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597B1 - 차량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597B1
KR101174597B1 KR1020090123458A KR20090123458A KR101174597B1 KR 101174597 B1 KR101174597 B1 KR 101174597B1 KR 1020090123458 A KR1020090123458 A KR 1020090123458A KR 20090123458 A KR20090123458 A KR 20090123458A KR 101174597 B1 KR101174597 B1 KR 101174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ocket
conductive member
lamp
discharg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0294A (ko
Inventor
나오시 가와무라
사토루 야시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00070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Discharg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은 방전 램프를 구비하며, 이 방전 램프는, 광원과, 이 광원을 유지하는 캡을 구비한다. 또한, 차량용 전조등은 리플렉터를 구비하며, 이 리플렉터는, 광반사부와, 이 광반사부의 일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램프 유지부를 구비한다. 또한, 차량용 전조등은 상기 캡에 접속되는 소켓을 구비하며, 이 소켓은 구동 전류를 램프에 공급한다. 상기 소켓은, 내부에 배치된 소정 구조를 유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캡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캡을 향해 돌출하며 상기 캡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한다. 상기 램프의 점등시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전도(傳導)하는 도전성 부재가 상기 램프 유지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대향면에는 상기 접속부를 둘러싸도록 도통부(導通部)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전성 부재와 상기 도통부는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VEHICLE HEADLAMP}
본 출원은 2008년 12월 17일자로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320894호와, 2009년 6월 10일자로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39439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들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방전 램프의 점등시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전도(傳導)하는 도전성 부재에 접속되는 도통부를, 소켓의 케이스의 소정 면에 형성함으로써, 리플렉터와 소켓 사이에서 양호한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차량용 전조등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광원 및 이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구비하는 램프 유닛이, 커버 및 램프 하우징을 구비하는 램프 외부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전조등이 있다.
방전 램프가 광원으로서 사용되며, 이 방전 램프를 점등시키기 위해 점등 장치가 구동 전류를 방전 램프에 공급하는 차량용 전조등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317453호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02743호 참조).
점등 장치는 전력 공급부, 제어 유닛, 고전압 발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점등 회로 유닛, 예를 들어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을 방전 램프에 공급한다. 제어 유닛은 방전 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고전압 발생기는, 방전 램프에서 고전압을 발생시켜서 방전 램프를 점등시키는 스타터(starter)라고도 하는 시동 회로를 구비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317453호에 기재된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점등 장치는, 소정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케이스와 방전 램프의 캡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소켓; 램프 외부 케이스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장치 본체; 및 장치 본체와 소켓을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을 구비한다. 전력 공급부, 제어 유닛, 고전압 발생기 등은 장치 본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02743호에 기재된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점등 장치는, 방전 램프의 캡에 접속되는 소켓; 램프 외부 케이스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장치 본체; 및 장치 본체와 소켓을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을 구비한다. 전력 공급부와 제어 유닛은 장치 본체 내에 배치되고, 고전압 발생기는 소켓 내에 배치된다.
방전 램프를 광원으로서 사용하는 차량용 전조등에서는, 방전 램프의 점등시에 노이즈가 발생하여 차량 내의 기기, 예컨대 라디오 등과 같은 통신 기기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노이즈를 소정 경로를 따라 전도하여 접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차량용 전조등에서는, 판 스프링 등과 같은 도전성 부재가 도전성을 갖는 리플렉터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고, 케이스의 외주면이 도전성을 갖 도록 소켓을 형성하며, 상기 소켓의 접속부가 상기 방전 램프의 캡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도전성 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을 서로 접속하여 접지시킴으로써, 노이즈 발생에 의해 야기되는 악영향을 방지한다.
그런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전성 부재와 상기 소켓의 케이스의 외주면이 접지를 위해 서로 접속되는 구조에서는, 도전성 부재가 케이스의 외주측에 위치 설정된다. 따라서, 차량용 전조등은 케이스의 외주측에서 크기가 커지고, 이에 따라 차량용 전조등의 크기 감소가 저해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02743호에 기재된 차량용 전조등에서는, 고전압 발전기가 소켓 내에 배치되어 있어, 소켓은 특히 케이스의 외주측에서 크기가 커진다. 이러한 이유로, 차량용 전조등을 소형화하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리플렉터와 소켓 사이에서 양호한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한 차량용 전조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인 차량용 전조등은,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이 광원을 유지하는 캡을 구비하는 방전 램프;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하는 광반사부와, 이 광반사부의 일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캡을 유지하는 램프 유지부를 구비하는 리플렉터; 및 상기 캡에 접속되며, 구동 전류를 상기 방전 램프에 공급하는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내부에 배치된 특정 구조를 유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캡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캡을 향해 돌출하며 상기 캡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방전 램프의 점등시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전도하는 도전성 부재가 상기 램프 유지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대향면에는 상기 접속부를 둘러싸도록 도통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부재와 상기 도통부는, 상기 캡과 상기 접속부가 서로 접속되는 방향으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도전성 부재가 소켓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차량용 전조등은 소켓의 외주측에서 크기가 커지지 않으며, 리플렉터와 소켓의 사이에서 양호한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차량용 전조등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랑용 전조등(1)은 차체의 전방 단부의 좌우 단부에 각각 장착 및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전조등은, 전방이 개구된 오목부를 갖는 램프 하우징(2); 및 램프 하우징(2)의 전방 개구를 덮는 전방 커버(3)를 포함한다. 램프 하우징(2)과 전방 커버(3)는 램프 외부 케이스(4)를 형성하고, 램프 외부 케이스(4)의 내부는 등실(燈室)(5)로서 형성된다.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장착용 개구(2a)가 램프 하우징(2)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배치용 개구(2b)가 램프 하우징(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램프 유닛(6)이 등실(5) 내에 배치된다. 램프 유닛(6)은 램프 하우징(2)에 대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경동(傾動) 가능하도록 지지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램프 유닛(6)은 등실(5) 내에 경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램프 유닛은, 램프 유닛이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움직이도록 램프 유닛을 수평방향으로 경동시킴으로써 램프 유닛의 광축방향을 변경하는, 소위 스위블(swivel) 기능을 갖고 있다.
