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499B1 - 양용 관이음매, 이 양용 관이음매용의 전용 공구, 이 양용 관이음매를 이용한 냉동 장치, 및 분리형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양용 관이음매, 이 양용 관이음매용의 전용 공구, 이 양용 관이음매를 이용한 냉동 장치, 및 분리형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499B1
KR101161499B1 KR1020107003668A KR20107003668A KR101161499B1 KR 101161499 B1 KR101161499 B1 KR 101161499B1 KR 1020107003668 A KR1020107003668 A KR 1020107003668A KR 20107003668 A KR20107003668 A KR 20107003668A KR 101161499 B1 KR101161499 B1 KR 101161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coupling member
main body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179A (ko
Inventor
하루오 나카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5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03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with more than one ring per pipe end being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the rings being integral with one of the connec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67Coupling to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양용 관이음매는, 이음매 본체(1)와, 이 이음매 본체(1)의 양측에 나사식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 부재(2)를 구비한다. 결합 부재(2)가 이음매 본체(1)에 대해 나사식 결합됨으로써 이음매 본체(1)를 통하여 2개의 배관(P)이 접속된다. 각 결합 부재(2)는 범용의 체결 공구로 파지 가능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한 쌍 또는 복수쌍의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파지면을 구비한 파지부(24)를 가진다. 이음매 본체(1)에 대해 결합 부재(2)를 조이는 회전 토크가 체결 완료를 나타내는 값에 도달했을 때에, 파지부(24) 중 적어도 파지면을 포함하는 부분이 분단되어, 결합 부재(2)의 체결이 종료되고, 배관 접속이 완료된다.

Description

양용 관이음매, 이 양용 관이음매용의 전용 공구, 이 양용 관이음매를 이용한 냉동 장치, 및 분리형 공기 조화기 {DUPLEX PIPE FITTING, EXCLUSIVE TOOL FOR THE DUPLEX PIPE FITTING, REFRIGERATION SYSTEM EMPLOYING THE DUPLEX PIPE FITTING, AND SEPARATION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양측에 배관 접속용의 나사식 결합부를 구비한 양용(兩用) 관이음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일단 배관이 접속된 후에는 분리하기 어려운 접속 구조를 가지는 양용 관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 유체를 흐르게 하는 유체관에 대해 이용되는 관이음매로서, 브레이징으로 배관을 접속하기 위한 배관 접속구를 가지는 제1단과, 결합 부재(너트)를 나사식 결합시킴으로써 나사식으로 배관을 접속 가능하게 하는 나사식 결합부를 가지는 제2단을 구비하는 편용(片用) 관이음매가 알려져 있다. 또, 양측에 나사식 결합부를 가짐과 함께 양측 모두 결합 부재를 나사식 결합시킴으로써 나사식으로 배관을 접속 가능하게 한 소위 양용 관이음매도 알려져 있다. 도 13은, 후자의 양용 관이음매를 사용한 분리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배관예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분리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는, 실내 유닛(101)의 실내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배관(102)이 밖으로 도출되고, 이 배관(102)의 선단에 플레어식의 편용 관이음매(103)가 접속되어 있다. 이 편용 관이음매(103)는, 실내 유닛(101)의 접속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 실외 유닛(105)에는, 플레어식의 편용 관이음매(106)가 접속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내외의 접속부에 대해, 제1 접속 배관(연락 배관)(104) 및 제2 접속 배관(107)이 접속됨과 함께, 제1 접속 배관(104)과 제2 접속 배관(107)이 양자(104, 107)의 선단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내 유닛(101)과 실외 유닛(105)이 제1 및 제2 접속 배관(104, 107)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접속 배관(104)과 제2 접속 배관(107)의 접속에는, 물림식의 양용 관이음매(108)가 이용되어 있다. 또한, 양용 관이음매의 공지예로서, 특허 문헌 1에 더하여, 특허 문헌 2는 양용 관이음매의 상세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 문헌 2에 개시되는 양용 관이음매는, 양측에 배관 접속용의 나사식 결합부를 가지는 이음매 본체와, 그들 나사식 결합부에 각각 나사식 결합되는 2개의 너트와, 각 너트 내에 수용되는 슬리브를 구비한다.
상기 배관 접속예에 이용되는 편용 관이음매(103, 106) 및 양용 관이음매(108)는, 체결 공구로 결합 부재(너트의 경우도 있다)를 조임으로써 접속된다. 이 체결 작업은, 조임 토크가 체결 완료를 나타내는 값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행해진다. 조임 토크가 체결 완료를 나타내는 값에 도달하면 체결 작업이 종료되고, 배관 접속 작업이 종료가 된다. 그리고, 배관 접속 작업 종료 후, 제1 및 제2 접속 배관(104, 107), 그리고 관이음매(103, 106, 108)는, 작업 종료시의 상태인 채로 사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배관 접속이 완료된 관이음매(103, 106, 108)에 대해 스패너, 렌치 등의 범용 체결 공구를 이용하면, 누구라도 간단하게 관이음매(103, 106, 108)의 나사식 결합부를 느슨하게 하거나, 또한 나사식 결합부를 느슨하게 하여 배관(104, 107)을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냉동 장치의 냉매로서 다용되고 있는 프레온 가스는, 대기에 방출된 경우에 오존층 파괴나 지구 온난화 등의 폐해를 일으키기 때문에, 그 취급이 해마다 엄격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관이음매에 의해 배관 접속된 부분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분리할 수 없는 관이음매의 구조가 필요로 되고 있다.
또, 도 13에 있어서, 실내 유닛(101)이 천정 이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느슨하게 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는 관이음매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요망에 반해, 실내 유닛(101)으로부터 도출되는 배관(102)과 제1 접속 배관(104)을 접속하는 적절한 관이음매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실내 유닛(101)이 천정 이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천정 이면에서 브레이징을 하는 것은 화재 예방상 만전의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평11-141921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2007-120741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 접속 완료 후, 범용의 체결 공구를 이용하여 접속부를 느슨하게 할 수 없도록 한 양용 관이음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 양용 관이음매에 있어서의 나사식 결합부를 해제하는 전용 공구, 그리고, 이 관이음매를 이용한 냉동 장치 및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제1 나사식 결합부를 구비한 이음매 본체와, 이음매 본체에 접속되는 배관에 장착된 상태로 이음매 본체의 각 제1 나사식 결합부에 나사식 결합되는 제2 나사식 결합부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결합 부재를 구비하고, 각 결합 부재가 이음매 본체에 대해 나사식 결합됨으로써 이음매 본체를 통하여 2개의 배관이 접속되는 양용 관이음매로서, 각 결합 부재는 범용의 체결 공구로 파지 가능한 서로 대향하는 한 쌍 또는 복수쌍의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파지면을 구비한 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파지부 중 적어도 파지면을 포함하는 부분은, 배관 접속의 과정에서 분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용 관이음매가 제공된다.
