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204B1 -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204B1
KR101180204B1 KR1020097021454A KR20097021454A KR101180204B1 KR 101180204 B1 KR101180204 B1 KR 101180204B1 KR 1020097021454 A KR1020097021454 A KR 1020097021454A KR 20097021454 A KR20097021454 A KR 20097021454A KR 101180204 B1 KR101180204 B1 KR 101180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r
landing
car door
interlock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078A (ko
Inventor
히로시 기가와
나오토시 이토
요시히코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5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20Lock mechanisms actuated mechanically by abutments or projections on the cages

Abstract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있어서는, 제1 승강장 도어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장치가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장치는 도어열림 개시시에 동력전달체가 소정량 움직이면, 제1 승강장 도어로의 걸어맞춤을 완료하여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 및 제1 승강장 도어의 도어열림동작을 개시시킨다.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에는 동력전달체에 접속된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는 도어열림 개시시에 동력전달체가 소정량 움직이면, 동력전달체의 움직임을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전달하여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도어열림동작을 개시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ELEVATOR DOOR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개폐동작에 승강장 도어를 연동(連動)시키는 걸어맞춤장치가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에서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볼 나사(ball screw)를 통하여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전달하고,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동작을 링(ring) 모양의 구동체인을 이용하여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전달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구동장치에서는 동일한 구조의 걸어맞춤장치를 2개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좌우대칭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2개의 엘리베이터칸 도어를 대칭으로 개폐시키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1 : 일본국 특개2005-41620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특개평1-294190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출입구장치에서는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동작을 링 모양의 구동체인을 이용하여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전달하고 있으므로, 장치가 대형화하여 큰 설치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또, 종래의 도어구동장치에서는 걸어맞춤장치를 2개 이용하고 있으므로, 부품점수가 증가해 비용이 비싸져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저비용이고 또한 공간절약적인 구조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동작을 동기(同期)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는 엘리베이터칸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 엘리베이터칸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모터, 도어모터에 의해 작동되고, 도어모터의 구동력을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체,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승강장 도어, 제1 승강장 도어의 개폐동작에 제2 승강장 도어를 연동시키는 승강장 도어 연동기구 및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동력전달체에 접속되어 있고, 제1 승강장 도어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장치를 구비하며, 걸어맞춤장치는 도어열림 개시시에 동력전달체가 소정량 움직이면, 제1 승강장 도어로의 걸어맞춤을 완료하여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 및 제1 승강장 도어의 도어열림동작을 개시시키고,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에는 동력전달체에 접속된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는 도어열림 개시시에 동력전달체가 소정량 움직이면, 동력전달체의 움직임을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전달하여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도어열림동작을 개시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를 승강장 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장치를 승강로 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및 도 2의 승강장 도어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걸어맞춤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의 도어열림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를 승강장 측에서 본 정면도로서, 2매 도어 중앙열림식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를 나 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 출입구 상부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프레임(1)이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도어프레임(1)에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폭방향으로 평행한 엘리베이터칸 도어레일(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 도어프레임(1)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도어모터(3)가 고정되어 있다.
도어모터(3)에는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풀리(4)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도어프레임(1)의 길이방향 타단부에는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풀리(5)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풀리(4, 5)에는 동력전달체인 무단상(無端狀)의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가 감겨 있다.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풀리(4)는 도어모터(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풀리(4)가 회전되면,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가 순환됨과 동시에,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풀리(5)가 회전된다.
