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567B1 -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및 진수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및 진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567B1
KR102577567B1 KR1020220182903A KR20220182903A KR102577567B1 KR 102577567 B1 KR102577567 B1 KR 102577567B1 KR 1020220182903 A KR1020220182903 A KR 1020220182903A KR 20220182903 A KR20220182903 A KR 20220182903A KR 102577567 B1 KR102577567 B1 KR 102577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vehicle
fixing
underwater
hold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2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2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63B2027/165Deployment or recovery of underwater vehicles using lifts or hoi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에서 수중 운동체를 진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선박에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수중 운동체를 안착시킬 수 있고,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상기 수중 운동체를 구속 및 구속 해제할 수 있고, 상기 거치부를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수중 운동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및 진수방법{Lunching apparatus of underwater vehicle and lunch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및 진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 운동체를 선박에서 수중으로 진입시킬 수 있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및 진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 운동체 중의 하나인 무인 잠수정은 기계 설계 및 해석, 전기, 전자, 제어, 소프트웨어, 항법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분야의 요소 기술들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무인 잠수정은 수중에 진수되어 해양환경조사, 기뢰탐사, 정찰 임무 등과 같은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 후 인양될 수 있다.
한편, 무인 잠수정은 모함, 고무보트 등과 같은 선박에서 수중으로 진수될 수 있다. 예컨대 모함에서 무인 잠수정을 진수하는 경우, 모함에 설치된 크레인의 진수인양고리를 이용하여 무인 잠수정을 수중으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무인잠수정을 진수인양고리에 걸어서 수중에 침지시킨 후, 장대 등과 같은 치구를 이용하여 진수인양고리를 무인 잠수정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고무보트에서 무인 잠수정을 진수하는 경우, 무인 잠수정의 부품이 수용된 보관함을 고무보트에 탑재하고 작전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고무보트에서 무인 잠수정을 조립한 후, 인력으로 조립된 무인 잠수정을 들어올려 수중에 진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전 지역에서 무인 잠수정을 조립하는 이유는 고무보트가 소형 선박이기 때문에 조립이 완료된 무인 잠수정을 고무보트에 탑재하면, 작업자가 탑승할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에 무인 잠수정을 진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무인 잠수정을 직접 들어 올려 진수하기 때문에 무인 잠수정을 떨어뜨려 무인 잠수정이 손상되거나 작업자가 물에 빠지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KR10-1165672 B KR10-0852786 B
본 발명은 수중 운동체를 선박에서 수중으로 신속하게 진입시킬 수 있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및 진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중 운동체의 손상을 억제하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및 진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는, 선박에서 수중 운동체를 진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선박에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수중 운동체를 안착시킬 수 있고,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상기 수중 운동체를 구속 및 구속 해제할 수 있고, 상기 거치부를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중 운동체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부재; 및 상기 선박에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양쪽에 연결되는 클램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적어도 일단에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선박에 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체; 및 상기 선박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중 운동체와 상기 거치부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의 양쪽에 상기 일방향에 교차하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로 상기 수중 운동체를 가압하여 상기 거치부에 구속시키고, 상기 거치부에 대한 상기 수중 운동체의 구속을 해제시키기 위해서, 상기 거치부에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거치부와 상기 수중 운동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거치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거치부와 마주보는 상기 고정블록의 일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부에 상기 수중 운동체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홈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2개 이상의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양단부는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의 길이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홈에서 상기 고정돌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블록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고정블록을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일측을 상기 고정블록 중 어느 하나에 연결시킬 수 있는 제1고정체; 및 상기 연결체의 타측을 상기 고정블록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시킬 수 있는 제2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제1고정체 또는 상기 제2고정체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제1고정체 또는 상기 제2고정체의 직경보다 길고, 상기 연결체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가이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박은 전투형 고무 보트(Combat Rapid Rubber Craft, CRRC)를 포함하고, 상기 수중 운동체는 무인 잠수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투형 