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462A - 흡수체에 구멍을 갖는 흡수용품 - Google Patents

흡수체에 구멍을 갖는 흡수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462A
KR20040029462A KR10-2004-7003154A KR20047003154A KR20040029462A KR 20040029462 A KR20040029462 A KR 20040029462A KR 20047003154 A KR20047003154 A KR 20047003154A KR 20040029462 A KR20040029462 A KR 20040029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absorbent
layer
surface laye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9735B1 (ko
Inventor
켄트바티아이넨
Original Assignee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02851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2946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40029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8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foam or sponge other than superabsorbent
    • A61F2013/53086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foam or sponge other than superabsorbent having slit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86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 A61F2013/53087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having hol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품은 상기 투액성 표면층과 닿지 않는 제 1 흡수체쪽면에 제 2 흡수구조가 위치하고, 상기 투액성 표면층이 상기 구멍들을 관통하여 제 2 흡수 구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수체에 구멍을 갖는 흡수용품 {ABSORBENT ARTICLE HAVING OPENINGS IN THE ABSORBENT BODY}
미국 특허 5,846,231은 흡수체에 절단된 형태의 구멍(openings)을 관통하여 내액표면층과 접한 투액성 표면층을 포함하는 흡수제품에 대하여 기술한다. 더 나은 전개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이미 알려진 대로, 상기 절단부가 횡방향에 더하여 종방향으로도 간헐적으로 배열하고 있다. 그러나 더 효과적인 전개성을 갖게 하거나 및 많은양의 소변이나 더 점성이 있는 액체를 처리하기 위하여는 이 방법은 적당하지 않다.
국제 공개 99/25291에는 항문가까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수용수단을 포함하는 흡수제품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 수용수단은 느슨한 분비물(loose motions)과 같은 더 점성이 있는 액체를 다루기 위하여 정해진 효율의 개방상태를 갖고 저장층위에위치한다. 상기 투액성 표면층은 홀(holes)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도 효율적인 전개성 및 소변 및 분비물 모두 저장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국제 공개 96/20670에는 흡수체를 관통하는 홀(hole) 형태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제품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 수용공간 주변의 상기 흡수체가 있는 구역은 젖었을때 제품을 통과하는 방향, 즉 제품의 수용 표면과 직각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한다. 상기 공간은 위층과 아래층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기저귀 또는 뇨실금 패드와 같은 흡수제품에 관한 것으로, 투액성 표면층과, 누액 표면층 및 상기 표면층사이에 위치하는 제 1 흡수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흡수체는 상기 표면층을 따라 횡방향과 종방향 및 투액 표면층에서 내액표면층으로 향하는 통과-방향으로도 연장되고, 상기 제 1 흡수체는 통과-방향으로 연장된 구멍들을 갖는다.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a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기저귀를 ∥-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기저귀를 ∥-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c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기저귀를 ∥-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d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기저귀를 ∥-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f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기저귀를 ∥-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e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 1 의 기저귀를 ∥-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소변 및 느슨한 분비물과 같이 점성이 있는 액체 둘다 처리할 수 있는 향상된 용량을 갖는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변 및 더 점성이 있는 액체가 처리될 때 피부에 대하여 건조한 접촉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도입부에서 언급된 형태의 흡수성 제품이 제조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품은 상기 투액성 표면층과 닿지 않는 제 1 흡수체쪽면에 제 2 흡수구조가 위치하고, 상기 투액성 표면층이 상기 구멍들을 관통하여 제 2 흡수 구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착이라 함은 상기 물질들이 서로 직접, 중간 매개물질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부착은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 열융합 또는 접착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투액성 표면층(3)은 액체를 아래층으로 통과하게 할 목적을 실현할 수있도록 이미 알려진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부재들의 예로서, 비-직조 부재,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천공된 소수성 부재, 네트 등이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은 동일부재 또는 이형부재로 이루어진 두겹층 또는 그 이상 층으로 된 라미네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액성 표면층은 제 1 흡수체에 부착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흡수제품의 투액성 표면층은 접착제에 의하여 아래층에 있는 흡수 구조에 부착된다. 이것은 특히 흡수구조가 움직이거나 뭉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행해져왔다. 상기 투액성 표면층이 제 2 흡수 구조에 부착됨으로 인해, 상기 투액성 표면층이 제 1 흡수 구조와 접착될 필요가 없어졌다. 투액성 표면층의 포어(pore)를 접착제가 막음으로 인한 피부 자극 또는 액체의 투과성을 제한하는 문제점 및 제품을 제조하는 동안에 접착제의 과다 적용으로 인한 접착제 제거와 같은 문제는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제품을 생산하는 동안에 접착제로 인하여 기계가 멈추거나, 접착제가 흡수체의 포어를 막는 결과로 인하여 흡수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 또한 줄일 수 있다. 또한 표면층의 포어가 막히거나 상기 부재에 접착제가 통과가 없는 얇은 투액성 표면층의 사용이 가능하고, 그 결과 향상된 투과성의 획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 투액성-표면층은 단위 면적당 최대 20 g/m2의 중량을 갖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수송층은 상기 투액성 표면층과 제 1 흡수체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액체 수송층은 제 1 흡수체를 관통하는 구멍들을 통과하는 제 2 흡수구조에 부착된다. 상기 표면층과 제 2 흡수 구조사이에 액체 수송층이 지나기 때문에 상기 투액성 표면층은 제 2 흡수 구조에 간접적으로 부착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흡수구조는 상기 투액성 표면층이 부착되는 상기 흡수액체-수용액체-통과층을 포함한다.
