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672B1 -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672B1
KR101165672B1 KR1020110064447A KR20110064447A KR101165672B1 KR 101165672 B1 KR101165672 B1 KR 101165672B1 KR 1020110064447 A KR1020110064447 A KR 1020110064447A KR 20110064447 A KR20110064447 A KR 20110064447A KR 101165672 B1 KR101165672 B1 KR 10116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tact
underwater vehicle
couple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엽
송선호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4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66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owing underwater objects or vessels, e.g. fairings for tow-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marin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the lifting is done by ha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정의 데크(deck)에서 수중 운동체를 진수시키거나, 함정의 데크(deck)로 수중 운동체를 회수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 데크(deck)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과 경사지게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수면과 접촉 가능하게 위치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 상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의 수중 운동체의 외주면과 접촉가능하게 만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의 수중 운동체를 거치하는 거치부를 구비한 마운팅부와, 일단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결합하여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며,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음으로써, 상기 마운팅부의 이동을 조절하는 와이어 권취 수단을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하여, 모함의 데크(deck)에서 무임 잠수정의 손상 없이 신속하게 진수 및 회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Lunching and Retrival apparatus of underwater vehicle}
본 발명은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함정의 데크(deck)에서 수중 운동체를 진수시키거나, 함정의 데크(deck)로 수중 운동체를 회수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탐지거리 외곽에서 기동하고 있는 물체에 대한 정찰을 위해, 은밀히 기동하는 무인 잠수정과 같은 수중 운동체의 운영 개념이 점차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수중 정찰용 무인 잠수정은 모함에서 진수 및 회수 작업이 진행되는데. 일반적으로 작업작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소형 무인 잠수정의 경우, 무게가 50kg 내외이고, 길이가 1.5m 내지 2m에 해당하는 크기로 구비되어,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운반할 수 있는 정도의 무게 및 크기를 가진다.
그러나, 무인 잠수정의 진수 및 회수 과정은, 모함의 데크(deck)와 해수면의 높이 차로 인하여, 작업상 어려움이 많은 과정이다. 모함의 데크(deck)에서 무인 잠수정을 직접 투하하거나, 수중에서 무인 잠수정을 모함의 데크(deck)로 끌어올리는 도중에 무인 잠수정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모함의 소형 보트를 이용하여, 해상에 진출후, 무인 잠수정을 진수하거나 회수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매우 번거롭고, 진수 및 회수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모함의 데크(deck)에서 무임 잠수정의 파손 없이, 신속하게 진수 및 회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선박 데크(deck)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과 경사지게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수면과 접촉 가능하게 위치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 상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의 수중 운동체의 외주면과 접촉가능하게 만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의 수중 운동체를 거치하는 거치부를 구비한 마운팅부와, 일단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결합하여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며,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음으로써, 상기 마운팅부의 이동을 조절하는 와이어 권취 수단을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레일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로드에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여 상기 와이어를 상기 이동 플레이트 또는 상기 와이어 권취 수단으로 안내하는 풀리 조립체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의 수중 운동체에 접하는 상기 거치부의 표면에는 마찰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부는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르면, 일단은 선박 데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수면과 접촉 가능하게 위치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 상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의 수중 운동체의 외주면과 접촉가능하게 만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의 수중 운동체를 거치하는 거치부를 구비한 마운팅부와, 일단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선박 