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907B1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907B1
KR101169907B1 KR1020090040099A KR20090040099A KR101169907B1 KR 101169907 B1 KR101169907 B1 KR 101169907B1 KR 1020090040099 A KR1020090040099 A KR 1020090040099A KR 20090040099 A KR20090040099 A KR 20090040099A KR 101169907 B1 KR101169907 B1 KR 101169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rm
contact portion
conductor
balanced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784A (ko
Inventor
와타루 야마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단자가 두 개의 접촉부에서 확실하게 평형 도체와 접촉할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평형 도체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는 개방 위치로부터 그 평형 도체를 누르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는 가압 부재 (20) 가, 단자 (30) 의 지지부 (32A) 에서 회전 운동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그 가압 부재 (20) 가 폐쇄 위치로 회전 운동하여 평형 도체 (P) 를 누름으로써 단자 (30) 의 접촉부 (33A, 34A) 에 접촉시키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 (30) 는,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접촉 아암에 형성된 제 1 접촉부 (33A) 와, 그 제 1 접촉부 (33A) 보다 기부 (31) 측에 형성된 제 2 접촉부 (34A) 를 갖고, 자유 상태에서, 접촉 아암과 지지부의 대향 방향에서, 제 1 접촉부 (33A) 가 제 2 접촉부 (34A) 보다 지지부 (32A) 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본 발명은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평형 도체로는, 플렉시블 기판 (FPC), 플랫 케이블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평형 도체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평형 도체가 접속되는 커넥터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있다.
이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진 복수의 단자가 그 판면끼리를 평행하게 하여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 단자는 평형 도체의 수용을 위해 형성된 하우징의 개구를 향해 연장되는 접촉 아암 (접촉 스프링편) 을 하방에 그리고 지지 아암을 상방에 갖고 있다.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는, 평형 도체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는 개방 위치로부터, 수용 후의 평형 도체를 접촉 아암의 접촉부에 누르는 폐쇄 위치로 회전 운동 조작을 받는 가압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도체는 접촉 아암의 접촉부 상에 배치되고, 그런 후, 상기 가압 부재가 폐쇄 위치를 향해 회전 운동 조작을 받는다. 가압 부재가 폐쇄 위치로 회전 운동하면, 평형 도체 는 가압 부재의 가압부에서 가압력을 받아 접촉 아암의 접촉부와 접압 (接壓) 을 갖고 접촉한다.
이와 같은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각 단자는 접촉 아암을 1 개 갖고 있으나, 평형 도체와의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이 접촉 아암의 연장 방향의 2 위치에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43827호
접촉 아암은 접촉부에서의 접압 그리고 접촉 확실성 확보의 요청 면에서, 접촉부의 위치에서의 탄성 휨량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이 접촉부는 접촉 아암의 선단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양 접촉부는 서로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어 일체적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특허 문헌 1 에서는, 1 개의 접촉 아암에 형성된 2 개의 접촉부는 평형 도체의 삽입시에 거의 동시에 그 평형 도체와 접촉하고, 가압 부재로부터의 가압력을 그 평형 도체를 통해 받으면, 동시에 그리고 거의 동일한 양만큼 탄성 변위된다.
