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457B1 -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457B1
KR102178457B1 KR1020200043705A KR20200043705A KR102178457B1 KR 102178457 B1 KR102178457 B1 KR 102178457B1 KR 1020200043705 A KR1020200043705 A KR 1020200043705A KR 20200043705 A KR20200043705 A KR 20200043705A KR 102178457 B1 KR102178457 B1 KR 102178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using
fixing
housing body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철
이창민
김주화
Original Assignee
이윤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철 filed Critical 이윤철
Priority to KR102020004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457B1/ko
Priority to CN202180023368.8A priority patent/CN115349066A/zh
Priority to PCT/KR2021/004358 priority patent/WO2021206450A1/ko
Priority to US17/912,044 priority patent/US2023013548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2Joints for pipes being spaced apart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clamped by a wedg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2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with additional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03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with more than one ring per pipe end being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3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placed in the socket befor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the rings being integral with one of the connec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연결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배관이 삽입되는 하우징부와, 회전에 따라 배관과 하우징부 사이로 진입하여 배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하우징부와 배관 사이에 구비되어 하우징부와 배관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 등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등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는, 용접 등의 결합 방식을 적용하여 복수 개의 배관을 연결함으로써 배관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배관을 통하여 이동이 안내되는 유체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종래의 연결장치는 주로 용접 방식을 적용하므로 고가의 용접 장비가 필요하고 작업자에 따라 연결장치의 품질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연결장치는 배관의 연결을 위한 연결장치에 융착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압착, 쐐기 등의 적용을 위하여 고가의 장비 및 전문인력 등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3582호(2018.5. 28. 등록, 발명의 명칭: 파이프 연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여 배관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고, 다양한 재질의 배관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배관이 삽입되는 하우징부; 회전에 따라 상기 배관과 상기 하우징부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배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배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배관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배관이 삽입되는 하우징바디부; 및 상기 하우징바디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바디부를 향하여 진행하면서 내경이 좁게 형성되는 하우징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바디부는, 상기 배관이 삽입되는 하우징바디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바디부재; 및 상기 하우징바디홀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진입 정도를 제한하는 배관진입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안내부는, 상기 배관이 진입하는 배관진입부; 및 상기 배관진입부와 상기 하우징바디부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바디부 측으로 진행하면서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배관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바디부 또는 상기 배관안내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바디홀부 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배관 또는 고정부를 가압하는 가압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부재; 및 기 회전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배관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외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배관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안내부에 접하여 이동되면서 변형되어 상기 배관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배관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하우징부에 배관진입제한부 및 배관진입표시부를 적용하여 하우징부에 진입되는 배관의 진입정도를 정확하게 제어하고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고정부와 고정강화부를 적용하여 배관을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배관의 처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하우징부와 배관 사이에 밀폐부를 적용하여 배관을 따라 안내되는 유체가 하우징부와 배관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고정걸림부와 하우징걸림부, 고정강화부 및 풀림방지부를 적용하여 고정부의 풀림을 방지하므로 배관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강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와 밀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고정강화부가 하우징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배관이 하우징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고정부와 고정강화부가 회전되면서 배관을 고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풀림방지부가 하우징부와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는 하우징부(100), 고정부(300) 및 밀폐부(50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0)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배관(10)이 삽입된다. 여기서 하우징부(100)에 삽입되는 배관(10)은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파이프 등을 포함하며, 금속, 합성수지 등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는 하우징바디부(110) 및 하우징안내부(130)를 포함한다.
하우징바디부(110)에는 배관(10)이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바디부(1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배관(10)이 삽입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외에도 하우징바디부(110)는 삽입되는 배관(10)의 형상, 개수 등에 따라 직경이 상이한 복수 개의 원통이 연결되는 형상으로 제작되거나, 'T'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바디부(110)는 하우징바디부재(111) 및 배관진입제한부(113)를 포함한다.
