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540B1 - 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Mn 스텐레스강 - Google Patents

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Mn 스텐레스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540B1
KR101177540B1 KR1020057021573A KR20057021573A KR101177540B1 KR 101177540 B1 KR101177540 B1 KR 101177540B1 KR 1020057021573 A KR1020057021573 A KR 1020057021573A KR 20057021573 A KR20057021573 A KR 20057021573A KR 101177540 B1 KR101177540 B1 KR 101177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workability
sfe
less
austeni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388A (ko
Inventor
마사하루 하타노
에이이치로 이시마루
아키히코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99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Mn 스텐레스강의 가공성을 개선하고, 가공 후에도 비자성이 유지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을 제공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질량%로, C+N: 0.03 내지 0.15%, Si: 0.1 내지 1%, Mn: 5.2 내지 15%, Cr: 10 내지 16%, Ni: 1 내지 6%, Cu: 0.3 내지 3%, Mo: 0.3 내지 3%,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오스테나이트 안정도의 지표 Md30 값과 적층 결함 에너지의 생성 지표 SFE가 아래의 것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Mn 스텐레스강.
-10<Md30<30, 40<SFE<80
Md30(℃): 497-462(C+N)-9.2Si-8.1Mn-13.7Cr-20(Ni+Cu)-18.5Mo
SFE(mJ/m2): 6.2Ni+18.6Cu+0.7Cr+3.2Mn+9.3Mo-53
오스테나이트계 고Mn 스텐레스강, 오스테나이트 안정도, 적층 결함 에너지

Description

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Mn 스텐레스강 {AUSTENITIC HIGH Mn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WORKABILITY}
본 발명은 연질이고 가공 경화성이 작고, 높은 가공율로 냉간 가공이나 디프드로잉 가공 등의 프레스 성형이 가능한 우수한 가공성을 가지고, 가공 후에도 비자성이 유지되는 오스테나이트계 고Mn 스텐레스강에 관한 것이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은 JISG4305에 규정된 300계(SUS304, SUS316, SUS301 등)나 200계(SUS201, SUS202 등)가 있다.
300계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은 Mn이 2.0 질량% 이하, Ni이 6 내지 15질량% 정도 포함된다. SUS304로 대표되는 Ni계 오스테나이트 스텐레스강은 양호한 가공성을 가지고 내식성도 우수하지만, 고가의 Ni을 다량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원료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SUS304는 오스테나이트 상이 준(準)안정적이기 때문에 성형 가공 중에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일으켜 가공품이 자성을 띤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한편, 200계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은 Ni을 Mn으로 치환한 고Mn 스텐레스강이며, C나 N를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강도가 높고 비자성이다. 또한, Ni계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과 비교하여 염가이다. 그러나, SUS201이나 SUS202 등으로 대표되는 고Mn 스텐레스강은 소둔 상태에 있어서 300계와 비교하여 강도가 높고 가공 경화성도 크기 때문에, 냉간 가공성이나 디프드로잉 가공 등의 프레스 성형성이 뒤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의 가공성을 개선하는 수단에 관하여, Mn이 3% 미만, Ni이 6% 이상을 함유하는 300계에 대하여는 종래부터 많은 검토가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면, 특허 제3039838호 공보, 특허 제3398258호 공보, 특허 제3398260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10-102210호 및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10-121207호에 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프레스 성형성 등의 가공성 개선에는 Cu의 첨가가 유효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Ni을 5.5% 이하, Mn을 5.5% 이상 포함하는 200계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은 전자기기용 샤프트재, 자전거 스포크 용선, 건축, 건재용 못 등의 고강도 비자성이 요구되는 부재에 적용하는 것이 주를 이룬다. 이 때문에, 고Mn 스텐레스강은 고강도 비자성화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 많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제2618151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6-235048호에는 고강도?