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545B1 - 향상된 전류 집전 효율을 갖는 박막 전지 - Google Patents

향상된 전류 집전 효율을 갖는 박막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545B1
KR101154545B1 KR1020090113451A KR20090113451A KR101154545B1 KR 101154545 B1 KR101154545 B1 KR 101154545B1 KR 1020090113451 A KR1020090113451 A KR 1020090113451A KR 20090113451 A KR20090113451 A KR 20090113451A KR 101154545 B1 KR101154545 B1 KR 101154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llector
pattern
thin film
positive electrode
film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937A (ko
Inventor
남상철
박호영
이기창
박기백
차동혁
박준홍
권영운
Original Assignee
지에스나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나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나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545B1/ko
Priority to JP2010260659A priority patent/JP5858609B2/ja
Priority to US12/952,887 priority patent/US9543587B2/en
Publication of KR20110056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21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vapou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5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01M4/662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4Alloys based on copper with zinc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01M2300/0071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8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solid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0Printed batteries, e.g. thin film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된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 및 음극 전류집전체 패턴, 상기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 상에 형성된 양극 패턴, 상기 양극 패턴 상에 형성된 전해질 패턴, 및 상기 전해질 패턴 상에 형성된 음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 및 음극 전류집전체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 집전체 패턴이 비귀금속계 합금을 포함하는 박막 전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향상된 전류 집전 효율을 갖는 박막 전지{THIN FILM BATTERY HVING IMPROVED EFFICIENCY OF COLLECTING ELECTRIC CURRENT}
본 기술은 전지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 효율이 우수하고 전지 특성이 개선된 리튬계 박막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류 집전체는 박막전지의 양극 또는 음극을 외부 회로 또는 부하와 연결하는 금속 전도체이다. 전류 집전체 형성 재료로서는 금(Au), 백금(Pt), 구리(Cu), 루테늄(Ru), 크롬(Cr) 등의 단일 금속이 사용되거나 ITO와 같은 전도성 산화물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양극 전류집전체로서는 Pt 및 Au 등의 단일 귀금속이 사용되고 음극 전류집전체로는 니켈(Ni), 몰리브덴(Mo), 구리(Cu) 등이 사용된다.
양극 전류집전체로서의 Pt 또는 Au는 양극의 결정 성장 온도 구간에서 비교적 안정한 열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내며, 음극 전류집전체로의 Cu, Ni 등은 리튬(Li)과의 반응성이 없기 때문에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Pt 또는 Au와 같은 귀금속은 박막전지 성장 온도 구간에서 비교적 안정한 열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갖고 있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Ni과 같은 자성체 금속은 증착과정에서 타겟의 두께 제약 및 증착률이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어, 결국 교체 주기가 짧 아서 스퍼터링장비의 가동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Cu의 경우에는 고온 및 습기가 많은 분위기에서 산화가 잘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단일 종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양극 전류집전체를 사용할 경우 기판 부착막의 재료가 열처리 공정 중 양극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리어막을 필수로 사용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공정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경제적인 측면에서 귀금속의 경우 가격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재료의 원활한 수급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지 특성이 개선되고 제조 효율이 우수한 박박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전지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된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 및 음극 전류집전체 패턴, 상기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 상에 형성된 양극 패턴, 상기 양극 패턴 상에 형성된 전해질 패턴, 및 상기 전해질 패턴 상에 형성된 음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 및 음극 전류집전체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 집전체 패턴이 비귀금속계 합금을 포함한다.
