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780U - 벌브 홀딩 장치 - Google Patents

벌브 홀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780U
KR20160001780U KR2020140008425U KR20140008425U KR20160001780U KR 20160001780 U KR20160001780 U KR 20160001780U KR 2020140008425 U KR2020140008425 U KR 2020140008425U KR 20140008425 U KR20140008425 U KR 20140008425U KR 20160001780 U KR20160001780 U KR 201600017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bulb
igniter
flange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우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8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780U/ko
Publication of KR201600017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78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Discharge light sources
    • F21S41/172High-intensity discharg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는, 고휘도 방전(HID, High Intensity Discharge) 벌브 및 상기 고휘도 방전 벌브를 점등하기 위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이그니터를 지지하는 벌브 홀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 방전 벌브가 삽입되는 벌브홀, 상기 벌브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휘도 방전 벌브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향해 반사하는 반사면 및 상기 벌브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그니터의 일측을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을 포함하는 리플렉팅 유닛; 및 상기 리플렉팅 유닛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그니터를 보호하는 이그니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그니터 커버는, 상기 이그니터의 타측을 수용하는 제2 수용홈 및 상기 제2 수용홈으로부터 상기 이그니터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그니터를 상기 제1 수용홈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벌브 홀딩 장치{Apparatus for holding a bulb}
본 고안은 벌브 홀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휘도 방전(HID, High Intensity Discharge) 벌브 및 이그니터를 지지하는 벌브 홀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헤드 램프의 광원으로서, 우수한 전방 시야를 제공하는 고휘도 방전(HID, High Intensity Discharge) 벌브가 사용되고 있다. 고휘도 방전 벌브는 고전압을 이용해 발광물질을 충돌 방전시켜 발광하는 원리를 이용하는데, 기존의 할로겐 벌브에 비해 수명이 길고 발광력이 우수하다.
도 10은 종래의 고휘도 방전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고휘도 방전 램프(2)는, 고휘도 방전 벌브(10), 이그니터(20) 및 하우징(30)을 포함한다.
고휘도 방전 벌브(10) 내에는 고전압에 반응하여 발광하는 발광 물질이 봉입되어 있다.
이그니터(20)는 고휘도 방전 벌브(10)가 점등되도록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10에는 이그니터(20)가 고휘도 방전 벌브(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그니터(20)가 고휘도 방전 벌브(10)와 이격 배치된 채 고휘도 방전 벌브(10)와 고압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예도 있다. 이그니터(20)의 일측에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21)가 돌출 형성된다.
하우징(30)은 고휘도 방전 벌브(10)를 고정하며, 하우징(30)에는 고휘도 방전 램프(2)의 타입을 구분하기 위한 홀(32)이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슬릿(31)의 좌측으로 30도 각도에 하나의 홀(32)이 형성된 고휘도 방전 램프(2)는 R 타입으로 통칭된다. 그 밖에 중앙 슬릿(31)의 우측으로 45도 각도에 하나의 홀이 형성된 고휘도 방전 램프는 S 타입으로 통칭되며, 중앙 슬릿(31)의 양측에 각각 홀이 형성된 고휘도 방전 램프는 C 타입으로 통칭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휘도 방전 램프(2)는 고휘도 방전 벌브(10) 이외에 이그니터(20)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특성으로, 고휘도 방전 램프(2)를 광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휘도 방전 벌브(10)와 함께 이그니터(20)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이 요구된다. 특히, 차량용 헤드 램프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에 따른 진동에 의해 이그니터(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그니터(2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위도 방전 벌브 및 이그니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벌브 홀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는, 고휘도 방전(HID, High Intensity Discharge) 벌브 및 상기 고휘도 방전 벌브를 점등하기 위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이그니터를 지지하는 벌브 홀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 방전 벌브가 삽입되는 벌브홀, 상기 벌브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휘도 방전 벌브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향해 반사하는 반사면 및 상기 벌브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그니터의 일측을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을 포함하는 리플렉팅 유닛; 및 상기 리플렉팅 유닛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그니터를 보호하는 이그니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그니터 커버는, 상기 이그니터의 타측을 수용하는 제2 수용홈 및 상기 제2 수용홈으로부터 상기 이그니터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그니터를 상기 제1 수용홈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돌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플렉팅 유닛은, 상기 제1 수용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1 플랜지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그니터 커버는, 상기 제2 수용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레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그니터 커버는 상기 레그가 상기 체결홈에 결합된 채 상기 제2 플랜지가 상기 제1 플랜지의 일면에 밀착되어 상기 리플렉팅 유닛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홈은, 제1 폭을 갖는 수용 슬릿 및 상기 제1 폭 보다 좁은 제2 폭을 갖도록 상기 수용 슬릿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고정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직단 및 상기 