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397B1 - 롤러체인 - Google Patents

롤러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397B1
KR101160397B1 KR1020050025818A KR20050025818A KR101160397B1 KR 101160397 B1 KR101160397 B1 KR 101160397B1 KR 1020050025818 A KR1020050025818 A KR 1020050025818A KR 20050025818 A KR20050025818 A KR 20050025818A KR 101160397 B1 KR101160397 B1 KR 101160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eal
plate
seal ring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895A (ko
Inventor
다쿠마 오노
Original Assignee
다이도오고교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도오고교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도오고교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의 구동용 또는 엔진의 타이밍체인 등의 구동용으로서 또는 컨베이어 등의 반송용으로서 이용되는 롤러체인에 관련되는 것이고, 자세하게는 롤러의 시일화를 꾀한 롤러체인에 관한 것으로,
롤러와 내부 링크플레이트 사이에 시일링을 배치하면 스프로켓 이빨로부터의 충격력이 시일링에 직접 작용하여 시일링을 조기에 파손하며, 내부 링크플레이트(4)의 내측면에 오목부(15)를 설치하고, 또한 해당 오목부의 저면(15a)에 링 형상의 오목홈(16)을 형성하며, 해당 오목홈에 시일링(19)을 끼워넣고, 롤러(6)의 단면에 유동 가능하게 끼운 시일플레이트(17)에 상기 시일링(19)을 맞닿아서 롤러(6)의 축받이부(E)를 시일하며, 시일플레이트(17), 그 유동 가능 끼움부(f) 및 시일링(19)은 롤러 외주면이 마모해도 스프로켓 이빨로 간섭하는 일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롤러체인, 내부링크, 외부링크, 부시, 오목홈, 축받이부, 스프로켓 이빨

Description

롤러체인{ROLLER CHAIN}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일부 단면한 평면도, (b)는 측면도.
도 2는 그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롤러와 부시의 사이의 축받이부의 시일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4는 일부 변경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롤러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그 일부 변경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시일링의 단면형상이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그 일부 변경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핀과 부시의 사이의 축받이부를 시일하는 다른 시일장치를 갖는 롤러체인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12, 13, 14, 15, 16: 롤러체인 2: 내부링크
3: 외부링크 4: 내부링크플레이트
5: 부시 5a: 부시단면(보스부)
6: 롤러 6a: 롤러단면(보스부)
7: 외부링크플레이트 9: 핀
11: 오목홈 12: 시일링(O링)
13: 시일플레이트 15: 오목부
15a: 저면 16: 오목홈
17: 시일플레이트 19: 시일링
C: 축받이부 E: 축받이부
f: 끼워맞춤부 g: 맞닿음부
i: 소정 간격 S1, S2: 시일장치
본 발명은 오토바이의 구동용 또는 엔진의 타이밍체인 등의 구동용으로서, 또는 컨베이어 등의 반송용으로서 이용되는 롤러체인에 관련되며, 자세하게는 롤러의 시일화를 꾀한 롤러체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부링크플레이트(롤러링크플레이트)에 부시단을 돌출하여 끼워맞추고, 해당 부시돌출부를 둘러싸도록 하여 내부링크플레이트와 외부링크플레이트의 사이에 시일링을 배치하며, 핀과 부시의 사이에 그리스 등의 윤활제를 봉입하는 동시에, 부시돌출부에 의해 시일링의 과도한 압궤를 방지한 시일체인이 알려져 있다.
해당 시일체인은 내부링크플레이트와 외부링크플레이트의 사이에 시일링을 개재하기 위한 소정 간격을 필요로 하고, 체인의 폭이 확대되며, 시일링을 구비하지 않는 논시일체인과 호환성이 없어 공용할 수 없다. 예를 들면 논시일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장치를 시일체인으로 변경하는 경우, 컨베이어체인을 장착하는 장치 전체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인은 외부링크플레이트에 링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고, 해당 오목홈에 시일링을 끼워넣음으로써 내부링크플레이트와 외부링크플레이트의 사이에 시일링용의 특별한 간격을 둘 필요를 없이하여 체인폭의 확대를 초래하지 않는 시일체인을 제안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특개 2003-314628호 공보
[특허문헌 2] 실공소 55-23242호 공보
[특허문헌 3] 실개소 56-71545호 공보
상기한 시일체인은 외부링크플레이트의 외폭(外幅)을 종래의 논시일체인의 것과 대략 동등으로서, 기설 설비에서의 시일체인화를 용이하게 이루고, 핀과 부시의 클리어런스(축받이부)에 윤활제를 봉입하는 동시에, 진애 등의 마모물이 축받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핀 및 부시 사이(축받이부)의 마모의 진행이 대폭으로 개선되고, 이 때문에 롤러와의 사이의 마모에 의해 롤러체인이 수명에 다다르는 것이 판명되었다.
