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852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9852B1 KR101159852B1 KR1020050073715A KR20050073715A KR101159852B1 KR 101159852 B1 KR101159852 B1 KR 101159852B1 KR 1020050073715 A KR1020050073715 A KR 1020050073715A KR 20050073715 A KR20050073715 A KR 20050073715A KR 101159852 B1 KR101159852 B1 KR 1011598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ickness
- absorber
- liquid absorption
- liquid
- compres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6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ctivating means, e.g. elastic, heat or chemical activatable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40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having a folded core
- A61F13/534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having a folded core having an undulated or corrugated cross-s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표면시트(2), 이면시트(3) 및 이들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4)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개시한다. 흡수체(4)에, 이면시트측 및/또는 표면시트측으로부터 함몰되는 다수의 압축부(7)가 서로 이간(離間)해서 형성되어 있다. 압축부(7)는 액 흡수에 의해서 그 두께가 액 흡수 전보다도 증가하게끔 이루어져 있다. 압축부(7)는 최소 두께부(8)와 경사부(9)로 형성되어 있고, 경사부(9)와 최소 두께부(8)는 두께가 완만하게 변화하면서 연결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 팬티라이너, 분비물 시트, 실금패드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Ⅱ-Ⅱ선 단면도와 그 요부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Ⅱ-Ⅱ선 단면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액 흡수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로서의 기저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4(c)는 흡수체의 압축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분비물 시트, 실금패드, 일회용 기저귀 등에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에, 이간한 다수의 엠보스 오목부를 형성한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평면시 형상이 직선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패임이 없는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흡수체의 탄성적 및 변형적인 부드러움을 남기면서 흡수시트의 두께를 얇게 한 흡수성 물품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2003-33397호 공보 참조). 이 흡수체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체에 부드러움을 남기면서 얇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고 되어 있다.
또한 흡수체에, 비교적 저밀도의 터프트(tuft) 구역을 채널에 의해서 상호분리 및 포위한 패턴을 형성하고, 또한 채널에는 저장구역과 수송구역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구역의 한쪽이 다른쪽을 상호분리해 포위하는 흡수성 패드가 제안되어 있다(US4781710 참조). 이 흡수성 패드에 의하면, 수송구역은 저장구역보다 큰 밀도를 가지고, 저장구역은 터프트구역보다 큰 밀도를 가지기 때문에 액의 확산성과 유지성이 뛰어나다고 되어 있다.
코어에 채널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패임 부분을 형성하고, 이 오목부에 있어서 표면시트와 코어가 영구적으로 접합되는 흡수성 물품도 제안되어 있다(WO97/24092 참조). 이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표면시트로부터 흡수체로 양호한 액체 수송이 행해진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 2003-33397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평면시 형상으로 패임이 없는 엠보스부를 형성해 흡수체의 두께를 얇게 하고 있기 때문에, 엠보스 오목부의 저면에 강한 압력을 가해서 평면시로 패임이 없는 형상을 만들어내야만 한다. 따라서 엠보스 오목부에서는 거의 흡수용량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이 발명은 유연한 흡수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흡수체에 있어서의 액의 확산성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
US478171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연속적인 채널(홈 구조)이 형성되고, 그 안에 수송구역 혹은 저장구역의 한쪽이 다른쪽을 포위하는 구조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홈 내의 흡수용량이 적은 저장구역으로 액은 이동하기 쉬운데, 흡수용량이 많은 터프트 구역의 밀도차가 크면서 극도로 변화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액이 이동하기 힘들어, 액 흡수 포인트 근처에서의 흡수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흡수체가 된다.
WO97/2409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채널에 의한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US4781710과 마찬가지로, 채널로부터 그 주위의 흡수체로 밀도차를 이용한 액의 이동이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채널 내의 액 흡수된 부분에 인접해서 액 흡수되어 있지 않은 채널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채널에서는 액의 유지성을 확보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표면시트, 이면시트 및 이들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흡수체에는, 이면시트측 및/또는 표면시트측으로부터 함몰되는 다수의 압축부가 서로 이간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축부는 액 흡수에 의해서 그 두께가 액 흡수 전보다도 증가하게끔 이루어져 있다.
[제1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1실시형태인 생리용 냅킨(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시트(2), 이면시트(3) 및 이들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4)를 구비하고, 실질적으로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냅킨(1)의 표면시트측에는 양측연(兩側緣)부에 각각 측부시트(5)가 배치되어 있다. 측부시트(5) 및 이면시트(3)는, 흡수체(4)의 길이방향의 양측연으로부터 폭방향 외방(外方)으로 연장되어 한쌍의 날개부(50)를 형성하고, 그 폭방향 연장단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표면시트(2) 및 이면시트(3)는, 흡수체(4)의 길이방향의 전후단으로부터 길이방향 외방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엔드실부(6)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1실시형태인 생리용 냅킨(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시트(2), 이면시트(3) 및 이들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4)를 구비하고, 실질적으로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냅킨(1)의 표면시트측에는 양측연(兩側緣)부에 각각 측부시트(5)가 배치되어 있다. 측부시트(5) 및 이면시트(3)는, 흡수체(4)의 길이방향의 양측연으로부터 폭방향 외방(外方)으로 연장되어 한쌍의 날개부(50)를 형성하고, 그 폭방향 연장단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표면시트(2) 및 이면시트(3)는, 흡수체(4)의 길이방향의 전후단으로부터 길이방향 외방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엔드실부(6)를 형성하고 있다.
