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619B1 - 전기도체 가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도체 가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619B1
KR101154619B1 KR1020077018204A KR20077018204A KR101154619B1 KR 101154619 B1 KR101154619 B1 KR 101154619B1 KR 1020077018204 A KR1020077018204 A KR 1020077018204A KR 20077018204 A KR20077018204 A KR 20077018204A KR 101154619 B1 KR101154619 B1 KR 101154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ce box
heating
electrical
induction
extrus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7550A (ko
Inventor
페까 후오타리
Original Assignee
메일레퍼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일레퍼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메일레퍼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7011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4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 H01B13/143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with a special opening of the extrusio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10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11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ind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도체상에 절연층을 가지는 전기 케이블(8)을 제조하는 공정에서의 압출 헤드 뒤에서 전기도체를 유도 가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유도수단(5)을 구비하는 제 1 특징부, 및 안내수단(4)을 구비하며 외부 부품들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도수단(5)으로 발생된 자기장을 안내하기 위한 스플라이스 박스(3)내에 제공되는 제 2 특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도체 가열장치 및 방법{ARRANGEMENT AND METHOD FOR HEATING AN ELECTRICAL CONDUCTO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장치, 특히 전기도체를 감싸는 교차 결합가능한(cross-linkable) 절연층을 가지는 전기케이블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압출 헤드(extrusion head) 뒤의 전기도체를 유도 가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8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 특히 상기 전기도체를 감싸는 절연층을 가지는 전기케이블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압출 헤드 뒤의 전기도체를 유도 가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케이블의 생산속도를 향상시키는데에는 여러 수단이 공지되어 있다. 그 생산속도는, 교차 결합반응(crosslinking reaction)에 필요한 온도까지 그 압출된 케이블의 절연층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가열될 수 있는 가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다. 그 가열에 대한 주요 한정인자(limiting factor)는 절연 내부의 낮은 열전도율이다. 따라서 절연층의 가열속도를 올리는데 여러 장치들이 사용되어 왔다. 이들 장치들은, 내부로부터도 절연층을 가열하기 위해 생산라인의 압출 헤드에 인입되기 전에, 전기도체를 충분한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예열기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 예열은 예컨대, 구리 산화, 도체 테이프 변형과 습기차단재 분해 때문 에 제한된다. 또한 방사열원이 사용되지만, 압출된 케이블의 외부 표면의 최대 인입 가능한 온도가 이들 방사열원의 활용을 제한하고 있다. 게다가, 유도 후열기(inductive post-heater)들이 케이블의 절연층의 압출 후, 이러한 가열 목적에 사용되고 있다.
유도 후열을 사용하기 위한 공지된 장치들은, 압출된 절연층의 교차 결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압출 팁(extrusion tip)과 다이(die)를 유도 가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출 헤드의 후속 공정에 위치한 집약 유도 가열기에 의해 케이블의 전기도체를 유도 가열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공지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열은 케이블의 절연층의 압출 라인에서 추가 장비들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이들 공지된 장비들은 압출 라인에 추가될 수 있는 별도의 집약된 장치들이다.