데크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결합하여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며,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음으로써, 상기 마운팅부의 이동을 조절하는 와이어 권취 수단을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박 데크에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여 상기 와이어를 상기 이동 플레이트 또는 상기 와이어 권취 수단으로 안내하는 풀리 조립체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의 수중 운동체에 접하는 상기 거치부의 표면에는 마찰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 장치에 따르면, 무인 잠수정을 거치하여 모함의 데크(deck)에서 수중으로 이동시키며, 반대로, 수중에서 모함의 데크(deck)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모함의 데크(deck)에서 무임 잠수정의 손상 없이 신속하게 진수 및 회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설치된 선박과 해수면을 나타낸 측면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설치된 선박과 해수면을 나타낸 정면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 1의 A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가 설치된 선박과 해수면을 나타낸 측면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설치된 선박과 해수면을 나타낸 측면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설치된 선박과 해수면을 나타낸 정면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 1의 A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가 설치된 선박과 해수면을 나타낸 측면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은 크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의 일실시예는 모함 데크(deck)(D)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110)과, 데크(deck)(D)에서 수중까지 걸쳐지는 레일부(120)와, 무인 잠수정(S)을 거치하고 레일부(120)를 따라 이동하는 마운팅부(130)와, 와이어(140)와, 와이어(140)를 감거나 푸는 와이어 권취 수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지지 프레임(110) 및 레일부(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 프레임(110)은 모함의 데크(deck)(D)에 고정되어 레일부(1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프레임(110)은 레일부(120)를 고정하기 위해, 데크(deck)(D) 둘레에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데크(deck)(D)에 기설치된 난간을 지지 프레임(110)으로 활용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10)에는 후술될 레일부(120) 및 와이어 권취 수단(150)이 결합한다. 그러나 후술될 도 4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서는 레일부(120)가 데크(deck)(D)에 직접 결합하며, 이에 따라, 와이어 권취 수단(150) 또한, 데크(deck)(D)에 직접 설치되는 구성을 가진다.
레일부(120)는 후술될 마운팅부(13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레일부(120)의 일단은 지지 프레임(110)에 결합하며, 레일부(120)의 타단은 수중에 위치하게 된다, 레일부(120)와 지지 프레임(110)은 탈부탁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레일부(120)와 지지 프레임(110)은 별도의 라쳇(ratchet)형태의 결합유닛이 부가되어 결합될 수 있다.
레일부(120)는 지지 프레임(110)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수중에 위치한 레일부(120)의 하단에서 진수되는 무인 잠수정(S)과 모함의 거리를 확보한다.
이러한, 레일부(120)는 복열로 배치된 레일로 구성되며, 각 레일은 신장 또는 신축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접이식으로도 형성될 수 도 있다.
레일부(120)의 일단을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하였을 때, 레일부(120)의 타단은 수면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레일부(120)의 길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10)과 레일부(120) 사이에는 다수개의 보강 리브(160)가 형성되어 레일부(12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성을 가진다. 레일부(120)와 보강 리브(1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 리브(160)는 필요에 따라 절첩되게, 접이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운팅부(130) 및 와이어(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마운팅부(130)는 원형의 무인 잠수정(S)을 거치하여, 상술한 레일부(120)를 따라 승강함으로써, 무인 잠수정(S)을 수중에서 진수시키거나, 회수하기 위한 움직임을 무인 잠수정에 직접 부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마운팅부(130)는 이동 플레이트(131)와 거치부(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 플레이트(131)는 상술한 레일부(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여 레일부(120)를 따라 이동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동 플레이트(131)의 하면에는 레일부(120)의 각각의 레일과 맞물리거나, 각각의 레일이 슬라이딩되게 장착되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32)는 이동 플레이트(131)의 상면에 구성되며,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는 무인 잠수정(S)에 대응되도록, 상향하여 만곡 형성된 접촉면을 가진다. 때문에, 거치부(132)는 측단면이 호형태를 이루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부(132)의 접촉면에는 무인 잠수정(S)의 거치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마찰 패드(133)가 부착될 수 있다.
거치부(132)와 무인 잠수정(S)은, 이동 플레이트(131)가 레일부(120)를 따라 승강 이동할 시에 무인 잠수정(S)이 거치부(132)에서 이탈되지 않게 구성되고, 이동 플레이트(131)가 하강하여 거치된 무인 잠수정이 수중에 위치하는 경우, 무인 잠수정 (S) 이 물위에 뜨면서, 자연스럽게 무인 잠수정 (S) 이 거치부(132)에서 이탈되게 구성된다.
