 에어백장치(100)는 계기판, 오디오장치 및 공조장치 등이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1)의 내부에 배치된다.
무릎 에어백장치(100)는 승객의 무릎 높이보다 낮은 위치인 인스트루먼트 패널(1) 내부의 하측에 설치되어서, 자동차 사고시에 에어백 쿠션(10)이 인스트루먼트 패널(1)의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전개되어 승객의 무릎을 보호한다.
무릎 에어백장치(10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에어백 하우징(20)과, 에어백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자동차 사고시에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30)와, 에어백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인플레이터(30)로부터 유입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1) 외부의 상측으로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10)과, 에어백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에어백 쿠션(10)이 수납되는 쿠션 포켓(40)을 포함한다.
인플레이터(30)는 에어백 쿠션(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체결부(35)를 통해 에어백 하우징(20)에 결합되어서, 자동차 사고시에 가스를 발생시켜서 에어백 쿠션(10)으로 공급한다.
쿠션 포켓(40)은 선단이 개구되어 에어백 쿠션(10)이 출입하는 쿠션 출입홀(45)이 형성된다. 에어백 쿠션(10)이 복수번 접혀져서 쿠션 출입홀(45)로 삽입되어 쿠션 포켓(40)에 수납된 후, 쿠션 출입홀(45)로 에어백 쿠션(10)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쿠션 포켓(40)의 선단을 바느질하여 쿠션 출입홀(45)을 차폐하는 것에 의해, 에어백 쿠션(10)은 쿠션 포켓(40) 내에 수납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을 에어백 하우징(20)에 수납한 후, 에어백 쿠션(10)이 에어백 하우징(20)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에어백 하우징(20)을 차폐하였던 기존의 에어백 도어(미도시)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 쿠션(10)은 쿠션 포켓(40) 내에 수납되어 있다가, 자동차 사고시에 인플레이터(30)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고, 이에 따라 쿠션 포켓(40)의 선단에 바느질된 실이 에어백 쿠션(10)의 팽창력에 의해 뜯어지면서 쿠션 출입홀(45)이 개방되어, 에어백 쿠션(10)은 쿠션 출입홀(45)을 빠져나와 인스트루먼트 패널(1) 외부로 전개된다.
쿠션 포켓(40)은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될 때 하측으로 처지지 않고 상측으로 전개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1)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에어백 쿠션(10)을 지지한다.
즉, 에어백 쿠션(10)이 승객의 무릎 높이보다 낮은 위치인 인스트루먼트 패널(1) 내부의 하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10)이 승객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의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전개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1)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되어야 하는데, 에어백 쿠션(10)이 하측으로 처지지 않고 상측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쿠션 포켓(40)이 에어백 쿠션(10)을 지지하여서,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1)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에어백 하우징(20)의 선단에는 후크돌기(22a)가 형성되고, 에어백 하우징(20)의 선단과 대응하는 쿠션 포켓(40)의 선단에는 후크돌기(22a)에 결합되는 후크홀(40a)이 형성된다.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될 때 쿠션 포켓(40)은 후크돌기(22a)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에어백 쿠션(1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1) 외부의 상측으로 전개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1)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에어백 하우징(20)은 쿠션 포켓(40)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하우징(22)과, 쿠션 포켓(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부 하우징(22)과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24)을 포함한다.
