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597B1 -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597B1
KR101176597B1 KR1020110020918A KR20110020918A KR101176597B1 KR 101176597 B1 KR101176597 B1 KR 101176597B1 KR 1020110020918 A KR1020110020918 A KR 1020110020918A KR 20110020918 A KR20110020918 A KR 20110020918A KR 101176597 B1 KR101176597 B1 KR 101176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guide plate
pattern forming
pattern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률
박종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성
Priority to KR1020110020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7/00Methods preventing fouling
    • B08B17/02Preventing deposition of fouling or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 B29C2043/461Rollers the rollers having specific surface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6Methods for cleaning the liquid crystal cells, or components thereof, during manufacture: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광판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함에 있어서 패턴형성 작업과 이동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 신속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도광판 마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잉크 마킹방식을 이용하여 도광판의 마킹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도광판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수단으로 구성된 인입장치; 상기 도광판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시키도록 외면에 전사판이 장착되며 상하부에 각기 배치된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 상기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를 가열시키는 가열수단, 상기 하부 패턴형성 로울러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조절수단, 상기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에 각기 연결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패턴형성장치; 상기 패턴형성장치로부터 패턴이 가공된 도광판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상기 도광판의 도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구성된 인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Light Guide Plate's pattern form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광판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함에 있어서 패턴형성 작업과 이동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 신속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광판은 백라이트 유니트의 휘도와 균일한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 내에서 빛을 액정에 인도하는 BLU안에 조립되어 있는 아크릴 사출물이다.
이러한 도광판은 냉음극 형광 램프(CCFL)에서 발산되는 빛을 액정 표시 장치 전체 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도록 표면에 일정 면적과 모양을 가진 패턴이 증착되고, 이 패턴을 통해 패널이나 백라이트 전 영역에 걸쳐 빛을 균일하게 분포시켜준다.
도광판에 패턴을 증착시키는 방법에는 잉크 마킹과 레이저 마킹이 사용되며 최근에는 유지관리 및 편리성으로 인해 레이저 마킹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레이저 마킹과 관련된 선행 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09583호의 「레이저 패턴 가공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 특허는 도광판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레이저 패턴 가공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발진기와, 레이저발진기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패턴의 형성이 필요한 도광판이 장착되는 스테이지와, 레이저발진기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빔을 특정주파수를 가진 RF 신호의 인가여부에 따라 회절시킴으로써 레이저 빔의 진로를 전환시켜서 도광판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이 온(on)/오프(off)되도록 하여 도광판에 원하는 패턴을 형성시키는 모듈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레이저빔을 이용한 패턴 가공장치는 패턴을 형성하는 작업이 느려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면서도 작업효율도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잉크 마킹방식을 이용하여 넓은 면적에 대해 마킹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도광판의 인입시 정확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도광판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패턴형성 로울러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어 도광판의 두께 변화 및 불균일한 두께 편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여 불량 발생률을 현저히 감소시켜 양질의 패턴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 마킹방식을 이용하여 도광판에 패턴 마킹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도광판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수단으로 구성된 인입장치; 상기 도광판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전사판이 외면에 장착되며 상하부에 각기 배치된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 상기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를 가열시키는 가열수단, 상기 하부 패턴형성 로울러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조절수단, 상기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에 각기 연결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패턴형성장치; 상기 패턴형성장치로부터 패턴이 가공된 도광판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상기 도광판의 도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구성된 인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조절수단은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의 좌우 간극을 각기 제어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의 회전속도를 각기 다른 속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입장치의 이송수단은 수평상태로 장착된 다수의 회전축; 상기 다수의 회전축의 일단에 각기 결합된 다수의 이송롤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장치에는 도광판을 상승시켜 상기 두께측정수단에 접촉되도록 하여 두께를 측정하도록 승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도광판이 안착되는 지지판재와, 상기 지지판재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장치에는 상기 도광판이 직진성을 갖고 이동될 수 있도록 도광판의 측면에 지지되는 가이드롤이 다수로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롤의 위치를 조정하여 도광판이 직진되도록 하는 센터조절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센터조절수단은 