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191B1 - 연속지 처리 장치 및 그 연속지 처리 장치에 롤체를세팅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지 처리 장치 및 그 연속지 처리 장치에 롤체를세팅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191B1
KR101181191B1 KR1020080003181A KR20080003181A KR101181191B1 KR 101181191 B1 KR101181191 B1 KR 101181191B1 KR 1020080003181 A KR1020080003181 A KR 1020080003181A KR 20080003181 A KR20080003181 A KR 20080003181A KR 101181191 B1 KR101181191 B1 KR 101181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body
lid
continuous paper
ar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908A (ko
Inventor
기요카즈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9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6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the guidance of continuous cop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kewed conveyance of the continuous cop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Unwinding Web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Advancing Webs (AREA)

Abstract

롤체를 용이하게 세팅할 수 있는 연속지 처리 장치로,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를 롤체의 상승 등의 불규칙한 이동을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반송 가능한 상태를 용이하게 실현한다.
롤체 수용부(2)의 상방 또한 측방(도면 우측)에 처리부(3)를 갖는 연속지 처리 장치로, 뚜껑(8)이 열린 상태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11)가 프레임(17)의 외측에 있다. 뚜껑(8)을 닫으면, 돌기부(14a)가 캠(17a)에 맞닿아 링크 아암(14)이 축(16)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링크 아암(14)에 연결된 아암(12)이 축(13)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11)와 아암(12)이 뚜껑(8)에 선행하여 이동하여, 롤체(1a)와 연속지(1) 사이에 진입한다. 뚜껑(8)이 닫히면, 가이드 플레이트(11)의 걸어맞춤부(11a)는 연속지(1)와 걸어맞춰지고, 또한, 롤체(1a)의 중심 축선의 바로 위의 위치에 대해 처리부(3)와 반대측(도면 좌측)으로 치우쳐 위치한다.

Description

연속지 처리 장치 및 그 연속지 처리 장치에 롤체를 세팅하는 방법{DEVICE FOR ROLL PAPER PROCESSING AND METHOD OF SETTING THE ROLL BODY IN THE DEVICE}
본 발명은, 연속지에 대해 인쇄 또는 열활성화 등의 처리를 행하는 연속지 처리 장치와, 그 연속지 처리 장치에 롤체를 세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롤체로부터 연속지를 순차적으로 풀어내어, 풀어내어진 연속지에 대해 인쇄 또는 열활성화 등의 처리를 행하고, 처리된 부분을 절단하여 낱장을 얻는 연속지 처리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연속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롤체를 유지하는 방법으로서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롤체의 중심구멍에 중심축(롤축)을 삽입하고, 이 중심축의, 롤체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단부를 프레임으로 지지하는 방법이 있다(제1 종래예). 또,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에 설치된 보빈(홀더)의 끼워맞춤부를, 롤체의 중심구멍에 측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지지하는 방법이 있다(제2 종래예). 또, 특허 문헌 3, 4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순히 롤체 수용부의 바닥면 상에 롤체를 얹어놓기만 하는 방법도 있다(제3, 4의 종래예).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4649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1177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51875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93927호 공보]
상기한 제1 종래예에서는, 롤체의 중심구멍에 중심축을 삽입하는 작업과, 롤체를 유지한 상태의 중심축을 프레임에 장착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번거롭다. 또, 프레임에 대해 착탈 가능한 중심축을 잘못해서 잃어 버려, 그 후의 롤체의 지지를 행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없도록 사용자는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특히, 사용자가, 중심축이 롤체의 부속물이라고 오해한 경우에는,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모든 연속지의 처리가 완료한 후에, 롤체의 소비에 따라 중심축을 폐기해 버려, 그 후에 새로운 롤체를 사용하려고 했을 때에 중심축이 없기 때문에 롤체의 유지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제2 종래예에서는, 보빈은 프레임에 이탈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종래예와 같이 잘못해서 잃어 버리는 일은 없다. 또, 보빈을 롤체의 중심구멍에 삽입하는 1개의 작업만으로 롤체의 유지가 완료되기 때문에, 2개의 작업을 필요로 하는 제1 종래예보다 작업 공정이 줄어든다. 그러나, 롤체 수용부의 좁은 공간 내에서 보빈을 롤체의 중심구멍에 삽입하는 작업은 매우 번잡하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손으로 더듬어 보빈의 끼워맞춤부와 롤체의 중심구멍의 위치 맞춤을 행하는 것과, 보빈의 끼워맞춤부를 중심구멍에 삽입하기 위해 프레임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이 매우 번잡하다. 특히, 보빈의 끼워맞춤부와 롤체의 중심구멍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작은 경우에는, 위치 맞춤 및 삽입의 작업이 더욱 번잡해진다. 또, 위치 맞춤시나 장착시에, 보빈의 끼워맞춤부의 선단에 의해 롤체의 측부를 손상시켜 버 려, 연속지의 가장자리부에 상처나 변형이 남을 우려가 있다.
이들 제1, 2 종래예에서는, 롤체가 중심축이나 보빈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세팅되지 않으면, 롤체로부터 연속지를 풀어내어 처리부에 공급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비해 제3, 4 종래예에서는, 롤체의 중심구멍에 중심축이나 보빈의 끼워맞춤부를 삽입하는 등의 부착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롤체를 롤체 수용부 내에 단지 투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양호하다.
이러한 구성의 일례를 도 19에 도시한다. 이 구성에서는, 롤체 수용부(2)의 상방 또한 측방(롤체 수용부(2)에 수용된 롤체(1a)의 중심 축선의 바로 위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위치)에 처리부(3)가 설치되어 있어, 처리부(3)의 플래튼 롤러(5)가 회전함으로써 롤체(1a)로부터 연속지(1)가 순차적으로 풀어내어져 처리부(3)에 공급된다.