후크돌기(22a)는 상부 하우징(22)의 선단에 형성되고, 후크홀(40a)은 쿠션 포켓(40)의 상측 선단에 형성되어서,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될 때 쿠션 포켓(40)은 에어백 쿠션(10)을 지지하는 동시에 후크돌기(22a)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전하여서, 에어백 쿠션(10)이 하측으로 처지지 않고 상측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에어백 쿠션(10)에는 상측이 하측보다 길이가 짧아지게 접혀져서 결합된 접철부(15)가 형성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은 인플레이터(30)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면 길이가 짧은 상측이 하측보다 텐션(tension)이 커지게 되어서, 에어백 쿠션(10)은 접철부(15)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휘어지면서 전개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1)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철부(15)는 쿠션 포켓(40)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이 접철부(15)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휘어지면, 에어백 쿠션(10)의 상측으로 휘어지는 힘에 의해 쿠션 포켓(40)이 후크돌기(22a)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전하게 되어서, 에어백 쿠션(10)을 인스트루먼트 패널(1) 외부의 상측으로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쿠션 포켓(40)은 에어백 쿠션(10)의 전개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유연성(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쿠션 포켓(40)은 직물(fabric)에 인플레이터(30)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실리콘을 코팅하여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쿠션 포켓(40)이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면, 에어백 쿠션(10)이 접철부(15)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휘어지면서 전개될 때, 에어백 쿠션(10)의 상측으로 휘어지는 힘에 의해 쿠션 포켓(40)도 휘어지게 되어서, 에어백 쿠션(10)을 상측으로 전개되도록 한다.
에어백 쿠션(10)의 상측 내부에는 상부 테더(50)가 바느질되어 결합되고, 에어백 쿠션(10)의 하측 내부에는 하부 테더(60)가 바느질되어 결합된다.
상부 테더(50) 및 하부 테더(60)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서, 상부 테더(50)와 하부 테더(60) 사이에는 가스가 지나가는 가스통로가 형성된다.
인플레이터(30)로부터 에어백 쿠션(10) 내로 유입된 가스는 상부 테더(50) 및 하부 테더(60)에 부딪치면서 상기 가스통로를 통과하게 되고, 이 때 상부 테더(50) 및 하부 테더(60)에 부딪치는 상기 가스의 힘에 의해 에어백 쿠션(10)은 전개되는 힘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테더(50) 및 하부 테더(60)가 복수개 배치된다.
즉, 상부 테더(50)는 에어백 쿠션(10) 중 인스트루먼트 패널(1)의 외부로 전개되는 부분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상부 테더(52), 제2 상부 테더(54) 및 제3 상부 테더(56)와, 에어백 쿠션(10) 중 인스트루먼트 패널(1)의 외부로 전개되지 않고 에어백 하우징(20)의 내부에 남아 있는 부분에 배치된 제4 상부 테더(58)를 포함한다.
또한, 하부 테더(60)는 제1 상부 테더(52)와 이격 배치되어 제1 상부 테더(52)와 이격된 사이에 상기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제1 하부 테더(62)와, 제2 상부 테더(54)와 이격 배치되어 제2 상부 테더(54)와 이격된 사이에 상기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제2 하부 테더(64)와, 제3 상부 테더(56)와 이격 배치되어 제3 상부 테더(56)와 이격된 사이에 상기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제3 하부 테더(66)와, 제4 상부 테더(58)와 이격 배치되어 제4 상부 테더(58)와 이격된 사이에 상기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제4 하부 테더(68)를 포함한다.