수직단의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그니터 커버를 조립 또는 분리 시에는, 상기 수직단 및 상기 수평단이 상기 수용 슬릿을 통과하고, 상기 이그니터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직단은 상기 고정 슬릿을 통과하고 상기 수평단은 상기 제1 플랜지의 이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 슬릿 및 상기 고정 슬릿은 원호(圓弧)를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수직단 및 상기 수평단이 상기 수용 슬릿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이그니터 커버를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직단은 상기 수용 슬릿에서 상기 고정 슬릿으로 이동하고 상기 수평단은 상기 제1 플랜지의 이면을 지지하여, 상기 이그니터 커버가 상기 제1 플랜지에 고정되고, 상기 이그니터 커버가 상기 제1 플랜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그니터 커버를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직단은 상기 고정 슬릿에서 상기 수용 슬릿으로 이동하고 상기 수평단은 상기 수용 슬릿의 하부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그니터 커버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때에 상기 수평단이 상기 수용 슬릿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플랜지의 이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수평단의 일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는, 고휘도 방전(HID, High Intensity Discharge) 벌브 및 상기 고휘도 방전 벌브를 점등하기 위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이그니터를 지지하는 벌브 홀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 방전 벌브가 삽입되는 벌브홀, 상기 벌브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휘도 방전 벌브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향해 반사하는 반사면, 상기 벌브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그니터의 일측을 수용하는 이그니터 수용부를 포함하는 리플렉팅 유닛; 및 상기 이그니터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그니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이그니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그니터 수용부는 원호(圓弧) 형상의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이그니터 커버는 상기 체결홈을 통과하는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이그니터 커버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그는 상기 체결홈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그니터 커버를 상기 이그니터 수용부에 결합하고, 상기 이그니터 커버가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그는 상기 체결홈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그니터 커버와 상기 이그니터 수용부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그니터 수용부는, 상기 이그니터의 일측을 수용하는 제1 수용홈 및 상기 제1 수용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이 형성되는 제1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그니터 커버는, 상기 이그니터의 타측을 수용하는 제2 수용홈 및 상기 제1 플랜지의 일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2 수용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레그가 형성되는 제2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홈은, 제1 폭을 갖는 수용 슬릿 및 상기 제1 폭 보다 좁은 제2 폭을 갖도록 상기 수용 슬릿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고정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직단 및 상기 수직단의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그니터 커버를 조립 또는 분리 시에는, 상기 수직단 및 상기 수평단이 상기 수용 슬릿을 통과하고, 상기 이그니터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직단은 상기 고정 슬릿을 통과하고 상기 수평단은 상기 제1 플랜지의 이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그니터 커버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때에 상기 수평단이 상기 수용 슬릿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플랜지의 이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수평단의 일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그니터 커버는, 상기 제2 수용홈으로부터 상기 이그니터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그니터를 상기 제1 수용홈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이그니터 커버를 리플렉팅 유닛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이그니터를 리플렉팅 유닛 측으로 가압시켜 고정하므로 벌브 홀딩 장치 내에 이그니터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별도의 스크류와 같은 결합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이그니터 커버를 회전 방식으로 결합/해제할 수 있으므로, 조립 및 분해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이 경감된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고휘도 방전 램프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의 리플렉팅 유닛의 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의 리플렉팅 유닛의 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의 이그니터 커버의 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의 이그니터 커버의 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이그니터 커버의 레그가 리플렉팅 유닛의 체결홈에 조립/분리되는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이그니터 커버의 레그가 리플렉팅 유닛의 체결홈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의 이그니터 커버와 리플렉팅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의 A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고휘도 방전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고휘도 방전 램프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1)는 내부에 고휘도 방전 램프(10, 20, 21)를 장착하여 고정시킨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휘도 방전 벌브(10)와 이그니터(20)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타입을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1)는 리플렉팅 유닛(100)과 이그니터 커버(2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렉팅 유닛(100)은 고휘도 방전 벌브(10)와 이그니터(20)의 일측을 지지하고, 이그니터 커버(200)은 리플렉팅 유닛(100)의 후단에 결합되어 이그니터(20)의 타측을 지지한다.