엘리베이터칸 도어레일(2)에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 측 도어)(8) 및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종동 측 도어)(9)가 매달려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8, 9)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개폐시에 도어모터(3)에 의해 구동되어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8)는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본체(10)와,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본체(10)의 상부에 고정된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행거(11)를 가지고 있다.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행거(11)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레일(2) 위를 전동하는 복수의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롤러(12)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9)는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본체(13)와, 제2 엘리베 이터칸 도어본체(13)의 상부에 고정된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행거(14)를 가지고 있다.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행거(14)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레일(2) 위를 전동하는 복수의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롤러(15)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8)에는 승강장 도어장치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장치(16)가 탑재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9)에는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8)의 동작에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9)의 동작을 연동시키는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17)가 탑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도어프레임(1)에는 전(全)도어닫음시에 걸어맞춤장치(16)에 걸어맞춤하는 제1 로크해제부재로서의 제1 로크해제로드(38)와, 전도어닫음시에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17)에 걸어맞춤하는 제2 로크해제부재로서의 제2 로크해제로드(39)가 고정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장치를 승강로 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승강장 출입구 상부에는 승강장 도어프레임(18)이 고정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프레임(18)에는 승강장 출입구의 폭방향으로 평행한 승강장 도어레일(19)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프레임(18)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제1 승강장 도어풀리(20)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프레임(18)의 길이방향 타단부에는 제2 승강장 도어풀리(2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승강장 도어풀리(20, 21)에는 무단상의 연동로프(22)가 감겨 있다.
승강장 도어레일(19)에는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 승강장 도어(23, 24)가 매달려 있다. 제1 승강장 도어(23)는 엘리베이터칸의 착상(着床)시에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8)에 걸어맞춰져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8)와 일체로 이동된다.
제1 승강장 도어(23)는 제1 승강장 도어 연결브라켓(25)을 통하여 연동로프(22)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승강장 도어(24)는 제2 승강장 도어 연결브라켓(26)을 통하여 연동로프(22)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승강장 도어(23)의 개폐동작에 의해 연동로프(22)가 순환되면, 제2 승강장 도어(24)는 제1 승강장 도어(23)와는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승강장 도어 연동기구(40)는 승강장 도어풀리(20, 21), 연동로프(22) 및 승강장 도어 연결브라켓(25, 26)을 가지고, 제1 승강장 도어(23)의 개폐동작에 제2 승강장 도어(24)를 연동시킨다.
제1 승강장 도어(23)는 제1 승강장 도어본체(27)와, 제1 승강장 도어본체(27)의 상부에 고정된 제1 승강장 도어행거(28)를 가지고 있다. 제1 승강장 도어행거(28)에는 승강장 도어레일(19) 위를 전동하는 복수의 제1 승강장 도어롤러(29)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승강장 도어(24)는 제2 승강장 도어본체(30)와, 제2 승강장 도어본체(30)의 상부에 고정된 제2 승강장 도어행거(31)를 가지고 있다. 제2 승강장 도어행거(31)에는 승강장 도어레일(19) 위를 전동하는 복수의 제2 승강장 도어롤러(32)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프레임(18) 및 제1 승강장 도어행거(28)에는 엘리베이터칸이 착상하고 있지 않을 때에 승강장 측으로부터 제1 및 제2 승강장 도어(23, 24)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터로크장치(interlocking apparatus)(33)가 설치되어 있다. 인터로크장치(33)는 걸쇠(catch)(34), 인터로크 클러치(clutch)(35), 고정 측 인터로크롤러(36) 및 가동 측 인터로크롤러(37)를 가지고 있다.
걸쇠(34)는 승강장 도어프레임(18)에 고정되어 있다. 인터로크 클러치(35)는 제1 승강장 도어행거(28)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승강장 도어(23, 24)가 전폐(全閉)상태일 때, 인터로크 클러치(35)의 선단부가 걸쇠(34)에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승강장 도어(23, 24)의 도어열림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고정 측 인터로크롤러(36)는 인터로크 클러치(35)의 요동축과 동축(同軸)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측 인터로크롤러(37)는 인터로크 클러치(35)에 장착되며, 인터로크 클러치(35)와 일체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승강장 도어장치 및 도 2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엘리베이터칸이 착상했을 때, 인터로크장치(33)의 가동 측 인터로크롤러(37)는 걸어맞춤장치(16)와 걸어맞춤한다.
