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773B1 -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773B1
KR101179773B1 KR1020097027284A KR20097027284A KR101179773B1 KR 101179773 B1 KR101179773 B1 KR 101179773B1 KR 1020097027284 A KR1020097027284 A KR 1020097027284A KR 20097027284 A KR20097027284 A KR 20097027284A KR 101179773 B1 KR101179773 B1 KR 101179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ng surface
rotating body
outer pole
brake
magnetic 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7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7949A (ko
Inventor
다이스케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7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3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a gearless driving, e.g. integrated sheave, drum or winch in the stator or rotor of the cag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both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from their piv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2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apart from the bra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2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brakes
    • H02K7/1021Magnetically influenced friction brakes
    • H02K7/1023Magnetically influenced friction brakes us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dynamo-electri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0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 F16D2121/22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for releasing a normally applied bra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권상기에 있어서, 회전체가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제동된다. 브레이크 장치는, 회전체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제동체와, 제동체와 함께 변위되는 가동체와, 제동체가 회전체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가동체를 가압하는 가압체와, 고리 형상의 전자 코일과 전자 코일이 설치된 필드를 포함하고, 전자 코일로의 급전에 의해, 제동체가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동체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크넷을 가진다. 필드는, 전자 코일의 내측을 통과하는 내극부와, 내극부에 연속하며 전자 코일의 외측에 배치된 외극부를 가진다. 내극부 및 외극부에는, 가동체에 각각 대향하는 내극 대향면 및 외극 대향면이 마련되어 있다. 자기 포화되는 자속량은, 외극 대향면이 내극 대향면보다 적게 되어 있다. 가동체 및 필드에는 외극 대향면을 피하여 가동체와 외극부와의 사이에서 자속을 통과하는 누자 부재가 대향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권상기, 브레이크 장치, 회전체, 제동체, 가압체, 전자 마그넷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권상기{ELEVATOR HOIST}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장치를 탑재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구동 쉬브(driving sheave)와 일체로 된 주발 형상체(circularly-recessed member)의 내부에 브레이크 장치가 배치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가 제안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암이 회동되는 것에 의해 제동편이 주발 형상체에 접리(接離)된다. 브레이크 암에는 전기자(armature)가 장착되어 있다. 주발 형상체 내에는, 제동편이 주발 형상체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브레이크 암을 가압(付勢)하는 브레이크 스프링과, 브레이크 스프링의 가압력에 반하여 제동편이 주발 형상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기자를 변위시키는 전자석이 배치되어 있다.
주발 형상체의 회전은 제동편이 주발 형상체에 접촉함으로써 제동된다. 주발 형상체에 주어지는 제동력은 제동편이 주발 형상체로부터 멀어지는 것에 의해 해제된다. 전자석은 주발 형상체를 지지하는 기체(基體)에 마련된 지지판에 장착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537348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서는, 전자석 및 전기자의 주위에 자성체(예를 들어 지지판이나 주발 형상체 등)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석에서 발생한 자속의 일부가 전기자로부터 주위의 자성체로 새어 버린다. 따라서, 전자석과 전기자와의 사이의 갭을 통과하는 자속이 감소해 버려 전자석의 전기자에 대한 흡인력이 저하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석의 흡인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권상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의 권상기는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가 감겨진 쉬브부를 가지고 있고,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 및 회전체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제동체와, 제동체가 마련되며 제동체와 함께 변위되는 가동체와, 제동체가 회전체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동체를 가압하는 가압체와, 고리 형상의 전자 코일과 전자 코일이 마련된 필드를 포함하며, 전자 코일로의 급전에 의해 가압체의 가압력에 반하는 전자 흡인력을 발생하여, 제동체가 회전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동체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을 가지고 있는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며, 필드는 전자 코일의 내측을 통과된 내극부와, 내극부에 연속하며 전자 코일의 외측에 배치된 외극부를 가지며, 내극부에는 가동체에 대향하며 소정의 자속량으로 자기 포화가 되는 내극 대향면이 마련되고, 외극부에는 가동체에 대향하며 내극 대향면보다 자기 포화가 되는 자속량이 적게 되어 있는 외극 대향면이 마련되어 있으며, 가동체 및 필드에는 외극 대향면을 피해서 가동체와 외극부와의 사이에 자속을 통과시키는 누자(漏磁) 부재가 대향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나타태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 마그넷, 가동자 및 누자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권상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나타내는 종 단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커버(31)의 일부를 떼어낸 상태의 권상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 내에 마련된 하우징(1)은 개방부(2a)가 마련된 케이스부(2)와, 케이스부(2)를 지지하는 다리부(脚部)(3)를 가지고 있다. 