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88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1889B1 KR102331889B1 KR1020207005600A KR20207005600A KR102331889B1 KR 102331889 B1 KR102331889 B1 KR 102331889B1 KR 1020207005600 A KR1020207005600 A KR 1020207005600A KR 20207005600 A KR20207005600 A KR 20207005600A KR 102331889 B1 KR102331889 B1 KR 1023318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itioning
- shell
- hole
- connector
- support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커넥터는, 복수의 콘택트와, 지지부재와, 쉘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재는, 주부와, 혀부를 갖고 있다. 주부에는, 3개 이상의 위치결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쉘에는, 1개의 구멍과, 3개 이상의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은 쉘의 표면상에 있어서 닫힌 둘레 가장자리를 갖고 있다. 구멍은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제1방향에 있어서 쉘을 관통하고 있다. 감합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돌기는 각각 어떤 범위를 차지하고 있다. 어떤 범위는 감합방향에 있어서 서로 중복되어 있다. 위치결정돌기는, 1개의 제1위치결정돌기와, 2개의 제2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고 있다. 제1위치결정돌기는 구멍의 닫힌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1위치결정돌기는 구멍에 면하고 있다. 쉘을 단독으로 보았을 경우, 구멍을 통하여 제2위치결정돌기 중에서 적어도 1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와 감합(嵌合)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16 및 도17을 참조하면 특허문헌1에는, 감합방향(X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950)와 감합할 수 있는 커넥터(900)가 개시되어 있다. 커넥터(900)는, 복수의 콘택트(910)와, 지지부재(920)와, 쉘(930)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재(920)는 복수의 콘택트(910)를 지지하고 있다. 지지부재(920)는 주부(主部)(922)과, 혀부(舌部)(926)를 갖고 있다. 혀부(926)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주부(922)에는, 4개의 오목부(위치결정부)(923)가 형성되어 있다. 혀부(926)는 주부(922)로부터 감합방향(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쉘(930)은 감합방향(X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에 있어서 지지부재(920)를 둘러싸고 있다. 쉘(930)에는, 4개의 위치결정돌기(932)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돌기(932)의 각각은 쉘(93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감합방향(X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돌기(932)가 차지하는 범위는 서로 중복되어 있다. 위치결정돌기(932)는 오목부(923)에 각각 수용되어 있다.
특허문헌1의 커넥터(900)에 있어서는, 위치결정돌기(932)의 감합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배치가 서로 어긋나 있을 경우, 쉘(930)에 지지부재(920)를 조합시켰을 때에, 지지부재(920)의 혀부(926)의 선단이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치결정돌기의 감합방향에 있어서의 배치의 어긋남을 확인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감합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는, 복수의 콘택트와, 지지부재와, 쉘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의 콘택트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주부와, 혀부를 갖고 있다. 상기 혀부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주부에는, 3개 이상의 위치결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혀부는 상기 주부로부터 상기 감합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쉘은 상기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다. 상기 쉘에는, 1개의 구멍과, 3개 이상의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은 상기 쉘의 표면상에 있어서 닫힌 둘레 가장자리를 갖고 있다. 상기 구멍은 상기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제1방향에 있어서 상기 쉘을 관통하고 있다. 상기 위치결정돌기의 각각은 상기 쉘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감합방향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각각 어떤 범위를 차지하고 있다. 상기 어떤 범위는 상기 감합방향에 있어서 서로 중복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상기 감합방향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에 각각 접하게 된다.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1개의 제1위치결정돌기와, 2개의 제2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위치결정돌기는 상기 구멍의 상기 닫힌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1위치결정돌기는 상기 구멍에 면하고 있다. 상기 쉘을 단체로 보았을 경우,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2위치결정돌기 중에서 적어도 1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쉘에는, 1개의 구멍과, 1개의 제1위치결정돌기와 2개의 제2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는 3개 이상의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제1위치결정돌기는 구멍의 닫힌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쉘을 단체로 보았을 경우, 구멍을 통하여 제2위치결정돌기 중에서 적어도 1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결정돌기의 감합방향에 있어서의 배치의 어긋남을 쉘의 구멍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조에 있어서, 쉘 단체를 시작(試作)하였을 때에, 위치결정돌기가 감합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나 있었을 경우, 이 위치결정돌기의 어긋남을 쉘의 구멍을 통하여 확인한 다음, 어긋남을 보정하도록 금형의 조정을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 조정후의 금형에 의해 쉘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위치결정돌기의 감합방향에 있어서의 배치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쉘에 지지부재를 조합시켰을 때에, 쉘내에 있어서의 지지부재의 혀부의 자세가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선의 실시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정확하게 이해되고, 또 그 구성에 대하여 더욱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커넥터를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은, 도3의 커넥터를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7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9는, 도1의 커넥터에 포함되고, 지지부재, 콘택트 및 미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1은, 도9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12는, 도1의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은, 도12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4는, 도12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5는, 도12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16은, 특허문헌1의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7은, 도16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커넥터를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은, 도3의 커넥터를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7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9는, 도1의 커넥터에 포함되고, 지지부재, 콘택트 및 미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1은, 도9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12는, 도1의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은, 도12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4는, 도12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5는, 도12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16은, 특허문헌1의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7은, 도16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가지 형태로 실현할 수 있지만, 그 일례로서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내에 있어서 이루어질 수 있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1부터 도6까지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0)는 감합(嵌合)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와 감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합방향은 X방향이다. 또한 감합방향은 전후방향이기도 한다. 추가적으로 전방을 +X방향이라 하고, 후방을 -X방향이라 한다.
