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903B1 - 소극복동(消極複動)도비기 - Google Patents

소극복동(消極複動)도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903B1
KR840001903B1 KR1019810000369A KR810000369A KR840001903B1 KR 840001903 B1 KR840001903 B1 KR 840001903B1 KR 1019810000369 A KR1019810000369 A KR 1019810000369A KR 810000369 A KR810000369 A KR 810000369A KR 840001903 B1 KR840001903 B1 KR 840001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haft
lever
stopper
hoo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408A (ko
Inventor
히로유끼(水口洋元) 미즈구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다 도비-
야마다 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다 도비-, 야마다 마사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다 도비-
Priority to KR101981000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903B1/ko
Publication of KR830005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00Dobbies
    • D03C1/06Double-lift dobbies, i.e. dobbies in which separate draw-knives or equivalent operate on alternate picks
    • D03C1/08Double-lift dobbies, i.e. dobbies in which separate draw-knives or equivalent operate on alternate picks reversible, i.e. correct sheds open automatically when the loom is driven backwa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00Dobbies
    • D03C1/14Features common to dobbies of different ty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극복동(消極複動)도비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도비기에 있어서, 종광틀(heald frame)이 상승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3도는 지령레버를 작동시키는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4도 및 제5도는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소극복동(消極複動)도비기에 관하여 좀더 상세하게는 스프링에 의하여 하방으로 부세시킨 종광틀을 매어다는 로우프가 잭레버(Jack lever)에 연결되고 평형간(平衡杆)의 중앙부는 잭레버에 추착되고, 평형간의 양단에 대응하여 각 평형간 공통의 구동부재가 각기 설치되고 이들 양 구동부재는 서로 역위상(逆位相)으로 왕복 운동하며, 갈고리(鉤)수단을 개재하여 평형간을 요동시켜 잭레버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복동도비기에 관한 것이다.
공지 도비기의 예를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다.
제4도에 나타낸 도비기에서는 종광틀(102)이 하강한 위치에 있을때는 로우프(103)에는 스프링(101)의 장력과 종광틀(102)의 자중과의 합계에서 경사장력에 의한 상향의 합력을 차감한 크기의 장력이 발생하고, 또 종광틀(102)이 상승한 위치에 있을때는 로우프(103)에는 종광틀 상승에 의한 신장으로 증대된 스프링(101)의 장력과 종광틀의 자증과 경사의 장력에 의한 하향의 합력과의 합계와 같은 장력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장력은 잭레버(104)와의 연결부(105)에 작용하지만 잭레버(104)는 그 선단부에 있어서 평형간(107)의 중앙부(106)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종광틀(102)이 하강한 위치에 있을때는 평형간(107)의 상하양단은 각기 그 부분에 고정된 원호형(圓弧形)의 접촉편(108, 109)을 개재하여 기틀에 고정된 스토퍼(stopper)(110), (111)에 압접하고 또 종광틀(102)이 상승한 위치에 있을때는 제4도에 있어서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듯이 예컨대 상측의 나이프(112)가 전진하고 있는 경우는 평형간(107)의 하단의 접촉편(109)은 스토퍼(111)에 압접하고, 평형간(107) 상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 갈고리간(114)이 상측의 나이프(112)에 계합하여, 로우프(103)의 장력에 대향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종광틀(102)이 상승한 위치에 있을 경우가 하강한 위치에 있을 경우보다도 접촉편과 스토퍼와의 접압력(接壓力) 및 갈고리간과 나이프와의 계합부분의 반발력은 큰 것임이 자명하다.
그렇지만 여기에 문제가 되는 것은 이들의 접촉부에 발생하는 반발력의 크기 그것보다도 오히려 종광틀(102)의 상승 및 하강도중에 각접압부분에 발생하는 미끄러짐이나 접촉상태의 변화인 것이다.
즉, 접촉편(108), (109)은 원호상으로 형성되고는 있지만 평형간(107)은 요동하는 잭레버(104)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고, 더구나 잭레버(104)는 요동하므로 평형간(107)이 요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접촉편(108), (109)과 스토퍼(110), (111)와는 단순한 굴르는 접촉은 아니고 미끄러짐을 동반하고 있다. 더구나 그 접촉은 선접촉으로서 단위면적당의 하중은 크게되므로 접촉부분에서 마모가 발생하기 쉽다.