롤체(1a)는 롤체 수용부(2)의 공간 내에 있어서, 거의 규제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롤체(1a)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1)가, 처리부(3)에 설치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5)에 의해 끌어당겨지면서 반송되면, 그 인장력에 의해 롤체(1a)가 롤 수용체(2) 내에서 랜덤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도 19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처리부(3)가 롤체 수용부(2)의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연속지(1)의 반송시에 롤체(1a)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질 가능성이 있다. 롤체(1a)는, 들어올려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정지(靜止)하지는 않고, 롤체 수용부(2) 내에서 불규칙한 동작을 나타낸다. 특히, 연속지(1)가 간헐적으로 반송되는 경우에는, 연속지(1)의 반송시(연속지(1)가 상방으로 끌어당겨질 때)에는 롤체(1a) 가 들어올려지고, 연속지(1)의 반송 정지시(연속지(1)가 끌어당겨지지 않을 때)에는, 중력에 의해 롤체(1a)가 롤체 수용부(2)의 바닥면 상으로 낙하한다. 이렇게 롤체(1a)가 들어올려지는 것과 낙하하는 것이 반복되면, 롤체(1a)의 불규칙한 큰 움직임이 발생한다. 그 결과, 연속지(1)를 정확하게 처리부(3)에 공급할 수는 없고, 비스듬하게 되면서 반송되거나, 반송 속도가 불균일해지거나, 최종적으로는 반송 불능이 되는 등의 동작 불량이 발생한다. 그리고, 처리부(3)의 처리 헤드(4)에 의한 처리의 이상, 예를 들면, 인자 불량이나, 열활성화의 편차 또는 누락 등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 롤체 수용부(2) 내에, 롤체(1a)의 일부를 검지함으로써 롤체(1a)의 크기, 즉 종이의 잔량을 검지하는 센서(18)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롤체(1a)가 롤체 수용부(2) 내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들어올려지는 등의 불규직한 동작을 나타내어, 일시적으로 센서(18)의 검지 영역에서 벗어나면, 롤체(1a)의 크기에 관계없이, 종이의 잔량이 적다고 오판단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롤체의 롤체 수용부 내로의 세팅이 매우 용이한 구성이라 해도,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를, 롤체가 들어올려지는 등의 불규칙한 이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는, 연속지 처리 장치와, 그 연속지 처리 장치에 롤체를 세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과, 프레임에 대해 개폐 가능한 뚜껑을 갖는 연속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연속지가 감겨져 이루어진 롤체를 수용하는 롤체 수용부와, 롤체 수용부의 상방, 또한 롤체 수용부에 수용된 롤체의 중심 축선의 바로 위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위치에 배치되고,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에 대해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와, 롤체 수용부와 처리부 사이에 위치하고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를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부재를 갖고, 가이드 부재는,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를 갖고, 또한 아암에 부착되어 있으며, 아암은, 뚜껑의 개폐 동작과는 독립된 동작으로서, 또는 뚜껑의 개폐 동작과 뚜껑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을 조합한 동작으로서, 프레임의 내측과 프레임의 외측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가이드 부재의 걸어맞춤부의 적어도 일부를, 롤체 수용부에 수용된 롤체의 상방, 또한 롤체의 중심 축선에 대해 처리부와 반대측의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롤체를 롤체 수용부 내에 수용할 때에, 특별한 위치 맞춤이나 장착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롤체 수용부 내에 단지 투입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세팅할 수 있는 구성이라 해도,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를, 롤체 수용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처리부가 끌어당겨 반송시킬 때에, 롤체가 들어올려지는 등의 이동을 나타내는 일이 없다. 또한, 가이드 부재가 부착된 아암이, 뚜껑의 개폐 동작과는 독립된 동작으로서, 또는 뚜껑의 개폐 동작과 뚜껑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을 조합한 동작으로서 이동함으로써, 뚜껑이 닫힐 때까지 가이드 부재를 상기한 바와 같이 롤체의 중심 축선에 대해 처리부와 반대측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아암을 이동시킴으로써, 롤체의 세팅을 위해서 롤체 수용부의 좁은 공간 내에서 손으로 더듬어 작업할 필요가 없고, 작업성이 매우 양호하다.
아암은 뚜껑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면 된다.
아암과 뚜껑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아암과 함께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링크 아암을 더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그 경우, 링크 기구는, 링크 아암의 일부가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캠에 맞닿음으로써, 링크 아암이 뚜껑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되어지고, 링크 아암의 요동에 따라, 링크 아암에 연결되어 있는 아암이 뚜껑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되어지는 구성이면 된다. 이것에 의하면, 사용자는 뚜껑의 개폐 동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가이드 부재 및 아암 자체를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고, 가이드 부재 및 아암 자체를 실질적으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은 가이드 부재의 배치를 매우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아암은, 뚜껑을 닫는 동작시에는 뚜껑에 선행하여 이동하고, 뚜껑을 여는 동작시에는 뚜껑의 뒤를 추종하여 이동하면, 롤체의 착탈 조작이 용이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또, 아암은 수동으로 이동되어지는 구성이면 된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같이 가이드 부재 및 아암을 실질적으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는 없지만, 구조를 보다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처리부는,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에 대해 처리를 행하는 처리 헤드와, 처리 헤드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연속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처리부는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여도 된 다. 또는, 처리부는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를 가열하여 열활성화시키는 열활성화부여도 된다.
본 발명은, 프레임과, 프레임에 대해 개폐 가능한 뚜껑과, 연속지가 감겨져 이루어진 롤체를 수용하는 롤체 수용부와, 롤체 수용부의 상방, 또한 롤체 수용부에 수용된 롤체의 중심 축선의 바로 위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위치에 배치되고,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에 대해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를 갖는 연속지 처리 장치에 롤체를 세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뚜껑이 열린 상태로, 롤체를 롤체에서 연속지의 일단부를 인출한 상태로 롤체 수용부 내에 삽입하고, 뚜껑을 프레임에 대해 닫는 동작을 개시한 후, 가이드 부재가 부착된 아암을 이동시켜, 롤체와 롤체에서 인출된 연속지의 사이에 가이드 부재를 진입시키고, 뚜껑을 프레임에 대해 닫은 시점에서, 가이드 부재의 걸어맞춤부의 적어도 일부를 롤체의 상방, 또한 롤체의 중심 축선에 대해 처리부와 반대측의 위치에 배치하여 연속지에 걸어맞추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를 롤체 수용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처리부가 끌어당겨 반송시킬 때에, 롤체가 들어올려지는 등의 이동을 나타내는 일이 없는 상태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아암의 이동을, 뚜껑을 닫는 동작과 독립된 동작으로서, 또는 뚜껑의 개폐 동작과 뚜껑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을 조합한 동작으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암과 뚜껑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고, 아암과 함께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링크 아암을 이용하여, 뚜껑을 프레임에 대해 닫는 동작을 개시한 후, 링크 아암의 일부를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캠에 맞닿게 함으로써, 링크 아암을 뚜껑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시키고, 링크 아암의 요동에 따라, 링크 아암에 연결되어 있는 아암을 뚜껑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시켜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사용자는 뚜껑의 개폐 동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가이드 부재 및 아암 자체를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고, 가이드 부재 및 아암 자체를 실질적으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은 가이드 부재의 배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아암을, 뚜껑을 닫는 동작시에는 뚜껑에 선행하여 이동시키고, 뚜껑을 여는 동작시에는 뚜껑의 뒤를 추종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체를 롤체 수용부 내에 투입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세팅할 수 있는 구성이라 해도,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의 반송시에 롤체가 들어올려지는 등의 이동을 나타내지 않고, 양호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뚜껑을 닫는 동작 중에, 가이드 부재를 롤체에서 인출된 연속지에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고, 또한 롤체의 중심 축선에 대해 처리부와 반대측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여, 상기한 효과를 발휘하는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롤체의 세팅을 위해서 롤체 수용부의 좁은 공간 내에서 손으로 더듬어 작업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매우 양호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연속지 처리 장치의 구성]
도 1, 2에 본 발명의 연속지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연속지(1)가 감겨져 이루어지는 롤체(1a)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가 도 1에, 롤체(1a)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도 2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연속지 처리 장치는, 롤체(1a)를 수용하는 롤체 수용부(2)와, 롤체 수용부(2)의 상방 또한 측방(도 1, 2의 우측, 즉, 롤체 수용부(2)에 수용된 롤체(1a)의 중심 축선의 바로 위에 해당하는 위치(P3)(도 3(b) 참조)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위치)에 있는 처리부(3)를 갖고 있다.