도1부터 도6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는, 지지부재(300)와, 복수의 콘택트(contact)(200)와, 미드 플레이트(mid plate)(250)와, 쉘(shell)(400)을 구비하고 있다.
도4 및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는 쉘(400)에 부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재(300)의 쉘(400)에 대한 부착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9부터 도11까지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는 절연체(絶緣體)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지지부재(300)는, 주부(主部)(320)와, 혀부(舌部)(370)와, 2개의 다리부(脚部)(380)를 갖고 있다. 혀부(370)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주부(320)는, 지지부재(300)를 전방에서 보았을 경우 2개의 직선변(直線邊)과, 2개의 원호변(圓弧邊)을 갖는 둥근 모서리의 직4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주부(320)에 있어서의 둥근 모서리의 직4각형 형상의 2개의 직선변은,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제1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주부(320)에 있어서의 둥근 모서리의 직4각형의 2개의 원호변은 전후방향 및 제1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방향은 Z방향이고, 제2방향은 Y방향이다. 또한 제1방향은 상하방향이기도 한다. 여기에서 상방을 +Z방향이라 하고, 하방을 -Z방향이라 한다. 도9부터 도11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주부(320)은 제2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블록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9부터 도11까지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주부(320)에는, 4개의 오목부(325)와, 2개의 피협지부(被挾持部)(340)와, 2개의 지지폴 수용부(支持pawl 收容部)(350)가 형성되어 있다.
도9부터 도11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오목부(325)의 각각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오목부(325)의 각각은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후벽(後壁)을 갖고 있고, 이 후벽은 위치결정부(330)로서 기능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주부(320)에는, 4개의 위치결정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위치결정부(330)는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4개의 위치결정부(330)는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기준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3개 이상의 위치결정부(330)가 주부(320)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도9부터 도11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오목부(325)는, 제1오목부(326)와, 제2오목부(327)를 포함하고 있다. 제1오목부(326)의 각각은 주부(320)의 전단(前端)의 상단(上端)에 형성되어 있다. 제2오목부(327)의 각각은 주부(320)의 전단의 하단(下端)에 형성되어 있다.
도9부터 도11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오목부(326)의 각각은 제1위치결정부(332)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2오목부(327)의 각각은 제2위치결정부(336)를 갖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위치결정부(330)는, 2개의 제1위치결정부(332)와, 2개의 제2위치결정부(336)를 포함하고 있다. 제1위치결정부(332)는 제2위치결정부(336)와 각각 대응하고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제1위치결정부(332)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2위치결정부(336)의 상방(上方)에 위치하고 있다. 제1위치결정부(332)의 각각은, 제2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2위치결정부(336)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9 및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피협지부(340)의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즉 피협지부(340)의 각각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전면(前面) 및 후면(後面)을 갖고 있다. 피협지부(340)의 전면은 제1위치결정부(332)로서 각각 기능한다.
도9 및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지폴 수용부(350)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下方)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지지폴 수용부(350)의 각각은 주부(320)의 제2방향 내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면(傾斜面)(352)을 갖고 있다. 지지폴 수용부(350)는 피협지부(340)와 각각 대응하고 있다. 지지폴 수용부(350)의 각각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피협지부(340)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9부터 도11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혀부(370)는, 주부(320)로부터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혀부(370)는 주부(320)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전방(前方)으로 연장되어 있다. 혀부(370)는 4개의 위치결정부(330)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준면과 직교하고 있다.
도9부터 도11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혀부(370)는, 접점노출부(接點露出部)(372)와, 접속부(接續部)(374)를 갖고 있다. 접점노출부(372)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접점노출부(372)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면 및 하면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은 XY평면이다. 접점노출부(372)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접속부(374)의 전방(前方)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접점노출부(372)의 후단(後端)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접속부(374)의 전단(前端)과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374)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6면체 형상을 갖고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접속부(374)는, 지지부재(300)를 전방에서 보았을 경우, 2개의 직선변과, 2개의 원호변을 갖는 둥근 모서리의 직4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접속부(374)에 있어서의 둥근 모서리의 직4각형 형상의 2개의 직선변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접속부(374)에 있어서의 둥근 모서리의 직4각형 형상의 2개의 원호변은 제2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상하방향에 있어서 접속부(374)의 사이즈는 접점노출부(372)의 사이즈보다 크다. 더 상세하게는, 접속부(374)의 상단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접점노출부(372)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접속부(374)의 하단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접점노출부(372)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접속부(374)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주부(320)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접속부(374)의 후단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주부(320)의 전단과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374)의 상단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주부(320)의 제1오목부(326)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접속부(374)의 하단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주부(320)의 제2오목부(327)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2방향에 있어서 접속부(374)의 양단은, 주부(320)의 양단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2, 도9 및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다리부(380)는 주부(320)의 제2방향 양단 부근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다리부(380)의 각각은 주부(32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콘택트(200)는 금속제이다. 도4, 도5 및 도9부터 도11까지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콘택트(200)의 각각은 인서트 성형(insert 性形)에 의해 지지부재(300)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있다. 즉, 지지부재(300)는 복수의 콘택트(200)를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콘택트(200)의 각각은, 제2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에 있어서 대략 L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은 XZ평면이다.