상기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은 니켈 함유 합금을 포함하고, 상기 니켈 함유 합금은 니켈 100 중량부 및 크롬 1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니켈 합금은 요구하는 물성에 따라 30 중량부 이하의 몰리브덴 또는 40 중량부 이하의 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극 전류집전체 패턴은 구리계 합금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아연 함유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 및 양극 전류집전체 사이에는 부착력 향상막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박막 전지의 제조 과정 중, 양극 패턴의 결정화를 위한 열처리 공정 후에도 상기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 또는 상기 부착력 향상막이 상기 양극 패턴으로 확산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전지는 전류 집전체의 재질적 특성에 의하여 부착력 향상막이 양극 쪽으로 확산되지 않아서, 별도의 확산방지막(배리어막)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부착력 향상막 및 양극 전류집전체 사이에 확산방지막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서는 플렉시블(flexible)한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렉시블한 기판은 폴리머 기판, 두께가 200㎛ 이하인 운모 기판, 표면이 부도체처리 되어있으며 두께가 각각 200㎛ 이하인 실리콘 기판 및 금속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 전류집전체로서 니켈계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박막전지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확산방지막의 구비 없이 하지막으로부터 양극으로 불순물 등이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극 전류집전체로서 구리계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셀의 장기 특성 및 박막전지의 공정 시간(tact-time)을 단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전지 박막 전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전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박막 전지(100)는 베이스 기판(110) 상에 형성된 양 극 전류집전체 패턴(120), 음극 전류집전체 패턴(130), 양극 패턴(140), 전해질 패턴(150) 및 음극 패턴(16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박막 전지(100)는 상기 베이스 기판(110) 상에 형성된 보호막 패턴(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막 전지(100)가 제대로 작동하는 한 그 구성 요소들의 적층 순서, 상대적 위치 관계, 각 패턴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 기판(110)은 니켈(Ni), 티타늄(Ti), 크롬(Cr),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텅스텐(W), 몰리브덴(Mo) 등과 같은 금속 시트;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실리콘(SiO2), 석영(quartz), 유리(glass), 운모(mica) 등과 같은 세라믹 혹은 유리 기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미드 이미드(polyamide imide),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polyetherether ketone), 폴리에테르 케톤(polyether ketone) 등과 같은 폴리머 기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베이스 기판(110)으로서 폴리머 기판, 두께가 200㎛ 이하인 운모(mica) 기판, 표면이 부도체처리 되어있으며 두께가 각각 200㎛ 이하인 실리콘 기판 및 금속 기판 등의 플렉시블(flexible)한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부착력 향상을 위하여 스퍼터링 시 증착조건이나 증착막 간의 재질이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전지(110)는 전류 집전체(120, 130) 재질의 변경을 통하여 플렉시블 기판과 증착막 간의 우수한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120)은 상기 양극 패턴(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120)은 단일 재료가 아닌 비 귀금속 합금 재료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니켈 함유 합금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120)은 니켈 100 중량부 및 크롬 1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니켈 함유 합금은 이외에도 30 중량부 이하의 몰리브덴 또는 40 이하의 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니켈 합금 성분 중에 니켈 외의 금속 성분의 함량이나 종류는 박막 전지의 물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하기 표 1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전지(100)의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120)에 사용할 수 있고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니켈 합금의 종류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71872783-pat00001
양극 전류집전체(120)를 이루는 전술한 합금들은 내열 및 내산화 특성을 가지며 증착 공정에서 고온 열처리 시에도 산화에 의한 막의 변형이나 전도도의 감소 없이 상기 양극 전류집전체(12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양극 전류집전체(120)는 베이스 기판(110) 표면과의 접착성 확보를 위해 후술할 부착력 향상막을 0.2 ~ 1.6 Pa의 아르곤(Ar)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100~450 nm 두께로 2~6 W/cm2의 파워밀도로 DC 스퍼터링 성막하고, 진공 분위기 하에서 연속적으로 상기 부착력 향상막 상에 전도도가 우수하며 내산화성을 갖는 내열 및 내산화 비귀금속 합금을 0.2 ~ 1.6 Pa의 Ar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30~200 nm 두께 및 2~6 W/cm2의 파워밀도로 DC 스퍼터링 성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전류집전체 패턴(130)은 상기 음극 패턴(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아울러 상기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12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음극 전류집전체 패턴(130)은 박막 전지(100)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음극 전류집전체 