이는, 만일 설계에 실수가 있거나 제조 오차가 있어, 평형 도체에 대한 2 개의 접촉부의 상대 위치가 적정하지 않을 때에는, 일방의 접촉부는 평형 도체와 소정의 접압을 갖고 접촉하였다고 해도, 타방의 접촉부에서의 접압이 불충분하고 그 때문에 접촉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2 개의 접촉부가 서로 독립된 부분에 형성되고, 양 접촉부가 평형 도체와의 사이에서 충분하고 확실한 접촉압을 얻을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진 복수의 단자가 그들의 판면끼리를 평행하게 하여 하우징에 의해 배열 유지되고, 각 단자는 하우징 에 장착되기 위한 피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부 (基部) 로부터 연장되는 접촉 아암을 갖고, 그 접촉 아암과 이것에 나란히 형성된 지지부 사이의 공간에서, 하우징 밖에서 삽입되는 평형 도체의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게 하고 있고, 이 상기 공간으로 평형 도체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는 개방 위치로부터 그 평형 도체를 누르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는 가압 부재가, 상기 지지부에서 회전 운동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그 가압 부재가 폐쇄 위치로 회전 운동하여 평형 도체를 누름으로써 그 접촉부에 접촉시키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단자는,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접촉 아암에 형성된 제 1 접촉부와, 그 제 1 접촉부보다 기부측에 형성된 제 2 접촉부를 갖고, 자유 상태에서, 접촉 아암과 지지부의 대향 방향에서, 제 1 접촉부가 제 2 접촉부보다 지지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도체가 상기 지지부와 접촉 아암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접촉 아암에 형성된 제 1 접촉부는, 이것보다 기부에 형성된 제 2 접촉부에 대해 지지부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평형 도체는 확실하게 제 1 접촉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탑재된다. 그런 후, 가압 부재가 폐쇄 위치를 향해 조작되면, 평형 도체를 통해 제 1 접촉부가 눌려 탄성 변위된다. 이 탄성 변위에 의해, 접촉 아암과 지지부의 대향 방향, 즉 평형 도체의 두께 방향에서 제 1 접촉부는 제 2 접촉부와의 거리를 좁히고, 상기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도달하여 여기서 정지하거나, 혹은 이 위치로부터 제 2 접촉부에도 변위를 초래하게 되어 그 제 2 접촉부와 함께 변위된다. 따라서, 평형 도체는 확실하게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의 양방에 접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지부가 가압 부재로부터의 힘을 받아 탄성 휨 가능한 지지 아암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지지 아암이 탄성 휨을 일으키는 결과, 제 1 접촉부보다 기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접촉부 자체가 탄성 변위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라도, 지지 아암의 탄성 휨에 기초한 지지 아암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제 2 접촉부와의 사이에서 상대적인 탄성 변위를 수반하여 평형 도체와 접촉한다. 따라서, 제 2 접촉부에서도 탄성압을 갖고 평형 도체와 접촉하고, 제 1 접촉부와 더불어 충분한 접압을 확보하고 또한 확실한 접촉을 얻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부의 회전 운동 지지부가, 평형 도체의 삽입 발출 방향에서,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평형 도체는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에 의해 양팔보 대들보상으로 지지되고, 양자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 운동 지지부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가압 부재의 가압부가 평형 도체를 누르면, 상기 평형 도체와 제 1 접촉부 그리고 제 2 접촉부의 접촉이 안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접촉 아암은, 접촉 아암과 지지부의 대향 방향에서, 제 2 접촉 아암보다 먼 위치에서 기부로부터 연장되고, 선단을 향해 지지부에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접촉 아암은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접촉 아암에 형성된 제 1 접촉부와, 그 제 1 접촉부보다 기부측에 형성된 제 2 접촉부를 갖고, 자유 상태에서, 접촉 아암과 지지부의 대향 방향에서, 제 1 접촉부가 제 2 접촉부보다 지지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평형 도체를 통해 눌렸을 때, 평형 도체는 먼저 제 1 접촉부를 탄성 변위시킨 후에 제 2 접촉부와 접촉하게 되고, 충분한 접압을 바탕으로 양 접촉부와 확실하게 접촉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고, 이 커넥터는 하우징 (10) 과, 그 하우징 (10) 내에 삽입되는 평형 도체 (P) 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 (20) 와, 가압된 그 평형 도체 (P) 와 접압을 갖고, 그 평형 도체 (P) 의 하면에 형성된 접속부 (P1) 와 접촉하는 단자 (30) 를 갖고 있다. 그 단자 (30) 는, 지면 (紙面) 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이하, 도 1 에 있어서 지면에 대해 직각 방향을 단자의 배열 방향 혹은 커넥터의 폭 방향이라고 한다).