여기서 분단이란, 이하와 같은 경우를 포함한다. (1)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개소가 절단 또는 파단되는 경우. (2) 별체로서 가공된 것 끼리가 접착, 맞물림 등의 걸어 맞춤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이 접합부가 절단 또는 파단되는 경우. (3) 통상 사용 상태에서는 걸어 맞춰져 있지만 일정 조건하에서는 걸어 맞춰지지 않게 되는 것에 있어서, 일정 조건하에서 걸어 맞춰지지 않게 되는 경우. 마지막에 서술한 (3)의 경우는, 예를 들면, 이음매 본체에 대해 결합 부재를 조이는 회전 토크가 체결 완료를 나타내는 값이 되었을 때, 파지면과 나사식 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 기구가 작용하여, 파지면으로부터의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합부에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구성 상의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관련된 양용 관이음매에 의하면, 축심 방향의 양측에 나사식 결합부를 구비한 이음매 본체에 대해, 이음매 본체의 양측 각각에 배관이 접속된다. 또, 상기 파지부 중 적어도 파지면을 포함하는 부분은, 배관 접속의 과정에서 분단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관 접속 완료 후는 범용의 체결 공구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관이음매의 나사식 결합부를 느슨하게 하거나, 나사식 결합부를 느슨하게 하여 배관을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없게 된다. 이 결과, 냉매 가스의 부주의한 누출이나, 냉매 가스의 대기로의 방출이 회피된다. 또한, 이음매 본체와 결합 부재의 나사식 결합부를 느슨하게 할 필요가 생긴 경우, 전문 업자에 의뢰하지 않을 수 없게 되므로, 프레온 가스의 대기로의 무용한 방출이 삭감된다.
또, 파지부의 파지면을 포함하는 부분은, 이음매 본체에 대해 결합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회전 토크가 체결 완료를 나타내는 값에 도달했을 때에, 회전 토크에 의해 분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분단되는 부분의 강도를 회전 토크에 맞추도록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결합 부재를 조이는 작업의 종료와 동시에 상기 파지면을 포함하는 부분이 분단되므로, 체결 작업이 간략화된다. 또한, 상기 파지면을 포함하는 부분이 분단되면, 급격하게 회전 토크가 저하하므로, 작업자는 이 점에 주의를 필요로 한다.
상기 결합 부재는, 축심을 따라 연장되는 배관 관통 구멍과, 결합 부재를 2분하도록 결합 부재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 슬릿과, 슬릿과 배관 관통 구멍의 사이에 형성된 얇은 관형상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결합 부재에 있어서의 슬릿의 이음매 본체와 반대측의 부분은, 상기 서술한 파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의 이음매 본체측과 동일측의 부분은, 이음매 본체에 나사식 결합되는 상기 나사식 결합부를 구비함과 함께 이음매 본체와 배관을 기밀하게 접합하기 위한 배관 접속 기구를 구성하는 관접속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파지면을 포함하는 부분은, 이음매 본체에 대해 결합 부재를 조이는 회전 토크가 체결 완료를 나타내는 값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관형상 연결부에 있어서 회전 토크에 의해 분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결합 부재를 조이는 회전 토크가 체결 완료를 나타내는 값에 도달함으로써, 이음매 본체에 나사식 결합하는 관접속부로부터 범용의 체결 공구로 파지하고 있던 파지부 전체가 분단되고, 결합 부재의 체결 공정이 종료된다. 따라서, 배관 접속 완료 후, 이음매 본체에 나사식 결합된 관접속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파지부는 배관 상에서 자유롭게 위치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지만, 배관 상에 남는 것에 의한 각별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 본체는, 체결 완료 상태에 있어서 결합 부재의 관접속부 전체를 내부에 수납하는 통형상부를 가지고, 체결 완료 상태에 있어서 슬릿이 상기 통형상부의 단부에 대략 일치하는 위치에 상기 결합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결합 부재의 체결 공정 완료와 동시에 관형상 연결부가 절단되고, 이음매 본체 내에 관접속부 전체가 수납된 상태가 되어, 파지부가 분단된다. 그 때문에, 보다 한층 더 누구라도 간단하게 나사식 결합부를 느슨하게 하거나, 나사식 결합부를 느슨하게 하여 배관을 분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관접속부의 이음매 본체와 반대측의 단면에는 복수의 걸어 맞춤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이 걸어 맞춤 구멍부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돌출부를 구비한 전용 공구를 이용함으로써, 관접속부를 용이하게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또, 걸어 맞춤 구멍부는, 전용 공구를 걸어 맞추게 하기 위한 걸어 맞춤부로서 형성되지만, 슬릿에 대해 돌출되지 않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슬릿을 폭 좁게 설정할 수 있어, 관이음매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복수의 걸어 맞춤 구멍부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파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걸어 맞춤 구멍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파지부를 관통하는 걸어 맞춤 구멍부를 가공하기 위한 복수의 가공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파지부의 존재에도 상관없이, 걸어 맞춤 구멍부를 파지부의 이음매 본체와 반대측으로부터 가공할 수 있다. 또, 가공용 구멍의 내경을 걸어 맞춤 구멍부의 내경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양자를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걸어 맞춤 구멍부는, 한 원주 상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이 걸어 맞춤 구멍부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돌출부를 구비한 전용 공구를 이용하는 경우에, 전용 공구에 설치되는 걸어 맞춤 돌출부를 관접속부의 걸어 맞춤 구멍부에 걸어 맞추게 할 수 있으므로, 전용 공구를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전용 공구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관접속부의 이음매 본체와 반대측의 단면에 걸어 맞춤 구멍부가 형성되고 양용 관이음매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내주부를 가지는 대략 반원호형상의 기체부(基體部)와, 이 기체부에 장착된 손잡이와, 상기 기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걸어 맞춤 구멍부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전용 공구를 이용함으로써, 파지부를 배관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음매 본체에 나사식 결합된 관접속부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배관의 재접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양용 관이음매를 냉매 회로에 사용하는 냉동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냉동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다른 형태에 의하면, 분리형 공기 조화기가 제공된다. 이 공기 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 유닛과,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 유닛이 현지 시공의 연락 배관에 의해 접속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연락 배관 접속을 위해 상기 서술한 양용 관이음매가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실내 유닛과 실외 유닛이 연락 배관에 의해 접속된 경우에, 배관 접속 후에 용이하게 배관을 분리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다른 형태에 의하면, 천정 이면에 설치되는 실내 유닛과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 유닛이 현지 시공의 연락 배관에 의해 접속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가 제공된다. 이 공기 조화기는, 연락 배관이 상기 서술한 양용 관이음매에 의해 천정 이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양용 관이음매를 이용하여, 천정 이면에 있어서, 브레이징 작업을 행하는 일 없이, 또한 용이하게 배관을 분리할 수 없도록 실내 유닛과 연락 배관의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양용 관이음매의 체결 개시 전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양용 관이음매에 있어서의 페룰 둘레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양용 관이음매의 체결 공정을 나타내는 페룰 둘레의 단면도로서, 도 3(a)은 수동의 체결에 의해 페룰의 선단을 배관에 물리게 한 배관 가고정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은 페룰이 결합 부재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c)은 체결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양용 관이음매의 체결 완료 직전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양용 관이음매의 체결 완료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양용 관이음매에 있어서의 결합 부재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기 위한 전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양용 관이음매의 체결 개시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양용 관이음매의 체결 완료 직전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양용 관이음매의 체결 개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양용 관이음매에 있어서, 페룰을 결합 부재에 가유지한 상태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양용 관이음매의 배관 접속 완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응용예에 관련된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배관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3은 종래예에 관련된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배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1 실시의 형태>
제1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관이음매에 대해서, 도 1~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관이음매는,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 등의 장치에 이용되는 냉동 장치의 냉매 회로에 사용되는 물림식의 양용 관이음매로서, 그 구성이 도 1에 나타난다. 도 1은, 이 양용 관이음매의 체결 개시 전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본 양용 관이음매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심 방향의 양측에 제1 나사식 결합부로서의 암나사(12a)를 구비한 이음매 본체(1)와, 이음매 본체의 암나사(12a)에 나사식 결합되는 제2 나사식 결합부로서의 수나사(25a)를 구비한 2개의 결합 부재(2)와, 결합 부재(2)에 일체로 형성된 페룰(3)을 구비한다. 각 결합 부재(2)는, 이음매 본체(1)에 의해 접속되는 한 쌍의 배관(P)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 이 양용 관이음매는, 이음매 본체(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 A-A에 관해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우측의 결합 부재(2), 페룰(3) 및 이들의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좌측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생략한다. 또한, 우측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음매 본체(1)측, 즉,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을 전측으로 하고, 결합 부재(2)측, 즉,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을 후측으로 한다. 또,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한다.
