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275B1 - 무기재 점착필름, 이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제가 적용된 외장재 - Google Patents

무기재 점착필름, 이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제가 적용된 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275B1
KR101171275B1 KR1020090108889A KR20090108889A KR101171275B1 KR 101171275 B1 KR101171275 B1 KR 101171275B1 KR 1020090108889 A KR1020090108889 A KR 1020090108889A KR 20090108889 A KR20090108889 A KR 20090108889A KR 101171275 B1 KR101171275 B1 KR 101171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m
acrylate
monomer
meth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2022A (ko
Inventor
이광순
이상훈
문기정
전해상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8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2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연성 아크릴계 단량체와 경성 아크릴계 단량체 및 가교 단량체의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무기재(non-carrier) 점착필름, 이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필름이 적용된 외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무기재 점착필름은 점착제를 구성하는 연성 단량체와 경성 단량체를 적절히 배합하는 것으로 유리전이온도(Tg), 겔 분율을 제어하고, 나아가 점착제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3차원의 다양한 무늬가 에칭된 스테인리스스틸과 같은 기재와 유리와 같은 보호재를 접합하는데 있어 3차원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우수한 전단강도 및 내구신뢰성, 양면 점착 성능을 가지는 점착제를 구현할 수 있다.
무기제 점착제, 점착 테이프, 외장재, 유리전이 온도, 겔 분율.

Description

무기재 점착필름, 이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제가 적용된 외장재{NON-CARRIER FILM TYPE ADHESIVE FILM AND EXTRIOR PANE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기재 점착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성 아크릴계 단량체와 경성 아크릴계 단량체 및 가교 단량체의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무기재 점착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필름이 적용된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소비자들의 미적 취향도 다양화되고 개성화되면서 각종 가구나 전자 제품 등의 구매 시, 제품의 본질적인 기능보다 자신의 성향에 따라 제품의 디자인, 색상 등의 시각적인 아름다움이 소비자에게 더욱 어필되는 경향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냉장고, 김치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을 비롯한 가전 제품이나 장롱, 옷장 등의 가구와 같이 여성이 소비자인 경우, 제품의 외향 이미지가 시장에서 제품 마케팅의 성패를 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 제품들에서는 종래의 통상적인 제품과는 다른 색상, 복잡한 이 미지, 자연스러운 이미지, 고급스러운 이미지 등의 미적인 부분은 물론, 견고함과 같은 실용적인 이미지도 나타나고 있다. 그에 따라 제품의 외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표면에는 유리 또는 강화유리와 같은 보호재를 위치시키고, 그 내부에 이미지가 구현되어 있는 기재를 위치시키는 구조가 선호되고 있다. 이때 기재의 표면에는 직물의 이미지나 금속감의 무늬, 유명화가 및 유명 디자이너의 그림이나 여러 가지 문양, 그 밖의 다양한 색상 등의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재에 표현된 이미지는 스테인리스(SUS), 니켈,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판 또는 호일, PVC나 PET와 같은 고분자 필름 상에 다양한 색상의 잉크로 표현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공보 제2007-118840호는 외 표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층에 여러 무늬의 직물층을 부착하고 그 앞에 유리층을 위치시킴으로써 향상된 제품의 외장 이미지를 가지는 외장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직물층과 유리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직물층이 울거나 온도 및 습도에 의해 컬이 발생될 수 있으며, 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에 에러가 발생하면 직물 층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간격에 변형이 발생하면 간격으로 인해 직물층의 무늬가 이중으로 보여질 수 있는 문제점 등이 있다.
그리고,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292913호에는 건축자재, 가전제품, 자동차 부품 등 일반적인 구조물의 접착 고정을 위해 접착강도가 우수하고, 저장탄성율이 1.0x107~1.0x 104Pa인 0.2~2mm 두께의 양면 점착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건축자재나 자동차 부품 등의 시각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부분에서의 사용 을 위한 것이고, 외장재 점착제로서의 두께로는 지나치게 두껍기 때문에 이러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수치상 수십 ㎛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최근 경량 및 박형화의 추세에는 적당하지 않다.
그리고,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2003-27018호에는 가전제품 등 피착체에 달라붙을 수 있고 사용시의 접착성과 사용 후 재박리성을 용이하게 양립할 수 있는 점착시트를 수득하기 위해,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다른 2 종류의 단량체를 이용하여 블록 공중합체 점착수지로 중합하고, 기재 필름을 수축 필름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은 재박리성이 필요한 보호필름에 적합한 것이므로, 박리가 절대로 일어나서는 안 되는 가구나 가전제품의 외장재로는 적합하지 않다.