도 1 에 있어서, 하우징 (10) 은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가로가 긴 직사각형을 이루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하우징 (10) 은, 도 1 에서, 폭 방향으로의 양단에 위치하는 측벽 (11) 부분을 제외하고, 평형 도체 (P) 의 삽입 방향 (A) 과 역방향이 되는 후방 그리고 상방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 (12) 를 형성하고, 이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가압 부재 (20) 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 (10) 내에는, 상기 개구부 (12) 로부터 전방을 향해, 평형 도체 (P) 의 전단 부분을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수용 홈 (12) 이 연장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홈 (12A) 은, 상기 폭 방향으로 단자의 배열 범위에 걸쳐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우징 (10) 은, 도시되지 않은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부위가 되는 저벽 (13) 과, 전부 (前部) 에서 그 저벽 (13) 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상벽 (14) 을 갖고, 저벽 (13) 과 상벽 (14) 사이에 단자 (30) 의 삽입을 위한 슬릿형의 단자 구멍 (15) 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10) 에는, 상기 개구부 (12) 와 수용 홈 (12A) 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자 구멍 (15) 은, 그 이외의 영역이 되는 전단측, 저벽 (13) 측 그리고 상벽 (14) 측으로 형성되게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자 (30) 가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만들어지고, 그 판면이 지면과 평행해지도록 배열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자 구멍 (15) 은, 이 단자 (30) 의 판 두께에 상당하는 슬릿 폭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의 슬릿의 내폭 치수) 을 갖고,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 (20) 는, 하우징 (10) 과 동일한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그 하우징 (10) 의 개구부 (12) 에 위치하여 그 개구부 (12) 의 폭 방향 범위에 걸쳐 이루어져 있다. 그 가압 부재 (20) 는, 그 가압 부재 (20) 가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하우징 (10) 의 상벽 (14)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조작부 (21) 와, 그 조작부 (21) 보다 하방에서 하우징 (10) 의 개구부 (12) 내에 위치하는 홈부 (22) 와, 그 홈부 (22) 내에서 섬상으로 형성되는 피 지지부 (23) 를 갖고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압 부재 (20) 의 폭 방향의 양단에는 회전 운동을 지지하는 양단 축부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 (21) 는, 가압 부재 (20) 를 도 1 의 개방 위치에서 도 2 의 (B) 의 폐쇄 위치로 회전 운동시키기 위해 조작자가 손가락을 걸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이 조작부 (21) 의 하단 좌측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상기 홈부 (22) 와 피지지부 (23) 가 형성되어 있고, 조작부 (21) 의 하단 우측부는 단부면을 형성하고 있어, 가압 부재 (20) 가 최대로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단부면 (도면에서는 단부면의 우단부) 이 하우징 (10) 의 상벽 (14) 과 맞닿는 스토퍼부 (21A) 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 (21) 의 하좌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측면이 가압 부재 (20) 의 폐쇄 위치에서 평형 도체를 가압하는 가압부 (21B) 를 형성한다 (도 2 의 (B) 도 참조).
상기 가압 부재 (20) 의 홈부 (22) 는, 후술하는 단자 (30) 의 지지 아암의 선단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자 (30) 는, 도 1 에 있어서 지면에 평행한 판면을 갖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상기 홈부 (22) 는 그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아암의 판 두께에 상당하는 슬릿 폭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의 내폭) 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홈부 (22) 내에서 그 하단에 형성되는 피지지부 (23) 는, 각 홈부 (22) 에 있어서, 홈부 (22) 의 상기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홈 내면끼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은 홈의 내부를 향하는 측이 원호의 일부로서, 홈 밖을 향하는 측 (도면에서 하단부측) 은 가압부 (20) 의 하단부면을 따라 직선상을 이루고 있다. 이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상기 단자 (30) 의 지지 아암의 지지부는 상기 홈부 (22) 내에 있고, 상기 피지지부 (23) 의 원호면에 걸어맞춰진다.