이음매 본체(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선 A-A에 관해서 대칭적인 형상을 이룬다. 이음매 본체(1)는, 중심부에 있어서 기부(基部)(11)를 가지고, 이음매 본체(1)의 양측에 배관(P)을 물림식으로 접속하기 위한 배관 접속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부(11)의 양측에는, 결합 부재(2)를 나사식 결합하는 제1 나사식 결합부로서의 암나사(12a)를 내주면에 가지는 암나사 통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부(11) 및 양측의 암나사 통부(12)의 외형은, 이들 3개의 부분(11, 12)이 일체가 된 육각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부(11) 및 암나사 통부(12)는 범용 공구에 의해 파지하기 쉽다.
또, 이음매 본체(1)는, 기부(11)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의 암나사 통부(12) 내에 돌출하는 2개의 보스(13)를 가진다. 그리고, 각 보스(13)의 외주에는, 각각 결합 부재(2)의 보호 통부(26)를 삽입하기 위한 환형상 공간(14)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보스(13)로부터 기부(11)에 걸친 보스(13)의 내주면에는 배관 접속시에 배관(P)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삽입구(15)의 사이에는, 연통 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구(15)와 연통 구멍(16)의 사이에는 단차(카운터 보어)(17)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15)에 삽입된 배관(P)의 선단을 단차(17)에 맞닿게 함으로써, 배관(P)은 소정 위치에 유지된다.
또, 각 삽입구(15)의 입구에는 캠면(18)이 형성되어 있다. 각 캠면(18)은, 기부(11)측에 있어서 삽입구(15)에 이어짐과 함께, 후측(결합 부재(2)측)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캠면(18)의 관이음매의 축심에 대한 경사 각도는, 후술하는 페룰(3)의 선단부의 테이퍼면(32)의 경사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음매 본체(1)의 양측에 2개의 결합 부재(2)가 각각 나사식 결합되지만, 이들 결합 부재(2)는, 동일 구조의 것으로서 방향을 바꾸어 장착되어 있다. 이하, 결합 부재(2)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양측의 결합 부재(2)는 동일 구조이므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에 나사식 결합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결합 부재(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심에 배관(P)을 삽입 통과하기 위한 배관 관통 구멍(21)을 가진다. 결합 부재(2)에는, 이 결합 부재(2)를 분할하도록, 단면 U자형상의 슬릿(22)이 결합 부재(2)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릿(22)의 이음매 본체(1)측(전측)에는, 이음매 본체(1)에 나사식 결합됨과 함께 배관 접속 기구를 구비한 관접속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슬릿(22)의 이음매 본체(1)와 반대측(후측)에는, 범용의 체결 공구로 파지 가능한 파지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릿(22)의 축방향의 위치는, 이음매 본체(1)에 대해 결합 부재(2)가 체결된 상태에 있어서, 이음매 본체(1), 즉, 통형상부를 이루는 암나사 통부(12)의 단부의 위치와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또, 관접속부(23)는, 기부(25)를 가진다. 이 기부(25)의 이음매 본체(1)측(전측)의 외주에는, 페룰(3)을 보호하는 보호 통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 통부(26)로부터 기부(25)에 걸친 외주에는, 이음매 본체(1)와 나사식 결합하는 제2 나사식 결합부로서의 수나사(25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파지부(24)는, 범용의 체결 공구로 파지 가능하게 하도록 육각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릿(22)과 배관 관통 구멍(21)의 사이에, 얇은 관형상 연결부(27)가 형성되어 있다. 관형상 연결부(27)에 의해, 관접속부(23)와 파지부(24)가 연결되어 있다. 관형상 연결부(27)는, 파지부(24)를 조이는 결합 부재(2)의 조임 토크가 체결 완료를 나타내는 값까지 커지면 절단되는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배관 접속 기구는, 상기 서술한 페룰(3), 수나사(25a), 암나사(12a) 등의 부재를 포함한다.
또, 관접속부(23)의 이음매 본체(1)와 반대측(후측)의 면에는, 원형으로 소정 깊이를 가지는 4개의 걸어 맞춤 구멍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어 맞춤 구멍부(51)는, 후술하는 특별한 공구의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춰지는 피(被)걸어 맞춤부로서 기능한다. 또, 파지부(24)에는, 걸어 맞춤 구멍부(51)를 파지부(24)의 이음매 본체(1)와 반대측(후측)으로부터 가공 가능하게 하는 4개의 가공용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가공용 구멍(52)은, 대응하는 걸어 맞춤 구멍부(51)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 원주 상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페룰(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심에 배관(P)을 삽입 통과하는 관통 구멍(31)을 가지는 환형상을 이룸과 함께, 후단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박부(薄肉部)(4)를 통하여 기부(25)에 연결되어 있다. 또, 페룰(3)은, 결합 부재(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룰(3)은, 대략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후부와, 외주에 테이퍼면(32)을 가지는 전부를 구비한다. 페룰(3)은, 테이퍼면(32)에 있어서, 선단을 향함에 따라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면(32)의 경사 각도는 상기 서술한 캠면(18)의 경사 각도 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 페룰(3)의 후면(33)은, 내주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패인 제1 노치(34)를 통하여 기부(25)에 형성된 가압면(28)과 대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노치(34)는, 대략 V자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또, 제1 노치(34)는, 기부(25)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전후에 대향하는 한 쌍의 벽면을 포함한다. 제1 노치(34)의 최대 내주부(34a)는, 축방향의 길이가 짧은 원통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페룰(3)의 후부의 외주와 박부(4)의 전면측(즉 페룰(3)의 기단측)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이 직각의 모서리부는, 박부(4)에 있어서의 절입(切入)(41)으로 되어 있다. 이 절입(41)의 부분에는, 국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최박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결합 부재(2)에 대해 축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이 최박부(42)에 응력 집중이 발생된다.
또, 페룰(3)의 선단(3a) 부근의 내주면에는 제2 노치(35)가 설치되고, 페룰(3)의 후단으로부터의 내주면에는 제3 노치(36)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노치(35)는, 페룰(3)의 선단(3a)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제2 노치(35)는, V자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후측의 절입면이 축심과 직교하는 평면 상에 위치한다. 또, 결합 부재(2)를 수동으로 조일 때, 제2 노치(35)의 선단(3a)을 배관(P)과 삽입구(15)의 사이에 쐐기형상으로 삽입함으로써, 배관(P)을 가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제2 노치(35)에 있어서의 후측의 절입면과 내주면의 교차부가 엣지부(3b)를 이루고, 이 엣지부(3b)가 굴곡함으로써, 페룰(3)의 선단(3a)이 배관(P)에 물리게 되어 있다(도 3(c) 참조).