고무 보트의 양쪽 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방법은, 선박에서 수중 운동체를 진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중 운동체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선박에 진수장치를 설치하는 과정; 상기 수중 운동체를 상기 진수장치에 탑재하는 과정; 상기 진수장치를 기울이는 과정; 및 상기 수중 운동체를 상기 진수장치에서 이탈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중 운동체를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선박의 외부에서 수중 운동체를 조립하는 과정; 및 조립이 완료된 수중 운동체를 상기 선박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수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은, 상기 진수장치의 지지부를 상기 선박을 가로지르도록 설치하는 과정; 및 상기 진수장치의 거치부를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재하는 과정은, 상기 수중 운동체를 상기 거치부에 안착시키는 과정; 및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진수장치의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수중 운동체를 가압하여 상기 거치부에 구속시키고, 상기 고정부의 일부를 상기 거치부의 가이드 홈에 삽입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울이는 과정은, 상기 거치부에 대한 상기 수중 운동체의 구속을 해제하는 과정; 및 상기 고정부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의 한 쪽을 들어 올려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을 해제하는 과정은, 상기 거치부에서 상기 고정부의 체결부재를 분리시키는 과정; 및 상기 고정부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된 상태를 인력으로 유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을 해제하는 과정은, 상기 거치부에서 상기 고정부의 체결부재를 분리시키는 과정; 및 상기 고정부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고정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시키는 과정은, 상기 거치부를 물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게 기울이는 과정; 및 상기 고정부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거치부를 상기 물을 향해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시키는 과정은, 상기 거치부의 일부를 물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시키는 과정은, 상기 거치부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상기 수중 운동체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물에 진입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중 운동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수할 수 있다. 즉, 수중 운동체를 작전 지역에 진수하는 경우, 선박의 외부에서 수중 운동체를 조립하고, 조립이 완료된 수중 운동체를 선박에 설치된 진수장치에 탑재시켜 작전 지역으로 이동하여 수중에 진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에서 수중 조립체를 조립하고, 작업자가 인력으로 수중에 진수할 때보다 수중 운동체를 신속하게 진수할 수 있고, 작업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진수장치를 기울이는 과정만으로 수중 운동체를 수중에 진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중 운동체를 떨어뜨려 손상시키거나, 작업자가 물에 빠지거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에 수중 운동체를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의 지지부와 고정부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고정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의 지지부, 고정부 및 거치부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의 고정부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방법을 이용하여 수중 운동체를 진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에 수중 운동체를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의 지지부와 고정부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고정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의 지지부, 고정부 및 거치부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의 고정부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100)는, 선박(10)에서 수중 운동체를 진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선박(10)에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110)와, 수중 운동체(S)를 안착시킬 수 있고, 지지부(110)에 설치되는 거치부(120) 및 수중 운동체(S)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고, 거치부(120)를 지지부(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시킬 수 있는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100)는 선박(10)의 상부에 선박(10)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그 상부에 수중 운동체(S)를 탑재시킬 수 있다.
수중 운동체(S)는 무인 잠수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수중 운동체(S)를 무인 잠수정(S)이라 한다. 무인 잠수정(S)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무인 잠수정(S)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일방향은 무인 잠수정(S)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선박(10)에 무인 잠수정(S)을 탑재시켰을 때, 선박(10)의 폭방향(x) 또는 좌우방향(x)을 의미한다. 일방향에 수평으로 교차하는 방향은 타방향일 수 있으며, 타방향은 선박(10)의 길이 방향(y) 또는 전후방향(y)을 의미한다. 그리고 일방향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은 선박(10)의 높이 방향(z) 또는 상하방향(z)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방향은, 선박(1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선박(10)은 군에서 작전 지역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전투형 고무 보트(Combat Rapid Rubber Craft, CRRC) 등과 같은 소형 선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박(10), 예컨대 전투형 고무보트는 작업자(P)가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탑승부(11)와, 탑승부(11)의 외측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선수부(12), 선미부(13) 및 선수부(12)와 선미부(13)를 연결하는 현부(14; 14a, 14b)를 포함할 수 있다. 선수부(12), 선미부(13) 및 현부(14)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각 부의 내부는 서로 연통될 수도 있고, 분리될 수도 있다. 