단자 (30) 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금속판의 판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형상화되어 있고,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부 (31), 그 기부 (31) 에서 후 (좌) 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아암 (32), 제 1 접촉 아암 (33), 제 2 접촉 아암 (34) 그리고 상기 기부 (31) 에서 전 (우) 방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35) 를 갖고 있다. 지지 아암 (32) 과 제 1 접촉 아암 (33) 및 제 2 접촉 아암 (34) 은, 상하 방향, 즉 대향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있고, 그 간격으로 평형 도체 (P) 의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기부 (31) 는 하우징 (10) 의 단자 구멍 (15) 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을 형성하고, 도 1 의 예에서는, 단자 구멍 (15) 의 전단부에서 세로로 길게 연장되는 세로부 (31A) 와 하단부에서 전후로 연장되는 가로부 (31B) 로, 좌우 반전된 L 자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 (10) 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부 (31) 가 단자 구멍 (15) 으로 압입되면, 기부 (31) 는 상기 세로부 (31A) 의 상부 가장자리와 가로부 (31B) 의 하부 가장자리가 피장착부로 되어, 상기 단자 구멍 (15) 의 상하 내부 가장자리에 대해 장착된다. 그 때, 가로부 (31B) 가 단자 구멍 (15) 의 하단 내면과 서로 지지하고, 상기 세로부 (31A) 의 상부 가장자리 (피장착부) 에 형성된 돌기 (31A-1) 가 단자 구멍 (15) 의 상단 내면에 파고들어 단자의 누락을 방지한다.
지지 아암 (32) 은 상기 기부 (31) 의 세로부 (31A) 상부에서 후방을 향해 단자 구멍 (15) 밖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 지지 아암 (32) 은, 그 상부 가장자리가 단자 구멍 (15) 의 상단 내면으로부터 점차 떨어지듯이 경사져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단자 구멍 (15) 의 상단 내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어, 그 지지 아암 (32) 의 상하 방향으로의 탄성 휨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지지 아암 (32) 의 후단부는 역 U 자상으로 굴곡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역 U 자상의 하부 가장자리가 상기 가압 부재 (20) 의 피지지부 (23) 를 지지하는 지지부 (32A) 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지지부 (32A) 는, 도시되지 않은 가압 부재의 양단 축부에서 회전 운동 지지되어 있으면, 항상 상기 피지지부 (23) 를 접촉 지지하고 있지 않아도, 가압 부재 (20) 의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의 회전 운동시에, 적어도 피지지부 (23) 가 평형 도체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상방으로 변위된 상태에서 그 피지지부 (23) 와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면 된다. 이 지지 아암 (32) 은, 상하 방향으로의 탄성 휨을 일으키도록 탄성을 갖고 있어도 되고, 혹은 탄성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탄성을 갖고 있고, 지지부 (32A) 가 상기 가압 부재 (20) 의 피지지부 (23) 로부터 상방을 향한 반력을 받았을 때에 지지 아암 (32) 은 상방으로 휜다. 이 경우, 하우징 (10) 상벽 (14) 의 하면이 이 지지 아암 (32) 의 휨을 한계짓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기부 (31) 의 가로부 (31B) 로부터는, 가로부 (31B) 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제 1 접촉 아암 (33) 과 제 2 접촉 아암 (34) 이 간격을 두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접촉 아암 (33) 은 제 2 접촉 아암 (34) 보다 평형 도체 (P) 의 접속부 (P1) 로부터 먼 하방 위치에서 상기 기부 (31) 로부터 연장되고, 제 2 접촉 아암 (34) 보다 후방까지 길게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접촉 아암 (33) 은 제 2 접촉 아암 (34) 보다 스프링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하 방향으로의 힘을 받았을 때의 탄성 휨량이 크다. 제 1 접촉 아암 (33) 과 제 2 접촉 아암 (34) 은 각각의 후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1 접촉부 (33A) 그리고 제 2 접촉부 (34A) 를 갖고 있다. 제 1 접촉 아암 (33) 은 후단을 향해 상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되어 있고, 후단의 제 1 접촉부 (33A) 는 제 2 접촉 아암 (34) 의 후단에 있어서의 제 2 접촉부 (34A) 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단자 (30) 는 기부 (31) 의 하부 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하방으로 굴곡된 역 L 자상 다리를 이루는 접속부 (35) 를 갖고 있다. 그 접속부 (35) 의 하단 가장자리 (35A) 는, 커넥터가 회로 기판에 배치되었을 때에, 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접촉하는 위치에 있고, 그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에 대해, 그 사용 요령 그리고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1) 먼저, 가압 부재 (20) 를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 위치, 즉 세워진 위치로 한다. 가압 부재 (20) 가 개방 위치에 있으면, 하우징 (10) 의 개구부 (12) 는 후방으로 크게 개방되어, 평형 도체 (P) 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평형 도체 (P) 는 도 1 의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화살표 (A) 방향으로 삽입된다.