도4, 도5, 도10 및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콘택트(200)는, 복수의 제1콘택트(210)와, 복수의 제2콘택트(220)를 포함하고 있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콘택트(210)의 각각은, 제1접점부(212)와, 제1피고정부(214)를 갖고 있다. 제1접점부(212)는 판형상을 갖고 있다. 제1접점부(212)는 제1콘택트(210)의 전단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제1피고정부(214)는 제1콘택트(210)의 후단에 위치하고 있다. 제1콘택트(210)의 각각의 제1접점부(212)는, 지지부재(300)의 혀부(370)의 접점노출부(372)의 상면(上面)상에 노출되어 있다. 제1콘택트(210)의 각각의 제1피고정부(214)는, 커넥터(100)의 하방으로서 후단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콘택트(220)의 각각은, 제2접점부(222)와, 제2피고정부(224)를 갖고 있다. 제2접점부(222)는 판 형상을 갖고 있다. 제2접점부(222)는 제2콘택트(220)의 전단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제2피고정부(224)는 제2콘택트(220)의 후단에 위치하고 있다. 제2콘택트(220)의 각각의 제2접점부(222)는, 지지부재(300)의 혀부(370)의 접점노출부(372)의 하면(下面)상에 노출되어 있다. 제2콘택트(220)의 각각의 제2피고정부(224)는, 제1콘택트(210)의 어느 제1피고정부(214)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2콘택트(220)의 각각의 제2피고정부(224)는, 지지부재(300)의 주부(320)의 지지폴 수용부(350)의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1콘택트(210)의 제1피고정부(214)와 제2콘택트(220)의 제2피고정부(224)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단일의 XY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제1콘택트(210)의 제1접점부(212)와 제2콘택트(220)의 제2접점부(222)는,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감합하였을 때에, 상대측 커넥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상대측 콘택트(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와 각각 접촉하는 것이다. 또한 제1콘택트(210)의 제1피고정부(214)와 제2콘택트(220)의 제2피고정부(224)는, 커넥터(100)을 회로기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상에 설치하였을 때에, 회로기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배선패턴(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납땜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의 미드 플레이트(250)는 금속제이다. 도4, 도5 및 도9부터 도11까지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드 플레이트(250)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지지부재(300)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미드 플레이트(250)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대략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미드 플레이트(25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콘택트(210)와 제2콘택트(2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부재(300)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쉘(400)은 금속제이다. 도1부터 도6까지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쉘(400)은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에 있어서 지지부재(300)를 둘러싸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은 YZ평면이다. 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쉘(400)은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에 있어서 지지부재(3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으면 좋다.
도1부터 도6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쉘(400)은, 상하방향의 양면(兩面)을 구성하는 제1면(第1面)(410) 및 제2면(第2面)(420)을 갖고 있다. 즉 제1면(410)은 쉘(400)의 상면(410)이고, 제2면(420)은 쉘(400)의 하면(420)이다. 제1면(410) 및 제2면(420)의 각각은 상하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쉘(400)의 전단은 개구되어 있다. 즉 커넥터(100)는 전단에 개구부(150)를 갖고 있다.
도1부터 도6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쉘(400)에는, 2개의 구멍(412)과, 4개의 위치결정돌기(4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쉘(400)에는, 이음매(422)와, 2개의 지지폴(支持pawl)(470)과, 후벽부(480)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쉘(400)에는, 1개의 구멍(412)과 3개 이상의 위치결정돌기(450)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도1, 도3, 도4 및 도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멍(412)의 각각은, 쉘(400)의 제1면(410)에 형성되어 있다. 즉 쉘(400)의 제1면(410)에는, 2개의 구멍(412)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412)의 각각은 쉘(400)의 표면상에 있어서 닫힌 둘레 가장자리를 갖고 있다. 구멍(412)의 각각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쉘(400)을 관통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구멍(412)의 각각은 쉘(400)의 제1면(410)의 표면상에 있어서 닫힌 둘레 가장자리를 갖고 있다. 구멍(412)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쉘(400)의 제1면(410)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구멍(412)의 제2방향 내측의 둘레 가장자리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선형상을 갖고 있다.
도2,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위치결정돌기(450)의 각각은, 쉘(40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위치결정돌기(450)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쉘(40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돌기(450)가 차지하는 범위는, 서로 중복되어 있다. 즉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돌기(450)는 각각 어떤 범위를 차지하고 있고, 어떤 범위는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 서로 중복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위치결정돌기(450)는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2,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위치결정돌기(450)는,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의 주부(320)의 오목부(325)의 위치결정부(330)에 각각 접하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4개의 위치결정돌기(450)의 후단과 4개의 위치결정부(330)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대략 단일의 YZ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혀부(370)는 4개의 위치결정부(330)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준면과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쉘(400)내에 있어서의 지지부재(300)의 혀부(370)의 자세는 정확하게 위치결정되어 있다.