하우징바디부재(111)는 배관(10)이 삽입되는 하우징바디홀부(112)가 관통 형성되어, 하우징바디홀부(112)에 배관(10)이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바디부재(111)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웃하는 하우징바디부재(111)와 용접,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관진입제한부(113)는 하우징바디홀부(112)에서 돌출 형성되어 배관(10)의 진입 정도를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진입제한부(113)는 하우징바디홀부(112)의 내주면을 따라 대략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관(10)의 진입 정도에 따라 배관(10)의 선단부와 접하게 구비되어, 배관(10)이 하우징바디부재(111)에 진입되는 정도를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바디부(110)는 배관진입표시부(115)를 더 포함한다. 배관진입표시부(115)는 하우징바디부재(111)의 외주면에, 배관진입제한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어 하우징바디부재(111)에 진입된 배관(10)의 선단부의 위치를 하우징바디부재(111)의 외측에서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진입표시부(115)는 하우징바디부재(111)가 배관진입제한부(115)가 적용된 위치에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때, 하우징바디부재(111)가 상호 결합된 부위, 예를 들어 용접 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배관진입제한부(115)의 폭을 갖도록 홈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관진입표시부(115)는 하우징바디부재(111)의 외주면에 페인트 등으로 색을 칠하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배관진입표시부(115)가 적용되면, 작업자가 배관(10)의 진입 정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10)의 진입 작업 등에 있어서, 배관(10)을 하우징바디부재(111)에 삽입하기 전에, 배관진입표시부(115)로부터 하우징바디부재(111)의 단부까지의 거리를 배관(10)에 표시한 후 배관(10)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배관(10)을 정확하게 삽입 또는 장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진입표시부(115)는 작업자가 배관(1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연결장치(1)의 관리, 분해 등의 작업에 있어서 작업 시 배관(10)의 삽입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배관(10)의 정확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여 배관(10)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장치(1)는 배관(10)을 정확한 위치까지 진입시킬 수 있어서, 배관(10)의 전후 유격을 최소로 하여, 하우징바디부재(111) 등과 배관(10) 사이의 밀폐를 확실하게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장치(1)는 배관진입표시부(115)가 적용되어 작업자의 숙련 정도에 무관하게 균등한 조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우징안내부(130)는 하우징바디부(110)에 연결되고, 하우징바디부(110)를 향하여 진행하면서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의 하우징안내부(130)는 고정부(300)의 선단부가 하우징안내부(130)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고정부(300)의 선단부가 수축되도록 하여 고정부(300)가 배관(10)을 가압할 수 있게 한다.
하우징안내부(130)의 내측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고정부(300)의 선단부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거나, 더 급하게 형성되어 고정부(300)의 선단의 변형을 좀 더 강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안내부(130)는 고정부(300)의 선단부가 하우징안내부(130)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이동될 때 고정부(300)의 선단부가 수축되면서 배관(10)을 압축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안내부(130)는 배관진입부(131) 및 배관안내부(133)를 포함한다.
배관진입부(131)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배관(10)이 개구부를 통하여 진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진입부(131)는 배관(10) 삽입될 수 있도록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부의 반대 측은 배관안내부(133)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진입부(131)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부(300)와 나사 결합됨으로써, 고정부(300)가 하우징부(100)에 대하여 회전될 때, 하우징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부(300)가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배관안내부(133)는 배관진입부(131)와 하우징바디부(110)를 연결하며, 하우징바디부(110) 측으로 진행하면서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안내부(133)는 일단부가 배관진입부(131)에 연결되며, 내경이 배관안내부(133)의 일단부 보다 작게 형성되는 타단부가 하우징바디부(110) 측에 연결된다.