도 4는 도 1의 걸어맞춤장치(16)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행거(11)에는 걸어맞춤장치 지지판(41)이 고정되어 있다. 걸어맞춤장치 지지판(41)에는 제1 및 제2 지지브라켓(42, 43)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제1 지지브라켓(42)은 걸어맞춤장치 지지판(41)에 고정된 제1 고정지지축(44)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지지브라켓(43)은 걸어맞춤장치 지지판(41)에 고정된 제2 고정지지축(45)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지지브라켓(42)의 중간부에는 캠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캠부(42a)에 는 로크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브라켓(42)의 일단부에는 제1 부동(浮動)지지축(46)을 통하여 제1 연결브라켓(47)의 기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지지브라켓(42)의 일단부에는 제2 부동지지축(48)을 통하여 제2 연결브라켓(49)의 기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연결브라켓(47, 49)의 선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평행한 도어멈춤 측 베인(vane)(50)이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다. 제1 및 제2 지지브라켓(42, 43)의 타단부에는 도어멈춤 측 베인(50)에 평행한 도어포켓(door pocket) 측 베인(51)이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다.
도어멈춤 측 베인(50)의 상단부는 베인 연결브라켓(50a)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에 접속되어 있다. 도 4의 상태로부터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가 도어열림방향으로 움직이면, 도어멈춤 측 베인(50)도 같은 방향으로 변위되어 부동지지축(46, 48)이 위쪽으로 변위됨과 동시에, 지지브라켓(42, 43)이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포켓 측 베인(51)이 도어닫음방향으로 변위되어 도어멈춤 측 베인(50)과 도어포켓 측 베인(51)과의 사이의 간격이 축소된다.
걸어맞춤장치 지지판(41)과 도어멈춤 측 베인(50)과의 사이에는 도어개폐방향으로의 도어멈춤 측 베인(50)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인가이드부(52)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장치 지지판(41)에는 캠부(42a)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장치 랫치(latch)(53)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장치 랫치(53)는 요동축(54)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다. 걸어맞춤장치 지지판(41)과 걸어맞춤장치 랫치(53)와의 사이에는 걸어맞춤장치 랫치(53)를 캠부(42a)로 밀어붙이는 누름스프링(pushing spring)(55)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멈춤 측 베인(50)의 도어열림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제1 지지브라켓(42)이 소정량 요동되면, 걸어맞춤장치 랫치(53)는 누름스프링(55)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요동되어 로크부(42b)에 걸어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도면의 시계방향으로의 제1 지지브라켓(42)의 요동이 규제되어 베인(50, 51)은 그들의 간격이 축소된 위치에서 로크(lock)된다.
또,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8)가 전도어닫음위치 근방으로 이동되면, 제1 로크해제로드(38)의 선단부가 걸어맞춤장치 랫치(53)의 타단부에 맞닿고, 걸어맞춤장치 랫치(53)는 누름스프링(55)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된다. 이것에 의해, 걸어맞춤장치 랫치(53)의 로크부(42b)로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17)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전도어닫음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행거(14)에는 연동기구 지지판(61)이 고정되어 있다. 연동기구 지지판(61)에는 스토퍼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연동기구 지지판(61)에는 연동기구 연결브라켓(62)이 설치되어 있다. 연동기구 연결브라켓(62)은 요동축(63)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면의 시계방향으로의 연동기구 연결브라켓(62)의 요동은 스토퍼부(61a)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연동기구 연결브라켓(62)의 상단부는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에 접속되어 있다. 연동기구 연결브라켓(62)에는 캠부(62a)가 형성되어 있다. 캠부(62a)에는 로크부(62b)가 형성되어 있다.
연동기구 지지판(61)에는 캠부(62a)에 걸어맞춤하는 연동기구 랫치(64)가 설치되어 있다. 연동기구 랫치(64)는 요동축(65)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다. 연동기구 지지판(61)과 연동기구 랫치(64)와의 사이에는 연동기구 랫치(64)를 캠부(62a)로 밀어붙이는 누름스프링(66)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의 도어열림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동기구 연결브라켓(62)이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요동되어 스토퍼부(61a)에 맞닿으면,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의 이동이 연동기구 연결브라켓(62) 및 연동기구 지지판(61)을 통하여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9)에 전달되어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9)가 도어열림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연동기구 랫치(64)는 누름스프링(66)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되어 로크부(62b)에 걸어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의 연동기구 연결브라켓(62)의 요동이 규제된다.