상기 투액층은 액체가 인접한 층을 통과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이미 알려질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물질들의 예로서 비-직조 부재,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천공된 소수성 부재, 그물망 등이 있다. 상기 층은 동질 또는 이질의 물질로 이루어진 두겹 또는 그이상의 라미네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층은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친수성 물질 또는 친수처리된 소수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액체가 아래층으로 빠르게 통과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친수성 물질의 적절한 예로는 레이온(rayon) 또는 면이 있다. 소수성물질을 친수처리하는 방법의 예로는 웨팅제(wetting agent), 플레임-처리제(flame-treatment),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로 상기 물질을 처리하는 것이 있다. 상기 제 2 흡수구조는 하나의 액체-통과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통과 층은 예를 들어 상기 흡수 구조의 다른 부분들과 같은 '아래에 있는 층' 또는 아래에 있는 제 3 흡수 구조 또는 액체-통과층으로만 구성된 제 2 흡수구조를 갖는 실시예에서는 내액 표면층에 부착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액체-통과층이 상기 아래에 놓인 층에 부착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상기 액체-통과층과 상기 아래에 놓인 층 사이에 유연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투액성 표면층 및 액체-통과층은 상기 흡수체를 관통하는 구멍들(openings)에 놓여진 홀(holes)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분비물 및 소변이 상기 홀 및 구멍을 통과한 후 액체-통과층 및 아래에 있는 층 사이에 있는 유연한 스페이스에 수집될 수 있다.
상기 문단에서, 아래에 놓인 층이라 함은 상기 '층'이 사용하는 동안에 착용자와 닿지않는 액체-통과층 쪽면에 위치하는 것을 위미한다.
본 명세서에, '부착되지 않는다' 라 함은 제조공정중에 상기 부재들이 서로 함께 의도적으로 결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제 1 흡수체는, 상기 투액성 표면층이 상기 제 2 흡수구조에 부착되는 부분과 가까운 구역에서, 상기 투액성 표면층이나 상기 제 2 흡수 구조의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재들은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의 측면 엣지를 따라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투액성 표면층은 상기 구멍들 사이에 소수성 구역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면 소변 및 분비물이 흡수구조 및 본체로 퍼지기전에 수집구멍속으로 빠르게 흘러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투액성 표면층은 사용하는 동안에 건조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상기 투액성 표면층은 천공된 소수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표면층은 이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소수성 표면 구역을 확보하기 위한 화학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기저귀는 투액성 표면층(3)과, 내액표면층(5)과 또한 상기 표면층(3,5)사이에 배열된 제 1 흡수체(7)를 포함한다. 상기 기저귀는 평면에 종방향(9)과 횡방향(11)을 갖는다. 또한 상기 기저귀는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에 직각으로 통과방향(10)을 갖는다.
상기 두개의 표면층은 제 1 흡수체(7)의 바깥쪽에 횡방향(9) 및 종방향(11)으로 연장되고, 뻗어나온 부위(13)에서 예를 들어 접착제나 열을 통해, 또는 초음파 용접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투액성 표면층(3)은 액체를 아래층으로 통과하게 할 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이미 알려진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부재들의 예로서, 비-직조 부재,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천공된 소수성 부재, 네트 등이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은 동일부재 또는 이형부재로 이루어진 두겹층 또는 그 이상 층으로 된 라미네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액성 표면층은 탄성 또는 비탄성의 신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액 표면층(5)은 액체 통과를 방지할 목적을 의도하기 위한 부재로 구성된다. 그러한 부재들의 예로는 플라스틱 필름, 비-직조 부재 및/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여러 층의 라미네이트 및 그 유사 부재를 들 수 있다. 만약 상기 부재가 수증기를 통과시킬수 있어서, 통기성이 있으면 유리하다.