선수부(12), 선미부(13) 및 현부(14)의 내부를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하면, 각 부 중 어느 하나에 구멍이 나는 경우, 전투형 고무보트가 침몰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침몰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전투형 고무보트는 운항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등과 같은 동력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투형 고무보트는 내부에 공기를 넣어서 물에 위에 뜨도록 제작되어, 다른 선박(10)에 비해 경량이고 고속 운항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100)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수중 운동체, 예컨대 무인 잠수정(S)을 선박(10) 상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시켜 선박(10)의 현부(14)를 통해 진수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100)는 선수부(12)와 선미부(13)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수중 운동체(S)를 선수부(12) 또는 선미부(13)를 통해 진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100)는, 선박(10)에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110)와, 무인 잠수정(S)을 안착시킬 수 있고, 지지부(110)에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거치부(120) 및 무인 잠수정(S)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하고, 거치부(120)를 지지부(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시킬 수 있는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일방향은 무인 잠수정(S)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지지부(110)는 선박(10)의 현부(14)에 설치되고, 선박(10)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부재(111) 및 선박(10)에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프레임부재(111)의 양쪽에 연결되는 클램프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클램프부재(112)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100)를 선박(10)에 지지시키는 역할을 하고, 프레임부재(111)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100)에 무인 잠수정(S)을 지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 프레임부재(111)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111a) 및 지지프레임(111a)의 적어도 일단에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블록(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1a)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111a)은 선박(10)을 가로지를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11a)은 중량물인 무인 잠수정(S)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과 같이 강도가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블록(111b)은 지지프레임(111a)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111a)의 단부와 지지블록(111b)의 일측 단부는 서로 맞물려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제1연결핀(111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11a)의 단부에는 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프레임(111a)을 관통하는 제1통공(1111)이 형성되고, 지지프레임(111a)과 맞물려지는 지지블록(111b)의 일측 단부에는 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블록(111b)을 관통하는 제2통공(1112)이 형성되며, 제1연결핀(111c)은 제1통공(1111)과 제2통공(111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지지블록(111b)은 지지프레임(111a)의 단부에 지지프레임(111a)이 연장되는 방향 또는 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블록(111b)은 지지프레임(111a)의 양쪽 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지지블록(111b)은 후술하는 고정부(130)의 고정블록(131a)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지지블록(111b)의 양측에는 고정블록(131a)과 맞물려질 수 있도록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일방향으로 홈을 관통하는 제3통공(111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지지블록(111b)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지지블록(111b)에 연결되는 고정블록(131a)은 일방향에 교차하는 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클램프부재(112)는 지지프레임(111a)의 양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클램프부재(112)는 선박(10)의 현부(14)에 지지되고, 지지블록(111b)은 현부(14)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클램프부재(112)는 선박(10)에 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체(112a) 및 선박(1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지지체(112a)에 설치되는 클램프(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112a)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현부(14)의 일부, 예컨대 상부를 감쌀 수 있도록 원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체(112a)는 중공형의 블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112b)는 현부(14)의 일부, 예컨대 측부를 감쌀 수 있도록 원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클램프(112b)는 지지체(112a) 내부에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지지체(112a)를 현부(14)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인출되어 현부(14)의 측부를 감쌀 수 있다. 이때, 클램프(112b)를 지지체(112a)에서 인출하고, 인입시킬 수 있도록 클램프(112b)에는 손잡이(112c)가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112c)는 클램프(112b)가 지지체(112a)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의 (a) 및 도 7의 (a)를 참조하면, 고정부(130)는 무인 잠수정(S) 및 거치부(120)와 접촉 가능하고, 지지블록(111b)의 양쪽에 일방향에 교차하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부재(131) 및 거치부(120)와 체결 가능하도록 고정부재(131)에 연결되는 체결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31)는 거치부(120)와 무인 잠수정(S)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블록(131a) 및 거치부(120)와 맞물릴 수 있도록 거치부(120)와 마주보는 고정블록(131a)의 일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31c)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록(131a)은 원통형인 무인 잠수정(S)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무인 잠수정(S)과 마주보는 일면에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블록(131a)은 지지블록(111b)의 양쪽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블록(131a)은 거치부(120)와 