롤체 수용부(2)는, 대략 V자형의 단면을 구성해 롤체(1a)의 최외주면을 지지하는 1쌍의 경사면(2a)을 갖고 있다. 1쌍의 경사면(2a)이, 롤체(1a)의 최외주면에 각각 선접촉(도 1과 같은 단면도에서 보면 점접촉)함으로써 롤체(1a)가 지지된다. 이 구성에서는, 롤체 수용부(2)에 수용된 롤체(1a)의 중심과 롤체 수용부(2)의 중심은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한다. 즉, 롤체 수용부(2)의 중심과 롤체(1a)의 중심은 적어도 장치의 폭방향(도 1, 2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롤체 수용부(2)의 내부에는 롤체(1a)의 잔량을 검지하는 센서(18)가 설치되어 있다.
처리부(3)는, 처리 헤드(4)와, 이 처리 헤드(4)에 대향해서 위치하는 플래튼 롤러(5)를 포함한다. 처리 헤드(4)와 플래튼 롤러(5) 사이에는,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되는 연속지(1)가 끼워진다. 플래튼 롤러(5)는, 이 연속지(1)를 처리 헤드(4)에 대해 꽉 눌러 지지함과 더불어, 도시 생략한 구동 수단에 구동되어 회전함으로써, 연속지(1)를 순차적으로 반송하는 것이다. 처리 헤드(4)는, 플래튼 롤러(5)에 지지된 연속지(1)에 대해 처리를 행하는 것이며, 일례로서는 기록 가능면을 갖는 연속지에 기록을 행하는 기록 헤드, 또는, 감열성 점착면을 갖는 연속지를 가열하여 점착성을 발현시키는 열활성화 헤드이다. 처리 헤드(4) 및 플래튼 롤러(5)의 하류측에는 커터부가 설치되어 있고, 그 더욱 하류측에, 외부로의 배출구(7)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커터부는, 가동날과, 가동날(도시 생략)에 대향하는 고정날(6)로 이루어진다. 가동날이 고정날(6)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연속지(1)를 절단할 수 있다. 도 1, 2에서는, 가동날은 후퇴 위치에 있으며 도면 중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 연속지 처리 장치에는 뚜껑(8)이 설치되어 있고, 이 뚜껑(8)은, 축(9)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함으로써, 프레임(17)에 대해 개폐 가능하다. 플래튼 롤러(5)와 커터부의 고정날(6)은, 지지 부재(10)를 통해 뚜껑(8)에 부착되어 있으며, 뚜껑(8)과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뚜껑(8)에는, 가이드 플레이트(가이드 부재)(11)가 아암(12)을 통해 부착되어 있다. 아암(12)은, 뚜껑(8)에 설치된 제1 돌출부(8a)에 대해, 축(13)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아암(12)과, 뚜껑(8)에 설치된 제2 돌출부(8b)의 사이에 링크 아암(14)이 부착되어 있다. 이 링크 아암(14)은, 축(15)(도 4(b) 참조)을 중심으로 해서 아암(12)에 대해 요동 가능하고, 또한 축(16)을 중심으로 해서 뚜껑(8)에 대해 요동 가능하다. 이들 아암(12) 및 링크 아암(14)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11)는 어느 정도의 이동 범위 내에서, 뚜껑(8)과는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 도시 생략하였으나, 아암(12) 과 뚜껑(8) 일부의 사이에 스프링이 걸쳐져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a) 등의 사시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상 설명한 아암(12) 및 링크 아암(14)과 돌출부(8a, 8b)는, 뚜껑(8)의 양 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양 측부에 위치하는 제1 링크 아암(12)의 사이에 걸쳐지도록 가이드 플레이트(11)가 부착되어 있다.
링크 아암(14)에는 돌기부(14a)가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17)의 내면에는 캠(17a)이 설치되어 있다. 또, 아암(12)에는 돌기부(12a)가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17)의 내면에는 가이드 홈(17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뚜껑(8)을 닫는 동작시에, 돌기부(14a)가 캠(17a)에 맞닿으면 링크 아암(14)이 눌러져, 도시 생략한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저항해, 링크 아암(14) 및 아암(12) 및 가이드 플레이트(11)가, 뚜껑(8)의 움직임과는 독립된 동작으로서, 또는 뚜껑(8)의 개폐 동작과 뚜껑(8)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을 조합한 동작으로서 이동되어진다. 또, 이 이동은 아암(12)의 돌기부(12a)가 가이드 홈(17b) 내를 슬라이딩함으로써 규칙적으로 행해진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8)을 닫은 상태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11)의 단부는 처리부(3)와 반대측(도 1, 2의 좌측)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있다. 적어도 이 단부가, 연속지(1)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11a)로서 작용한다.
여기에서, 연속지의 반송 경로에 대해 고찰하면, 만일 가이드 플레이트(11)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면, 롤체(1a)의 풀어냄 부분과 처리부(3)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 L1을 따라 연속지의 반송 경로가 형성된다. 그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구성 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1)의 걸어맞춤부(11a)가, 상기한 직선 L1보다도 처리부(3)와 반대측(도 1, 2의 좌측)으로 연속지(1)를 일단 이끌고, 그 후에 처리부(3)로 이끄는 반송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엄밀하게 말하면, 가이드 플레이트(11)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롤체(1a)의 풀어냄 부분의 위치가 약간 이동하여, 그 경우의 롤체(1a)의 풀어냄 부분과 처리부(3)를 연결하는 직선 L2는 직선 L1과는 약간 다르다. 걸어맞춤부(11a)는, 이 직선 L1과 직선 L2의 어느 것에 대해서나, 처리부(3)와 반대측(도 1, 2의 좌측)으로 연속지(1)를 일단 이끌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롤체(1a)를 지지하는 경사면(2a)이 설치된 바닥면 부분도, 뚜껑(8)에 연결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17)의 외부에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지만, 표시부나 입력부 등을 포함하는 패널(19)이 배치되어 있다.
