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290B1 - 박막 백의 제조 및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백의 제조 및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290B1
KR101177290B1 KR1020087015280A KR20087015280A KR101177290B1 KR 101177290 B1 KR101177290 B1 KR 101177290B1 KR 1020087015280 A KR1020087015280 A KR 1020087015280A KR 20087015280 A KR20087015280 A KR 20087015280A KR 101177290 B1 KR101177290 B1 KR 101177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ilm bag
filling
peeling
su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2064A (ko
Inventor
프랑크 드레징
프리드리흐 무트
볼프강 바그너
Original Assignee
플뤼멧 플레이트 앤 뤼벡 게엠베하 앤 코퍼레이션
누트리켐 디에트 + 파르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뤼멧 플레이트 앤 뤼벡 게엠베하 앤 코퍼레이션, 누트리켐 디에트 + 파르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플뤼멧 플레이트 앤 뤼벡 게엠베하 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72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A61J11/0095Seal rupt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5Non-rigid or collapsible feeding-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1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king package-opening or unpack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50/00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sheets or blanks, e.g. from flattened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50/00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sheets or blanks, e.g. from flattened tubes
    • B31B2150/002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sheets or blanks, e.g. from flattened tubes by joining superimposed sheets, e.g. with separate bottom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60/0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60/2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with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70/84Forming or attaching means for filling or dispensing contents, e.g. valves or spouts
    • B31B70/844Applying rigid valves, spouts, or filling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Bag Fram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 백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의 경우 세 개의 측면에서, 즉 하나의 바닥면(12)과 두 측면 모서리(13, 14)에서 폐쇄된 무균 백 블랭크는 전면(24) 및 후면(25)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존재하는 충전 공간(17)과, 아직 개방되어 있는 외측 모서리(15)를 구비하며, 백 블랭크의 전면(24) 및 후면(25)을 연결하는 필링 봉합부(16)는 무균 조건하에 형성되고, 상기 필링 봉합부는 제1 측면 모서리(13)로부터 아직 개방된 외측 모서리(15) 방향으로 안내됨으로써, 충전 공간(17)을 위한 개구가 외측 모서리(15)의 종방향 연장에 대해 단축되고 필링 봉합부(16)에 의해 충전 공간(17)으로부터 분리된 외측 구간(18)이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충전 공간(17)은 무균 조건하에 물질로 충전되고 필링 봉합부(16)와 제2 측면 모서리(14) 사이의 헤드 봉합부(19)를 통해 확고하게 폐쇄되며, 배출 장치(20)는 외측 구간(18)에서 고정됨으로써, 물질은 필링 봉합부(16)의 개방에 따라 충전 공간(17)으로부터 배출부(20)에 도달하고 배출부를 통해 박막 백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Description

박막 백의 제조 및 충전 방법{Method of Producing and Filling a Sheet-Material Bag}
본 발명은 박막 백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박막 백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소화관 내에 영양분을 투여하기 위해 박막 백 내에 배출 장치를 고정시키는 것은 박막 백 자체를 무균 조건하에 충전시키는 방식과 같이 통상적인 방식으로 실행된다. 한편, 이를 위해 필요한 장치에 드는 비용은 상당히 높으며 처리 과정도 매우 복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 장치가 실질적으로 더욱 간단한 방식으로 박막 백에 또는 박막 백 내에 고정될 수 있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박막 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에 따른 제조 방법 및 제12항의 특징에 따른 박막 백에 의해 달성된다.