공지된 유도 가열장치들과 관련한 단점들 중 하나는, 생산 변경시, X-레이 측정장치와 같은 별도의 장비가, 정비, 치수변경목적 또는 유도 가열장치와 관련한 다른 공정 목적를 위해 상기 유도 가열장치에 접근하도록 제거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과 관련한 다른 단점은 동일한 구성에 코일과 보호 영역 안내부재(protective field guiding element, 일반적으로 페라이트) 양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각 코일들을 무겁고, 비싸고, 청소나 정비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따른 장치, 특히, 유도수단(inductive means)을 구비하는 제 1 특징부(first distinctive part), 및 스플라이스 박스(splice box)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내수단(guide means)을 구비하며 상기 유도수단으로 발생된 자기장을 안내하기 위한 스플라이스 박스내에 제공되는 제 2 특징부(second distinctive pa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8의 특징부에 따른 방법, 특히 전기 케이블을 생산하기 위하여 압출 헤드를 통하여 전기도체상에 절연층을 압출하는 단계, 유도수단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외부 부품들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플라이스 박스내에 제공된 안내수단에 의해 상기 유도수단으로 발생된 자기장을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스플라이스 박스와 그 스플라이스 박스의 다른 외부 부품들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외부 부품들은 상기 스플라이스 박스 외부의 어떠한 부품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케이블의 전기도체의 유도 가열을 위한 모듈적 접근(modular approach)을 제공하도록 압출 단계 이후 전기 케이블의 전기도체를 유도 가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개념에 기초한다. 유도 후열기를 위한 이 간단한 구성은, 압출 헤드의 하류측(downstream)에 장착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도수단, 바람직하게는 코일, 및 스플라이스 박스 자체의 유도 가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플라이스 박스내에 위치한 안내수단, 바람직하게는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법은, 전기 케이블 주위에 장착된 독특한 유도수단 및 상기 유도수단 주위에서 스플라이스 박스내에 장착된 독특한 안내수단을 포함한다. 본 장치는 상기 스플라이스 박스가 열릴 때 생산 중단 동안 상기 코일의 용이한 교체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의 장점은, 상기 절연층의 압출 후 전기도체의 후열을 위한 모듈적 접근이며, 이것은 간단한 구성으로 전기도체의 후열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은 물론, 상기 후열기를 위한 개선된 인간환경공학과 상기 후열기에 대한 더 용이한 정비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작동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스플라이스 박스가 열린 때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작동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스플라이스 박스가 열린 때 도 3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체 접속 동안 도 3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생산 중 스플라이스 박스가 닫혀 있을 때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에, 전기도체와, 상기 전기도체를 감싸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1층 내지 3층으로 구성되는 전기 케이블(8)용 생산 라인의 압출 헤드(1)가 도시되어 있다. 전기 케이블의 생산에 있어서, 전기도체상에는 절연층이 압출되는데, 이것은 구리, 알루미늄 또는 그 목적에 적합한 다른 금속일 수 있다. 이러한 압출 후, 상기 절연층을 위한 소정의 목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교차 결합되어야 한다. 그 교차 결합반응을 위하여, 상기 절연층들은 정해진 온도로 가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층의 가열은 상기 전기도체를 유도 가열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한 유도수단으로서 코일(5)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5)은 압출 헤드(1)의 하류측에서 생산라인의 압출 헤드(1)상에 장착된다. 압출 헤드(1)에 코일(5)의 장착은 지지대(support)로 실행되며, 본 실시예에서 이 지지대는 플랜지(2)이며, 그 결과 코일(5)이 플랜지(2) 위에 장착되고 플랜지(2)가 압출 헤드(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는 코일(5)을 지지하기 위한 어떠한 다른 적당한 구성일 수도 있다. 플랜지(2)는 또한 유도수단, 이 경우 코일(5)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접속부분(electrical connections, 7)이 제공된다. 코일(5) 대신에 다른 유도수단도 전기 케이블(8)의 전기도체를 가열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코일은 상기 압출 헤드에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전기 접속부분(7)은 코일(5)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코일(5)은, 전기 케이블(8)이 압출 헤드(1)로부터 나올 때 상기 코일이 케이블(8)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코일(5)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은 상기 전기도체를 가열하기 위해 전기 케이블(8)의 전기도체에 방산전류(dissipative current)를 유도한다. 가열된 전기도체는 차례로 상기 절연층을, 교차 결합반응을 위하는데 필요한 온도로 가열한다.
상기 유도수단인 코일(5)은 상기 전기도체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의 제 1 특징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특징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도수단을 지지하고 압출 헤드(1)에 상기 유도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지지대인 플랜지(2)와, 상기 유도수단을 작동하기 위한 전기 접속부분(7)을 포함한다.