램프 유닛(6)은, 광을 반사하는 리플렉터(7); 리플렉터(7)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어 유지되는 방전 램프(8); 리플렉터(7)의 전방 단부에 장착되는 쉐이드(9); 방전 램프(8)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렌즈(10); 및 렌즈(10)를 유지하고 렌즈(10)를 리플렉터(7)에 장착하는 렌즈 홀더(11)를 포함한다.
리플렉터(7)는 도전성을 갖고, 광반사부(12)와, 광반사부(12)의 후방 단부측에 연속해 있는 램프 유지부(13)를 포함한다. 광반사부(12)는 전방이 개구된 주발 형상으로 형성되고, 광반사부의 내면은 반사면(12a)으로서 형성된다. 반사면(12a)은 예를 들어 포물면으로 형성된다. 램프 유지부(13)는 광반사부(12)의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유지 구멍(13a)이 램프 유지부(13)에 형성되어 있다.
방전 램프(8)는 발광부(발광관)를 유리관에 봉입함으로써 형성되는 광원(8a)과, 리플렉터(7)의 램프 유지부(13)에 유지되는 캡(8b)을 포함한다. 캡(8b)이 유지 구멍(13a)에 삽입되었을 때, 방전 램프(8)는 램프 유지부(13)에 의해 유지된다. 장착 핀(8c)은 캡(8b)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쉐이드(9)는 리플렉터(7)의 전방 단부에 장착되며, 방전 램프(8)로부터 출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램프 유닛(6)의 일부분을 덮는 연장부(14)가 등실(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장착용 개구(2a)를 덮는 백 커버(back cover)(15)가 램프 하우징(2)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배치용 개구(2b)를 덮는 커버체(cover body)(16)가 램프 하우징(2)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커버체(16)는 상부가 개구된 얕은 박스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방전 램프(8)를 점등시키는 점등 장치(17)가 등실(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점등 장치(17)는 장치 본체(18), 소켓(19) 및 접속 케이블(20)을 구비한다. 접속 케이블(20)의 상하 단부는 각각 소켓(19)과 장치 본체(18)에 접속되어 있다.
점등 장치(17)의 장치 본체(18)는 커버체(16) 상에 배치되어 있고, 소켓(19)은 방전 램프(8)의 캡(8b)에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등 장치(17)는 점등 회로 유닛(21)을 구비한다. 점등 회로 유닛(21)은 전력 공급부(22), 제어 유닛(23) 및 고전압 발생기(24)를 구비한다. 전력 공급부(22)는, 스위칭 소자를 이용해 DC 입력 전압을 스위칭함으로써 전압 변환된 전력을 방전 램프(8)에 공급한다. 제어 유닛(23)은 전력 공급부(22)로부터 방전 램프(8)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고전압 발생기(24)는 방전 램프(8) 내에 고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방전 램프(8)를 점등시키는 스타터라고도 하는 시동 회로를 구비한다.
점등 회로 유닛(21)의 전력 공급부(22) 및 제어 유닛(23)은 장치 본체(18) 내에 마련되어 있고, 점등 회로 유닛의 고전압 발생기(24)는 소켓(19) 내에 마련되어 있다.
전력 공급부(22)는 DC 전원(25)에 접속된 입력 필터(26); DC 전원(25)으로부터 공급된 입력 전압을 소기의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27); DC-AC 변환 회로의 역할을 하는 풀-브릿지(full-bridge) 인버터(28); 및 전압을 승압시켜 이 전압을 고전압 발생기(24)에 공급하는 승압 회로(29)를 구비한다. 전력 공급 부(22)는 DC 전원(25) 및 접지 회로(GND)(30)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 필터(26)는 점등 회로 유닛(19)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와 점등 회로 유닛(19)에 진입하는 노이즈를 억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DC/DC 컨버터(27)는 DC-DC 변환 회로로서 기능하며, DC 전원(25)으로부터 공급된 DC 입력 전압을 입력 필터(26)를 통해 소기의 DC 전압으로 변환한다. DC/DC 컨버터(27)의 스위칭 소자는 제어 유닛(23)으로부터 받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된다.
풀-브릿지 인버터(28)는 DC-AC 변환 회로로서 기능하며, DC/DC 컨버터(27)의 출력 전압을 AC 전압(사각파)으로 변환하여 AC 전압을 방전 램프(8)에 공급한다.
