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490B1 - 도비 및 그러한 도비가 장착된 직기 - Google Patents

도비 및 그러한 도비가 장착된 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490B1
KR101157490B1 KR1020030095700A KR20030095700A KR101157490B1 KR 101157490 B1 KR101157490 B1 KR 101157490B1 KR 1020030095700 A KR1020030095700 A KR 1020030095700A KR 20030095700 A KR20030095700 A KR 20030095700A KR 101157490 B1 KR101157490 B1 KR 101157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obby
loom
fixed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978A (ko
Inventor
죠제프 팔로
파트릭 일띠
쟝-삐예르 빠쥐
Original Assignee
스또블리 파베르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또블리 파베르쥬 filed Critical 스또블리 파베르쥬
Publication of KR20040057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00Dobbies
    • D03C1/14Features common to dobbies of different types
    • D03C1/16Arrangements of dobby in relation to loo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00Dobbies
    • D03C1/14Features common to dobbies of different types
    • D03C1/144Features common to dobbies of different types linking to the heald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도비의 푸셔 요소를 지지하는 드라이버는 도비의 프레임에 관하여 고정된 기하학적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한다. 각 드라이버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된 기하학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의 단부에 배치된 크랭크상에 관절식으로 연결된 커넥팅 로드에 의하여 피벗된다.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크랭크 사이 및 기하학적 회전 축선을 함께 형성하는 베어링사이에, 상기 크랭크를 지탱하는 샤프트의 구동 토크를 수용하는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Figure R1020030095700
직기, 도비, 푸셔, 드라이버, 크랭크, 기하학적 축선, 모듈레이터

Description

도비 및 그러한 도비가 장착된 직기{DOBBY AND WEAVING LOOM EQUIPPED WITH SUCH A DOBB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비의 수직 방향 관통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도비의 가동 후크의 소정 구동 운동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화살표 F3 방향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도 3의 화살표 F4 방향으로 절첩되어 있는 상태의 작력 전달 로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도비에 사용되는 모듈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1 내지 도 4의 도비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듈레이터의 변형례에 대한 도 5와 같은 형태의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비 2: 회동 레버
6: 프레임 7: 이중 회동 레버
8, 9: 후크 15: 푸셔 요소
16: 드라이버 20: 로드
21, 24: 베어링 22: 크랭크
23: 회전 샤프트 25, 26: 기어
27: 출력 샤프트 28: 모듈레이터
29: 입력 샤프트
본 발명은 직기용 도비 및 이러한 직기용 도비가 장착된 직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FR-A-2 428 693호로부터 직기용 도비를 제조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각기 동역학적으로 헤들 프레임(heddle frame)에 연결될 수 있는 회동 레버가 이들 레버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가동 후크들의 연동에 의하여 제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는 판독 장치에 속한다. 결국, 가동 후크를 지탱하는 이중 회동 레버에 왕복 작력을 가하기 위하여 푸셔 요소(pusher elements)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푸셔 요소는 편심 로드에 의하여 구동되는 드라이버에 고정된다. 회동 레버에 연결된 가동 후크에 대하여 충분한 진폭의 운동을 얻기 위해서는 제어 샤프트 주위에 배치되는 부분의 직경이 큰 로드(rods)를 사용해야 하는반면, 로드의 행정으로 인해서 얻어지는 편심도 작게 된다. 이것은 이들 로드에 높은 작력을 유발하여 특별하면서도 비싼 기계적 특성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필요로 하며 이 재료의 기계적 가공은 높은 정밀도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들 로드가 받는 많은 격렬한 가속을 고려하건대, 큰 직경의 로드는 휘거나 파손될 수도 있으며, 이는 그러한 도비가 장착된 직기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로드에는 직경이 큰 롤러 베어링을 비교적 높은 비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보다 특별한 목적은 직기의 작동 속도를 현재 및 장래의 실시에 부합할 수 있게 하면서 이동 경로상의 작력은 감소되는, 보다 신뢰성 있는 직기용 도비를 제안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 있다.