[연속지의 처리 방법의 개략]
이 연속지 처리 장치에 의한 처리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연속지 처리 장치에 롤체(1a)를 세팅한다. 이 세팅 작업은, 롤체 수용부(2)의 공간 내에 롤체(1a)를 투입하기만 하면 되고, 이때에 롤체(1a)로부터 연속지(1)의 일단을 인출하고, 처리부(3)의 처리 헤드(4)와 플래튼 롤러(5)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뚜껑(8)을 닫는다. 이때, 롤체(1a)로부터 인출된 연속지(1)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1)의 걸어맞춤부(11a)에 의해, 처리부(3)와 반대측(도 1, 2의 좌측)으로 일단 이끌어진 후에 도 1, 2의 우측에 위치하는 처리부(3)로 이끌어진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도시 생략한 제어 수단으로부터 처리 헤드(4)에 구동 신호가 보내어짐으로써, 처리 헤드(4)가 연속지(1)에 대해 처리를 행함과 더불어, 도시 생략한 구동 수단에 의해 플래튼 롤러(5)가 회전되어져 연속지(1)의 반송을 행한다. 처리 헤드(4)의 동작과 플래튼 롤러(5)의 동작을 동기시킴으로써, 연속지(1)에 순차적으로 처리를 행해 간다. 또한, 처리 헤드(4)는 서멀 헤드 등이면 되고, 연속지(1)로의 인쇄, 또는, 연속지(1)에 설치된 감열성 점착층에 대한 가열에 의한 열활성화가 행해진다. 소정의 길이의 연속지(1)의 처리가 완료하면, 연속지(1)의 반송을 정지하고, 커터부의 가동날(도시 생략)이 고정부(6)를 향해 이동하고, 처리가 끝난 연속지(1)를 떼어낸다. 계속해서 연속지(1)의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다시 플래튼 롤러(5)에 의한 연속지(1)의 반송 및 처리 헤드(4)에 의한 처리를 행해, 연속지(1)의 반송을 정지하고 절단한다.
이와 같이, 플래튼 롤러(5)의 회전에 의해 연속지(1)를 간헐적으로 반송하는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롤체가 거의 이동하지 않고 회전만을 행하므로, 연속지(1)의 안정한 반송이 가능하다.
[연속지의 반송 상태에 대한 고찰]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해 연속지(1)를 안정적으로 반송 가능한 이유에 대해 이하에 고찰한다.
가이드 플레이트(11)가 존재하지 않는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 연속지(1)의 반송에 따라 롤체(1a)가 들어올려지는 등의 불규칙한 이동을 행하는 이유는, 도 3(a)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롤체 수용부(2)의 상방에 위치하는 처리 부(3)의 플래튼 롤러(5)가 회전하여 연속지(1)를 반송시키려고 하는 힘이, 주로 중력에 저항하여 롤체(1a)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즉, 연직방향 상향의 힘의 성분이 크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롤체(1a)가 들어올려진 경우, 연속지의 절단시 등에 플래튼 롤러(5)의 회전을 정지하여 연속지(1)의 반송을 일시 정지하면, 롤체(1a)를 들어올리는 힘이 없어져, 중력에 의해 롤체(1a)는 낙하한다. 이러한 롤체(1a)의 상승 및 낙하가 반복되어 롤체(1a)의 위치가 안정되지 않는 것, 또 이러한 롤체(1a)의 상승 및 낙하의 충격이나 반동 등에 의해 롤체(1a)가 길이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되어 버림으로써, 롤체(1a)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연속지의 양호한 반송 상태를 계속할 수 없게 되어, 처리 불량(예를 들면 인쇄 불량이나 열활성화의 편차 등)이 생긴다. 또, 롤체(1a)가 일시적으로 들어올려졌을 때에, 센서(18)의 검지 범위로부터 벗어나, 연속지(1)의 잔량이 충분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잔량 부족이라고 잘못 판정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b)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롤체 수용부(2)의 상방에 위치하는 처리부(3)의 플래튼 롤러(5)가 회전하여 연속지(1)를 반송시키려고 하는 힘은, 연속지(1)를, 가이드 플레이트(11)의 걸어맞춤부(11a)에 의해 걸어맞춰져 있는 부분으로부터, 거의 수평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으로서 작용하고, 중력에 저항해 롤체(1a)를 들어올리는 방향(연직방향 상향)으로는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속지(1)를 반송시키기 위한 힘에 의해 롤체(1a)가 들어올려지는 일은 없다. 또한, 걸어맞춤부(11a)와 롤체(1a)의 풀어냄 부분 사이의 반송 경로는 연직방향 상향에 가까운 둔각을 이루고 있는데, 연속 지(1)가 가이드 플레이트(11)의 걸어맞춤부(11a)에 걸어맞춰지는 부분이, 플래튼 롤러(5)의 회전에 의한 반송력을 롤체(1a)에 전달하는 도중에 완충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때문에, 중력에 거역해 롤체(1a)를 들어올릴 정도의 급격하고 강한 힘이 롤체(1a)에 전해지는 일은 없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속지(1)의, 가이드 플레이트(11)의 걸어맞춤부(11a)에 걸어맞춰져 있는 부분이, 처리부(3)와 반대측(도 1~3의 좌측)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있으므로, 연속지(1)는 걸어맞춤 부분에서 항상 수평 방향으로 장력을 받아, 팽팽히 당겨진 상태에 있다. 따라서, 롤체(1a)가 상하로 튈 수 있는 여유가 없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속지(1)의 반송에 따라 롤체(1a)가 들어올려지는 일은 거의 없다고 생각된다. 롤체(1a)가 들어올려지는 일이 없으므로, 당연히 연속지(1)의 반송 정지시에 중력으로 낙하하는 일도 없다. 그리고, 센서(18)가 오판정을 해 버리는 일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롤체(1a)는 1쌍의 경사면(2a)에 의해 구성된 대략 V자형의 부분에 유지되므로, 수평 방향(도 1~3의 좌우 방향)으로도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처리부(3)에 있어서, 연속지(1)를 일단 상방으로 약간의 거리만 이동시킨 후에, 처리부(3)와 플래튼 롤러(5)의 사이에 도달시켜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경로로 되어 있다. 연속지(1)를 약간의 거리만 상방으로 향하게 하는 부분도, 반송력의 전달에 관해 완충 작용을 갖는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반송력이 발생하는 부분(플래튼 롤러(5))으로부터, 이동할 우려가 있는 부분(롤체(1a))에 이르는 힘의 전달 경로(연속지(1)의 반송 경로와 일치하는 경로)의 사이에, 방향 전환 부분이 많을수록 충격의 흡수 및 완충의 효과가 커서, 롤체(1a)의 급격하고 불규칙한 움직임이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종래에 비해 방향 전환 부분이 많기 때문에, 롤체의 상승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움직임을 막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평 방향(도 3(b)의 좌우 방향)에서 봐서, 가이드 플레이트(11)의 걸어맞춤부(11a)의 위치(P1)가 적어도 롤체(1a)의 중심 축선의 바로 위에 해당하는 위치(P3)에 대해, 처리부(3)가 위치하는 측(도면 우측)과 반대측(도면 좌측)에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걸어맞춤부(11a)는, 롤체(1a)의 최외단의 위치(P2)에 대해, 처리부(3)가 위치하는 측(도면 우측)과 반대측(도면 좌측)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이러한 위치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연속지(1)가 가이드 플레이트(11)의 걸어맞춤부(11a)에 의해, 롤체(1a)로부터 처리부(3)에 직선적으로 연속지를 반송하는 경우의 경로(도 3(a) 참조)에 대해, 처리부(3)와 반대측(도면 좌측)으로 일단 이끌어지고, 그 후에 재차 방향 전환하여 처리부(3)로 향하는 반송 경로가 구성된다.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롤체(1a)가 상승 및 낙하하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양호한 반송을 행할 수 있다.
