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266B1 - 안내렌즈 - Google Patents

안내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266B1
KR101153266B1 KR1020077026673A KR20077026673A KR101153266B1 KR 101153266 B1 KR101153266 B1 KR 101153266B1 KR 1020077026673 A KR1020077026673 A KR 1020077026673A KR 20077026673 A KR20077026673 A KR 20077026673A KR 101153266 B1 KR101153266 B1 KR 101153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ocular lens
support
optical
portions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9126A (ko
Inventor
아키노리 마루나카
마사요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9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83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having filiform ha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25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rough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26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surface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viscosity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안내렌즈에 부여된 점착력에 의해서 안내렌즈의 낭 내면으로의 밀착을 한층 더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낭 내부로의 삽입 후에 보다 확실하게 전개되고, 낭 내부에서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고정되는 원피스형의 안내렌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광학부(12)와 지지부(16, 16)를 점착성을 갖는 연질재료로 일체 형성하는 동시에, 지지부(16, 16)의 적어도 전후방향 한쪽 면에서 요철을 갖는 점착 저감부(32, 32)를 형성하였다.
광학 특성, 렌즈 영역, 광학부, 지지부, 안내렌즈, 연질재료, 점착성 재료

Description

안내렌즈{Intraocular lens}
본 발명은 광학부와 지지부가 연질재료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접거나 둥글게 뭉침으로써 변형시켜 콤팩트화하여 눈 내로 삽입할 수 있게 된 원피스형(one-piece design)의 안내(眼內)렌즈(intraocular lens)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눈 질환의 일종인 백내장(cataracts) 치료에 있어서, 수정체를 제거하는 것과 함께, 수정체의 대체품으로서 안내렌즈를 사용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안내렌즈는 수정체를 없앤 낭(囊)(capsule) 내부에 삽입되어 사용되고, 수정체의 기능을 대신하는 광학부와 이러한 광학부를 낭 내에 위치 결정하여 고정되는 지지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안내렌즈를 사용한 백내장 치료에 있어서는, 환자 눈의 일부를 절개하여, 이 절개부로부터 수정체를 꺼낸 후, 안내렌즈를 낭 내에 삽입하게 된다. 그 때, 수술에 의한 환자의 부담이나 후유증을 회피하기 위해서 수술 시의 절창(切創)이 작은 쪽이 좋다. 그렇지만, 수술 시에 절개부를 작게 하였다고 해도, 삽입되는 안내렌즈의 크기가 절개부의 사이즈에 비하여 크면, 모처럼 작게 한 절개부를 삽입 시에 넓혀야만 한다.
그래서, 최근에는, 작은 절개부로부터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써 형성된 폴더블 타입(foldable type)의 안내렌즈가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내렌즈는 삽입 시에 접거나 둥글게 뭉쳐져서 절개부로부터 낭 내에 삽입된 후, 낭 내에 있어서 그 탄성에 의해 초기 형상으로 되돌아감으로써 지지부가 낭 내에서 전개되어, 위치 결정 고정되게 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폴더블 타입의 안내렌즈는 특정한 삽입기구를 사용하여 눈 내로 삽입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삽입기구를 사용한 삽입에서는, 폴더블 타입의 안내렌즈는 예를 들면, 한 쌍의 지지부를 전후 방향으로 하여, 삽입기구에 세트시킨 후,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접거나 둥글게 뭉침으로써, 폭 방향에서 콤팩트화된다. 그리고, 세트된 안내렌즈는 광학부의 후단이 플런저로 가압되어 눈 내로 삽입되지만, 이 때,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된 지지부는 손상되지 않도록 후단측의 지지부가 미리 광학부 상에 굴곡되어 겹쳐지는 경우도 많다. 또한, 플런저로 광학부 후단이 후방으로부터 가압되면, 전단측의 지지부는 삽입기구의 둘레벽과의 마찰 등에 의해 후방으로 굴곡되기 쉽고, 전방측의 지지부도 광학부 상에 겹쳐지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안내렌즈를 낭 내에 삽입할 때는 일반적으로, 광학부 상에 지지부가 겹쳐지게 된다.