결국, 본 발명은 각기 동력학적으로 직기의 헤들 프레임에 연결되게 되어 있는 회동 레버를 구비하고, 각 레버에는 판독 장치와 연동하게 되어 있는 후크가 설치된 이중 회동 레버가 장착되고, 이 이중 회동 레버는 도비의 프레임에 관하여 고정된 기하학적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하는 2개의 드라이버에 의하여 지지되는 2개의 푸셔 요소의 작용을 받는 직기용 도비에 관한 것이다. 이 도비는, 각 드라이버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된 기하학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의 단부에 배치된 크랭크상에 관절식으로 연결된 로드에 의하여 피벗되고,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크랭크 사이 및 그 샤프트의 기하학적 회전 축선을 함께 형성하는 베어링 사이에, 이 샤프트의 구동 토크 수용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크랭크를 구동하는 샤프트와 상기 푸셔 요소를 구동하는 드라이버 사이에서 효율적인 작력 전달이 이루어진다. 가동 부분들은 공지의 시스템의 편심 디스크를 구비한 큰 직경의 로드보다는 제조하기가 더 간단하다. 본 발명은, 크랭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복잡한 기하학적 형상의 로드를 사용할 필요없이 비교적 큰 로드 운동 편심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로드가 겪는 작력은 상대적으로 미미하며, 따라서 상기 도비는 더욱 신뢰성이 있다. 그러므로, 로드를 제조하는 데에 덜 비싼 재료 및 덜 제한적인 제조 공차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하지만 비한정적인 양태에 따르면, 이 도비는 다음의 특징 중 하나 이상, 가능하기로는 이것들을 조합하여 합체한다.
- 토크 수용 부재는 회전 운동 모듈레이터(modulator)의 출력 샤프트에 고정된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이다. 이들 기어는 원추형 치형을 제공하고 축선들이 상호 직교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모듈레이터는 직기에 의하여 일정 속력으로 구동되게 되어 있는 입력 샤프트와 전술한 출력 샤프트에 개별적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회전 고정되게 되어 있는 2개의 부재를 포함해도 좋은데, 이들 문제의 부재는 각기 이들 부재를 연결시키는 로드상에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 샤프트와 출력 샤프트는 모듈레이터가 이들 두 샤프트를 연결하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서로 오프셋(offset)된다. 변형례로서, 전술한 부재들에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로드 대신에, 이들 부재가 슬라이드 블록을 합체하는 링크에 의하여 연결되어도 좋다. 아울러, 각기 회전 레버의 구동 샤프트와 모듈레이터의 출력 샤프트에 설치되는 상기 기어들이 원추형 치형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상기 모듈레이터의 출력 샤프트는 상기 회전 레버의 구동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 2개의 플레이트가 함께 상기 드라이버의 기하학적 피벗 축선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토크 수용 부재가 이들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다.
- 드라이버의 각 드라이버 로드와 그것이 관절 연결되는 크랭크 사이에 롤러 베어링이 배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도비가 장착되는 직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직기는 종래 기술의 직기보다 더욱 신뢰성이 있고 사용하기에 더욱 경제적이다.
첨부 도면을 참고로 단지 예로서 주어지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도비의 실시예에 대한 후술되는 설명을 읽으면 본 발명이 더욱 쉽게 이해될 것이고 기타의 장점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비(1)는 복수의 회동 레버를 구비하는데, 그 중 하나가 참조 부호 2로 도시되어 있다. 이 회동 레버(2)는 드로잉 케이블(drawing cable)(3)에 의하여 직기(M)의 헤들 프레임(4)에 연결된다. 이 회동 레버(2)는 도비(1)의 프레임(4)에 대하여 고정된 축선(5)을 중심으로 피벗되도록 장착된다. 화살표 F2는 회동 레버(2)의 회동 운동을 나타낸다.
상기 회동 레버(2)에는 이중 회동 레버(7)가 장착되고, 이 이중 회동 레버(7)에는 판독 장치(10)에 속하는 유지 후크(9)와 선택적으로 연동하며 전자석(12)과 연관된 로킹 레버(rocking lever)(11)에 의하여 제어되는 후크(8)가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회동 레버(2)와 연관된 이중 회동 레버(7)를 프레임(6)에 관하여 고정된 축선(A-A')을 중심으로 피벗시키기 위하여, 푸셔 요소(15)가 2개의 드라이버(16)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이들 푸셔 요소는 상기 드라이버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중 회동 레버(7)의 피벗 운동의 작용으로, 상기 가동 후크(8)의 일방 또는 타방이 상기 후크(9) 중 하나에 의하여 지탱되는데, 이 경우, 상기 회동 레버(2)는 그것의 행정의 사점(死點) 근처의 적소에 지탱된다. 그 반대의 경우, 상기 회동 레버(2)는 회동 운동을 계속한다.