가이드롤의 축을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구동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장치를 측방으로 이동시켜 패턴형성장치와 분리될 수 있도록 제1횡이동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제1횡이동장치는 상기 패턴형성장치의 전면에 부착된 지지판에 수평 형성되며 인입장치의 전단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레일;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며 인입장치의 전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에 장착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턴형성장치의 간극조절수단은 하부 패턴형성 로울러의 축의 양측에 각기 장착된 제1 및 제2결합부; 상기 제 1 및 제 2결합부가 결합되어 승강작동되도록 패턴형성장치의 기대의 양측에 수직되게 각기 형성된 가이드; 상기 제1 및 제 2결합부의 하부에 수직되게 결합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켜 승강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승강모터로 구성된 제 1 및 제 2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 마킹방식을 이용하여 넓은 면적에 대해 마킹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도광판의 인입시 정확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도광판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패턴형성 로울러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어 도광판의 두께 변화 및 불균일한 두께 편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여 불량 발생률을 현저히 감소시켜 양질의 패턴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인입장치'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인입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인입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패턴형성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패턴형성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패턴형성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인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인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인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인입장치'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인입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인입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패턴형성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패턴형성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패턴형성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인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인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의 '인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A)는, 도광판(100)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15)과, 상기 도광판(100)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수단(2)으로 구성된 인입장치(1); 상기 도광판(100)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시키도록 외면에 전사판이 장착되며 상하부에 각기 배치된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와, 상기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를 가열시키는 가열수단(미도시)과, 상기 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의 높이를 조절하며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의 좌우 간극을 각기 제어하는 간극조절수단과, 상기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에 각기 연결되어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의 회전속도를 각기 다른 속도로 제어하는 구동수단(56)으로 구성된 패턴형성장치(5); 상기 패턴형성장치(5)로부터 패턴이 가공된 도광판(100)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과, 상기 도광판(100)의 도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76)으로 구성된 인출장치(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장치(1)는 평판상의 기대(11)와, 상기 기대(11)의 상부에 결합된 받침대(13)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13)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측벽(14)이 설치되고, 상기 측벽(14)들 사이에 이송수단(15)이 설치된다.
상기 이송수단(15)은 측벽(14)에 수평상태로 장착된 다수의 회전축(151); 상기 다수의 회전축(151)의 일단에 각기 결합된 다수의 이송롤러(152); 상기 회전축(151)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6)는 상기 회전축(151)의 타단에 장착된 제3기어(161); 상기 제3기어(161)와 결합되는 제4기어가 장착된 구동샤프트(162); 상기 구동샤프트(162)를 회전시키는 모터(163)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163)의 회전에 의해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152)가 동시에 회전되어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3기어(161)와 제4기어는 베벨기어가 바람직하며 서로 직각되게 맞물린다.
따라서 인입장치(1)의 입구측에 도광판(100)을 올려놓으면 이송수단(15)의 이송롤러(152)를 타고 수평상태로 이동되어 패턴형성장치(5)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3)는 기대(11)에 결합되며,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기대(11)의 상부에 가이더(131)가 부착되고, 상기 가이더(131)와 결합되는 레일(132)이 받침대(13)의 하부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이송수단(15)에 의해 이송되는 도광판(100)의 두께를 측정하여 두께가 균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두께측정수단(2)이 구비되고, 상기 인입장치(1)에는 도광판(100)을 상승시켜 이송수단(15) 보다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두께측정수단(2)에 근접되도록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승된 도광판(100)에 대해 두께측정수단(2)의 센서(21)가 접촉되어 두께를 측정한다.
즉 두께측정수단(2)을 구성하는 지지대의 좌우에 각기 구비된 복수의 센서(21)에 의해 도광판(100)의 좌우 특정된 지점의 두께를 측정하여 이를 비교 판단함으로써 두께의 균일 또는 불균일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제어부에 송신하면, 제어부에서 이를 비교 판단하여 패턴형성장치(5)의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의 간극을 조절하게 된다.
도광판(100)은 그 두께가 균일하게 제조되어야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좌우 두께가 불균일하게 제조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좌우 두께가 불균일한 도광판(100)은 패턴형성장치(5)의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 사이에 진입시 접촉되지 않는 부위가 생기게 되어 불량품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도광판(100)의 두께를 측정하여 좌우 편차가 있을 경우 이를 보정하기 위해 패턴형성장치(5)의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의 좌우 간극을 상이하게 조절함으로써 도광판(100)의 외면에 균일하게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가 접촉될 수 있어 균일한 패턴 형성이 가능해진다.