그런데, 안내렌즈의 재료로서는 실리콘계 중합체 등도 검토되고 있지만, 특히 생체 친화성이나 광학 특성 또는 후유증 억제 등의 점에서 유리한 아크릴계 중합체를 사용한 폴더블 타입의 안내렌즈의 채용이 검토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중합성분의 일부에 아크릴산에스테르나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채용하여 이루어지는 안내렌 즈는 대부분의 경우, 실리콘계 중합체에 비하여 큰 점착성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안내렌즈를 낭 내에 삽입할 때에 안내렌즈의 접음이나 롤(둥글게 뭉침이나 감아올림 등을 포함)을 행하면, 광학부나 지지부가 겹쳐진 면끼리가 점착하여, 이들 광학부나 지지부가 갖는 탄성에 의해서도 초기의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특히, 지지부는 가늘고 긴 로드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접음이나 롤을 가능하게 할 만큼의 유연성과, 점착을 해제하기에 충분한 복원력을 겸비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점착이 용이하게 해제되도록 하기 위해서, 지지부를 크게 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지지부를 크게 하면 접음이나 롤이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낭 내로의 삽입시의 절개창도 커져 버려 환자의 부담도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70130호)에는 광학부를 중심부와 외주부로 구분하여, 중심부를 점착질 부분으로 하는 동시에, 외주부를 비점착질 부분으로 한 안내렌즈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적어도 비점착질 부분에는, 지지부 등의 겹침에 의한 점착을 회피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안내렌즈에서는 점착질 부분과 비점착질 부분을 구분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의 이점인 생산성의 높음을 유효하게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더욱이, 적어도 광학부의 중심부가 점착질이기 때문에, 거기에 지지부가 겹쳐 점착되기 쉽고, 특히 현장에서의 실정을 고려하면, 지지부의 광학부에 대한 점착 회피의 효과는 그다지 기대할 수 없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70130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해결 과제로 하는 것은 안내렌즈에 있어서의 지지부의 광학부에 대한 점착이 효과적으로 회피됨으로써, 아크릴계 중합체 등의 점착력이 큰 재료로 이루어지는 안내렌즈를, 양호한 작업성 등을 갖고 유리하게 실현시킬 수 있는, 신규 구조의 원피스형 안내렌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하,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형태를 기재한다. 또, 이하에 기재된 각 형태에 있어서 채용되는 구성 요소는 가능한 한 임의의 조합으로 채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 내지 기술적 특징은 이하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전체 및 도면에 기재된 것, 또는 그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파악할 수 있는 발명 사상에 기초하여 인식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즉, 안내렌즈에 관한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소정의 광학 특성을 갖는 렌즈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정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이 되는 광학부와, 상기 광학부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눈 내로의 삽입 상태하에서 낭의 외주부분의 내면에 당접됨으로써 상기 광학부를 낭 내에서 위치 결정하여 유지시키는 지지부가 접음이나 롤이 가능한 연질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연질재료로서 점착성 재료를 채용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에서의 전후 방향의 적어도 한쪽 면에서 요철을 갖는 점착 저감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서는 지지부의 전후방향의 적어도 한쪽 면에 요철을 갖는 점착 저감부가 형성됨으로써, 지지부와 지지부에 겹쳐지는 부분, 예를 들면, 광학부의 광학면 등과의 당접 면적이 작게 억제되어, 지지부가 겹쳐진 면에 강하게 점착하는 것을 유리하게 회피할 수 있다.