도2,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위치결정돌기(450)는, 2개의 제1위치결정돌기(452)와, 2개의 제2위치결정돌기(456)를 포함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치결정돌기(450)는, 1개의 제1위치결정돌기(452)와, 2개의 제2위치결정돌기(456)를 포함하고 있으면 좋다. 즉 쉘(400)은, 1개의 제1위치결정돌기(452)와, 2개의 제2위치결정돌기(456)를 갖고 있으면 좋다.
도1부터 도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위치결정돌기(452)의 각각은 쉘(400)의 제1면(410)에 형성되어 있다. 제1위치결정돌기(452)는 각각 구멍(412)의 닫힌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1위치결정돌기(452)의 각각은 대응하는 구멍(412)에 면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1위치결정돌기(452)의 각각의 뒤측의 가장자리는 대응하는 구멍(412)의 앞측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1위치결정돌기(452)의 각각의 뒤측의 가장자리는 대응하는 구멍(412)에 면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위치결정돌기(452)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제1위치결정돌기(452)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제1위치결정부(332)에 각각 접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위치결정돌기(452)의 각각의 후단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1위치결정부(332)에 접하게 된다.
도2, 도4, 도5 및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위치결정돌기(456)의 각각은 쉘(400)의 제2면(420)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2위치결정돌기(456)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위치결정돌기(456)는 제1위치결정돌기(452)와 각각 대응하고 있다. 제2위치결정돌기(456)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1위치결정돌기(452)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위치결정돌기(456)의 각각은 제2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1위치결정돌기(452)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제2위치결정돌기(456)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제2위치결정부(336)에 각각 접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2위치결정돌기(456)의 각각의 후단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2위치결정부(336)에 접하게 된다.
도2,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에 있어서, 쉘(400)을 단독으로 보았을 경우, 구멍(412)을 통하여 제2위치결정돌기(456)를 각각 육안(肉眼)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쉘(400)을 단독으로 보았을 경우, 제2위치결정돌기(456)의 각각을, 대응하는 구멍(412)을 통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쉘(400)을 단독으로 보았을 경우, 제2위치결정돌기(456)의 각각은, 대응하는 제1위치결정돌기(452)가 면하는 구멍(412)을 통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결정돌기(450)의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배치의 어긋남을 쉘(400)의 구멍(412)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쉘(400)을 단독으로 보았을 경우, 구멍(412)을 통하여 제2위치결정돌기(456)를 각각 비스듬이 후상방(後上方)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위치결정돌기(450)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배치의 어긋남을 쉘(400)의 구멍(412)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쉘(400)을 단독으로 보았을 경우, 구멍(412)을 통하여 제2위치결정돌기(456) 중에서 적어도 1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 좋다.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음매(422)는 쉘(400)의 제2면(420)에 설치되어 있다. 즉, 쉘(400)의 제2면(420)은 이음매(422)를 갖고 있다. 이음매(422)는 쉘(400)의 제2면(420)의 제2방향 중앙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구불구불 구부러지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음매(422)는 제2방향에 있어서 쉘(400)의 제2면(420)의 +Y측 부분과 -Y측 부분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제2위치결정돌기(456)는 제2방향에 있어서 이음매(422)를 사이에 두고 이음매(422)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도1, 도3,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지지폴(470)은 구멍(412)과 각각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지지폴(470)의 각각은, 대응하는 구멍(412)의 닫힌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대응하는 구멍(412)내로 연장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지지폴(470)의 각각은, 제2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멍(412)의 외측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대응하는 구멍(412)내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폴(470)의 제2방향 내단(內端)은 자유단이다. 지지폴(470)의 각각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멍(412)에 면하는 제1위치결정돌기(452)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폴(470)은 지지부재(300)의 주부(320)의 지지폴 수용부(350)와 각각 대응하고 있다. 지지폴(470)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지지폴 수용부(350)의 경사면(352)과 간극(間隙)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지지폴(470)의 제2방향 내단은 대응하는 지지폴 수용부(350)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3, 도4 및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300)의 피협지부(340)는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 지지폴(470)과 제1위치결정돌기(452)에 끼워져 있다. 더 상세하게는, 지지부재(300)의 피협지부(340)의 전면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쉘(400)의 제1위치결정돌기(452)의 후단과 각각 접촉하고 있고, 지지부재(300)의 피협지부(340)의 후면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쉘(400)의 지지폴(470)의 전단과 각각 접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쉘(400)은, 지지부재(300)에 대하여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상대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도3부터 도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후벽부(480)는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대략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후벽부(480)는 쉘(400)의 제1면(410)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벽부(480)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의 주부(320)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부재(300)의 쉘(400)에 대한 부착방법을 이하에 상세한 설명한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우선 처음에, 후벽부(480B) 및 지지폴(470B)의 각각이 절곡되어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쉘(400)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는 중간체(400B)를 준비한다. 다음에 지지부재(300)의 위치결정부(330)가 중간체(400B)의 위치결정돌기(450)와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 각각 대향하도록, 지지부재(300)를 중간체(400B)의 후방에 배치한다. 이후에 지지부재(300)를 전후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지지부재(300)의 혀부(370)는 중간체(400B)의 내부에 수용되고, 지지부재(300)의 위치결정부(330)는 중간체(400B)의 위치결정돌기(450)의 후단과 전후방향에 있어서 각각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중간체(400B)의 지지폴(470B)의 각각의 제2방향 내단을 하방으로 밀어내려서 지지폴(47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중간체(400B)의 지지폴(470)은 지지폴 수용부(350)의 경사면(352)과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중간체(400B)의 지지폴(470)의 제2방향 내단은 지지부재(300)의 지지폴 수용부(350)내에 수용된다.