무인 잠수정(S)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블록(131a)의 하부에는 지지블록(111b)의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돌출부(131b)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1b)에는 제4통공(1312)이 형성되어, 제2연결핀(133)이 제4통공(1312)과 제3통공(1113)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고정블록(131a)을 지지블록(111b)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고정블록(131a)은 지지블록(111b)이 회전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고정블록(131a)의 일면에는 거치부(120)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131c)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31c)는 무인 잠수정(S)의 진수를 위해 거치부(120)를 기울여 회전시키는 경우, 거치부(120)에 연결되어 거치부(120)를 지지블록(111b)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블록(111b)을 지지프레임(111a)에 연결하고 있는 제1연결핀(111c)은 거치부(120)의 회전축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고정블록(131a)에는 체결부재(132)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1311)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1311)는 고정돌기(131c)보다 상측에 고정블록(131a)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구(1311)의 내주면에는 체결부재(132)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32)는 고정블록(131a)의 삽입구(1311)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32)는 고정블록(131a)에 삽입되어 거치부(120)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132)는 고정블록(131a)을 거치부(120)에 지지시킴으로써 무인 잠수정(S)을 거치부(120)에 구속시키고 가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체결부재(132)는 볼트 등과 같은 부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132)를 이용하여 무인 잠수정(S)을 거치부(120)에 구속시키면, 선박(10) 운항 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무인 잠수정(S)이 거치부(1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체결부재(132)는 무인 잠수정(S)을 진수하기 이전에 거치부(120)에 구속시키고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32)는 무인 잠수정(S)을 진수하는 경우에 거치부(120)에 대한 무인 잠수정(S)의 구속 또는 가압을 해제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체결부재(132)를 풀어서 거치부(120)에서 분리시키면, 고정블록(131a)이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거치부(120)에 대한 무인 잠수정(S)의 구속을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32)를 풀어서 거치부(120)에서 분리시켜 거치부(120)에 대한 무인 잠수정(S)의 가압을 해제하면, 무인 잠수정(S)과 고정블록(131a)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무인 잠수정(S)을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에 무인 잠수정(S)은 고정블록(131a)에 의해 거치부(120)에 구속된 상태가 유지될 수도 있고,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거치부(120)는 상부에 무인 잠수정(S)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거치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거치대(121)의 상부면에는 무인 잠수정(S)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거치대(121) 상부에 무인 잠수정(S)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무인 잠수정(S)의 진수 시 무인 잠수정(S)이 진수되는 방향, 예컨대 일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거치대(121)는 프레임부재(11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무인 잠수정(S)을 진수할 때, 거치대(121)를 들어 올려 프레임부재(111)의 일측 또는 타측에 지지시켜 회전시키기 위함이다.
거치대(121)는 프레임부재(111)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돌기(131c)가 삽입될 수 있고,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122) 및 체결부재(132)가 삽입될 수 있고, 가이드 홈(122)과 이격되는 체결홈(12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122)은 거치대(121)를 프레임부재(111)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고정블록(131a)을 회전시켜 거치대(121)의 측부에 배치시켰을 때 고정블록(131a)의 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31c)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22)은 거치대(121)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123)은 거치대(121)를 프레임부재(111)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고정블록(131a)을 회전시켜 거치대(121)의 측부에 배치시켰을 때 고정블록(131a)에 형성된 삽입구(1311)가 형성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부재(132)를 삽입구(1311)에 삽입하고 회전시키면 체결부재(132)가 체결홈(12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체결홈(123)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부재(132)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체결부재(132)가 체결홈(123)에 삽입된 경우, 고정블록(131a)과 거치대(121)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거치대(121)는 체결부재(132)와의 결합이 해제되면, 고정블록(131a)과 연결된 상태로 프레임부재(111) 상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홈(122)은 일방향, 예컨대 거치대(121)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양쪽이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122)은 거치대(121)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거치대(121)와 고정돌기(131c) 간의 연결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거치대(121)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함이다. 