표면시트(2)는 액 투과성이다. 표면시트(2)로서는 개공(開孔) 또는 미(未)개공의 부직포나 개공 필름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를 단독섬유나 복합섬유가 사용된다. 그 외에 면, 레이온 등의 천연섬유?재성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섬유는 카드법이나 에어레이드법에 의해 웹화된 후, 에어스루법, 열엠보스에 의한 히트롤법이나 스펀레이스법 등에 의해 부직포화된다. 혹은 스펀본드(spunbond)법이나 멜트블로운(meltblown)법에 의해 섬유화되어 다시 부직포화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시트(2)는, 예를 들면 심초형 복합섬유(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 폴리에틸렌)를 에어스루법에 의해 부피가 큰 부직포로 한 후, 피부당접면측으로부터 엠보스가 실시되어 있다. 그 결과, 피부당접면측에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보송함?쿠션감이 뛰어난 표면시트가 된다. 표면시트(2)의 흡수체측은 평탄한 구조이므로 흡수체(4)와의 접촉성이 좋고, 액의 흡수체(4)로의 이동성이 뛰어나다.
이면시트(3)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에 의한 시트재료나, 소수성 내지 발수성의 부직포 등을 단독 혹은 복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료로 구성되는 이면시트(3)는 액 불투과성이다. 특히 올레핀계 수지에 무기 필러 등을 혼입한 후, 연신해서 필름화한 투습성 시트나, 스펀본드 부직포 사이에 멜트블로우층을 형성한 SMS 부직포 등을 이면시트(3)로서 사용하면 습한 느낌을 저감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면시트로서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에는, 냅킨(1)의 중앙영역을 수지시트로 피복하거나, 중앙영역에 핫멜트 등을 붙이는 등 해서 부분적으로 샘방지 기능을 높이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면시트(3)는 폴리에틸렌에 무기필러를 혼입한 후, 연신한 투습성 시트이다. 또한 이면시트(3)의 흡수체측에 액 불투과성 시트를 더 개재시키는 경우는 이면시트(3)에 액 불투과성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흡수체(4)는 플랩펄프의 집합체 내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분산 배치되고, 전체가 얇은 흡수지로 덮여 형성되어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는 펄프 중에 혼합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 외에, 이면시트 측에 산포하거나, 층모양으로 해서 두께방향 중앙에 삽입할 수 있다. 혹은 공지수단에 의해 폴리머 시트화하는 등의 수단으로 부분적으로 배치해도 좋다. 흡수체(4)에 있어서는,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가 부분적으로 또는 그 전체가 얇은 흡수지나 부직포 등의 시트로 피복되어 있으면 고흡수성 폴리머의 탈락이 방지되므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시트로 피복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덮는 시트에는, 필요에 따라서 통액성을 높이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개공처리나 친수화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흡수체(4)에 합성섬유나 가교처리 등을 행한 부피가 큰 펄프섬유를 배합해 액 흡수 시의 압축부의 복원성을 향상시켜도 좋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는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체(4)에는, 흡수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이면시트측으로부터 오목형상으로 함몰된 압축부(7)가 서로 이간해서 흡수체(4) 전체에 산점(散点)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의 확대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압축부(7)는 최소 두께부(8)와 경사부(9)로 형성되어 있다. 압축부 이외에는 인접하는 압축부 사이에서 가장 두껍게 이루어져 있는 비압축부(10)로 되어 있다. 경사부(9)는 완만한 커브를 가지고 있고, 경사부(9)와 최소 두께부(8)는 두께가 완만하게 변화하면서 연결되어 있다. 경사부(9)는 두께(T1)를 가지는 최소 두께부(8)와 두께(T2)를 가지는 비압축부(10)를 매끄럽게 연결하고 있다. 최소 두께부(8)에서의 흡수체 구조를 무너뜨리지 않고, 액 흡수 후의 복원을 크게 하는 관점에서, 최소 두께부(8) 측단부와 경사부(9) 측단부를 연결하는 선과 흡수체 표면이 이루는 각도(θ)는 5~60°인 것이 바람직하고, 7~45°가 보다 바람직하고, 10~30°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4)에 있어서 오목모양으로 패인 부위는 이면시트측에만 존재하고, 표면시트측의 면은 거의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4)에서는, 다수의 압축부(7)가 서로 이간해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비압축부(10)로부터 최소 두께부(8)까지의 흡수체의 구조가 압축부 주위 전체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압축부(7)는 액 흡수에 의해서 그 두께가 액 흡수 전보다도 증가하게끔 이루어져 있다(이하, 이 현상을 간단히 복원이라 함). 이 때문에 액이 흡수된 부위의 사이 근처의 압축부(7)에 있어서의 액 유지 기능이 향상하고, 액 역류가 적고, 표면시트(2)의 습윤감(濕潤感)이 저감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액 흡수에 의해서 압축부(7)의 두께가 비압축부(10)에 가깝게 됨으로써 비압축부(10)로 액이 이동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액 흡수 포인트 부근의 흡수체(4)가 유효하게 이용되고, 액 유지 기능이 한층 향상한다.