리플렉팅 유닛(100) 및 이그니터 커버(2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의 리플렉팅 유닛의 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의 리플렉팅 유닛의 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렉팅 유닛(100)은 중앙에 형성된 벌브홀(120)을 중심으로 벌브홀(120)의 전방에는 반사면(113)이 형성된 반사경(110)이 형성되고, 벌브홀(120)의 후방에는 이그니터(20)의 일측을 수용하는 이그니터 수용부(130)가 형성된다.
이그니터 수용부(130)는 제1 케이싱(131)과, 제1 케이싱(131)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랜지(132)를 포함한다.
제1 케이싱(131)은 벌브홀(12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안착면(131a)과 안착면(131a)과 대략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 측면(131b)을 포함한다. 제1 케이싱(131)은 후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제1 케이싱(131)의 내부에는 벌브홀(120)과 연통되는 제1 수용홈(138)이 형성된다.
제1 케이싱(131)의 안착면(131a) 상에는 고휘도 방전 램프(2, 도 10 참고)의 하우징(30, 도 10 참고)에 형성되는 홀(32, 도 10 참고) 및 중앙 슬릿(31, 도 10 참고)에 대응하는 피팅 돌기(139)가 형성된다. 고휘도 방전 램프(2)의 하우징(30)에 형성되는 홀(32)은 고휘도 방전 램프(2)의 타입(R, S, C)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고휘도 방전 램프의 타입에 따라 안착면(131a)에는 한 개 이상의 피팅 돌기(139)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면(131b)은 제1 수용홈(138)이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도록 안착면(131a)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제1 측면(131b)의 일측에는 제1 측면홈(133)이 형성된다.
제1 측면홈(133)은 이그니터(20)의 수용 여부/수용 상태를 확인하는 윈도우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고휘도 방전 램프(2)를 벌브 홀딩 장치(1)로부터 제거할 때 이그니터(20)의 측면을 파지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플랜지(132)는 제1 측면(131b)과 대략 수직하도록 제1 측면(131b)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제1 플랜지(132)는 대략 원형의 외곽 라인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제1 측면홈(133)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플랜지홈(137)이 형성된다. 제1 플랜지홈(137)은 이그니터(20, 도 1 참고)의 단자(21, 도 1 참고)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한다(도 1 참고).
제1 플랜지(132)는 방사형으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체결홈(136)이 형성된다. 체결홈(136)은 이그니터 커버(200)와 리플렉팅 유닛(100)의 조립을 위한 구성이다.
체결홈(136)은 제1 폭을 갖는 수용 슬릿(134)과 제2 폭을 갖는 고정 슬릿(135)을 포함한다. 수용 슬릿(134)과 고정 슬릿(135)은 원호(圓弧)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슬릿(135)의 폭(제2 폭)은 수용 슬릿(134)의 폭(제1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고정 슬릿(135)은 수용 슬릿(134)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고정 슬릿(135)의 폭이 수용 슬릿(134)의 것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고정 슬릿(135)과 수용 슬릿(134)의 연결부분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는 고정 슬릿(135)과 수용 슬릿(134)의 연결부분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110)은 벌브홀(120)의 전방에 포물선 또는 타원형의 쉘 타입의 구조로 형성된다. 반사경(110)의 내측면에는 반사면(113)이 형성된다.
반사면(113)은 알루미늄, 크롬 등의 반사율이 우수한 재질이 증착, 도금 또는 코팅 등에 의한 방식으로 도포될 수 있다. 반사면(113)은 고휘도 방전 벌브(10)에서 방출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켜 소정이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110)의 전단에는 반사경(110)을 별도의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111) 및 스크류홀(112)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1)가 차량용 헤드 램프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고정편(111) 및 스크류홀(112)은 헤드 램프 모듈의 하우징에 결합되어 벌브 홀딩 장치(1)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의 이그니터 커버의 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의 이그니터 커버의 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1)의 이그니터 커버(200)는, 제2 케이싱(210), 제2 플랜지(220) 및 레그(224)를 포함한다.