다리부(3)는 승강로 내에 볼트(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1)은 자성체(예를 들어 철 등)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부(2)는 개방부(2a)에 의해 케이스부(2)의 두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 케이스부(2)는 케이스부(2)의 두께 방향을 수평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부(2)의 두께 방향의 치수는 케이스부(2)의 지름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케이스부(2) 내에는 케이스부(2)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주축(5)이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부(2) 내에는 주축(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6)와, 회전체(6)를 회전시키는 모터(7, (도 1))와, 회전체(6)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8)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체(6)는 베어링(9)을 통하여 주축(5)에 마련되어 있다. 또, 회전체(6)는 원판형상의 쉬브부(10)와, 쉬브부(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통형상부(11)와, 쉬브부(10) 및 통형상부(11)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12)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회전체(6)의 형상은 주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쉬브부(10), 통형상부(11) 및 접속부(12)는 일체 성형된 자성체이다.
쉬브부(10)의 외주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를 매다는 복수 개의 메인 로프(13)(도 1))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회전체(6)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된다.
통형상부(11)는 쉬브부(10)보다 개방부(2a)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또, 통형상부(11)의 중심 축선은 주축(5)의 축선과 같은 축으로 되어 있다.
모터(7)는, 회전체(6)의 외주면과 케이스부(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된 고리 형상의 모터이다. 또, 모터(7)는, 케이스부(2)의 내주면에 고정된 스테이터(stator)(14)와, 통형상부(11)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스테이터(14)에 대향하는 로터(rotor)(15)를 가지고 있다.
스테이터(14)에는 스테이터 코일이 마련되어 있다. 로터(15)는 스테이터 코일로의 급전에 의해 회전력을 받는다. 회전체(6)는 로터(15)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된다.
브레이크 장치(8)는 통형상부(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부(2)에는, 개방부(2a)의 중앙 부분을 막는 브레이크 지지판(16)이 볼트(1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8)는 브레이크 지지판(16)에 장착되어 지지되고 있다. 브레이크 지지판(16)은 자성체(예를 들어 철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장치(8)는, 통형상부(11)의 내주면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브레이크 슈(제동체)(18)와, 브레이크 슈(18)가 마련되며 브레이크 슈(18)와 함께 변위되는 가동체(19)와, 브레이크 슈(18)가 통형상부(11)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동체(19)를 가압하는 브레이크 스프링(가압체)(20)과, 브레이크 스프링(20)의 가압력에 반하여 브레이크 슈(18)가 통형상부(11)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동체(19)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21)을 가지고 있다.
가동체(19)는, 브레이크 지지판(16)에 마련된 지지 핀(2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브레이크 암(23)과, 브레이크 암(23)에 마련되고 전자 마그넷(21)에 대향하는 가동자(24)를 가지고 있다. 가동체(19) 및 지지 핀(22)은 자성체(예를 들어 철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지지 핀(22)에는 브레이크 암(23)의 일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가동자(24)는 브레이크 암(23)의 중간부에 볼트(25)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브레이크 슈(18)는, 브레이크 암(23)의 지지 핀(22)과 가동자(24)와의 사이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브레이크 슈(18)를 통형상부(11)의 내주면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브레이크 암(23)이 회동되면, 가동자(24)는 전자 마그넷(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브레이크 스프링(20)은, 브레이크 지지판(16)에 고정된 고정 부재(26)(도 2)와 브레이크 암(23)의 타단부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스프링(20)은, 고정 부재(26)와 브레이크 암(23)과의 사이에서 수축되어 있다. 브레이크 암(23)은, 브레이크 스프링(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브레이크 슈(18)를 통형상부(11)의 내주면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전자 마그넷(21)은 브레이크 지지판(16)에 볼트(2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전자 마그넷(21)은, 고리 형상의 전자 코일(28)과, 전자 코일(28)이 마련된 필드(29)를 가지고 있다(도 1). 필드(29)는 자성체(예를 들어 철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21)은, 전자 코일(28)로의 급전에 의해 가동자(24)를 흡인하는 전자 흡인력을 발생한다. 또한, 도 1에서는, 필드(29)의 외형선(파선)이 가동 자(24)의 외형선(실선)과 겹쳐져 있다.