(2) 평형 도체 (P) 의 삽입이 진행되면, 그 평형 도체 (P) 의 전단부는 수용 홈 (12A) 에 침입하여 그 전단부면에 맞닿고, 소정 삽입 위치로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는, 단자 (30) 의 제 1 접촉부 (33A) 가 제 2 접촉부 (34A) 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평형 도체 (P) 의 접속부 (P1) 는 제 1 접촉부 (33A) 와 접촉하고, 제 2 접촉부 (34A) 와는 비접촉하거나 혹은 가볍고 불안정하게 접촉되어 있을 뿐이다.
(3) 그런 후, 가압 부재 (20) 를, 도 2 의 (A) 의 상태를 거쳐 도 2 의 (B) 의 폐쇄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킨다. 가압 부재 (20) 는 그 가압부 (21B) 에서 평형 도체 (P) 를 누르고, 그 평형 도체 (P) 가 제 1 접촉부 (33A) 를 하방으로 누른다. 이 제 1 접촉부 (33A) 가 하방으로 눌리면 제 1 접촉 아암 (33) 은 하방으로 탄성 휨을 일으켜 상기 제 1 접촉부 (33A) 가 제 2 접촉부 (33B) 와 동일한 높이 레벨까지 변위된다. 평형 도체 (P) 는, 제 1 접촉부 (33A) 뿐만 아니라 제 2 접촉부 (34A) 에도 확실하게 접촉한다.
(4) 가압 부재 (20) 의 회전 운동이 진행되어 폐쇄 위치에까지 도달하면, 제 1 접촉부 (33A) 와 제 2 접촉부 (34A) 의 양방이 하방으로 눌리므로, 제 1 접촉 아암 (33) 과 제 2 접촉 아암 (34) 이 함께 탄성 휨을 일으켜, 제 1 접촉부 (33A) 와 제 2 접촉부 (34A) 는 충분한 접압을 갖고 평형 도체 (P) 의 접속부 (P1) 와 접속된다.
(5)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아암 (32) 과 하우징 (10) 상벽 (14)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압 부재 (20) 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회전 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평형 도체 (P) 를 하방으로 누르는 그 가압 부재 (20) 의 피지지부 (23) 는 평형 도체 (P) 에서 상방으로의 반력을 받는 상방으로 탄성 휨을 일으킨다. 이 탄성 휨에 기초한 탄성 에너지에 의해, 상기 피지지부 (23) 는 하방으로 눌려, 평형 도체 (P) 의 제 1 접촉부 (33A) 그리고 제 2 접촉부 (34A) 와의 접압을 더욱 높인다.