전기도체를 가열하기 위한 본 장치는 또한 제 2 특징부를 포함한다. 이 제 2 특징부는 스플라이스 박스(3) 자체의 가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도수단으로 발생된 자기장을 안내하도록 스플라이스 박스(3)내에 제공된 안내수단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유도수단 주위의 스플라이스 박스(3)내에 배치된 페라이트 코어이지만, 어떠한 다른 적당한 안내수단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페라이트 코어(4) 또는 다른 안내수단이 상기 전기도체 쪽으로 자기장을 향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페라이트 코어(4)들은 상기 생산라인의 스플라이스 박스(3)에 장착된다. 스플라이스 박스(3)는 코일(5)을 둘러싸도록 코일(5) 위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스플라이스 박스(3)는 플랜지(2)에 제거 가능하도록 연결되지만, 플랜지(2)나, 코일(5)을 위한 어떠한 다른 지지대가 없을 때 스플라이스 박스(3)가 압출 헤드(1)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페라이트 코어(4)들은 스플라이스 박스(3)의 내부 표면에 일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기술과 수단들이 페라이트 코어(4)를 스플라이스 박스(3)에 장착하거나 일체로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페라이트 코어(4)를 사용하는 목적은, 스플라이스 박스(3)나 전기 케이블(8)을 감싸는 강재 튜브(steel tube)와 같은 생산라인의 다른 부분의 유도 가열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완전한 유도 가열장치가 상기 압출 헤드의 하류측에 배치된 상술한 2개의 특징부들로부터 형성되며, 스플라이스 박스(3)가 압출 헤드(1)에 연결될 때 작동된다. 도 1의 경우에, 상기 제 1 특징부는, 압출 헤드(1)에 연결되며 전기 케이블(8)을 둘러싸는 유도수단으로서 유도 코일(5)을 가지는 지지 플랜지(2)와 유도수단(5)을 작동하기 위한 전기 접속부분(7)을 포함하고, 제 2 특징부는, 안내수단으로서 스플라이스 박스(3)내에 제공되어 코일(5)로 발생된 자기장을 향하도록 하기 위한 코일(5)을 둘러싸는 페라이트 코어(4)를 포함한다. 이 경우, 플랜지(2)에 장착된 코일(5)은, 케이블(8)을 둘러싸면서 전기 케이블(8)의 방향으로 스플라이스 박스(3)내에서 연장되고, 스플라이스 박스(3) 내부에 제공된 페라이트 코어(4)들이 코일(5)을 둘러싼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도 가열장치의 두 특징부들은 스플라이스 박스(3) 내부에 제공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스플라이스 박스를 열 수 있기 때문에, 유도수단인 코일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출 헤드 및/또는 후열기의 분해를 위하여 생산라인으로부터 X-레이 장치와 같은 추가적인 장비를 더 이상 제거할 필요가 없다.
도 2는, 스플라이스 박스(3)가 상기 생산 라인의 중지 후 상기 코일을 바꾸기 위하여 열린 때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 경우, X-레이 장치(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박스(3)내에서 스플라이스 박스(3)의 각 끝단들 사이에 제공된다. 스플라이스 박스(3)가 열린 때, 그것은 압출 헤드(1)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코일(5)이 노출된다. 그러면, X-레이 장치(6)를 제거하지 않고 정비를 위하여, 코일(5)이 교체될 수 있거나 압출 헤드(1)가 분해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X-레이 장치(6) 또는 코일(5)을 제거하지 않고 도체 연결(conductor joint)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언급된 X-레이 측정장치(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박스(3)의 일부로서 또는 스플라이스 박스(3)의 연장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추가 장치도 X-레이 측정장치 대신에, 스플라이스 박스(3)의 일부로서 또는 스플라이스 박스(3)의 연장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레이 측정장치(6)는 압출 헤드(1) 바로 뒤에 배치되며, 코일(5)이 X-레이 측정장치(6) 뒤에 제공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안내수단인 페라이트 코어(4)들은 스플라이스 박스(3)내에 제공된다. X-레이 측정장치(6)는 압출 헤드(1)의 하류측에 제거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코일(5) 은 플랜지(2) 또는 다른 적당한 수단을 사용하여 X-레이 측정장치(6)에 연결된다. 플랜지(2)는 전기 접속부분(7)이 제공된다. 코일(5)은 상기 도체를 가열하기 위하여 케이블(8)을 둘러싸며, 스플라이스 박스(3)가 닫힐 때 스플라이스 박스(3)는 코일(5) 주위에 배치된다. 이 장치에서, X-레이 측정장치는 압출 헤드(1) 직후의 케이블(8) 치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진동은 눈금을 읽는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도 3의 실시예는 코일(5)과 함께 X-레이 측정장치(6)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9)을 포함한다. 도 3에서, 후열기 조립체는 작동 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이들 지지수단(9)은 X-레이 측정장치(6)와 코일(5)이 압출 헤드(1)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지지수단(9)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들 지지수단(9)들은, 스플라이스 박스(3)가 열린 때, X-레이 측정장치(6)와 코일(5)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바(guiding bar)이다. 또한 이들 지지수단(9)들은 지지수단(9)을 따라 X-레이 측정장치(6)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 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X-레이 측정장치(6)는 지지수단(9)을 따라 상기 스토퍼에 의해 결정된 일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10)는 X-레이 측정장치(6)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일 수 있다. 지지수단(9)은 어떠한 스토퍼(10) 없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코일 교체 및/또는 압출 헤드 분해 동안의 도 3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황에서는, X-레이 측정장치(6)는 스토퍼(10)에 의해 결정된 일정 거리만큼 압출 헤드(1)로부터 하류측으로 이동하고, 스플라이스 박스(3)는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린다. 따라서, X-레이 측정장치(6)는 압출 헤드(1)로부터 떨어지고, 압출 헤드(1)는 분해될 수 있으며, 동시에 코일(5)은 X-레이 측정장치(6)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교체될 수 있다.