비자성화에는 고N화와 아울러 Mn이나 Cr의 증가를 억제하고 Nb, Mo, P의 미량 첨가가 유효하게 작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저Ni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의 내부식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11-92885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0-34546호 등에는 Ca, B, S의 불순물 원소를 저감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개시되어 있다. 이들 저Ni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들은 O.1%를 초과하는 다량의 N를 함유하고 있으며, 강도(0.2% 내력)는 상술한 고Mn 스텐레스강과 같이 높아 가공성에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4-143576호, 영국 특허 제2359095호 공보에는 내부식성에 추가하여,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Cr 양을 낮춘 저Ni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이 개시되어 있고, 그 기계적 성질은 SUS304에 비교적 가까운 것이다. 이들 저Ni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은 열간 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온에서의 페라이트 양의 생성을 억제하도록 오스테나이트 안정도를 조정하고 있으나, 실온에서의 오스테나이트 안정도에 대하여는 전혀 검토되어 있지 않다. 즉, 이들 저Ni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은 프레스 성형 등의 냉간 가공에 의하여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고, 그 가공품은 자성을 띠거나, 자연 균열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염려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Ni 양을 낮춘 고Mn 스텐레스강은 SUS304로 대표되는 Ni계 스텐레스강이 사용되는 프레스 성형용도 등에 적응하기 위한 가공성의 개선을 의도한 것이 아니다. 즉, SUS304와 동등 이상의 우수한 가공성을 구비하면서, 가공 후에도 비자성을 실현한 고Mn 스텐레스강은 아직도 출현되지 않은 것이 현상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고Mn 스텐레스강의 가공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C+N, 오스테나이트 안정도의 지표 Md30 값(℃), 적층 결함 에너지의 생성 지표 SFE(mJ/m2)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도록 성분 설계를 실시함으로써, SUS304와 동등 이상의 가공성을 구비하고, 가공 후에도 비자성이 유지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의 고Mn 스텐레스강은, 질량%로, C+N: 0.03 내지 0.15%, Si: 0.1 내지 1%, Mn: 5.2 내지 15%, Cr: 10 내지 16%, Ni: 1 내지 6%, Cu: 0.3 내지 3%, Mo: 0.3 내지 3%,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오스테나이트 안정도의 지표 Md30 값과 적층 결함 에너지의 생성 지표 SFE가 아래를 만족하도록 성분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 Md30 < 30, 40 < SFE < 80
Md30(℃): 497 - 462(C+N) - 9.2Si - 8.1Mn - 13.7Cr - 20(Ni+Cu) - 18.5Mo
SFE(mJ/m2): 6.2Ni + 18.6Cu + 0.7Cr + 3.2Mn + 9.3Mo - 53
(2) 이 고Mn 스텐레스강은 열간 가공성이나 내산화성의 개선을 위하여, REM을 0.001 내지 0.2 질량% 포함할 수 있다.
(3) 높은 가공율로 냉간 가공이나 디프드로잉 가공 등의 프레스 성형이 가능한 가공성을 확보하려면, C+N가 0.15 질량% 이하, 인장 시험으로 구하여지는 0.2% 내력이 300MPa 미만, 진응력-대수 연신율 변형 곡선에서 공칭 변형률 25%와 35%의 구배인 가공경화 지수 n이 0.45 이하로 한다. 또한, 압하율 60% 냉간 압연하였을 때의 투자율(μ)이 1.05 이하일 때, 각종 가공 후에도 비자성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Mn 스텐레스강은 C+N:0.03 내지 0.15%, -10 < Md30 < 30, 40 < SFE < 80으로 하는 성분 설계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0.2% 내력이30OMPa 미만의 연질로 가공 경화성이 작고, 높은 가공율로 냉간 가공이나 디프드로잉 가공 등의 프레스 성형이 가능한 우수한 가공성을 가지고, 가공 후에도 비자성이 유지된다. 따라서, 종래의 고Mn 스텐레스강으로 할 수 없었던 성형 가공이 가능하고, SUS304로 대표되는 Ni계 스텐레스강이 사용되는 프레스 성형 용도에 사용된다. 또한, SUS304를 가공한 후에 비자성화하기 위한 소둔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비자성이 요구되는 성형 가공용 재료로서 광범위한 분야에서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Md30 값이 강재의 연신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Md30 값이 60% 냉간 압연재의 투자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SFE와 가공 경화 지수 n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의 고Mn 스텐레스강은 C+N, 오스테나이트 안정도의 지표 Md3O값(℃), 적층 결함 에너지의 생성 지표 SFE(mJ/m2)가 적정 범위를 만족하는 성분 설계를 채용함으로써, SUS304와 동등 이상의 가공성을 구비하고, 가공 후에도 비자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고Mn 스텐레스강의 성분 설계에 관한 작용 효과와 그 한정 이유를 설명한다.