종래부터 롤러와 내부링크플레이트의 사이에 시일링을 개재하여 롤러와 부시의 사이에의 진애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롤러와 부시 사이의 윤활 제의 보존을 꾀한 것도 각종 제안되어 있는데(특허문헌 2 및 3 참조), 결국 롤러단과 내부링크플레이트의 사이에 시일링을 개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롤러가 스프로켓 이빨에 접촉하여 그 외주면이 마모하면, 해당 롤러의 단면도 얇아지고, 스프로켓으로부터의 충격하중이 직접 시일링에 작용하며, 시일링을 조기에 파손해 버린다. 또 구동 또는 종동스프로켓(driven sprocket)이 롤러체인에 맞물릴 시, 스프로켓으로부터 롤러에 받는 충격하중이 롤러로부터 직접 시일링에 작용하고, 시일링을 비교적 조기에 파손해 버리는 일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롤러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이 직접 시일링에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그것으로써 롤러와 부시 사이의 윤활제를 장기에 걸쳐서 보존하는 동시에, 롤러와 부시 사이에 진애 등의 침입을 장기에 걸쳐서 방지하여 장수명화를 꾀한 롤러체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본 발명은 1쌍의 링크플레이트(7, 7)의 양단부를 핀(9, 9)으로 연결한 외부링크(3)와, 1쌍의 내부링크플레이트(4, 4)의 양단부를 부시(5, 5)로 연결하는 동시에, 해당 부시에 롤러(6)를 끼워 맞춘 내부링크(2)를 상기 부시(5)에 상기 핀(9)을 끼워넣음으로써 서로 번갈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롤러체인(1???)에 있어서,
상기 내부링크플레이트(4)의 내측면에 상기 부시(5)를 둘러싸도록 오목부(15)를 형성하고, 상기 롤러(6)의 양단부(6a)에 링형상의 시일플레이트(17)를 유동 가능하게 끼우고, 상기 오목부와 상기 시일플레이트의 사이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시일링(19)을 배치하여 상기 부시(5)와 상기 롤러(6)의 사이의 축받이부(E)에 윤활제를 봉입하는 동시에, 해당 축받이부에 외부로부터 마모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롤러체인은, 상기 시일링(19) 및 상기 시일플레이트(17)를 상기 내부링크플레이트(4)의 내측면(h)에 대하여 상기 오목부(15) 내에 위치시키며,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 링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고, 해당 오목홈에 상기 시일링을 끼워넣으며, 상기 시일플레이트의 상기 롤러와의 유동 가능 끼움부와, 상기 시일플레이트의 상기 시일링의 맞닿음부 사이에 직경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본 발명은 상기 외부링크플레이트(7)와 상기 내부링크플레이트(4)의 사이에 상기 부시(5)를 둘러싸도록 시일장치(S1, S2)를 개재하여 상기 부시(5)와 상기 핀(6)의 사이의 축받이부(C)에 윤활제를 봉입하는 동시에, 해당 축받이부에 외부로부터 마모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괄호 내의 부호는 도면과 대조하기 위한 것인데, 청구항 기재의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따라서 본 발명을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컨베이어용 롤러체인(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번갈아 연결된 내부링크(2)와 외부링크(3)로 이루어지고, 내부링크(2)는 2매의 내부링크플레이트(4, 4)와, 이들 양링크플레이트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부시(5, 5)와, 이들 부시에 회전 자유롭게 끼워 맞춰진 롤러(6, 6)로 이루어지고, 외부링크(3)는 상기 내부링크플레이트와 같은 형상의 2매의 외부링크플레이트(7, 7)와, 이들 양링크플레이트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핀(9, 9)으로 이루어진다. 부시(5, 5)에 핀(9, 9)이 삽입되고, 또한 핀(9)이 그 머리부(9a) 및 선단부에 삽입된 분할핀(10)에 의해 이탈방지되어 양링크(2, 3)가 서로 번갈아 연결되어 무단(無端)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롤러체인(1)은 어태치먼트 등에 의해 각종 운반부재에 연결되고, 구동스프로켓에 의해 구동되어 컨베이어용으로서 이용된다.
