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755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755B1
KR101177755B1 KR1020100102348A KR20100102348A KR101177755B1 KR 101177755 B1 KR101177755 B1 KR 101177755B1 KR 1020100102348 A KR1020100102348 A KR 1020100102348A KR 20100102348 A KR20100102348 A KR 20100102348A KR 101177755 B1 KR101177755 B1 KR 101177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itting
contact
retain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311A (ko
Inventor
유이치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5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Abstract

커넥터에 이용되는 리테이너(300)는, 본체부(310)와, 본체부(3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대략 판 형상의 리테이너 감합부(320)와, 본체부(3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330)와, 아암부(330) 사이를 Y 방향에 있어서 연결하는 연결부(34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아암부(330)를 가늘게 했다고 하더라도, 아암부(330)의 변형에 강한 구조가 얻어진다. 그 때문에, 리테이너(300)의 강도를 보지(保持)하면서, Z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리테이너 감합부(320)가 아암부(330)나 연결부(340)와 겹치지 않는 구성, 즉, 인서트 성형에도 적합한 구성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에 탑재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넥터가 기판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감합(嵌合; 끼워맞춤)부가 기판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40271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셸과 리테이너를 탄성 계합(engagement)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상대방 커넥터의 비틀림에 대하여 강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더욱 강도가 높은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대한 요망이 있다.
또한,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콘택트와 리테이너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조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높은 강도를 갖는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커넥터로서, 상대방 감합부를 갖는 상대방 커넥터와 전후 방향을 따라서 감합 접속하는 커넥터가 얻어진다. 상기 커넥터는, 접촉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상대방 감합부가 삽입되는 셸 감합부와, 상기 콘택트를 보지(保持)하는 리테이너를 갖고 있다. 상기 셸 감합부는,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면 내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를 둘러싸는 것이다. 상기 리테이너는, 본체부와,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콘택트의 선단부(先端部)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셸 감합부의 일부를 지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리테이너 및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리테이너 및 콘택트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리테이너 및 콘택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커넥터를 기판에 부착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상대방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커넥터와 도 8의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는, 기판에 부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 10은 도 1의 커넥터와 도 8의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여러 가지 형태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첨부한 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00)는, X 방향(전후 방향: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대방 커넥터(500)와 감합 접속하는 것이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대방 커넥터(500)는, 상대방 감합부(510)를 구비하고 있다. 상대방 감합부(510)는 커넥터(100)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대방 커넥터(500)와 커넥터(100)와는 감합하여 서로 접속된다. 상대방 커넥터(500)에는, 커넥터(100)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구(520)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구(520)의 내부에는, 상대방 콘택트(530)가 배설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100)는, 복수의 콘택트(200)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리테이너(300)와, 금속제의 셸(400)을 구비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콘택트(200)와 리테이너(300)와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100)의 강도를 보지함과 함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콘택트(200)는 Y 방향(횡 방향)으로 늘어 세워진 상태로 리테이너(300)에 보지되어 있다. 각 콘택트(200)는 접촉부(210)와 고정부(220)를 갖고 있다. 접촉부(210)는 상대방 콘택트(500)의 상대방 콘택트(530)와 접촉하는 것이다. 고정부(220)는 기판(600)(도 9 참조)에 접속 고정되는 것이다.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고정부(220)는, 커넥터(100)의 후단(後端; 120)에 위치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리테이너(300)는, 본체부(310)와, 리테이너 감합부(320)와, 지지부(325)를 구비하고 있다. 리테이너 감합부(320)는 대략 판 형상이며, 전방(-X 방향:상대방 커넥터(500)를 커넥터(100)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을 향하여 본체부(310)의 Y 방향 대략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지지부(325)는, 한 쌍의 아암부(330)와, 연결부(340)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아암부(330)는, 본체부(310)의 Y 방향 양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340)는, Y 방향에 있어서 아암부(330)의 사이를 연결한다. 도 5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체부(310)와, 아암부(330)와, 연결부(340)로 개구(350)가 형성된다.