또, 도어닫음동작시에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9)가 전도어닫음위치 근방으로 이동되면, 제2 로크해제로드(39)의 선단부가 연동기구 랫치(64)에 맞닿고, 연동기구 랫치(64)는 누름스프링(66)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요동된다. 이것에 의해, 연동기구 랫치(64)의 로크부(62b)로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어열림시에는 도어모터(3)에 의해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풀리(4)가 도 1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멈춤 측 베인(50) 및 도어포켓 측 베인(51)은 서로의 간격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때, 도어멈춤 측 베인(50)과 도어포켓 측 베인(51)과의 사이에는 가동 측 인터로크롤러(37)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멈춤 측 베인(50) 및 도어포켓 측 베인(51)의 변위에 의해 인터로크 클러치(35)가 도 2의 시계방향으로 요동되어 인터로크 클러치(35)의 걸쇠(34)로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 후, 도어모터(3)가 도어열림방향으로 더욱 구동되면, 도어멈춤 측 베인(50)과 도어포켓 측 베인(51)과의 사이에 인터로크롤러(36, 37)가 끼워지지된 상태로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8) 및 제1 승강장 도어(23)가 일체로 도어열림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8) 및 제1 승강장 도어(23)는 전도어닫음상태로부터 도어구동벨트(6)가 소정량 움직인 후에 도어열림동작을 개시한다. 또, 제2 승강장 도어(24)는 승강장 도어 연동기구(40)를 통하여 제1 승강장 도어(23)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8) 및 제1 승강장 도어(23)의 도어열림동작에 동기하여 도어열림동작한다.
한편,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9)는 전도어닫음상태로부터 도어구동벨트(6)가 소정량 움직여, 연동기구 연결브라켓(62)이 스토퍼부(61a)에 맞닿은 후에 도어열림동작을 개시한다. 따라서, 전도어닫음상태에서의 연동기구 연결브라켓(62)과 스토퍼부(61a)와의 사이의 간격을 미리 조정해 두는 것에 의해,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9)의 도어열림동작 타이밍을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8)의 도어열림동작 타이밍에 동기시킬 수 있다.
또, 도어닫음시에는 도어모터(3)에 의해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풀리(4)가 도 1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걸어맞춤장치 랫치(53)가 로크부(42b)에 걸어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도 4의 시계방향으로의 제1 지지브라켓(42)의 요동은 규제되어, 도어멈춤 측 베인(50)과 도어포켓 측 베인(51)과의 사이의 간격은 축소된 채로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의 도어닫음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8) 및 제1 승강장 도어(23)는 일체로 도어닫음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전도어닫음상태가 되기 직전에 걸어맞춤장치 랫치(53)가 제1 로크해제로드(38)에 맞닿아 걸어맞춤장치 랫치(53)의 로크부(42b)로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또, 제2 승강장 도어(24)는 승강장 도어 연동기구(40)를 통하여 제1 승강장 도어(23)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8) 및 제1 승강장 도어(23)의 도어열림동작에 동기하여 도어닫음동작한다.