또 나이프(112), (113)는 실질적으로 수평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나이프(112), (113)는 중앙부에서 지지된 요동간(116)의 상하양단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나이프(112), (113)가 그리는 원호와 갈고리간(114), (115)의 선회부분이 그리는 원호와는 반경의 크기가 상위하기 때문에 갈고리간(114), (115)의 갈고리부(114), (115)와 나이프(112), (113)와의 각각의 계합부에는 접촉상태의 변화가 발생하여 단위 면적당 하중이 크다는 것과 서로 어울려 접촉부분이 마모되기 쉽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런 종류의 도비기에서는 기능부품의 마모때문에 기능의 저하됨이 빠른 결점이 있다. 또 이런 종류의 도비기에서는 갈고리간(114), (115)등을 제어하는 제어봉(制御棒)(117), (118)이 나이프와 평형간과의 중간에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부재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평형간과 나이프와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어 그 때문에 갈고리간의 길이가 작동을 위한 필요성 이상으로 길고 크게되어 고속화를 저지하며, 또한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결점도 있다.
또, 종래 도비기(機)의 다른 예를 제5도에 나타내며, 이런 종류의 도비기에 있어서 스프링(101), 종광틀(102), 로우프(103), 잭레버(104)등은 상기의 제4도에 나타낸 도비기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지만, 잭레버(104)에 그 중앙을 피보트축(119)에 선회가능하게 부착시킨 평형간(120)은 그 상하양단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된 갈고리간(121), (122)의 기단부에 각기 대향(對向)하고, 또한 종광틀(102)이 하강한 상태에 있어서 잭레버(104)의 평형간 피보트축(119)과 등심적 요등축을 가진 요동간(123)의 양단에 고정된 구동부재(124), (125)에 의하여 갈고리간(121) 또는 (122)의 기단부를 압압하는것 같이하여 구동되고, 계지 갈고리간(126), (127)은 기틀에 고정된 축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동심적으로 선회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스프링에 의하여 연계된 지령아암(128), (129)은 페그카아드(pegcard)에 식설된 페그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요동간(12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 때 갈고리간(122)과 계지갈고리간(127)과가 계합하면 다음에 요동간(123)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때 평형간(120)은 갈고리간(122)과의 피보트축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잭레버(104)도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종광틀(102)은 상승한다. 이 도비기가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갈고리간(121), (122)의 어느것도 계지갈고리간(126), (127)에 계합하지 않고 종광틀(102)이 하강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평형간(120)은 잭레버(104)와 피보트축(119)를 축심으로 하여 요동간(123)과 일체적으로 요동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로우프(103)의 장력은 그 연결부를 개재하여 피보트축(119)에 반발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복수개가 장착된 종광틀(102) 가운데 직물조직 등의 형편으로 사용되지 않는 종광틀에 대응하는 잭레버(104)와 평형간(120)과는 그 피보트축에 있어서 하중을 받으면서 요동한다. 따라서 이들의 잭레버 및 평형간은 사용하고 있는 다른 종광틀(102)에 대응하는 잭레버 및 평형간과 거의 같게 마모하는 결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평형간을 사용하는 종래의 소극복동 도비기의 두 실례들은 각기 결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형간의 요동운동시에 있어서 지점부재(支點部材)의 조기마모를 방지하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은 구동부재와 평형간과의 사이에 운동을 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갈고리 수단에 사용되는 부재의 조기 마모를 방지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서 사용하지 않은 종광틀에 대응하는 잭레버 및 평형간의 소모를 방지하는 것이며 그리고 또다른 목적은 갈고리간을 짧게하여 고속화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설치면적을 축소하는 