?C+N:0.15% 이하
C나 N는 오스테나이트 상의 안정화나 δ페라이트 상의 생성 억제에 유효한 원소이다. 한편, 이들 원소는 고용강화에 의하여 강재의 0.2% 내력을 상승시켜 가공성을 저하시킨다. 이 때, C+N의 상한은 0.15%로 하였다. N는 C와 비교하여 0.2% 내력을 상승시키는 작용이 크기 때문에, N는 C보다 낮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높은 가공율로 냉간 가공이나 디프드로잉 가공 등의 프레스 성형이 요구되는 용도에는 C+N를 0.15% 이하(N<C)로 설계함으로써, 강재의 0.2% 내력을 300MPa 미만으로 연질화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C+N가 0.03% 미만인 경우, 가공품의 비자성화가 곤란하게 될 뿐만 아니라, C나 N를 저감하기 위한 제강 비용의 부담을 초래한다. 따라서, C+N의 하한은 0.03%로 한다. 바람직한 범위는 0.08 내지 0.12%이다.
?오스테나이트 안정도의 지표: Md30 값(℃)
준안정 오스테나이트 스텐레스강은 Ms점 이상의 온도에서도 소성 가공에 의하여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일으킨다. 가공에 의하여 변태점을 일으키는 상한 온도를 Md 값이라 호칭한다. 즉, Md 값은 오스테나이트의 안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또한, 인장 변형에 의하여 30%의 변형을 가하였을 때, 50%의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는 온도를 Md30 값이라 한다.
Md30 = 497 - 462(C+N) - 9.2Si - 8.1Mn - 13.7Cr - 20(Ni+Cu) - 18.5Mo으로 정의하는 Md30 값(℃)을 본 발명의 고Mn 스텐레스강에 있어서 -10℃ 내지 30℃의 범위로 설계함으로써,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가공성과 비자성이 확보되는 것을 밝혀내었다.
Md30 값이 -10℃ 보다 작은 경우, 오스테나이트 안정도가 높기 때문에 강재의 연신율이 저하되고(<50%), 가공성이 저해된다. 한편, Md30 값이 30℃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의 생성(α'상)에 의하여 강재의 연신율은 향상되지만, 생성된 α'상이 자성을 가지기 때문에 가공품이 자성을 띤다. Md30 값이 -10℃ 내지 30℃인 경우, 본 발명의 고Mn 스텐레스강은 가공품의 비자성을 유지하면서 강재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적층 결함 에너지의 생성 지표: SFE(mJ/m2)
bcc 구조의 보통강과 비교하여, fcc 구조를 가지는 오스테나이트 스텐레스강은 적층 결함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가공 경화가 크다. 본 발명에서는 높은 가공율로 냉간 가공이나 디프드로잉 가공 등의 프레스 성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적층 결함이 생성되기 어려운 전위의 교차 슬립이 용이한 성분 설계를 채용하고 있다.