또, 도어닫음시에는 연동기구 랫치(64)가 로크부(62b)에 걸어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도 6의 반시계방향으로의 연동기구 연결브라켓(62)의 요동은 규제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의 도어닫음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9)도 도어닫음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전도어닫음상태가 되기 직전에 연동기구 랫치(64)가 제2 로크해제로드(39)에 맞닿아 연동기구 랫치(64)의 로크부(62b)로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걸어맞춤장치 랫치(53)의 로크부(42b)로의 걸어맞춤 및 연동기구 랫치(64)의 로크부(62b)로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후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8, 9) 및 승강장 도 어(23, 24)는 도어클로저(door closer)(도시하지 않음)의 작용에 의해 완전하게 닫힌다. 도어클로저는 도어닫음방향으로의 가압력을 엘리베이터칸 도어(8, 9) 및 승강장 도어(23, 24)로 항상 부여하고 있다. 도어모터(3)는 도어멈춤 측 베인(50) 및 도어포켓 측 베인(51)이 초기위치(전도어닫음위치)로 돌아올 때까지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를 구동한 후 정지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서는 도어열림 개시시에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가 소정량 움직이면, 걸어맞춤장치(16)가 제1 승강장 도어(23)로의 걸어맞춤, 즉 인터로크장치(33)로의 걸어맞춤을 완료하여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8) 및 제1 승강장 도어(23)의 도어열림동작을 개시시킨다. 한편,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17)도 도어열림 개시시에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가 소정량 움직이면,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의 움직임을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9)에 전달하여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9)의 도어열림동작을 개시시킨다. 따라서, 저비용이나 공간절약인 구조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8, 9)의 동작을 동기시킬 수 있다.
또, 걸어맞춤장치(16)는 도어열림 개시시에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가 소정량 움직이면, 인터로크장치(33)의 로크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인터로크장치(33)로의 걸어맞춤을 완료하므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8, 9)의 도어열림 개시동작을 동기시키면서, 보다 확실히 인터로크장치(33)의 로크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연동기구 연결브라켓(62)과 스토퍼부(61a)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칸 도 어 연동기구(17)를 이용함으로써,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어, 더욱 저비용화 및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제1 승강장 도어(23)와의 걸어맞춤상태를 로크하는 걸어맞춤장치 랫치(53)를 걸어맞춤장치(16)에 설치하고, 연동기구 연결브라켓(62)을 스토퍼부(61a)에 맞닿은 위치에 로크하는 연동기구 랫치(64)를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17)에 설치함으로써, 도어닫음동작시에도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8, 9)의 동작을 동기시킬 수 있다.
또, 전도어닫음시에는 제1 및 제2 로크해제로드(38, 39)를 랫치(53, 64)에 맞닿게 하여 랫치(53, 64)에 의한 로크상태를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해 걸어맞춤장치(16) 및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17)를 초기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전도어닫음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행거(14)에는 연동기구 지지판(71)이 고정되어 있다. 연동기구 지지판(71)에는 스토퍼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연동기구 지지판(71)에는 연동기구 연결브라켓(72)이 설치되어 있다. 연동기구 연결브라켓(72)은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9)의 개폐방향으로 평행하게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어열림방향으로의 연동기구 연결브라켓(72)의 변위는 스토퍼부(71a)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연동기구 지지판(71)에는 연동기구 연결브라켓(72)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핀(73a, 73b)이 마련되어 있다. 또, 연동기구 연결브라켓(72)에는 가이드핀(73a, 73b)이 삽입되어 통과된 가이드구멍(72a, 72b)이 형성되어 있다.
연동기구 연결브라켓(72)의 상단부는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에 접속되어 있다. 연동기구 연결브라켓(72)에는 캠부(72c)가 형성되어 있다. 캠부(72c)에는 로크부(72d)가 형성되어 있다.
연동기구 지지판(71)에는 캠부(72c)에 걸어맞춤하는 연동기구랫치(74)가 설치되어 있다. 연동기구랫치(74)는 요동축(75)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다. 연동기구 지지판(71)과 연동기구랫치(74)와의 사이에는 연동기구랫치(74)를 캠부(72c)로 밀어붙이는 누름스프링(76)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의 도어열림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연동기구 연결브라켓(72)이 도어열림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스토퍼부(71a)에 맞닿으면,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의 이동이 연동기구 연결브라켓(72) 및 연동기구 지지판(71)을 통하여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9)에 전달되어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9)가 도어열림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연동기구랫치(74)는 누름스프링(76)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요동되어 로크부(72d)에 걸어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도어닫음방향으로의 연동기구 연결브라켓(72)의 슬라이드가 규제된다.