배관안내부(133)의 내경이 배관(10)의 진입 방향을 따라 좁아지게 형성됨으로써, 배관안내부(133)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는 고정부(300)의 선단부가 수축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부(100)는 가압돌출부(150)를 더 포함한다. 가압돌출부(150)는 하우징바디부(110) 또는 배관안내부(133)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바디홀부(112) 측으로 이동되는 배관(10) 또는 고정부(300)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바디부(110)와 하우징안내부(13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부(100)는 고정걸림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걸림부(170)는 하우징안내부(130), 구체적으로 배관진입부(131)에 형성되고, 고정부(300)가 하우징바디부(110) 또는 하우징안내부(130)에 진입되는 정도에 따라 고정부(300)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고정부(300)의 이동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걸림부(170)는 하우징안내부(130)에서 배관(10)의 진입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걸림바디부(171)와, 고정걸림바디부(171)에서 고정걸림바디부(171)의 돌출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걸림부재(173)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300)는 회전에 따라 배관(10)과 하우징부(100) 사이에 진입하여 배관(10)을 하우징부(100)에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300)는 회전부재(310) 및 고정부재(330)를 포함한다.
회전부재(310)는 하우징부(100)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하우징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재(310)는 회전결합부(311) 및 회전바디부(313)를 포함한다.
회전결합부(311)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우징부(100)와 나사 결합된다. 회전결합부(311)가 하우징부(100)와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회전결합부(311)가 하우징부(100)에 진입되는 정도가 조절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결합부(311)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우징부(100)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회전결합부(311)가 하우징부(100)의 개구부의 내측과 외측을 모두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하우징부(10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회전바디부(313)는 회전결합부(311)와 연결되고 하우징부(100)의 개구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회전결합부(311)가 진입 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아울러, 회전바디부(313)는 외주면이 대략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구 등으로 회전할 때 공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 힘의 전달을 양호하게 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300)는 하우징걸림부(370)를 더 포함하여, 회전부재(310) 또는 고정부재(330)가 하우징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걸림부(370)는 고정걸림부(170)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회전부재(310)가 하우징부(100)에 소정 거리 이상 진입되면 고정걸림부(170)에 맞물린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걸림부(370)는 하우징걸림진입부(371) 및 하우징걸림부재(373)를 포함한다.
하우징걸림진입부(371)는 회전부재(310)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회전부재(310)가 배관(10)의 진입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하면 고정걸림부(170)가 내측으로 진입된다.
하우징걸림부재(373)는 고정걸림부재(173)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걸림부재(173)가 걸리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고정걸림부재(173)가 끼워져 회전부재(310)를 포함하는 고정부(300)가 하우징부(100)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걸림부(170)는 돌출 형성되고, 하우징걸림부(370)는 고정걸림부(170)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고정걸림부(170)와 하우징걸림부(370)가 맞물려 상대 이동을 방지하는 기술 사상 안에서 그 형상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하우징걸림부(370)가 회전부재(310)에서 돌출 형성되고, 고정걸림부(170)가 하우징안내부(130)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호 맞물릴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330)는 회전부재(310)와 연결되며, 배관(10)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외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우징부(100)와 배관(10) 사이에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330)는 회전부재(310)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안내부(130)에 접하여 이동되면서 변형되어 배관(10)을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33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회전부재(310)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복수 개의 고정부재(330)가 이격되게 배열되므로, 고정부재(330)의 선단부가 하우징안내부(130)에 접하여 이동되면서 힘을 받으면, 고정부재(330) 사이의 틈이 줄어들어, 고정부재(330)의 변형에 의하여 고정부재(33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부재(330)가 배관(10)을 가압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재(310)와 고정부재(33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체로서 형성된다.
밀폐부(500)는 하우징부(100)와 배관(10) 사이에 구비되며, 배관(10)이 하우징부(100)에 삽입될 때 변형되어 배관과 하우징부(100) 사이를 밀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밀폐부(500)는 합성수지 등의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배관(10)이 하우징부(100)에 진입하면 변형되어 배관(10)과 하우징부(100) 사이를 밀폐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밀폐부(500)는 NBR, EPDM 등 다양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 져, 조립 시 찍힘이나 중, 고압에서도 밀폐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밀폐부(500)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부(100)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하우징부(100)에 장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강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2 및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연결장치(1)는 고정강화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강화부(700)는 고정부(300)와 배관(10) 사이에 진입하여 고정부(300)를 가압한다.