승압 회로(29)는 DC/DC 컨버터(27)에 의해 변환된 DC 전압을 승압하여 이 DC 전압을 고전압 발생기(24)에 공급한다.
제어 유닛(23)은 방전 램프(8)의 점등 제어(과대/정상 전력 제어)를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제어 유닛(23)에는 비정상적인 입력/출력의 검출과 작동 정지 제어를 행하는 비상 안전(fail-safe) 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장치 본체(18)와 소켓(19)을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20)은 3개의 접속선(20a, 20b 및 20c)을 구비한다. 접속선(20c)은 접지용 접속선으로서 기능한다.
고전압 발생기(24)는 고전압 단자(24a) 및 저전압 단자(24b)를 통해 방전 램프(8)에 접속되어 있다. 고전압 발생기(24)는 예를 들어 약 25 kV의 고전압 펄스를 발생시켜 방전 램프(8)의 점등을 시동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등 장치(17)의 소켓(19)은 케이스(31) 및 접속 부(32)를 구비한다. 고전압 발생기(24) 등은 케이스(31) 내에 배치된다. 접속부(32)는, 케이스(31)의 전면(前面)(31a)에 있어서, 케이스의 전면의 외주부를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31)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31)에 있어서, 케이스(31)의 전방 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도전성 금속 커버(33)로 덮여 있다. 금속 커버(33)의 하단부는 접속 케이블(20)의 접지용 접속선(20c)에 접속되어 있다.
도전성 금속 재료로 형성된 도전판(34)이 케이스(31)의 전방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전판(34)은 실질적으로 환형으로 형성된 도통부(34a)와, 도통부(34a)의 좌우 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돌출된 연결부(34b, 34b), 그리고 도통부(34a)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접속 돌출부(34c)를 구비한다. 도통부(34a)는 케이스(31)의 전면(31a)에서 접속부(32)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다. 연결부(34b, 34b)는 케이스(31)의 좌우 측면(31b, 31b)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들 연결부의 후방 단부는 금속 커버(33)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돌출부(34c)의 하단부는 접속 케이블(20)의 접지용 접속선(20c)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32)에는 둘레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서 장착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구멍(35)은 접속부(32)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35a)와, 직선부(35a)의 일단에 연속하는 로킹부(35b)를 구비한다. 로킹부(35b)는 직선부(35a)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후방으로 변위되도록 경사져 있다. 장착 구멍(35)의 개구의 가장자리에 있어서, 직선부(35a)와 로킹부(35b) 사이의 연결부에는, 전방으로 약간 돌출된 스토퍼 돌출부(35c)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32)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 홈(32a)이 둘레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어 있다. 삽입 홈(32a)은 접속부(32)의 전면에 개구되어 있고, 삽입 홈(32a)의 후방 단부는 장착 구멍(35)의 직선부(35a)에 있어서 로킹부(35b)의 반대측의 단부에 연속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렉터(7)의 램프 유지부(13)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부(36)와, 베이스부(36)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장착 돌출부(37, 38)를 구비한다. 장착 돌출부(37, 38)는 둘레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장착 돌출부(37)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있고, 장착 돌출부(38)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있다. 후방측에 개구된 나사 구멍(37a, 38a)이 각각 장착 돌출부(37, 38)에 형성되어 있다(도 4와 도 5 참조).
베이스부(36)에는 상측의 장착 돌출부(37)와 장착 돌출부(38, 38)의 사이에 로킹 홈(36a)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하측의 장착 돌출부(37)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홈(37b)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39)가 장착 돌출부(37)의 지지 홈(37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고정 부재(39)는 직선 금속 재료를 소정 형상으로 절곡(折曲)하여 얻은 선(線)스프링으로서 형성된다. 고정 부재(39)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피(被)지지부(39a)와, 피지지부(39a)의 좌우 단부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 압박부(39b), 그리고 압박부(39b)에 각각 연속해 있는 로킹부(39c)를 구비한다.
고정 부재(39)의 피지지부(39a)는 지지 홈(37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고정 부재의 로킹부(39c)는 각각 로킹 홈(36a)에 걸린다. 고정 부재(39)의 로킹부(39c)가 로킹 홈(36a)에 각각 걸려 있을 때에는, 압박부(39b)가 방전 램프(8)의 캡(8b)의 일부분을 후방으로부터 압박하여 접촉하게 된다. 압박부(39b)가 방전 램프(8)의 캡(8b)을 전방을 향해 압박하여, 캡(8b)의 전면(前面)의 외주부가 램프 유지부(13)의 일부분에 밀어 붙여지고, 램프 유지부(13)에 의해 유지된다.
탄성 변형 가능한 도전성 부재(40)가 상측의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되어 있다. 도전성 부재(40)는 판 스프링 부재이다. 도전성 부재(40)는 전후방향을 향하는 피장착면부(40a)와, 피장착면부(40a)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연결면부(40b), 그리고 연결면부(40b)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구부러져 있고 실질적으로 전후방향을 향하는 접속편(40c)을 구비한다. 도전성 부재(40)의 피장착면부(40a)는 나사 구멍(37a)에 삽입된 장착 나사(100)에 의해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된다.