도 5는, 도체 연결 동안 및/또는 압출 헤드 분해 동안의 도 3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황에서, X-레이 측정장치(6)는 압출 헤드(1)로부터 떨어지며, 스플라이스 박스(3)는 열린다. X-레이 측정장치(6)와 코일(5)은, 스플라이스 박스(3)가 열릴 때, 스플라이스 박스(3)와 함께 지지수단(9)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스플라이스 박스(3)가 열리고 X-레이 측정장치(6)가 코일(5)과 함께 압출 헤드(1)로부터 하류측으로 이동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8)이 연결(joint, 12)되기 위하여 접근하거나 압출 헤드(1)가 분해될 수 있다.
압출 헤드의 하류측의 전기도체를 가열하기 위한 발명의 장치에 대한 모듈적 접근은,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도수단과 상기 자기장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들이 상기 후열기의 2개의 특징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은 상기 압출 헤드 하류측의 상기 도체를 가열하기 위해 스플라이스 박스를 이용하도록 허용한다. 이 경우 상기 코일과 페라이트 코어들은 일체로 형성하지 않아, 상기 후열기의 정비 및 교체를 위해 더 많은 선택도(freedom)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케이블의 생산 라인에서 압출 헤드(1) 하류측의 전기도체를 가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 전기 케이블을 생산하기 위하여, 단일의 절연층 또는 복수의 층들이 함께 압출 헤드로 상기 전기도체 위에 압출된다. 상기 압출 단계 후,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절연층에서 교차반응을 일 으키는 정해진 온도로 가열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가열은, 상기 압출 헤드 하류측에 장착된 유도수단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은 그 전기 케이블 주위에 배치된 코일에 의해 만들어진다. 상기 유도수단은 전기 접속부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유도수단이 그 전기 케이블에 방산전류를 유도하게 된다. 이 전류는 상기 전기도체를 가열한다.
게다가, 상기 유도수단으로 발생된 자기장은, 스플라이스 박스 자체의 가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플라이스 박스내에 제공된 안내수단에 의해 안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페라이트 코어들이 상기 자기장을 안내하고 상기 생산라인의 다른 부품의 유도 가열을 피하는 안내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방법은, 절연층의 더 효율적인 교차 결합 및 전기 케이블의 더 효율적 생산을 위하여, 상기 전기 케이블의 전기도체를 후열하는 것을 단순화한다.
상기 생산된 케이블(8)의 특성은, 유도수단(5)의 하류측에 제공되어 스플라이스 박스(3)에 배치된 X-레이 측정장치(6)로 측정되고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블(8)의 특성은 유도수단(5) 상류측에 제공되어 압출 헤드(1)에 연결된 X-레이 측정장치(6)로 측정될 수도 있다.