이로써 고정강화부(700)는 고정부(300)가 하우징부(100) 또는 배관(10)과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관(10) 연결 시 배관(10)의 처짐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강화부(700)는 강화회전부재(710) 및 강화고정부재(730)를 포함한다.
강화회전부재(710)는 고정부(300)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하우징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부(300)에 나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강화회전부재(710)는 강화회전결합부(711) 및 강화회전바디부(713)를 포함한다.
강화회전결합부(71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부(300)와 나사 결합된다. 강화회전결합부(711)가 고정부(300)와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강화회전결합부(711)가 고정부(300)에 진입되는 정도가 조절된다.
강화회전바디부(713)는 강화회전결합부(711)와 연결되고 고정부(300)에 형성되는 홀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고정부(300)에 진입 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아울러, 강화회전바디부(713)는 외주면이 대략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구 등으로 회전할 때 공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 힘의 전달을 양호하게 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강화고정부재(730)는 강화회전부재(710)와 연결되며, 배관(10)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외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고정부(300)와 배관(10) 사이에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서 강화고정부재(730)는 강화회전부재(710)의 회전에 따라 고정부(3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접하여 이동되면서 변형되어 배관(10)을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강화고정부재(73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강화회전부재(710)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복수 개의 강화고정부재(730)가 이격되게 배열되므로, 강화고정부재(730)의 선단부가 고정부(300)의 내면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접하여 이동되면서 힘을 받으면, 강화고정부재(730) 사이의 틈이 줄어들어, 강화고정부재(730)가 배관을 가압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강화회전부재(710)와 강화고정부재(73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체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장치(1)는 풀림방지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풀림방지부(900)는 하우징부(100)를 관통하여 고정부(300)를 가압하거나(도 1 및 2 참조), 또는 반대로 고정부(300)를 관통하여 하우징부(100)를 가압하는 방식(도 5 참조) 등으로 고정부(300)가 하우징부(100)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풀림방지부(900)는 고정부(300) 또는 하우징부(100)를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풀림방지관통부(910)와, 풀림방지관통부(910)와 연결되며 풀림방지관통부(9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져 풀림방지관통부(910)가 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풀림방지관통조절부(930)를 포함한다.
이러한 풀림방지부(900)는 하우징부(100) 또는 고정부(3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고정부(300)를 하우징부(1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풀림방지부(900)는 접시머리가 적용된 태핑 볼트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와 밀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고정강화부가 하우징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배관이 하우징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고정부와 고정강화부가 회전되면서 배관을 고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풀림방지부가 하우징부와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우징부(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홈에, 밀폐부(500)가 끼워지도록 밀폐부(500)를 하우징부(100)의 내측으로 밀어 넣는다. 배관(10)과 하우징부(100) 사이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밀폐부(500)에는 구리스 등을 도포할 수 있다(도 7 참조).
하우징부(100)에 밀폐부(500)가 장착되면 고정부(300)와 하우징부(100)를 회전하여 조립한다. 이 때 조립은 작업자가 수작업 등으로 가조립하여 배관(10)이 고정강화부(700) 및 고정부(300)를 관통하여 하우징부(100)에 진입될 수 있게 한다(도 8 참조).
하우징부(100)에 고정부(300)와 고정강화부(700)가 가 조립되면 배관(10)을 고정강화부(700) 및 고정부(300)에 관통 형성되는 중공 홀부를 통하여 진입시켜, 배관(10)의 선단부가 배관진입제한부(113)에 닿도록 한다. 배관(10)이 소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닿을 수 있도록 배관(10)의 선단부를 조립 전에 면취할 수 있다(도 9 참조).
또한, 작업자는 하우징부(100)의 외부면에 표시된 배관진입표시부(115)를 참고하여 배관(10)을 삽입함으로써 배관(10)이 소정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배관(10)이 하우징부(100)에 삽입되면, 스패너 등의 공구 등으로 고정부(300)를 회전시켜 고정부(300)가 하우징부(100)와 나사 결합되면서 하우징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고정부재(330)가 배관(10)을 압축고정하고, 아울러 고정부(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하여 배관(1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고정부(300)와 배관(10) 역시 나사 결합으로 강하게 고정된다.