가동자(24)는, 전자 마그넷(21)의 전자 흡인력에 의해 브레이크 스프링(20)의 가압력에 반하여 전자 마그넷(2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브레이크 슈(18)는, 가동자(24)가 전자 마그넷(2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통형상부(11)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쉬브부(10)의 측면에는, 쉬브부(10)로부터 전자 마그넷(21)을 향하여 돌출하는 누자 부재(돌출부)(30)가 마련되어 있다. 누자 부재(30)는, 자성체(예를 들어 철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누자 부재(30)의 형상은 주축(5)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누자 부재(30)는 회전체(6)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 누자 부재(30)는, 가동자(24) 및 필드(29)의 각각 소정의 틈새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다.
케이스부(2)에는, 브레이크 지지판(16)을 사이에 두고 개방부(2a)를 막는 한 쌍의 커버(31)가 볼트(32)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커버(31)는 브레이크 장치(8)를 덮고 있다. 또, 커버(31)는 자성체(예를 들어 철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6), 모터(7) 및 브레이크 장치(8)를 지지하는 지지체는, 하우징(1) 및 브레이크 지지판(16)을 가지고 있다.
도 3은, 도 2의 전자 마그넷(21), 가동자(24) 및 누자 부재(3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누자 부재(30)는 가동자(24)가 변위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대해 가동자(24) 및 필드(29)의 각각에 대향하고 있다. 가동자(24) 및 필드(29)의 각각과 누자 부재(30)와의 사이의 틈새 치수는, 가동자(24)와 전자 마그넷(21)과의 사이의 틈새 치수의 최대값 보다 크게 되어 있다. 가동자(24) 및 필드(29)의 각각과 누자 부재(30)와의 사이의 틈새 치수로는 5㎜를 넘지 않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필드(29)는, 전자 코일(28)의 내측을 통과된 내극부(33)와, 내극부(33)에 연속하며 전자 코일(28)의 외측에 배치된 외극부(34)를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외극부(34)는 기초부(34a)와, 기초부(34a)의 양단부로부터 가동자(24)를 향하여 돌출하며 전자 코일(28)을 사이에 두는 한 쌍의 대향부(34b)를 가지고 있다. 내극부(33)는, 기초부(34a)의 중간부로부터 각 대향부(34b)의 사이를 가동자(24)를 향하여 돌출하는 것에 의해 전자 코일(28)의 내측을 통과되고 있다.
내극부(33)에는 가동자(24)에 대향하는 내극 대향면(35)이 마련되어 있다. 각 대향부(34b)에는, 가동자(24)에 대향하는 외극 대향면(36)이 마련되어 있다. 내극 대향면(35)은, 외극 대향면(36)에 비해 자기 포화가 되는 자속량이 많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내극부(33)에는 소정의 자속량으로 자기 포화가 되는 내극 대향면(35)이 마련되고, 외극부(34)에는 내극 대향면(35)보다 자기 포화가 되는 자속량이 적게 되어 있는 외극 대향면(36)이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내극 대향면(35)의 면적이 각 대향부(34b)의 외극 대향면(36)의 합계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가동자(24)를 흡인하는 전자 흡인력은, 내극 대향면(35)과 가동자(24)와의 사이, 및 각 외극 대향면(36)과 가동자(24)와의 사이를 자속이 통과되는 것에 의해 발생한다. 각 외극 대향면(36)이 자기 포화로 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내극 대향면(35)을 통과하는 자속은 가동자(24)를 통하여 외극 대향면(36)을 주로 통과한다. 즉, 각 외극 대향면(36)이 자기 포화로 되어 있지 않을 때의 자속은, 내극부(33)로부터 내극 대향면(35), 가동자(24), 외극 대향면(36), 대향부(34b) 및 기초부(34a)의 순서로 통과하여 내극부(33)에 되돌아오는 제1 자로(磁路)를 주로 통과한다. 따라서, 각 외극 대향면(36)을 통과하는 자속의 자속량 φ2의 합계와 내극 대향면(35)을 통과하는 자속의 자속량 φ1는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전자 코일(28)로의 급전량이 증가하면, 내극 대향면(35)을 통과하는 자속량 φ1 및 각 외극 대향면(36)을 통과하는 자속량 φ2가 모두 증가하여, 각 외극 대향면(36)이 먼저 자기 포화가 된다.