실제, 상기 도비(1)의 다른 회동 레버(2)의 이중 회동 레버(7)는 드라이버(16) 사이에 배치되며, 그 결과, 상기 푸셔 요소(15)는 상기 이중 회동 레버(7) 및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후크(8) 모두에 대하여 동시적으로 상기 후크(9)를 향한 작력(F5)을 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푸셔 요소(15)에 의하여 가해진 작력의 작용으로, 상기 후크(8)의 일방 또는 타방이 상기 후크(8)가 대응하는 후크(9)와 연동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드라이버(16)는 도 4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역시 고정된 2개의 플레이트(17, 18)에 의하여 형성되는 축선(A-A')를 중심으로 피벗하게 되어 있다.
도 2에서, 기하학적 축선 및 대응하는 물리적 샤프트의 각 측부에 표시된 이중 선들은 이들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P)에 대응하고, 이들 베어링은 프레임(6)에 관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4에서 소정의 베어링(P)이 도시된다.
상기 드라이버(16)의 회동 운동은 도면에 화살표 F6로 표시되어 있다.
이 회동 운동(F6)을 제어하기 위하여, 각 드라이버(16)가 로드(20)의 제1 단부(20a)에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로드(20)의 반대측 단부(20b)는, 니들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21)에 의하여 크랭크(22)의 단부(22a)상에 관절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크랭크는 회전 샤프트(23)의 각 단부에 이 회전 샤프트와 일체로 만들어진 크랭크 핀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들 크랭크(22)는 또한 상기 회전 샤프트(23)상에 부가되어 어떤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상에 고정되어도 좋다.
도면 부호 e는 상기 회전 샤프트(23)의 기하학적 축선(B-B')과 로드(20)가 관절식으로 연결된 크랭크(22)의 단부 핑거(22a)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이 거리는 로드(20)의 단부(20b) 운동의 오프셋을 유발한다.
각 로드(20)의 단부(20a)와 대응하는 드라이버(16)의 핑거(16a) 사이에는 니들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24)이 배치된다.
상기 회전 샤프트(23)에는, 입력 샤프트(29)가 도비(1)가 장착되는 직기(M)의 회전 샤프트에 의하여 일정한 속력으로 구동되게 되어 있는 회전 운동 모듈레이터(28)의 출력 샤프트(27)의 단부에 설치되는 베벨 기어(제2 기어)(26)와 맞물리는 베벨 기어(제1 기어)(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듈레이터(28)는 화살표 F7로 표시되고 커넥팅 로드에 의한 간단한 제어에 의하여 얻어지는 쉐드(shed)의 실질적인 정현파형의 운동을, 쉐드의 개구의 지속기(duration of opening)를 증대시키면서 직조에 더 적합한 운동으로 변환시키 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이 변환된 운동은 판독 장치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진동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입력 샤프트(29)의 회전 운동은 상기 모듈레이터(29)에 의하여 변환된 후에 제2 기어(26)로 전달되고, 이 제2 기어(26)는 상기 회전 운동을 제1 기어(25)로, 그리고 이 제1 기어(25)로부터 상기 회전 샤프트(23)로 전달한다. 이 운동 자체는 크랭크(22)에 의하여 2개의 동력 로드(20)로 전달되고, 이 동력 로드(20)는 그 후 드라이버(16) 및 푸셔 요소(15)를 구동하는데, 이는 작력(F5)을 이중 회동 레버(7)에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회전 샤프트(23)에 대한 연결 모드를 고려하면, 상기 로드(20)가 컴팩트하며 롤러 베어링(21, 24)의 영역에서의 관절 표면의 직경을 고려할 때, 이들 로드에 작용하며 레버 암에 반비례하는 작력이 비교적 작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크랭크 핀(22)에 의하여 형성되는 회전 크랭크를 사용하면 편심도(e)가 비교적 큰 편심 운동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롤러 베어링(20, 21)이 직경이 비교적 작아서 공지의 편심 로드의 대직경 롤러 베어링에 비하여 비용을 크게 저감한다.
상기 모듈레이터(28)는 입력 샤프트(29)와 출력 사프트(27) 각각에 회전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부분(28a) 및 제2 부분(28b)을 구비한다. 이들 샤프트의 제1 및 제2 부분들(28a, 28b)의 고정은 어떤 적절한 수단, 예컨대 클램핑, 코터링(cottering) 또는 용접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들 제1 및 제2 부분들(28a, 28b)을 로드(28c)가 연결하는데, 이들 부분에는 상기 로드(28c)의 두 단부에 설치된 롤러 베어링(28e)에 삽입되게 되어 있는 핀(28d)이 각기 마련되어 있다. 실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28a, 28b)은 입력 샤프트(29) 및 출력 샤프트(27)의 단부에 각기 형성되는 크랭크 핀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특히 도 3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출력 샤프트(27)와 입력 샤프트(29)는 평행하고 거리 Δ만큼 오프셋되어 있는데, 이 거리는 모듈레이터(29)에 의하여 전달되는 운동의 변환을 유발한다.