[뚜껑의 개폐 동작]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뚜껑(8)의 개폐 동작에 대해 도 4~11을 참조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뚜껑(8)이 열린 상태에서 닫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 다. 이것은, 연속지 처리 장치에 롤체(1a)를 세팅하는 방법이다. 또한, 도 4, 6~11에 있어서, (a)는 롤체(1a)를 도시 생략한 사시도, (b)는 롤체(1a)를 도시 생략한 단면도, (c)는 롤체(1a)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4(a)~4(c)에는, 뚜껑(8)이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도시 생략한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아암(12)은 뚜껑(8)과 일체적으로 열린 상태에 있다. 거기서, 뚜껑(8)의 내측에 롤체(1a)를 삽입한다. 이때, 뚜껑(8)에 연결되어 있는 바닥면 부분의 경사면(2a) 중 한쪽(도면 우측의 것)과, 뚜껑(8)에 설치된 경사면(8c)에 의해, 롤체(1a)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도 4(c) 참조).
다음에, 뚜껑(8)을 닫기 시작한다. 그러면, 링크 아암(14)의 돌기부(14a)가 프레임(17)의 캠(17a)에 맞닿아 눌러진다. 이 맞닿음 개시시의 상태를 도 5(a)에 도시하고, 도 5(a)의 A부분을 도 5(b)로 확대해 도시한다. 또한, 돌기부(14a)와 캠(17a)의 위치 및 형상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 5(c)에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링크 아암(14)의 돌기부(14a)가 캠(17a)에 맞닿아 눌러지면, 도 6(a)~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아암(14)이 축(16)(도 4(b) 참조)을 중심으로 해서 뚜껑(8)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한다. 그리고, 이 링크 아암(14)의 요동에 따라, 축(15)을 통해 링크 아암(14)에 연결되어 있는 아암(12)이, 축(13)을 중심으로 해서 뚜껑(8)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한다. 이 요동은, 아암(12) 및 가이드 플레이트(11)가, 뚜껑(8)보다 선행하여 프레임(17)을 향해 닫아 가는 움직임이다. 이렇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암(12) 및 링크 아암(14)에 의해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링크 아암(14)의 돌기부(14a)가 캠(17a)에 맞닿은 상태로, 뚜껑(8) 자체를 프레임(17)을 향해 닫아 가면, 도 7~10에 차례대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12) 및 가이드 플레이트(11)가, 뚜껑(8)에 선행하여 프레임(17)의 속(도면 좌측)으로 들어간다. 이때,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1)는, 롤체(1a)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1)의 하측, 즉 롤체(1a)와, 그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1)의 사이에 진입한다. 또, 도 8(a)~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의 돌기부(12a)가 프레임(17)의 가이드 홈(17b) 내로 들어간다. 가이드 홈(17b)은, 개구측(도면 우측)은 폭이 넓기 때문에 아암(12)의 돌기부(12a)가 들어가기 쉽다. 게다가 이 가이드 홈(17b)은, 안쪽(도면 좌측)으로 갈수록 끝이 가늘어지고 있으므로, 돌기부(12a)의 이동 경로가 서서히 규제되어 가서, 최종적으로는 아암(12)이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이끌어진다. 그리고, 도 9(a)~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1)가 롤체(1a)의 중심 축선의 상방에 도달한 후 더 이동해서, 도 10(a)~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1)가 롤체(1a)의 중심 축선보다 안쪽(처리부(3)와 반대측)에 도달한다. 마지막으로, 도 11(a)~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8)이 완전히 닫힌다.
또한, 뚜껑(8)이 닫힌 상태로부터 여는 동작은, 상기한 것과 완전히 반대의 동작이 행해지며, 즉, 도 11(a)~11(c)의 상태로부터, 도 10(a)~10(c)의 상태, 도 9(a)~9(c)의 상태, 도 8(a)~8(c)의 상태, 도 7(a)~7(c)의 상태, 도 6(a)~6(c)의 상태, 도 4(a)~4(c)의 상태로 차례로 이행한다. 이 경우, 뚜껑(8)이 열려 갈 때, 링크 아암(14)의 돌기부(14a)가 캠(17a)에 맞닿아 이동이 규제되므로, 가이드 플레이트(11) 및 아암(12)은 뚜껑(8)의 이동보다 늦게 열려 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8)을 닫은 상태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1)의 걸어맞춤부(11a)의 단부의 위치(P1)가, 롤체(1a)의 중심 축선의 바로 위에 해당하는 위치(P3)(롤체 수용부(2)의 중심과 동일)에 대해, 처리부(3)와 반대측(도면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만일, 가이드 플레이트(11)를 이러한 위치에 고정했다고 하면, 뚜껑(8)을 열어 롤체(1a)를 롤체 수용부(2) 내에 투입했을 때에, 이 롤체(1a)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1)의 단부를, 가이드 플레이트(11)의 상방을 통해 처리부(3)까지 이끌도록 세팅하는 것은 매우 곤란한 작업이 된다. 즉, 롤체(1a)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1)의 단부를, 도 11(c)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매우 좁은 작업 스페이스 내에서, 그 롤체(1a)와 프레임(17) 상벽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과시키는 것은, 매우 정밀한 작업을 필요로 해서 대단히 곤란하다.