본체부(310)에는, 복수의 콘택트(200)가 매설되어 보지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체부(310)는, 커넥터(100)의 후단(120)을 구성하고 있으며, 셸(400)에 의해 보지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리테이너 감합부(320)는, 도 8에 나타나는 상대방 커넥터(500)의 수용구(520)에 수용된다. 리테이너 감합부(320)는, 접촉부(210)를 보지하고 있다. 접촉부(210)는 리테이너 감합부(320)의 하면에 있어서, 상대방 커넥터(500)의 상대방 콘택트(530)와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Z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리테이너 감합부(320)는, 아암부(330) 및 연결부(340)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리테이너 감합부(320)는,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에, 전술한 개구(350) 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테이너(300)와 콘택트(200)와는, 복수의 금형을 이용하여 인서트 성형된다. 당해 금형의 가동 방향(이동 방향)은 Z 방향뿐(즉, 한 방향뿐)이다. 개구(350)는, 금형을 구성하는 부품의 한 쪽을 뺄 때에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금형의 가동 방향을 한 방향만으로 하고, 그리고, 아암부(330)와 리테이너 감합부(320)를 금형의 가동 방향(Z 방향)에 있어서 겹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서트 성형의 공정을 복잡하게 하는 일 없이, 그리고, 금형의 구성을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리테이너(300)에 형성된 아암부(330) 및 연결부(34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셸(4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셸(400)은, 셸 감합부(410)를 구비하고 있다. 셸 감합부(410)는, 콘택트(200)의 접촉부(210)와 리테이너 감합부(320)를 YZ 평면 내에 있어서 둘러싸는 것이다. 셸 감합부(410)에는, 상대방 커넥터(500)의 상대방 감합부(510)가 삽입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셸(400)은, 1매의 금속판을 펀칭 가공하여 블랭크를 얻은 후, 당해 블랭크를 절곡 형성하여 얻어진다. 도 3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셸(400)은, 블랭크의 단부(端部)끼리 구성되는 이음부(맞댐부)(414)를 갖고 있다. 이음부(414)는, 셸 감합부(4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셸 감합부(410)의 하측의 부위는, 피(被)지지부(420)와, 감합 하주부(下主部; 430)를 갖고 있다. 피지지부(420)는, Y 방향 양단에 위치하고 그리고 X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판 형상의 부위이다. 감합 하주부(430)는, 피지지부(420)보다도 상방(+Z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이음부(414)는 감합 하주부(430)의 Y 방향 대략 중앙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단, 셸 감합부(410)의 전단(前端;412)의 형상은, 상대방 커넥터(500)의 상대방 감합부(510)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며,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나타나는 커넥터(100)의 조립은, 접촉부(210)와 그것을 보지하는 리테이너 감합부(320)를 셸 감합부(410)의 후단측으로부터 셸 감합부(410) 내에 삽입하고, 리테이너 감합부(320)를 셸 감합부(410) 내에 배치함으로써 행한다. 리테이너(300)의 본체부(310)는, 셸 감합부(410)의 후단에 있어서 보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셸(400)에는, 4개의 포스트(440)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의 사용시에 있어서는, 이들 포스트(440)는 기판(600)의 스루홀(through hole)에 삽입되어, 납땜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100)는 기판(600)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리테이너(300)의 설명으로 되돌아가면,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아암부(330)는, 셸 감합부(410)의 하측(즉,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 당해 감압부(410)를 받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커넥터(100)를 기판(600)에 부착 고정했을 때에, 셸 감합부(410)의 전단(412)을 기판(600)의 표면보다도 약간 높은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셸 감합부(410)의 전단(412)을 기판(60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아암부(330)는, 셸 감합부(410)의 전단(412)(즉, 커넥터(100)의 감합부(110))의 높이 조절을 하기 위한 부위이기도 하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아암부(330)는, 셸 감합부(410)의 피지지부(420)를 각각 지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아암부(330)는, X 방향으로만 연장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대략 L자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단, 아암부(330)가 어떠한 형상이라도, Z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아암부(330)와 리테이너 감합부(320)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성형의 공정을 복잡하게 하는 일 없이, 그리고, 금형의 구성을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아암부(330)는, 선단(先端) 근방에 탑재부(332)를 구비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탑재부(332)는, 커넥터(100)를 기판(600)에 부착 고정했을 때에 기판(600)과 접촉하는 부위이다. 도 3 및 도 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의 사용시에는, 커넥터(100)의 후단에 위치하는 콘택트(200)의 고정부(220)와, 탑재부(332)가 기판(600)에 접촉한다. 또한, 탑재부(332)의 위치는, 아암부(330)의 선단 이외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단, 탑재부(332)의 위치가 고정부(220)에 너무 가까우면, 커넥터(100)의 부착 상태가 불안정해져 버린다. 따라서, 탑재부(332)의 위치와 고정부(220)의 위치를 고려하여, 탑재부(332)는 커넥터(100)의 중심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연결부(340)는, 커넥터(100)의 감합단(110) 근방에 있어서 아암부(330)를 연결하고 있다 .