또, 도어닫음동작시에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9)가 전도어닫음위치 근방으로 이동되면, 제2 로크해제로드(39)의 선단부가 연동기구랫치(74)에 맞닿고, 연동기구랫치(74)는 누름스프링(76)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된 다. 이것에 의해, 연동기구랫치(74)의 로크부(72d)로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에서는 연동기구 연결브라켓(72)이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9)의 개폐방향으로 평행하게 슬라이드 가능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의 연동기구 연결브라켓(72)과의 접속부분이 상하방향으로 어긋나지 않고,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를 설계상의 이상적인 궤도를 따라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체는 엘리베이터칸 도어구동벨트(6)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구동로프로 또는 구동체인 등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개폐동작에 승강장 도어를 연동시키는 걸어맞춤장치가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칸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모터,
    상기 도어모터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도어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체,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승강장 도어,
    상기 제1 승강장 도어의 개폐동작에 상기 제2 승강장 도어를 연동(連動)시키는 승강장 도어 연동기구 및
    상기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동력전달체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승강장 도어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로서,
    상기 걸어맞춤장치는 도어열림 개시시에 상기 동력전달체가 소정량 움직이면, 상기 제1 승강장 도어로의 걸어맞춤을 완료하여 상기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 및 상기 제1 승강장 도어의 도어열림동작을 개시시키고,
    상기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에는, 상기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동력전달체에 접속되어 있는 연동기구 연결브라켓과, 상기 동력전달체의 도어열림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는 상기 연동기구 연결브라켓의 변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는 도어열림 개시시에 상기 동력전달체가 상기 소정량과 같은 양으로 움직이면, 상기 연동기구 연결브라켓이 상기 스토퍼부에 맞닿아, 상기 동력전달체의 움직임을 상기 연동기구 연결브라켓 및 상기 스토퍼부를 통하여 상기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전달하여 상기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도어열림동작을 개시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장 도어에는 전(全)도어닫음시에 상기 제1 및 제2 승강장 도어의 도어열림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인터로크장치(interlocking apparatus)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걸어맞춤장치는 도어열림 개시시에 상기 동력전달체가 소정량 움직이면, 상기 인터로크장치의 로크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인터로크장치로의 걸어맞춤을 완료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장치는 상기 제1 승강장 도어와의 걸어맞춤상태를 로크하는 걸어맞춤장치 랫치(latch)를 더 가지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는 상기 연동기구 연결브라켓을 상기 스토퍼부에 맞닿은 위치에 로크하는 연동기구랫치를 더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전도어닫음시에 상기 걸어맞춤장치 랫치에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장치 랫치에 의한 상기 걸어맞춤장치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제1 로크해제부재 및
    전도어닫음시에 상기 연동기구랫치에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연동기구랫치에 의한 상기 연동기구 연결브라켓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제2 로크해제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6. 엘리베이터칸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모터,
    상기 도어모터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도어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체,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승강장 도어,
    상기 제1 승강장 도어의 개폐동작에 상기 제2 승강장 도어를 연동시키는 승강장 도어 연동기구,
    상기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동력전달체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승강장 도어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장치 및
    상기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동력전달체에 접속되어 있는 연동기구 연결브라켓과, 상기 동력전달체의 도어열림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는 상기 연동기구 연결브라켓의 변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도어열림 개시시에는 상기 동력전달체가 소정량 움직인 후, 상기 걸어맞춤장치의 상기 제1 승강장 도어로의 걸어맞춤을 완료시켜 상기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 및 상기 제1 승강장 도어의 도어열림동작을 개시시킴과 동시에,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 연동기구의 상기 연동기구 연결브라켓을 상기 스토퍼부에 맞닿게 함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체의 움직임을 상기 연동기구 연결브라켓 및 상기 스토퍼부를 통하여 상기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전달하여 상기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도어열림동작을 개시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97021454A 2007-06-08 2007-06-08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KR101180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1618 WO2008149456A1 (ja) 2007-06-08 2007-06-08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078A KR20100005078A (ko) 2010-01-13