박막 백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세 개의 측면에서, 즉 하나의 바닥면 및 두 측면 모서리에서 폐쇄된 무균 백 블랭크는 전면 및 후면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존재하는 충전 공간과, 하나의 아직 개방된 외측 모서리를 구비하며, 백 블랭크의 전면 및 후면을 연결하는 필링 봉합부(peeling seam)는 무균 조건하에 형성되고, 상기 필링 봉합부는 제1 측면 모서리로부터 아직 개방된 외측 모서리 방향으로 안내됨으로써, 충전 공간을 위한 개구가 박막 백의 최대 폭에 대해 단축되고 필링 봉합부에 의해 충전 공간으로부터 분리된 외측 구간이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충전 공간은 무균 조건하에 물질로 충전되고 필링 봉합부와 제2 측면 모서리 사이의 헤드 봉합부를 통해 확고하게 폐쇄되며, 배출 장치는 외측 구간에서 고정됨으로써, 물질은 필링 봉합부의 개방에 따라 충전 공간으로부터 배출부에 도달하고 배출부를 통해 박막 백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치에 의해, 즉 무균 영역을 무균이 아닌 영역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필링 봉합부가 제공됨으로써, 특히 배출 장치의 배출측 단부에서 절대적인 세균 차단 효과가 더 이상 필수적으로 요구되지 않게 된다. 오히려, 바람직하게 최초의 개방을 표시하기 위한 개방 실링(예를 들어 링 풀(ring-pull))을 구비한 간단한 차단 마개로서 이미 충분할 수 있다. 또한, 상응하게 배출 장치는 가능한 한 완전한 세균 차단 및/또는 기체 차단을 보장하는 하나의 재료로 제조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본 발명에 따른 조치에 의해, 배출 장치를 위한 훨씬 다양한 재료들이 -차단에 자유로운 재료들도- 배출 장치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초하는 착안점에 따르면, 배출 장치는 필링 봉합부에 의해 박막 백의 충전 공간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무균 조건하의 충전 공간의 제조 및 충전, 필링 봉합부의 대면하여 위치하는 측면에 대한 배출 장치의 고정이 더 이상 강제적으로 무균 조건하에 이루어질 필요가 없게 된다.
무균 조건하에서의 주변 상태는, 멸균 충전 제품, 본원에서는 멸균 물질이 포장 기기에서 사전 멸균되거나 포장 기기에서 세균 없이 제조된 박막 백 내에 재오염 없이 포장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 박막 백 및/또는 기기 내부 공간에 대한 10의 4제곱의 세균 감소는 유닛 페이퍼 VDMA 8742에 따라 달성된다.
따라서, 박막 백에 배출 장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고정시키기 위한 공구는 더 이상 무균 조건하의 작동으로 설계될 필요가 없다. 배출 장치를 박막 백에 또는 박막 백 내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조치를 이용하여, 즉 무균 영역과 무균이 아닌 영역 사이의 분리를 규정하는 필링 봉합부의 제공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설계에 따라, 더 이상 무균 조건이 아닌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클린실(clean room)에서 외측 구간에 배출 장치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출 장치는 박막 백의 외측 구간에 용접된다. 용접은 특히 지속적이면서 동시에 저렴한 비용의 고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출 장치의 고정 이전 또는 이후에 외측 구간의 일부분은 제거되며, 특히 절삭된다. 가능한 구조에서, 배출 장치는 필링 봉합부와 배출 장치의 사이에 전방 공간이 유지되도록 외측 구간에 고정된다. 이러한 전방 공간은 추가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해, 인디케이터(indicator)의 제공을 위해 유동 기술상의 목적으로 인해 또는 다른 고려 사항으로 인해 적합하게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멸균에 의해 무균 백 블랭크가 제공된다.