상기 기저귀(1)는 사용하는 동안에 착용자의 뒤쪽에 가깝게 놓여지도록 의도된 후반부(15)와, 사용시에 착용자의 앞쪽에 밀착되도록 의도된 전단부(17) 및 상기 전단부(17)와 후단부(15)사이에 놓여진 크로치부(19)로 이루어진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전단부(17)와 후단부(15) 사이에 위치한 크로치부(19)가 전단부(17)와 후단부(15)보다 폭이 좁기 때문에. 상기 기저귀(1)는 모래시계의 모양이다. 또한 상기 기저귀는 종측면 엣지(21)와 횡단 엣지(23)를 갖는다.
후단부(15)위에, 상기 기저귀는 양쪽의 종측면 엣지(21)를 따라 놓여져서 상기 전단부(17)위에 위치하여 기저귀를 사용하는 동안에 바깥에서 만나는 리시빙 구역에 부착되는 부착 수단(25)을 갖는다. 이러한 부착수단(25)은 이전에 잘알려져 있는대로 테이프 형태 또는 기계적 잠금 수단- 예 : 접촉 잠금 패스너(touch-and -close fasteners)와 같은 접착 잠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시빙 구역은, 접착 잠금 수단을 위하여 플라스틱 필름으로 강화되거나, 기계적 잠금 수단을 위하여 기계적 잠금 수단이 부착될 수 있는 접촉 잠금 패스터(touch-and -close fasteners) 또는 비-직조 부재와 같은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하고 도면에서 도시된 기저귀의 설계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흡수제품에 부착수단이 제공되는 것은 필수적 사항이 아니다. 팬티기저귀와 같은 폐쇄형의 측면부를 갖는 제품도 가능한 실시예이다. 또한 내액 커버에 적용하기 위한 흡수성의 삽입물도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이다. 설계 역시 도시된 모래시계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저귀(1)는 양쪽 종측면 엣지(21)를 따라 pretensioned 상태에서 부착된 종방향의 신축수단(27)을 갖는다. 이러한 신축수단(27)은 착용자의 다리를 감싸서 기저귀로부터 액체가 새는 것으로 부터 더 확실하게 보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후단부(15)위에 상기 끝단 엣지(23)를 따라, 상기 기저귀(1)는 pretensioned 상태에서 기저귀에 부착된 횡방향의 신축수단(28)을 갖는다. 이러한 횡방향의 신축수단(28)은 허리라인에 신축을 구성한다. 제품에 신축수단을 갖는 것은 본 발명의 필수사항이 아니다.
제 1 흡수체는 동질 또는 이질의 흡수제로 이루어진 한개층 또는 그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수체는 액체를 수용하고 이송하기에 적합하게 설계된다. 그리고상기 흡수체로의 액체의 유동에 낮은 저항성을 획득하기 위한 큰 구멍 또는 모세관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층은 사용하는 동안 착용자의 몸에 편안하게 느껴질수 있는 부드러운 부재로 적합하게 구성된다. 그 예로서 낮은 정도의 압축을 한 특히 기계적, 열적 또는 케미썰모메카니칼 펄프(CTMP) 또는 섬유매트 및 천연 또는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다른 형태의 솜으로 만들어진 셀룰로오즈 층을 들 수 있다. 또한 발포제와 같은 연질의 천공 또는 개방형-셀 물질이 이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흡수체는 섬유, 파티클, 그래뉼, 필름 등의 형태의, 슈퍼흡수제로 알려진, 고 흡수 폴리머를 일정량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슈퍼흡수제는 자기 중량의 수배에 달하는 양의 액체를 잡아둘 수 있는 고 흡수율로 특징지어진다.