최근, 스텐레스 강판은 복잡한 형상의 제품을 냉간 가공으로 제조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가공 경화가 큰 강재는 가공 도중에 중간 소둔 공정을 사이에 두고 연화시키면서 반복하여 큰 가공도를 얻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가공 경화가 작은 강재이면 중간 소둔 공정을 생략하고 제품을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비용의 절감에 크게 기여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적층 결함 에너지(SFE)에 미치는 성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SFE(mJ/m2): 6.2Ni + 18.6Cu + 0.7Cr + 3.2Mn + 9.3Mo - 53으로 정의되는 SFE를 40 내지 80의 높은 범위로 조정할 때,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우수한 가공성이 발현되는 것을 밝혀내었다.
SFE가 40 미만인 경우, 고Mn 스텐레스강은 적층 결함이 생성되기 쉽고 가공 경화가 커져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가공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이때, 인장 시험으로 구할 수 있는 가공 경화 지수 n 값(진응력-대수 연신율 변형 곡선에서 공칭 변형률 25%와 35%의 구배)은 0.45를 넘는다. 한편, SFE가 80을 넘는 경우, 가공 경화가 작고 n 값은 0.3 미만이 된다. 이때, 실용의 프레스 성형에서는 장출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장 시험으로 구할 수 있는 n 값은 0.3 내지 0.4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Md30 값과 SFE를 만족하는 연질이고 가공 경화성이 작으며, 비자성인 강재는 SUS304로 대표되는 Ni계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에서 문제가 되는 시기 균열(자연 균열)을 일으키지 않고, 다공정에 이르는 디프드로잉성이 우수하다. 즉, SUS304는 오스테나이트 상이 준안정적이기 때문에 가공 중에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일으켜 디프드로잉 성형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너무 딱딱해져서 잔류 응력이 증대하여 자연 균열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C+N: 0.03 내지 0.15%, Md30 값: -10 내지 30℃, SFE:40 내지 80(mJ/m2)으로 조정된 고Mn 스텐레스 강재는 0.2% 내력이 30OMPa 미만의 연질이고 가공 경화성이 작고 높은 가공율로 냉간 가공이 가능한 비자성 스텐레스이다. 이하, 본 발명의 C와 N를 제외한 다른 합금 원소는 다음의 범위에서 선정된다.
?Si:0.1 내지 1%
Si은 용제 시에 탈산제로서 유효하고, 그 효과를 얻기 위하여 0.1% 이상 첨가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상이다. 또한, Si은 고용강화 및 SFE를 저하시켜 가공 경화를 조장하는 원소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300MPa 미만의 0.2% 내력, 가공 경화 지수 n 값 0.45 미만의 작은 가공 경화성을 얻기 위하여 상한은 1%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7% 이하이다.
?Mn: 5.2 내지 15%
Mn은 용제 시에 탈산제로서 사용되는 것에 추가하여 비자성을 유지하고 Ni을 대체하는 것으로서 오스테나이트 형성 원소와 유효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작용을 얻기 위하여, Mn은 5.2% 이상 첨가한다. 한편, Mn의 첨가는 S계 개재물의 증가를 초래하고, 내식성이나 가공성을 저해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한은 15%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Cr: 10 내지 16%
Cr은 스텐레스강에 요구되는 내식성을 얻기 위하여 필요한 합금 원소이며,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이다. 한편, Cr은 고용강화 및 SFE를 저하시켜 가공 경화를 조장하는 원소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30OMPa 미만의 0.2% 내력, 가공 경화 지수 n 값이 0.45 미만인 작은 가공 경화성을 얻기 위하여 상한은 16%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Ni: 1 내지 6%
Ni은 고가의 원소이며, 6%를 초과하는 300계 오스테나이트 스텐레스강은 원료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따라서, Ni은 6%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Ni은 오스테나이트 스텐레스강에 필요한 원소이며, 또한, 냉간 가공 후의 비자성 및 연성을 확보하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그 때문에, 하한은 1%로 한다.