제3 노치(36)는, 제1 노치(34)와 거의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진다. 제3 노치(36)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3 노치(36)의 안쪽부와 페룰(3)의 후부의 외주의 사이에는, 환형상 박부(37)(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노치(36)가 형성되고 환형상 박부(37)가 형성됨으로써, 제3 노치(36)가 닫혔을 때에 페룰(3)의 선단(3a)의 엣지부(3b)가 배관(P)에 물리도록 변형됨과 함께, 후면(33)의 내주측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엣지부(3c)가 배관(P)에 물리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페룰(3) 전체가 제3 노치(36)를 사이에 두고 양단이 축심측으로 변형된다(도 3(c) 참조). 이와 같이, 페룰(3)의 선단(3a)에 있어서의 엣지부(3b)의 물림에 더하여, 페룰(3)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엣지부(3c)를 배관(P)에 물리도록 변형시키는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 것이다. (1) 배관(P)을 빠지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해, (2) 배관(P)에 전달되는 진동이 엣지부(3b)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3) 선단(3a)에 있어서의 엣지부(3b)의 물림에 의한 시일 성능 및 배관의 유지 기능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배관(P)은 구리관에 의해 형성되고, 이음매 본체(1), 결합 부재(2) 및 페룰(3)은 황동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재료는, 냉동 장치용 재료로서 최적이며, 또한 범용성을 가진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양용 관이음매에 의한 배관 접속 방법에 대해서, 도 1 및 도3~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관해서,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의 배관 접속과 좌측의 배관 접속은 대칭적으로 행해지는 점에서 다를 뿐이므로, 우측의 배관 접속을 염두에 두고 설명한다.
본 양용 관이음매에 의한 배관(P)의 접속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결합 부재(2)의 배관 관통 구멍(21)에 배관(P)이 삽입되고, 결합 부재(2)가 배관(P)에 장착된다. 그리고, 배관(P)의 선단이 페룰(3)의 관통 구멍(31)을 통과하여 삽입구(15)에 삽입되고, 접속 배관(P)의 선단을 단차(17)에 맞닿게 한 상태로서 결합 부재(2)가 이음매 본체(1)에 나사식 결합된다. 이 상태가 도 1에 나타난다.
이 상태로부터 결합 부재(2)를 수동으로 조여 가면, 페룰(3)의 선단(3a)이 캠면(18)에 맞닿고, 이 상태로부터 더 결합 부재(2)를 조여 가면, 페룰(3)의 선단(3a)이 배관(P)과 삽입구(15)의 사이에 밀어 넣어져, 배관(P)의 가고정이 행해진다. 이 상태가 도 3(a)에 나타난다.
그 후, 페룰(3)의 제2 노치(35)의 전측의 테이퍼면(32)이 캠면(18)에 맞닿기 때문에, 결합 부재(2)를 더 조이기에는 큰 회전 토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단계부터 후의 공정에서는, 결합 부재(2)를 이음매 본체(1)에 대해 조이기 때문에, 범용의 체결 공구가 사용된다. 이 조임에 의해 종래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페룰(3)의 선단(3a)이 캠면(18)에 눌려진 상태로 결합 부재(2)가 조여져, 박부(4)에 축방향 전(前)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 때, 페룰(3)의 외주면과 박부(4)의 전면의 교차부, 즉 절입(41)(도 3(a) 참조)을 가지는 최박부(42)에 응력이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그 때문에, 이 최박부(42)에 있어서 박부(4)가 절단되고, 후면(33)에 이어지는 외주측 단부가 가압면(28)에 맞닿는다(도 3(b) 참조).
페룰(3)은, 그 후에는 독립된 페룰로서 작용한다. 즉, 페룰(3)은, 후면(33)에 이어지는 외주측의 절단 단부가 가압면(28)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부터 결합 부재(2)가 더 조여지면, 가압면(28)의 일부가 최대 내주부(34a)로부터 후방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3 노치(36)를 중심으로 하여 그 전후의 부분이 축심측으로 굽혀지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3 노치(36)의 전부에 있어서, 제3 노치(36)를 중심으로 하여 엣지부(3b)가 배관(P)에 물리도록 경사진다. 이에 반해 제3 노치(36)의 후부에 있어서, 제3 노치(36)를 중심으로 하여 후면(33)의 내주측의 엣지부(3c)가 배관(P)에 물리도록 경사진다(도 3(c) 참조).
또한, 페룰(3)의 후부가 제3 노치(36)를 중심으로 하여 경사지도록 변형되어, 엣지부(3c)가 배관(P)에 물린다. 이 물림량이 적정값이 되면, 제3 노치(36)를 형성하는 전면과 후면이 서로 대략 전체면에서 접촉되어 노치를 닫도록, 제3 노치(36)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그 형상은, 상기 서술과 동일한 형상으로서, 도 2에서 확대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노치(34)의 형상과 동일한 대략 V자형이며, 그 안쪽부에 폭이 좁은 원통면(36a)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페룰(3)에서는, 제3 노치(36)를 형성하는 전면과 후면이 서로 대략 전체면에서 접촉된 후, 제3 노치(36)를 중심으로 하는 경사가 규제되어, 엣지부(3c)의 과잉한 물림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페룰(3)의 선단(3a)에 있어서의 엣지부(3b)의 물림 및 페룰(3)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엣지부(3c)의 물림이 소정량에 이르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매 본체(1)의 암나사 통부(12)의 단부와 슬릿(22)의 이음매 본체(1)측의 면이 대략 일치하도록, 슬릿(22)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더 결합 부재(2)를 조이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 부재(2)를 조이는 회전 토크가 체결 완료를 나타내는 값에 도달한다. 이 때, 관형상 연결부(27)가 절단되고, 이음매 본체(1)의 암나사 통부(12)로부터 돌출된 상태에 있는 파지부(24)가 분단된다. 이것에 의해 결합 부재(2)의 조임이 완료되고, 배관(P)의 접속이 완료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상태로 체결된 배관 접속을, 전용 공구를 사용하여 느슨하게 하는 배관 접속 해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전용 공구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용 공구(60)이다. 이 전용 공구(60)는, 대략 반원호형상의 기체부(61)와, 이 기체부(61)에 장착된 손잡이(62)를 구비한다. 기체부(61)의 원호부(63)의 내경은 배관(P)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관접속부(23)의 걸어 맞춤 구멍부(51)에 걸어 맞추는 3개의 걸어 맞춤 돌출부(64)가 기체부(6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어 맞춤 돌출부(64)는, 관접속부(23)의 4개의 걸어 맞춤 구멍부(51) 중의 서로 이웃하는 임의의 3개에 걸어 맞춤 가능하다.