가능한 과정에 따라, 멸균은 감마선 방사의 작용하에 이루어진다. 다른 대안적인 과정에서는, 예를 들어 욕(bath) 내에 또는 증기에 의해 HO를 사용하는 멸균이 이루어진다. 또한, 다른 멸균 방법은 수증기의 사용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백 블랭크는 원래의 위치에서 멸균될 수 있으며, 박막으로서 또는 원래의 위치에서 사전에 제조되거나 다르게 제조된 백 블랭크로서 멸균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백 블랭크는 이미 멸균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필링 봉합부를 생성하는 단계와, 물질은 충전하는 단계와, 배출 구간에 배출 장치를 고정하는 단계는 직렬형 프로세스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직렬형 프로세스라 함은, 백이 기기로부터 제거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또는 중단 없이 진행되는 과정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멸균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들은 프로세스 과정에 집중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박막 백은 사람 또는 동물의 기관에 물질을 투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물질은 소화관 내 투여 영향제, 운동 선수 영양제, 식이 요법 음식, 점액 또는 약물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되고 특허 청구되는 박막 백은, 무균 조건하에 충전되는 충전 공간을 배출 장치로부터 분리시키는 필링 봉합부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출 장치는 무균이 아닌 조건하에,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클린실에서 박막 백에 고정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기본 사상에 따르면, 박막 백에 존재하는 필링 봉합부는 무균 영역을 무균이 아닌 영역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필링 봉합부와 배출 장치 사이에는 전방 공간이 제공된다. 전방 공간에는, 예를 들어 소화관 내 투여 영양제를 위해 제공되는 제1 물질과의 혼합을 위해 그리고/또는 인디케이터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2 물질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소화관 내 영양분 투여를 위한 물질의 상태 또는 상태의 변경을 표시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공간의 용적은 충전 공간에 비해 명백히 작으며, 특히 50배 이상 작으며, 물질의 배출 유동 방향과 관련하여 협소하게 설정됨으로써, 필링 봉합부의 개방 시에 소화관 내 영양분 투여를 위한 물질은 배출 장치에 신속하게 도달하여 배출 속도에 있어서 단지 배출 장치 자체에 의해서만 그리고 가능한 후속되는 유동 장애에 의해 한정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추가의 특징 및 장점과 관련하여 실시예의 설명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백의 제1 실시예의 원리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따른 박막 백의 대안 실시예의 원리도이다.
도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백의 제1 실시예가 기본적인 원리도로서 도시된다. 박막 백(11)은 H2O2-욕에서 멸균된 박막으로부터 제조된다. 박막은 바람직하게 개별층들의 결합체이다. 예를 들면,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외부 층과,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배리어(barrier)를 지지하는 중간층과,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내부 층으로 구성된다. 다른 구성예에서, 폴리에스테르는 이미 AlOx 또는 SiOx의 형태로 배리어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다. 후자에 언급된 구성의 경우에는 투명한 결합체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유형의 결합체는 기계적 안정성을 위해, 예를 들어 oPP 또는 oPA와 같은 다른 층을 갖는다.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 우선 박막의 면 경로를 -공지된 바와 같이- W 형태로 접는다. 그러면, 서로 이격되어 진행되는 평행한 측면 모서리(13, 14)가 형성되며, 이러한 경우 중첩된 박막의 면 경로는 측면 모서리(13, 14)를 따라 용접된다. 고정 봉합을 달성하기 위해, 밀봉 층으로서 폴리에틸렌의 경우 120℃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다.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고정 봉합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160℃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다. 언급된 두 개의 밀봉 층들은 초음파에 의해서도 용접될 수 있다.
바닥면(1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측면에서는 박막 백(11)이 외측 모서리(15)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외측 모서리에서 박막 백(11)은 아직 개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무균 조건하에 제1 측면 모서리(13)로부터 시작되는 필링 봉합 부(16)는 외측 모서리(15)에로 안내되며, 이러한 경우 필링 봉합부(16)는 제1 측면 모서리(13)-외측 모서리(15)가 교차점에 의해 사전 결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거리는 구체적으로 백의 크기가 250 mm × 170 mm인 경우, 예를 들어 25 mm일 수 있다. 필링 봉합부는 폴리에틸렌 박막의 경우 105℃ 내지 115℃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108℃ 내지 110℃의 온도에서 생성된다. 마찬가지로 초음파를 사용하거나 가열과 초음파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필링 봉합부(16)와 바닥면(12) 사이에 존재하는 박막 백의 내부 공간은 무균 조건하에 제조된 충전 공간(17)을 규정한다. 필링 봉합부(16)에 의해 분리되고 충전 공간(17)을 향하지 않는 박막 백의 영역은 외측 구간(18)으로서 규정되며, 이러한 외측 구간에서는 더 이상 무균이 아닌 조건하에 배출 장치(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항상 무균 조건하에 충전 공간(17)은 소화관 내 영양분 투여를 위한 물질로 충전되고 헤드 봉합부(19)를 통해 사실상 기밀 폐쇄된다.