상기 승강수단은 도광판(100)이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판재(12)와, 상기 지지판재(12)를 승강시키는 실린더(122)로 구성되며, 인입장치(1)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상승된 도광판(100)에 접촉되어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수단(2)이 구비된다.
상기 인입장치(1)에는 상기 도광판(100)이 직진성을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도광판(100)의 측면에 지지되는 다수의 가이드롤(18)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18)의 위치를 조정하여 도광판(100)이 직진되도록 하기 위해 센터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센터조절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18)의 축(181)이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샤프트(137)와, 상기 샤프트(137)를 회전시키는 핸들(13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입장치(1)를 측방으로 이동시켜 패턴형성장치(5)와 분리될 수 있도록 제1횡이동장치(17)가 구비된다.
상기 제1횡이동장치(17)는 상기 패턴형성장치(5)의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는 지지판(171)과, 상기 지지판(171)의 전면에 수평상태로 형성되며 인입장치(1)의 전단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레일(172); 상기 지지판(171)에 결합되며 인입장치(1)의 전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이동축(174); 상기 이동축(174)에 장착되는 핸들(173)로 구성된다.
즉 인입장치(1)의 기대(11)의 전단에 형성된 레일홈을 갖는 부착구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172)과 결합시켜 조립되므로 레일(172)을 타고 이동이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기대(11)의 전단에 형성된 장착구가 이동축(174)에 결합되어 있어 이동축(174)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인입장치(1)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패턴형성장치(5)의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그 외면에 전사판(미도시)을 탈부착시키는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형성장치(5)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배치되는 기대(11)와, 이들 복수의 기대(11) 사이에 설치되는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와, 상기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는 원통형이며 외면에 전사판이 장착되고, 그 양단부에 각기 축이 형성된 것으로 상부 패턴형성 로울러(52)는 그 축이 기대(11)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는 그 축이 간극조절수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인입장치(1)를 통해 이송된 도광판(100)이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 사이에 끼인 상태로 통과되면서 가열된 전사판에 의해 도광판(100)의 표면에 패턴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광판(100)의 두께에 적합하도록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의 간극을 간극조절수단에 의해 조절하고, 특히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의 좌우 양측이 각기 상이한 간극으로 조절된다.
상기 간극조절수단은 상기 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의 축의 양측에 각기 장착된 제1 및 제2결합부(521,522)의 하부에 수직되게 결합된 스크류(541)와, 상기 스크류(541)를 회전시켜 승강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승강모터(163)로 구성된 제 1승강수단(53); 상기 제2결합부(522)의 하부에 수직되게 결합된 스크류(541)와, 상기 스크류(541)를 회전시켜 승강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승강모터(531)로 구성된 제 2승강수단(5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결합부(521,522)는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의 축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의 양측에는 복수의 브라켓(523)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결합부(521,522)는 기대(11)에 형성된 수직의 장홈(510)에 삽입되고, 상기 장홈(510)의 내부에 수직되게 형성된 가이드(512)에 브라켓(523)이 결합되어 승강작동이 안내된다.
상기 제 1 및 제 2결합부(521,52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완충장치(55)가 부착된다.
상기 완충장치(55)는 제2결합부(522)의 상부에 형성된 봉체와, 상기 봉체에 결합되어 장홈의 상부에 지지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수단(53,54)의 작동에 의해 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의 양측 끝단의 높이가 좌우 양측이 서로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즉 도광판(100)의 두께가 상이한 경우 이를 보정하여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의 양측 끝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보정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의 보정에 의해 도광판(100)이 편중되지 않고 직진성을 가지면서 통과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턴형성장치(5)의 구동수단(56)은 상부 패턴형성 로울러(52)와 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의 구동을 각기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각기 장착된다.
즉 상기 구동수단(56)은 상부 패턴형성 로울러(52)의 축에 장착된 제1기어(561-3), 상기 제1기어(561-3)에 치차 결합된 제2기어(561-2)가 장착된 제1구동모터(561-1)로 구성된 제1구동부(561); 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의 축에 장착된 제3기어(562-3), 상기 제3기어(562-3)에 치차 결합된 제4기어(562-2)가 장착된 제2구동모터(562-1)로 구성된 제2구동부(562)로 구성된다.