만일, 뚜껑(8)이 180도 가까이까지 넓게 열리는 구성이라면, 롤체(1a)를 롤체 수용부(2) 내에 삽입하기 전에, 비교적 넓은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한 상태에서 연속지(1)의 단부를 가이드 플레이트(11)의 상방에 통과시키는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롤체 수용부(2)의 상방에 처리부(3)가 위치하고, 프레임(17)의 하부에 위치하는 축(9)을 중심으로 해서 뚜껑(8)이 요동하여 개폐하는 구성에서는, 이 장치를 평면상에 둔 채로의 상태에서 뚜껑을 90도 이상 넓게 열 수는 없다. 따라서, 장치를 일단 넘어 뜨린 상태로 해서 뚜껑(8)을 열 필요가 있어, 실용적으로는 매우 사용하기 힘든 제품이 되어 버려 바람직하지 않다.
이들 사정을 고려해서 본 출원인은, 가이드 플레이트(11)가, 뚜껑(8)을 연 상태에서는, 도 1~3, 11에 도시한 롤체(1a)의 중심 축선의 바로 위에 해당하는 P3에 대해 처리부(3)와 반대측(도면 좌측)의 위치에는 없고, 뚜껑(8)과 마찬가지로 프레임(17)의 외측으로 탈출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 플레이트(11)를, 뚜껑(8)으로부터 독립된 동작으로서, 또는 뚜껑(8)의 개폐 동작과 뚜껑(8)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을 조합한 동작으로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롤체(1a)를 롤체 수용부(2) 내에 삽입하고, 뚜껑(8)을 닫을 때에, 롤체(1a)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1)의 단부를 가이드 플레이트(11)의 상방에 위치시키면서, 가이드 플레이트(11)를 처리부(3)와 반대측(도면 좌측)의 위치(P1)까지 이동시키는 구성을 처음으로 실현하였다. 특히,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아암(12)과 링크 아암(14)을 포함하는 링크 기구를 구성함으로써, 가이드 플레이트(11)가, 뚜껑(8)의 개폐 동작과 뚜껑(8)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을 조합한 동작으로서 뚜껑(8)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 결과, 뚜껑(8)이 열려 있을 때, 연속지(1)의 단부를 인출한 상태로 롤체(1a)를 롤체 수용부(2)에 삽입하고 뚜껑(8)을 닫는 동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연속지(1)를 가이드 플레이트(11) 상에 배치하여 가이드 플레이트를 원하는 위치(P1)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연속지(1)를 가이드 플레이트(11)와 프레임(17) 상벽 사이의 좁은 공간에 통과 시키는 작업은 필요없고, 또, 가이드 플레이트(11) 자체를 직접 이동시킬 필요도 없고, 단지 롤체(1a)를 삽입하고 뚜껑(8)을 닫는 작업만으로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대단히 양호하다. 도 4(a)~4(c)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이들 동작은, 뚜껑(8)의 열림 각도는 90도 미만이어도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에, 장치를 평면상에 둔 채로 실시할 수 있어 실용적으로 사용하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부가적 효과로서 도 4,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8)을 연 상태에서는, 커터부의 고정날(6)이 가이드 플레이트(11)에 덮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 등이 잘못해서 고정날(6)에 닿을 우려가 없는 것을 들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3~18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14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연속지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연속지(1)가 감겨져 이루어지는 롤체(1a)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가 도 13에, 롤체(1a)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도 14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연속지 처리 장치는, 링크 아암(14)과, 링크 아암(14)의 연결용의 축(15, 16)과, 캠(17a)과, 가이드 홈(17b)을 갖고 있지 않다. 또, 도시 생략한 스프링이, 아암(12)을 프레임(17)측에 가까워지도록 탄성가압하고 있다. 즉, 스프링이 아암(12)에 가하는 탄성가압력의 방향이,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와는 실질적으로 반대로 되어 있다. 이들 이외의 구성은, 도 1, 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1)의 걸어맞춤부(11a)의 위치(P1)는, 롤체(1a)의 중심 축선의 바로 위에 해당하는 위치(P3)에 대해, 처리부(3)의 반대측(도면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 플레이트(11)에 의해, 롤체(1a)의 풀어냄 부분과 처리부(3)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 L1, L2보다, 처리부(3)와 반대측(도 13의 좌측)으로 연속지(1)를 일단 이끌고, 그 후에 처리부(3)로 이끄는 반송 경로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11) 및 아암(12)이, 뚜껑(8)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지 않고 수동으로 작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13~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8)이 닫힌 상태로부터, 뚜껑(8)을 열어 롤체(1a)를 세팅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5에 도시한 상태에서 뚜껑(8)을 열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 생략한 스프링에 의해 탄성가압되어, 가이드 플레이트(11) 및 아암(12)은 프레임의 안쪽(도면 좌측)에 남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11)가 방해가 되어 롤체(1a)의 출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가이드 플레이트(11) 및 아암(12)을 프레임(17)의 외측으로 인출한다. 또한, 도 17(b)는, 이렇게 수동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1) 및 아암(12)을 뚜껑(8)에 근접하도록 인출한 상태를, 도 17(a)와는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롤체(1a)를 롤체 수용부(2) 내에 삽입한 후, 가이드 플레이 트(11) 및 아암(12)으로부터 손을 떼면, 도시 생략한 스프링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11) 및 아암(12)은 프레임의 안쪽(도면 좌측)으로 이동한다. 단, 아암(12)의 뚜껑(8)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 각도는 스토퍼(20)에 의해 제한되고 있기 때문에, 도 18(a),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1)가 프레임(17)의 내부로 들어가기 바로 앞에서 정지한다. 또한, 도 18(a)는 사시도, 도 18(b)는 롤체(1a)를 생략한 단면도이며, 도 18(c)는 가이드 플레이트(11)가 도시 생략한 스프링에 의해 탄성가압되어 프레임(17)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 18(a)와는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뚜껑(8)을 닫으면, 가이드 플레이트(11) 및 아암(12)도 일체적으로 이동하여 프레임(17)의 심부로 진입해, 도 13, 14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한 스토퍼(20)에 의한, 아암(12)의 뚜껑(8)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 각도의 제한은, 도 13,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8)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1)의 걸어맞춤부(11a)가 원하는 위치(P1)에서 정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단, 가이드 플레이트(11) 및 아암(12)을 수동으로 움직이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작업이 조금 번잡하게 되는 대신에, 링크 아암(14)이나 캠(17a) 등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2개의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14)가 아암(12)을 통해 뚜껑(8)에 부착되어 있으나, 가이드 플레이트(14)가, 아암(12) 또는 그 밖의 부 재를 통해 프레임(17)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가이드 플레이트(11) 및 아암(12)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뚜껑(8)의 개폐와 연동해 자동적으로 이동하는 구성보다,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구성 쪽이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다. 