제1 상부 테더(52), 제2 상부 테더(54) 및 제3 상부 테더(56)는 한겹으로 형성되고, 제4 상부 테더(58)는 두겹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하부 테더(62), 제2 하부 테더(64) 및 제3 하부 테더(66)는 한겹으로 형성되고, 제4 하부 테더(68)는 두겹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철부(15)는 에어백 쿠션(10)을 접어서 제4 상부 테더(58)와 바느질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테더(50)가 4개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에어백 쿠션(10)이 제4 상부 테더(58)에 바느질되어 접철부(15)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부 테더(50)의 개수에 상관없이, 에어백 쿠션(10) 중 인스트루먼트 패널(1)의 외부로 전개되지 않고 에어백 하우징(20)의 내부에 남아 있는 부분에 배치된 상부 테더(여기서는 제4 상부 테더;58)에 에어백 쿠션(10)을 바느질하여서 접철부(15)가 형성되면 가능하다. 즉, 에어백 하우징(20)의 내부에 남아 있는 상부 테더(여기서는 제4 상부 테더;58) 위치에 접철부(15)를 형성함으로서, 에어백 쿠션(10)이 접철부(15)를 힌지 포인트로 하여 상측으로 회전되면, 쿠션 포켓(40)이 에어백 하우징(20)의 상측 선단에 형성된 후크돌기(22a)를 힌지 포인트로 하여 상측으로 회전되어서, 에어백 쿠션(10)이 인스트루먼트 패널(1) 외부의 상측으로 전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인플레이터(30)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는 고온고압 상태로 에어백 쿠션(10) 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가스의 온도에 의해 에어백 쿠션(10)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이 상기 가스의 온도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에어백 쿠션(10)의 내측에는 제4 상부 테더(58)에서부터 인플레이터(30)를 지나 제4 하부 테더(68)에 이르는 부분에, 상기 가스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쉴드부재(70)가 배치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철부(15)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접철부(15)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의 (a)도를 참조하면, 제4 상부 테더(58)의 일측에 쉴드부재(70)를 접촉시키고, 제4 상부 테더(58)의 맞은편 측에 에어백 쿠션(10)을 접촉시켜서, 에어백 쿠션(10)을 제4 상부 테더(58)에 바느질하여 제1 접철부(15a)를 형성한다.
이후, 도 4의 (b)도에서처럼 에어백 쿠션(10) 중 쉴드부재(70)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을 접어서 제1 접철부(15a)에 바느질하면 접철부(15)의 형성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릎 에어백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 사고가 발생되면 인플레이터(30)로부터 가스가 발생되어 에어백 쿠션(10) 내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에어백 쿠션(10)은 팽창되기 시작한다. 이때, 쿠션 포켓(40)은 에어백 쿠션(10)이 처지지 않고 상측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에어백 쿠션(10)을 지지한다.
또한, 에어백 쿠션(10)은 상측이 하측보다 길이가 짧아지게 접혀져서 바느질되어 접철부(1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이 하측보다 텐션이 강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접철부(15)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휘어지면서 전개된다.
에어백 쿠션(10)이 상측으로 휘어짐에 따라, 에어백 쿠션(10)을 수납하고 있는 유연성 재질의 쿠션 포켓(40)도 에어백 쿠션(10)과 함께 상측으로 휘어지는 힘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쿠션 포켓(40)이 에어백 하우징(20)의 후크돌기(22a)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전된다.
이후, 에어백 쿠션(1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1) 외부의 상측으로 전개되어서 인스트루먼트 패널(1)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자동차 사고시에 에어백 쿠션(10)이 인스트루먼트 패널(1)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되게 되므로, 승객의 무릎이 인스트루먼트 패널(1)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1)의 구조물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릎 에어백장치(100)는, 에어백 쿠션(10)을 수납하는 쿠션 포켓(40)을 설치하여 쿠션 포켓(40)이 에어백 쿠션(10)을 하측으로 처지지 않고 상측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1)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되게 되므로, 에어백 쿠션(10)이 승객의 무릎을 보호할 수 있는 위치까지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 쿠션(10)의 상측이 하측보다 길이가 짧아지게 접철부(15)가 형성되어서,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될 때 상측이 하측보다 텐션이 커지게 되므로, 에어백 쿠션(10)이 접철부(15)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휘어지면서 전개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1)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되게 되므로, 에어백 쿠션(10)이 승객의 무릎을 보호할 수 있는 위치까지 전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인스트루먼트 패널 10: 에어백 쿠션
15: 접철부 15a: 제1 접철부
20: 에어백 하우징 22: 상부 하우징
22a: 후크돌기 24: 하부 하우징
30: 인플레이터 35: 체결부
40: 쿠션 포켓 40a: 후크홀
45: 쿠션 출입홀 50: 상부 테더
52: 제1 상부 테더 54: 제2 상부 테더
56: 제3 상부 테더 58: 제4 상부 테더
60: 하부 테더 62: 제1 하부 테더
64: 제2 하부 테더 66: 제3 하부 테더
68: 제4 하부 테더 70: 쉴드부재
100: 무릎 에어백장치

Claims (24)

  1.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의 하측에 배치된 에어백 하우징; 및
    상기 에어백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이 처지지 않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의 상측으로 전개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을 지지하는 쿠션 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될 때 상기 쿠션 포켓이 상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선단에는 후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선단과 대응하는 상기 쿠션 포켓의 선단에는 상기 후크돌기에 결합되는 후크홀이 형성된 무릎 에어백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은,
    상기 쿠션 포켓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돌기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과,
    상기 쿠션 포켓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무릎 에어백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 포켓은 유연성(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진 무릎 에어백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쿠션 포켓의 선단에는 상기 에어백 쿠션이 출입하는 쿠션 출입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쿠션 출입홀로 삽입되어 상기 쿠션 포켓에 수납된 후, 상기 쿠션포켓의 선단이 바느질되어 상기 쿠션 출입홀이 차폐되는 무릎 에어백장치.