또한 흡수체(4)가 이하의 제1에서 제4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각각의 효과가 나타난다. 첫번째로 압축부(7)에 완만한 커브를 가지는 경사부(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최소 두께부(8)에 있어서의 흡수체 구조의 단절이 방지되어, 복원을 한층 일어나기 쉽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흡수체(4)의 액 유지 기능이 보다 높아진다. 두번째로 완만하게 두께를 변화시키고 있는 경사부(9)에 의해서, 비압축부(10)로부터 최소 두께부(8) 사이에 밀도 기울기가 형성되므로, 표면시트(2)로부터 흡수체(4)로 유도된 액이 빠르게 압축부(7)의 최소 두께부(8)로 유도된다. 이것에 의해서 표면시트(2)로부터 액이 흡수되기 쉬워져, 표면시트(2)의 습윤감이 보다 저감된다. 세번째로 흡수체(4)의 표면시트측의 면이 평탄한 구조이므로, 표면시트(2)와 흡수체(4)의 접촉이 좋고, 표면시트(2)를 통과한 액이 흡수체(4)로 유도되기 쉽다. 그것에 의해서 표면시트(2)에서의 액의 확산이 일어나기 어려워져, 표면시트(2)의 습윤감이 한층 저감된다. 네번째로 고흡수 폴리머가 분산 배치되어 있으므로, 압축부(7)의 복원에 의해서, 압축부(7)에 배치되어 있는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한 액의 흡수가 일어나기 쉬워져 액의 유지 효과가 한층 높아진다.
액 흡수 전의 최소 두께부(8)의 두께(T1)는 액의 흡수성을 높게 하고, 또한 압축부(7)에 복원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액 흡수 전의 비압축부(10)의 최대 두께(T2)의 10~6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40%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흡수 전의 압축부(7)에 있어서의 최소 두께부(8)의 두께(T1)와, 액 흡수 후의 동 위치에 있어서의 두께(T1')를 비교하면 두께(T1')는 두께(T1)의 1.5~15배, 특히 2~1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내는 액 흡수 후의 비압축부(10)의 최대 두께(T2')와 액 흡수 전의 최대 두께(T2)의 관계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흡수체(4) 내에 배치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상이하다.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T2'는 액 흡수 전의 두께(T2)와 동등 또는 그보다도 커진다. T2'는 T2의 1~1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흡수체(4) 내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압축 탄성이 강한 섬유를 사용한 흡수체를 전체적으로 압축해서 습윤시에 두께가 복원하게끔 형성한 경우(이 경우는 고흡수성 폴리머 배합의 경우와 동일)를 제외하고, 흡수체(특히 펄프섬유)의 주저앉음에 의해서, 액 흡수 후의 비압축부(10)의 두께(T2')는 액 흡수 전의 두께(T2)의 0.7~1배가 된다. 그러나 액 흡수에 의한 복원 후의 최소 두께부(8)의 두께(T1')를 액 흡수에 의한 복원 후의 비압축부(10)의 최대 두께(T2')와 비교한 경우, 압축부(7)에 있어서의 최소 두께부(8)로부터 경사부(9)를 거쳐 비압축부(10)에 달하는 흡수체 구조가 단절하지 않고 연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즉, 급격한 밀도 변화가 없으므로), 폴리머의 배치의 유무에 관계없이 동일한 복원성을 나타낸다. 즉, 비압축부(10)가, 액 흡수에 의해서 액 흡수 전보다도 두께가 증가하는 경우와, 감소하거나 또는 변화하지 않는 경우를 불문하고, 액 흡수 후의 압축부(7)의 두께(T1')는, 액 흡수 후의 비압축부(10)의 최대 두께(T2')의 5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60~85%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65~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고흡수 폴리머가 흡수체(4)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약적으로 흡수용량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체(4)의 비압축부(10)에서는, 액 흡수 후의 두께(T2')가 액 흡수 전의 두께(T2)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 주요인은 고흡수성 폴리머의 팽윤에 의한 것이다. 예를 들면, 펄프 평량 100~400g/m2, 고흡수성 폴리머 평량 20~50g/m2의 흡수체의 경우, 액 흡수 후의 두께(T2')는 액 흡수 전의 두께(T2)의 1.2~3.0배 정도가 되는데, 고흡수성 폴리머의 양에 따라서는 이 이상 두께가 커진다.