또한 상기 제 1 흡수체는 젖었을때 통과방향으로 확장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 적합한 제품은 국제공개 94/10956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물질의 특징적인 형상은 0.2와 1 g/m3사이의 밀도로 압축된 단위면적당 30-2000g/m2의 중량을 갖는 그물망을 형성하기 위한 드라이-포밍 플래쉬-드라이드 셀룰로오즈 섬유에 의해 생산되고, 상기 그물망은 흡수 구조로서 연속된 탈섬유 및 플러프 형성없이 흡수제품에 편입된다. 또 다른 예로는 일정량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중량의 10%의 슈퍼흡수 물질이 혼합된 셀룰로오즈 플러프 펄프이다. 통과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는 물질의 다른예들은 압축 발포 물질들 및 젖었을때 압축되지 않았을때의 사이즈로 부분적으로 돌아가는 섬유 충전물이다. 제 1 흡수체가 확장성의 물질을 포함하는 만큼 투액성 표면층은 신축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흡수체(7)는 둥근 구멍 형태의 다수개의 구멍(29)을 갖는다. 이러한 구멍은 통과방향으로 즉,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에 착용자와 닿는 쪽에서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착용자와 닿지않는 쪽으로 제 1 흡수체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구멍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구멍은 배설물 수집을 위하여 충분하게 커야 한다. 또한 상기 구멍(29)은 흡수체를 관통하여 절단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구멍(29)은 도 1 에서와 같이 본질적으로 제 1 흡수체(7) 전체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에 있어 필수사항이 아니다. 예를들어, 상기 구멍은 흡수체의 하나 또는 그이상의 구역내에 배열되거나, 전단부, 후단부, 크로치부 또는 이들의 부분내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구멍들이 같은 크기를 유지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들어, 전단부와 후단부의 구멍의 크기는 크로치부 또는 vice versa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후단부의 구멍은 전단부나 vice versa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한구역 내의 구멍도 다른 크기일 수 있다. 구멍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최소 3개, 더 바람직하게는 더 많이, 그러나 한개 또는 2개의 구멍도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로서 보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저귀(1)는 제 1 흡수체와 내액표면층(5)사이에 제 2 흡수 구조(31)를 포함한다.
상기 투액 표면층(3)은 제제 1 흡수체(7)에 통과-구멍(29)이 형성된 구역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제 2 흡수 구조(31)에 부착된다. 열 융착 또는 접착제도 상기 투액 표면층과 제 1 흡수체(31)를 부착하는 다른 가능한 방법의 예이다.
상기 투액성 표면층이 상기 제 1 흡수체를 관통하는 상기 구멍에서 상기 제 2 흡수 구조에 부착되는 것 외에 어떤방식으로는 제 1 흡수체가 제 2 흡수구조에 부착되는 것은 필수 사항이 아니다. 그결과 제 1 흡수체가 투액성 표면층과 제 2 흡수구조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멍들은 그들은 기저귀의 횡방향, 종방향, 및/또는 통과방향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갖고 있으므로 분비물을 수집하기 위한 유연한 스페이스를 형성한다. 즉 제 1 흡수체는 구멍들사이에서 인근 층과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결과 그 구조는 상당한 유연성/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2 흡수구조는 액체-통과층 및/또는 동질 또는 이질의 흡수제로 이루어진 한층 또는 그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액다.
제 2 흡수구조는 전개층(spreading layer) 및 저장층(storage layer)로서의 유리한 기능을 할 수 있고, 고 액체-전개 및 액체 저장 능력을 가진 고 밀도의 물질을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절한 물질의 예로서 단위 면적당 약 400 g/m2의 중량을 갖는 화학적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즈 플러프 펄프(CP)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국제공개 94/10956에 기술되어 있는 건조-형성 섬유층도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액체-전개층은 압축을 따라 액체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압축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수구조(31)는 상기 흡수체로의 액체유동에 낮은 저항성을 획득하기 위한 커다란 포어(pore) 또는 모세관을 갖는 개방 구조의 물질을 포함할 수있다. 상기 물질들의 예로서 낮은 정도의 압축을 한 셀룰로오즈 층이나 섬유 매트 및 천연의 다른형태 또는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연질의 천공된 또는 개방-셀 물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힌 물질, 파동형의 물질 또는 기타 다른 방식으로 개방 구조의 형상을 갖는 물질들도 이용 될 수 있다.