이동 플레이트(131)에는 와이어(140)의 일단이 결합한다. 와이어(140)의 타단은 후술될 와이어 권취 수단(150)에 결합한다. 즉, 와이어(140)는 이동 플레이트(131)아 와이어 권취 수단(150)을 연결하여, 와이어 권취 수단(15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한 움직임을 이동 플레이트(13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와이어(140)의 장력에 의해. 마운팅부(130)가 레일부(120)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지지되거나, 수중에 위치한 레일부(120)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당겨지게 지지된다.
다음으로, 와이어 권취 수단(15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와이어 권취 수단(150)은 사용자의 회전조작을 수용하여 상술한 와이어(140)를 감거나, 풀거나 하여, 와이어(140)에 연결된 마운팅부(130)의 이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권취 수단(150)은 지지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구성되되, 원형의 풀리형태로, 지지 프레임(110)의 연장부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와이어 권취 수단(150)의 몸체는 와이어(140)를 권취하여 와이어(140)를 수용하고, 회전 조작부(151)를 파지하여 회동시키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권치된 와이어(140)를 풀거나 감아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사용자가 와이어 권취 수단(150)를 조절하여 권취된 와이어(140)를 풀게 되면, 거치된 무인 잠수정 및 마운팅부(130)의 자중에 의해, 마운팅부(130)는 레일부(120)를 따라 하강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무인 잠수정의 진수과정에서 수행되는 것이다.
반대로, 수면에 떠있는 무인 잠수정을 거치부(132)에 거치되게 정렬시킨 후, 사용자가 와이어 권취 수단(150)를 조절하여 권취된 와이어(140)를 감게 되면, 마운팅부(130)는 레일부(120)를 따라 상승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무인 잠수정의 회수과정에서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지지 프레임(110)의 상단에는 이동 플레이트(131)와 연결되는 와이어(140)를 와이어 권취 수단(150)으로 안내하는 풀리 조립체(170)가 마련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풀리가 와이어(140)와 접촉하여 와이어(140)가 이동 플레이트(131) 또는 와이어 권취 수단(150) 이동하도록 안내하도록 구성되며, 풀리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지지 프레임(110)에 결합가능하게 하는 지지브라켓들이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부(120)가 데크(D)에 직접 결합하고, 이에 따라, 와이어 권취 수단(150) 및 풀리 조립체(170)가 데크(D)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지지 프레임 120 : 레일부
130 : 마운팅부 131 : 이동 플레이트
132 : 거치부 133 : 마찰패드
140 : 와이어 150 : 와이어 권취 수단
160 : 보강 리브 170 : 풀리 조립체

Claims (8)

  1. 선박 데크(deck)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
    일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과 경사지게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수면과 접촉 가능하게 위치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 상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의 무인 잠수정의 외주면과 접촉가능하게 상향하여 만곡된 접촉면이 형성되어 상기 무인 잠수정이 물위에 뜨면서 거치부를 이탈하여 진수되도록 상기 무인 잠수정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구비하는 마운팅부;
    일단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와이어;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결합하여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며,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음으로써, 상기 마운팅부의 이동을 조절하는 와이어 권취 수단을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레일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여 상기 와이어를 상기 이동 플레이트 또는 상기 와이어 권취 수단으로 안내하는 풀리 조립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의 수중 운동체에 접하는 상기 거치부의 표면에는 마찰 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
  6. 일단은 선박 데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수면과 접촉 가능하게 위치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 상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의 무인 잠수정의 외주면과 접촉가능하게 상향하여 만곡된 접촉면이 형성되어 상기 무인 잠수정이 물위에 뜨면서 거치부를 이탈하여 진수되도록 상기 무인 잠수정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구비하는 마운팅부;
    일단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와이어;및
    상기 선박 데크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결합하여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며,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음으로써, 상기 마운팅부의 이동을 조절하는 와이어 권취 수단을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데크에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여 상기 와이어를 상기 이동 플레이트 또는 상기 와이어 권취 수단으로 안내하는 풀리 조립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의 수중 운동체에 접하는 상기 거치부의 표면에는 마찰 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 장치.