액 흡수 전의 압축부(7)의 두께(T1)는 0.3~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 흡수 전의 비압축부(10)의 두께(T2)는 1~10mm인 것이 흡수체(4)의 유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흡수체(4)에 있어서의 펄프의 평량은 100~400g/m2, 특히 150~3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 흡수 전의 압축부(7)의 밀도는 0.1~0.6g/cm3인 것이 바람직하고, 액 흡수 전의 비압축부(10)의 밀도는 0.01~0.1g/cm3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부(7)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서로 이간한 돌기를 가지는 100도 이상으로 가열된 엠보스롤과 플랫한 받침롤의 사이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흡수체(4)를 통과시켜, 최소 두께부를 열압축하는 열엠보스법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혹은 최소 두께부와 경사부에 상당하는 돌기를 가진 100도 미만으로 가열된 엠보스롤에 의해 최소 두께부와 경사부를 형성하는 압축 엠보스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친수성 접착성분(친수성 접착제, 친수성 합성섬유나 친수성 수지입자 등)을 흡수체 중에 배합하거나, 혹은 부분적으로 도공하여 압축시에 최소 두께부를 고정하는 수용성 접착제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방법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체(4)에서는, 이면시트측에 엠보스롤을 배치하는 열엠보스 가공에 의해 압축부(7)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완만한 경사부(9)를 형성하기 쉽게끔, 엠보스롤의 핀 상당 부분 이외의 부분이 흡수체에 접하고, 전체(특히 비압축부)가 일시적으로 압축되는 부분압축을 행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부분압축 공정의 전에 흡수체(4)를 롤 사이에 삽입하는 등 해서 약압축하고, 부분압축 공정에서 압축부 이외가 압축되지 않게끔 흡수체(4)의 두께를 조정하여, 부분압축 공정 후에 최소 두께부 이외의 부피 회복을 이용해서, 완만한 경사부(9)를 형성하기 쉽게 할 수도 있다. 전체 압축 시와 엠보스롤 등에 의한 부분압축 시의 양쪽에서 흡수체 전체를 압축하는 방법이, 완만한 경사부(9)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친수성 접착성분을 흡수체(4)에 배합하는 것이, 액 흡수시까지 최소 두께부(8)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4)의 표면시트측을 평탄하게 하기 쉽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엠보스롤의 핀 상당 부분에 패임을 형성한 받침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압축를 받고 있다고 해도 인접하는 압축부 사이의 두께가 최대가 되는 부분을 비압축부로 한다.
인접하는 압축부 사이(압축부의 중심 사이)에 있어서의 거리는, 표면시트(2)로부터의 액 흡수성을 높이고, 흡수체(4)를 지나치게 단단해지지 않도록 하는 관점에서 1~10mm가 바람직하고, 2~7mm가 보다 바람직하고, 3~6mm가 한층 바람직하다. 최소 두께부(8)는, 압축부(7)의 형상을 액 흡수 전까지 안정시켜, 액 흡수시에 복원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인접하는 압축부간의 선상에 있어서의 길이가 0.5~4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3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비압축부(10)의 최대 두께(T2)가 존재하는 위치는, 압축부 사이를 연결하는 최단선상의 중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4)의 유연성의 관점에서, 상기 최단선상의 50%이하의 길이에 걸쳐서, 비압축부(10)의 최대 두께(T2)가 있는 위치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0~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액의 확산성을 높이고, 표면시트(2)로부터의 액의 흡수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최단선상의 0~20%의 길이에 걸쳐서 비압축부(10)의 최대 두께(T2)가 있는 위치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비압축부(10)는, 압축부간을 연결하는 최단선상에 있어서 경사부(9)에 인접해 형성되고, 이 최단선상에서는 거의 같은 두께(T2)를 가지고 있는데, 최단선상 이외에서는 다른 두께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압축부(7)의 평면시에서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일 수 있다. 압축부(7)의 복원이 일어나기 쉽게 하기 위해, 최소 두께부(8)의 중앙부를 뚫린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압축부(7)의 배치패턴은 하운드 투스(hound's tooth) 패턴, 격자패턴 등의 산점상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 최단거리에 있는 압축부(7)는, 압축부(7)를 경유해서 액이 확산하므로, 액 샘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폭방향으로 일렬로 늘어서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랜덤으로 배치되거나(최단거리에 있는 압축부(7)가 사선방향을 향하고 있다), 폭방향으로부터 30~60도의 경사를 가지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면시트(2)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피부당접면측에 볼록부를 가지고 있다. 표면시트(2)의 액 잔류를 한층 저감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2층 구조 또는 2장의 시트를 부분적으로 접합하여, 상층에서 하층으로 액을 유도하기 쉽게 하여, 밀도 기울기나 친수 기울기가 실시된 모관 기울기가 있는 표면시트로 이루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측부시트(5)로서는, 소망하는 기능에 따라서 발수성 부직포, 친수성 부직포, 부직포-필름의 라미네이트 시트, 개공/미개공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피부 감촉이 좋고, 경혈이나 분비물 등의 침투를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발수성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냅킨(1)의 측부 표면에 흡수성을 부여하고자 할 경우에는 친수성 부직포가 사용된다. 흡수성과 샘방지성을 양립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피부당접면측에 부직포를 배치한 부직포-필름의 라미네이트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 투과성을 부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개공 필름이 바람직하다. 라미네이트 시트에서는, 부직포-필름의 접합을 포인트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피부 감촉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MS 부직포를 냅킨(1)의 중앙측에 있어서 되접어 꺾어 부분적으로 2층 구조로 하여 사용하고 있다. 되접어 꺾인 SMS 부직포를, 예를 들면 꽃모양 등과 같은 패턴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냅킨(1)에 의장성을 부여할 수 있다. 표면시트(2)와 2층 시트 구조로 된 측부시트(5)는, 그 겹친 부분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핫멜트 점착재에 의해서 접착되어 있다.