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부(340)는, 2개의 아암부(330)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성형에 이용되는 금형을 비교적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고 그리고 당해 금형의 가동 방향을 한 방향으로 하여 콘택트(200)와 리테이너(300)와의 인서트 성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아암부(330)와 리테이너 감합부(320)가 Z 방향에 있어서 겹치지 않도록 구성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경우, 리테이너 감합부(320)의 사이즈를 바꾸는 일 없이 커넥터(100)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아암부(330)를 가늘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아암부(330)를 가늘게 하면, 아암부(330) 자체의 강도가 낮아지는 것에 더하여, 아암부(330)가 휠 우려가 있다. 또한, 아암부(330)가 휘어버리면, 한 쪽의 아암부(330)와, 다른 한 쪽의 아암부(330)가 Z 방향에 있어서 서로 위치가 어긋나 버릴(즉, 아암부끼리의 높이가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아암부(330)를 연결부(340)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아암부(330)를 가늘게 해도, 아암부(330)의 강도를 열화시키는 일이 없고, 또한, 아암부(330)가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암부(330)끼리의 높이가 어긋나 버릴 우려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100)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를 기판(600)에 부착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연결부(340)(연결부(340)의 하면)는 기판(600)에 접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커넥터(100)를 기판(600)에 부착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는, 리테이너(300)는, 아암부(330)의 탑재부(332)(도 4 및 6 참조)에 의해서만 기판(600)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340)의 형상?사이즈의 불균일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커넥터의 부착에 관한 악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부(340)의 하면을 기판(600)에 고르게 접촉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 2,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연결부(340)의 Y 방향 대략 중앙 부근에는 받침부(342)가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342)는, 상방(+Z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받침부(342)는, 셸 감합부(410)의 하면을 받치기(셸 감합부(410)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7, 도 9 및 도 1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대방 커넥터(500)와 커넥터(100)와의 감합/뽑아냄 시에 있어서, 상대방 커넥터(500)가 의도하지 않는 각도로 삽입된 경우 등, 셸 감합부(410)가 상대방 감합부(510)로부터 「비틀림」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힘을 받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힘이 셸 감합부(410)에 가해진 경우라도, 당해 바람직하지 않은 힘이 연결부(340)의 받침부(342) 및 아암부(330)의 탑재부(332)를 통하여 기판(600)에 전달된다. 즉, 기판(600)은, 연결부(340)의 받침부(342) 및 아암부(330)의 탑재부(332)를 통하여 당해 바람직하지 않은 힘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0)에 의하면, 셸 감합부(410)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받침부(342)는, 셸 감합부(410)의 감합 하주부(430) 중, 특히 이음부(414)의 하측을 받치고 있다. 이에 따라, 셸 감합부(410)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결부(340)는, 받침부(342)에 의해서만 셸 감합부(410)(상세하게는 감합 하주부(430))에 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340)의 형상?사이즈의 불균일이 발생한 경우라도, 그 불균일이 셸 감합부(410)의 전단(412)의 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상대방 감합(嵌合)부를 갖는 상대방 커넥터와 전후 방향을 따라서 감합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각각, 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콘택트와, 셸 감합부를 갖는 셸과, 상기 콘택트를 보지(保持)하는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셸 감합부는, 상기 상대방 감합부가 삽입되고,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면 내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를 둘러싸고 있고,
    상기 리테이너는, 본체부와,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콘택트의 선단부(先端部)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됨과 함께 상기 셸 감합부의 일부를 지지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와,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소정 평면 내에 있어서 상기 셸 감합부를 외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판 형상의 리테이너 감합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촉부는 당해 리테이너 감합부에 보지되어 있고,
    상기 셸 감합부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리테이너 감합부를 상기 소정 평면 내에 있어서 둘러싸고 있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리테이너와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것이며,
    상기 아암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리테이너 감합부와는 상기 인서트 성형시에 이용되는 금형의 가동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의 가동 방향은,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횡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인 커넥터.