전자 코일(28)로의 급전량이 더욱 증가하면, 내극 대향면(35)을 통과하는 자속량 φ1은 증가하지만, 각 외극 대향면(36)을 통과하는 자속량 φ2의 증가는 자기 포화에 의해 억제된다. 따라서, 내극 대향면(35)으로부터의 자속의 일부는, 각 외극 대향면(36)을 피해 가동자(24)로부터 외극부(34)로 누자 부재(30)를 통과하게 된다. 즉, 누자 부재(30)는, 각 외극 대향면(36)을 피해 가동자(24)와 외극부(34)와의 사이에서 자속을 통과시키는 자성체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외극 대향면(36)이 자기 포화로 되어 있을 때의 자속의 일부가 통과하는 자로는, 내극부(33)로부터 내극 대향면(35), 가동자(24), 누자 부재(30) 및 외극부(34)의 순서로 통과하여 내극부(33)로 돌아오는 제2 자로로 되어 있다.
전자 코일(28)로의 급전량이 더욱 증가하면, 각 외극 대향면(36)이 자기 포 화의 상태가 된 채로, 내극 대향면(35)을 통과하는 자속량 φ1 및 누자 부재(30)를 통과하는 자속량 φ3이 모두 증가하여 내극 대향면(35)이 자기 포화가 된다. 이에 의해, 내극 대향면(35) 및 각 외극 대향면(36)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자기 포화가 될 때까지 자속이 통과된다. 또한, 가동자(24)는 내극 대향면(35)이 자기 포화가 될 때까지 자기 포화가 되지 않을 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가 승강로 내에서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스테이터(14) 및 전자 코일(28)로의 급전이 정지되고 있다. 이때에는, 브레이크 슈(18)가 브레이크 스프링(20)의 가압력에 의해 통형상부(11) 내주면에 가압되고 있다. 이에 의해, 회전체(6)에 제동력이 주어져 회전체(6)의 회전이 저지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가 이동될 때에는 스테이터(14) 및 전자 코일(28)로의 급전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회전체(6)에 회전력이 주어진다. 또, 전자 마그넷(21)으로부터 전자 흡인력이 발생하여, 브레이크 스프링(20)의 가압력에 반하여 가동자(24)가 전자 마그넷(2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가동자(24)의 변위에 의해 브레이크 암(23)이 회동되고, 브레이크 슈(18)가 통형상부(11)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진다. 이에 의해, 회전체(6)의 회전 저지가 해제되어 회전체(6)가 회전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에서는, 소정의 자속량으로 자기 포화가 되는 내극 대향면(35)이 내극부(33)에 마련되고, 자기 포화가 되는 자속량이 내극 대향면(35)보다 적게 되어 있는 외극 대향면(36)이 외극부(34)에 마련되어 있으며, 각 외극 대향면(36)을 피해 가동자(24)와 외극부(34)와의 사이에서 자속을 통과시키는 누자 부재(30)가 가동자(24) 및 필드(29)와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외극 대향면(36)이 자기 포화가 된 상태라도, 가동자(24)와 외극부(34)와의 사이에서 누자 부재(30)를 통하여 자속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외극 대향면(36)이 자기 포화가 된 상태인 채로, 내극 대향면(35)을 통과하는 자속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전자 마그넷(21)이 발생하는 전자 흡인력의 저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내극 대향면(35)을 통과하는 자속의 일부가 가동자(24)를 통하여 회전체(6)로 누출하는 경우에는, 외극 대향면(36)을 통과하는 자속량이 내극 대향면(35)의 자속량에 비해 적어진다. 따라서, 자기 포화가 되는 자속량이 내극 대향면(35)과 외극 대향면(36)에서 같은 경우에는, 자속의 일부가 누출하고 있는 한, 내극 대향면(35)이 자기 포화로 되어도 외극 대향면(36)이 자기 포화가 되는 일은 없다. 