도 5에서, 치형 휠(toothed wheel)(30)은 직기(M)의 샤프트로부터 시작하는 일정 속력의 회전 운동을 도비(1)로 전달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이 치형 휠은 어떤 적절한 장치로 대체되어도 좋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모듈레이터(28)는 출력 샤프트(27)에 고정된 디스크(128b)를 구비하는 제2 모듈레이터(128)로 대체되어도 좋은데, 이 제2 모듈레이터(128)는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의 홈(128f)를 형성하고, 이 홈 내에서 상기 입력 샤프트(29)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크랭크 핀(128h)의 단부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블록(128g)이 순환할 수 있다. 상기 치형 휠(30)은 도 5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기능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 샤프트(27)와 입력(29)는 평행하고, 거리 Δ만큼 오프셋되어 있다.
프레임(6)에 관하여 고정되는 회전 샤프트(23)의 기하학적 축선(B-B')은 플레이트(17, 18)에 의하여 지지되는 베어링(P)에 의하여 정의된다.
도면 부호 C-C'는 샤프트(27)의 기하학적 축선을 나타내는데, 이 축선 역시 프레임(6)에 관하여 고정되고 축선(B-B')에 수직이다.
도면 부호 D-D'는 축선(C-C')에 평행하고 거리 Δ만큼 오프셋되어 있는 입력 샤프트(29)의 기하학적 축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별한 장점은 동력 로드(20)가 플레이트(17, 18) 사이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는 2개의 베벨 기어에 의하여 구동되어 도비가 매우 컴팩트하며 이들 부분이 운동을 하면서 받게 되는 작력이 감소된다는 사실에 있다. 더욱이, 이러한 구성은 행정이 큰 로드를 제어하기 위하여 회전 샤프트(23)의 두 단부에 크랭크 핀 또는 크랭크(22)를 마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어(25)와 각 크랭크 핀(22) 사이의 비틀림 결합(torsion couplings)은 그러한 기어가 샤프트 단부에 있는 경우와 관련하여 감소된다. 유사하게, 상기 모듈레이터(28) 또는 모듈레이터(128)는, 사용시 전술한 것과 동일한 장점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플레이트(17, 18) 사이에 배치된다.

Claims (8)

  1. 각기 동력학적으로 직기의 헤들 프레임에 연결되게 되어 있는 회동 레버들을 포함하는 직기용 도비로서, 각각의 상기 회동 레버에는 판독 장치와 연동된 후크가 설치되는 이중 회동 레버가 장착되고, 상기 이중 회동 레버는 상기 도비의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된 기하학적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하는 2개의 드라이버에 의하여 지지되는 2개의 푸셔 요소의 작용을 받는 직기용 도비에 있어서,
    상기 각 드라이버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된 기하학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의 단부에 배치된 크랭크상에 관절식으로 연결된 로드에 의하여 피벗되고,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크랭크 사이 및 상기 샤프트의 상기 기하학적 회전 축선을 함께 형성하는 베어링 사이에, 상기 샤프트의 구동 토크를 수용하는 토크 수용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직기용 도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수용 부재는 회전 운동 모듈레이터의 출력 샤프트에 고정된 제2 기어와 맞물리는 제1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도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는 원추형 치형을 제공하고, 상기 제1 기어가 고정되는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2 기어가 고정되는 상기 출력 샤프트와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도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레이터는 직기에 의하여 일정 속력으로 구동되게 되어 있는 입력 샤프트와 상기 출력 샤프트에 개별적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회전 고정되게 되어 있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서로 연결시키는 로드 상에 관절식으로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입력 샤프트와 출력 샤프트의 기하학적 축선은 상기 모듈레이터가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면 평행하고 서로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도비.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레이터는 직기에 의하여 일정 속력으로 구동되게 되어 있는 입력 샤프트 및 상기 출력 샤프트에 개별적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회전 고정되게 되어 있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슬라이드 블록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입력 샤프트와 출력 샤프트의 기하학적 축선은 상기 모듈레이터가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면 평행하고 서로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도비.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두 개의 플레이트가 함께 상기 드라이버의 기하학적 피벗 축선을 형성하며, 상기 토크 수용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도비.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롤러 베어링이 상기 드라이버의 각 드라이버 로드와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상기 크랭크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도비.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도비가 장착된 직기.