도 2에 상세히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링크플레이트(7)의 내측면에는 핀구멍(7a)을 중심으로 한 원환(링)형상에 오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해당 오목홈에는 단면 O자형상의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시일링(O링)(12)이 끼워넣어져 있다. 또 부시(5)는 그 양단 외주측이 깎아져서 소직경이고 또한 약간의 돌출량으로 이루어지는 보스부(5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보스부(5a)는 내부링크플레이트(4)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해당 돌출보스부(5a)에 링(워셔)형상의 시일플레이트(13)가 회전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해당 시일플레이트(13) 및 돌출보스부(5a)는 비교적 작고(얇다), 또한 유동 가능하게 끼운 관계를 보존하기 때문에 보스부가 시일플레이트보다 약간 돌출하여 있으며, 해당 시일플레이트(13)는 외부링크플레이트(7)와 내부링크플레이트(4)의 사이에 개재하는 동시에, 해당 시일플레이트의 측면에 상기 시일링(12)이 맞닿아서 시일장치(S1)를 구성하고 있다.
시일링(O링)(12)은 자연길이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11)으로부터 소정량 돌출하여 있고, 시일링(12)이 소정량 압축한 상태(누름값 이상 돌출한 상태)로 시일플레이트(13)에 접촉하도록 외부링크플레이트(7, 7)의 간격(A)이 핀(9)의 머리부(9a)와 분할핀(10)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동시에, 내부링크플레이트(4, 4)의 간격(B)이 부시(5)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체인조립시, 또는 조립 후 그리스건 등에 의해 핀(9)과 부시(5)의 간격(축받이부)(C)에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도포 또는 주입되고, 해당 윤활제는 상기 시일링(12)의 시일플레이트(13)에의 압접(壓接)에 의해 봉입된다.
또 내부링크플레이트(4)의 내측면에는 부시(5)를 중심으로서 원형으로 접시형상으로 얕게 자리가 도려내어져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해당 오목부의 저면(15a)에 부시(5)를 중심으로 한 원환(링)형상에 오목홈(16)이 형성되어 있다. 또 롤러(6)의 양단면은 그 외주측이 깍아져서 소직경이고 또한 약간의 돌출량으로 이루어지는 보스부(6a)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돌출보스부(6a)에 링크(워셔)형상의 시일플레이트(17)가 회전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해당 시일플레이트(17)는 상기 접시형상의 오목부(15) 내에 위치하도록 그 외직경 및 두께가 규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원환형상의 오목홈(16)에 단면 O자형상의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시일링(O링)(19)이 끼워넣어져 있다.
해당 시일링(19)은 자연길이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16)으로부터 소정량 돌출하고 있고, 시일링(19)이 소정량 압축한 상태(누름값 이상 돌출한 상태)로 시일플레이트(17)에 접촉하도록 롤러(6)의 길이(D) 및 내부링크플레이트(4, 4)의 간격(B)이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체인조립시 등, 부시(5)와 롤러(6)의 간격(축받이부)(E)에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주입 또는 도포되어 해당 윤활제는 상기 시일링(19)의 시일플레이트(17)에의 압접에 의해 봉입된다.