즉, 연질재료로 형성된 안내렌즈는 접음이나 롤에 의해서 콤팩트화된 상태에서 눈 내로 삽입되기 때문에, 이러한 접음이나 감아올림에 의해서 지지부가 광학부 상에 접혀서 광학면에 점착하여, 눈 내로 삽입된 후에도 점착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초기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서는 특히 복원력이 부족하기 쉬운 지지부의 점착 저감을 목적으로 하여, 지지부의 일부에 요철로써 구성된 점착 저감부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요철형의 점착 저감부를 지지부에 설치함으로써, 지지부와 광학부 등의 당접 면적이 감소하여, 점착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의 억제를 목적으로서 형상적으로 특정한 구조로써 점착 저감부를 설치한다는 기술적인 사상은 종래에는 전혀 없는 신규의 기술사상이고, 이러한 신규의 기술사상에 기초하는 본 발명은 기술의 풍부화인 주된 취지보다 충분한 기술적 의의가 인정되지만, 특히, 본 발명과 같이, 점착의 저감을 특정 구조의 점착 저감부를 형성하여 실현함으로써, 백내장 수술을 받는 환자, 백내장 수술을 하는 수술자, 안내렌즈의 설계자 각각 대하여 이하와 같은 유효한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첫번째로, 안내렌즈를 사용하는 백내장 환자에 대해서는 안내렌즈의 눈 내로의 삽입 후에 있어서의 자동적인 전개(展開)가 높은 신뢰성으로써 실현된다. 그 때문에, 백내장 수술의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점착질 재료를 안내렌즈의 재료로서 유리하게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백내장의 후유증의 일종으로 광학부를 낭 내면에 밀착시킴으로써 발증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는 후발 백내장의 발증 억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두번째로, 안내렌즈를 환자의 눈 내에 삽입하는 수술자에 대해서는 신뢰성이 높은 렌즈를 제공함으로써 수술자에게 안심감을 주는 동시에, 안내렌즈의 전개 불량에 관한 수술 중의 사고를 회피하여, 수술자의 정신적 또는 육체적인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세번째로, 안내렌즈의 설계자에 대해서는 안내렌즈를 설계에 있어서, 눈 내에서의 형상의 복원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점착질 재료를 회피하지 않고, 점착질 재료를 적극적으로 적합하게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안내렌즈의 설계 자유도를 크게 취할 수 있으며, 설계자에게 자유로운 설계를 허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점착질 재료를 사용한 안내렌즈에 있어서의 높은 생체적 합성이나 후발 백내장 억제 효과 등의 우수한 효과를 구비한 안내렌즈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상기 제 1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점착 저감부가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돌출 선단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적어도 지지부의 돌출 선단부분에 점착 저감부를 형성함으로써, 눈 내로의 안내렌즈의 삽입 시에 있어서의 접음이나 롤 상태에서, 안내렌즈의 다른 부위, 예를 들면, 광학부의 광학면 등에 겹쳐져서 당접되기 쉬운 지지부의 선단부분에 있어서, 당접 면적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눈 내로의 삽입 후에 지지부의 점착상태가 보다 확실하게 해제되어, 눈 내의 소정 위치에 안내렌즈를 안정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형태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점착 저감부가 상기 지지부의 전면 및 후면의 어느 한쪽 면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지지부에 형성되는 점착 저감부가 광축 방향에서의 한쪽 면에만 형성됨으로써, 점착 저감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점착 저감부의 형성 개소에서의 지지부의 광축 방향에서의 두께 치수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접음이나 롤에 의한 안내렌즈의 콤팩트화를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형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향의 적어도 한쪽 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 양측에 걸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조(突條)를 포함하여, 상기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눈 내로의 삽입 시 등에 안내렌즈가 접히고, 지지부가 광학부 등에 겹쳐지는 경우에, 점착 저감부가 볼록조(凸條)로 됨으로써, 점착 저감부의 광학부에 대한 당접 상태를 보다 안정하게 확보할 수 있고, 지지부의 눈 내에서의 초기형상으로의 복원을 한층 더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1 형태 등에 있어서는, 요철로서, 1개 또는 복수의 돌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돌조를 채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돌기를 채용한 경우에는, 지지부가 광학부 등에 접하는 면적을 유리하게 작게 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안내렌즈의 눈 내에서의 초기형상으로의 복원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형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향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양 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 양 측면으로 개방된 오목홈을 포함하여, 상기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오목홈에 의해서 점착 저감부를 형성함으로써, 점착 저감부의 형성 개소에서의 지지부의 후육화(厚肉化)를 유리하게 회피할 수 있고, 눈 내로의 삽입 시에 있어서의 콤팩트화를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다.