또한 제 2 흡수구조는 일정 형태의 슈퍼흡수제를 유리하게 포함할 수 있다. 슈퍼흡수제의 적절한 양은 중량의 최소 10%, 바람직하게는 10%~60%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수구조는 액체-투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목적에 적적한 이미 알려진 물질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한 물질의 예로는 비-직조 섬유,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그물 등이다. 상기 층은 코로나 처리된 비직조 또는 레이온(rayon)과 같은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a 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 의 ∥-∥ 선을 따라 기저귀를 절단한 것으로, 본체를 통과하는 액체 유동에 낮은 저항성을 획득하기 위한 큰 포어(pores) 또는 모세관을 갖는 층을 포함하는 제 1 흡수체(17)를 포함한다. 이러한 층은 사용하는 동안 착용자의 몸에 편안하게 느껴질수 있는 부드러운 부재로 적합하게 구성된다. 그 예로서 낮은 정도의 압축을 한 특히 기계적, 열적 또는 케미썰모메카니칼 펄프(CTMP) 또는 섬유매트 및 천연 또는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다른 형태의 솜으로 만들어진 셀룰로오즈 층을 들 수 있다. 또한 발포제와 같은 연질의 천공 또는 개방형-셀 물질이 이용가능하다. 투액성 표면층(3)은 기저귀 착용자와 닿는 제 1 흡수체(7) 쪽의 위에 위치하고, 제 1 흡수체 를 관통하는 구멍들을(29)을 지나서 사용하는 동안 착용자에 닿지 않는 제 1 흡수체에 위치하는 제 2 흡수구조(31)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멍들(29)은 통과방향(10)으로 즉,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에 착용자와 닿는 쪽에서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착용자와 닿지않는 쪽으로 제 1 흡수체(7)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제 2 흡수 구조(31)는 큰 액체-전개 및 액체 저장능력을 갖고 고 밀도의 물질로 이루어진 전개층/저장층을 포함한다. 상기 적절한 물질의 예로서 단위 면적당 대략 400 g/m2의 중량을 갖는 화학적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즈 플러프 펄프(CP)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국제공개 94/10956에 기술되어 있는 건조-형성 섬유층도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수구조는 중량대비 10-60%의 슈퍼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는 도 1 의 ∥-∥ 선을 따라 기저귀를 절단한 것으로,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면층은 제 1 흡수체를 관통하는 구멍들(29)에 홀(32)을 갖는다. 도 2b의 홀(hole)들은 제 1 흡수체를 관통하는 구멍들 위에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홀들은 투액성 표면층과 제 2 흡수 구조와 함께 그 결합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열융착하는 동안에 형성되거나 또는 미리 천공된 투액성 표면층이 이용될 수 있다. 투액성 표면층을 관통하는 상기 홀들이 제 1 흡수체를 관통하는 상기 구멍들 위로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것은 필수 사항이 아니지만, 구멍에 모아진 소변이나 분비물이 상기 홀을 통과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홀들이 상기 구멍위에 위치해야 한다. 상기 홀들은 상기 제 1 흡수체에 직접적으로 위치할 수 도 있다.
상기 홀(32) 및 구멍(29)들은 분비물이 통과하기에 충분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의 상기 제 2 흡수구조(31)는, 제 1 흡수체와 맞닿는 쪽의 구조, 몸쪽으로의 액체유동에 낮은 저항성을 획득하기 위한 큰 포어 또는 모세관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층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상기 층은 분비물을 수집하기에 적합한 개방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질들의 예로서 낮은 정도의 압축을 한 셀룰로오즈 층이나 섬유 매트 및 천연의 다른형태 또는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연질의 천공된 또는 개방-셀 물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힌 물질, 파동형의 물질 또는 기타 다른 방식으로 개방 구조의 형상을 갖는 물질들도 이용 될 수 있다.
도 2c는 도 1 의 ∥-∥ 선을 따라 기저귀를 절단한 것으로,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 1 흡수체는 몸쪽으로의 액체유동에 낮은 저항성을 획득하기 위한 큰 포어 또는 모세관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 1 층(7')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층(7')은 착용자가 사용하는 동안에 몸에 편안한 느낌을 주는 연질 물질로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층(7')은 상기 투액성 표면층(3)에 맞닿아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 1 흡수체(7)는 제 1 흡수층(7')보다 더 많이 개방되고 더 많은 포어를 갖는 제 2 흡수층(7'')을 포함하고. 몸쪽으로의 액체유동에 낮은 저항성을 획득하기 위한 큰 포어 또는 모세관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질들의 예로서 낮은 정도의 압축을 한 셀룰로오즈 층이나 섬유 매트 및 천연의 다른형태 또는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연질의 천공된 또는 개방-셀 물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힌 물질, 파동형의 물질 또는 기타 다른 방식으로 개방 구조의 형상을 갖는 물질들도 이용 될 수 있다.