이때, 지지부재(300)의 피협지부(340)는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 지지폴(470)과 제1위치결정돌기(452)에 끼워져 있다. 즉 중간체(400B)는 지지부재(30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상대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중간체(400B)의 후벽부(480B)를 하방으로 절곡하여 후벽부(480)를 형성함으로써 쉘(400)을 형성하면, 지지부재(300)의 주부(320)의 상부의 후단은 쉘(400)의 후벽부(480)와 전후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300)가 쉘(400)로부터 후방으로 뽑히는 것을 더 제한할 수 있다.
커넥터(100)의 구성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0)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도12부터 도15까지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커넥터(100A)는, 지지부재(300A)와, 복수의 콘택트(200)와, 미드 플레이트(250)와, 쉘(400A)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콘택트(200) 및 미드 플레이트(250)는, 상기한 실시형태의 콘택트(200) 및 미드 플레이트(250)와 동일한 형상이다. 따라서 콘택트(200) 및 미드 플레이트(250)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12부터 도15까지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지지부재(300A)는 쉘(400A)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지지부재(300A)의 쉘(400A)에 대한 부착방법에 대하여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지부재(300)의 쉘(400)에 대한 부착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2부터 도15까지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A)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지지부재(300A)는, 주부(320A)와, 혀부(370)와, 2개의 다리부(380)를 갖고 있다. 혀부(370)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주부(320A) 이외의 지지부재(300A)의 구성요소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2부터 도15까지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주부(320A)는, 지지부재(300)를 전방에서 보았을 경우, 2개의 직선변과 2개의 원호변을 갖는 둥근 모서리의 직4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주부(320A)에 있어서의 둥근 모서리의 직4각형 형상의 2개의 직선변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주부(320A)에 있어서의 둥근 모서리의 직4각형형상의 2개의 원호변은 제2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주부(320A)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블록 형상을 갖고 있다.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주부(320A)에는, 3개의 오목부(325A)와, 1개의 피협지부(340A)와, 2개의 지지폴 수용부(350A)가 형성되어 있다.
도1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오목부(325A)의 각각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오목부(325A)의 각각은,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후벽을 갖고 있고, 이 후벽은 위치결정부(330A)로서 기능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주부(320A)에는, 3개의 위치결정부(330A)가 형성되어 있다. 3개의 위치결정부(330A)는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3개의 위치결정부(330A)는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기준면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혀부(370)는, 3개의 위치결정부(330A)에 의해 형성되는 기준면과 직교하고 있다.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오목부(325A)는, 1개의 제1오목부(326A)와, 2개의 제2오목부(327)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본 변형예의 제2오목부(327)는 상기한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의 주부(320)의 제2오목부(327)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오목부(326A)는 주부(320A)의 제2방향 중앙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제1오목부(326A)는 주부(320A)의 전단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오목부(326A)는 제1위치결정부(332A)를 갖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위치결정부(330A)는, 1개의 제1위치결정부(332A)와, 2개의 제2위치결정부(336)를 포함하고 있다. 제1위치결정부(332A)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위치결정부(336)의 각각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1위치결정부(332A)는 제2방향에 있어서 제2위치결정부(336)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피협지부(340A)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즉 피협지부(340A)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전면 및 후면을 갖고 있다. 피협지부(340A)의 전면의 일부는 제1위치결정부(332A)로서 기능한다.
도1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지지폴 수용부(350A)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지지폴 수용부(350A)의 각각은, 주부(320A)의 제2방향 내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면(352A)을 갖고 있다. 지지폴 수용부(350A)의 각각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피협지부(340A)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쉘(400A)은 금속제이다. 도12부터 도15까지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쉘(400A)는,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에 있어서 지지부재(300A)를 둘러싸고 있다.
도12부터 도1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쉘(400A)은, 상하방향의 양면을 구성하는 제1면(410A) 및 제2면(420)을 갖고 있다. 즉 제1면(410A)은 쉘(400A)의 상면(410A)이고, 제2면(420)은 쉘(400A)의 하면(420)이다. 제1면(410A) 및 제2면(420)의 각각은 상하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쉘(400A)의 전단은 개구되어 있다. 즉 커넥터(100A)는 전단에 개구부(150)를 갖고 있다.