도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비기의 구성요지는 평형간의 양단부에 각기 대응하여 각 형평간에 공통으로 설치되고 또한 상호 역위상으로 왕복운동하는 2개의 구동부재에는 각 평형간에 각기대응하여 구동 갈고리간이 회동가능하게 삽입 부착되고, 각 평형간의 양단부에는 구동 갈고리간에 계합가능하게 형성된 종동 갈고리간이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고 종광틀이 하강한 상태에서 로우프의 장력에 의하여 평형간 양단부에 있어서 스토퍼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반발력은 종동 갈고리간에 설치되고 스토퍼와 평면 접촉하는 평면부에 있어서 받고, 또한 평면부가 스토퍼에 압착한 때 종동 갈고리간은 소정의 자세가 되도록 형성하고 종광틀을 상승하강시키기 위한 지령은 역위상으로 왕복운동하는 2개의 구동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부착된 구동 갈고리간을 각도 변위시켜서 이것에 대응하는 종동 갈고리간과 계합시키거나 계합을 풀거나 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도록 구성하고, 이 지령을 장악하는 지령레버는 기틀에 고정된 축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된 벨크랭크레버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구동 갈고리간에 맞닿는 쪽의 레버선단부는 탄력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또 다른쪽의 레버는 순환하는 페그카아드에 식설된 페그에 의해 회동이 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페이퍼 카아드용 수평간에 의해 회동이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도비기는 (1)은 인장 코일스프링, (2)는 종광틀, (3)은 가이드 로울러, (4)는 로우프, (5)는 잭레버로서 상술의 각 부재는 거의 통상의 소극봉동 도비기와 똑같이 형성되며, 스프링(1)의 하단은(도시하지 않은) 직기의 기틀에 연결되고, 가이드 로울러(3)는 마찬가지로 기틀에 고정된 축에 장치되며, 잭레버(5)의 기단부는 도비기의(도시하지 않은) 기틀에 고정된 축(6)에 회동 가능하게 장치되고, 로우프(4)는 갈고리부(5a)에 계착되어 있다.
잭레버(5)의 선단부에는 핀(7)을 통하여 평형간(8)이 연결되고 평형간(8)은 핀(7)에 관하여 상하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핀(9)에 의해서 상부 종동 갈고리간(10)이 선회가능하게 부착되고 갈고리간(10)은 우측에 갈고리부(10a)를, 또 좌측에 평면부(10b)를 가졌으며, 또한 갈고리부(10a)의 중앙과 핀(9)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의 연장이 평면부(10b)와 그 중앙에 있어서 직교하도록 형성되고 평형간(8)의 하단부에는 핀(9)을 통하여 상부 종동 갈고리간(10)과 상하대칭적으로 형성된 하부 종동 갈고리간(11)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종광틀(2)이 하강한 상태에 있어서 평형간(8)은 수직 자세로 유지되도록 상부 스토퍼(12)와 하부 스토퍼(13)가 기틀에 고정하여 설치되고, 스토퍼(12)와 (13)의 우측면은 동일한 수직평면에 접하게 형성되고 이들의 면에 평면부(10b)와 (11b)가 각각 압접가능하게 형성되고 따라서 종광틀(2)의 하강상태에서는 상부 종동 갈고리간(10)과 하부 종동 갈고리간(11)의 그의 갈고리부 중앙과 핀(9)의 축심을 연결하는 선은 수평으로 된다.
축(14)은 종광틀(2)이 하강한 상태에 있어서의 핀(7)의 위치와 같은 높이로 그의 우측에 있어서 기틀에 축지되어 직기의 2회전 사이에 소정각도의 왕복 각운동을 1회하고 축(14)에 레버(15)가 고정되며 레버(15)는 소정의 각도로 상하 양방향으로 연설되고 그 축(14)의 상하 양단에는 각각 상부 구동부재(16)와 하부 구동부재(17)가 고정되고 구동부재(16)와 (17)는 동경(同徑)의 원형 횡단면을 가졌으며 그 구동부재(16)의 축심에서 축(14)까지와 부재(17)에서 축(14)까지의 반경은 평형간(8)에 있어서의 핀(9), (9)사이의 거리의
Figure kpo00001
로 같으며, 또 축(14)이 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하부 구동부재(17)의 축심이 축(14)의 축심의 직하에 있으며, 축(1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상부 구동부재(16)의 축심이 축(14)의 축심의 직상에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 구동 갈고리간(19)은 하부 구동부재(17)에 회동가능하게 또한 각 하부 종동 갈고리간(11)에 각각 계합 가능하게 하부 구동부재(17)에 장치되고 그의 좌측에는 갈고리부(19a)를, 우측에는 절결부(19b)가 형성되고 축(14)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 있어서 갈고리간(19)을 코일스프링(28)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켰을때 갈고리부(19a)는 하부 스토퍼(13)에 압접하고 있는 하부 종동 갈고리간(11)의 