어쨌든, 가이드 플레이트(14)가, 뚜껑(8)의 개폐와는 독립된 동작으로서, 또는 뚜껑(8)의 개폐 동작과 뚜껑(8)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을 조합한 동작으로서 소정의 위치(P1)와 프레임(17) 외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면, 상기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속지 처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연속지 처리 장치의 롤체가 세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종래의 연속지 처리 장치의 연속지 반송 경로를 도시한 모식도, (b)는 도 1에 도시한 연속지 처리 장치의 연속지 반송 경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의 (a)는 도 1에 도시한 연속지 처리 장치의 뚜껑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롤체를 생략한 사시도, (b)는 롤체를 생략한 단면도, (c)는 롤체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에 도시한 연속지 처리 장치의 뚜껑을 닫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롤체를 생략한 사시도, (b)는 (a)의 A부분 확대도, (c)는 롤체를 생략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1에 도시한 연속지 처리 장치의 뚜껑을 닫는 과정을 도시한, 롤체를 생략한 사시도, (b)는 롤체를 생략한 단면도, (c)는 롤체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1에 도시한 연속지 처리 장치의 뚜껑을 닫는 과정을 도시한, 롤체를 생략한 사시도, (b)는 롤체를 생략한 단면도, (c)는 롤체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도 1에 도시한 연속지 처리 장치의 뚜껑을 닫는 과정을 도시 한, 롤체를 생략한 사시도, (b)는 롤체를 생략한 단면도, (c)는 롤체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1에 도시한 연속지 처리 장치의 뚜껑을 닫는 과정을 도시한, 롤체를 생략한 사시도, (b)는 롤체를 생략한 단면도, (c)는 롤체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1에 도시한 연속지 처리 장치의 뚜껑을 닫는 과정을 도시한, 롤체를 생략한 사시도, (b)는 롤체를 생략한 단면도, (c)는 롤체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도 1에 도시한 연속지 처리 장치의 뚜껑을 완전히 닫은 상태를 도시한, 롤체를 생략한 사시도, (b)는 롤체를 생략한 단면도, (c)는 롤체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도 1에 도시한 연속지 처리 장치에 롤체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b)는 (a)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연속지 처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연속지 처리 장치의 롤체가 세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연속지 처리 장치의 뚜껑이 닫혀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한 연속지 처리 장치의 뚜껑을 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의 (a)는 도 13에 도시한 연속지 처리 장치의 롤체를 삽입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b)는 (a)에 도시한 뚜껑 및 뚜껑에 부착된 각 부재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의 (a)는 도 13에 도시한 연속지 처리 장치의 롤체를 삽입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b)는 롤체를 생략한 단면도, (c)는 (a)에 도시한 뚜껑 및 뚜껑에 부착된 각 부재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연속지 처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연속지 1a : 롤체
2 : 롤체 수용부 2a : 경사면
3 : 처리부 4 : 처리 헤드
5 : 플래튼 롤러 6 : 고정날(커터부)
7 : 배출구 8 : 뚜껑
8a : 제1 돌출부 8b : 제2 돌출부
9, 13, 15, 16 : 축 10 : 지지 부재
11 : 가이드 플레이트(가이드 부재) 11a : 걸어맞춤부
12 : 아암 12a : 돌기부
14 : 링크 아암 14a : 돌기부
17 : 프레임 17a : 캠
17b : 가이드 홈 18 : 센서
19 : 패널 20 : 스토퍼
P1 : 가이드 플레이트의 걸어맞춤부의 위치
P2 : 롤체의 중심 축선의 바로 위에 해당하는 위치
P3 : 롤체의 최외단의 위치

Claims (13)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해 개폐 가능한 뚜껑을 갖는 연속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연속지가 감겨져 이루어진 롤체를 수용하는 롤체 수용부와, 상기 롤체 수용부의 상방, 또한 상기 롤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롤체의 중심 축선의 바로 위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에 대해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와, 상기 롤체 수용부와 상기 처리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를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부재를 갖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를 갖고, 또한 아암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은, 상기 뚜껑의 개폐 동작과는 독립된 동작으로서, 또는 상기 뚜껑의 개폐 동작과 상기 뚜껑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을 조합한 동작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걸어맞춤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롤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롤체의 상방, 또한 상기 롤체의 상기 중심 축선에 대해 상기 처리부와 반대측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지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뚜껑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속지 처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암과 상기 뚜껑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아암과 함께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링크 아암을 더 포함하는 연속지 처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링크 아암의 일부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캠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링크 아암이 상기 뚜껑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되어지고, 상기 링크 아암의 요동에 따라, 상기 링크 아암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아암이 상기 뚜껑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되어지는 구성인 연속지 처리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뚜껑을 닫는 동작시에는 상기 뚜껑에 선행하여 이동하고, 상기 뚜껑을 여는 동작시에는 상기 뚜껑의 뒤를 추종하여 이동하는 연속지 처리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수동으로 이동되어지는 연속지 처리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에 대해 처리를 행하는 처리 헤드와, 상기 처리 헤드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연속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를 포함하는 연속지 처리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인 연속지 처리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를 가열하여 열활성화시키는 열활성화부인 연속지 처리 장치.
  10.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해 개폐 가능한 뚜껑과, 연속지가 감겨져 이루어진 롤체를 수용하는 롤체 수용부와, 상기 롤체 수용부의 상방, 또한 상기 롤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롤체의 중심 축선의 바로 위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롤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연속지에 대해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를 갖는 연속지 처리 장치에, 상기 롤체를 세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열린 상태로, 상기 롤체를 상기 롤체에서 상기 연속지의 일단부 를 인출한 상태로 상기 롤체 수용부 내에 삽입하고,
    상기 뚜껑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닫는 동작을 개시한 후, 가이드 부재가 부착된 아암을 이동시켜, 상기 롤체와 상기 롤체에서 인출된 상기 연속지 사이에 상기 가이드 부재를 진입시키고,
    상기 뚜껑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닫은 시점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걸어맞춤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롤체의 상방, 또한 상기 롤체의 상기 중심 축선에 대해 상기 처리부와 반대측의 위치에 배치하여 상기 연속지에 걸어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지 처리 장치에 롤체를 세팅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이동을, 상기 뚜껑을 닫는 동작과 독립된 동작으로서, 또는 상기 뚜껑의 개폐 동작과 상기 뚜껑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을 조합한 동작으로서 행하는 연속지 처리 장치에 롤체를 세팅하는 방법.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아암과 상기 뚜껑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아암과 함께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링크 아암을 이용하여,
    상기 뚜껑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닫는 동작을 개시한 후, 상기 링크 아암의 일부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캠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링크 아암을 상기 뚜껑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시키고, 상기 링크 아암의 요동에 따라, 상기 링크 아암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아암을 상기 뚜껑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시키는 연속지 처리 장치에 롤체를 세팅하는 방법.