KR1020030095700A 2002-12-26 2003-12-23 도비 및 그러한 도비가 장착된 직기 KR101157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16727 2002-12-26
FR0216727A FR2849451B1 (fr) 2002-12-26 2002-12-26 Ratiere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ratie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978A KR20040057978A (ko) 2004-07-02
KR101157490B1 true KR101157490B1 (ko) 2012-06-20

Family

ID=3248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700A KR101157490B1 (ko) 2002-12-26 2003-12-23 도비 및 그러한 도비가 장착된 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412997B2 (ko)
KR (1) KR101157490B1 (ko)
CN (1) CN100451198C (ko)
FR (1) FR2849451B1 (ko)
TW (1) TWI3041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2008B1 (fr) * 2011-02-25 2013-03-29 Staubli Sa Ets Entretoise et sous-ensemble de separation des leviers d'une machine de formation de la foule, machine comprenant un tel sous-ensemble et procede de montage
TWI686521B (zh) * 2018-02-06 2020-03-01 鄭川田 可形成雙織口的多臂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903B1 (ko) * 1981-02-06 1984-10-24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다 도비- 소극복동(消極複動)도비기
KR200155599Y1 (ko) * 1996-10-22 1999-09-01 서일부 직기용 도비기의 롤링캠 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38124C3 (de) * 1973-07-27 1980-05-08 Johann Kai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Und Eisengiesserei, 8580 Bayreuth Doppelhub-Schaftmaschine Bauart Hattersley
FR2428693A1 (fr) * 1978-06-16 1980-01-11 Staubli Sa Ets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lisage pour ratieres ou autres mecaniques de tissage
IT1208534B (it) * 1985-04-24 1989-07-10 Fimtessile Ratiera negativa per telai di tessitura.
FR2651803B1 (fr) * 1989-09-14 1991-11-08 Staubli Sa Ets Ratiere a double leve du type a balances tirees pour machines a tisser.
FR2776307B1 (fr) * 1998-03-19 2000-06-23 Staubli Sa Ets Mecanisme de tirage pour mecanique d'armure et metier a tisser comprenant un tel mecanisme de tir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903B1 (ko) * 1981-02-06 1984-10-24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다 도비- 소극복동(消極複動)도비기
KR200155599Y1 (ko) * 1996-10-22 1999-09-01 서일부 직기용 도비기의 롤링캠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11279A (ja) 2004-07-29
KR20040057978A (ko) 2004-07-02
CN100451198C (zh) 2009-01-14
TW200422452A (en) 2004-11-01
FR2849451A1 (fr) 2004-07-02
CN1511984A (zh) 2004-07-14
JP4412997B2 (ja) 2010-02-10
FR2849451B1 (fr) 2005-02-11
TWI304104B (en)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1016493A3 (nl) Inrichting voor het moduleren van een eerste roterende beweging van een inkomende as naar een tweede, verschillend van de eerste, roterende beweging van een uitgaande as bij textielmachines.
KR101002686B1 (ko) 직기용 회전식 도비 및 이러한 도비가 장착된 직기
CS209826B2 (en) Needle ribbon weawing machine
KR101157490B1 (ko) 도비 및 그러한 도비가 장착된 직기
CN111793875B (zh) 梭口形成装置和包括所述装置的提花织机
KR19980064814A (ko) 로터리 도비와 그러한 도비를 구비한 제직기
US20090038705A1 (en) Drive for a web machine
KR100418081B1 (ko) 제직기용로터리도비및,그것을구비한제직기
US4763697A (en) Mechanism to control the oscillations of the heald frame connecting rods in a rotary dobby
CN1779008B (zh) 用于剑杆织机的剑带驱动机构
EP3298185B1 (en)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weft carrying grippers in a weaving loom
EP1710333A2 (en) Driving device for terry motion members in cloth-shifting type pile loom
EP1544509B1 (en) Driving device
JPH0220738B2 (ko)
JPH0241194Y2 (ko)
EP0430320B1 (en) Device for actuating heddles of looms with positive control in both directions of a single contact roller
JP3377166B2 (ja) パイル形成装置
US6520217B2 (en) Weaving machine transmission for the control of the stroke of a sley shaft
JPS6353305B2 (ko)
US20080011384A1 (en) Dobby device for controlling the motions of at least one weaving frame of a weaving machine, and a weaving machine provided with such a dobby device
JPH08503743A (ja) 回転ドビー
JPH0617341A (ja) 開口運動のための偏心体ユニットを備えたドビー機
SU1196562A1 (ru) Механизм уравновешивани моментов сил инерции
KR200289085Y1 (ko) 워터제트직기용 크랭크어셈블리
SU1331920A1 (ru) Ремизоподъемна каретка ткацкого стан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