갈고리부(11a)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고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하부의 핀(9)의 축심, 갈고리부(9a)의 중앙, 갈고리부(11a)의 중앙 및 하부 구동부재(17)의 축심은 일직선상에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 구동 갈고리간(18)은 하부 구동 갈고리간(19)과 상하대칭적으로 형성되고 그의 절결부(18b)에 대응하도록 상부 스토퍼바아(20)가 전후방향(지면에 직각방향)에 횡설되고 스토퍼바아(20)는 상부 구동 갈고리간(18)의 갈고리부(18a)가 거의 수평선에 따라서 요동하도록 구성되고 갈고리간(18)의 우단에 연결한 인장 코일스프링(28)에 의해서 갈고리간(18)을 반시계방향으로 부세하고 절결부(18b)의 하변(下邊)이 스토퍼바아(20)에 압접한 상태에서는 갈고리부(18a)와 갈고리부(10a)가 상하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갈고리간(18)이 좌우로 요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 스토퍼바아(21)는 상부 스토퍼바아(20)와 상하대칭적으로 장설되어 있어서, 하부 구동 갈고리간(19)의 절결부(19b)의 상변(上邊)에 대향하고 시계방향으로 부세된 하부 구동 갈고리간(19)의 자세를 규정하고 갈고리부(19a)와 갈고리부(11a)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갈고리간(19)이 요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바아(20), (21)를 각각 고정시킨 블록(22), (23)은 각각 상부 구동부재(16)와 하부 구동부재(17)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블록(22)에는 가이드로드(24)의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가이드로드(24)의 일단은 좌방으로 뻗어서 기틀에 축지된 한쌍의 가이드로울러(26)에 의해서 안내되도록 형성되고 블록(23)에는 블록(22)과 상하대칭적으로 가이드로드(25)가 고정되고 가이드로드(25)의 선단 부근은 한쌍의 가이드 로울러(27)에 의해서 안내되고 있다. 상, 하 인장 코일스프링(28)의 타단은 각각 블록(22), (23)에 고정된 바아(bar) (29), (30)에 연결되어 있다.
축(14)의 우측에 상하대칭적으로 고정축(31), (32)이 기틀에 고정되고, 고정축(31)에는 각 상부 구동 갈고리간(18)에 대응하여 상부지령레버(33)가 자유로히 움직일 수 있게 끼워져 있고 지령레버(33)역 L형으로 형성되고 그의 수평부는 판스프링 아암부(34)에 의해서 연장되고 판스프링 아암부의 선단은 원호상으로 굴곡시켜서 압압부(34a)가 성형되고, 압압부(34a)는 스토퍼(12)에 압접한 상태의 상부 종동 갈고리간(10)의 갈고리부(10a)의 작하부근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지령레버(33)의 수직부는 후술의 페그(peg)에 대향하도록 밑으로 처져 있다.
하부 지령레버(35)와 판스프링 아암부(36)는 각각 상부 지령레버(33)와 판스프링 아암부(34)와 상하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지령레버(33)와 (35)는 그의 수평부를 상호 연결하는 인장코일스프링(37)에 의해서 부세되고 기틀에 대하여 상하대칭적으로 설치된 스토퍼축(38), (39)에 각각 압접하고 그 상태에서는 압압부(34a) 및 (36a)는 요동하는 구동 갈고리간(18) 및 (19)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카아드 실린더축(40)은 축(14)과 동일한 높이로 기틀에 지지되고 축(14)의 요동운동과 동조(同調)하여 회전하고 카아드 실린더축(40)에는 카아드 실린더(41)가 고정되고, 카아드 실린더(41)의 회전에 의해서 공지의 무단상(無端狀)의 페그카아드(peg card)가 순환하도록 구성되고 이 페그 카아드에는 카아드 표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하는 페그(42)가 설치되어 카아드 실린더축(40)의 회전에 수반하여 페그(42)의 선단이 예를들면 지령레버(33)의 수직부를 압압하여 이것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압압부(34a)는 상승하여 우로부터 좌로 요동하는 상부구동 갈고리간(18)을 탄성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좌로 요동이 끝난 상태에서는 갈고리부(18a)가 스토퍼(12)에 압접한 상태의 상부 종동 갈고리간(10)의 갈고리부(10a)에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또 하부 지령레버(35)도 페그(42)에 의해서 작동하고 하부 구동 갈고리간(19)을 상술한 상부 구동갈고리간(18)과 똑같이 작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소극복동 도비기는 상술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페그카아드가 순환하여 예를 들면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은 페그(42)가 하부 지령레버(35)에 작용하였을 때에는 지령레버(35)는 스프링(37)에 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좌방으로 요동하고 있는 하부 구동 갈고리간(19)을 압하한다.