기술의 진보에 따라, 발명의 개념이 다양한 방식으로 충족될 수 있다는 것은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과 그 실시예는 상술한 예시로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Claims (23)

  1. 전기도체상에 절연층을 가지는 전기 케이블(8)을 제조하는 공정에서의 압출 헤드(1) 뒤에서 전기도체를 유도 가열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가 유도수단(5)을 구비하는 제 1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유도수단(5)으로 발생된 자기장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4)을 구비하여 스플라이스 박스(3)의 가열을 방지하는 제 2 특징부를 포함하는 전기도체 유도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특징부와 제 2 특징부는 서로 분리 가능하고, 상기 스플라이스 박스가 닫혀 있을 때에는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유도수단을 둘러싸며, 상기 스플라이스 박스가 열려 있을 때에는 상기 유도수단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유도수단(5)은 전기 케이블(8) 주위에 배치된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특징부는 유도수단(5)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특징부는 유도수단(5)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접속부분(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수단(4)은 스플라이스 박스(3)에 제공되어, 상기 스플라이스 박스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도수단(5)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안내하도록 유도수단(5)을 둘러싸는 페라이트 코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지지대(2)는 압출 헤드(1)에 연결된 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특징부는, 압출 헤드(1)에 연결되어 전기 케이블(8)을 둘러싸는 유도수단(5)으로서 유도코일을 구비하는 지지 플랜지(2) 및 유도수단(5)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접속부분(7)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특징부는, 상기 스플라이스 박스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도코일을 둘러싸며 유도수단(5)으로 발생된 자기장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으로서 상기 스플라이스 박스내에 제공되는 페라이트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스 박스(3)의 일부가 X-레이 측정장치(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X-레이 측정장치(6)는 유도수단(5)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X-레이 측정장치(6)는 스플라이스 박스(3)의 각 끝단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X-레이 측정장치(6)는 유도수단(5)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X-레이 측정장치(6)는 압출 헤드(1)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지지대(2)는 X-레이 측정장치(6)의 하류측에 연결된 플랜지(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압출 헤드(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며 스플라이스 박스(3)가 열릴 때 X-레이 측정장치(6)와 유도수단(5)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지지수단(9)은 스플라이스 박스(3)가 열릴 때 X-레이 측정장치(6)와 유도수단(5)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0)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지지수단(9)은 안내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17. 제 4 항에 있어서, 전기 접속부분(7)은 지지대(2)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장치.
  18. 전기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층을 가지는 전기 케이블(8)을 제조하는 공정에서의 압출 헤드(1) 뒤에서 상기 전기도체를 유도 가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 전기 케이블(8)을 생산하기 위하여 상기 압출 헤드를 통하여 전기도체상에 절연층을 압출하는 단계; 및
    - 유도수단(5)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 스플라이스 박스(3)를 닫을 때에 안내수단(4)이 상기 유도수단을 감싸도록 스플라이스 박스내에 안내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안내수단에 의해 상기 유도수단으로 발생된 자기장을 안내하여 외부 부품들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은 전기 케이블(8) 주위에 배치된 코일에 의해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수단은 전기 접속부분에 의해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방법.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부품들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플라이스 박스내에 제공되는 페라이트 코어들을 이용하여, 유도수단(5)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안내하기 위한 상기 유도수단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방법.
  22.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수단(5)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스플라이스 박스(3)내에 배치된 X-레이 측정장치(6)로 전기 케이블(8)의 특성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방법.
  23.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수단(5)의 상류측에 제공되며 압출 헤드(1)에 연결된 X-레이 측정장치(6)로 전기 케이블(8)의 특성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 가열방법.