  7. 제2항에 있어서,
    기판에 부착 고정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와 상기 연결부중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커넥터가 상기 기판에 부착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탑재되는 탑재부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와 상기 연결부중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부착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탑재부만으로 맞닿아 있는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부착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후단측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접속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탑재부는, 상기 커넥터의 중심(重心)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방으로 돌출된 받침부로서 상기 셸 감합부의 하면을 받치는 받침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셸 감합부는, 상기 아암부에 의해 지지되는 피(被)지지부와, 당해 피지지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감합 하주부(下主部)를 갖고 있고,
    상기 감합 하주부는, 상기 받침부에 의해서만 상기 연결부와 접촉하고 있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셸은, 금속판을 펀칭 가공하여 블랭크를 얻은 후, 당해 블랭크를 절곡 형성하여 얻어지는 것이며,
    상기 감합 하주부는, 상기 블랭크의 단부끼리로 구성되는 이음부를 갖고 있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이음부를 하측으로부터 받치고 있는 커넥터.
KR1020100102348A 2009-11-27 2010-10-20 커넥터 KR101177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0456 2009-11-27
JP2009270456A JP5039118B2 (ja) 2009-11-27 2009-11-27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311A KR20110065311A (ko) 2011-06-15
KR101177755B1 true KR101177755B1 (ko) 2012-08-28

Family

ID=44236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348A KR101177755B1 (ko) 2009-11-27 2010-10-20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39118B2 (ko)
KR (1) KR101177755B1 (ko)
CN (2) CN103490210B (ko)
TW (2) TWI4609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7277B2 (ja) * 2010-05-21 2015-01-21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TWI508393B (zh) * 2010-03-26 2015-11-11 Hosiden Corp Connectors and electronic machines
US10276983B2 (en) 2015-07-31 2019-04-3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4452B2 (ja) * 1995-10-12 1998-11-1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コネクター
JP3552472B2 (ja) * 1997-07-15 2004-08-11 松下電工株式会社 シールド型コネクタ
TW570390U (en) * 2003-03-12 2004-01-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7214139A (ja) * 2007-03-30 2007-08-23 Taiko Denki Co Ltd レセプタクルの実装構造
CN201097426Y (zh) * 2007-08-10 2008-08-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JP4522454B2 (ja) * 2008-02-04 2010-08-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45202B2 (ja) * 2008-02-28 2010-09-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15724A (zh) 2014-04-16
TWI460929B (zh) 2014-11-11
TWI458187B (zh) 2014-10-21
CN103490210A (zh) 2014-01-01
CN102142627A (zh) 2011-08-03
CN103490210B (zh) 2016-04-06
KR20110065311A (ko) 2011-06-15
TW201126825A (en) 2011-08-01
JP2011113871A (ja) 2011-06-09
CN102142627B (zh) 2014-04-23
JP5039118B2 (ja) 201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0091B2 (en) Connector with interposed ground plate
JP6418324B2 (ja) 多極コネクタ
JP5583330B2 (ja)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構造の係合力の調整方法
KR102331889B1 (ko) 커넥터
JP5196648B2 (ja)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構造
US8128429B2 (en) FPC U-shaped nail
JP2020057499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JP5105194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11091045A (ja) コネクタ装置
JP2012079505A (ja) コネクタ組立体
KR101177755B1 (ko) 커넥터
JP6727580B2 (ja) コネクタ用端子保持部材、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JP4684191B2 (ja) コネクタ
JP2010055881A (ja) 垂直型smtコネクタ
JP5434254B2 (ja) 治具
KR101007791B1 (ko)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JP7322499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装置
US9033714B2 (en) Connector for mounting on a board
JP6886910B2 (ja) コネクタ組立体
JP5184689B2 (ja) コネクタ
JP2005116230A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22035188A (ja) コネクタ
WO2018221094A1 (ja) コネクタ
KR20130080006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08053025A (ja) 表面実装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