본 발명은, 도 1 그리고 도 2 에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고 변형시킬 수 있다. 먼저, 제 2 접촉부 (34A) 는 탄성 변위되는 것이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도 3 과 같이, 제 2 접촉부 (34A) 가 기부 (31) 가로부 (31B) 의 후단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어, 탄성 변위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제 1 접촉부 (33A) 는 제 2 접촉부 (34A) 보다 상방 위치에서 하방으로 탄성 변위되어 제 2 접촉부 (34A) 와 동일한 높이 레벨까지 도달하므로, 평형 도체 (P) 는 확실하게 제 2 접촉부 (34A) 와도 접촉한다. 이와 같은 도 3 의 형태에 있어서도, 지지 아암 (32) 이 탄성 휨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제 2 접촉부 (34A) 가 탄성 변위되지 않아도 상기 지지 아암 (32) 의 탄성 에너지에 의해 제 2 접촉부 (34A) 에 상대적으로 탄성압을 갖고 평형 도체 (P) 와 접촉하게 된다. 이 변형예와 같이 하면 커넥터를 좌우 방향으로 소형화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3 의 예에서는, 모든 단자 (30) 가 제 1 접촉부 (33A) 를 구비하는 제 1 접촉 아암 (33) 과 제 2 접촉부 (34A) 를 구비하는 제 2 접촉 아암 (34) 과, 지지 아암 (32) 을 갖고 있었으나, 모든 단자가 이들을 갖고 있을 필요는 없다. 도 4 의 형태에서는, 도 1 내지 도 3 과 동일한 단자 (30) 와 다른 단자 (40) 가, 예를 들어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다른 단자 (40) 는 단자 (30) 와는 역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있어, 제 1 접촉 아암 (43) 과 제 2 접촉 아암 (44) 만을 갖고, 지지 아암을 갖고 있지 않다. 이 경우에도, 제 1 접촉 아암 (43) 의 제 1 접촉부 (43A) 는 제 2 접촉 아암 (44) 의 제 2 접촉부 (44A) 보다 기부 (41) 로부터 떨어져 있고, 또한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단자 (30) 와 다른 단자 (40) 의 각각의 제 1 접촉부 (33A, 43A) 는, 평형 도체 (P) 의 삽입 발출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4 의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30) 와 단자 (40) 가 교대로 역방향에서 하우징에 삽입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끼리의 간격이 단자 배열 피치 간격의 2 배로 되므로, 도 1 과 같이 1 종의 단자를 배열하는 경우에 비해, 단자를 고밀도로 배열할 수 있게 되어, 단자 배열 방향, 즉 커넥터의 폭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는, 커넥터는 회로 기판 상에 가로로 놓이는 경우로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커넥터를 90˚ 회전시켜 세로로 긴 상태에서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기판 수직형으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가압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고 평형 도체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에 대한 평형 도체 삽입 후에 있어서의 단면도로서, 도 2 의 (A) 는 가압 부재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하는 과정에 있고, 도 2 의 (B) 는 가압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커넥터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20 가압 부재
30 단자
31 기부
32A 지지부
33 제 1 접촉 아암
33A 제 1 접촉부
34 제 2 접촉 아암
34A 제 2 접촉부
40 단자
43 제 1 접촉 아암
43A 제 1 접촉부
44 제 2 접촉 아암
44A 제 2 접촉부

Claims (4)

  1.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진 복수의 단자가 그들의 판면끼리를 평행하게 하여 하우징에 의해 배열 유지되고, 각 단자는 하우징에 장착되기 위한 피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접촉 아암을 갖고, 그 접촉 아암과 이것에 나란히 형성된 지지부 사이의 공간에서, 하우징 밖에서 삽입되는 평형 도체의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게 하고 있고, 이 상기 공간으로 평형 도체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는 개방 위치로부터 그 평형 도체를 누르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는 가압 부재가, 상기 지지부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지지 되어 있고, 그 가압 부재가 폐쇄 위치로 회전 운동하여 평형 도체를 누름으로써 접촉부에 평형도체를 접촉시키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촉 아암은 상기 기부 (31) 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1 접촉 아암 (33) 및 제 2 접촉 아암 (34) 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1 접촉 아암 (33) 에 형성된 제 1 접촉부 (33A) 및 상기 제 2 접촉 아암 (34) 에 형성된 제 2 접촉부 (34A) 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접촉부 (33A) 가 상기 제 1 접촉 아암 (33) 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촉부 (34A) 가 상기 제 2 접촉 아암 (34) 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단자는, 상기 제 1 접촉부 (33A) 와, 상기 제 1 접촉부 (33A) 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기부 (31) 로부터 돌출 혹은 연장되고 평형 도체의 삽입 발출 방향에서 상기 제 1 접촉부 (33A) 보다 상기 기부 (31) 측에 형성된 상기 제 2 접촉부 (34A) 를 갖고,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 1 접촉 아암 (33) 및 상기 제 2 접촉 아암 (34) 과 지지부 (32A) 의 대향 방향에서, 상기 제 1 접촉부 (33A) 가 상기 제 2 접촉부 (34A) 보다 상기 지지부 (32A) 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가 가압 부재로부터의 힘을 받아 탄성 휨 가능한 지지 아암에 형성되어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부가, 평형 도체의 삽입 발출 방향에서,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4. 삭제
KR1020090040099A 2008-05-28 2009-05-08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169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38954A JP4541428B2 (ja) 2008-05-28 2008-05-28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JP-P-2008-138954 2008-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784A KR20090123784A (ko) 2009-12-02