기타,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2007-331225호와 제1995-331188호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등의 고분자 필름을 기재를 사용하는 모바일(mobile)용이나 자동차 부품의 고정용 양면점착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양면점착 테이프는 대형사이즈로 하는 경우 열수축팽창이 발생하고 이는 유리, 스테인리스층, 직물층 등의 외장재의 다른 재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서 치수안정성의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들은 모두 외장재로서 사용되기에는 상술한 단점이 있어 적합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얇으면서 내구신뢰성이 우수하고 전단강도가 우수한 점착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상기 특성 이외에도 다양한 기재에 표현된 이미지들의 미적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일정 범위의 점착제 두께 조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얇으면서 내구신뢰성이 우수하고 전단강도가 우수한 무기재 점착필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무기재 점착필름의 양면에 박리력이 상이한 보호 시트가 더 구비된 무기재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필름형 무기제 점착제를 적용한 외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기재 점착필름은 중합체의 유리전이 온도가 0℃ 이하인 연성 아크릴계 단량체 50 내지 90중량%에 대하여; 중합체의 유리전이 온도가 0℃ 이상인 경성 단량체 1 내지 48중량%; 및 가교 단량체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다.
상기 아크릴계 연성 단량체는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상기 경성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 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상기 가교 단량체는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및 질소를 함유하는 단량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상기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가 -20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는 -20 내지 -5℃, 겔분율은 40 내지 80%, 점착제의 두께는 18~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기재 점착필름 상기 무기재 점착필름의 양면에 각각 서로 박리력이 상이한 보호 시트가 더 구비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발명의 외장재는 투명성 보호재; 표면에 이미지가 구현되어 있는 기재; 및 상기 기재와 상기 보호재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기재와 상기 보호재를 동시에 점착하는 상기 무기재 점착필름이 적용된 중간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무기재 점착필름는 점착제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다른 연성 단량체와 경성 단량체를 적절히 배합하는 것으로 유리전이온도(Tg), 겔 분율을 제어하고, 나아가 점착제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3차원의 다양한 무늬가 에칭된 스테인리스와 같은 기재와 유리와 같은 보호재를 접합하는데 있어 3차원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우수한 전단강도 및 내구신뢰성, 양면 점착 성능을 가지는 점착제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기재 점착필름는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0℃ 이하인 연성 아크릴계 단량체 50 내지 90중량%에 대하여;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0℃ 이상인 경성 단량체 1 내지 48중량%; 및 가교 단량체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다.
상기에서, 연성 아크릴계 단량체는 본 발명의 점착제에 유연성과 점착력을 부여한다. 이러한 목적으로는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상기 경성 아크릴계 단량체는 본 발명의 점착제에 응집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 단량체는 연성 단량체와 경성 단량체를 공중합하는데 이용된다. 이 목적으로는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및 질소를 함유하는 단량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이때, 상기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 트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상기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또는 푸마르산 등이 있고, 상기 질소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아크릴 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 등이 사용된다. 이상의 가교단량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점착제의 기재에 대한 충진성은 점착제의 응집력 또는 점착제의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 점착제의 응집력이 높아지면 기재 표면의 굴곡에 대한 젖음성 즉 충진성이 낮아지게 되고 그 결과 기재에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 특성을 잘 표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기재에 대한 충진성은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와 점착 필름의 두께 관리로 요구하는 특성을 달성 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는 -20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유리전이 온도(Tg)는 -20℃이상이 되어야 점착제의 응집력이 높아져 우수한 전단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유리전이 온도가 -20℃ 미만이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낮아져 기재 굴곡에 대한 충진성이 높아지므로 스테인리스와 같은 기재상에 미적 부분을 표현하기 위해 디자인된 3차원적인 이미지 표현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유리전이온도가 -5℃이상이면 기재에 대한 밀착력이 떨어져 높은 전단강도를 가질 수 없게 된다..
공중합체의 Tg를 -20℃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각 단량체의 유형 및 중합 비율을 적당히 선택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에서 택특성(점착제의 끈적끈적한 정도)은 점착제를 이루는 단량체 성분 중에서 연성 단량체와 경성 단량체의 배합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연성 단량체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점착제의 유리전이온도가 낮아지고 택특성이 증가하게 되며 경성 단량체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점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가 높아지고 택 특성이 낮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겔분율의 경우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측정되는 겔 분율이 40 내지 80% 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1]
겔 분율 = m/M *100 (이때, M은 점착제 전체 질량이고, m은 점착제 중 겔화된 부분의 질량이다).