  6.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의 하측에 배치된 에어백 하우징; 및
    상기 에어백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측이 하측보다 길이가 짧아지게 접혀져서 결합된 접철부가 형성되어, 가스가 유입되면 상기 접철부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의 상측으로 전개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백 쿠션;을 포함하는 무릎 에어백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측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상부 테더와,
    상기 에어백 쿠션의 하측 내부에 상기 상부 테더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상부 테더와 이격된 사이로 가스가 지나가는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하부 테더를 더 포함하는 무릎 에어백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더는,
    상기 에어백 쿠션 중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부로 전개되는 부분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상부 테더, 제2 상부 테더 및 제3 상부 테더와,
    상기 에어백 쿠션 중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부로 전개되지 않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내부에 남아있는 부분에 배치된 제4 상부 테더를 포함하는 무릎 에어백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접어서 상기 제4 상부 테더와 바느질하여 형성된 무릎 에어백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부 테더는,
    상기 제1 상부 테더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 상부 테더와 이격된 사이에 상기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제1 하부 테더와,
    상기 제2 상부 테더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 상부 테더와 이격된 사이에 상기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제2 하부 테더와,
    상기 제3 상부 테더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3 상부 테더와 이격된 사이에 상기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제3 하부 테더와,
    상기 제4 상부 테더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4 상부 테더와 이격된 사이에 상기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제4 하부 테더를 포함하는 무릎 에어백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으로 상기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에는 상기 제4 상부 테더에서부터 상기 인플레이터를 지나 상기 제4 하부 테더에 이르는 부분에, 상기 가스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쉴드부재가 더 배치된 무릎 에어백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제4 상부 테더의 일측에 상기 쉴드부재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4 상부 테더의 맞은편 측에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접촉시켜서, 상기 에어백 쿠션을 상기 제4 상부 테더에 바느질하여 제1 접철부를 형성한 후, 상기 에어백 쿠션 중 상기 쉴드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을 접어서 상기 제1 접철부에 바느질하여 형성된 무릎 에어백장치.