투액성 표면층(3)은, 기저귀 착용자와 닿는 제 1 흡수체(7) 쪽의 위에 위치하고, 제 1 흡수체 를 관통하는 구멍들을(29)을 지나서 사용하는 동안 착용자에 닿지 않는 제 1 흡수체(7)에 위치하는 제 2 흡수구조(31)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멍들(29)은 통과방향으로 즉,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에 착용자와 닿는 쪽에서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착용자와 닿지않는 쪽으로 제 1 흡수체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도 2 c의 제 2 흡수구조(31)는 제 1 흡수체과 맞닿으면서 좋은 침투력을 갖는 친수성 비-직조 물질로 이루어진 제 1 층(31')과 상기 제 1 흡수체와는 닿지않으면서 고 밀도, 액체-전개 및 액체 저장능력이 좋은 물질들로 이루어지고 제 2 층(3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적절한 물질의 예로서 단위 면적당 대략 400 g/m2의 중량을 갖는 화학적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즈 플러프 펄프(CP)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국제공개 94/10956에 기술되어 있는 건조-형성 섬유층도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수구조는 중량대비 10-60%의 슈퍼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d에서, 투액성 표면층(3)은 상기 흡수체를 관통하는 구멍들(29)을 통과하고 사용하는 동안에 착용자와 닿지않는 제 1 흡수체(7)쪽에 위치하는 액체-투과층의 형태로 제 2 흡수구조(31)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멍들(29)은 통과방향(10)으로 즉,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에 착용자와 닿는 쪽에서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착용자와 닿지않는 쪽으로 제 1 흡수체(7)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투액성 표면층을 통과하는 홀(32)에서, 상기 표면층은 상기 액체 통과층에, 상기 층을 통과하는 홀(34)에서 부착되고, 상기 홀 (32, 34)은 제 1 흡수체를 통과하는 구멍(29)에 위치하여 그결과 소변 및/또는 분비물이 구멍(29) 및 홀(32,34)을 통과 할 수 있다.
제 3 흡수 구조(35)는 사용하는 동안에 착용자와 닿지않는 제 2 흡수 구조 쪽위에 위치한다. 도 2d의 상기 제 3 흡수구조(35)는, 몸쪽으로의 액체유동에 낮은 저항성을 획득하기 위한 큰 포어 또는 모세관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한다. 상기 층은 분비물 수집에 적절한 개방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질들의 예로서 낮은 정도의 압축을 한 셀룰로오즈 층이나 섬유 매트 및 천연의 다른형태 또는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연질의 천공된 또는 개방-셀 물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힌 물질, 파동형의 물질 또는 기타 다른 방식으로 개방 구조의 형상을 갖는 물질들도 이용 될 수 있다.
상기 제 3 흡수구조(35)는 고밀도 및 높은 액체-전개 및 액체-보유능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절한 물질의 예로서 단위 면적당 대략 400 g/m2의 중량을 갖는 화학적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즈 플러프 펄프(CP)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국제공개 94/10956에 기술되어 있는 건조-형성 섬유층도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수구조는 중량대비 10-60%의 슈퍼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d의 제 2 흡수 구조는 제 3 흡수 구조(35)에 접하지 않고, 상기 층들 및상기 제 1 흡수체를 관통하는 구멍들을 통과한 분비물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흡수구조와 제 3 흡수구조사이에 스페이스(37)가 형성된다.
도 2e는 도 1 의 ∥-∥ 선을 따라 기저귀를 절단한 것으로, 도 2e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투액성 표면층(3)과 제 1 흡수체(7) 사이에 위치한 액체 수송층(40)을 포함한다. 도 2e에서, 상기 투액성 표면층(3)과 액체 수송층(40)은 모두 제 1 흡수체를 지나서 통과-방향으로 연장된 구멍들(29)을 통과하는 제 2 흡수구조(31)와 접해있다. 상기 투액성 표면층(3)은 상기 투액성 표면층(3)과 상기 제 2 흡수구조(31)사이에 놓여진 상기 액체 수송층(40)에 의해 제 2 흡수 구조에 간접적으로 접한다.
상기 액체 수송층(40)은 몸쪽으로의 액체유동에 낮은 저항성을 획득하기 위한 큰 포어 또는 모세관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액체 수송층(40)은 이러한 제 1 층(7')은 착용자가 사용하는 동안에 몸에 편안한 느낌을 주는 연질 물질로 적절하게 구성된다. 상기 물질들의 예로서 낮은 정도의 압축을 한 셀룰로오즈 층이나 섬유 매트 및 천연의 다른형태 또는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질의 천공된 또는 개방-셀 물질 또는 발포체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f에서 투액성 표면층(3)은 투액성 표면층(3)은 상기 흡수체를 관통하는 구멍들(29)을 통과하고 사용하는 동안에 착용자와 닿지않는 제 1 흡수체(7)쪽에 위치하는 액체-투과층의 형태로 제 2 흡수구조(31)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멍들(29)은 통과방향(10)으로 즉,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에 착용자와 닿는 쪽에서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착용자와 닿지않는 쪽으로 제 1 흡수체(7)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투액성 표면층을 통과하는 홀(32)에서, 상기 표면층은 상기 액체 통과층에, 상기 층을 통과하는 홀(34)에서 부착되고, 상기 홀 (32, 34)은 제 1 흡수체를 통과하는 구멍(29)에 위치하여 그결과 소변 및/또는 분비물이 구멍(29) 및 홀(32,34)을 통과 할 수 있다.