그리고, 전용 공구(60)의 3개의 걸어 맞춤 돌출부(64)가 관접속부(23)의 임의의 서로 이웃하는 3개의 걸어 맞춤 구멍부(51)에 각각 끼워 넣어지고, 전용 공구(60)의 손잡이(62)를 이용하여 기체부(61)를 회전시킴으로써, 관접속부(23)를 회전시켜 이음매 본체(1)와의 나사식 결합이 느슨해져, 배관(P)이 이음매 본체(1)로부터 분리된다. 이 배관 접속 해제 방법에 의하면, 배관(P)을 절단하는 일 없이, 관접속부(23)를 느슨하게 하여 배관(P)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배관 접속 해제 공사가 간단해진다. 또, 이음매 본체(1)를 남긴 상태로 배관(P)이 분리된다. 그리고, 새로운 결합 부재(2)를 이용함으로써, 이 이음매 본체(1)에 대해 배관(P)이 다시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양용 관이음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1) 축심 방향의 양측에 제1 나사식 결합부(암나사(12a))를 구비한 이음매 본체(1)에 대해, 양측 각각에 배관(P)을 접속할 수 있다. 즉, 이음매 본체(1)는, 제1 나사식 결합부로서 축방향의 양측에, 배관 접속 기구를 구성하는 캠면(18)을 가짐과 함께, 내주면에 암나사(12a)를 구비한 암나사 통부(12)를 가진다. 그리고, 수나사(25a)를 구비함과 함께, 페룰(3)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결합 부재(2)가, 상기 서술한 암나사(12a)에 나사식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음매 본체(1)의 양측에 있어서, 물림식으로 배관(P)을 접속할 수 있다.
(2) 이음매 본체(1)에 대해 결합 부재(2)를 체결하는 경우에, 이음매 본체(1)에 대해 결합 부재(2)를 조이는 회전 토크가 체결 완료를 나타내는 값에 도달하면, 배관(P)이 이음매 본체(1)에 대해 시일됨과 함께 배관(P)이 이음매 본체(1)에 지지된다. 또한 이 때, 결합 부재(2)의 관형상 연결부(27)가 절단되어, 결합 부재(2)의 조임이 종료되고, 배관 접속 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배관 접속 후에는, 이음매 본체(1)에 나사식 결합되는 관접속부(23)로부터 파지부(24)가 분단되어 있기 때문에, 관접속부(23)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할 수 없다. 이 결과, 용이하게 배관(P)을 분리할 수 없게 되어, 냉매 가스의 부주의한 누출이나, 대기로의 냉매 가스 방출이 회피된다.
(3) 이음매 본체(1)는, 체결 완료 상태에 있어서 결합 부재(2)의 관접속부(23) 전체를 내부에 수납하는 통형상부로서의 암나사 통부(12)를 가진다. 이에 반해, 결합 부재(2)는, 체결 완료 상태에 있어서 슬릿(22)이 통형상부로서의 암나사 통부(12)의 단부에 대략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파지부(24)가 절단되면, 후에 남는 관접속부(23) 전체가 이음매 본체(1) 내에 수납되는 상태가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의 경우, 보다 한층 더 누구라도 간단하게 이음매 본체(1)에 대한 관접속부(23)의 나사식 결합부를 느슨하게 하거나, 이 나사식 결합부를 느슨하게 하여 배관(P)을 분리할 수 없게 된다.
(4) 관접속부(23)의 이음매 본체(1)와 반대측(후측)의 단면에는 복수의 걸어 맞춤 구멍부(51)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들 걸어 맞춤 구멍부(51)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돌출부(64)를 구비한 전용 공구(60)를 이용함으로써, 관접속부(23)를 용이하게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또, 걸어 맞춤 구멍부(51)는, 전용 공구(60)를 걸어 맞추기 위한 걸어 맞춤부로서 형성되지만, 슬릿(22)에 돌출되지 않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슬릿(22)을 폭 좁게 설정할 수 있어, 관이음매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5) 걸어 맞춤 구멍부(51)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 파지부(24)에 있어서의 걸어 맞춤 구멍부(51)에 대응하는 위치에, 파지부(24)를 관통하는 걸어 맞춤 구멍부(51)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용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파지부(24)의 존재에도 상관없이, 걸어 맞춤 구멍부(51)를 파지부(24)의 이음매 본체(1)와 반대측(후측)으로부터 가공할 수 있다. 또, 가공용 구멍(52)의 직경을 걸어 맞춤 구멍부(51)의 직경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양자(51, 52)를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
(6) 걸어 맞춤 구멍부(51)는, 한 원주 상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용 공구(60)에 설치되는 걸어 맞춤 돌출부(64)를 관접속부(23)의 임의의 걸어 맞춤 구멍부(51)에 걸어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전용 공구(60)는 사용하기 편리하다.
(7) 전용 공구(60)는, 배관(P)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호부(63)를 구비하는 기체부(61)와, 이 기체부(61)에 장착된 손잡이(62)와, 기체부(61)의 측면에 형성된, 걸어 맞춤 구멍부(51)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돌출부(64)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 전용 공구(60)를 이용함으로써, 파지부(24)를 배관(P)로부터 분리하는 일 없이, 이음매 본체(1)에 나사식 결합된 관접속부(23)를 분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배관(P)의 재접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8) 상기 서술한 양용 관이음매를 냉매 회로에 사용한 냉동 장치에 있어서, 2개의 배관(P)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한편, 일단 접속된 배관(P)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냉매의 누출에 대한 관리를 엄격하게 행할 수 있다.
<제2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제2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2의 실시의 형태는, 제1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이음매 본체(1) 및 결합 부재(2)의 나사식 결합부로서의 암나사(12a)와 수나사(25a)를 교체함과 함께, 페룰(3)을 2분할된 독립형으로 한 것이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제1 실시의 형태의 구성과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이음매 본체(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11)의 양측에 형성된 보스(13)의 외주면에 각각 제1 나사식 결합부로서의 수나사(1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의 형태와는 달리, 수나사(13a)의 외주에는 통형상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이음매 본체(1)의 양측에 나사식 결합되는 결합 부재(2)에는, 제1 실시의 형태와 같은 보호 통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기부(25)의 이음매 본체(1)측에 암나사 통부(71)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 통부(71)는, 내주에 이음매 본체(1)의 수나사(13a)에 나사식 결합하는 제2 나사식 결합부로서의 암나사(71a)를 가진다. 또, 관접속부(23)의 외주 전체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페룰(73)은, 프론트 페룰(74)과 백 페룰(75)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페룰(74) 및 백 페룰(75)의 축심부에는 각각 배관 관통 구멍(74a, 75a)이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페룰(74)의 후면과, 백 페룰(75)의 전면은, 후방으로부터 이음매 본체(1)에 가까워짐에 따라 축심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에 형성되고, 양자(74, 75)는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용 관이음매에 있어서, 가압면(28)에 의해 페룰(73)이 가압되었을 때에, 페룰(73)의 후단의 엣지부(76)가 배관(P)에 물려 배관(P)이 이음매 본체(1) 및 관접속부(23) 내에 지지된다. 또, 가압면(28)에 의해 페룰(73)이 가압됨으로써, 프론트 페룰(74)의 선단(77)이 배관(P)에 물려 배관(P)과 페룰(73)의 사이가 시일된다. 그와 동시에, 프론트 페룰(74)의 외주 테이퍼면(78)이 캠면(18)에 밀접되어, 페룰(73)과 캠면(18)의 사이가 시일된다. 또한, 도 7은, 결합 부재(2)를 조이기 시작한 단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후단의 엣지부(76) 및 선단(77)이 배관(P)에 물리는 상태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또, 제2의 실시의 형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 이음매 본체(1)의 축방향 양측에 캠면(18), 제1 나사식 결합부로서의 수나사(13a)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페룰(73)을 개재시켜 배관(P)에 장착된 결합 부재(2)를 이음매 본체(1)에 체결함으로써, 배관(P)을 이음매 본체(1)에 접속할 수 있다.