패턴(130)은 구리계 합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리계 합금은 아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양극 및 음극 전류집전체(120, 130)가 모두 비귀금속 합금을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은 상기 양극 및 음극 전류 집전체(120, 130)가 모두 비귀금속계 합금을 포함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전류 집전체(120, 130)만이 선택적으로 비귀금속 합금인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양극 및 음극 전류집전체(120, 130)의 증착은 반도체 공정에서 쓰이는 박막 성장 장치 및 기술을 응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장치 및 기술로는 마그네트론 RF(radio frequency) 스퍼터, 마그네트론 DC(direct current) 스퍼터, 전자빔 증발기(e-beam evaporator), 열 증발기(thermal evaporator),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PLD(pulsed laser deposition), Sol-gel 법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특히 상기 양극 및 음극 전류집전체(120, 130)의 증착을 위하여 높은 효율성 및 공정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200)는 반응 챔버(210), 스테이지(220), 상기 스테이지(220) 하부에 장착된 히터(230) 및 스테이지(220)를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터(240)를 포함한다. 또한 챔버(210)의 상부에는 타겟(25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양극 패턴(140)에는 활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양극 패턴 활물질은, 예를 들어, 리튬 전지에서 리튬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 할 수 있는 화합물로 LiCoO2, LiMn2O4, LiNiO2, LiFePO4, LiNiVO4, LiCoMnO4, LiCo1/3Ni1/3Mn1/3O2, V2O5, MnO2, MoO3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 패턴(150)은 양극 패턴(140) 및 음극 패턴(160) 사이에 위치하며, 무기 고체 전해질 또는 유기 고체 전해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고체 전해질의 예로서는 세라믹 계열의 재료, Li2O-B2O3, Li2O-V2O5-SiO2, Li2SO4-Li2O-B2O3, Li3PO4, Li2O-Li2WO4-B2O3, LiPON, LiBON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고체 전해질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 폴리머, 폴리 에지테이션 리신(agitation lysine), 폴리에스테르 설파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 불화 비닐리덴 등에 리튬염을 혼합한 형태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패턴(160)에는 활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음극 패턴 활물질은, 예를 들어, 리튬 전지에서 리튬이 가역적으로 산화/환원 할 수 있는 화합물로 Li, Sn3N4, Si, 흑연, Li계 합금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 패턴(170)은 박막 전지(100)가 대기 중에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기 보호막 패턴, 또는 무기 보호막 패턴, 또는 유기 보호막 패턴 및 무기 보호막 패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극 전류집전체의 접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극 전류집전체의 접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310)과 양극 전류집전체(340) 사이에는 각각 순차적으로 부착력 향상막(320) 및 확산 방지막(3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산 방지막(330)은 부착력 향상막(320)으로부터 불순물 등이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양극 전류집전체(340)는 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어, 별도의 확산 방지막(330)을 구비하지 않아도 효율적으로 부착력 향상막(320)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확산 방지막을 구비하지 않는 형태의 양극 전류집전체의 접합 구조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양극 전류 집전체(430)는 베이스 기판(410)과의 사이에서 확산 방지막의 삽입 없이 부착력 향상막(420)과 직접 부착되어 있다.
상기 부착력 향상막(320, 420) 및 확산 방지막(330)의 재질로는,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세라믹 등의 산화물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티타늄(Ti), 탈륨(Ta), 질화티타늄(TiN), 산화티타늄(TiO2), 알루미나(Al2O3), 산화마그네슘(MgO) 등을 들 수 있다.
확산 테스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귀금속 합금을 포함하는 양극 전류 집전체를 사용하였을 경우, 고온 열처리 후에 양극 전류집전체 또는 부착력 향상막이 양극으로 확산되는 지 여부를 테스트 한 결과를 보여주는 AES(Auger Electron Spectroscopy)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열처리 전(a)과 열처리 후(b)를 비교하면 양극 전류집전체 및 부착력 향상막이 양극으로 확산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음극 재료의 스퍼터율 비교
도 6은 다양한 금속 재료에 따른 스퍼터율(Sputter Yield)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각 재료들은 0.6~1.0Pa의 Ar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200~500nm의 두께 및 2~5W/cm2의 파워 밀도로 DC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증착되었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리(a) 및 아연(b)의 스퍼터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아연 함유 구리합금을 음극 전류집전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전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극 전류집전체의 접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극 전류집전체의 접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귀금속 합금을 포함하는 양극 전류 집전체를 사용하였을 경우, 고온 열처리 후에 양극 전류집전체 또는 부착력 향상막이 양극으로 확산되는 지 여부를 테스트 한 결과를 보여주는 AES(Auger Electron Spectroscopy) 그래프이다.