도12부터 도1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쉘(400A)에는, 1개의 구멍(412A)과, 3개의 위치결정돌기(45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쉘(400A)에는, 이음매(422)와, 2개의 지지폴(470A)과, 후벽부(48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구멍(412A), 위치결정돌기(450A) 및 지지폴(470A) 이외의 구성요소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2 및 도1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멍(412A)은 쉘(400A)의 제1면(410A)에 형성되어 있다. 즉 쉘(400A)의 제1면(410A)에는, 1개의 구멍(412A)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412A)은 쉘(400A)의 표면상에 있어서 닫힌 둘레 가장자리를 갖고 있다. 구멍(412A)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쉘(400A)을 관통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구멍(412A)은 쉘(400A)의 제1면(410A)의 표면상에 있어서 닫힌 둘레 가장자리를 갖고 있다. 구멍(412A)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쉘(400A)의 제1면(410A)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구멍(412A)의 전후방향 내측의 둘레 가장자리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선 형상을 갖고 있다.
도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위치결정돌기(450A)의 각각은 쉘(400A)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위치결정돌기(450A)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쉘(400A)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돌기(450A)가 차지하는 범위는 서로 중복되어 있다. 즉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돌기(450A)는 각각 어떤 범위를 차지하고 있고, 어떤 범위는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 서로 중복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위치결정돌기(450A)는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위치결정돌기(450A)는,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A)의 주부(320A)의 오목부(325A)의 위치결정부(330A)에 각각 접하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3개의 위치결정돌기(450A)의 후단과 3개의 위치결정부(330A)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단일의 YZ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혀부(370)는 3개의 위치결정부(330A)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준면과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쉘(400A)내에 있어서의 지지부재(300A)의 혀부(370)의 자세는 정확하게 위치결정되어 있다.
도1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위치결정돌기(450A)는, 1개의 제1위치결정돌기(452A)와, 2개의 제2위치결정돌기(456)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본 변형예의 제2위치결정돌기(456)는 상기한 실시형태의 쉘(400)의 제2위치결정돌기(456)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2 및 도1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제1위치결정돌기(452A)는 쉘(400A)의 제1면(410A)에 형성되어 있다. 제1위치결정돌기(452A)는 구멍(412A)의 닫힌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1위치결정돌기(452A)는 구멍(412A)에 면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1위치결정돌기(452A)의 뒤측의 가장자리는 구멍(412A)의 앞측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1위치결정돌기(452A)의 뒤측의 가장자리는 구멍(412A)에 면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위치결정돌기(452A)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제1위치결정돌기(452A)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제1위치결정부(332A)에 접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위치결정돌기(452A)의 후단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제1위치결정부(332A)에 접하게 된다.
도12부터 도15까지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A)에 있어서 쉘(400A)를 단독으로 보았을 경우, 구멍(412A)을 통하여 제2위치결정돌기(456)를 각각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결정돌기(450A)의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배치의 어긋남을 쉘(400A)의 구멍(412A)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쉘(400A)을 단독으로 보았을 경우, 구멍(412A)을 통하여 제2위치결정돌기(456) 중에서 적어도 1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 좋다.
도12 및 도1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지지폴(470A)의 각각은 구멍(412A)의 닫힌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구멍(412A)내로 연장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지지폴(470A)의 각각은, 제2방향에 있어서 구멍(412A)의 외측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구멍(412A)내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폴(470A)의 제2방향 내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지지폴(470A)의 각각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제1위치결정돌기(452A)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폴(470A)는 지지부재(300A)의 주부(320A)의 지지폴 수용부(350A)와 각각 대응하고 있다. 지지폴(470A)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지지폴 수용부(350A)의 경사면(352A)과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지지폴(470A)의 제2방향 내단은 대응하는 지지폴 수용부(350A)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300A)의 피협지부(340A)는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 지지폴(470A)과 제1위치결정돌기(452A)에 끼워져 있다. 