외측 구간(18)에서는 이제 더 이상 무균이 아닌 조건하에, 예를 들어 클린실에서 이미 언급된 배출 장치(2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배출 장치(20)는, 박막 백(11)의 전면(24)과 후면(25)에 의해 한정된 전방 공간(21)이 유지되도록 필링 봉합부(16)로부터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충전 공간(17)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전방 공간(21) 내에는, 충전 공간(17) 내에 수용된 물질의 소화관 내 영양분 투여의 경우 혼합되어야 하는 물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방 공간(21)에 인디케이터가 제공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는데, 상기 인디케이터는 투여하는 동안 또는 투여 직전에 충전 공간(17)으로부터 소화관 내 영양분 투여를 위해 유출될 물질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배출 장치(20)는 구체적으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박막 백(11)을 향해 확대된 베이스 구간(26)뿐 아니라 이로부터 시작되어 외측 직경이 더 좁은 니플(27)을 포함하며, 상기 니플은 차단 마개(28)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베이스 구간(26) 및 니플(27)은 소화관 내 영양분 투여를 위한 물질을 박막 백(11)으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는 관통 채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배출 장치(20)는 박막 백(11)의 전면(24)과 후면(25) 사이에서 직접 베이스 구간(26)에 고정 봉합부(23)에 의해 용접되며, 고정 봉합부(23)는 배출 장치(20) 이외에 박막 백(11)의 전면(24)과 후면(25) 사이에 각각 하나의 직접적인 연결을 규정한다. 그 사이에 배출 장치(20)의 베이스 구간(26)은 박막 백(11)의 전면(24)과 후면(25) 사이에서 액체 밀폐식으로 수용되며, 또한 이러한 구간에서 전면(24)과 베이스 구간(26) 사이에, 또는 후면(25)과 베이스 구간(26) 사이에 용접 연결 또는 접착 연결이 발생한다.
도2에는 박막 백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바닥면(12)과 측면 모서리(13, 14)는 도1에서와 같이 무균 조건하에 제조된다. 그러면, 가늘어지는 부분(22)을 포함하고 배출 장치(20)의 밀봉을 위해 고정 봉합부(23)의 반대편에 무균이 아닌 외측 구간(18)에서 전방 공간(21)을 규정하는 필링 봉합부(16)가 형성된다. 가늘어지는 부분(22)은 필링 봉합부(16)가 사전 결정된 압력의 작용하에 가늘어지는 부분(22)으로부터 시작되는 두 개의 방향으로 개방되어 전방 공간(21)과의 유체 연결 을 개시하도록 작용한다.
도2에 따른 실시예에서, 배출 장치(20)는 베이스 구간(26)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직경이 사실상 일정한 니플(27) 및 차단 마개(28)를 포함하여, 상기 니플(27)을 단부에서 차폐시킨다. 이러한 경우 니플(27)은 직접 고정 봉합부(23) 내에 용접된다.