[제2의 실시형태]
도 4(a)~도 4(c)에 나타내는 제2의 실시형태인 일회용 기저귀(401)는 표면시트(402), 이면시트(403) 및 흡수체(404)를 가지고 있다. 표면시트(402)는 개공 부직포이다. 이 개공 부직포는, 예를 들면 심초형 복합섬유(심: 폴리프로필렌, 초: 폴리에틸렌)를 에어스루법에 의해 부피가 큰 부직포로 한 후, 폴리에틸렌의 융점 부근까지 가열한 개공 핀롤과 받침롤의 사이에 부직포를 통과시켜, 핀이 들어간 부분이 리브로서 형성된 것이다. 개공 핀롤은 부직포의 피부당접면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진다. 이면시트(403)는, 폴리에틸렌에 무기필러를 혼입한 후, 연신한 투습성 시트에 핫멜트형 점착제를 스프레이 도공하고,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SMS 부직포와 서로 붙인 것이다.
기저귀(401)에 있어서의 표면시트측의 양측부에는 SMS 부직포를 2개로 접은 측부시트(405)가 배치되어 있다. 되접어 꺾은 부분의 내부에는 탄성재(411)가 배치되고, 측부시트(405)의 선단부가 기립하게끔 해서 입체 개더부를 형성하고 있다. 측부시트(405)는 그 기립위치에 있어서 표면시트(402)와 접합하고 있다. 또한 측부시트(405)는, 흡수체(4)의 측연부로부터 연장된 부분이, 동일하게 흡수체(4)의 측연부로부터 연장된 이면시트(403)와 접합되어 레그플랩(leg flap)을 형성하고 있다. 레그플랩에는 탄성재(412)가 배치되어, 다리 둘레에 피트하도록 레그개더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흡수체(404)는, 플랩펄프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분산 배치된 것이다.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4)는 폭방향 중앙영역과 측부영역에서 압축부(407) 사이의 거리가 상이하다. 그러나 압축부(407)와 비압축부(410)의 두께는 중앙영역과 측부영역에서 다른 부분은 없다. 따라서 중앙영역 및 측부영역의 모두에 있어서, 액 흡수 후의 압축부(407)의 복원에 의한 액 흡수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압축부(407)의 거리가 다른 것에 기인하여 비압축부(410)의 두께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액 흡수 후의 압축부(407)의 복원에 의한 액 흡수성을 가지고 있다.
흡수체(4)에 있어서는, 중앙영역의 압축부 사이의 거리(Pc)가, 측부영역의 압축부 사이의 거리(Ps)에 비해서 좁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중앙영역에서는 흡수체에 의한 액 확산이 보다 일어나기 쉽게 되어 있다. 그 결과, 표면시트로부터 액의 흡수성이 좋아진다. 또한 액이 흡수체의 길이방향으로 확산하기 쉬워져, 흡수체의 사용효율도 높아진다. 한편, 측부영역에서는, 중앙영역에 비해서 액의 확산이 억제되므로 측부로부터의 샘이 한층 방지된다. 중앙영역에 있어서의 압축부 사이의 거리(Pc)는 1~8mm가 바람직하고, 2~5mm가 보다 바람직하다. 거리(Pc)를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중앙영역에서의 압축부 사이에 있어서의 비압축부(410)의 길이를 짧게 하여 0에 가깝게 할 수 있어 확산성을 가장 높일 수 있다. 측부영역에서는 압축부간의 거리(Ps)는 1~10mm가 바람직하고, 2~7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흡수체(404)에는, 제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이면시트측으로부터 함몰되는 압축부(407)를 형성하고 있는데, 표면시트측도 약간 함몰되어 있다. 표면시트측에 요철이 있는 흡수체의 경우, 쿠션성이 있는 중간시트를 흡수체(404)와 표면시트(402) 사이에 개재시키는 수단, 나선(spiral)패턴 등에 의해 접착제를 도공해서 흡수체(404)를 표면시트(402)와 부분적으로 접합하는 수단, 표면시트(402)의 표면으로부터 흡수체(404)를 향해서 엠보스나 압축홈을 실시하는 수단 등을 사용해 흡수체(404)와 표면시트(402)의 접촉성을 높일 수 있다.