더 상세하게는, 지지부재(300A)의 피협지부(340A)의 전면의 일부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쉘(400A)의 제1위치결정돌기(452A)의 후단과 접촉하고 있고, 지지부재(300A)의 피협지부(340A)의 후면의 일부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쉘(400A)의 지지폴(470A)의 각각의 전단과 접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쉘(400A)은 지지부재(300A)에 대하여 감합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상대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복수의 실시형태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 100A)에 있어서는, 감합방향을 전후방향이라 하고, 제1방향을 상하방향이라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감합방향을 상하방향이라 하더라도 좋고, 또한 제1방향은 감합방향과 직교하고 있으면 좋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 100A)의 쉘(400, 400A)에는, 2개의 지지폴(470, 470A)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쉘이 지지부재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라면, 지지폴은 1개이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100, 100A)의 쉘(400, 400A)의 지지폴(470, 470A)은, 제1위치결정돌기(452, 452A)가 면하는 구멍(412, 412A)내로 연장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위치결정돌기가 면하는 구멍과 지지폴이 연장되는 구멍이 서로 별개 독립이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100, 100A)의 콘택트(200)의 제1콘택트(210) 및 제2콘택트(220)는, 판모양의 제1접점부(212) 및 제2접점부(222)를 갖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접점부 및 제2접점부의 각각은, 스프링 접점(spring 接點)이더라도 좋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커넥터(100A)의 쉘(400A)의 제1면(410A)에는, 1개의 구멍(412A)과 1개의 제1위치결정돌기(452A)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쉘의 제1면에, 1개의 구멍과 2개의 제1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2017년 10월 5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7-195058호에 의거하고 있고, 그 내용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100A : 커넥터
150 : 개구부
200 : 콘택트
210 : 제1콘택트
212 : 제1접점부
214 : 제1피고정부
220 : 제2콘택트
222 : 제2접점부
224 : 제2피고정부
250 : 미드 플레이트
300, 300A : 지지부재
320, 320A : 주부
325, 325A : 오목부
326, 326A : 제1오목부
327 : 제2오목부
330, 330A : 위치결정부
332, 332A : 제1위치결정부
336 : 제2위치결정부
340, 340A : 피협지부
350, 350A : 지지폴수용부
352, 352A : 경사면
370 : 혀부
372 : 접점노출부
374 : 접속부
380 : 다리부
400, 400A : 쉘
400B : 중간체
410, 410A : 제1면(상면)
412, 412A : 구멍
420 : 제2면(하면)
422 : 이음매
450, 450A : 위치결정돌기
452, 452A : 제1위치결정돌기
456 : 제2위치결정돌기
470, 470A, 470B : 지지폴
480, 480B : 후벽부
150 : 개구부
200 : 콘택트
210 : 제1콘택트
212 : 제1접점부
214 : 제1피고정부
220 : 제2콘택트
222 : 제2접점부
224 : 제2피고정부
250 : 미드 플레이트
300, 300A : 지지부재
320, 320A : 주부
325, 325A : 오목부
326, 326A : 제1오목부
327 : 제2오목부
330, 330A : 위치결정부
332, 332A : 제1위치결정부
336 : 제2위치결정부
340, 340A : 피협지부
350, 350A : 지지폴수용부
352, 352A : 경사면
370 : 혀부
372 : 접점노출부
374 : 접속부
380 : 다리부
400, 400A : 쉘
400B : 중간체
410, 410A : 제1면(상면)
412, 412A : 구멍
420 : 제2면(하면)
422 : 이음매
450, 450A : 위치결정돌기
452, 452A : 제1위치결정돌기
456 : 제2위치결정돌기
470, 470A, 470B : 지지폴
480, 480B : 후벽부
Claims (6)
- 감합(嵌合)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와 감합할 수 있는 커넥터(connector)로서,
상기 커넥터는, 복수의 콘택트(contact)와, 지지부재(支持部材)와, 쉘(shell)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의 콘택트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주부(主部)와, 혀부(舌部)를 갖고 있고,
상기 혀부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주부에는, 3개 이상의 위치결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혀부는 상기 주부로부터 상기 감합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쉘은 상기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고,
상기 쉘에는, 1개의 구멍과, 3개 이상의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은 상기 쉘의 표면상에 있어서 닫힌 둘레 가장자리를 갖고 있고,
상기 구멍은 상기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제1방향에 있어서 상기 쉘을 관통하고 있고,
상기 위치결정돌기의 각각은 상기 쉘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감합방향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각각 어떤 범위를 차지하고 있고, 상기 어떤 범위는 상기 감합방향에 있어서 서로 중복되어 있고,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상기 감합방향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에 각각 접하게 되고,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상기 감합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1개의 제1위치결정돌기와, 2개의 제2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쉘은 상기 제1방향의 양면(兩面)을 구성하는 제1면 및 제2면을 갖고 있고, 상기 구멍 및 상기 제1위치결정돌기의 각각은 상기 쉘의 상기 제1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위치결정돌기의 각각은 상기 쉘의 상기 제2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위치결정돌기는 상기 구멍의 상기 닫힌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1위치결정돌기는 상기 구멍에 면하고 있고,
상기 쉘을 단독으로 보았을 경우,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2위치결정돌기 중에서 적어도 1개를 육안(肉眼)으로 확인할 수 있는
커넥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상기 제2면은 이음매를 갖고 있고,
상기 제2위치결정돌기는, 상기 감합방향 및 상기 제1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이음매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쉘을 단독으로 보았을 경우,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2위치결정돌기의 각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커넥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상기 제1면에는, 2개의 상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2개의 상기 제1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위치결정돌기의 각각은 상기 쉘의 상기 제1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위치결정돌기는 각각 상기 구멍에 면하고 있고,
상기 쉘을 단독으로 보았을 경우,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2위치결정돌기를 각각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피협지부(被挾持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쉘에는, 지지폴(支持pawl)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폴은 상기 구멍의 상기 닫힌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구멍내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피협지부는 상기 감합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폴과 상기 제1위치결정돌기에 끼워져 있는
커넥터.