즉 내부링크플레이트(4)의 간격을 B, 그 오목부(15)의 저면(15a)간의 간격을 B', 양시일플레이트(17)의 외측면간의 간격을 D(시일플레이트(17)의 어긋남 방지를 위해 롤러(6)의 단면(6a)이 시일플레이트(17)보다도 약간 돌출하여 있다.), 오목홈(16)에 끼워넣어진 자연길이의 시일링(19)간의 간격을 J(도시하지 않음)로 하면 B'〉J〉D〉B가 되고, 또한 각 간격간(B'-J), (J-D)는 비교적 작은 값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오목부(15)는 소정 깊이(j)(=B'-B)를 갖고 있고, 해당 깊이(j) 내, 즉 내부링크플레이트(4)의 내측면(h) 내에 상기 시일플레이트(17) 및 시일링(19) 또한 시일플레이트(17)의 롤러단보스부(6a)에 대한 유동 가능하게 끼운 접합부(f)가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링형상의 시일플레이트(17)는 그 내직경부에서 롤러(6)에 유동 가능하게 끼우고, 또한 그 외직경부에서 시일링(19)과 맞닿고 있기 때문에 유동 가능 끼움부(f)와 맞닿음부(g)의 사이에 직경방향으로 소정 간격(i)을 둔다.
또한 상기 시일링(12 및 19)은 같은 형상의 것을 이용해도 좋고, 이 경우, 부품점수가 적어지는 동시에, 조립 시의 시일링의 장착 실수를 없앨 수 있다. 또 시일플레이트(13, 17)는 같은 두께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다른 것이어 도 좋고, 또 내구성의 면에서 담금경화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시(5)에 직경방향의 관통구멍을 뚫어 설치하고, 핀(9)과의 사이의 축받이부(C)와 롤러(6)의 사이의 축받이부(E)를 연통하여 핀(9)으로부터 축받이부(C)에 윤활제를 충전할 시, 축받이부(E)에도 공급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본 롤러체인(1)은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기 때문에 구동스프로켓에 의해 구동되어 주행한다. 롤러체인(1)은 스프로켓과의 맞물림시 등, 내부링크(2)와 외부링크(3)가 굴곡하고, 이 때 핀(9)과 부시(5)가 상대적으로 마찰하는 축받이부를 구성하는데, 해당 축받이부(C)에는 윤활제가 시일링(12)에 의해 봉입되어 있고, 장기에 걸쳐서 상기 굴곡을 매끄럽게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시일링(12)은 외부링크플레이트(7)에 형성한 오목홈(11)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일링(12)이 개재하지 않은 논시일체인과, 외부링크(3)의 폭(A) 및 내부링크(2)의 폭(B)을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내부링크플레이트(4)에 오목부(15) 및 오목홈(16)을 형성함으로써 내부링크플레이트(4)의 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내부링크플레이트(4)의 두께를 조금 크게 하든지, 또는 내부링크플레이트(4)(및 외부링크플레이트(7))의 높이(H)(도 1(b) 참조)를 크게 하고 있다.
또 본 롤러체인(1)은 스프로켓과의 맞물릴 때 등, 부시(5)에 대하여 롤러(6)가 회전하여 부시(5)와 롤러(6)의 극간(E)에서 축받이부를 구성하는데, 해당 축받이부(E)에는 시일링(19)에 의해 윤활제가 봉입되어 있고, 장기에 걸쳐서 상기 롤러(6)의 매끄러운 회전을 보존할 수 있다. 이 때, 시일링(17)(13도 마찬가지)은 고무 등의 마찰계수가 높고, 또한 외직경측에 위치하는 시일링(19)과의 접촉에 의해 그 사이를 거의 슬라이딩?이동하는 일 없이, 시일링(19)과 대략 일체로 움직이고, 유동 가능 끼움부(f)에 의해 윤활제를 개재하여 롤러(6)와 상대이동(슬라이딩)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체인(1)이 스프로켓(25)의 이빨(25a)에 맞물릴 시, 스프로켓 이빨(25a)이 롤러(6)의 중앙으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쳤다고 해도, 해당 이빨(25a)은 내부링크플레이트(4)의 내측면(h)에 맞닿아서 오목부(15)내에 위치하는 시일플레이트(17)로 간섭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도 2의 6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로켓 이빨(25a)과의 접촉에 의해 롤러(6)의 외주면이 마모해도 롤러의 단면부분이 마모하는 일은 없다. 이에 따라 시일플레이트(17) 및 해당 시일플레이트의 유동 가능 끼움부(f)인 롤러단부분 및 시일링(19)으로 이루어지는 시일기구는 장기에 걸쳐서 그 기능을 유지한다.