하부 구동 갈고리간(19)이 하부 종동 갈고리간(11)에 근접하여 접촉하면 양 갈고리간 선단이 서로 대향하는 곡면에 안내되어서 하부 구동 갈고리간(19)은 일단 판스프링 아암(36)에 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지만 구동 갈고리간(19)이 더 회동하여 갈고리부(19a)가 갈고리부(11a)를 넘으면 구동 갈고리간(19)은 판스프링 아암(36)의 압압력으로 복귀하여 갈고리부(19a)가 갈고리부(11a)에 대향한다. 그리하여 하부 구동 갈고리간(19)이 오른쪽으로 요동을 개시하면 하부 구동 갈고리간(19)과 하부 종동 갈고리간(11)은 서로 연결되고 평형간(8)은 상부의 핀(9)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잭레버(5)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종광틀(2)은 상승을 개시한다.
하부 구동 갈고리간(19)이 오른쪽으로의 요동을 완료하면 종광틀(2)은 상승이 끝난다(제2도 참조).
상술의 과정에 있어서, 하부 스토퍼(13)로부터 종동 갈고리간의 평면부(11b)가 이탈되는 순간에는 상술과 같이 핀(9)의 축심, 갈고리부(11a), (19a)의 중앙부 및 하부 구동부재(17)와 축심은 일직선상에 있으며 또한 축(14)의 축심과 하부 구동부재(17)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 및 평면부(11b)는 이 직선에 대하여 직각이므로 스토퍼(13)의 우측면과 평면부(11b)는 전면이 동시에 떨어지고 또 이동도중에 있어서도 저항에 의해서 핀(9), 갈고리부(11a), 갈고리부(19a), 하부 구동부재(17)는 일직선상에 있는 자세로 되고 갈고리부(11a)와 갈고리부(19a)의 계합상태에 변화가 없으며 따라서 접동작용은 없다.
평형간(8)은 핀(9)을 축으로서 회동하므로 좁은 면적에서의 접등은 없다.
상부 스토퍼(12)의 우측면과 평면부(10b)와의 사이에는 핀(7)의 원호운동에 수반하는 상하방향 변위량에 상당하는 접동작용이 발생하지만 그 양은 적으며 또한 평면에 의한 면접촉이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하중은 적다. 이 경우 핀(7)이 축(6)의 축심을 통하는 수직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위치 사이를 요동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스토퍼(12), (13)와 평면부(10b), (11b)와의 접동량을 적게 하는데 바람직하다.
하부 구동 갈고리간(19)이 왼쪽으로 요동하는 경우도 오른쪽으로 요동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갈고리부(11a), (19a) 사이에 접촉상태에 변화가 없으며 평형간(8)은 상부의 핀(9)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 복귀한다.
페그(42)에 의하여 상부 지령레버(33)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에는 상부 구동 갈고리간(18)이 상술한 하부 구동 갈고리간(19)과 동일하게 작동하여 상부 종동 갈고리간(10), 평형간(8), 잭레버(5)등을 통하여 종광틀(2)을 상승시킨다.
종광틀(2)중에서 사용하지 않은 종광틀에 대응하는 지령레버(33)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페그(42)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부 구동 갈고리간(18), 하부 구동 갈고리간(19)중의 어느것도 회동시켜지지 않으며, 따라서 평형간(8)은 종동 갈고리간(10), (11)의 평면부를 통하여 스토퍼(12), (13)에 의해서 수직상태로 지지되고 종광틀(2)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여 정지하고 있다.