?Cu: 0.3 내지 3%
Cu는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Md30 값을 저하시켜 SFE를 상승시키고 가공성을 개선하는 데에 유효한 합금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작용을 얻기 위하여, Cu의 하한은 0.3% 이상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으로 한다. 그러나, Cu를 과잉 첨가하면 제강 시에 Cu 오염이나 열간 취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SFE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가공성의 저하를 부른다. 그 때문에, Cu의 상한은 3% 이하로 한다.
? Mo: 0.3 내지 3%
내식성 향상에 유효한 원소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Md30 값을 저하시켜 SFE를 상승시키고 가공성을 개선하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본 발명의 고Mn 스텐레스강의 내식성과 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Mo의 하한은 0.3% 이상으로 한다. 그러나, Mo은 과잉으로 포함되면 δ페라이트의 생성에 의하여 자성이 발현하고, 고용 강화에 의하여 강도가 상승한다. 그 때문에, Mo의 상한은 3% 이하로 한다.
?REM: 0.001 내지 0.2%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원소이며, 열간 가공성 및 내산화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가진다. 이들 작용을 얻기 위하여는 0.001% 이상 첨가한다. 그러나, REM 첨가에 의한 효과는 0.2%에서 포화하고, 0.2% 이상 첨가하여도 강재가 경질화되어 가공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한은 0.2%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표 1의 화학 조성을 가지는 스텐레스강을 용제하고, 가열 온도 1200℃의 열간 압연에 의하여 판 두께 4.0mm의 열연 강판을 제조하였다. 열연 강판을 1120℃에서, 균열 시간 2분으로 소둔하고, 산세 후에 판 두께 1.5mm까지 냉간 압연하고, 또한 1060℃, 균열 시간 2분의 중간 소둔을 실시하여, 산세 후, 판 두께 0.7mm의 냉연 강판으로 하고, 최종 소둔을 1060℃, 균열 시간 1분으로 실시하였다(소둔 산세재). 중간 소둔 산세재를 판 두께 0.6mm까지 냉간 압연함으로써 60% 냉간 압연재를 얻었다.
소둔 산세재로부터 JIS13B 인장 시험편을 잘라내고, 인장 시험에 의하여 0.2% 내력, 인장 강도, 연신율, 가공 경화 지수 n을 측정하였다. 가공 경화 지수 n은 공칭 변형률 25%와 35%에 상당하는 진변형 ε25, ε35에 있어서의 진응력 δ25, δ35를 구하고 다음 식에 따라 가공 경화 지수 n 값을 산출하였다.
n 값 = ln(ε3525)/ln(δ3525)
소둔 산세재로부터, φ96mm 원반(블랭크)을 잘라내고, 펀치 지름 φ48→φ44→φ40→φ35→φ30mm의 5단 원통 디프드로잉 시험에 의하여 시기 균열 한계 드로잉비(블랭크계/펀치 지름)를 조사하였다.
60% 냉간 압연재로부터 시험편을 잘라내고, 자화에 의한 인력을 자기 천칭에 의하여 인가 자장-자화 곡선 상에서 자장 5000gauβ에 있어서의 기울기를 측정함으로써 투자율을 구하였다.
소둔 산세재의 0.2% 내력, 인장 강도, 연신율 n 값 및 60% 냉간 압연재의 투자율(μ)을 표 2에 나타낸다. 강 No.1 내지 6은 본 발명에서 규정한 고Mn 스텐레스강의 성분 설계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304와 동등한 0.2% 내력이 30OMPa 미만, 연신율이 50% 이상인 기계적 성질을 가지고, 가공 경화 지수 n이 0.3 내지 0.45인 304 미만에서 가공 경화가 작고, 60% 냉간 압연재의 투자율(μ)이 1.05 이하의 비자성이었다. 또한 본 강은 다단 디프드로잉 성형에 의하여 시기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시기 균열 한계 수축비는 3.2 이상인 SUS 304를 크게 웃도는 값이 얻어졌다. 강 No.7 내지 14는 C+N 양이나 Md30 값과 SFE의 모두 또는 어느 하나가 본 발명의 규정하는 조건으로부터 벗어나 있었기 때문에,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강재의 가공성과 비자성을 얻을 수 없었다. 강 No.15는 가공성이 비교가 되는 SUS304이다. 강 No.16 내지 29는 본 발명이 규정하는 성분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것이고, 목표로 하는 강재의 가공성과 비자성을 얻을 수 없었던 것이다.