내액 표면층(5)는 사용하는 동안 착용자와 닿지않는 상기 액체-통과층 쪽에 위치된다. 도 2f의 상기 제 2 흡수구조(31)는 내액 표면층(5)과 접하지 않고, 상기 층들 및 상기 제 1 흡수체를 관통하는 구멍들을 통과한 분비물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흡수구조와 상기 내액 표면층(5) 사이에 스페이스(37)가 형성된다. 그리고 액체는 액체-통과층을 지나 누액 표면층과 닿는 쪽으로부터 제 1 흡수체로 흡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 설명된 상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특허 청구범위내에서 수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저귀 또는 성인용 뇨실금 패드등에 있어서, 많은 양의 소변 및/또는 점성이 있는 분비물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처리 할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10)

  1. 생리대 또는 실금 패드와 같은 흡수제품으로서,
    투액성 표면층(3)과; 내액 표면층(5)과; 상기 표면층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표면층을 따라 횡방향, 종방향 및 상기 투액성 표면층(3)에서 내액 표면층(5)으로 향하는 통과방향으로도 연장된 제 1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흡수체(7)는 상기 통과-방향으로 제 1 흡수체를 관통하여 연장된 구멍들(29)을 구비하고, 상기 투액성 표면층(3)과 닿지 않는 상기 제 1 흡수체(7)쪽면에 위치하는 액체-통과층(31)을 포함하여, 상기 투액성 표면층(3)이 상기 제 1 흡수층을 통과하는 상기 구멍들(29)을 관통하여 상기 액체-통과층(31)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액성 표면층(3)은 상기 제 1 흡수체(7)에 의도적인 결합에 의하여 부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3. 상기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수체(7)는 상기 액체-통과층(31)에 의도적인 결합에 의하여 부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4. 상기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들(29)은 둥근 홀의 형태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5. 상기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들(29)은 종방향의 채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6. 상기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액성 표면층(3)은 상기 제 1 흡수체를 관통하는 구멍들(29)에 배열된 홀(32)을 구비하여 그결과 소변 및/또는 분비물이 상기 홀(32) 및 구멍(29)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7. 상기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액성 표면층(3)은 상기 구멍들(29)사이에 상기 제 1 흡수체(7)를 관통하는 소수성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8. 상기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액성 표면층(3)은 단위 면적당 최대 20g/m2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9. 상기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수송층(40)이 상기 투액성 표면층(3)과 제 1 흡수체(7)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수송층(40)은 상기구멍들(29)을 관통하여 상기 액체-통과층(31)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10. 상기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연한 스페이스(37)는 상기 액체-통과층(31)과 아래에 있는 층(5)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KR1020047003154A 2001-08-31 2002-08-22 흡수체에 구멍을 갖는 흡수용품 KR1009297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SE0102897-6 2001-08-31
SE0102897A SE519783C2 (sv) 2001-08-31 2001-08-31 Absorberande alster innefattande öppningar i absorptionskroppen
PCT/SE2002/001494 WO2003017900A1 (en) 2001-08-31 2002-08-22 Absorbent article having openings in the obsorbent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462A true KR20040029462A (ko) 2004-04-06
KR100929735B1 KR100929735B1 (ko) 2009-12-03

Family

ID=2028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154A KR100929735B1 (ko) 2001-08-31 2002-08-22 흡수체에 구멍을 갖는 흡수용품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1423071B1 (ko)
JP (1) JP2005525134A (ko)
KR (1) KR100929735B1 (ko)
AR (1) AR034930A1 (ko)
AT (1) ATE309772T1 (ko)
AU (1) AU2002330815B2 (ko)
BR (1) BR0212090B1 (ko)
CA (1) CA2459174C (ko)
DE (1) DE60207427T2 (ko)
DK (1) DK1423071T3 (ko)
ES (1) ES2252511T3 (ko)
MX (1) MXPA04001487A (ko)
MY (1) MY137243A (ko)
PL (1) PL367820A1 (ko)
RU (1) RU2296546C2 (ko)
SE (1) SE519783C2 (ko)
WO (1) WO20030179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852B1 (ko) * 2004-08-19 2012-06-25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5492B2 (en) 2001-08-31 2010-09-14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having openings in the absorbent body
JP2009504347A (ja) 2005-08-19 2009-02-0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
JP5612825B2 (ja) * 2009-03-30 2014-10-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457904B2 (ja) * 2010-03-26 2014-04-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尿処理用構造体
TWI448277B (zh) 2011-03-31 2014-08-11 Uni Charm Corp Absorbent items
JP5361965B2 (ja) 2011-04-28 2013-12-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L2717823T5 (pl) 2011-06-10 2019-09-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truktura chłonna do wyrobów chłonnych