또 롤러(6)가 스프로켓 이빨과 맞물림 개시할 때, 스프로켓 이빨이 롤러(6)에 격렬하게 충돌하여 롤러(6)에 큰 충격하중이 작용한다. 해당 충격하중은 롤러(6)의 중앙에 그 직경방향으로부터 곧바로 작용하면 롤러에 축방향력(트러스트력)으로서는 작용하지 않고, 롤러의 넓은 내주면에 분산하여 또한 봉입되어 있는 윤활제를 통하여 부시(5)에 작용하여 체인의 주행방향력으로서 매끄럽게 전달되는데, 실제로는 체인의 사행(蛇行) 등에 의해 롤러(6)에 트러스트력으로서도 작용한다.
해당 롤러(6)에 작용하는 트러스트력은 해당 롤러에 유동 가능하게 끼우는 시일플레이트(17)를 통하여 시일링(19)에 밀어누름력으로서 작용하는데, 그 때 롤러(6)의 시일플레이트(17)에의 작용점(끼워맞춤부)(f)과 시일플레이트(17)가 시일 링(19)에 작용하는 점(맞닿음부)(g)은 직경방향으로 소정 간격(i) 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6)에 작용하는 충격력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플레이트(17)를 통하여(예를 들면 시일플레이트를 탄성변형하면서) 시일링(19)에 전달되고, 또한 롤러(6)의 충격방향에의 이동에 의해 시일링(17)의 내부링크플레이트(4)와 시일링(16)의 사이 부분(m)의 윤활제를 압축하여 해당 윤활제를 완충재로서 작용하고, 상기 롤러에 작용하는 충격력(트러스트력)은 대폭으로 완화되어 시일링(19)에 작용한다.
또한 상기 시일플레이트(17)와 내부링크플레이트(4)의 사이 부분(m)의 윤활제는 롤러단면(6a) 및 시일플레이트(17)를 그 큰 충격(트러스트)력에 관계없이 오목부 저면(15a)과의 사이 및 유동 가능 끼움부(f)에서 매끄럽게 회전하고, 또한 시일링(19)과 시일플레이트(17)의 맞닿음부(g)에도 공급되어 시일링(19)에 대하여 시일플레이트(17)를 매끄럽게 회전하고, 시일링(19)을 비트는 큰 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롤러(6)의 축방향 이동량은 그 보스부 단면(6a)이 내부링크플레이트(4)의 접시형상 오목부(15)의 저면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되고, 또 시일링(19)의 압궤량도 오목홈(16) 내에 위치함으로써 규제되어 시일링이 과도하게 압궤되는 일은 없다. 이들이 서로 작용하여 시일링(19)은 롤러(6)의 큰 충격하중이 반복 작용해도 조기에 파단하는 일이 방지된다.
그리고 스프로켓 이빨이 롤러(6)에 직경방향으로부터 충돌접촉함으로써 롤러(6)는 부시(5)에 대하여 직경방향의 한쪽으로 이동하고, 이 때 롤러와 부시의 극간 (E)이 한쪽에 보내어지는 펌프작용에 의해 해당 극간(E)의 윤활유가 시일플레이트(17)의 유동 가능 끼움부(f) 및 롤러단면(6a)과 오목부 저면(15a)의 사이, 또한 시일링(19)과 시일플레이트(17)의 접촉면 방향으로 눌러내진다. 이에 따라 상기한 롤러(6)의 트러스트력 발생시, 윤활제가 롤러단면(6a)과 내부링크플레이트측면의 사이에 공급되고, 그리고 약간의 양이 시일링(19)과 시일플레이트(17)의 사이에도 보내어져서 롤러(6)의 매끄러운 회전을 보존한다. 또한 시일링(19)에 보내어지는 윤활제는 약간의 양이며, 시일링(19)과 시일플레이트(17)의 매끄러운 슬라이딩운동은 유지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조기에 봉입 윤활제가 없어지는 일은 없다.