도 6은 다양한 금속 재료에 따른 스퍼터율(Sputter Yield)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Claims (12)

  1.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된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 및 음극 전류집전체 패턴;
    상기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 상에 형성된 양극 패턴;
    상기 양극 패턴 상에 형성된 전해질 패턴; 및
    상기 전해질 패턴 상에 형성된 음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 및 음극 전류집전체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 집전체 패턴이 비귀금속계 합금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은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니켈 함유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전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 함유 합금은,
    니켈 100 중량부 및 크롬 1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 함유 합금에 포함되는 몰리브덴의 함량은 30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전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 함유 합금은 40 중량부 이하의 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전류집전체 패턴은 구리 함유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함유 합금은 아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 및 양극 전류집전체 사이에 부착력 향상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전지의 제조 과정 중, 양극 패턴의 결정화를 위한 열처리 공정 후에도 상기 양극 전류집전체 패턴 또는 상기 부착력 향상막이 상기 양극 패턴으로 확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전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력 향상막 및 양극 전류집전체 사이에 확산방지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전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플렉시블(flexible)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전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폴리머 기판, 두께가 200㎛ 이하인 운모(mica) 기판, 표면이 부도체처리 되어있으며 두께가 각각 200㎛ 이하인 실리콘 기판 및 금속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전지.
KR1020090113451A 2009-11-23 2009-11-23 향상된 전류 집전 효율을 갖는 박막 전지 KR101154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451A KR101154545B1 (ko) 2009-11-23 2009-11-23 향상된 전류 집전 효율을 갖는 박막 전지
JP2010260659A JP5858609B2 (ja) 2009-11-23 2010-11-22 向上した電流集電効率を有する薄膜電池
US12/952,887 US9543587B2 (en) 2009-11-23 2010-11-23 Thin film battery having improved efficiency of collecting electric curr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451A KR101154545B1 (ko) 2009-11-23 2009-11-23 향상된 전류 집전 효율을 갖는 박막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937A KR20110056937A (ko) 2011-05-31
KR101154545B1 true KR101154545B1 (ko) 2012-06-13

Family

ID=44062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451A KR101154545B1 (ko) 2009-11-23 2009-11-23 향상된 전류 집전 효율을 갖는 박막 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43587B2 (ko)
JP (1) JP5858609B2 (ko)
KR (1) KR101154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323B1 (ko) * 2011-12-16 2014-02-28 지에스에너지 주식회사 기판 표면처리를 통하여 전지 성능이 향상된 박막전지 및 그 제조 방법
EP2892097B1 (en) * 2012-08-30 2018-06-06 Kaneka Corporation Current collector for battery and battery using same
KR101576277B1 (ko) * 2013-06-13 2015-12-09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해질-전극 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US9564660B2 (en) * 2013-06-27 2017-02-07 QingHong Technology Co., Ltd. Electric core for thin film battery
CN106575794B (zh) * 2014-08-08 2019-07-09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具备蓄电装置的电子设备
WO2017053473A1 (en) * 2015-09-21 2017-03-30 Applied Materials, Inc. Intermixing prevention in electrochemical devices
KR102197360B1 (ko) * 2017-01-04 2020-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기계적 강도의 단면 전극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조립체
KR102055306B1 (ko) * 2018-03-30 2019-12-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박막 이차 전지
CN114373937A (zh) * 2022-01-13 2022-04-19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高稳定全固态薄膜锂电池集流体薄膜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397A (ko) * 2007-03-02 2007-03-26 (주)누리셀 금속기판상에 구현되어 구부러짐이 가능한 박막전지