탄성 변형 가능한 도전성 부재(41)가 하측의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되어 있다. 도전성 부재(41)는 판 스프링 부재이다. 도전성 부재(41)는 전후방향을 향하는 피장착면부(41a)와, 피장착면부(41a)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각각 돌출된 제1 연결면부(41b)와, 제1 연결면부(41b)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구부러진 제2 연결면부(41c), 그리고 제2 연결면부(41c)에 각각 연속해 있고 실질적으로 전후방향을 향하는 접속편(41d)을 구비한다.
고정 부재(39)의 피지지부(39a)가 지지 홈(37b)에 의해 지지되어 있을 때, 도전성 부재(41)의 피장착면부(41a)는 나사 구멍(37a)에 죄어지는 장착 나사(100)에 의해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되면서, 피지지부(39a)를 후측으로부터 덮는다. 따라서, 고정 부재(39)의 피지지부(39a)와 도전성 부재(41)의 피장착면부(41a)는 하나의 장착 나사(100)에 의해 램프 유지부(13)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고 부품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접속부(32)는 소켓(19)이 방전 램프(8)에 접속되도록,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전 램프(8)의 캡(8b)에 장착된다.(도 5 내지 도 7 참조).
우선, 방전 램프(8)의 캡(8b)에 형성된 장착 핀(8c)을 소켓(19)의 접속부(32)에 형성된 대응 삽입 홈(32a)에 각각 삽입한다(도 5 참조). 삽입 홈(32a)에 장착 핀(8c)이 삽입되면, 소켓(19)에 장착된 도전판(34)의 도통부(34a)는 도전성 부재(40 및 41)의 접속편(40c, 41d)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도전성 부재(40 및 41)의 접속편(40c, 41d)은 탄성 변형되어 도통부(34a)에 밀어 붙여진다.
그 후, 소켓(19)을 방전 램프(8)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장착 핀(8c)을 접속부(32)에 형성된 장착 구멍(35)의 직선부(35a)에 각각 삽입한다(도 6 참조). 장착 핀(8c)이 직선 홈(35a)에 각각 삽입되었을 때, 도통부(34a)는 접속편(40c, 41d) 상에서 미끄럼 이동한다.
소켓(19)을 방전 램프(8)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장착 핀(8c)이 장착 구멍(35)의 대응 로킹부(35b)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된다(도 7 참조). 로킹부(35b)는 직선부(35a)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후방으로 변위되도록 각각 경사져 있다. 따라서, 장착 핀(8c)이 로킹부(35b)에 각각 삽입될 때, 소켓(19)은 방전 램프(8)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도전성 부재(40 및 41)의 접속편(40c, 41d)이 더 탄성 변형되어, 접속편(40c, 41d)은 강한 힘에 의해 도통부(34a)에 밀어 붙여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19)을 방전 램프(8)에 장착할 때, 소켓(19)은 방전 램프(8)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접속편(40c, 41d)이 강한 힘에 의해 도통부(34a)에 밀어 붙여져, 도전성 부재(40 및 41)와 도통부(34a)를 확실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부재(40 및 41)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접속편(40c, 41d)을 구비하므로, 도전성 부재(40 및 41)와 도통부(34a) 사이에서 양호한 접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부재(41)는 2개의 접속편(41d)을 포함하므로, 도전판(34)의 도통부(34a)에 접속되는 부재로서 도전성 부재(41)를 이용함으로써, 부품의 수의 증대 없이 도전성 부재(41)와 도전판(34)의 도통부(34a) 사이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 핀(8c)이 장착 구멍(35)의 로킹부(35b)에 각각 결합되면, 스토퍼 돌출부(35c)가 장착 핀(8c)과 결합되어, 장착 핀(8c)의 직선부(35a)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소켓(19)의 방전 램프(8)로부터의 분리가 방 지된다.
방전 램프(8)의 점등시에는, 노이즈가 발생하여 라디오 등과 같은 통신 기기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노이즈는 리플렉터(7)로부터 도전성 부재(40 및 41)를 통해 도전판(34)에 전도되고, 도전판(34)으로부터 접속 케이블(20)의 접지용 접속선(20c)을 통해 또는 금속 커버(33)를 통해 접지 회로(30)에 전도된다. 따라서, 통신 기기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노이즈를 막을 수 있다.
도전성 부재의 변형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도 8 내지 도 16 참조).
리플렉터(7)의 램프 유지부(13)의 좌우에 위치하는 장착 돌출부(38)에는, 제1 변형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42)가 장착된다(도 8 참조). 또한, 도 8에서는 도전성 부재(42)뿐만 아니라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된 도전성 부재(40)가, 소켓(19)의 도전판(34)에 접속되는 판 스프링 부재로서 사용된다.
도전성 부재(42)는 전후방향을 향하는 피장착면부(42a)와, 피장착면부(42a)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각각 돌출된 제1 연결면부(42b)와, 제1 연결면부(42b)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서로 접근하도록 돌출된 제2 연결면부(42c), 그리고 제2 연결면부(42c)에 각각 연속해 있고 실질적으로 전후방향을 향하는 접속편(42d)을 구비한다.
도전성 부재(40)의 접속편(40c)과 도전성 부재(42)의 접속편(42d)은, 소켓(19)의 도전판(34)의 도통부(34a)에 접속된다.