JP6092508B2 (ja) 2011-09-30 2017-03-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57664B2 (ja) 2011-12-28 2017-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963639B2 (ja) 2012-02-29 2016-08-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43740B2 (ja) 2012-02-29 2016-01-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47055B2 (ja) 2012-02-29 2016-0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U2013227192B2 (en) 2012-02-29 2017-06-08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5717672B2 (ja) 2012-02-29 2015-05-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26120B2 (ja) 2012-03-30 2015-05-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26121B2 (ja) 2012-03-30 2015-05-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16178B2 (ja) 2012-04-02 2017-04-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13951B2 (ja) * 2012-04-02 2015-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17685B2 (ja) 2012-04-02 2015-05-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17686B2 (ja) 2012-04-02 2015-05-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L3254656T3 (pl) 2013-06-14 2022-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i wkład chłonny tworzący kanały w stanie mokrym
JP6306450B2 (ja) * 2014-06-26 2018-04-04 白十字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CN110022826B (zh) * 2016-12-05 2021-01-01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包括泡沫材料的吸收性产品
EP4000570A1 (en) * 2020-11-20 2022-05-25 Ontex BV Absorbent cores comprising foam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4101A (en) * 1970-09-17 1974-06-04 Union Carbide Corp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GB1271520A (en) * 1968-09-09 1972-04-19 Southalls Birmingham Ltd Incontinence pads
US3994299A (en) * 1975-02-24 1976-11-30 Colgate-Palmolive Company Absorbent article
CA2054029C (en) * 1991-07-17 1998-05-19 Louise Cynthia Ellis Coe Absorbent article exhibiting improved fluid management
CA2053930C (en) * 1991-07-17 1997-01-07 Robert Emmet Kirby Bodyside cover for an absorbent article
SE508961C2 (sv) 1992-11-17 1998-11-23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struktur och absorberande alster innehållande strukturen ifråga
JP3375282B2 (ja) * 1998-05-08 2003-02-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852B1 (ko) * 2004-08-19 2012-06-25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59174A1 (en) 2003-03-06
EP1423071B1 (en) 2005-11-16
ES2252511T3 (es) 2006-05-16
WO2003017900A1 (en) 2003-03-06
JP2005525134A (ja) 2005-08-25
AU2002330815B2 (en) 2007-10-04
SE0102897L (sv) 2003-03-01
DE60207427T2 (de) 2006-08-03
EP1423071A1 (en) 2004-06-02
RU2296546C2 (ru) 2007-04-10
AR034930A1 (es) 2004-03-24
SE519783C2 (sv) 2003-04-08
CA2459174C (en) 2010-11-02
BR0212090A (pt) 2004-08-03
BR0212090B1 (pt) 2012-02-07
KR100929735B1 (ko) 2009-12-03
MY137243A (en) 2009-01-30
SE0102897D0 (sv) 2001-08-31
MXPA04001487A (es) 2004-05-14
WO2003017900A9 (en) 2004-04-22
RU2004109578A (ru) 2005-03-20
ATE309772T1 (de) 2005-12-15
DK1423071T3 (da) 2006-04-03
PL367820A1 (en) 2005-03-07
DE60207427D1 (de)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735B1 (ko) 흡수체에 구멍을 갖는 흡수용품
US7795492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openings in the absorbent body
JP3767902B2 (ja) 改良された性質を持つ吸収性物品
CN105431120B (zh) 具有袋的吸收性制品及其相关方法
AU2002330815A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openings in the absorbent body
CA2630855A1 (en) Absorbent product
TW200803802A (en) Absorbent product
KR19990067181A (ko) 수용 저장소를 갖춘 봉쇄 플랩을 갖는 흡수용품
JP2001276121A (ja) 体液吸収性着用物品
SK87697A3 (en) An absorbent body which includes cavities
JPH10243963A (ja) 使いすておむつ
JP6922566B2 (ja) 吸収性物品
US20220192898A1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CN114206289A (zh) 吸收性物品
JP7153002B2 (ja) 吸収性物品
JP6631732B1 (ja) 吸収体及びそれを備える吸収性物品
JP6631731B1 (ja) 吸収体及びそれを備える吸収性物品
JP2004223065A (ja) 体液吸収性物品
JP7159143B2 (ja) 吸収性物品
JP6631733B1 (ja) 吸収体及びそれを備える吸収性物品
WO2021193002A1 (ja) 吸収性物品
RU2332195C2 (ru) Адсорбентное изделие, включающее адсорбентную структуру
JP2022165221A (ja) 吸収性物品およ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23125993A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21153716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