이는 거치대(121)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고정블록(131a)과의 연결이 해제되어 수중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부(130)는 가이드홈(122)에서 고정돌기(131c)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정블록(131a)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134)는 고정블록(131a)을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되는 연결체(134a)와, 연결체(134a)의 일측을 고정블록(131a) 중 어느 하나에 연결시킬 수 있는 제1고정체(134b) 및 연결체(134a)의 타측을 고정블록(131a)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시킬 수 있는 제2고정체(134c)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체(134a)는 벨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부(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며, 유연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체(134a)에는 제1고정체(134b)와 제2고정체(134c)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체(134b)또는 제2고정체(134c), 예컨대 제2고정체(134c)가 삽입되는 통공은 제2고정체(134c)의 직경보다 길고, 연결체(134a)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제2고정체(134c)가 연결체(134a)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홀(1331)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홀(1331)은 고정블록(131a)의 이동 또는 회전이 중단되었을 때, 무인 잠수정(S)에 대한 고정블록(131a)의 가압이 해제되어 거치대(121)에서 무인 잠수정(S)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고정돌기(131c)가 가이드 홈(12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를 이용하여 수중 운동체를 진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방법을 이용하여 수중 운동체를 진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 진수방법은, 선박(10)에서 수중 운동체(S)를 진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중 운동체(S)를 마련하는 과정과, 선박(10)에 진수장치(100)를 설치하는 과정과, 수중 운동체(S)를 진수장치(100)에 탑재하는 과정과, 진수장치(100)를 기울이는 과정 및 수중 운동체(S)를 진수장치(100)에서 이탈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수중 운동체(S)를 마련하는 과정은, 작전 지역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선박(10)의 외부에서 무인 잠수정(S)을 조립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선박(10)의 외부란, 지상이나 함정 등과 같은 대형 선박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항구 또는 함정에 마련될 수 있다. 무인 잠수정(S)이 조립되면, 조립된 무인 잠수정(S), 예컨대 무인 잠수정(S) 완성품은 차량 등에 탑재되어 선박(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선박(10)에 진수장치(100)를 설치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진수장치(100)를 선박(10), 예컨대 전투형 고무보트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진수장치(100)의 지지부(110)를 선박(10)의 현부(14)에 고정시켜 선박(10)을 가로지르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지지부(110)를 선박(10)에 고정시킬 때, 클램프부재(112)의 지지체(112a)를 선박(10)의 양쪽 현부(14)에 안착시켜 선박(10)을 가로지르도록 프레임부재(111)를 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112b)에 연결된 손잡이(112c)를 이동시켜 손잡이(112c)에 연결된 클램프(112b)를 지지체(112a)의 외부로 인출하여 현부(14)를 감싸서 진수장치(100)를 선박(10)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부(130)는 프레임부재(111)의 지지블록(111b)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재(111)의 상부에 거치대(121)를 안착시킬 수 있다.
수중 운동체(S)를 진수장치(100)에 탑재하는 과정은, 거치대(121) 상부에 무인 잠수정(S)을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111)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부(130)를 이용하여 무인 잠수정(S)을 거치대(121)에 가압하여 구속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30)를 이용하여 무인 잠수정(S)의 일측 또는 양측을 거치부(120)에 가압하여 구속할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고정부(130)를 이용하여 무인 잠수정(S)의 양측을 거치부(120)에 가압하여 구속한 것을 예시한다. 무인 잠수정(S)이 거치대(121)의 상부에 안착되면, 고정블록(131a)으로 무인 잠수정(S)의 양쪽을 감싸고, 체결부재(132)를 회전시켜 거치대(121)의 체결홈(123)에 삽입하여 무인 잠수정(S)을 거치대(121)에 구속시키고 가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고정블록(131a)의 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31c)가 거치대(121)에 형성된 가이드 홈(1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무인 잠수정(S)이 진수장치(100)에 탑재되면, 작업자(P)는 선박(10)에 탑승하고, 선박(10)을 운항시켜 작전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박(10)이 작전 지역에 도착하면, 작업자(P)는 무인 잠수정(S)의 양쪽을 구속시키고 가압하고 있는 고정부(130) 중 하나의 체결부재(132)를 풀어서 무인 잠수정(S)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무인 잠수정(S)을 선박(10)의 일측으로 진수하는 경우, 무인 잠수정(S)의 타측을 구속하고 가압하고 있는 고정부(130)를 무인 잠수정(S)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무인 잠수정(S)의 일측을 구속하고 가압하고 있는 고정부(130)의 체결부재(132)를 풀어서 무인 잠수정(S)에 대한 가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무인 잠수정(S)의 타측은 고정부(130)에 의해 거치대(121)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체결부재(132)를 풀면, 체결부재(132)가 고정부(130), 즉 고정블록(131a)의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무인 잠수정(S)과 고정블록(131a)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무인 잠수정(S)에 대한 가압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P)는 고정블록(131a)을 인력(F)으로 잡아서 고정돌기(131c)가 가이드 홈(12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거치대(121)는 프레임부재(111)에서 이탈하지 않고 일측에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고정블록(131a)을 사용하는 경우, 체결부재(132)를 풀면, 한 쌍의 고정블록(131a)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하고, 연결체(134a)에 의해 이동 또는 회전이 중단될 수 있다. 이에 고정블록(131a)의 고정돌기(131c)가 가이드 홈(12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무인 잠수정(S)의 타측을 고정하고 있던 고정부(130)가 분리되면, 작업자(P)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21)의 타측을 들어올릴 수 있다. 이에 거치대(121)는 고정블록(131a)이 연결되어 있는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거치대(121)의 일측이 물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된다. 그리고 거치대(121)에 안착되어 있는 무인 잠수정(S)은 자중에 의해 거치대(121) 상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면서 수중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거치대(121)는 가이드 홈(122)에 고정돌기(131c)가 끼워진 상태로 기울여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거치대(121)의 일측이 수중에 침지될 수 있다. 이에 무인 잠수정(S)이 거치대(121) 상부에서 수중까지 안정적으로 이동하여 진수될 수 있다.