도전성 부재(42)의 피장착면부(42a)는 나사 구멍(38a)에 죄어지는 장착 나사(100)에 의해 장착 돌출부(38)에 각각 장착된다.
또한, 리플렉터(7)의 램프 유지부(13)의 좌우에 위치하는 장착 돌출부(38)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리플렉터(7)와 소켓(19)의 도전판(34)의 도통부(34a) 사이에 양호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제2 변형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43)는 리플렉터(7)의 램프 유지부(13)의 하측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또한, 도 10에서는 도전성 부재(43)뿐만 아니라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된 도전성 부재(40)가, 소켓(19)의 도전판(34)에 접속되는 판 스프링 부재로서 사용된다.
도전성 부재(43)는 전후방향을 향하는 피장착면부(43a)와, 피장착면부(43a)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삽입 홈(43b)과, 삽입 홈(43b)의 각각의 외측 단부에 연속하는 연결면부(43c), 그리고 연결면부(43c)에 각각 연속해 있고 실질적으로 전후방향을 향하는 접속편(43d)을 구비한다.
도전성 부재(40)의 접속편(40c)과 도전성 부재(43)의 접속편(43d)은, 소켓(19)의 도전판(34)의 도통부(34a)에 접속된다.
도전성 부재(43)의 피장착면부(43a)는, 고정 부재(39)의 피지지부(39a)가 지지 홈(37b)에 의해 지지되고 로킹부(39c)가 로킹 홈(36a)에 걸리기 이전에, 피지지부(39a)를 후측으로부터 덮으면서, 장착 돌출부(38)에 장착된다. 피장착면부(43a)가 장착 돌출부(38) 상에 놓였을 때, 로킹부(39c)가 로킹 홈(36a)에 각각 걸리도록, 고정 부재(39)를 피지지부(39a)를 중심으로 회동시킨다. 이러한 경우에, 피지지부(39a)에 가까이 위치한 고정 부재(39)의 압박부(39b)의 단부가 각각 도전성 부재(43)의 삽입 홈(43b)에 후측으로부터 삽입된다. 따라서, 고정 부재(39)의 압박 부(39b)에 의해 삽입 홈(43b)이 후측으로부터 압박되어, 도전성 부재(43)가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전성 부재(43)는 고정 부재(39)에 의해 압박되어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되므로, 도전성 부재(43)는 장착 나사(100)의 사용 없이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된다. 따라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부재(43)는 2개의 접속편(43d)을 포함하므로, 도전성 부재(4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부품의 수의 증대 없이 도전성 부재(43)와 도전판(34)의 도통부(34a) 사이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제3 변형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44)는 리플렉터(7)의 램프 유지부(13)의 하측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된다(도 11 및 도 12 참조). 또한, 도 12에서는 도전성 부재(44)뿐만 아니라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된 도전성 부재(40)가, 소켓(19)의 도전판(34)에 접속되는 판 스프링 부재로서 사용된다.
도전성 부재(44)는 전후방향을 향하는 제1 피장착면부(44a)와, 제1 피장착면부(44a)의 좌우 단부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연결면부(44b)와, 연결면부(44b)에 각각 연속해 있고 실질적으로 전후방향을 향하는 접속편(44c)을 구비한다.
또한, 도전성 부재(44)는 제1 피장착면부(44a)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제2 피장착면부(44d)와, 제2 피장착면부(44d)의 전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제3 피장착면부(44e)와, 제2 피장착면부(44d)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제4 피장착면부(44f), 그리고 제1 피장착면부(44a)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제5 피장착면부(44g)를 구비한다.
도전성 부재(40)의 접속편(40c)과 도전성 부재(44)의 접속편(44c)은, 소켓(19)의 도전판(34)의 도통부(34a)에 접속된다.
장착 돌출부(38)가 제3 피장착면부(44e)와 제1 피장착면부(44a)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개재되고, 제5 피장착면부(44g)와 제2 피장착면부(44d)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개재되며, 제4 피장착면부(44f, 44f)의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개재되도록, 도전성 부재(44)가 장착 돌출부(38)에 장착된다.
또한, 고정 부재(39)의 피지지부(39a)가 지지 홈(37b)에 의해 지지되어 있을 때, 도전성 부재(44)의 제1 피장착면부(44a)는 장착 돌출부(38)에 장착되면서, 피지지부(39a)를 후측으로부터 덮는다.
따라서, 도전성 부재(44)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전성 부재(44)의 장착 돌출부(38)에의 장착과 고정 부재(39)의 장착 돌출부(38)에의 지지에 장착 나사(100)가 필요치 않으므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고 부품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부재(44)는 2개의 접속편(44c)을 포함하므로, 도전성 부재(41 및 4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부품의 수의 증대 없이 도전성 부재(44)와 도전판(34)의 도통부(34a) 사이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제4 변형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45)는 리플렉터(7)의 램프 유지부(13)의 상측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된다(도 13 및 도 14 참조). 또한, 도 14에서는 도전성 부재(45)뿐만 아니라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된 도전성 부재(41)가, 소켓(19)의 도전판(34)에 접속되는 판 스프링 부재로서 사용된다.
도전성 부재(45)는 전후방향을 향하는 피장착면부(45a)와, 피장착면부(45a)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연결면부(45b)와, 연결면부(45b)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구부러져 있고 실질적으로 전후방향을 향하는 접속편(45c), 그리고 피장착면부(45a)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접속 규제 돌출부(45d)를 구비한다.