고정부(300)와 하우징부(100)의 나사 결합이 완료되면, 고정강화부(700)를 고정부(300)에 대하여 회전시켜 고정부(300)와의 나사 결합을 강화하여 고정부(300)와 하우징부(100)의 결합을 강화한다(도 10 참조).
아울러, 풀림방지부(900)를 이용하여 하우징부(100)와 고정부(300)를 추가 고정함으로써 고정부(300)와 하우징부(100)의 결합이 풀리는 것을 차단한다(도 11 참조).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는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배관(10)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는 하우징부(100)에 배관진입제한부(113) 및 배관진입표시부(115)를 적용하여 하우징부(100)에 진입되는 배관(10)의 진입정도를 정확하게 제어하고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는 고정부(300)와 고정강화부(700)를 적용하여 배관(10)을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배관(10)의 처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는 하우징부(100)와 배관(10) 사이에 밀폐부(500)를 적용하여 배관을 따라 안내되는 유체가 하우징부(100)와 배관(10)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는 고정걸림부(170)와 하우징걸림부(370), 고정강화부(700) 및 풀림방지부(900)를 적용하여 고정부(300) 등의 풀림을 방지하므로 배관(10)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연결장치 10: 배관
100: 하우징부 110: 하우징바디부
111: 하우징바디부재 112: 하우징바디홀부
113: 배관진입제한부 115: 배관진입표시부
130: 하우징안내부 131: 배관진입부
133: 배관안내부 150: 가압돌출부
170: 고정걸림부 171: 고정걸림바디부
173: 고정걸림부재 300: 고정부
310: 회전부재 311: 회전결합부
313: 회전바디부 330: 고정부재
370: 하우징걸림부 371: 하우징걸림진입부
373: 하우징걸림부재 500: 밀폐부
300: 고정부 310: 회전부재
311: 회전결합부 313: 회전바디부
330: 고정부재 500: 밀폐부
700: 고정강화부 710: 강화회전부재
711: 강화회전결합부 713: 강화회전바디부
730: 강화고정부재 900: 풀림방지부
910: 풀림방지관통부 930: 풀림방지관통조절부

Claims (10)

  1. 배관이 삽입되는 하우징부;
    회전에 따라 상기 배관과 상기 하우징부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배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배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배관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배관이 삽입되는 하우징바디부; 및
    상기 하우징바디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바디부를 향하여 진행하면서 내경이 좁게 형성되는 하우징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바디부는,
    상기 배관이 삽입되는 하우징바디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바디부재; 및
    상기 하우징바디홀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진입 정도를 제한하는 배관진입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바디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배관진입제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어 상기 하우징바디부재에 진입된 상기 배관 선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배관진입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부와 상기 배관 사이에 진입하여 상기 고정부를 가압 고정하는 고정강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안내부는,
    상기 배관이 진입하는 배관진입부; 및
    상기 배관진입부와 상기 하우징바디부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바디부 측으로 진행하면서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배관안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바디부 또는 상기 배관안내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바디홀부 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배관 또는 고정부를 가압하는 가압돌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배관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외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배관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안내부에 접하여 이동되면서 변형되어 상기 배관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KR1020200043705A 2020-04-10 2020-04-10 연결장치 KR102178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705A KR102178457B1 (ko) 2020-04-10 2020-04-10 연결장치
CN202180023368.8A CN115349066A (zh) 2020-04-10 2021-04-07 连接装置
PCT/KR2021/004358 WO2021206450A1 (ko) 2020-04-10 2021-04-07 연결장치
US17/912,044 US20230135481A1 (en) 2020-04-10 2021-04-07 Conn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705A KR102178457B1 (ko) 2020-04-10 2020-04-10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457B1 true KR102178457B1 (ko) 2020-11-13

Family

ID=7339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705A KR102178457B1 (ko) 2020-04-10 2020-04-10 연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35481A1 (ko)
KR (1) KR102178457B1 (ko)
CN (1) CN115349066A (ko)
WO (1) WO20212064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6450A1 (ko) * 2020-04-10 2021-10-14 (주)피엘에스 연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574U (ja) * 1993-03-16 1994-09-30 株式会社栗本鐵工所 鋳鉄管のメカニカル継手
KR200239292Y1 (ko) * 2001-05-07 2001-10-12 곽정기 파이프 연결장치
JP2002031285A (ja) * 2000-04-04 2002-01-31 Camozzi Spa パイプと剛性要素との迅速連結装置
KR100962446B1 (ko) * 2008-01-16 2010-06-14 신기산업 주식회사 배관용 커플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816A (en) * 1911-11-15 1915-06-22 Frederick H Tweed Compression-coupling.