상기 제1기어(561-3) 및 제2기어(561-2)와 제 3기어(562-3) 및 제 4기어(562-2)의 치차 결합은 헬리컬 기어에 의한 결합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구동부(561) 및 제2구동부(562)의 개별적인 구동 제어에 의해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의 회전을 상이하게 제어함으로써 도광판(100)의 삽입 구동시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를 단일의 구동부로 동시에 회전시키면 회전량의 차이가 일어나게 되어 도광판(100)의 삽입 구동시 틀어짐이 발생된다.
이렇게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의 회전 차이가 일어나는 이유는 가열에 의해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의 직경이 변하게 되고 이러한 직경의 변화에 따라 도광판(100)의 삽입 구동시 틀어짐이 발생된다.
한편 도 1 및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장치(7)는 패턴형성장치(5)로부터 패턴이 가공된 도광판(100)을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평판상으로 된 베드(71)와, 상기 베드(71)의 상부에 결합된 플레이트(72) 및 상기 플레이트(72)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벽(73)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벽(73)들 사이에 장착된 배출수단, 상기 도광판(100)의 도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76)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수단은 수평상태로 장착된 다수의 회전축(74); 상기 다수의 회전축(74)의 일단에 각기 결합된 다수의 아이들롤러(75); 상기 회전축(74)을 회전시키는 구동부(77)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77)는 상기 회전축(74)의 타단에 장착된 풀리(773); 상기 풀리(773)와 결합되는 제4기어(774)이 장착된 구동샤프트(772); 상기 구동샤프트(772)를 회전시키는 모터(771)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77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다수의 아이들롤러(75)가 동시에 회전 구동됨으로써 도광판(100)을 안전하게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풀리(773)와 제4기어(774)는 외면에 형성된 치차끼리 맞물리며 베벨기어로 구성되어 직각방향으로 맞물린다.
한편 상기 인출장치(7)를 측방으로 이동시켜 패턴형성장치(5)와 분리될 수 있도록 제2횡이동장치(78)가 구비된다.
상기 제2횡이동장치(78)는 상기 패턴형성장치(5)의 프레임의 후면에 부착되는 지지판(781); 상기 지지판(781)의 전면에 수평상태로 형성되며 인출장치(7)의 전단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레일(782); 인출장치(7)의 베드(71)의 전단에 형성된 레일홈을 갖는 장착판(783)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인출장치(7)가 레일(782)을 타고 이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인출장치(7)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패턴형성장치(5)의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52,5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그 외면에 전사판을 탈부착시키는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수단(76)은 패턴 형성 작업을 마친 도광판(100)이 최종 출구에 도착되면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주어 취출시키도록 해준다.
상기 감지수단(76)은 인출장치(7)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도광판(100)의 도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도광판(100)이 출구측에 도달하면 감지수단(76)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최종 패턴형성작업이 완료되고 배출위치에 도달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작업자는 도착된 도광판(100)을 직접 손으로 운반하여 취출시키거나 또는 로봇 암을 이용하여 자동화공정으로 취출작업을 수행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인입장치 2 : 두께측정수단
5 : 패턴형성장치 7 : 인출부
15 : 이송수단 16 : 구동부
52,52' :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 56 : 구동수단

Claims (9)

  1. 잉크 마킹방식을 이용하여 도광판에 패턴 마킹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도광판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수단으로 구성된 인입장치;
    상기 도광판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전사판이 외면에 장착되며 상하부에 각기 배치된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 상기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를 가열시키는 가열수단, 상기 하부 패턴형성 로울러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조절수단, 상기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에 각기 연결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패턴형성장치;
    상기 패턴형성장치로부터 패턴이 가공된 도광판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상기 도광판의 도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구성된 인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조절수단은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의 좌우 간극을 각기 제어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하부 패턴형성 로울러의 회전속도를 각기 다른 속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장치의 이송수단은
    수평상태로 장착된 다수의 회전축;