도전성 부재(41)의 접속편(41d)과 도전성 부재(45)의 접속편(45c)은, 소켓(19)의 도전판(34)의 도통부(34a)에 접속된다.
도전성 부재(45)의 피장착면부(45a)는 나사 구멍(37a)에 죄어지는 장착 나사(100)에 의해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전성 부재(45)는 접속 규제 돌출부(45d)를 구비하므로, 이 접속 규제 돌출부(45d)에 의하여, 소켓(19)이 방전 램프(8)에 반대방향으로,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가 바뀌어서 비정상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방지된다.
소켓(19)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접촉 돌출부(19a)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19)을 방전 램프(8)에 접속할 때, 소켓(19)이 실수로 상하가 바뀐 상태로 캡(8b)에 후측으로부터 접근하면, 소켓(19)의 접촉 돌출부(19a)가 도전성 부재(45)의 접속 규제 돌출부(45d)에 후측으로부터 접촉하게 된다(도 14 참조). 따라서, 소켓(19)의 전진 이동이 접속 규제 돌출부(45d)에 의해 규제되어, 방전 램프(8)의 장착 핀(8c)은 소켓(19)의 삽입 홈(32a)에 삽입되지 않는다. 그 결과, 소켓(19)의 접속부(32)를 방전 램프(8)의 캡(8b)에 접속시킬 수 없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접촉 돌출부(19a)가 소켓(19)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소켓이 상하가 바뀐 상태로 캡(8b)에 접근할 때에는 소켓(19)의 일부분이 접속 규제 돌출부(45d)에 접촉하게 되고, 소켓이 정상적인 방향으로 캡(8b)에 접근할 때에는 소켓(19)의 어떤 부분도 접속 규제 돌출부(45d)에 접촉하지 않게 되도록, 소켓(19)의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면, 접촉 돌출부(19a)를 특별히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전성 부재(45)가 접속 규제 돌출부(45d)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소켓(19)이 방전 램프(8)에 잘못된 방향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규제 돌출부(45d)는 도전성 부재(45)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소켓(19)이 방전 램프(8)에 잘못된 방향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부분을 더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제5 변형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46)는 리플렉터(7)의 램프 유지부(13)의 상측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된다(도 15 및 도 16 참조). 또한, 도 16에서는 도전성 부재(46)뿐만 아니라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된 도전성 부재(41)가, 소켓(19)의 도전판(34)에 접속되는 판 스프링 부재로서 사용된다.
도전성 부재(46)는 전후방향을 향하는 피장착면부(46a)와, 피장착면부(46a)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연결면부(46b)와, 연결면부(46b)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구부러져 있고 실질적으로 전후방향을 향하는 접속편(46c), 그리고 피장착면부(46a)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접속 규제 돌출부(46d)를 구비한다.
도전성 부재(41)의 접속편(41d)과 도전성 부재(46)의 접속편(46c)은, 소켓(19)의 도전판(34)의 도통부(34a)에 접속된다.
도전성 부재(46)의 피장착면부(46a)는 나사 구멍(37a)에 죄어지는 장착 나사(100)에 의해 장착 돌출부(37)에 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전성 부재(46)는 접속 규제 돌출부(46d)를 구비하므로, 이 접속 규제 돌출부(46d)에 의하여, 소켓(19)이 방전 램프(8)에 잘못된 방향으로,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가 바뀌어서 비정상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방지된다.
소켓(19)의 하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접촉 핀(19b)이 형성되어 있다.
소켓(19)을 방전 램프(8)에 접속할 때, 소켓(19)이 실수로 상하가 바뀐 상태로 캡(8b)에 후측으로부터 접근하면, 방전 램프(8)의 장착 핀(8c)이 소켓(19)의 삽입 홈(32a)에 각각 삽입된다.
그 후에, 소켓(19)을 방전 램프(8)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소켓(19)의 접촉 핀(19b)이 도전성 부재(46)의 접속 규제 돌출부(46d)에 후측으로부터 접촉하게 된다(도 16 참조). 따라서, 방전 램프(8)에 대한 소켓(19)의 회전이 접속 규제 돌출부(46d)에 의해 규제되어, 소켓(19)의 접속부(32)를 방전 램프(8)의 캡(8b)에 접속시킬 수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전성 부재(46)가 접속 규제 돌출부(46d)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소켓(19)이 방전 램프(8)에 잘못된 방향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켓(19)에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20)이 램프 유닛(6) 등의 구성 요소에 간섭하지 않으며, 차량용 전조등(1)의 스위블 기능에 대한 악영향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접속 규제 돌출부(46d)는 도전성 부재(46)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소켓(19)이 방전 램프(8)에 잘못된 방향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부분, 예컨대 리브(rib) 등을, 리플렉터(7) 또는 소켓(19)에 더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랑용 전조등(1)에 있어서, 도전성 부재(40, 41, 42, 43, 44, 45 및 46)는 소켓(19)의 도전판(34)의 도통부(34a)에 전후방향으로, 즉 방전 램프(8)가 소켓(19)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접속되며, 도전성 부재(40, 41, 42, 43, 44, 45 및 46)는 소켓(19)의 외주측에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용 전조등(1)은 소켓(19)의 외주측에서 크기가 커지지 않으며, 리플렉터(7)와 소켓(19)의 사이에서 양호한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차량용 전조등(1)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시동 회로를 구비한 고전압 발생기(24)가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소켓(19)은 크기가 커지기 쉽다. 그러나, 큰 소켓(19)이 사용되더라도, 차량용 전조등(10)은 쓸데없이 크기가 커지지는 않는다.