필링 봉합은, 예를 들어 독일 특허 제44 47 626호에 의해 제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필링 봉합부는 두 개의 박막 구간 사이의 용접 봉합부로서, 기계적 작용에 의해, 구체적으로는 소화관 내 영양분 투여를 위한 물질에 사전 결정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봉합부이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전방 공간(21)은 소화관 내 영양분 투여를 위한 물질의 투여 전에 필링 봉합부(16)가 하자 없이 완전한지 또는 원치 않는 높은 기계적 작용에 의해 필링 봉합부(16)가 예를 들어 운송 도중 잘못 취급되어 터지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통제하는 데 적합하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박막 백
12 바닥부
13, 14 측면 모서리
15 외측 모서리
16 필링 봉합부
17 충전 공간
18 외측 구간
19 헤드 봉합부
20 배출 장치
21 전방 공간
22 가늘어지는 부분
23 고정 봉합부
24 전면
25 후면
26 베이스 구간
27 니플
28 차단 마개

Claims (14)

  1. 박막 백의 제조 방법으로서,
    세 개의 측면에서, 즉 하나의 바닥면(12)과 두 측면 모서리(13, 14)에서 폐쇄된 무균 백 블랭크는 전면(24) 및 후면(25)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존재하는 충전 공간(17)과, 아직 개방되어 있는 외측 모서리(15)를 구비하며,
    백 블랭크의 전면(24) 및 후면(25)을 연결하는 필링 봉합부(16)는 무균 조건하에 형성되고, 상기 필링 봉합부는 제1 측면 모서리(13)로부터 아직 개방되어 있는 외측 모서리(15) 방향으로 안내됨으로써, 충전 공간(17)을 위한 개구가 박막 백의 최대 폭에 대해 단축되고 필링 봉합부(16)에 의해 충전 공간(17)으로부터 분리된 외측 구간(18)이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충전 공간(17)은 무균 조건하에 물질로 충전되고 필링 봉합부(16)와 제2 측면 모서리(14) 사이의 헤드 봉합부(19)를 통해 확고하게 폐쇄되며,
    배출 장치(20)는 외측 구간(18)에서 고정됨으로써, 물질은 필링 봉합부(16)의 개방에 따라 충전 공간(17)으로부터 배출부(20)에 도달하여 배출부를 통해 박막 백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박막 백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배출 장치(20)는 무균 여부의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클린실에서 외측 구간(18)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백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배출 장치(20)는 외측 구간(18)과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백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외측 구간(18)의 일부분은 배출 장치(20)의 고정 이전 또는 이후에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백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필링 봉합부(16)와 배출 장치(20) 사이에 전방 공간(21)이 잔류하도록 배출 장치(20)가 외측 구간(18)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백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무균 백 블랭크의 제조는 무균 박막의 면 경로로부터 원래의 위치에서 백 플랭크의 제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백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무균 백 블랭크의 제조는 멸균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백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멸균은 감마선 방사의 작용하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백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멸균은 H2O2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백의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필링 봉합부(16)를 생성하는 단계와, 물질로 충전하는 단계와, 외측 구간(18)에 배출 장치(20)를 고정하는 단계가 적어도 직렬형 프로세스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백의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사람 또는 동물의 기관에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박막 백의 제조 방법.
  12. 필링 봉합부(16)와, 무균 조건하에 충전되는 충전 공간(17)과, 필링 봉합부(16)에 의해 충전 공간(17)으로부터 분리된 배출 장치(20)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장치는 무균 여부의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클린실에서 박막 백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필링 봉합부(16)와 배출 장치(20) 사이에 제공되는 전방 공간(21)은 제2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물질은 소화관 내 영양분 투여를 위해 제공되는 제1 물질과의 혼합을 위해 인디케이터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백.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전방 공간(21)의 용적은 충전 공간(17)에 비해 적어도 50배 더 작으며, 물질의 배출 방향과 관련하여 좁게 측정됨으로써, 필링 봉합부(16)가 개방되는 경우 소화관 내 영양분 투여를 위한 물질은 배출 장치(20)에 신속하게 도달하고 물질의 배출 속도는 단지 배출 장치(20) 자체에 의해서만 그리고 후속되는 가능한 유동 방해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백.