이로 인하여, 전자 마그넷(21)의 흡인 능력의 최대값으로 전자 흡인력을 근접시킬 수 없어, 전자 마그넷(21)의 전자 흡인력이 저하되고 만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에서는, 내극 대향면(35) 및 외극 대향면(36)을 모두 자기 포화로 할 수 있으므로, 전자 마그넷(21)의 흡인 능력의 최대값에 전자 흡인력을 근접시킬 수 있어 전자 흡인력의 저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가동자(24)로부터 누출한 자속을 누자 부재(30)에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브레이크 암(23)과 지지 핀(22)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자속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암(23)과 지지 핀(22)과의 사이에서의 흡인력 증대 를 방지할 수 있어, 브레이크 암(23)의 지지 핀(22)에 대한 미끄러짐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8)의 동작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누자 부재(30)는 회전체(6)로부터 전자 마그넷(21)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이므로, 누자 부재(30)를 소정의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누자 부재(30)를 회전체(6)와 일체 성형하는 것에 의해 부품 점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 도 7은 도 6의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커버(31)에는 가동자(24) 및 필드(29)의 각각에 대향하는 복수의 누자 부재(41)가 마련되어 있다. 누자 부재(41)는, 각 외극 대향면(36)을 피해 가동자(24)와 외극부(34)와의 사이에서 자속을 통과시키는 판 형상의 자성체이다. 누자 부재(41)는 커버(31)와 브레이크 장치(8)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필드(29)에는 브레이크 지지판(16)도 대향하고 있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가동자(24) 및 필드(29)의 각각과 각 누자 부재(41)와의 사이의 틈새 치수는, 전자 마그넷(21)과 가동자(24)와의 사이의 틈새 치수의 최대값보다 크게 되어 있다. 가동자(24) 및 필드(29)의 각각과 각 누자 부재(41)와의 사이의 틈새 치수는 5㎜를 넘지 않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전자 코일(28)로의 급전량이 증가하여 각 외극 대향면(36)이 자기 포화가 되 면, 전자 코일(28)로의 급전량이 더욱 증가하더라도 각 외극 대향면(36)을 통과하는 자속량의 증가가 억제된다. 따라서, 각 외극 대향면(36)이 자기 포화가 되어 있을 때에 전자 코일(28)로의 급전량이 증가하면, 내극 대향면(35)으로부터의 자속의 일부가, 각 외극 대향면(36)을 피해 누자 부재(41)를 통과하게 된다. 즉, 외극 대향면(36)이 자기 포화가 되어 있을 때에는, 내극 대향면(35)으로부터의 자속의 일부는, 내극부(33)로부터 내극 대향면(35), 가동자(24), 누자 부재(41) 및 외극부(34)의 순서로 통과하여 내극부(33)로 돌아오는 제2 자로를 주로 통과하게 된다. 또한, 내극 대향면(35)으로부터의 자속의 일부는, 브레이크 지지판(16)이 필드(29)에 대향하고 있는 것으로 인하여, 내극부(33)로부터 내극 대향면(35), 가동자(24), 누자 부재(41), 브레이크 지지판(16) 및 외극부(34)의 순서로 통과하여 내극부(33)로 돌아오는 자로도 통과한다.
전자 코일(28)로의 급전량이 더욱 증가하면, 내극 대향면(35)을 통과하는 자속량, 및 누자 부재(41)를 통과하는 자속량 φ3이 증가하여, 내극 대향면(35)도 자기 포화가 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의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권상기에서는, 브레이크 장치(8)를 덮는 커버(31)에 누자 부재(41)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부(2) 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누자 부재(41)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상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 도 10은 도 9의 권상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 어서, 하우징(1)은 케이스부(51)와, 케이스부(51)를 지지하는 다리부(3)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부(51)는 케이스부(51)의 두께 방향을 수평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부(51)의 두께 방향의 치수는, 케이스부(51)의 지름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케이스부(51)에는, 케이스부(51)의 두께 방향으로 개방된 브레이크 수용부(51a)와, 브레이크 수용부(51a)와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어 브레이크 수용부(51a)의 주위를 둘러싸는 모터 수용홈(51b)이 마련되어 있다.