  13.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의 하측에 배치된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측이 하측보다 길이가 짧아지게 접혀져서 결합된 접철부가 형성되어, 가스가 유입되면 상기 접철부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의 상측으로 전개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백 쿠션; 및
    상기 에어백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이 처지지 않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의 상측으로 전개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상기 승객 무릎과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을 지지하는 쿠션 포켓;을 포함하는 무릎 에어백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될 때 상기 쿠션 포켓이 상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선단에는 후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선단과 대응하는 상기 쿠션 포켓의 선단에는 상기 후크돌기에 결합되는 후크홀이 형성된 무릎 에어백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접철부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휘어지면, 상기 쿠션 포켓이 상기 후크돌기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접철부는 상기 쿠션 포켓 내에 배치되는 무릎 에어백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은,
    상기 쿠션 포켓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돌기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과,
    상기 쿠션 포켓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무릎 에어백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쿠션 포켓은 유연성(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진 무릎 에어백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쿠션 포켓의 선단에는 상기 에어백 쿠션이 출입하는 쿠션 출입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쿠션 출입홀로 삽입되어 상기 쿠션 포켓에 수납된 후, 상기 쿠션포켓의 선단이 바느질되어 상기 쿠션 출입홀이 차폐되는 무릎 에어백장치.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측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상부 테더와,
    상기 에어백 쿠션의 하측 내부에 상기 상부 테더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상부 테더와 이격된 사이로 가스가 지나가는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하부 테더를 더 포함하는 무릎 에어백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더는,
    상기 에어백 쿠션 중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부로 전개되는 부분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상부 테더, 제2 상부 테더 및 제3 상부 테더와,
    상기 에어백 쿠션 중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부로 전개되지 않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내부에 남아있는 부분에 배치된 제4 상부 테더를 포함하는 무릎 에어백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접어서 상기 제4 상부 테더와 바느질하여 형성된 무릎 에어백장치.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하부 테더는,
    상기 제1 상부 테더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 상부 테더와 이격된 사이에 상기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제1 하부 테더와,
    상기 제2 상부 테더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 상부 테더와 이격된 사이에 상기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제2 하부 테더와,
    상기 제3 상부 테더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3 상부 테더와 이격된 사이에 상기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제3 하부 테더와,
    상기 제4 상부 테더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4 상부 테더와 이격된 사이에 상기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제4 하부 테더를 포함하는 무릎 에어백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으로 상기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에는 상기 제4 상부 테더에서부터 상기 인플레이터를 지나 상기 제4 하부 테더에 이르는 부분에, 상기 가스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쉴드부재가 더 배치된 무릎 에어백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제4 상부 테더의 일측에 상기 쉴드부재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4 상부 테더의 맞은편 측에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접촉시켜서, 상기 에어백 쿠션을 상기 제4 상부 테더에 바느질하여 제1 접철부를 형성한 후, 상기 에어백 쿠션 중 상기 쉴드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을 접어서 상기 제1 접철부에 바느질하여 형성된 무릎 에어백장치.
KR1020100066333A 2010-07-09 2010-07-09 무릎 에어백장치 KR101181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333A KR101181195B1 (ko) 2010-07-09 2010-07-09 무릎 에어백장치
US12/911,270 US8500160B2 (en) 2010-07-09 2010-10-25 Knee airbag apparatus
CN201010524825.5A CN102310835B (zh) 2010-07-09 2010-10-29 膝部气囊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333A KR101181195B1 (ko) 2010-07-09 2010-07-09 무릎 에어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720A KR20120005720A (ko) 2012-01-17
KR101181195B1 true KR101181195B1 (ko) 2012-09-18

Family

ID=4542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333A KR101181195B1 (ko) 2010-07-09 2010-07-09 무릎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00160B2 (ko)
KR (1) KR101181195B1 (ko)
CN (1) CN10231083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100A (ko) * 2015-07-13 2017-0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릎 에어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4177B2 (en) * 2008-02-25 2013-05-21 Autoliv Development Ab Assembly with an instrument panel for a motor vehicle and a knee airbag
DE102010030194B4 (de) * 2010-06-17 2018-06-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nieairbaganordnung für Fahrzeuge
DE102011014135A1 (de) * 2011-03-15 2012-09-20 Trw Automotive Gmbh Gassack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assacks