-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방향은 전후방향이고,
상기 제1방향은 상하방향이고,
상기 제1면은 상면이고,
상기 제2면은 하면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195058 | 2017-10-05 | ||
JP2017195058A JP6538134B2 (ja) | 2017-10-05 | 2017-10-05 | コネクタ |
PCT/JP2018/029230 WO2019069551A1 (ja) | 2017-10-05 | 2018-08-03 | 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9588A KR20200029588A (ko) | 2020-03-18 |
KR102331889B1 true KR102331889B1 (ko) | 2021-12-01 |
Family
ID=65995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05600A KR102331889B1 (ko) | 2017-10-05 | 2018-08-03 | 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910759B2 (ko) |
JP (1) | JP6538134B2 (ko) |
KR (1) | KR102331889B1 (ko) |
CN (1) | CN111066210B (ko) |
TW (1) | TWI689143B (ko) |
WO (1) | WO201906955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1622583S (ko) * | 2018-08-01 | 2019-01-21 | ||
JP1633664S (ko) * | 2018-11-28 | 2019-06-10 | ||
USD924160S1 (en) * | 2018-11-28 | 2021-07-06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Connector |
JP1645819S (ko) * | 2019-03-11 | 2019-11-18 | ||
JP1645849S (ko) * | 2019-04-17 | 2019-11-18 | ||
JP1654594S (ko) * | 2019-08-05 | 2020-03-09 | ||
JP1656883S (ko) * | 2019-09-10 | 2020-04-06 | ||
CN113507015A (zh) * | 2021-02-20 | 2021-10-15 | 苏州祥龙嘉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适用于网路数据传输的大电流高频电连接器母座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98932B2 (ja) * | 1996-08-02 | 2001-08-13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文書検索装置 |
US20170250508A1 (en) * | 2016-02-26 | 2017-08-31 | Alltop Electronics (Suzhou) Ltd. |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contact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68897B2 (ja) | 2007-03-28 | 2009-11-18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118922B2 (ja) | 2007-09-06 | 2013-01-16 | 株式会社フジクラ |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電子機器 |
KR20090064676A (ko) | 2007-12-17 | 2009-06-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방향 정보 저장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 및 방법 |
CN201549640U (zh) * | 2009-11-26 | 2010-08-11 | 博崴电子股份有限公司 | 电连接器 |
CN103904472B (zh) * | 2012-12-30 | 2018-03-06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
JP3198932U (ja) * | 2014-05-23 | 2015-07-30 | 詮欣股▲分▼有限公司 | 電気コネクタ |
TWM493185U (zh) | 2014-08-29 | 2015-01-01 | Chant Sincere Co Ltd | 序列匯流排連接器 |
JP5905952B1 (ja) | 2014-11-20 | 2016-04-2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525854B2 (ja) * | 2015-11-24 | 2019-06-0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JP6231593B2 (ja) * | 2016-02-16 | 2017-11-15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205565124U (zh) * | 2016-03-15 | 2016-09-07 | 东莞骅国电子有限公司 | 电连接器 |
CN206271936U (zh) * | 2016-08-24 | 2017-06-20 |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 Usb c型插座连接器 |
CN206595424U (zh) | 2016-10-05 | 2017-10-27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连接器 |
-
2017
- 2017-10-05 JP JP2017195058A patent/JP6538134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08-03 WO PCT/JP2018/029230 patent/WO201906955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8-03 US US16/640,031 patent/US10910759B2/en active Active
- 2018-08-03 CN CN201880055584.9A patent/CN111066210B/zh active Active
- 2018-08-03 KR KR1020207005600A patent/KR10233188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8-07 TW TW107127360A patent/TWI689143B/zh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98932B2 (ja) * | 1996-08-02 | 2001-08-13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文書検索装置 |
US20170250508A1 (en) * | 2016-02-26 | 2017-08-31 | Alltop Electronics (Suzhou) Ltd. |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contac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066210B (zh) | 2021-05-25 |
CN111066210A (zh) | 2020-04-24 |
JP2019067728A (ja) | 2019-04-25 |
US10910759B2 (en) | 2021-02-02 |
TWI689143B (zh) | 2020-03-21 |
KR20200029588A (ko) | 2020-03-18 |
WO2019069551A1 (ja) | 2019-04-11 |
JP6538134B2 (ja) | 2019-07-03 |
TW201916494A (zh) | 2019-04-16 |
US20200244000A1 (en) | 2020-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31889B1 (ko) | 커넥터 | |
US9985393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ielding shell with a pair of side arm soldering legs firmly held by an insulative housing | |
JP3198686U (ja) | コネクタソケット | |
KR101897403B1 (ko) |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 |
JP2019186062A (ja) | コネクタ | |
JP2017204325A (ja) | 基板用コネクタ | |
US10454221B2 (en) | Connector mountable on an upper surface of a circuit board | |
JP5548308B2 (ja) | コネクタ | |
CN110582896B (zh) | 基板用连接器 | |
JP2015176657A (ja) | コネクタ | |
US9793657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a metallical supporting member secured thereto | |
JP2017084625A (ja) | コネクタ | |
JP2015220005A (ja) |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 |
EP2955791B1 (en) | Connector for being mounted on the edge of a pcb, having a rear back metal portion , which corrects the centre of mass | |
JP6238826B2 (ja) | 表面実装コネクタ | |
KR101674792B1 (ko) | Usb 리셉터클 | |
US10381786B2 (en) | Connector | |
KR101177755B1 (ko) | 커넥터 | |
JP6663754B2 (ja) | コネクタ | |
JP2019096571A (ja) | コネクタ | |
CN109994865A (zh) | 连接器、连接器组件以及连接器的制造方法 | |
JP7153199B2 (ja) | 端子 | |
JP2019012594A (ja) | コネクタ | |
JP2020149893A (ja) | コネクタ | |
JP2017073333A (ja) | フレキシブル導体用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