KR1020077018204A 2005-01-10 2005-06-02 전기도체 가열장치 및 방법 KR101154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55014 2005-01-10
FI20055014A FI20055014A0 (fi) 2005-01-10 2005-01-10 Järjestely ja menetelmä sähköjohtimen lämmittämiseks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550A KR20070117550A (ko) 2007-12-12
KR101154619B1 true KR101154619B1 (ko) 2012-06-08

Family

ID=3411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204A KR101154619B1 (ko) 2005-01-10 2005-06-02 전기도체 가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839319B1 (ko)
JP (1) JP4758440B2 (ko)
KR (1) KR101154619B1 (ko)
CN (1) CN101124645B (ko)
ES (1) ES2397344T3 (ko)
FI (1) FI20055014A0 (ko)
PL (1) PL1839319T3 (ko)
RU (1) RU2372680C2 (ko)
WO (1) WO20060726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9263A (zh) * 2017-09-15 2018-01-19 桂林国际电线电缆集团有限责任公司 线缆硫化管道及环保型线缆硫化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1623B2 (ja) * 2010-02-26 2015-04-01 住友化学株式会社 共役ジエン系重合体ゴム、及び、共役ジエン系重合体ゴム組成物
JP5674515B2 (ja) * 2011-03-11 2015-02-25 住友理工株式会社 連続加硫設備及び連続加硫方法
RU2641654C2 (ru) 2013-01-09 2018-01-19 Майфер С.А. Способ и компоновка для процесса сшивания или вулканизации удлиненного элемента
KR102069353B1 (ko) * 2018-02-26 2020-01-22 (주)일흥 와류전류를 이용한 용접 케이블용 가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0883A (en) * 1976-09-09 1978-04-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Continuous bridging device for rubber plastic insulated cable
JPS5356275A (en) * 1976-10-22 1978-05-22 Furukawa Electric Co Ltd Apparatus for making crosslinked electric cable
JPS606053B2 (ja) * 1981-06-15 1985-02-15 日立電線株式会社 ケ−ブル架橋処理装置
JPS5840709A (ja) * 1981-09-03 1983-03-09 日立電線株式会社 ケ−ブル導体誘導加熱装置
JPS5857210A (ja) * 1981-09-30 1983-04-05 日立電線株式会社 プラスチツク絶縁ケ−ブルの製造装置
JPS6237487A (ja) * 1985-08-09 1987-02-18 株式会社 大井製作所 自動車の後部ドア用のロツク装置
JPH0414793A (ja) * 1990-05-08 1992-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装置用加熱コイル
JPH10154426A (ja) * 1996-11-26 1998-06-09 Mitsubishi Cable Ind Ltd Cvケ−ブルの製造装置
JPH10318932A (ja) * 1997-05-22 1998-12-04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流体中の異物検出装置
DE10311512B3 (de) * 2003-03-17 2004-11-04 Troester Gmbh & Co. Kg Anlage zur Herstellung von Kabel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9263A (zh) * 2017-09-15 2018-01-19 桂林国际电线电缆集团有限责任公司 线缆硫化管道及环保型线缆硫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26518A (ja) 2008-07-24
EP1839319A1 (en) 2007-10-03
JP4758440B2 (ja) 2011-08-31
RU2372680C2 (ru) 2009-11-10
ES2397344T3 (es) 2013-03-06
EP1839319B1 (en) 2012-10-17
WO2006072650A1 (en) 2006-07-13
RU2007130559A (ru) 2009-02-20
PL1839319T3 (pl) 2013-03-29
CN101124645A (zh) 2008-02-13
FI20055014A0 (fi) 2005-01-10
KR20070117550A (ko) 2007-12-12
CN101124645B (zh)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619B1 (ko) 전기도체 가열장치 및 방법
EP15833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work pieces
DE102006049588A1 (de) Transportsystem
CA2857698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able core, having a conductor surrounded by an insulation, for a cable, in particular for an induction cable, and cable core and cable
US7168934B2 (en) Installation for producing cables
US7910045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heating an electrical conductor
KR101552849B1 (ko) 무진분 케이블베어 성형장치
JP5831433B2 (ja) シース熱電対又はシース型ヒータの製造方法、
RU2641654C2 (ru) Способ и компоновка для процесса сшивания или вулканизации удлиненного элемента
IT201800002737A1 (it) Induttore per il riscaldamento ad induzione elettromagnetica per cilindri di plastificazione
RU261172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шивания или вулканизации вытянутого элемента
CN110515162B (zh) 一种光纤跳线流水生产作业用加工工装
JPS6324120Y2 (ko)
JP4339173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12022934A (ja) 誘導加熱装置、そのための二重管
ITMI20030260U1 (it) Termocoppia per elettrovalvole di bruciatori di gas
JP2023500036A (ja) ケーブル箔を除去する方法
JP3825830B2 (ja) 軌条加熱装置
JP6601998B2 (ja) 熱収縮チューブの装着方法
JP3174633B2 (ja) 二重管の曲げ加工用加熱装置
JP2002299019A (ja) 発熱体保温方式誘導加熱炉
SU96555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крутоизогнутых отводов
CN109300612A (zh) 一种铜丝快速预热装置的预热模块
IT201800006265A1 (it) "metodo per realizzare una barra di alimentazione elettrica e barra cosi' realizzata"
CN101552135B (zh) 制造环形线圈总成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