KR101720980B1 (ko) * 2011-06-21 2017-03-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릎 에어백 장치
KR101520850B1 (ko) 2012-03-05 2015-05-2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무릎 에어백 쿠션의 제조 방법
JP5926633B2 (ja) * 2012-06-28 2016-05-25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プロテクタクロス及びエアバッグ装置
CN103496351A (zh) * 2013-09-17 2014-01-08 锦州锦恒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汽车膝部气囊气袋
US9669788B2 (en) * 2014-10-03 2017-06-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Knee airbag for motor vehicle
JP6507797B2 (ja) * 2015-03-31 2019-05-08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6451559B2 (ja) * 2015-08-31 2019-01-16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KR102439460B1 (ko) * 2015-09-30 2022-09-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릎 에어백
DE102016001455A1 (de) * 2016-02-09 2017-08-10 Trw Automotive Gmbh Kniegassackmodul
DE102016001457A1 (de) * 2016-02-09 2017-08-10 Trw Automotive Gmbh Kniegassackmodul
US10618494B2 (en) * 2017-02-28 2020-04-14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anchored positional tether
KR102558598B1 (ko) * 2018-06-22 2023-07-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릎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973342B2 (ja) * 2018-09-25 2021-11-24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
JP7409341B2 (ja) 2021-03-03 2024-01-09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ニーエアバッグ装置
US11479204B1 (en) * 2021-07-01 2022-10-25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Airbag with reinforced tether
CN115366838A (zh) * 2022-09-09 2022-11-22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膝部气囊、车辆和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6116A (ja) * 2002-04-15 2003-10-28 Takata Corp 乗員脚部保護装置
JP2004210092A (ja) 2002-12-27 2004-07-29 Toyoda Gosei Co Ltd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4314763A (ja) * 2003-04-15 2004-11-11 Toyoda Gosei Co Ltd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8296785A (ja) 2007-05-31 2008-12-11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60509B4 (de) * 2002-12-27 2012-04-26 Toyoda Gosei Co., Ltd. Knieschützende Airbagvorrichtung
FR2900111B1 (fr) * 2006-04-24 2011-02-11 Trw Automotive Gmbh Dispositif de retenue d'occupant de vehicule avec coussin a gaz.
US8096578B2 (en) * 2007-11-02 2012-01-17 Tk Holdings Inc. Knee airbag
KR100947997B1 (ko) * 2007-12-18 2010-03-18 델파이코리아 유한회사 자동차용 에어백 접는 방법
CN101279600B (zh) * 2008-05-24 2010-07-14 锦州锦恒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用于保护膝部及小腿的气囊装置
US8118325B2 (en) * 2009-04-27 2012-02-21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s and internal tethers produced from single panels of materi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6116A (ja) * 2002-04-15 2003-10-28 Takata Corp 乗員脚部保護装置
JP2004210092A (ja) 2002-12-27 2004-07-29 Toyoda Gosei Co Ltd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4314763A (ja) * 2003-04-15 2004-11-11 Toyoda Gosei Co Ltd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8296785A (ja) 2007-05-31 2008-12-11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100A (ko) * 2015-07-13 2017-0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릎 에어백 장치
KR102321096B1 (ko) * 2015-07-13 2021-11-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릎 에어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00160B2 (en) 2013-08-06
CN102310835A (zh) 2012-01-11
CN102310835B (zh) 2015-04-22
US20120007345A1 (en) 2012-01-12
KR20120005720A (ko) 201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195B1 (ko) 무릎 에어백장치
WO2008010885A1 (en) Airbag with active exhaust vent
JP2008037136A (ja) 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JP5401288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1210776B1 (ko) 커튼 에어백 쿠션
JP3107072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20120140416A (ko) 무릎 에어백 장치
JP5187931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60050443A (ko) 커튼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의 제조방법
JP5366774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JP4481575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4432699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7055601A (ja) エアバッグ
JP2011073562A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20120051332A (ko) 커튼 에어백 장치
KR20110138674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JP4490031B2 (ja) エアバッグ
JP489771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091829B2 (ja) エアバッグ
KR20110138673A (ko) 무릎 에어백장치
KR20120010660A (ko) 무릎 에어백장치
JP2009255726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2009202829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の連結構造、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4919476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14091420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824

Effective date: 201512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038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120

Effective date: 2016090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