제2 케이싱(210)은 제2 플랜지(22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213)과, 제2 측면(213)에 대략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압면(212)을 포함한다. 제2 케이싱(210)은 전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제2 케이싱(210)의 내부에는 이그니터(20, 도 1 참고)의 타측을 수용하는 제2 수용홈(211)이 형성된다. 제2 케이싱(210)은 제2 수용홈(211)이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면(212)의 외부 모서리 라인은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이그니터 커버(200)를 조립/분해함에 있어 작업자의 파지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면(213)의 일측에는 제2 측면홈(214)이 형성된다.
제2 측면홈(214)은 제1 측면홈(133)과 함께 이그니터(20)의 수용 여부/수용 상태를 확인하는 윈도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 측면홈(214)은 제1 플랜지홈(137)과 함께 이그니터(20, 도 1 참고)의 단자(21, 도 1 참고)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도 1 참고).
가압면(212)에는 가압 돌기(230)가 형성된다.
가압 돌기(230)는 제2 수용홈(211) 내에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가압 돌기(230)는 이그니터 커버(200)가 리플렉팅 유닛(100)과 결합한 상태에서 이그니터(20)의 타단을 가압하여 이그니터(20)를 제1 수용홈(138)의 안착면(131a)에 밀착 시키고, 이그니터(20)가 벌브 홀딩 장치(1)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가압 돌기(230)가 이그니터(20)를 안정적으로 가압 및 지지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돌기(230)는 삼각형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가압 돌기(230)는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원형의 배치를 이룰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랜지(220)는 대략 원형의 외곽 라인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 플랜지(13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랜지(220)의 일측에는 제2 측면홈(214)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플랜지홈(225)이 형성된다. 제2 플랜지홈(225)은 이그니터(20, 도 1 참고)의 단자(21, 도 1 참고)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한다(도 1 참고).
이그니터 커버(200)가 리플렉팅 유닛(1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플랜지홈(225)은 제1 플랜지홈(137)과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고). 이 경우, 작업자는 제1 플랜지홈(137)과 제2 플랜지홈(225)의 정렬 상태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이그니터 커버(200)가 제대로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플랜지(220)의 이면에는 복수 개의 레그(224)가 돌출 형성된다. 복수 개의 레그(224)는 제1 플랜지(132)의 체결홈(136)과 일대일 대응되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레그(224)는 제2 플랜지(220)의 이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직단(221)과 수직단(2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평단(222)을 포함한다.
수직단(221)은 제2 플랜지(220)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형성되고, 수평단(222)은 수직단(221)에 대해 대략 수직하도록 수직단(221)의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레그(224)는 대략 L자 형상을 갖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단(222)은 일측에 경사면(223)이 형성된 비대칭 구조로 형성된다. 경사면(223)은 이그니터 커버(220)를 리플렉팅 유닛(10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레그(224)가 체결홈(136)에 원활하게 맞물리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의 구성들을 바탕으로 리플렉팅 유닛(100)과 이그니터 커버(200)의 조립/분리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이그니터 커버의 레그가 리플렉팅 유닛의 체결홈에 조립/분리되는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리플렉팅 유닛(100)의 전방에서 제1 플랜지(132)를 바라본 단면도로서, 제1 케이싱(131)의 제1 측면(131b)을 단면 처리한 뷰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그니터 커버(200)를 리플렉팅 유닛(100에 조립하거나 분리하는 때에, 레그(224)는 체결홈(136)의 수용 슬릿(134)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 슬릿(134)의 폭(제1 폭)은 레그(244)의 수평단(222) 및 수직단(221)이 함께 진입하기에 용이한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이그니터 커버의 레그가 리플렉팅 유닛의 체결홈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역시 리플렉팅 유닛(100)의 전방에서 제1 플랜지(132)를 바라본 단면도로서, 제1 케이싱(131)의 제1 측면(131b)을 단면 처리한 뷰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그니터 커버(200)가 리플렉팅 유닛(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레그(224)가 체결홈(136)의 고정 슬릿(135)에 맞물리게 된다.
구체적으로, 레그(224)의 수직단(221)은 고정 슬릿(135)을 통과하고, 수평단(222)은 제1 플랜지(132)의 이면에 밀착된다.
이를 위해 고정 슬릿(135)의 폭(제2 폭)은 수직단(221)의 것과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양자의 폭은 헐거운 끼워 맞춤 또는 중간 끼워 맞춤이 가능한 공차 범위에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단(222)과 제2 플랜지(220)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제1 플랜지(132)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양자는 중간 끼워 맞춤 또는 억지 끼워 맞춤이 가능한 공차 범위에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그니터 커버(200)는 도 6의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 7의 상태가 된다.