KR101169907B1 true KR101169907B1 (ko) 2012-07-31

Family

ID=4100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099A KR101169907B1 (ko) 2008-05-28 2009-05-08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09630B2 (ko)
EP (1) EP2128933A1 (ko)
JP (1) JP4541428B2 (ko)
KR (1) KR101169907B1 (ko)
TW (1) TWI41810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85B1 (ko) 2013-08-21 2015-02-25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3788B2 (ja) * 2010-03-26 2012-08-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108053B2 (ja) * 2010-04-30 2012-12-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090506B2 (ja) * 2010-08-18 2012-12-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27379B2 (ja) * 2010-08-27 2013-07-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8535089B2 (en) 2011-07-25 2013-09-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US8430685B2 (en) * 2011-07-25 2013-04-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JP5905776B2 (ja) * 2012-05-18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457065B1 (ko) * 2013-06-07 2014-10-31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JP6315827B2 (ja) * 2015-03-27 2018-04-25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運転支援装置
JP6771983B2 (ja) * 2016-08-01 2020-10-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TWI657630B (zh) * 2016-12-24 2019-04-2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9901A (ja) * 1998-05-29 1999-12-10 Molex Inc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430398B2 (ja) * 1998-07-31 2003-07-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0299150A (ja) * 1999-04-15 2000-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接続デバイス
JP3117439B1 (ja) * 1999-07-06 2000-12-11 山一電機株式会社 挟接形ソケット
US6332801B1 (en) * 1999-09-01 2001-12-25 Hirose Electric Co., Ltd. Insulation replacement electrical connector
JP3435600B2 (ja) * 1999-11-11 2003-08-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板状物用コネクタ
US6837740B2 (en) * 2002-02-19 2005-01-04 Molex Incorporated Flat circuit connector
JP3853262B2 (ja) * 2002-07-01 2006-12-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0868567B1 (ko) * 2005-06-30 2008-11-13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JP4938303B2 (ja) * 2005-12-16 2012-05-2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US7214081B1 (en) * 2006-03-24 2007-05-08 Lotes Co., Ltd. Socket for resilient electrical circuit board
KR100786817B1 (ko) * 2006-06-12 2007-12-18 주식회사 헬스피아 위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JP4389927B2 (ja) 2006-12-04 2009-12-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4192203B1 (ja) * 2007-12-26 2008-12-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85B1 (ko) 2013-08-21 2015-02-25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89508A (ja) 2009-12-10
JP4541428B2 (ja) 2010-09-08
EP2128933A1 (en) 2009-12-02
US7909630B2 (en) 2011-03-22
TWI418102B (zh) 2013-12-01
KR20090123784A (ko) 2009-12-02
TW201008052A (en) 2010-02-16
US20090298355A1 (en)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907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N1307746C (zh) 扁平柔性电缆连接器
CN100593883C (zh) 电连接器
CN101971429B (zh) 电缆连接器
JP5090506B2 (ja) コネクタ
JP4330084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TWI496361B (zh) Electrical connectors for flat conductors
KR101495785B1 (ko) 전기 커넥터
JP5460037B2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5746953B2 (ja) コネクタ
TW200402174A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CN112997362A (zh) 具有压缩触头的电连接器和线束组件
US7341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JP2018022567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923668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nti-displacement socket ribs
US9774119B2 (en) Connector
JP5057583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053054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5600523B2 (ja) コネクタ構造
JP4829808B2 (ja) コネクタ
JPH11121112A (ja) 電気的コネクタ
JP5324685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960846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828727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10055774A (ja) Fpc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