  13.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아암을 상기 뚜껑을 닫는 동작시에는 상기 뚜껑에 선행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뚜껑을 여는 동작시에는 상기 뚜껑의 뒤를 추종하여 이동시키는 연속지 처리 장치에 롤체를 세팅하는 방법.
KR1020080003181A 2007-01-24 2008-01-10 연속지 처리 장치 및 그 연속지 처리 장치에 롤체를세팅하는 방법 KR101181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14239 2007-01-24
JP2007014239A JP4974357B2 (ja) 2007-01-24 2007-01-24 連続紙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908A KR20080069908A (ko) 2008-07-29
KR101181191B1 true KR101181191B1 (ko) 2012-09-18

Family

ID=39277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181A KR101181191B1 (ko) 2007-01-24 2008-01-10 연속지 처리 장치 및 그 연속지 처리 장치에 롤체를세팅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75955B2 (ko)
EP (1) EP1950049B1 (ko)
JP (1) JP4974357B2 (ko)
KR (1) KR101181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7654B1 (fr) 2006-10-31 2010-01-29 Georgia Pacific France Procede, dispositif de fabrication et rouleaux associes formes de feuilles a decoupes et predecoupes alternees
US11297984B2 (en) 2006-10-31 2022-04-12 Gpcp Ip Holdings Llc Automatic napkin dispenser
JP2008179048A (ja) * 2007-01-24 2008-08-07 Seiko Instruments Inc 連続紙処理装置および連続紙処理方法
US10383489B2 (en) 2012-02-10 2019-08-20 Gpcp Ip Holdings Llc Automatic napkin dispenser
US9604811B2 (en) 2013-10-01 2017-03-28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Automatic paper product dispenser with data collection and method
WO2016021514A1 (ja) * 2014-08-06 2016-02-1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及びプリンタ装置の記録紙のニアエンド状態検出方法
US10398264B2 (en) 2016-01-26 2019-09-03 Gpcp Ip Holdings Llc Mechanical dispenser for perforated sheet products
JP6202648B1 (ja) 2016-07-15 2017-09-27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ロール紙プリンタ
KR102187668B1 (ko) 2016-10-25 2020-12-0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인쇄 가능 매체의 일부의 일시적 고정
US9919540B1 (en) 2016-12-15 2018-03-20 Zih Corp. Movable media guide for media processing devices
USD822401S1 (en) 2017-01-26 2018-07-10 Gpcp Ip Holdings Llc Mechanical dispenser
BR112019021491A2 (pt) 2017-05-10 2020-06-23 Gpcp Ip Holdings Llc Dispensador automático de produto de papel e métodos associados
US10807390B2 (en) * 2017-10-30 2020-10-20 Transact Technologies Incorporated Pivot mechanism for a printer and a printer with a pivoting printer housing
JP7439528B2 (ja) * 2020-01-21 2024-02-28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1777A (ja) 1999-01-26 2000-08-02 Toshiba Tec Corp プリンタ
JP2003146493A (ja) 2001-11-05 2003-05-21 Citizen Watch Co Ltd ロール紙保持装置および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3927A (en) * 1953-11-12 1959-02-17 Mcdonald Joanne Louise Paper dispenser
JPH03213373A (ja) * 1990-01-18 1991-09-18 Brother Ind Ltd プリンタ
US5476233A (en) * 1992-12-14 1995-12-19 Tohoku Ricoh Co., Ltd. Stacker
US5516219A (en) 1994-08-01 1996-05-14 Lasermaster Corporation High resolution combination donor/direct thermal printer
EP0990533B1 (en) 1998-10-02 2004-12-22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JP2001213551A (ja) * 2000-02-01 2001-08-07 Seiko Epson Corp ロール紙装填機構およびロール紙プリンタ
US6629796B2 (en) 2000-04-12 2003-10-07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JP2002308482A (ja) * 2001-04-13 2002-10-23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JP2004306561A (ja) * 2003-04-10 2004-11-04 Seiko Instruments Inc 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1777A (ja) 1999-01-26 2000-08-02 Toshiba Tec Corp プリンタ
JP2003146493A (ja) 2001-11-05 2003-05-21 Citizen Watch Co Ltd ロール紙保持装置および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74357B2 (ja) 2012-07-11
EP1950049A3 (en) 2009-04-01
EP1950049B1 (en) 2012-06-20
EP1950049A2 (en) 2008-07-30
KR20080069908A (ko) 2008-07-29
US7975955B2 (en) 2011-07-12
JP2008179449A (ja) 2008-08-07
US20080179444A1 (en)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191B1 (ko) 연속지 처리 장치 및 그 연속지 처리 장치에 롤체를세팅하는 방법
JP6452400B2 (ja) プリント装置
JP4992657B2 (ja) ロール紙供給装置およびロール紙プリンタ
JP5200567B2 (ja) プリンタの開閉蓋構造およびプリンタ
JP2002154245A (ja) 両面印刷装置
JP4059282B2 (ja) カセット及びテープ印字装置
TWI680888B (zh) 列印單元及熱列印機
JP2007083478A (ja) ロール紙プリンタ
KR20160138198A (ko) 테이프 카트리지
JP4615382B2 (ja) プリンタ
JP4299425B2 (ja) 用紙ロールのセット方法及び印字装置
JPH10291707A (ja) ウエッブロール及びウエッブロール収納カセット
JP6299393B2 (ja) 切断装置及び印字装置
KR20080069907A (ko) 연속지 처리 장치 및 연속지 처리 방법
JP2008120068A (ja) サーマルプリンタユニット
JP2010105811A (ja) プリンタ及びロール紙保持機構
JP6753932B2 (ja) プリンタ
JP2009096065A (ja) ロール紙プリンタ
JP2019177485A (ja) 印刷装置
JP4473377B2 (ja) 印字装置
JP2018069471A (ja) プリンタ
JP4123260B2 (ja) ウエッブロール収納カセット
JP6497897B2 (ja) スプール部材および記録装置
JP5123841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3861829B2 (ja) 記録媒体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