[제3의 실시형태]
제3의 실시형태인 생리용 냅킨은, 기본형상은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표면시트, 이면시트 및 흡수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측부시트도 가지고 있다. 표면시트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제의 개공 필름이다. 이면시트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제 필름에 점모양 엠보스를 실시해 요철형상을 부형(賦型)한 시트이다. 측부시트는, 예를 들면 SMS 부직포를 부분적으로 되접어 꺾은 것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흡수체(504)는 상층(514)과 하층(524)을 가지고 있다. 상층(514)은 흡수체(504)의 전 영역에 존재하고 있다. 하층(524)은 착용자의 액 배설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층(514)의 하측, 즉 장착면으로부터 먼 측에 겹쳐져 있다. 상층(514)과 하층(524)의 양쪽에는 열엠보스에 의한 압축부(507)가 형성되어 있다. 각 층에 형성되어 있는 압축부(507)는 동일한 크기의 타원형 엠보스이다. 그러나 하층(524)의 압축부(507) 쪽이 상층(514)의 압축부(507)보다도 동일 면적에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하층(524)의 액 흡수성이 상층(514)보다도 높아진다. 따라서 상층(514)으로부터 하층(524)으로 액이 이동하기 쉬워져, 표면시트에 있어서의 액 잔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층(524)에 비해서 상층(514) 쪽이 압축부(507)의 수가 적으므로 액의 확산성을 억제하는 효과도 작용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층(514) 및 하층(524)은 모두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 이외의 재료는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상층(514) 및 하층(524)을 각각 흡수지로 감싸서 서로 겹쳐도 좋고, 상층(514) 및 하층(524)을 서로 겹쳐서 흡수지로 감싸도 좋다. 또한 합성섬유를 30중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시켜서 액 흡수 후의 압축부의 복원성을 높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시트와 상층(514)이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접합되고, 냅킨의 표면시트측에 장원형(長圓形)의 압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압착홈으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있어서도 표면시트와 상층(514)이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산점모양으로 접합되어 있다. 압착홈은 상층(514)과 하층(524)의 중첩부에 인접하는 주위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압착홈으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있어서, 표면시트와 상층(514)의 접촉이 양호해져 표면시트로부터의 액 흡수성이 향상하기 때문이다. 또한 냅킨의 사용 중이나 흡수체(504)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상층(514)과 하층(524)의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상층(514)에는 그 표면시트측 및 이면시트측으로부터 함몰되는 다수의 압축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층(514)에 있어서는 표면시트측으로부터 함몰되는 압축부의 깊이 쪽이, 이면시트측으로부터 함몰되는 압축부의 깊이보다도 얕게 되어 있다. 압축부의 깊이의 비율은, 표면시트측:이면시트측=1:3~1:5 정도로 되어 있다. 하층(524)에도, 그 표면시트측 및 이면시트측으로부터 함몰되는 다수의 압축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층(524)에 있어서는 표면시트측으로부터 함몰되는 압축부의 깊이와, 이면시트측으로부터 함몰되는 압축부의 깊이는 거의 같은 정도로 되어 있다. 압축부의 깊이의 비율은 표면시트측:이면시트측=3:5~5:3 정도로 되어 있다. 상층(514) 및 하층(524)에, 이와 같은 압축부가 형성됨으로써, 상층(514) 및 하층(524)의 접촉 안정성이 향상하여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층(514)으로부터 하층(524)으로 향한 액의 이동성이 양호해진다.
[제4의 실시형태]
제4의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제1의 실시형태의 냅킨(1)에 있어서, 흡수체(4)의 이면시트측에 폴리머 시트를 적층시킨 것이다. 폴리머 시트는, 2장의 흡수지 사이에 점착재를 나선모양으로 도포하고, 양 흡수지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고정하여 시트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흡수체(4)에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흡수체(4)에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등의 접착성 섬유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폴리머 시트를 적층시키기 전의 흡수체에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열엠보스를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서, 폴리비닐알코올 섬유의 접착성을 이용해서 압축부를 형성한다. 이 흡수체에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액 흡수 후의 비압축부의 두께는 흡수 전에 비해서 10~20%정도 감소한다. 그러나 액 흡수 후의 압축부의 두께는 액 흡수 전의 두께의 2~10배가 된다. 액 흡수 후의 압축부의 두께는 액 흡수 후의 비압축부의 두께에 대하여 50~90%가 된다. 압축부에서는, 액 흡수에 의해서 폴리비닐알코올 섬유의 접착성이 저하하여 압축부의 두께가 증가한다.
이상,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압축부 사이의 거리를 길이방향에 대해서 좁힘으로써, 길이방향으로의 액의 확산을 일으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축부의 형상이 타원형 등의 경우, 압축부를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 폭방향 또는 사선방향을 향해서 배치함으로써, 압축부 사이의 거리를 바꾸지 않고 액의 확산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압축부가 다양한 두께를 갖게끔 하기 위해서, 하나의 흡수체 안에서, 압축부 사이의 거리나 압축부의 최소 두께가 상이한 다양한 부분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제2 내지 제4의 실시형태에 관해,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술한 설명이 적절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액 흡수 후의 압축부 및 비압축부의 복원의 정도는, 이하의 "액 흡수 전후의 두께 측정" 및 "의사(擬似) 혈액의 조제"에 기재된 방법 및 의사 혈액을 사용해 계측한다.
[액 흡수 전후의 두께 측정]
마이크로스코프 VH-8000(키엔스사 제품)을 사용해 50배로 관찰한 단면 관찰에 의해서 행한다. 단면은 페더 카미소리(제품 번호 FAS-10, 페더 안젠 카미소리(주) 제품)를 사용해 절단한다. 이 절단면에 대하여, 액 흡수 전의 압축부 및 비압축부의 두께가 찍힌 화상을 기록하고, 그대로 절단면의 표면시트측 비압축부에, 의사 혈액을 스포이트로 10방울(0.77g, 10초 이내에 적하 종료) 적하한다. 적하 30초 후, 액 흡수 전에 화상을 기록한 부위의 압축부 및 비압축부의 액 흡수 후의 두께가 찍한 화상을 기록하고, 화상으로부터 각 항목을 계측?산출한다.