KR1020087015280A 2005-11-25 2006-11-23 박막 백의 제조 및 충전 방법 KR101177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25784A EP1790569B1 (de) 2005-11-25 2005-11-25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Befüllung eines Folienbeutels
EP05025784.9 2005-11-25
PCT/EP2006/011257 WO2007059975A1 (de) 2005-11-25 2006-11-23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befüllung eines folienbeut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064A KR20080072064A (ko) 2008-08-05
KR101177290B1 true KR101177290B1 (ko) 2012-08-28

Family

ID=3607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280A KR101177290B1 (ko) 2005-11-25 2006-11-23 박막 백의 제조 및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790569B1 (ko)
JP (1) JP2009517239A (ko)
KR (1) KR101177290B1 (ko)
CN (1) CN101360650A (ko)
AT (1) ATE403602T1 (ko)
DE (1) DE502005004965D1 (ko)
ES (1) ES2313190T3 (ko)
PL (1) PL1790569T3 (ko)
WO (1) WO20070599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3101098U1 (de) 2012-02-02 2014-02-25 Laco Energy Systems Gmbh Reinigungsvorrichtung
US10329041B2 (en) * 2013-04-19 2019-06-25 Scholle Ipn Ip Bv System and method for the assembly and collection of non-filled spouted pouches
DE202014102819U1 (de) 2014-06-19 2014-06-26 Larco Energy Systems Gmbh Reinigungsvorrichtung
JP2017165447A (ja) * 2016-03-16 2017-09-21 オリヒ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フィルム包装袋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8960A1 (en) * 1996-05-13 2004-04-15 Smith Steven L. Flexible multi-compartment container with peelable seal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50194060A1 (en) 2004-03-03 2005-09-08 Vincent Houwaert Peelable seal closur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8972A (en) * 1978-04-17 1980-04-22 Pharmachem Corporation Blood and blood component storage bags
DE4447626C5 (de) 1994-03-29 2007-01-25 Fresenius Ag Medizinischer Mehrkammerbeutel
JP3016348B2 (ja) * 1995-03-23 2000-03-06 株式会社ニッショー 複室容器
DE19955578C1 (de) * 1999-11-18 2001-09-06 Fresenius Medical Care De Gmbh Mehrkammerbehälter, mit Glucosekonzentratkompartiment und Salzsäurekonzentratkomparti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8960A1 (en) * 1996-05-13 2004-04-15 Smith Steven L. Flexible multi-compartment container with peelable seal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50194060A1 (en) 2004-03-03 2005-09-08 Vincent Houwaert Peelable seal closur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0569A1 (de) 2007-05-30
ATE403602T1 (de) 2008-08-15
DE502005004965D1 (de) 2008-09-18
JP2009517239A (ja) 2009-04-30
ES2313190T3 (es) 2009-03-01
WO2007059975A1 (de) 2007-05-31
PL1790569T3 (pl) 2009-02-27
KR20080072064A (ko) 2008-08-05
EP1790569B1 (de) 2008-08-06
CN101360650A (zh)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4929A (en) Vacuum packaging bag and vacuum packaging method
HU191276B (en) Storing bag
US20210401668A1 (en) Food arrangement
KR101177290B1 (ko) 박막 백의 제조 및 충전 방법
RU2558829C2 (ru) Заполнение емкости
JP2008273631A (ja) 可撓性ポリマー容器中のアルブミン
JPH01240469A (ja) 内容物入り容器
WO2004047714A1 (en) Multiple-chamber medical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BR112013002716B1 (pt) Processo para produzir um recipiente
JP2002193275A (ja) 流動食用の注出口付きパウチ
MXPA05003130A (es) Metodo y aparato para producir un tubo fusionado sobre una bolsa y bolsa producida por este.
US20190077563A1 (en) Medical packaging with a packaging sleeve and outer vacuum packaging
BR112013002713B1 (pt) Processo para produzir um recipiente e recipiente
JP2005529036A (ja) 予充填アイスキューブバッグ
JP7238919B2 (ja) チャック付き包装袋の製造方法
JP4822860B2 (ja) 医療用複室容器
JPS6054068B2 (ja) 滅菌用袋
JP2005067730A (ja) 易開封型内容物入り複室容器の製造方法
JP2002165864A (ja) 複室容器の製造方法
JPH0910283A (ja) 易滅菌用接続部付医療用容器
JP2009119114A (ja) 薬剤容器、及び薬剤容器の製造方法
JP2007126216A (ja) 折込部を有する密封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0282A (ja) 易滅菌用接続部付医療用容器
US20080008403A1 (en) Aseptic package
JP2006052013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製複室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