상기 식에서, 점착제의 겔 분율이 40%미만이 되면 장 시간이 경과하거나 고온의 경우 응집력이 떨어질 수 있어서 전단강도가 감소되므로 목적하는 위 조건들을 달성할 수 없다. 또한, 겔 분율이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재에 대한 밀착력이 저하되어 전단 강도가 감소하는 문제점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기재에 대한 충진성은 점착제의 응집력 뿐만 아니라 점착제 두께에도 많은 영향을 받게 되는데, 무기재 점착필름의 두께는 18~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두께가 18㎛ 이하일 경우에는 충진성 보다 내구성 또는 전단강도 특성이 떨어져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며, 점착제의 두께가 40㎛ 이상일 경우에는 3차원적인 이미지 굴곡을 충진하게 되어 원하고자 하는 이미지 표현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무기재 점착필름는 점착제의 양면에 필름형 점착제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면서 각각 서로 박리력이 상이한 보호 시트가 더 구비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가 양면 점착 성능을 가지므로, 필름형 점착제를 보호하는 양 시트의 박리력이 동일하게 되면 하나의 시트를 박리할 때 다른 시트도 박리되는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박리력 차이는 경박리 시트의 경우 낮을수록 좋으며 중박리 시트의 경우 높을수록 우수하다. 경박리 시트의 경우 박리력(180°로 각각의 시트를 제거할 때 소요된 힘) 이 1~10g/inch, 중박리 시트의 경우 2~30g/inch정도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투명성 보호재; 표면에 이미지가 구현되어 있는 기재; 및 상기 기재와 상기 보호재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기재와 상기 보호재를 동시에 점착하는 점착필름이 구비된 외장재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보호재는 유리 또는 강화 유리로 이루어져, 기재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가구나 가전 제품 등에 시각적 아름다움을 부가한다. 투명성 보호재로서는 유리나 강화유리, 고분자 필름, 금속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재의 표면에는 2차원 또는 3차원적인 다양한 이미지가 구현되어 있으며, 그 재질로는 스테인리스(SUS)나 금속판, 또는 고분자 필름 등이 사용된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점착제 공중합체(아크릴 공중합체) 제조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및 질소 주입 장치가 구비된 500ml의 화학 반응기에, 연성 단량체, 경성 단량체 및 가교 단량체를 하기 표1에 기재된 함량으로 순서대로 도입하고, 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 100g을 가하고 반응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니트릴(AIBN) 0.02g을 첨가 한 후, 질소 기류 하에서 55℃에서 15 시간 동안 중합 반응시켰다. 반응 완결 후 중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 200g를 첨가하여 희석하여 목적하는 아크릴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구분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연성 단량체 n-BA
75g
n-BA
75g
n-BA
75g
n-BA
99g
n-BA
86g
경성 단량체 MA 20g MA
20g
MA
20g
- MA 10g
가교 단량체 AA 5g AA 4g
4-HBA 1g
AA 4g
4-HBA 1g
4-HBA 1g AA 4g
가교제(HDI) 2g 2g 0.8g 2g 4g
유리전이 온도, Tg(℃) -15 -16 -16 -40 -25
n-BA : n-부틸아크릴레이트
MA : 메틸 아크릴레이트
AA : 아크릴 산
4-HBA : 2-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HDI :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 점착필름의 제조
수득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프리폴리머(HDI) 2.0 중량부를 투입하고 적정한 농도로 희석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중박리 시트로 2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품명 RPC-101, (주)도레이새한)의 실리콘 이형코팅면에 코팅하여 건조하여, 표2에 기재된 두께로 균일한 필름형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이후에 필름형 점착제에 경박리 시트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품명 RPS-101, (주)도레이새한)로 합지한 후, 상온에서 7일간 보관하여 충분히 숙성하여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를 완성하였다.