더구나, 독립된 요소가 아니라, 폭 방향 양 측면에 개구하도록 연장되는 오목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광학부에 겹쳐진 경우에도, 흡반과 같이 흡착력을 발휘하여 지지부의 광학부에 대한 점착상태가 강고하게 되는 것이 회피되어, 지지부의 전개(광학부로부터의 이탈)를 안정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형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향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된 조면부(粗面部)를 포함하여, 상기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점착 저감부가 지지부에 조면(粗面) 가공을 실시하여 구성됨으로써, 지지부에 점착 저감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광축 방향에서의 지지부의 후육화를 더욱 유리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에 대하여 조면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액체중에 삽입된 경우에도, 충분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안내렌즈의 눈 내로의 삽입 후에 있어서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수술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즉, 종래부터, 방수(房水) 등에 의해서 충전되어 실질적으로 액체 중이 되는 눈 내에서의 안내렌즈의 위치 맞춤 작업은 투명으로 또는 약간 황색으로 착색된 안내렌즈에서는 매우 시인성이 낮기 때문에, 작업이 곤란하여, 수술자 부담 증대 등이 문제가 되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리피스형(three-peace)의 안내렌즈에서는 지지부를 액 중에서의 시인성이 높은 청색으로 착색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에서는 광학부와 지지부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전체가 대략 투명하게 되어, 시인성의 향상이 곤란하였다. 또한, 지지부의 재료를 광학부와는 다른 재료로 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별개 재료를 사용하면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의 생산성의 높음 등의 이점이 유효하게 발휘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는 한편, 지지부와 광학부를 같은 재료로 하면서, 지지부의 시인성을 확보하고자 하면, 재료의 한정을 부득이하게 할 우려도 있어, 재료에 의한 시인성의 향상은 어려웠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의 형상을 잘 설정함으로써, 광학부 등에 대한 지지부의 점착 저감에 의한 효과를 유효하게 얻으면서, 지지부의 투명성을 저하시켜, 액 중에 있어서의 시인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눈 내로의 삽입 후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안내렌즈를 조작할 수 있어, 위치맞춤 등의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술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동시에, 작업을 간단화함으로써 수술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 환자의 리스크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에 대하여 조면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지지부에 있어서의 글레어(glare)의 발생을 유효하게 저감 내지는 회피할 수도 있다. 즉, 안내렌즈의 착용상태에서는 광학부의 외주부분에 있어서의 입사광의 산란에 의해서, 주시하고 있는 대상의 미세부가 불명료하게 되는 등, 시각에 장해를 주는 글레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글레어는 지지부로의 입사광의 산란에 의해서도 발생한다고 생각되며, 특히 암실에서 동공이 확대되는 경우에는 시각의 불명료함 등의 한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본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서는 지지부에 조면(粗面)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빛의 투과를 방지하여, 글레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보다 광학부에 가까운 지지부의 기단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에 대하여 조면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부에서의 글레어의 발생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지지부에 형성된 점착 저감부에 의해서, 안내렌즈의 낭으로의 삽입 시에 있어서의 접음이나 롤 등에 따른 광학부와 지지부의 겹침면 간에서의 강한 점착을 막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낭 내부로의 삽입 후에 지지부가 초기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고, 광학부를 낭 내부에 있어 소정의 위치에 용이하게 또한 안정하게 위치 결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 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안내렌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배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배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배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O: 안내렌즈 12: 광학부
16: 지지부 26: 지지부 전면
28: 지지부 후면 32: 돌기부
34: 돌조부 36: 오목홈
38: 조면부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로서의 폴더블 타입(foldable type)의 안내(眼內)렌즈(intraocular lens)(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안내렌즈(10)는 광학부(12)와 한 쌍의 연결부(14, 14)와 한 쌍의 지지부(16, 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이 광학부(12)와 연결부(14, 14)와 지지부(16, 16)를 갖는 안내렌즈(10)는 폴더블 타입의 안내렌즈를 주기에 충분한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더하여, 우수한 연질성과 어느 정도의 탄성을 구비한 각종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래스 전이 온도가 30℃ 이하이고, 또한, 굴절률이 1.51 이상인 연질재료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질재료로서는 상온 하에서 안내렌즈(10)를 용이하게 접거나 둥글게 뭉쳐서, 한층 더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매식 (埋植)시에 있어서의 눈 내로의 삽입을 한층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온에서 점착성을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가 적합하게 채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4097호나 특허공보 제3494946호 등에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내렌즈(10)의 성형재료로서 적합하게 채용된다. 그 중에서도, 형상 회복성이 우수한 안내렌즈를 얻기 위해서, 이하 (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 (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임의 단량체가 적당하게 배합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이하 (i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첨가물이 필요에 따라서 더해진다.
(i) 함유 단량체
이하와 같은 직쇄형, 측쇄형 또는 환형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이하와 같은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이하와 같은 방향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이하와 같은 불소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이하와 같은 실리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트리메틸실록시디메틸실릴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실록시디메틸실릴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2개의 화합물을 총칭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그 밖의 (메타)아크릴 유도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한다.