KR101180204B1 true KR101180204B1 (ko) 2012-09-05

Family

ID=4009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454A KR101180204B1 (ko) 2007-06-08 2007-06-08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57040B1 (ko)
JP (1) JP5047281B2 (ko)
KR (1) KR101180204B1 (ko)
CN (1) CN101663224B (ko)
WO (1) WO20081494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79005B (zh) * 2007-07-18 2012-02-2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门卡合装置
WO2011144957A1 (en) * 2010-05-17 2011-11-2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coupler assembly
KR101220502B1 (ko) * 2010-09-17 2013-01-10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승장 도어 잠금 장치
JP6804517B2 (ja) 2015-08-04 2020-12-23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ドア枠ロックを備えたエレベータかごドアインターロック
EP3331803B1 (en) 2015-08-04 2020-06-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interlock
CN106698124B (zh) * 2015-08-14 2019-11-22 蔡海英 带有安全联锁装置的电梯
CN106115437B (zh) * 2016-08-30 2018-02-16 浙江喜来登电梯有限公司 电梯门控制总成
CN109665419A (zh) * 2017-10-17 2019-04-23 陕西小溪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手动救援装置的曳引装置
KR101960932B1 (ko) * 2017-10-31 2019-03-21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연동장치
CN109956385A (zh) * 2017-12-14 2019-07-02 陕西小溪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误移的四开门电梯门机系统
CN109956384A (zh) * 2017-12-14 2019-07-02 陕西小溪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四开门电梯门机系统
JP6862605B2 (ja) * 2018-03-06 2021-04-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ドアの係合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ドア装置
US11254542B2 (en) * 2018-08-20 2022-02-22 Otis Elevator Company Car door interlock
ES2894692T3 (es) 2018-10-12 2022-02-15 Otis Elevator Co Sistema de desbloqueo de puerta de descansillo de elevador
US11247872B2 (en) 2018-10-17 2022-02-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interlock
CN109160408A (zh) * 2018-11-13 2019-01-08 苏州德奥电梯有限公司 一种轿厢门的卡合装置
JP6810916B1 (ja) 2020-03-03 2021-01-13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ドア用係合装置
DE102021134388A1 (de) 2021-12-22 2023-06-22 Meiller Aufzugtüren GmbH Mitnehmer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0681A (ja) * 2003-12-08 2005-06-30 Inventio Ag エレベータドア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172238B (ko) 1988-03-18 1993-05-15 Inventio Ag
JP2001253671A (ja) * 2000-03-09 2001-09-1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ドアのインタロック装置
JP2005041620A (ja) 2003-07-24 2005-02-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出入り口装置
KR100462453B1 (ko) * 2004-06-18 2004-12-17 유병배 엘리베이터 출입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0681A (ja) * 2003-12-08 2005-06-30 Inventio Ag エレベータドア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078A (ko) 2010-01-13
CN101663224B (zh) 2012-07-18
EP2157040A1 (en) 2010-02-24
EP2157040A4 (en) 2014-03-26
JP5047281B2 (ja) 2012-10-10
EP2157040B1 (en) 2015-01-07
CN101663224A (zh) 2010-03-03
JPWO2008149456A1 (ja) 2010-08-19
WO2008149456A1 (ja)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204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KR100303010B1 (ko) 엘리베이터클러치장치
RU2462409C2 (ru) Замок двери кабины
US11440775B2 (en) Door engagement device
CN102414113B (zh) 电梯的门装置
US20050126861A1 (en) Elevator door drive device
CN110191857B (zh) 电梯装置
US5988320A (en) Arrangement in the opening and closing of automatic elevator door, and a door coupler
JP5448306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側ドア施錠装置
JPH08104487A (ja) エレベータかご扉と乗り場扉の連動装置
JP4837491B2 (ja) 非常解錠装置及び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CN112638813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CN109071179B (zh) 电梯装置
KR100336348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101303408B1 (ko) 전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JP6880317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KR101220502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JP2766410B2 (ja) エレベータ
JP2010269888A (ja) エレベータのドア係合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0336347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CN109850731B (zh) 电梯
JP2009269679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15134673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開閉装置
KR100351289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200445905Y1 (ko) 엘리베어터 도어용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