US1606188A (en) * 1925-09-05 1926-11-09 Erie Malleable Iron Co Fitting
US2541141A (en) * 1949-03-01 1951-02-13 George V Woodling Threaded contractible ring sleeve
US2761702A (en) * 1951-02-21 1956-09-04 Arthur E Noel No thread pipe coupling
US4893846A (en) * 1989-05-02 1990-01-16 Mcgraw Doonan D Connector fittings
US6412832B1 (en) * 2000-06-08 2002-07-02 Entegris, Inc. Self-flaring plastic fittings
JP5266956B2 (ja) * 2007-09-11 2013-08-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両用管継手、この両用管継手用の専用工具、冷凍装置、分離型空気調和機
US8769798B2 (en) * 2011-05-10 2014-07-08 Patrick Rieth Tube fitting assembly
US9500305B2 (en) * 2015-01-26 2016-11-22 Lordo America Fitting mechanism for use with multilayer composite pipe
KR101586171B1 (ko) * 2015-07-17 2016-01-19 박세일 배관연결구
KR102178457B1 (ko) * 2020-04-10 2020-11-13 이윤철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574U (ja) * 1993-03-16 1994-09-30 株式会社栗本鐵工所 鋳鉄管のメカニカル継手
JP2002031285A (ja) * 2000-04-04 2002-01-31 Camozzi Spa パイプと剛性要素との迅速連結装置
KR200239292Y1 (ko) * 2001-05-07 2001-10-12 곽정기 파이프 연결장치
KR100962446B1 (ko) * 2008-01-16 2010-06-14 신기산업 주식회사 배관용 커플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6450A1 (ko) * 2020-04-10 2021-10-14 (주)피엘에스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6450A1 (ko) 2021-10-14
CN115349066A (zh) 2022-11-15
US20230135481A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5123B2 (ja) 継手
US5711709A (en) Self-aligning rod end coupler
JP3646185B2 (ja) 管継手装置
KR102178457B1 (ko) 연결장치
KR20000029601A (ko) 파이프조인트
NL8501510A (nl) Schroefbuiskoppeling met contactafdichting.
US20030140778A1 (en) Double acting hydraulic cylinder with axial locking device
US6203073B1 (en) Tube joint
KR101876110B1 (ko) 조인트 유닛
KR100366129B1 (ko) 관 커플러
US4296954A (en) Pipe coupling and pipe joint connection
US5295718A (en) End terminating means for plastic and rubber conduit
KR200485251Y1 (ko) 관 연결장치
US6964221B2 (en) Welded hydraulic actuator including a se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854531B1 (ko) 분기장치
US7086418B2 (en) Paint conduit
US20050055818A1 (en) Split seal for pressurized assemblies
IE43596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pipe coupling socket assemblies
US20080061554A1 (en) Connector Part
EP0832356B1 (en) Hydraulic piston machine
JP3668369B2 (ja) インサート成形型及びインサート成形方法
EP3680536A1 (en) Insert and joint for flexible pipes and method for fixing a joint to a flexible pipe
KR20200072903A (ko) 수전장치용 곡관 어댑터
JP2000213650A (ja) 管継手用パッキンおよび該パッキンを用いた管継手
KR102328611B1 (ko) 파이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