JP2008171734A (ja) * 2007-01-12 2008-07-24 Sumitomo Electric Ind Ltd 薄膜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2343A (en) * 1989-08-17 1991-02-12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Lead-containing anode current collector for alkaline cells
US5561004A (en) * 1994-02-25 1996-10-01 Bates; John B. Packaging material for thin film lithium batteries
US5705293A (en) * 1997-01-09 1998-01-06 Lockheed Martin Energy Research Corporation Solid state thin film battery having a high temperature lithium alloy anode
JP3649373B2 (ja) * 1998-10-20 2005-05-18 ニッパク産業株式会社 二次電池用負極集電体の製造方法
US6306544B1 (en) * 1999-02-25 2001-10-23 Wilson Greatbatch Ltd. Cobalt-based alloys as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s in nonaqueous electrochemical cells
KR100387121B1 (ko) * 2000-08-31 2003-06-12 주식회사 애니셀 수직 방향으로 집적된 다층 박막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20071989A1 (en) * 2000-12-08 2002-06-13 Verma Surrenda K.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for thin film solid state batteries
KR100382767B1 (ko) * 2001-08-25 2003-05-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박막 및 그의 제조방법
US8021778B2 (en) * 2002-08-09 2011-09-20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lectrochemical apparatus with barrier layer protected substrate
US20040048157A1 (en) * 2002-09-11 2004-03-11 Neudecker Bernd J. Lithium vanadium oxide thin-film battery
WO2005067645A2 (en) * 2004-01-06 2005-07-28 Cymbet Corporation Layered barrier structure having one or more definable layers and method
US7465521B2 (en) * 2004-12-08 2008-12-16 Greatbatch Ltd. Nickel-based alloys as positive electrode support materials in electrochemical cells containing nonaqueous electrolytes
WO2008011061A1 (en) * 2006-07-18 2008-01-24 Cymbe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olid-state microbattery photolithographic manufacture, singulation and passivation
US10168801B2 (en) * 2006-08-31 2019-01-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pen and electronic pe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1734A (ja) * 2007-01-12 2008-07-24 Sumitomo Electric Ind Ltd 薄膜電池の製造方法
KR20070033397A (ko) * 2007-03-02 2007-03-26 (주)누리셀 금속기판상에 구현되어 구부러짐이 가능한 박막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13976A (ja) 2011-06-09
US9543587B2 (en) 2017-01-10
KR20110056937A (ko) 2011-05-31
JP5858609B2 (ja) 2016-02-10
US20110123862A1 (en)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545B1 (ko) 향상된 전류 집전 효율을 갖는 박막 전지
TWI796295B (zh) 於電極與電解質層間具有中間層之能量儲存元件
KR101338703B1 (ko) 하이브리드 박막 배터리
US7056620B2 (en) Thin film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316809B2 (ja) リチウム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679998B (zh) 正极及蓄电装置的制造方法
KR101146616B1 (ko) 박막 전지 및 박막 전지의 전극 단자를 접합하는 방법
JP3690684B2 (ja) 固体電解質およびそれを含んだ全固体電池
CN102064337B (zh) 固体电解质电池和正极活性物质
WO2010011569A1 (en) Hybrid thin-film battery
JP2003077529A (ja) リチウム電池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CN102369626B (zh) 固体电解质电池和固体电解质电池的制造方法
JP2009277381A (ja) リチウム電池
WO2005076389A2 (en) Self-contained, alloy type, thin film an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Kim et al. Interface control for high-performance all-solid-state Li thin-film batteries
KR101200306B1 (ko) 음극 성능이 개선된 박막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9142359A1 (en) Solid electrolyt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thin film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131555B1 (ko) 박막 전지 제조용 패턴 마스크, 박막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4695375B2 (ja) 固体電解質およびそれを含んだ全固体電池
US11302967B2 (en) Low-voltage microbattery
JP7206100B2 (ja) 全固体型薄膜リチウム電池用負極および全固体型薄膜リチウム電池
KR101056045B1 (ko) 리튬/니켈 전지
KR101069256B1 (ko) 박막전지 제조방법
JP2009218125A (ja) リチウム電池
KR20110099084A (ko) 박막전지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