또한 시일링(12) 및 시일플레이트(13)에 의한 시일장치에 의해 핀(9)과 부시(5)의 사이의 축받이부(C)에 진애 등이 침입하는 일이 방지되고, 또 시일링(19) 및 시일플레이트(17)에 의한 시일장치에 의해 부시(5)와 롤러(6)의 사이의 축받이부(E)에 진애 등이 침입하는 일이 방지되고, 진애 등이 축받이부에 침입함에 따른 마모의 조기진행은 방지되어 있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9를 따라서 일부 변경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앞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핀(9)과 부시(5)의 사이의 윤활제를 봉입하는 시일장치를 없앤 것을 나타낸다. 롤러체인(12)은 내부링크플레이트(4)와 외부링크플레이트(7)는 소정 간격(n)을 두어 대면하고 있으며, 핀(9)과 부시(5)의 사이의 축받이부(C)는 상기 간격(n)에 의해 오픈으로 되어 있다. 또한 롤러(6)와 부시(5)의 사이의 윤활제를 봉입하는 시일장치(19, 17)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롤러체인(12)은 핀(9)과 부시(5)의 사이의 축받이부(C)에 충전된 윤활제는 사용시간과 동반으로 비산하여 감소하는데, 소정 시간마다 해당 축받이부(C)에 상기 간격(h)으로부터 윤활제를 공급함으로써 해당 축받이부(C)의 굴곡은 매끄럽게 보존된다. 부시(5)에 대한 롤러(6)의 회전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시일링(19)에 의해 봉입되어 있는 윤활제에 의해 장기에 걸쳐서 매끄럽게 보존되는 동시에, 롤러(6)에 작용하는 스프로켓으로부터의 충격에 의해서도 시일링(19)이 조기에 파손되는 일은 없다.
도 5는 롤러형상을 변경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롤러체인(13)은 롤러(61)의 직경이 내부 및 외부링크플레이트(4, 7)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롤러(61)가 가이드면상을 구름으로써 체인(13)을 주행?안내한다. 롤러(61)는 폭방향의 대부분이 대직경(6b)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동심상에 다단에 축소직경되어 최소 직경부가 앞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돌출보스부(6a)로 되어 있다. 해당 돌출보스부(6a)에 상기 시일플레이트(17)가 끼워맞추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롤러의 형상을 제거하여 도 2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상기 도 5의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롤러(61)를 이용한 것으로서, 또한 도 4의 실시형태와 같이 핀(9)과 부시(5)의 사이의 축받이부(C)용의 시일장치를 생 략한 것이다. 따라서 본 롤러체인(14)은 도 4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시일링(121, 191)에 단면 X자형상의 O링을 이용한 롤러체인(15)을 나타낸다. 해당 시일링(121, 191)은 단면 X자형상으로 형성되는 립부의 존재에 의해 시일플레이트(13, 17)에 대한 밀어누름력이 작아서 충분하고, 시일성을 보존하면서 고무 등의 높은 마찰계수로 이루어지는 시일링의 마찰저항력을 감소하여 핀(9)과 부시(5) 사이의 굴곡저항 및 롤러(6)의 부시(5)에 대한 회전저항을 감소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핀(9)과 부시(5) 사이의 축받이부(C)의 시일장치를 생략한 롤러체인(16)을 나타낸다. 또한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롤러체인은 상기 시일링의 단면 형상 이외에 앞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핀(9)과 부시(5) 사이의 축받이부(C)용 시일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해당 시일장치 이외는 앞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시일장치(S2)는 단차부(q)에 의해 서로 걸어맞추고 있는 내측시일플레이트(31)와 외측시일플레이트(32)를 갖고 있고, 내측시일플레이트(31)는 그 외측면에 오목홈(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시일플레이트(32)는 그 내측면에 오목홈(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오목홈(33, 35)에 각각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시일링(37, 38)이 끼워넣어져 있다.