0.2% 내력과 성분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아래 식에서 나타내는 회귀식이 얻어지고 C+N 양의 저감에 의하여 0.2% 내력을 300MPa 미만으로 연질화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0.2%내력 [N/mm2] = 875 * (C+N) + 3.87Mn - 1.48Ni - 3.53Cu + 8.58Cr + 19.7.
강재의 연신율과 투자율에 미치는 오스테나이트 안정도 지표 Md30 값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Md30<30으로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연신율: 50% 이상, μ:1.05 이하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적층 결함 에너지의 생성 지표 SFE와 가공 경화 지수 n과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0<SFE<80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n값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1057792938-pct00006
본 발명의 고Mn 스텐레스강은 종래의 고Mn 스텐레스강에서는 이룰 수 없었던 성형 가공이 가능하고, SUS304로 대표되는 Ni계 스텐레스강이 사용되는 프레스 성형 용도에 사용된다. 특히, SUS304으로 시기 균열이 문제가 되는 다공정에 미치는 디프드로잉 성형 용도에 최적이다. 또한, SUS304를 가공한 후에 비자성화하기 위한 소둔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비자성이 요구되는 성형 가공용 재료로서 광범위한 분야에서 적용 가능하다.

Claims (3)

  1. 질량%로, C+N: 0.03 내지 0.15%(N의 함유량은 C의 함유량보다 낮다), Si: 0.1 내지 1%, Mn: 5.2 내지 15%, Cr: 10 내지 16%, Ni: 1 내지 6%, Cu: 0.3 내지 3%, Mo: 0.3 내지 3%,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오스테나이트 안정도의 지표 Md30 값과 적층 결함 에너지의 생성 지표 SFE가 아래 식을 만족하며, 가공 후에도 비자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Mn 스텐레스강.
    -10 < Md30 < 30, 40 < SFE < 80
    Md30(℃): 497-462(C+N) - 9.2Si - 8.1Mn - 13.7Cr - 20(Ni+Cu) - 18.5Mo
    SFE(mJ/m2): 6.2Ni + 18.6Cu + 0.7Cr + 3.2Mn + 9.3Mo - 53
  2. 제1항에 있어서, 질량%로, REM을 0.001 내지 0.2%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Mn 스텐레스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0.2% 내력이 300MPa 미만, 공칭 변형률 25%와 35%의 구배인 가공 경화 지수 n이 0.30 내지 0.45, 연신율이 50% 이상인 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Mn 스텐레스강.