따라서 평형간(8)과 잭레버(5)와의 선회부분에서 회동작용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스토퍼 바아(20), (21) 및 바아(29), (30)는 거의 평행 이동하도록 구성된 블록(22), (2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요동아암의 위치 여하에 관계없이 구동부재(16), (17)에 대한 상하 좌우방향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절결부(18b), (19b)가 각각 스토퍼(20), (21)에 압접한 상태에서는 구동 갈고리간(18), (19)은 평행이동적으로 요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과 같이 평형간은 핀을 축으로 회동하므로 마모가 적고 서로 연계(連係)한 구동 갈고리간과 종동 갈고리간은 요동중에 갈고리부 상호간의 접촉상태의 변화가 없으므로 갈고리부의 마모가 적고 사용되고 있지 않은 종광틀에 대응하는 잭레버와 평형간과의 선회부분의 마모가 적은 등의 효과가 있으며, 또 평형간과 구동부재와의 사이에 제어봉 등의 다른 부재가 기재하고 있지 않으므로 도비기의 좌우폭을 축소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또 스토퍼 바아(20), (21)를 요동아암(15)에 직접 고정시키도록 형성할 수가 있으며 바아(29), (30)도 요동아암에 직접 고정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 스토퍼(12), (13)의 우측면은 수직면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로 경사시킬 수가 이다.
또 지령레버는 페그의 작용하는 수직한 부분을 판스프링으로 하여 구동 갈고리간에 작용하는 부분을 강체(剛體)로 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또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공지의 페이퍼 카아드 장치(A)의 수평 니이들(43)을 지령레버(44), (45)에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발명은 상술한 설명 및 도면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실시예를 변경할 수가 있다.

Claims (1)

  1. 기틀, 잭레버, 상기 잭레버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된 평형간, 상기 평형간의 상, 하 양 선단의 정면에 위치되고 서로 역위상으로 왕복운동하는 구동부재, 상기 평형간에 대향하여 해당 구동부재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각 선단에는 갈고리부를 지니며 해당 구동부재의 왕복운동에 대응하여 회동하는 구동 갈고리간, 상기 구동 갈고리간과 계합가능하고 상기 평형간의 상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며 그 일단에 갈고리부와 갈고리부 반대편 선단에 평면부를 지니는 종동 갈고리간, 상기 기틀에 고정되며 상기 평면부와 면 접촉하기 위한 스토퍼장치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극복동 도비기.
KR1019810000369A 1981-02-06 1981-02-06 소극복동(消極複動)도비기 KR840001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369A KR840001903B1 (ko) 1981-02-06 1981-02-06 소극복동(消極複動)도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369A KR840001903B1 (ko) 1981-02-06 1981-02-06 소극복동(消極複動)도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408A KR830005408A (ko) 1983-08-13
KR840001903B1 true KR840001903B1 (ko) 1984-10-24

Family

ID=1922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369A KR840001903B1 (ko) 1981-02-06 1981-02-06 소극복동(消極複動)도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490B1 (ko) * 2002-12-26 2012-06-20 스또블리 파베르쥬 도비 및 그러한 도비가 장착된 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490B1 (ko) * 2002-12-26 2012-06-20 스또블리 파베르쥬 도비 및 그러한 도비가 장착된 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408A (ko) 198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1903B1 (ko) 소극복동(消極複動)도비기
EP0034045B1 (en) Double lift negative dobby machine
US3665973A (en) Dobby
US5538046A (en)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griffe frames
JPH04263643A (ja) 開口形成装置のフレームの往復運動の制御装置
KR100364337B1 (ko) 상향이송기구를구비한평바느질재봉틀
CN86208367U (zh) 柱形台面式缝纫机的差动送布装置
US4694866A (en) Shedding device for a circular weaving machine
US5209172A (en) Upper fabric feed device for sewing machine, utilizing parallel motion mechanism for reciprocating feed foot and presser foot
JPS63175136A (ja) 揺動レバーを組み込んだ形式の消極型ドビーの改良
JP3272097B2 (ja) 織機の開口形成装置の把持フレームの往復運動の制御機構
US4337801A (en) Device for shedding warp yarns in a weaving loom
JPH0617342A (ja) ドビーの改良
CA1044529A (en) Sewing machine
US908687A (en) Dobby of looms for weaving.
US2619058A (en) Tissue feed-dog driving mechanism of sewing machines
CN113586901B (zh) 一种具有升降功能的纺织用支撑装置
SU979535A2 (ru) Ремизоподъемна каретка ткацкого станка
US380462A (en) John stewaet smith and samuel smith
EP0084570A1 (en) Positive dobby machine
DE276015C (ko)
US90467A (en) Improved washing-machine
KR200286729Y1 (ko) 퀼팅머신의 니들대 및 원단누름판 승강장치
US386731A (en) William williamson
US3529636A (en) Loom dobb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