본 시일장치(S2)는 내측시일링(37)이 외부링크플레이트(7)에 접촉하여 시일하고, 내측시일플레이트(31)가 외부링크플레이트(7)와 일체로 움직이고, 또 외측시일링(38)이 내측링크플레이트(4)에 접촉하여 시일하며, 외측시일플레이트(32)가 내부링크플레이트(4)와 일체로 움직인다. 따라서 양시일플레이트(31, 32)는 그 단차부(q)를 갖는 접합부에서 서로 슬라이딩한다. 또 본 시일장치(S2)에 있어서는 해당 시일장치만큼만 체인의 폭이 넓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시일링은 단면O자형상, X자형상 외, X자형상을 겹친 2-X형상, U자형상 등 다른 형상이어도 좋고, 또 롤러, 어태치먼트의 형상을 어떠한 것이어도 좋으며, 에스컬레이터를 포함하는 온갖 운반용(컨베이어용)롤러체인에 적용 가능하고, 또한 오토바이, 타이밍체인, 산업용 체인 등의 구동용 롤러체인에도 적용 가능하다.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본 발명은 롤러와 부시의 사이의 축받이부에 윤활제를 봉입하는 시일링을 설치했기 때문에 해당 시일링에 의해 진애 등이 상기 축받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서로 작용하여 부시에 대한 롤러의 회전을 장기에 걸쳐서 매끄럽게 보존할 수 있다. 그리고 롤러가 스프로켓 이빨의 맞물림 또는 가이드면과의 구름 등에 의해 그 외주면이 마모해도 롤러단면에 유동 가능하게 끼우는 시일플레이트 및 시일링은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서 상기 스프로켓 이빨 또는 가이드면과 접촉하는 일은 없고, 따라서 이들이 조기에 마모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시일플레이트와 시일링의 맞닿음 및 시일플레이트의 롤러단면에서의 유동 가능하게 끼움에 의거하는 시일기능을 장기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로켓 이빨의 맞물림에 의해 롤러에 큰 충격하중이 작용하고, 해당 하중이 롤러에 대하여 트러스트방향(thrust direction)의 힘으로서 작용해도, 시일링은 오목홈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과도하게 압궤되는 일은 없고, 또 상기 시일플레이트와 내부링크플레이트의 사이의 윤활제는 상기 충격에 동반하는 롤러의 이동에 의해 해당 충격작용방향의 시일링과 시일플레이트의 맞닿음부에 공급되고, 해당 시일링에 비틀어지는 큰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시일플레이트가 롤러와의 유동 가능 끼움부와 시일링의 사이에 지름방향에 소정 간격을 갖기 때문에 시일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해당 시일플레이트의 내부링크플레이트와 시일링의 사이의 윤활제가 완충재로서 작용하고, 상기 롤러에 작용하는 충격력은 대폭으로 완화되어 시일링에 전해지고, 해당 롤러의 충격력이 직접 시일링에 작용하는 일은 없다.
이들이 서로 작용하여, 롤러에 큰 충격력이 작용해도 시일링이 파손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고, 시일링의 장수명화를 꾀하여 롤러체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본 발명은 부시와 핀의 사이의 축받이부에도 시일장치를 배치했기 때문에 해당 시일장치에 의해 윤활제를 보존하는 동시에, 진애 등이 상기 축받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해당 부시와 핀의 사이의 축받이부의 굴곡도 장기에 걸쳐서 매끄럽게 보존하는 것이 서로 작용하여 롤러체인의 수명을 연 장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반송용 롤러체인은 롤러를 가이드면에 안내하는 등에 의해 롤러가 회전하는 비율이 많은 동시에, 대형이기 때문에 롤러에 큰 충격하중이 작용하여 롤러윤활용의 시일링에 대한 환경은 혹독하지만, 본 발명을 반송용 롤러체인에 적용함으로써 해당 반송용 체인의 장수명화를 꾀할 수 있다.

Claims (4)

1쌍의 외부 링크플레이트의 양단부를 핀으로 연결한 외부링크와, 1쌍의 내부링크플레이트의 양단부를 부시로 연결하는 동시에, 해당 부시에 롤러를 끼워 맞춘 내부링크를 상기 부시에 핀을 끼워넣음으로써 서로 번갈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롤러체인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링크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상기 부시를 둘러싸도록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롤러의 양단부에 링 형상의 시일플레이트를 유동 가능하게 끼우며, 상기 오목부와 상기 시일플레이트 사이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시일링을 배치하여 상기 부시와 상기 롤러 사이의 축받이부에 윤활제를 봉입하는 동시에, 해당 축받이부에 외부로부터 마모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시일링 및 상기 시일플레이트를 상기 내부 링크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대하여 상기 오목부 내에 위치시키며,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 링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고, 해당 오목홈에 상기 시일링을 끼워넣으며,
상기 시일플레이트의 상기 롤러와의 유동 가능 끼움부와, 상기 시일플레이트의 상기 시일링의 맞닿음부 사이에 직경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체인.