KR1020057021573A 2003-11-07 2004-10-22 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Mn 스텐레스강 KR101177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8635 2003-11-07
JPJP-P-2003-00378635 2003-11-07
JP2004218508A JP4498847B2 (ja) 2003-11-07 2004-07-27 加工性に優れたオ−ステナイト系高Mnステンレス鋼
JPJP-P-2004-00218508 2004-07-27
PCT/JP2004/016057 WO2005045082A1 (ja) 2003-11-07 2004-10-22 加工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高Mnステンレス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388A KR20060099388A (ko) 2006-09-19
KR101177540B1 true KR101177540B1 (ko) 2012-08-28

Family

ID=3457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573A KR101177540B1 (ko) 2003-11-07 2004-10-22 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Mn 스텐레스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98847B2 (ko)
KR (1) KR101177540B1 (ko)
TW (1) TWI268960B (ko)
WO (1) WO20050450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7127B2 (en) 2005-06-27 2014-01-28 Kennametal Inc. Composite article with coolant channels and tool fabrication method
US7687156B2 (en) 2005-08-18 2010-03-30 Tdy Industries, Inc. Composite cutting inser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4907151B2 (ja) * 2005-11-01 2012-03-28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高圧水素ガス用オ−ステナイト系高Mnステンレス鋼
KR100720279B1 (ko) 2005-12-23 2007-05-22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가공성이 개선된 구리 첨가 고망간,고질소 함유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JP4606337B2 (ja) * 2006-01-30 2011-01-05 日本金属工業株式会社 コイン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綱およびその綱で製造されたコイン
ATE512278T1 (de) 2006-04-27 2011-06-15 Tdy Ind Inc Modulare erdbohrmeissel mit fixiertem schneider und modulare erdbohrmeisselkörper mit fixiertem schneider
JP2008038191A (ja) * 2006-08-04 2008-02-21 Nippon Metal Ind Co Ltd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とその製造方法
MX2009003114A (es) 2006-10-25 2009-06-08 Tdy Ind Inc Articulos que tienen resistencia mejorada al agrietamiento termico.
KR100894679B1 (ko) * 2007-06-19 2009-04-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스테나이트 내침식 철계 합금
JP5014915B2 (ja) 2007-08-09 2012-08-29 日新製鋼株式会社 Ni節減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RU2458178C2 (ru) 2007-11-29 2012-08-10 ЭйТиАй ПРОПЕРТИЗ, ИНК. Экономнолегированная аустенитная нержавеющая сталь
US8337749B2 (en) 2007-12-20 2012-12-25 Ati Properties, Inc. Le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MX2010005668A (es) 2007-12-20 2010-06-03 Ati Properties Inc Acero inoxidable austenitico delgado resistente a la corrosion.
DK2245202T3 (da) 2007-12-20 2011-12-19 Ati Properties Inc Austenitisk rustfrit stål med lavt nikkelindhold indeholdende stabiliserende grundstoffer
TW200942628A (en) * 2008-04-08 2009-10-16 Walsin Lihwa Corp Low nickel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low magnetism, corrosion resistance and easy-to-process
US8790439B2 (en) 2008-06-02 2014-07-29 Kennametal Inc. Composite sintered powder metal articles
CN102112642B (zh) 2008-06-02 2013-11-06 Tdy工业有限责任公司 烧结碳化物-金属合金复合物
US8322465B2 (en) 2008-08-22 2012-12-04 TDY Industries, LLC Earth-boring bit parts including hybrid cemented carbid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8025112B2 (en) 2008-08-22 2011-09-27 Tdy Industries, Inc. Earth-boring bits and other parts including cemented carbide
SE533635C2 (sv) 2009-01-30 2010-11-16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ustenitisk rostfri stållegering med låg nickelhalt, samt artikel därav
JP5444561B2 (ja) 2009-02-27 2014-03-19 日本冶金工業株式会社 高Mn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と服飾用金属部品
US8272816B2 (en) 2009-05-12 2012-09-25 TDY Industries, LLC Composite cemented carbide rotary cutting tools and rotary cutting tool blanks
US8308096B2 (en) 2009-07-14 2012-11-13 TDY Industries, LLC Reinforced rol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440314B2 (en) 2009-08-25 2013-05-14 TDY Industries, LLC Coated cutting tools having a platinum group metal concentration gradient and related processes
WO2011027847A1 (ja) * 2009-09-02 2011-03-10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省Ni型ステンレス鋼
US9643236B2 (en) 2009-11-11 2017-05-09 Landis Solutions Llc Thread rolling die and method of making same
FI125442B (fi) * 2010-05-06 2015-10-15 Outokumpu Oy Matalanikkelinen austeniittinen ruostumaton teräs ja teräksen käyttö