(ii) 임의 단량체
이하와 같은 (메타)아크릴아미드 또는 그 유도체;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
이하와 같은 N-비닐란탐류;
N-비닐피롤리돈 등
스티렌 또는 그 유도체
이하와 같은 가교성 단량체;
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iii) 첨가물
열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광증감제 등
색소 등
자외선 흡수제 등
또한, 이러한 단량체 재료를 사용하여,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안내렌즈(10)를 일체로 성형할 때에는, 종래부터 공지의 각종 수법이 어느 것이라도 채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절삭 가공 성형법이나 몰드 성형법에 의해서 목적으로 하는 안내렌즈(10)를 얻을 수 있다. 절삭 가공 성형법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단량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중합성분을 중합하여 막대형이나 블록형, 판형 등의 적당한 형상의 렌즈 블랭크를 성형한 후, 선반 등을 사용하여, 이러한 렌즈 블랭크에 대하여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소망 형상의 안내렌즈(1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몰드 성형법에 의하면, 목적으로 하는 안내렌즈(10)의 형상에 대응한 성형 캐비티를 갖는 성형 형(型)을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단량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중합 성분을 그 성형 캐비티 내에 도입하고, 거기서 적당한 중합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소망 형상의 안내렌즈(10)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내렌즈(10)에서는 상온에서 점착성을 나타내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재료로서 선택하기 때문에, 제조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몰드 성형법이 적합하게 채용된다. 또, 단량체 재료의 중합 방법으로서는, 단량체 재료에 따라서, 종래부터 공지의 열중합 방법이나 광중합 방법, 또는 이들을 조합한 중합방법 등이 적절하게 채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일체로 성형된 안내렌즈(10)에 있어서, 광학부(12)는 정면에서 보아 원형을 나타내는 대략 원반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광학부(12)의 중앙 부분 또는 그 전체의 영역이 사람 눈의 수정체의 대체 기능을 하는 광학 특성을 구비한 렌즈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한, 광학부(12)의 렌즈면(광학부 전면(18) 및 광학부 후면(20))은 요구되는 광학 특성에 따라서 각종 형상으로 될 수 있고, 그 양면(18, 20)의 형상이 오목면이나 볼록면, 평면 등을 임의로 조합하여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부 전면(18)과 광학부 후면(20)이 모두 구형(球狀) 볼록면으로 된 볼록 렌즈 형상의 광학부(12)가 채용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10)에 있어서, 전면이란 안내렌즈(10)의 낭으로의 삽입 상태에서 각막측에 위치하는 면을 말하고, 후면이란 안내렌즈(10)의 낭으로의 삽입 상태에서 망막측에 위치하는 면을 말한다.
여기에서, 광학부(12)의 외부 직경 치수: D는 삽입되는 사람의 낭 사이즈 등을 고려하여, 4.5 내지 7.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부의 광축 방향(도 2중의 상하방향)의 두께 치수(두께):d는, 접음이나 롤 등의 작업성이나 광학 특성 등을 고려하여, 최대치로 0.1 내지 2.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부(12)의 외주가장자리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부(14, 14)가 광학부(12)의 직경 방향 일 방향에서 대향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4)는 전체로서 정면에서 보아 대략 사다리꼴형으로 되어 있고, 그 돌출 선단측이 둘레 방향에서 점차 협폭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4)는 광축 방향에서의 한쪽(광학부 전면(18)측)의 면인 연결부 전면(22)이 외주측을 향하여 점차 광축 방향 전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쪽 면인 연결부 후면(24)이 광축 직교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연결부(14)가 전체로서 외주측을 향하여 점차 두껍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4) 내주 가장자리부에서 광축 방향에서의 두께 치수(두께)는 광학부(12) 외주가장자리부에서의 광축 방향의 두께 치수(두께)와 대략 같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4)의 외주면은 각각 광학부(12)의 외주형상에 따르도록 하여 둘레 방향에서 원호형으로 만곡하고 있는 동시에, 둘레 방향 양측은 광학부(12)의 외주면에 대하여 매끈하게 접속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연결부(14, 14)의 각 외주측벽면에는 한 쌍의 지지부(16, 16)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지지부(16, 16)는 가늘고 긴 로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연결부(14, 14)의 둘레 방향 대략 중앙부분으로부터 