삭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내부 링크플레이트의 사이에 상기 부시를 둘러싸도록 시일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부시와 상기 핀의 사이의 축받이부에 윤활제를 봉입하는 동시에, 해당 축받이부에 외부로부터 마모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체인.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체인이 반송용 롤러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체인.
KR1020050025818A 2004-03-30 2005-03-29 롤러체인 KR101160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01184 2004-03-30
JP2004101184A JP4519501B2 (ja) 2004-03-30 2004-03-30 ローラチェー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895A KR20060044895A (ko) 2006-05-16
KR101160397B1 true KR101160397B1 (ko) 2012-06-26

Family

ID=3518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818A KR101160397B1 (ko) 2004-03-30 2005-03-29 롤러체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519501B2 (ko)
KR (1) KR1011603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044A (ko) 2017-11-29 2019-06-0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부하용 롤러체인의 체인핀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52611A (ko) 2020-06-08 2021-12-16 명화기계(주) 롤러체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2754B2 (ja) 2007-05-15 2009-07-2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無給油チェーン
CN101734543B (zh) * 2009-12-18 2012-01-25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一种自动扶梯扶手带运转装置
JP6339159B2 (ja) 2016-11-04 2018-06-0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シールチェーン
JP6334756B1 (ja) 2017-02-07 2018-05-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シールチェーン
WO2019189966A1 (ko) * 2018-03-30 2019-10-03 박달영 수직순환식 주차장치의 메인체인
CN108438740A (zh) * 2018-04-20 2018-08-24 上海利来链条有限公司 一种链板模块
JP7389559B2 (ja) * 2019-03-27 2023-11-30 大同工業株式会社 ローラチェーン
CN112555353A (zh) * 2020-11-03 2021-03-26 无锡市满诚链传动制造有限公司 一种密封性强的链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2156U (ko) 1975-06-18 1976-12-23
JPS52151259U (ko) 1976-05-13 1977-11-16
JPS5534531U (ko) 1978-08-28 1980-03-05
JPS5582210U (ko) 1978-12-01 1980-06-06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2156U (ko) 1975-06-18 1976-12-23
JPS52151259U (ko) 1976-05-13 1977-11-16
JPS5534531U (ko) 1978-08-28 1980-03-05
JPS5582210U (ko) 1978-12-01 1980-06-0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044A (ko) 2017-11-29 2019-06-0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부하용 롤러체인의 체인핀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52611A (ko) 2020-06-08 2021-12-16 명화기계(주) 롤러체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19501B2 (ja) 2010-08-04
KR20060044895A (ko) 2006-05-16
JP2005282813A (ja)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397B1 (ko) 롤러체인
KR101084791B1 (ko) 베어링 롤러 체인
JP4098340B2 (ja) シールチェーン
KR101479050B1 (ko) 캐터필러 부시 및 캐터필러 링크 장치
JP5059999B2 (ja) 履帯チェーンアセンブリ用インサート装置
EP3038887B1 (en) Track joint assemblies
JP2008157423A (ja) シールチェーン
US9434425B2 (en) Track joint assemblies
US9604681B2 (en) Track joint assemblies
EP3038888B1 (en) Track joint assemblies
CA3126711C (en) Sealing system for a track
AU2014311440B2 (en) Joint bushings for track joint assemblies
JP2008116014A (ja) シールチェーン
US20150061369A1 (en) Track joint assemblies and thrust rings for same
US20060122019A1 (en) Chain joint seal
JP7389559B2 (ja) ローラチェーン
JP3755656B2 (ja) シールチェーン
JP4255787B2 (ja) シールチェーン
JP4219237B2 (ja) シールチェーン
RU38713U1 (ru) Уплотненный шарнир звеньев гусеничной цепи
JPH051717U (ja) バケツトチエ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