KR1020110064447A 2011-06-30 2011-06-30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 KR101165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447A KR101165672B1 (ko) 2011-06-30 2011-06-30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447A KR101165672B1 (ko) 2011-06-30 2011-06-30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672B1 true KR101165672B1 (ko) 2012-07-16

Family

ID=4671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447A KR101165672B1 (ko) 2011-06-30 2011-06-30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67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50U (ko) * 2014-12-19 2016-06-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자석을 이용한 탈부착식 브라켓 일체형 커서레일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60002335U (ko) * 2014-12-26 2016-07-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승강형 로브 레일 및 이를 구비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60142127A (ko) 2015-06-02 2016-12-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형 작업선의 진회수 장치 및 방법
KR102034173B1 (ko) 2019-02-27 2019-10-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KR102034172B1 (ko) 2019-02-27 2019-10-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KR102034174B1 (ko) 2019-02-27 2019-11-0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 진수방법
KR102577567B1 (ko) 2022-12-23 2023-09-1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및 진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7090U (ko) 1985-01-29 1986-08-09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7090U (ko) 1985-01-29 1986-08-09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50U (ko) * 2014-12-19 2016-06-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자석을 이용한 탈부착식 브라켓 일체형 커서레일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0481887Y1 (ko) * 2014-12-19 2016-11-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자석을 이용한 탈부착식 브라켓 일체형 커서레일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60002335U (ko) * 2014-12-26 2016-07-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승강형 로브 레일 및 이를 구비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0481292Y1 (ko) * 2014-12-26 2016-09-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승강형 로브 레일 및 이를 구비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60142127A (ko) 2015-06-02 2016-12-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형 작업선의 진회수 장치 및 방법
KR102034173B1 (ko) 2019-02-27 2019-10-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KR102034172B1 (ko) 2019-02-27 2019-10-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KR102034174B1 (ko) 2019-02-27 2019-11-0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 진수방법
KR102577567B1 (ko) 2022-12-23 2023-09-1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및 진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672B1 (ko)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
CA2658975A1 (en) Apparatus for recovering a surface marine vehicle or an underwater vehicle
RU2011142031A (ru) Система швартовки с отделенными якорными оттяжками и/или системой водоотделяющих колонн
US20180339752A1 (en)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5878392B2 (ja) 接続解除可能な係留システム、及び当該係留システムを接続解除又は再接続するための方法
CN105000479A (zh) 具有升沉补偿和张力保护功能的缆控潜水器甲板吊放系统
US20050257731A1 (en) Submersible vehicle launch and recovery system
CA2822405A1 (en) Power generating equipment
WO2010147518A1 (en) Light weight boat lift arrangement
CN112356989A (zh) 一种吊放式小艇收放装置及方法
CN110816788A (zh) 一种无铠装电缆深潜器单绳回收方法
CN108298026B (zh) 艇回收装置
JP6770448B2 (ja) 揚収装置
NO320192B1 (no) Innretning for berging av et undervannsfartoy
JP5324960B2 (ja) フローティングクレーン
KR101411946B1 (ko) 정선장비
KR101435397B1 (ko) 선박
US8601970B1 (en) Tethered buoy housing and deployment assembly
JP4415463B2 (ja) 水面浮遊油回収用集油装置
CN220032162U (zh) 一种高海况捕捞机器人滑梯型回收装置
JP5743492B2 (ja) フローティングクレーン
JP2013180731A (ja) ボートダビット
JP2005330087A (ja) フローティングクレーン
CN111137404A (zh) 一种海洋探测装置回收的信标装置
KR20140003860A (ko) 어업용 양승/투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