주축(5)은 케이스부(51)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 주축(5)은 케이스부(51)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축(5)에는 회전체(6)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모터 수용홈(51b) 내에는 모터(7)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회전체(6)의 통형상부(11)가 삽입되어 있다. 모터(7)의 스테이터(14)는 모터 수용홈(51b)의 내주면에 마련되며, 모터(7)의 로터(15)는 통형상부(11)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부(51)에는 브레이크 수용부(51a) 내에 돌출하는 누자 부재(52)가 마련되어 있다. 누자 부재(52)는 각 외극 대향면(36)을 피해 가동자(24)와 외극부(34)와의 사이에서 자속을 통과시키는 자성체이다. 누자 부재(52)는 케이스부(51)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브레이크 수용부(51a) 내에는 브레이크 장치(8)가 배치되어 있다.
누자 부재(52)에는 전자 마그넷(21) 및 가동자(24)의 각각이 대향하고 있다. 누자 부재(52)는 전자 마그넷(21)에 접촉하여, 가동자(24)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전자 마그넷(21)은 브레이크 지지판(16)과 누자 부재(52)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27)로 체결되어 있다. 가동자(24)와 누자 부재(52)와의 사이의 틈새 치수는, 전자 마그넷(21)과 가동자(24)와의 사이의 틈새 치수의 최대값보다 크게 되어 있다. 가동자(24)와 누자 부재(52)와의 사이의 틈새 치수는 5㎜를 넘지 않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부(51)의 외주부에는, 모터 수용홈(51b)을 막는 모터 커버(53)가 마련되어 있다. 또, 케이스부(51)에는, 브레이크 수용부(51a) 내의 브레이크 슈(18)가 통형상부(11) 내주면에 접리 가능하도록 브레이크 슈(18)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전자 코일(28)로의 급전량이 증가하여 각 외극 대향면(36)이 자기 포화가 되면, 전자 코일(28)로의 급전량이 더욱 증가하더라도 각 외극 대향면(36)을 통과하는 자속량의 증가가 억제된다. 따라서, 각 외극 대향면(36)이 자기 포화가 되어 있을 때에 전자 코일(28)로의 급전량이 증가하면, 내극 대향면(35)으로부터의 자속의 일부가, 각 외극 대향면(36)을 피해 누자 부재(52)를 통과하게 된다. 즉, 외극 대향면(36)이 자기 포화가 되어 있을 때에는, 내극 대향면(35)으로부터의 자속의 일부는, 내극부(33)로부터, 내극 대향면(35), 가동자(24), 누자 부재(52) 및 외극부(34)의 순서로 통과하여 내극부(33)로 돌아오는 제2 자로를 통과하게 된다.
전자 코일(28)로의 급전량이 더욱 증가하면, 내극 대향면(35)을 통과하는 자속량, 및 누자 부재(52)를 통과하는 자속량 φ3이 증가하여, 내극 대향면(35)도 자기 포화가 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권상기에서는, 케이스부(51)에 누자 부재(5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누자 부재(52)를 소정의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누자 부재(52)가 케이스부(51)와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누자 부재(52)가 케이스부(51)에 마련되어 있지만, 본 실시의 형태 3에 실시의 형태 2의 구성을 조합시켜도 된다. 즉, 누자 부재(52)를 케이스부에 마련함과 아울러, 누자 부재(41)를 커버(31)에 마련해도 된다.