EP2623624B1 (en) * 2010-09-29 2016-08-17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oration Austenite high-manganese stainless steel,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member using said steel
US8800848B2 (en) 2011-08-31 2014-08-12 Kennametal Inc. Methods of forming wear resistant layers on metallic surfaces
US9016406B2 (en) 2011-09-22 2015-04-28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s for earth-boring bits
JP5794945B2 (ja) * 2012-03-30 2015-10-14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熱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EP2813906A1 (fr) * 2013-06-12 2014-12-17 Nivarox-FAR S.A. Pièce pour mouvement d'horlogerie
EP3239344B1 (en) * 2014-12-26 2021-10-20 Posco Method for producing a lean duplex stainless steel
ES2848386T3 (es) 2015-03-06 2021-08-09 Nippon Steel & Sumikin Sst Acero inoxidable austenítico de alta resistencia que tiene excelentes características de resistencia a la fragilización por hidrógeno y método para producirlo
US11149324B2 (en) 2015-03-26 2021-10-19 Nippon Steel Stainless Steel Corporation High strength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resistance to hydrogen embrittl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hydrogen equipment used for high-pressure hydrogen gas and liquid hydrogen environment
KR102173302B1 (ko) * 2018-11-12 2020-11-03 주식회사 포스코 비자성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491305B1 (ko) * 2020-11-18 2023-01-20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가 향상된 비자성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9414A (en) * 1976-04-01 1977-10-06 Nippon Steel Corp Nickel saving type stainless steel having high stretchability
JPH06271995A (ja) * 1993-03-19 1994-09-27 Nippon Steel Corp 低クロム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H07145452A (ja) * 1993-11-19 1995-06-06 Nippon Steel Corp 溶接性に優れた強靭高耐銹性ステンレス鋼
JP4207137B2 (ja) * 1998-02-16 2009-01-14 日立金属株式会社 高硬度高耐食ステンレス鋼
FR2780735B1 (fr) * 1998-07-02 2001-06-22 Usinor Acier inoxydable austenitique comportant une basse teneur en nickel et resistant a la corrosion
JP4178670B2 (ja) * 1999-06-28 2008-1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マンガン合金鋼と軸、ネジ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54890A (ja) 2005-06-16
JP4498847B2 (ja) 2010-07-07
TW200521251A (en) 2005-07-01
TWI268960B (en) 2006-12-21
KR20060099388A (ko) 2006-09-19
WO2005045082A1 (ja) 200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540B1 (ko) 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Mn 스텐레스강
KR102464899B1 (ko) 석출 경화 강(precipitation hardening steel) 및 그의 제조
JP5308726B2 (ja) 微細粒組織を有するプレス成形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71614A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극후물 내마모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06946B1 (ko) 고강도 스테인리스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JP5347600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EP3330398B1 (en) Steel pipe for line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4327030B2 (ja) 張出し性と耐発銹性に優れた低Niオ−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WO2020128725A1 (en) Hot rolled and stee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5600502B2 (ja) ボルト用鋼、ボルトおよびボルトの製造方法
JP5977609B2 (ja) 省Ni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018178144A (ja) 優れた熱間加工性を有する析出硬化型ステンレス鋼
JP2009228051A (ja) 非調質鋼材の製造方法
JP2018003139A (ja) ステンレス鋼
JP2014189800A (ja) 低Niオ−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鋼板を加工した加工品
KR101844573B1 (ko)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JP3939568B2 (ja) 加工性に優れた非磁性ステンレス鋼
JP6111109B2 (ja) 時効硬化特性に優れた低Ni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0372961C (zh) 加工性优异的奥氏体系高Mn不锈钢
KR101279051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2160594A1 (ja) ばね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ばね用ステンレス加工材
KR101668533B1 (ko) 표면 품질이 우수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JP3204080B2 (ja) 冷鍛性に優れた析出硬化型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RU2778468C1 (ru) Горячекатаная сталь и способ её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230287549A1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deep draw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