[의사 혈액의 조제]
2L의 비커에 이온교환수 1500g을 넣고, 마그네틱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칸토우카가쿠(주) 제품, CMC-Na] 5.3g을 넣는다(이 용액을 "A"라 한다). 다음으로 1L의 비커에 이온교환수 556g을 넣고,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염화나트륨[칸토우카가쿠(주) 제품] 27.0g,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칸토우카가쿠(주) 제품] 12g을 넣고 완전히 용해시킨다(이 용액을 "B"라 한다). 또한 3L의 비커에 글리세린을 900g 측정하고, 상기 (A) 및 (B)를 첨가해 교반한다. 또한 노니온계의 계면활성제 "에멀겐(emulgen) 935"[제조판매원 카오(주)]의 농도(계면활성제/물)=1g/L의 수용액 15ml와, 식용적색 2호[판매원: 아이젠(주), 호도가야카가쿠코교(주), 제조원: 다이와카세이(주)] 0.3g를 첨가하여, 교반한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용액을 유리 여과기를 사용해서 흡인 여과하고, 그 여과액을 의사 혈액으로 한다. 또한 의사 혈액 조정시에는, 상술한 계면활성제를 대신해 다른 노니온계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단,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의사 혈액의 유리표면에 대한 접촉각이 35~40°의 범위가 되게끔 조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접촉각은, 접촉각 측정창치(쿄와 카이멘 카가쿠(주), FACE 접촉각계 CA-A형)를 사용해 유리표면(에탄올 세정 후)과 의사 혈액의 접촉각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시트로부터의 액의 흡수성 및 흡수 포인트 근처에서의 액의 유지성이 뛰어난 흡수체에 의해서, 액 역류 방지성이 뛰어나고, 샘방지 성능이 발현되는 동시에, 표면에 액을 남기지 않고 보송한 습윤감이 저감된 쾌적한 장착감을 부여한다.
Claims (5)
- 표면시트, 이면시트 및 이들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상기 흡수체에는, 이면시트측 및 표면시트측 중 1종 이상으로부터 함몰되는 다수의 압축부가 서로 이간(離間)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축부는 액 흡수에 의해서 그 두께가 액 흡수 전보다도 증가하게끔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압축부는 최소 두께부 측단부와 경사부 측단부를 연결하는 선과 흡수체 표면이 이루는 각도가 5~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압축부는 액 흡수에 의해서 그 두께가 액 흡수 전보다도 1.5~15배 증가하게끔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흡수체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非)압축부는 액 흡수에 의해서 그 두께가 액 흡수 전보다도 증가하게끔 이루어져 있고,액 흡수 후의 압축부의 두께가 액 흡수 후의 비압축부의 두께의 5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흡수체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압축부는 액 흡수에 의해서 그 두께가 액 흡수 전보다도 감소하거나 또는 변화하지 않게끔 이루어져 있고,액 흡수 후의 압축부의 두께가 액 흡수 후의 비압축부의 두께의 5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239931A JP4173844B2 (ja) | 2004-08-19 | 2004-08-19 | 吸収性物品 |
JPJP-P-2004-00239931 | 2004-08-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0402A KR20060050402A (ko) | 2006-05-19 |
KR101159852B1 true KR101159852B1 (ko) | 2012-06-25 |
Family
ID=3591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3715A KR101159852B1 (ko) | 2004-08-19 | 2005-08-11 | 흡수성 물품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504553B2 (ko) |
JP (1) | JP4173844B2 (ko) |
KR (1) | KR101159852B1 (ko) |
CN (1) | CN1736354B (ko) |
TW (1) | TWI35526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078325B2 (ja) * | 2006-11-21 | 2012-11-21 | 小林製薬株式会社 | 体液吸収用当て材 |
US8502013B2 (en) * | 2007-03-05 | 2013-08-06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
JP5550208B2 (ja) * | 2007-12-06 | 2014-07-1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5330804B2 (ja) * | 2008-11-05 | 2013-10-3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5543268B2 (ja) * | 2010-05-10 | 2014-07-09 | 大王製紙株式会社 | 使い捨て吸収性物品 |
KR101876595B1 (ko) * | 2010-12-17 | 2018-07-09 | 카오카부시키가이샤 | 흡수성 물품 |
JP5792997B2 (ja) * | 2011-05-20 | 2015-10-14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TWI584791B (zh) | 2011-05-27 | 2017-06-01 | Kao Corp | Absorbent items |
PT2719518T (pt) * | 2011-09-02 | 2016-09-19 | Rkw Se | Processo para o estiramento de uma banda de película |
JP5647643B2 (ja) * | 2012-04-27 | 2015-01-07 | 株式会社京都科学 | 模擬体液生成具 |
JP5685234B2 (ja) * | 2012-09-30 | 2015-03-1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BR112015008258A2 (pt) * | 2012-10-12 | 2017-07-04 | 3M Innovative Properties Co | artigos multicamadas |
EP2740449B1 (en) | 2012-12-10 | 2019-01-2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
MX2016002608A (es) | 2013-08-27 | 2016-06-17 | Procter & Gamble | Articulos absorbentes con canales. |
US9987176B2 (en) | 2013-08-27 | 2018-06-0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
WO2015157254A1 (en) * | 2014-04-08 | 2015-10-1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having zones |
WO2016060219A1 (ja) * | 2014-10-17 | 2016-04-21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CN106794082B (zh) * | 2014-10-17 | 2020-09-25 | 花王株式会社 | 吸收性物品 |
US10507259B2 (en) * | 2015-05-08 | 2019-12-17 | First Quality Retail Services, Llc | Flexible absorbent pad |
JP6138864B2 (ja) * | 2015-06-30 | 2017-05-31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6940933B2 (ja) * | 2015-11-12 | 2021-09-29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6875806B2 (ja) * | 2015-11-12 | 2021-05-26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CN109803619B (zh) * | 2016-11-30 | 2022-04-19 | 尤妮佳股份有限公司 | 吸收体及其制造方法以及吸收性物品 |
JP6726135B2 (ja) * | 2017-06-15 | 2020-07-22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