즉, 이그니터 커버(200)는 수직단(221)이 수용 슬릿(134)에서 고정 슬릿(135)으로 이동함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수직단(221)이 고정 슬릿(135)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평단(222)도 함께 이동하지만 고정 슬릿(135)의 폭이 수용 슬릿(134)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수평단(222)은 제1 플랜지(132)의 이면에 밀착된다. 동시에 제2 플랜지(220)는 제1 플랜지(132)의 일면에 밀착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홀딩 장치의 이그니터 커버와 리플렉팅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의 A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132)는 수평단(222)과 제2 플랜지(220) 사이에 맞물려, 이그니터 커버(200)가 제1 플랜지(132)에 결합되는 고정력을 제공한다.
한편, 수평단(222)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223)은, 수평단(222)이 수용 슬릿(134)의 하부에서 제1 플랜지(132)의 이면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수평단(22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즉, 수평단(222)은 제1 플랜지(132)가 수평단(222)과 제2 플랜지(220) 사이로 진입하도록 안내하는 역할과 동시에 수평단(222)을 제2 플랜지(220)에 대해 미소하게 확개되며 제1 플랜지(132)를 가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그니터 커버(200)를 리플렉팅 유닛(1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7의 상태에서 이그니터 커버(2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6의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직단(221)은 고정 슬릿(135)에서 수용 슬릿(134)으로 이동하고, 수평단(222)은 제1 플랜지(132)의 이면에서 수용 슬릿(134)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단(221) 및 수평단(222)은 수용 슬릿(134)을 통해 제1 플랜지(132)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위치에 오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벌브 홀딩 장치 2: 고휘도 방전 램프
10: 벌브 20: 이그니터
21: 단자 30: 하우징
31: 중앙 슬릿 32: 홀
100: 리플렉팅 유닛 110: 반사경
111: 고정편 112: 스크류홀
113: 반사면 120: 벌브홀
130: 이그니터 수용부 131: 제1 케이싱
131a: 안착면 131b: 제1 측면
132: 제1 플랜지 133: 제1 측면홈
134: 수용 슬릿 135: 고정 슬릿
136: 체결홈 137: 제1 플랜지홈
138: 제1 수용홈 139: 피팅 돌기
200: 이그니터 커버 210: 제2 케이싱
211: 제2 수용홈 212: 가압면
213: 제2 측면 214: 제2 측면홈
220: 제2 플랜지 221: 수직단
222: 수평단 223: 경사면
224: 레그 225: 제2 플랜지홈
230: 가압 돌기

Claims (10)

  1. 고휘도 방전(HID, High Intensity Discharge) 벌브 및 상기 고휘도 방전 벌브를 점등하기 위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이그니터를 지지하는 벌브 홀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 방전 벌브가 삽입되는 벌브홀, 상기 벌브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휘도 방전 벌브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향해 반사하는 반사면 및 상기 벌브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그니터의 일측을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을 포함하는 리플렉팅 유닛; 및
    상기 리플렉팅 유닛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그니터를 보호하는 이그니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그니터 커버는,
    상기 이그니터의 타측을 수용하는 제2 수용홈 및
    상기 제2 수용홈으로부터 상기 이그니터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그니터를 상기 제1 수용홈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돌기를 포함하는, 벌브 홀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팅 유닛은,
    상기 제1 수용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1 플랜지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그니터 커버는,
    상기 제2 수용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레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그니터 커버는 상기 레그가 상기 체결홈에 결합된 채 상기 제2 플랜지가 상기 제1 플랜지의 일면에 밀착되어 상기 리플렉팅 유닛에 고정되는, 벌브 홀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제1 폭을 갖는 수용 슬릿 및 상기 제1 폭 보다 좁은 제2 폭을 갖도록 상기 수용 슬릿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고정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직단 및 상기 수직단의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그니터 커버를 조립 또는 분리 시에는, 상기 수직단 및 상기 수평단이 상기 수용 슬릿을 통과하고,
    상기 이그니터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직단은 상기 고정 슬릿을 통과하고 상기 수평단은 상기 제1 플랜지의 이면에 지지되는, 벌브 홀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슬릿 및 상기 고정 슬릿은 원호(圓弧)를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수직단 및 상기 수평단이 상기 수용 슬릿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이그니터 커버를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직단은 상기 수용 슬릿에서 상기 고정 슬릿으로 이동하고 상기 수평단은 상기 제1 플랜지의 이면을 지지하여, 상기 이그니터 커버가 상기 제1 플랜지에 고정되고,
    상기 이그니터 커버가 상기 제1 플랜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그니터 커버를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직단은 상기 고정 슬릿에서 상기 수용 슬릿으로 이동하고 상기 수평단은 상기 수용 슬릿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벌브 홀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그니터 커버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때에 상기 수평단이 상기 수용 슬릿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플랜지의 이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수평단의 일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벌브 홀딩 장치.