무인 잠수정(S)이 진수되면, 작업자(P)는 거치대(121)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고, 선박(10)을 운항시켜 항구 또는 함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진수장치를 이용하여 무인 잠수정(S)을 진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수장치는 수중에서 무인 잠수정(S)을 회수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선박 100: 진수장치
110: 지지부 111: 프레임부재
112: 클램프부재 120: 거치부
121: 거치대 122: 가이드 홈
123: 체결홈 130: 고정부
131: 고정부재 131a: 고정블록
131c: 고정돌기 132: 체결부재
133: 이탈방지부재 S: 무인 잠수정

Claims (24)

  1. 선박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중 운동체를 진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선박에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수중 운동체를 안착시킬 수 있고,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상기 수중 운동체를 구속 및 구속 해제할 수 있고, 상기 거치부를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적어도 일단에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재; 및
    상기 선박에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양쪽에 연결되는 클램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적어도 일단에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선박에 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체; 및
    상기 선박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중 운동체와 상기 거치부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의 양쪽에 상기 일방향에 교차하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로 상기 수중 운동체를 가압하여 상기 거치부에 구속시키고, 상기 거치부에 대한 상기 수중 운동체의 구속을 해제시키기 위해서, 상기 거치부에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거치부와 상기 수중 운동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거치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거치부와 마주보는 상기 고정블록의 일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부에 상기 수중 운동체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홈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2개 이상의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양단부는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길이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홈에서 상기 고정돌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블록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고정블록을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일측을 상기 고정블록 중 어느 하나에 연결시킬 수 있는 제1고정체; 및
    상기 연결체의 타측을 상기 고정블록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시킬 수 있는 제2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제1고정체 또는 상기 제2고정체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제1고정체 또는 상기 제2고정체의 직경보다 길고, 상기 연결체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13. 청구항 1, 5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전투형 고무 보트(Combat Rapid Rubber Craft, CRRC)를 포함하고,
    상기 수중 운동체는 무인 잠수정을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투형 고무 보트의 양쪽 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수 있는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15. 선박에서 수중 운동체를 진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중 운동체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선박에 진수장치를 설치하는 과정;
    상기 수중 운동체를 상기 진수장치에 탑재하는 과정;
    상기 진수장치를 기울이는 과정; 및
    상기 수중 운동체를 상기 진수장치에서 이탈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진수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은,
    상기 진수장치의 지지부를 상기 선박을 가로지르도록 설치하는 과정; 및
    상기 진수장치의 거치부를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탑재하는 과정은,
    상기 수중 운동체를 상기 거치부에 안착시키는 과정; 및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진수장치의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수중 운동체를 가압하여 상기 거치부에 구속시키고, 상기 고정부의 일부를 상기 거치부의 가이드 홈에 삽입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수중 운동체를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선박의 외부에서 수중 운동체를 조립하는 과정; 및
    조립이 완료된 수중 운동체를 상기 선박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기울이는 과정은,
    상기 거치부에 대한 상기 수중 운동체의 구속을 해제하는 과정; 및
    상기 고정부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의 한 쪽을 들어 올려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구속을 해제하는 과정은,
    상기 거치부에서 상기 고정부의 체결부재를 분리시키는 과정; 및
    상기 고정부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된 상태를 인력으로 유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방법.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구속을 해제하는 과정은,
    상기 거치부에서 상기 고정부의 체결부재를 분리시키는 과정; 및
    상기 고정부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고정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방법.