여기서, 경박리와 중박리 시트는 필름형 점착제의 양면을 각각 보호하는 보호 시트인데, 서로 박리력이 차이가 나도록 구비된다. 이는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가 양면 점착 성능을 가지므로, 필름형 점착제를 보호하는 양 시트의 박리력이 동일하게 되면 하나의 시트를 박리할 때 다른 시트도 박리되는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박리력 차이는 경박리 시트의 경우 낮을수록 좋으며 중박리 시트의 경우 높을수록 우수하다. 경박리 시트의 경우 1~10g/inch, 중박리 시트의 경우 2~30g/inch 정도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구분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실시예1 25㎛ - - -
실시예2 30㎛ - - -
실시예3 35㎛ - - -
실시예4 - 25㎛ - -
실시예5 - 30㎛ - -
실시예6 - 35㎛ - -
비교예1 15㎛ - - -
비교예2 50㎛ - - -
비교예3 - 15㎛ - -
비교예4 - 50㎛ - -
비교예5 - - 25㎛ -
비교예6 - - - 25㎛ -
비교예7 - 25㎛
3.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평가
이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3, 그리고 비교예 1 및 2 에서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충진성, 겔 함량, 전단강도, 박리강도를 평가하여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3.1. 내충진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6 에서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에서 경박리 시트를 제거한 후, 200mm x 200mm 사이즈의 강화유리에 적층하여 외장재 반제품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외장재 반제품에서 중박리 시트를 제거한 후, 무늬가 에칭된 스테인리스에 적층한 다음 60℃ 온도 조건, 0.5MPa의 압력 조건 하에서 1 시간 동안 오토클레이브 처리한 다음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에칭된 부분을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필름형 점착제가 에칭 무늬에 충진되었는지 여부를 아래와 같이 판단하였다.
○ : 필름형 점착제가 에칭 자국에 충진되지 않은 상태
△ : 필름형 점착제가 에칭 자국에 일부 충진된 상태
X : 필름형 점착제가 에칭 자국에 충진 된 상태
3.2. 유리전이 온도 측정(Tg)
제조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를 제작한 후 점착제 약 0.05g을 취하여 -100에서 30℃까지 10℃씩 온도를 상승해가면서 점착제에 대한 유리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Netzsch社, DSC 200 F3).
3.3. 겔 함량 측정
앞서 개시한 바와 같이, 겔 분율은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측정되나, 점착제에서 용해되지 않은 수지의 질량(m)을 직접 구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아래와 같이 제조된 점착제를 용해시킨 후, 이를 필터로 여과시키고, 겔화된 수지가 걸러진 필터의 무게(m)에서 사용한 필터의 무게 (F)를 차감하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6, 그리고 비교예 1 내지 6 에서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 약 0.2g을 취하여 200메쉬 스테인레스 망에 보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EtAc) 50g을 첨가하고 3일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용해되지 않고 겔 상태로 남아있는 성분을 걸러내었다. 그리고 100℃ 오븐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하고 난 수학식 1의 잔류 질량을 측정하고 초기의 질량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구하였다.
3.4. 박리강도 평가
실시예 1 내지 6, 그리고 비교예 1 내지 6 에서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에서 경박리 시트를 제거 한 후 100㎛ PET 필름에 적층하고, 상온에서 2일간 방치하였다. 그 후, 적층 필름을 폭 25mm로 절단하였다. 그리고 비-알칼리성 유리판에 2kg 롤로 1회 왕복하여 부착시켰다. 그 후, 50℃ 온도 조건, 0.5MPa 압력 조건하에서 30분 동안 오토클레이브 처리 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켐인스트루먼트(ChemInstruments)사의 AR-1000를 사용하여 박리각도를 180°로 하고, 박리속도를 300mm/min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3.5. 전단강도 평가
실시예1 내지 6, 그리고 비교예1 내지 6 에서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에서 경박리 시트를 제거한 후 100㎛ PET 필름에 적층하고, 상온에서 2일간 방치하였다. 그 후, 적층 필름을 가로와 세로 모두 1inch로 절단하였다. 그리고 비-알칼리성 유리판에 2kg 롤로 1회 왕복하여 부착시켰다. 그 후 50℃ 온도조건, 0.5MPa 압력조건 하에서 30분 동안 오토클레이브 처리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인스트론 측정장비를 사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이상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물성평가 결과를 아래의 표3에 정리하였다.