  6. 고휘도 방전(HID, High Intensity Discharge) 벌브 및 상기 고휘도 방전 벌브를 점등하기 위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이그니터를 지지하는 벌브 홀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 방전 벌브가 삽입되는 벌브홀, 상기 벌브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휘도 방전 벌브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향해 반사하는 반사면, 상기 벌브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그니터의 일측을 수용하는 이그니터 수용부를 포함하는 리플렉팅 유닛; 및
    상기 이그니터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그니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이그니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그니터 수용부는 원호(圓弧) 형상의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이그니터 커버는 상기 체결홈을 통과하는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이그니터 커버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그는 상기 체결홈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그니터 커버를 상기 이그니터 수용부에 결합하고,
    상기 이그니터 커버가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그는 상기 체결홈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그니터 커버와 상기 이그니터 수용부의 결합을 해제하는 벌브 홀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그니터 수용부는,
    상기 이그니터의 일측을 수용하는 제1 수용홈 및
    상기 제1 수용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이 형성되는 제1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그니터 커버는,
    상기 이그니터의 타측을 수용하는 제2 수용홈 및
    상기 제1 플랜지의 일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2 수용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레그가 형성되는 제2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벌브 홀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제1 폭을 갖는 수용 슬릿 및 상기 제1 폭 보다 좁은 제2 폭을 갖도록 상기 수용 슬릿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고정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직단 및 상기 수직단의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그니터 커버를 조립 또는 분리 시에는, 상기 수직단 및 상기 수평단이 상기 수용 슬릿을 통과하고,
    상기 이그니터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직단은 상기 고정 슬릿을 통과하고 상기 수평단은 상기 제1 플랜지의 이면에 지지되는, 벌브 홀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그니터 커버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때에 상기 수평단이 상기 수용 슬릿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플랜지의 이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수평단의 일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벌브 홀딩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그니터 커버는, 상기 제2 수용홈으로부터 상기 이그니터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그니터를 상기 제1 수용홈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돌기를 더 포함하는, 벌브 홀딩 장치.
KR2020140008425U 2014-11-17 2014-11-17 벌브 홀딩 장치 KR201600017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425U KR20160001780U (ko) 2014-11-17 2014-11-17 벌브 홀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425U KR20160001780U (ko) 2014-11-17 2014-11-17 벌브 홀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780U true KR20160001780U (ko) 2016-05-25

Family

ID=5609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425U KR20160001780U (ko) 2014-11-17 2014-11-17 벌브 홀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78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8968B1 (en)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JP5616701B2 (ja) 自動車用の照明装置
JP2008276956A (ja) 車両用前照灯
JP2016512385A (ja) 自己配置光源モジュール
KR101174597B1 (ko) 차량용 전조등
KR20160116575A (ko) 차량용 램프
KR20140107950A (ko) 차량용 램프
JP5845050B2 (ja) 車両用灯具
KR20160001780U (ko) 벌브 홀딩 장치
CN205208372U (zh) 一种具有分光结构的光线收集装置及前照灯
US7703962B2 (en)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with a reflector compatible with several models of lamp
KR20160077900A (ko) 차량용 램프
JP6425575B2 (ja) ソケットおよび照明器具
JP2761132B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KR102565789B1 (ko) Led 벌브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JP5506445B2 (ja) 車両用灯具
KR102076543B1 (ko) 배광특성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헤드램프
US8356922B2 (en) Reflector lamp used as daytime running lamp
KR200467984Y1 (ko) 차량용 램프
KR102042227B1 (ko) 자동차용 코너 램프
KR102220808B1 (ko) 차량용 램프
JP2011238391A (ja) リフレクタおよび照明装置
JPH09115303A (ja) 車両用の前照灯
JP6111053B2 (ja) 車両用灯具
KR100462998B1 (ko) 차량용 헤드램프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