    상기 다수의 회전축의 일단에 각기 결합된 다수의 이송롤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측정수단은 지지대의 좌우에 각기 구비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장치(1)에는 도광판(100)을 상승시켜 이송수단(15) 보다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두께측정수단(2)에 근접되도록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도광판이 안착되는 지지판재; 상기 지지판재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장치에는
    상기 도광판이 직진성을 갖고 이동될 수 있도록 도광판의 측면에 지지되는 가이드롤이 다수로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롤의 위치를 조정하여 도광판이 직진되도록 하는 센터조절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센터조절수단은
    가이드롤의 축을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구동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장치를 측방으로 이동시켜 패턴형성장치와 분리될 수 있도록 제1횡이동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제1횡이동장치는
    상기 패턴형성장치의 전면에 부착된 지지판에 수평 형성되며 인입장치의 전단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레일;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며 인입장치의 전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에 장착되는 핸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형성장치의 간극조절수단은
    하부 패턴형성 로울러의 양측에 각기 장착된 제1 및 제2결합부의 하부에 수직되게 결합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하부 패턴형성 로울러를 승강시키는 승강모터로 구성된 제 1 및 제 2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형성장치의 구동수단은
    상부 및 하부 패턴형성 로울러의 축에 장착된 풀리, 상기 풀리에 치차 결합된 제4기어이 장착된 제1 및 제 2구동모터로 구성된 제1 및 제 2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장치의 배출수단은
    수평상태로 장착된 다수의 회전축;
    상기 다수의 회전축의 일단에 각기 결합된 다수의 아이들롤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장치에는 측방으로 이동시켜 패턴형성장치와 분리시키기 위해 제2횡이동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2횡이동장치는 상기 패턴형성장치의 후면에 부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수평상태로 형성된 복수의 레일;
    상기 인출장치의 베드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에 결합되는 레일홈을 갖는 장착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KR1020110020918A 2011-03-09 2011-03-09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KR101176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918A KR101176597B1 (ko) 2011-03-09 2011-03-09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918A KR101176597B1 (ko) 2011-03-09 2011-03-09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6597B1 true KR101176597B1 (ko) 2012-08-23

Family

ID=4688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918A KR101176597B1 (ko) 2011-03-09 2011-03-09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5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0158A (zh) * 2017-06-27 2019-01-04 苏州律明激光设备有限公司 一种导光板侧压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121B1 (ko) 2010-06-17 2011-03-07 (주)아이에스티 코리아 백라이트 도광판과 그 제조장치 및 운용방법
KR101074715B1 (ko) 2010-11-23 2011-10-19 (주)성안엘이디 도광용 광확산시트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121B1 (ko) 2010-06-17 2011-03-07 (주)아이에스티 코리아 백라이트 도광판과 그 제조장치 및 운용방법
KR101074715B1 (ko) 2010-11-23 2011-10-19 (주)성안엘이디 도광용 광확산시트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0158A (zh) * 2017-06-27 2019-01-04 苏州律明激光设备有限公司 一种导光板侧压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933B1 (ko) 디스플레이용 판넬의 롤러코팅장치
KR101176597B1 (ko)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KR20120110277A (ko) 간극조절장치가 구비된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CN105945166A (zh) 一种管道自动上料设备
JP2008262889A (ja) 導光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とそれに用いられるスクレーパ
CN110449374A (zh) 一种卷芯长度自动测试机
KR100849682B1 (ko) 스테인리스 스틸 리본 제조용 압연기기
KR20160028659A (ko) 수지용기 버링장치
JP2000193604A (ja) 基板用自動検査装置
KR101218328B1 (ko) 도광판용 패턴 가공장치
KR20130113227A (ko) 스크라이브 장치, 기판 절단 장치 및, 기판 스크라이브 방법
KR101161792B1 (ko) 상하 로울러의 개별 구동 가능한 도광판의 패턴 가공장치
KR102156741B1 (ko) 기판처리장치
KR20120032283A (ko) 포지셔너 횡형 이동 동조장치
KR20120110278A (ko) 도광판의 두께 측정이 가능한 패턴 가공장치
KR101109749B1 (ko) 도광판 제조 장치 및 방법
CN210730213U (zh) 一种卷芯长度自动测试机
CN213444673U (zh) 一种由光栅控制的高精度送料装置
CN219032032U (zh) 一种玻璃滚涂机
KR101207159B1 (ko) 도광판 표면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200268591Y1 (ko) 도포두께 자동 조절장치를 구비한 필름도포기
KR200401880Y1 (ko)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높이 조절장치
CN213651405U (zh) 一种用于全自动口罩机材料输送的料架装置
CN215415088U (zh) 一种编织物在线经纬密度检测装置
KR20130120939A (ko) 런아웃 테이블의 경사 가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