(2) 또, 배관 접속이 완료된 단계에서는,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이음매 본체(1)에 나사식 결합되는 관접속부(23)로부터 파지부(24)가 분단되기 때문에, 관접속부(23)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할 수 없다. 따라서, 용이하게 배관(P)을 분리할 수 없게 되어, 냉매 가스의 부주의한 누출 및, 냉매 가스의 대기로의 방출이 회피된다.
(3) 또한, 제2의 실시의 형태는,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관접속부(23)의 이음매 본체(1)와 반대측의 단면에는 복수의 걸어 맞춤 구멍부(51)가 형성됨과 함께, 파지부(24)에 가공용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효과 (4), (5) 및 (8)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 제1 실시의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전용 공구(60)를 사용할 수 있다.
<제3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제3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3의 실시의 형태는, 기본적으로는 제2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배관 접속 기구를 플레어식으로 변경한 것이다. 또한, 이 도에 있어서, 제2의 실시의 형태의 구성과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이음매 본체(1)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면 대신에, 보스(13)의 선단부에 형성된 플레어 받이면(81)을 가진다. 또한, 보스(13)의 축심에는, 양측의 보스(13) 사이를 연통함과 함께, 배관(P)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연통 구멍(82)이 형성되어 있다.
이음매 본체(1)의 양측에 나사식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 부재(2)의 각각에는, 제2의 실시의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릿(22)을 사이에 두고 이음매 본체(1)측에 관접속부(23)가 형성되는데 반해, 이음매 본체(1)의 반대측에는 파지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관접속부(23)는, 기부(25)의 이음매 본체(1)측에, 내주면에 암나사(71a)를 형성한 암나사 통부(71)를 가진다. 또, 관접속부(23)는, 기부(25)의 이음매 본체(1)측의 단면에 형성된 플레어 압접면(84)을 가진다. 플레어 압접면(84)은, 배관(P)에 형성된 플레어(83)에 압접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플레어식 관이음매는, 다음과 같이 하여 연결된다. 우선, 결합 부재(2)의 배관 관통 구멍(21)에 배관(P)이 삽입되고, 결합 부재(2)가 배관(P)에 장착된다. 그리고, 배관(P)의 선단에 플레어(83)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다음에, 플레어(83)를 플레어 받이면(81)에 누르도록 하면서, 이음매 본체(1)에 대해 결합 부재(2)가 조여진다. 그리고, 결합 부재(2)를 조이는 회전 토크가 체결 완료를 나타내는 값에 도달하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어(83)가 플레어 받이면(81)과 플레어 압접면(84)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이것과 대략 동시에, 도시하지 않지만 파지부(24)가 분단되어 결합 부재(2)의 체결이 종료되고, 배관 접속이 완료가 된다. 이 때, 관접속부(23)의 외주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범용의 체결 공구로는 관접속부(23)를 파지하지 못하여, 이음매 본체(1)와 관접속부(23)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할 수 없다. 또한, 이음매 본체(1)와 관접속부(23)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할 때, 도 6과 같은 전용 공구(60)가 이용된다.
제3의 실시의 형태는, 이상과 같이 이음매 본체(1)와 결합 부재(2)의 배관 접속 기구가 다른 것에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서술한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제4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양용 관이음매에 대해서 도 9~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4의 실시의 형태는, 제1 실시의 형태와 비교하면, 각 부의 치수가 달라, 페룰(3)을 결합 부재(2)와는 별체로 형성함과 함께, 그 페룰(3)을, 조립하기 전의 부품의 단계에서 결합 부재(2)에 가유지하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도 9는,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양용 관이음매의 체결 개시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이 양용 관이음매에 있어서, 페룰을 결합 부재에 가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이 양용 관이음매의 배관 접속 완료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 9~11에 있어서, 제1 실시의 형태의 구성과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양용 관이음매는, 상기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의 형태와 동일하다. 제4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이음매 본체(1)는, 결합 부재(2)에 제1 실시의 형태와 같은 보호 통부(26)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환형상 공간(14)의 축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양용 관이음매는, 이음매 본체(1)와 결합 부재(2)가 나사식 결합됨으로써 양자(1, 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환형상 공간(14)을 포함한다)을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릴리스 포트(5)가 형성되어 있다. 릴리스 포트(5)는, 이 공간이 냉각되어 내부에 공기 중의 수분이 동결되는 경우에, 동결에 의한 얼음의 팽창력을 외부로 보내기 위한 것이다.
결합 부재(2)의 관접속부(23)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별체의 페룰(3)을 가유지하기 위한 가유지 기구를 가진다. 관접속부(23)에는, 페룰(3)의 후단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면(28)이 형성되어 있다. 또, 그 가압면(28)의 전방으로 대경부(29a)가 형성되고, 또한, 그 전방에는 직경 방향 내(內)방향으로 돌출하는 환형상의 돌출부(29b)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29a) 및 돌출부(29b)는 결합 부재(2)에 있어서의 가유지 기구를 구성한다. 또한, 걸어 맞춤 구멍부(51) 및 가공용 구멍(52)이 제1 실시의 형태의 걸어 맞춤 구멍부(51) 및 가공용 구멍(52)보다도 큰 내경을 가진다. 그에 따라, 이 양용 관이음매에 사용되는 전용 공구(60)(제1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도 6 참조)에 관해서, 걸어 맞춤 구멍부(51)에 삽입되는 걸어 맞춤 돌출부(64) 직경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페룰(3)의 후단부에는, 가유지 기구로서, 직경 방향 외방향으로 돌출하는 환형상의 돌출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8)는, 결합 부재(2)의 환형상의 돌출부(29b)의 내경보다 약간 큰 외경을 가짐과 함께, 대경부(29a)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38)의 축방향의 길이는, 대경부(29a)의 축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페룰(3)에 있어서, 후단부의 돌출부(38)를 결합 부재(2)의 돌출부(29b)에 대해 누름으로써,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경부(29a) 내에 돌출부(38)가 압입된다. 그 결과, 강하게 잡아당기지 않는 한 돌출부(38)가 대경부(29a)내에 유지되어, 페룰(3)이 결합 부재(2)에 가유지된 상태가 된다.
페룰(3)이 가유지된 결합 부재(2)는, 페룰(3)을 가유지한 채로 배관(P)에 장착되어, 페룰(3)의 선단이 캠면(18)에 맞닿도록 수동으로 결합 부재(2)가 조여진다(도 9 참조). 이것을 체결 개시시 상태로 한다. 계속하여 수동으로 결합 부재(2)가 조여지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페룰(3)의 선단(3a)이 배관(P)과 삽입구(15)의 사이에 쐐기형상으로 밀어 넣어져, 배관(P)의 가고정이 행해진다. 그 후, 체결 공구를 사용하여 결합 부재(2)를 조임으로써, 제1 실시의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관(P)이 이음매 본체(1)에 체결된다(도 11 참조).
제4의 실시의 형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이음매 본체(1)에 릴리스 포트(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음매 본체(1)와 결합 부재(2)의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상 공간(14)을 포함하는 공간에 있어서 공기 중의 수분이 동결되는 경우가 있어도, 얼음의 팽창력이 릴리스 포트(5)를 통해서 외부에 보내진다. 이 결과, 공간 내의 수분의 동결에 의해 시일 성능이 열화되는 일이 없다.