또한, 도전성 부재와 도통부는 소켓이 방전 램프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서로 접속되므로, 본 발명은 방전 램프(8)가 램프 유지부(13)에 후측으로부터 접속되는 차량용 전조등(1)뿐만 아니라, 방전 램프가 램프 유지부에 측방으로부터 접속되는 차량용 전조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그 특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상기 실시예의 형상 및 세부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인 이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점등 장치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소켓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램프 유지부에 장착된 방전 램프와 도전성 부재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5는 방전 램프의 장착 핀이 소켓의 삽입 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측단면도.
도 6은 방전 램프의 장착 핀이 소켓의 장착 구멍의 직선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측단면도.
도 7은 방전 램프의 장착 핀이 소켓의 장착 구멍의 로킹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가 리플렉터의 램프 유지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10은 제2 변형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가 리플렉터의 램프 유지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12는 제3 변형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가 리플렉터의 램프 유지부에 장착되 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14는 소켓이 방전 램프에 잘못된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이,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의 접속 규제 돌기에 의해 규제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16은 소켓이 방전 램프에 잘못된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이, 제5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의 접속 규제 돌기에 의해 규제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용 전조등
7 : 리플렉터
8 : 방전 램프
8a : 광원
8b : 캡
12 : 광반사부
13 : 램프 유지부
19 : 소켓
24 : 고전압 발생기
31 : 케이스
32 : 접속부
34a : 도통부
34c : 접속 돌출부
39 : 고정 부재
39a : 피지지부
39b : 압박부
40, 41, 42, 43, 44, 45, 46 : 도전성 부재
45d, 46d : 접촉 규제 돌출부
100 : 장착 나사

Claims (8)

  1.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이 광원을 유지하는 캡을 구비하는 방전 램프;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하는 광반사부와, 이 광반사부의 일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캡을 유지하는 램프 유지부를 구비하는 리플렉터; 및
    상기 캡에 접속되며, 구동 전류를 상기 방전 램프에 공급하는 소켓
    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내부에 배치된 특정 구조를 유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캡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캡을 향해
    돌출하며 상기 캡에 접속되는 접속부
    를 구비하며,
    상기 방전 램프의 점등시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전도(傳導)하는 도전성 부재가 상기 램프 유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대향면에는 상기 접속부를 둘러싸도록 도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전성 부재와 상기 도통부는, 상기 캡과 상기 접속부가 서로 접속되는 접속방향으로 서로 접속되고,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캡에 잘못된 방향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속 규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인 차량용 전조등.
  2.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이 광원을 유지하는 캡을 구비하는 방전 램프;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하는 광반사부와, 이 광반사부의 일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캡을 유지하는 램프 유지부를 구비하는 리플렉터; 및
    상기 캡에 접속되며, 구동 전류를 상기 방전 램프에 공급하는 소켓
    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내부에 배치된 특정 구조를 유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캡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캡을 향해
    돌출하며 상기 캡에 접속되는 접속부
    를 구비하며,
    상기 방전 램프의 점등시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전도(傳導)하는 도전성 부재가 상기 램프 유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대향면에는 상기 접속부를 둘러싸도록 도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전성 부재와 상기 도통부는, 상기 캡과 상기 접속부가 서로 접속되는 접속방향으로 서로 접속되고,
    상기 도전성 부재는,
    차량용 전조등의 전후방향을 향하는 피장착면부;
    상기 피장착면부의 제1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연결면부; 및
    상기 연결면부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구부러져 있고 전후방향을 향하는 접속편
    을 구비하는 것인 차량용 전조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조는 방전 램프를 점등시키는 시동 회로인 것인 차량용 전조등.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접속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접속편을 구비하는 판 스프링 부재인 것인 차량용 전조등.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의 램프 유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피(被)지지부; 및
    상기 캡을 상기 램프 유지부에 대해 밀어 붙여, 상기 캡을 상기 램프 유지부에 고정시키는 압박부
    를 구비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지지부와 상기 도전성 부재의 일부분이 하나의 장착 나사에 의해 상기 램프 유지부에 장착되는 것인 차량용 전조등.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접속부를 상기 캡에 접속할 때, 상기 소켓은 상기 방전 램프에 접근하도록 상기 램프 유지부에 대해 이동하고, 상기 도통부는 상기 접속편이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접속편에 대해 밀어 붙여지는 것인 차량용 전조등.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제1측 가장자리의 반대편에 배치된 상기 피장착면부의 제2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접속 규제 돌출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소켓은 소켓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접촉 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소켓이 잘못된 방향으로 위치해 있는 경우, 상기 접속 규제 돌출부가 상기 접촉 핀과 맞물려서, 소켓의 캡에 대한 접속을 방지하는 것인 차량용 전조등.