또, 실시의 형태 1 및 2에서는, 가동자(24) 및 필드(29)의 각각과 누자 부재와의 사이에 틈새가 개재되어 있으나, 가동자(24) 및 필드(29) 중 필드(29)에는 누자 부재를 접촉시켜도 된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가 감겨진 쉬브부(sheave portion)를 가지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제동체와, 상기 제동체가 마련되며 상기 제동체와 함께 변위되는 가동체와, 상기 제동체가 상기 회전체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체를 가압(付勢)하는 가압체와, 고리 형상의 전자 코일과 상기 전자 코일이 마련된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코일로의 급전에 의해, 상기 가압체의 가압력에 반하는 전자 흡인력을 발생하여, 상기 제동체가 상기 회전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체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을 가지는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필드는, 상기 전자 코일의 내측을 통과된 내극부와, 상기 내극부에 연속하고, 상기 전자 코일의 외측에 배치된 외극부를 가지며,
    상기 내극부에는, 상기 가동체에 대향하고, 소정의 자속량으로 자기 포화가 되는 내극 대향면이 마련되며,
    상기 외극부에는, 상기 가동체에 대향하고, 상기 내극 대향면보다 자기 포화가 되는 자속량이 적게 되어 있는 외극 대향면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체 및 상기 필드에는, 상기 외극 대향면을 피해 상기 가동체와 상기 외극부와의 사이에서 자속을 통과시키는 누자(漏磁) 부재가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자 부재는, 상기 회전체로부터 상기 전자 마그넷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및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누자 부재는, 상기 지지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및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덮는 브레이크 커버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누자 부재는, 상기 브레이크 커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KR1020097027284A 2007-09-14 2007-09-14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KR101179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7950 WO2009034642A1 (ja) 2007-09-14 2007-09-14 エレベータの巻上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949A KR20100017949A (ko) 2010-02-16
KR101179773B1 true KR101179773B1 (ko) 2012-09-04

Family

ID=4045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284A KR101179773B1 (ko) 2007-09-14 2007-09-14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87080B1 (ko)
JP (1) JP5289318B2 (ko)
KR (1) KR101179773B1 (ko)
CN (1) CN101688577B (ko)
WO (1) WO20090346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8282B2 (ja) * 2009-05-14 2013-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CN105508474A (zh) * 2015-12-31 2016-04-20 天津市灵捷传动技术有限公司 一种微型电磁制动器
CN108999899A (zh) * 2018-09-25 2018-12-14 日立电梯电机(广州)有限公司 制动器及电梯制动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610A (ja) * 2001-09-26 2003-04-03 Mitsubishi Electric Corp 制動装置
WO2004005178A1 (ja) * 2002-07-05 2004-01-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WO2004076328A1 (ja) * 2003-02-27 2004-09-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7348B2 (ja) 1999-04-05 2004-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トラクション式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CN1247431C (zh) * 2001-07-05 2006-03-2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曳引机及其制动装置
JP4184774B2 (ja) * 2002-12-11 2008-1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US7850144B2 (en) * 2003-08-05 2010-12-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oist for elevator
JP2007022772A (ja) * 2005-07-20 2007-02-0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巻上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610A (ja) * 2001-09-26 2003-04-03 Mitsubishi Electric Corp 制動装置
WO2004005178A1 (ja) * 2002-07-05 2004-01-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WO2004076328A1 (ja) * 2003-02-27 2004-09-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89318B2 (ja) 2013-09-11
JPWO2009034642A1 (ja) 2010-12-16
WO2009034642A1 (ja) 2009-03-19
CN101688577A (zh) 2010-03-31
EP2187080A1 (en) 2010-05-19
EP2187080A4 (en) 2013-12-11
KR20100017949A (ko) 2010-02-16
EP2187080B1 (en) 2015-10-21
CN101688577B (zh)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5259B1 (en) Hoist for elevator
KR20060052146A (ko) 권상기와, 그 제조 방법
WO2007083754A1 (ja) ブレーキ付きモータ及びそのモータを用いたエレベータ駆動システム
KR101179773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JP6636470B2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KR20040066129A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WO2018193494A1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ブレーキ及びエレベータ巻上機
JP4601687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CN105905828A (zh) 电磁制动装置及电梯
WO2011146076A1 (en) Brake for elevator
CN102198907A (zh) 电梯用薄型卷扬机以及电梯设备
JP2011026095A (ja) 電動機の電磁ブレーキ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の巻上機
JP2006199408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2018111552A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JP4292206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4475017B2 (ja) エレベータの巻き上げ機
JP7217815B2 (ja) 電磁ブレーキ
JP4451033B2 (ja) 制動装置
JP4451034B2 (ja) 制動装置
JP7261320B2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WO2007000810A1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KR100705144B1 (ko) 엘리베이터용 박형 권상기
WO2018198231A1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2005178970A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2014015323A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