  22. 청구항 19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시키는 과정은,
    상기 거치부를 물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게 기울이는 과정; 및
    상기 고정부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거치부를 상기 물을 향해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회전시키는 과정은, 상기 거치부의 일부를 물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방법.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이탈시키는 과정은, 상기 거치부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상기 수중 운동체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물에 진입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 진수방법.
KR1020220182903A 2022-12-23 2022-12-23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및 진수방법 KR102577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903A KR102577567B1 (ko) 2022-12-23 2022-12-23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및 진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903A KR102577567B1 (ko) 2022-12-23 2022-12-23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및 진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567B1 true KR102577567B1 (ko) 2023-09-12

Family

ID=8801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2903A KR102577567B1 (ko) 2022-12-23 2022-12-23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및 진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56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893Y1 (ko) * 2002-12-05 2003-03-03 박동석 선박건조용 가설발판 설치대
KR100852786B1 (ko) 2007-03-23 2008-08-19 한국해양연구원 수중작동장비의 진수 및 인양장치와 이를 이용한수중작동장비의 진수 및 인양방법
KR101165672B1 (ko) 2011-06-30 2012-07-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
KR20150002134U (ko) * 2013-11-27 2015-06-04 주식회사 케이엠이 선박용 등 고정용 원통형 고정클램프
KR101998506B1 (ko) * 2018-01-11 2019-07-09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탐색 장치를 위한 전개 회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15818A (ko) * 2020-07-31 2022-02-0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수중 글라이더 인양용 인양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인양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893Y1 (ko) * 2002-12-05 2003-03-03 박동석 선박건조용 가설발판 설치대
KR100852786B1 (ko) 2007-03-23 2008-08-19 한국해양연구원 수중작동장비의 진수 및 인양장치와 이를 이용한수중작동장비의 진수 및 인양방법
KR101165672B1 (ko) 2011-06-30 2012-07-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 진수 및 회수장치
KR20150002134U (ko) * 2013-11-27 2015-06-04 주식회사 케이엠이 선박용 등 고정용 원통형 고정클램프
KR101998506B1 (ko) * 2018-01-11 2019-07-09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탐색 장치를 위한 전개 회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15818A (ko) * 2020-07-31 2022-02-0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수중 글라이더 인양용 인양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인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288B2 (en) Unmanned underwater vehicle and method for recovering such vehicle
JP5759246B2 (ja) 水中航走体の着水揚収方法および水中航走体の着水揚収に用いる保持金具
JP7419322B2 (ja) ボートの送出及び回収プラットフォーム並びに関連する送出及び回収する方法
JP6825177B2 (ja) 水中機器の投入装置
US3757722A (en) Submersible submersible underway docking unit
CA3005170C (en) Maritime floatation device
KR102577567B1 (ko)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및 진수방법
US11198488B2 (en) Mooring apparatus
US10532799B2 (en) Device for transporting an inflatable boat in operational configuration in a sling beneath a helicopter, and assembly comprising same
EP2452869B1 (en) Unmanned underwater vehicle
JP2018165090A (ja) 水中機器の投入揚収装置および投入揚収方法
US3730122A (en) Salvage pontoon
US93819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aunching and retrieving objects in aquatic environments; platforms for aquatic launch and retrieval
EP2692625A1 (en) Hyperbaric evacuation system for divers and hyperbaric chamber for evacuating divers
KR101735330B1 (ko) 해양 구조물의 페어리드 씨패스트닝 장치
KR20130009194A (ko) 휴대급 자율무인잠수정의 진수와 인양을 위한 편리하고 안전한 j형 프레임
KR102034173B1 (ko)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RU2667407C1 (ru) Многоцелевая подводная лодк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установки, снятия грузов под водой
US6223681B1 (en) REMUS positive lock securing apparatus
CN101857077B (zh) 一种返回舱船用固定座架结构
KR102055400B1 (ko) 선박용 스러스터의 도크 내 장착 방법
RU273545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его техн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US3765355A (en) Salvage system
KR101133798B1 (ko) 육상건조선박의 바지선 진수시 계류로프 자동 장력 유지장치를 이용한 진수 시스템
CN116039858A (zh) 一种可机动拼接的海上微元平台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