  8. 삭제
KR1020090123458A 2008-12-17 2009-12-11 차량용 전조등 KR101174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20894 2008-12-17
JPJP-P-2008-320894 2008-12-17
JPJP-P-2009-139439 2009-06-10
JP2009139439A JP5447926B2 (ja) 2008-12-17 2009-06-10 車輌用前照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294A KR20100070294A (ko) 2010-06-25
KR101174597B1 true KR101174597B1 (ko) 2012-08-16

Family

ID=4171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458A KR101174597B1 (ko) 2008-12-17 2009-12-11 차량용 전조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93771B2 (ko)
EP (1) EP2199666B1 (ko)
JP (1) JP5447926B2 (ko)
KR (1) KR101174597B1 (ko)
CN (1) CN10174962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2111A (ja) * 2010-12-28 2012-07-26 Koito Mfg Co Ltd 放電灯点灯装置
JP6016048B2 (ja) * 2011-06-21 2016-10-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載用ハーネス及びそれを備えた車載用点灯装置
JP5818225B2 (ja) * 2011-07-22 2015-11-18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放電ランプおよび放電ランプ装置
FR3032516B1 (fr) * 2015-02-06 2021-04-16 Valeo Vision Dispositif reflecteur d'un module lumineux avec blindage electromagnetique
EP3362738B1 (en) * 2015-10-12 2020-05-06 Harman Professional Denmark ApS Light fixture housing with integrated fastening element
JP7285055B2 (ja) * 2018-09-21 2023-06-0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IT201800020119A1 (it) * 2018-12-18 2020-06-18 Automotive Lighting Italia Spa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per veicoli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2743A (ja) 1997-11-11 2005-10-27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07317453A (ja) * 2006-05-24 2007-12-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ランプソケット及び放電灯始動装置及び前照灯装置
JP2008153145A (ja) * 2006-12-20 2008-07-03 Ichikoh Ind Ltd 自動車用放電灯ヘッド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8584B2 (ja) * 1993-12-27 1998-11-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3193608B2 (ja) * 1996-01-29 2001-07-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JP3416015B2 (ja) * 1996-04-26 2003-06-1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放電ランプ点灯機構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放電ランプソケット
JP3162291B2 (ja) * 1996-05-28 2001-04-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FR2769072B1 (fr) * 1997-09-26 1999-12-24 Valeo Vision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e lampe a decharge et de moyens perfectionnes de blindage electromagnetique
JP3737295B2 (ja) * 1997-11-11 2006-01-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DE19815984A1 (de) * 1998-04-09 1999-10-14 Bosch Gmbh Robert Scheinwerfer für Fahrzeuge
JP4216939B2 (ja) * 1999-01-27 2009-01-2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放電灯光源車両用灯具
JP3854421B2 (ja) 1999-02-23 2006-12-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JP4008250B2 (ja) * 2002-01-31 2007-11-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4010449B2 (ja) * 2002-08-19 2007-11-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のバルブ挿着構造
US7264391B2 (en) * 2002-11-14 2007-09-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fixing a lamp in a reflector housing
DE202004009377U1 (de) * 2004-06-14 2004-08-26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Scheinwerfer
JP4541387B2 (ja) * 2007-08-13 2010-09-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ランプ用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2743A (ja) 1997-11-11 2005-10-27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07317453A (ja) * 2006-05-24 2007-12-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ランプソケット及び放電灯始動装置及び前照灯装置
JP2008153145A (ja) * 2006-12-20 2008-07-03 Ichikoh Ind Ltd 自動車用放電灯ヘッド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49624A (zh) 2010-06-23
US8393771B2 (en) 2013-03-12
JP2010165658A (ja) 2010-07-29
EP2199666B1 (en) 2013-11-27
EP2199666A3 (en) 2012-05-30
KR20100070294A (ko) 2010-06-25
JP5447926B2 (ja) 2014-03-19
EP2199666A2 (en) 2010-06-23
US20100149830A1 (en)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597B1 (ko) 차량용 전조등
KR930008816B1 (ko) 방전램프 전구와 점등회로를 갖는 가동형 전조등
US6322239B1 (en) Vehicle lamp with a back cover having a terminal
EP1843087B1 (en) Electronic ballast and illuminating device
US6550935B1 (en) Illumination device having an inverter and an igniter disposed in a lamp body
JP4554225B2 (ja) 挿入可能な追加モジュールを備える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装置
JP2004071574A (ja) 相補的なモジュールが設けられた、自動車用の照明または表示装置
JP5281356B2 (ja) 前照灯ユニット
JP5845050B2 (ja) 車両用灯具
JP5702846B2 (ja) 車輌用前照灯
KR101707988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JP4296846B2 (ja) 放電灯始動装置および放電灯点灯装置
CN212841331U (zh) 灯具单元
CN212901305U (zh) 灯具单元
KR20150029832A (ko) 차량용 헤드 램프
CN217684752U (zh) 灯具单元
KR102042227B1 (ko) 자동차용 코너 램프
WO2023053907A1 (ja) 車輌用灯具
US20220205625A1 (en) Lamp unit and power supply attachment
CN114576596A (zh) 车辆用灯具
JP2002100209A (ja) 車両用前照灯
JP2002008436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CN117836556A (zh) 车辆用灯具
KR20160001780U (ko) 벌브 홀딩 장치
JP2017120734A (ja) 車輌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