다음에,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양용 관이음매의 응용예에 관련된 멀티 시스템형의 분리형 공기 조화기에 대해서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분리형 공기 조화기는 프로판 등의 HC(탄화수소) 냉매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도 12에 그 배관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낸다. 이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분리형 공기 조화기는, 1대의 실외 유닛(91)과, 이 실외 유닛(91)에 대해 접속되는 복수대(이 경우 4대)의 실내 유닛(92)을 구비한다. 또 실내 유닛(92)은 천정 이면에 설치되는 천정 매설형이다. 또, 실외 유닛(91)의 출입구에는 폐쇄 밸브(93)가 각각 장착되고, 이들 폐쇄 밸브(93)에 대해 현지 배관 시공에 의해 주연락 배관(94)이 접속된다. 또한, 이들 주연락 배관(94)에 대해 분기관(95)이 현지 배관 시공에 의해 분기되어 접속된다. 각 분기관(95)은, 양용 관이음매(96)를 이용하여 실내 유닛(92)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배관형상의 접속부(97)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실내 유닛(92)은, 주연락 배관(94), 분기관(95) 및 양용 관이음매(96)를 통하여 실외 유닛(91)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양용 관이음매(96)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물림식 관접속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실내 유닛(92)이 천정 이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배관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 배관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 배관을 브레이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안전한 배관 시공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되어도 된다.
(1)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결합 부재(2)를 체결할 때의 회전 토크를 관형상 연결부(27)에 전달함으로써, 관형상 연결부(27)를 분단하는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그 구조는 다음과 같이 변경되어도 된다. 즉, 결합 부재(2)를 체결하기 위한 회전 토크가 체결 완료를 나타내는 값에 도달함으로써 배관(P)의 시일 성능 및 유지력이 만족된 것이 되므로, 이음매 본체(1)에 대한 결합 부재(2)의 조임을 종료한다. 이 때 관형상 연결부(27)는 아직 분단되지 않도록 설정되고, 결합 부재(2)는 재조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경우의 회전 토크의 관리는,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결합 부재(2)의 회전각 또는 결합 부재(2)의 위치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그 다음에, 파지부(24)에 대해서, 축방향의 힘을 가함으로써, 관형상 연결부(27)가 분단된다. 힘을 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체결 공구에 의해 파지부(24)를 축방향으로 타격하는, 혹은, 파지부(24)를 펜치 등의 공구 사이에 두고 축심의 전후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굽히거나 하는 것을 반복하는 등 방법이어도 된다. 어느 쪽으로 해도, 배관 접속 작업은 관형상 연결부(27)가 분단되는 공정을 거쳐 완료되는 것으로 한다. 또, 관형상 연결부(27)는, 관접속부(23) 및 파지부(24)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일체적인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별체여도 된다. 이 경우, 별체의 관형상 연결부를 개재하여 관접속부(23)와 파지부(24)가 접착제 등의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도 된다.
(2)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관접속부(23)를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걸어 맞춤 구멍부(51)를 설치하지 않는 다른 방법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 이 경우, 파지부(24)에 설치되는 가공용 구멍(52)도 생략할 수 있다.
(3)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양용 관이음매의 양측에 접속되는 배관의 사이즈는 동일하지만, 양용 배관 이음매는 다른 외경을 가지는 배관에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4)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파지부(24) 전체가 분단되는 구조이지만, 적어도 파지면을 포함하는 부분이 분단되는 구조이면 되며, 특별히 상기 서술한 구조에 구애받는 것은 아니다.
(5)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파지부(24)의 외형은, 범용의 체결 공구로 파지 가능하도록 육각 너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해, 이 파지부(24)는, 범용의 체결 공구로 파지 가능한 다각형상이면, 상이한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파지부는 사각형이어도 된다.

Claims (11)

  1. 한 쌍의 제1 나사식 결합부를 구비한 이음매 본체와, 상기 이음매 본체에 접속되는 배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이음매 본체의 각 제1 나사식 결합부에 나사식 결합되는 제2 나사식 결합부를 일측에 각각 갖는 한 쌍의 결합 부재를 구비하고, 각 결합 부재가 상기 이음매 본체에 대해서 나사식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음매 본체를 통하여 2개의 배관이 접속되는 양용(兩用) 관이음매로서,
    상기 각 결합 부재는, 타측에 범용의 체결 공구로 파지 가능한 서로 대향하는 한 쌍 또는 복수쌍의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파지면을 구비한 파지부를 갖고,
    상기 파지부 중 적어도 상기 파지면을 포함하는 부분은, 배관 접속의 과정에서 분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용 관이음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면을 포함하는 부분은, 이음매 본체에 대해서 결합 부재를 조이는 회전 토크에 의해 배관의 체결이 완료되었을 때, 이 회전 토크에 의해 분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용 관이음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축심을 따라 연장되는 배관 관통 구멍과, 상기 결합 부재를 2분하도록 상기 결합 부재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 슬릿과, 슬릿과 배관 관통 구멍의 사이에 형성된 얇은 관 형상 연결부를 갖고,
    상기 결합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의 상기 이음매 본체와 반대측의 부분에는, 상기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의 상기 이음매 본체와 동일측의 부분에는, 상기 이음매 본체에 나사식 결합되는 상기 나사식 결합부를 구비함과 함께 이음매 본체와 배관을 기밀하게 접합하기 위한 배관 접속 기구를 구성하는 관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면을 포함하는 부분은, 상기 이음매 본체에 대해서 결합 부재를 조이는 회전 토크에 의해 배관의 체결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관 형상 연결부에 있어서 회전 토크에 의해 분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용 관이음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 본체는, 체결 완료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관접속부 전체를 내부에 수납하는 통 형상부를 갖고, 상기 결합 부재는, 체결 완료 상태에 있어서 슬릿이 상기 통 형상부의 단부와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용 관이음매.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접속부의 상기 이음매 본체와 반대측의 단면에는 복수의 걸어 맞춤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용 관이음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어 맞춤 구멍부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파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걸어 맞춤 구멍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파지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걸어 맞춤 구멍부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용 관이음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어 맞춤 구멍부는, 한 원주 상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용 관이음매.
  8. 청구항 5 또는 6에 기재된 양용 관이음매에서의 배관의 접속을 느슨하게 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용 공구로서, 상기 배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반원호 형상의 기체부(基體部)와, 이 기체부에 장착된 손잡이와, 상기 기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걸어 맞춤 구멍부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공구.