JP6567713B1 (ja) * | 2018-03-05 | 2019-08-28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7263189B2 (ja) * | 2019-09-19 | 2023-04-24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36931A (en) | 1971-06-09 | 1973-06-05 | J Glassman | Catamenial napkin |
JPH06315501A (ja) * | 1993-05-07 | 1994-11-15 | Sekisui Plastics Co Ltd | 吸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040029462A (ko) * | 2001-08-31 | 2004-04-06 |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 흡수체에 구멍을 갖는 흡수용품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86941A (en) * | 1974-06-18 | 1975-06-03 | Union Carbide Corp | Diaper insert |
US4435178A (en) * | 1978-03-27 | 1984-03-06 | Colgate-Palmolive Company |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having an embossed pad containing a gel forming compound |
US4518451A (en) * | 1982-09-02 | 1985-05-21 | Personal Products Company | Embossed panty liner |
JPS60215804A (ja) * | 1984-04-04 | 1985-10-29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US4605402A (en) | 1984-08-17 | 1986-08-12 | Personal Products Company | Softening of a composite absorbent product |
US4781710A (en) | 1987-05-15 | 1988-11-0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pad having improved liquid distribution |
US5128193A (en) * | 1990-01-16 | 1992-07-07 | Chicopee | Absorbent fibrous structure |
CN2190497Y (zh) * | 1994-05-26 | 1995-03-01 | 付邦义 | 超薄压花妇女卫生巾 |
US5891118A (en) * | 1995-09-05 | 1999-04-06 | Kao Corporation | Absorbent article |
EP0781537A1 (en) | 1995-12-27 | 1997-07-0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
CN2258067Y (zh) * | 1996-05-15 | 1997-07-23 | 刘孟辉 | 高分子吸水剂和中药复合的保健超薄妇女卫生巾 |
CN2323768Y (zh) * | 1997-11-28 | 1999-06-16 | 广东维达纸业股份有限公司 | 一种压纹卫生巾 |
DE60110290T2 (de) * | 2000-02-28 | 2005-10-06 | Kao Corp. | Blatt für einen absorbierenden Artikel und absorbierender Artikel mit einem solchen Blatt |
JP3693570B2 (ja) * | 2000-12-25 | 2005-09-0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体液吸収性着用物品 |
CA2444453A1 (en) | 2001-04-20 | 2002-10-3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ersible absorbent products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
JP4628603B2 (ja) | 2001-07-25 | 2011-02-09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4540087B2 (ja) | 2001-07-27 | 2010-09-08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4278963B2 (ja) * | 2002-03-26 | 2009-06-1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3993452B2 (ja) * | 2002-03-29 | 2007-10-1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薄型の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2004
- 2004-08-19 JP JP2004239931A patent/JP4173844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5
- 2005-08-11 KR KR1020050073715A patent/KR10115985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5-08-12 TW TW094127608A patent/TWI355263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8-18 US US11/206,044 patent/US750455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8-19 CN CN2005100926720A patent/CN173635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36931A (en) | 1971-06-09 | 1973-06-05 | J Glassman | Catamenial napkin |
JPH06315501A (ja) * | 1993-05-07 | 1994-11-15 | Sekisui Plastics Co Ltd | 吸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040029462A (ko) * | 2001-08-31 | 2004-04-06 |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 흡수체에 구멍을 갖는 흡수용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60041239A1 (en) | 2006-02-23 |
KR20060050402A (ko) | 2006-05-19 |
JP2006055352A (ja) | 2006-03-02 |
TWI355263B (en) | 2012-01-01 |
CN1736354A (zh) | 2006-02-22 |
CN1736354B (zh) | 2011-01-12 |
US7504553B2 (en) | 2009-03-17 |
TW200624087A (en) | 2006-07-16 |
JP4173844B2 (ja) | 2008-1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9852B1 (ko) | 흡수성 물품 | |
US7067711B2 (en) | Elongated absorbent article | |
JP5079931B1 (ja) | 吸収体物品 | |
JP4855533B2 (ja) | 吸収性物品 | |
JP6169338B2 (ja) | 吸収体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 |
WO2012086487A1 (ja) | 吸収性物品 | |
WO2010107096A1 (ja) | 吸収性物品 | |
WO2007069964A1 (en) | Absorbent product | |
WO2007061035A1 (ja) | 吸収性物品 | |
US10285874B2 (en) | Multi-component topsheets | |
JPH1094558A (ja) | 吸収性物品 | |
KR20090110359A (ko) | 흡수성 물품 | |
JP6901272B2 (ja) | 吸収性物品 | |
RU2744851C1 (ru) |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питывающего изделия | |
JP4359020B2 (ja) | 生理用ナプキン | |
JP5820706B2 (ja) | 吸収性物品 | |
JP2023158109A (ja) | 吸収性物品 | |
JP4751812B2 (ja) |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 |
JP6840949B2 (ja) | 吸収性物品 | |
JP4519025B2 (ja)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
JP6692633B2 (ja) | 吸収性物品 | |
JP6419454B2 (ja) | 吸収性物品 | |
JP7436326B2 (ja) | 吸収性物品 | |
JP6944575B2 (ja) | 吸収性物品 | |
JP2018068441A (ja) | 吸収性物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