구분 유리전이온도
(℃)
내충진성
(%)
Gel분율
(%)
전단강도
(N/inch2)
박리강도
(N/inch2)
실시예1 -15 50 370 17.4
실시예2 430 18.2
실시예3 453 19.9
실시예4 -16 49 331 16.6
실시예5 422 17.5
실시예6 440 19.0
비교예1 -15 56 231 15.3
비교예2 X 531 23.1
비교예3 -16 49 253 14.1
비교예4 X 542 21.9
비교예5 X 25 201 16.2
비교예6 -40 X 34 176 10.2
비교예7 -25 X 85 287 14.4
상기 표3의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리 전이 온도가 -20℃이상이며 Gel 분율이 40% 이상 일 때 기재에 대한 내충진성이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1 내지 4의 필름형 점착제는 유리전이온도는 -20℃ 이상이나 점착두께 때문에 내충진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비교예6 및 7을 통해서는 적정 범위의 두께를 가지더라도 유리전이온도가 낮을 경우 내충진성이 떨어지는 것을 또한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겔 함량의 경우 비교예 5를 통해 40% 이하의 값을 가질 때나 비교에 7을 통해 80% 이상의 Gel 분율을 가질 때 내충진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에 의해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는 유리전이 온도 및 점착제 두께 조절로 내충진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12)

  1. 중합체의 유리전이 온도가 0℃ 이하인 연성 아크릴계 단량체 50 내지 90중량%에 대하여; 중합체의 유리전이 온도가 0℃ 이상인 경성 단량체 1 내지 48중량%; 및 가교 단량체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서, 유리전이온도(Tg)가 -20 내지 -5℃인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무기재 점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연성 단량체는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무기재 점착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성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무기재 점착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단량체는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및 질소를 함유하는 단량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무기재 점착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무기재 점착필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및 푸마르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무기재 점착필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아크릴 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및 N-비닐 카프로락탐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무기재 점착필름.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필름의 두께가 18㎛ 내지 40㎛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무기재 점착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측정되는 겔 분율이 4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무기재 점착필름:
    [수학식 1]
    겔 분율 = m/M *100 (이때, M은 공중합체 전체의 질량이고, m은 공중합체 중 겔화된 부분의 질량이다).
  11.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무기재 점착필름의 양면에 각각 서로 박리력이 상이한 보호 시트가 더 구비되어 있는 무기재 점착필름.
  12. 투명성 보호재;
    표면에 이미지가 구현되어 있는 기재; 및
    상기 기재와 상기 보호재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기재와 상기 보호재를 동시에 점착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무기재 점착필름이 적용된 중간재를 구비한 외장재.
KR1020090108889A 2009-11-12 2009-11-12 무기재 점착필름, 이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제가 적용된 외장재 KR101171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889A KR101171275B1 (ko) 2009-11-12 2009-11-12 무기재 점착필름, 이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제가 적용된 외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889A KR101171275B1 (ko) 2009-11-12 2009-11-12 무기재 점착필름, 이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제가 적용된 외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022A KR20110052022A (ko) 2011-05-18
KR101171275B1 true KR101171275B1 (ko) 2012-08-07

Family

ID=4436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889A KR101171275B1 (ko) 2009-11-12 2009-11-12 무기재 점착필름, 이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제가 적용된 외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2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997B1 (ko) * 2018-12-14 2020-11-0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점착보호필름,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재료 및 전자 부품
KR102368879B1 (ko) * 2020-04-28 2022-03-03 주식회사 영우 가전 제품 외장 유리용의 무기재 양면 점착테이프용 조성물, 양면 점착테이프 및 데코레이션 점착 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2710A (ja) 1996-12-27 1998-07-07 Nippon Shokubai Co Ltd (メタ)アクリ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並びに上記重合体を含む粘着剤組成物
KR101071103B1 (ko) * 2008-12-29 2011-10-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필름형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2710A (ja) 1996-12-27 1998-07-07 Nippon Shokubai Co Ltd (メタ)アクリ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並びに上記重合体を含む粘着剤組成物
KR101071103B1 (ko) * 2008-12-29 2011-10-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필름형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022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388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EP2644670B1 (en) Double-sided adhesive sheet and display device for touch panel including same
KR101548411B1 (ko) 고온에서의 박리성이 우수한 광학용 점착 필름
JP7158385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フィルム
WO2011129200A1 (ja) 透明両面粘着シート
EP2557486B1 (en) Adhesive film for a touch panel, and touch panel
EP2557135B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JP6554377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CN110105896A (zh) 一种曲面屏幕保护膜及其制备方法
TW201910118A (zh) 光學透明黏著片、積層體以及貼合結構體
KR20150093108A (ko) 양면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N112552842A (zh) 一种丙烯酸酯压敏胶粘剂的制备方法及应用
KR101504535B1 (ko) 비산방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6561A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가 부착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1071103B1 (ko) 필름형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
JP2002372619A (ja) 電子ディスプレイ用着色粘着剤付フィルム
KR101171275B1 (ko) 무기재 점착필름, 이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제가 적용된 외장재
JP5997405B1 (ja) 粘着剤組成物及び積層体
TWI470051B (zh) An adhesive composition for a polarizing plate, an adhesive-attached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composition
KR101176424B1 (ko) 무기재 칼라 점착필름
KR101382577B1 (ko) 점착제 조성물, 외장재용 점착제 및 그를 이용한 무기재 양면 점착필름
JP6441018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CN107057586B (zh) 黏着剂组成物、黏着层、光学层合物及电子装置
JP2001354745A (ja) 樹脂組成物、感圧性接着剤およびその用途
JP6920483B2 (ja)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