  9.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용 관이음매를 냉매 회로의 배관 접속을 위해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10.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 유닛과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 유닛이, 시공 현장에서 배관 공사가 행해지는 때에 연락 배관에 의해 접속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연락 배관 접속을 위해서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용 관이음매가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
  11. 천정 이면에 설치되는 실내 유닛과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 유닛이, 시공 현장에서 배관 공사가 행해지는 때에 연락 배관에 의해 접속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연락 배관이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용 관이음매에 의해 천정 이면에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
KR1020107003668A 2007-09-11 2008-09-08 양용 관이음매, 이 양용 관이음매용의 전용 공구, 이 양용 관이음매를 이용한 냉동 장치, 및 분리형 공기 조화기 KR101161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35990 2007-09-11
JPJP-P-2007-235990 2007-09-11
JPJP-P-2008-211013 2008-08-19
JP2008211013A JP5266956B2 (ja) 2007-09-11 2008-08-19 両用管継手、この両用管継手用の専用工具、冷凍装置、分離型空気調和機
PCT/JP2008/066178 WO2009034948A1 (ja) 2007-09-11 2008-09-08 両用管継手、この両用管継手用の専用工具、この両用管継手を用いた冷凍装置、及び分離型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179A KR20100035179A (ko) 2010-04-02
KR101161499B1 true KR101161499B1 (ko) 2012-07-02

Family

ID=4045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668A KR101161499B1 (ko) 2007-09-11 2008-09-08 양용 관이음매, 이 양용 관이음매용의 전용 공구, 이 양용 관이음매를 이용한 냉동 장치, 및 분리형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62135B2 (ko)
EP (1) EP2189699B1 (ko)
JP (1) JP5266956B2 (ko)
KR (1) KR101161499B1 (ko)
CN (1) CN101784831B (ko)
AU (1) AU2008298279B2 (ko)
ES (1) ES2420838T3 (ko)
WO (1) WO2009034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7794B2 (ja) * 2008-01-17 2014-02-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EP2370723B1 (en) 2008-12-10 2017-02-15 Swagelok Company Ferrule assembly for conduit fitting
EP2526329B1 (en) 2010-01-21 2018-09-05 Swagelok Company Conduit gripping device having retaining structure for conduit fitting
JP5371811B2 (ja) * 2010-01-27 2013-12-18 前澤給装工業株式会社 柔軟管接続継手
CN102679061A (zh) * 2012-05-09 2012-09-19 葛文宇 滑道式锁紧管件
CN103574206A (zh) * 2012-07-18 2014-02-12 上海汽车空调配件有限公司 一种冷却系统密封连接口
CA2967293A1 (en) 2014-05-09 2015-11-12 Swagelok Company Conduit fitting with components adapted for facilitating assembly
NO347639B1 (no) * 2017-03-15 2024-02-12 Liitos As Rørkobling for å sammenkople to rør og fremgangsmåte for å sammenkople to rør
US11215216B2 (en) * 2018-04-27 2022-01-04 Greaves Corporation Breakaway nut
US11703165B2 (en) 2018-04-27 2023-07-18 Swagelok Company Ferrule assembly for conduit fitting
KR102178457B1 (ko) * 2020-04-10 2020-11-13 이윤철 연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1847A (ja) 2006-02-08 2007-08-23 Daikin Ind Ltd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管継手、弁、閉鎖弁、冷凍サイクル装置、給湯装置、食い込み式管接続方法、および現地配管接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5274A (en) * 1983-03-02 1986-03-11 Gilbert Engineering Company Inc. Controlled torque connector assembly
US4789759A (en) * 1986-03-25 1988-12-06 Amp Incorporated Assembly for an electrical cable providing strain relief and a water-tight seal
US4836584A (en) * 1988-07-18 1989-06-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rviceable threaded conduit coupling
US4848808A (en) * 1988-09-23 1989-07-18 Tyler Pipe Industries, Inc. Mechanical pipe joint
US4930816A (en) * 1989-05-17 1990-06-05 Biing Yih Hwang Joining structures for metal pipes
DE3929074A1 (de) * 1989-09-01 1991-03-07 Teves Gmbh Alfred Befestigung und befestigungsverfahren
JPH04362391A (ja) * 1991-06-07 1992-12-15 Toyo Fuitsutengu Kk 管継手
US5362109A (en) * 1993-03-22 1994-11-08 Butterworth Jetting Systems, Inc. Quick disconnect for high pressure fluid line
JP2624941B2 (ja) * 1994-04-18 1997-06-25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流体継手
FR2728951A1 (fr) * 1994-12-28 1996-07-05 Banides & Debeaurain Dispositif formant raccord de securite pour fluide combustible
JP2840204B2 (ja) * 1995-01-19 1998-12-24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流体継手及びその螺着スパナ
US5772252A (en) * 1995-06-16 1998-06-30 Malani; Jugal K. Pipe junction holder with a novel torque-limiting device
US5658017A (en) * 1995-10-03 1997-08-19 Chirehdast; Mehran Tube nut torque limiting method and apparatus
JPH11141921A (ja) * 1997-11-05 1999-05-28 Ok Kizai Kk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用接続配管並びに空気調和装置の配管接続方法
JP2005036947A (ja) * 2003-07-18 2005-02-10 Ihara Science Corp 管継手
JP4241686B2 (ja) * 2004-12-27 2009-03-18 因幡電機産業株式会社 管継手
US20060138771A1 (en) * 2004-12-27 2006-06-29 Carrier Corporation Braze-free connector for joining a pair of flow lines
JP3940850B2 (ja) * 2005-09-30 2007-07-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管継手、冷凍装置、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閉鎖弁、給水配管、配管の接続方法、及び現地配管施工方法
JP5012118B2 (ja) * 2007-03-19 2012-08-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US7862089B2 (en) * 2007-05-25 2011-01-04 Quick Fitting, Inc. Piping joint assembly system and method
US7900967B2 (en) * 2008-09-16 2011-03-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gine fitting and method of assembling veh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1847A (ja) 2006-02-08 2007-08-23 Daikin Ind Ltd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管継手、弁、閉鎖弁、冷凍サイクル装置、給湯装置、食い込み式管接続方法、および現地配管接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9699B1 (en) 2013-04-24
EP2189699A1 (en) 2010-05-26
US8262135B2 (en) 2012-09-11
CN101784831A (zh) 2010-07-21
JP5266956B2 (ja) 2013-08-21
US20110006517A1 (en) 2011-01-13
JP2009085431A (ja) 2009-04-23
AU2008298279A1 (en) 2009-03-19
WO2009034948A1 (ja) 2009-03-19
EP2189699A4 (en) 2012-03-28
AU2008298279B2 (en) 2011-11-17
KR20100035179A (ko) 2010-04-02
CN101784831B (zh) 2012-07-04
ES2420838T3 (es)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499B1 (ko) 양용 관이음매, 이 양용 관이음매용의 전용 공구, 이 양용 관이음매를 이용한 냉동 장치, 및 분리형 공기 조화기
KR20080080179A (ko) 바이트형 관 접속 구조, 관 조인트, 밸브, 폐쇄 밸브, 냉동사이클 장치, 급탕 장치, 바이트형 관 접속 방법 및 현지배관 접속 방법
JP5012118B2 (ja)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AU2008304883B2 (en) Bite type pipe connection structure, valve, bite type pipe joint, and freezing device
US20060244257A1 (en) Pipe joint
KR20220166323A (ko) 분해 방지 조인트 및 분해 방지 조인트 어셈블리
JP3939311B2 (ja) 管継手
JP4123304B2 (ja) 管継手、冷凍装置及びヒートポンプ式温水装置
JP2009085430A (ja) 管継手及びこれを用いた冷凍装置
JP2007211847A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管継手、弁、閉鎖弁、冷凍サイクル装置、給湯装置、食い込み式管接続方法、および現地配管接続方法
JP2008157466A (ja) 管継手、冷凍装置及びヒートポンプ式温水装置
JP2008082373A (ja)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WO2010010885A1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その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を用いた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4737178B2 (ja) 管接続構造、弁、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4858371B2 (ja) 管継手、冷凍装置、配管接続解除方法
JP2009085343A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WO2010018772A1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2003074769A (ja) 管継手の構造
JP4858372B2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4737180B2 (ja) 管接続構造、弁、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2009150445A (ja) 管接続構造、弁、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2009085342A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2009150442A (ja) 管接続構造、弁、管継手及び冷凍装置
EP2230434A1 (en) Bite type pipe connection structure, valve, bite type pipe joint, and freezing apparatus
JP2009103402A (ja) 配管接続部の構造及び分離型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