광학부(12)의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하여 각각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광학부(12)의 둘레 방향을 따르도록 만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안내렌즈(10)의 낭 내로의 삽입 상태에 있어서, 지지부(16, 16)로 각막측에 위치하는 면이 지지부 전면(26)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망막측에 위치하는 면이 지지부 후면(28)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부(16, 16)의 만곡된 부분의 외주측면이 당접면(30, 30)으로 되어 있고, 안내렌즈(10)의 눈 내로의 삽입 상태에 있어서, 눈 내에서 낭 내면에 당접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학부(12)가 한 쌍의 지지부(16, 16)에 의해서 낭 내부에서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지부(16, 16)에서는 그 돌출 선단부분에 점착 저감부로서의 돌기부(32, 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부(32)는 지지부(16)의 돌출 선단부분에 있어서, 지지부 후면(28)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반구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부(16, 16)의 두께 치수(두께)가 연결부(14, 14)의 외주측단부의 두께 치수보다도 얇게 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부(12)의 외주가장자리부에서의 두께 치수보다도 약간 두껍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부(16, 16)는 연결부(14, 14)의 외주측 단면에서의 연결부 전면(22)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지지부(16, 16)의 광축 방향 한쪽 면인 한 쌍의 지지부 전면(26, 26)이 한 쌍의 연결부 전면(22, 22)의 외주측 가장자리와 광축 직각 방향으로 넓어지는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있는 동시에, 지지부(16, 16)의 광학 축방향 다른쪽 면인 한 쌍의 지지부 후면(28, 28)이 한 쌍의 연결부 후면(24, 24)보다도 광축 방향에서 전면측으로 치우쳐서 위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안내렌즈(10)는 광학부(12)와 지지부(16, 16)를 포함하는 전체가 적당한 방향으로 접히거나, 롤형 등으로 뭉쳐짐으로써, 전체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사람 눈의 일부를 절개하여, 거기에서 수정체를 흡인 등으로 제거시킨 후, 이러한 절개창을 통하여, 소사이즈화된 안내렌즈(10)를 눈 내에 삽입한다. 이 삽입 조작은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주지의 삽입기구(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2-156943호나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508810호 등에 기재된 인젝터(injector))를 이용하여 행하여진다.
이러한 삽입기구를 사용한 안내렌즈(10)의 눈 내로의 삽입에서는 안내렌즈(10)를 한 쌍의 지지부(16, 16)가 삽입 방향에서 전후로 위치하게 되고, 이들 한 쌍의 지지부(16, 16)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안내렌즈가 접히거나, 둥글게 뭉쳐짐으로써, 안내렌즈(10)에 있어서의 한 쌍의 지지부(16, 16)의 대향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소사이즈화가 유리하게 도모된다. 이와 같이 콤팩트하게 접히거나, 또는 둥글게 뭉쳐져서 길이가 긴 형태로 된 안내렌즈(10)는 긴변 방향인 한 쌍의 지지부(16, 16)의 대향 방향이 삽입 방향이 되도록 삽입기구에 세트된다. 그리고, 삽입기구에 세트된 안내렌즈(10)는 그 삽입 방향 후방 단부를 플런저로 가압함으로써, 눈 내로 가압되게 된다.
여기에서, 광학부(12)의 외주가장자리부로부터 한 쌍의 지지부(16, 16)가 삽입 방향 양측을 향하여 돌출한 상태에서 플런저로 안내렌즈(10)를 후방으로부터 가압하면, 삽입 방향 후단측의 지지부(16)에 플런저의 가압력이 작용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삽입 방향 후방측의 지지부(16)는 미리 굴곡되어, 광학부(12)의 광학면 상에 겹쳐진 상태에서 눈 내에 삽입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삽입시에는 삽입 방향 후단에 위치하는 광학부(12)의 외주가장자리부를 플런저에 의해서 가압함으로써, 안내렌즈(10)가 눈 내에 삽입된다.
또한, 삽입 방향 전방측의 지지부(16)는 플런저에 의해서 안내렌즈가 가압되면, 삽입기구의 주벽과의 마찰 등에 의해서 후방으로 굴곡되기 쉽기 때문에, 굴곡된 지지부(16)가 광학부(12)의 광학면 상에 겹쳐진다.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내렌즈(10)는 삽입 방향 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지지부(16, 16)가 모두 굴곡되어, 광학부(12)의 광학면상에 겹쳐진 상태에서 눈 내로 삽입된다.
그런데, 상온에서 점착성을 나타내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재료에 포함하는 안내렌즈(10)에서는 광학부(12)나 지지부(16, 16)에 있어서의 접음이나 롤에 의해서 겹쳐진 부분이 서로 점착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종래 구조의 지지부에서는, 안내렌즈의 삽입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굴곡되어 광학부에 겹쳐지기 때문에, 광학부의 광학면에 점착하기 쉽지만,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된 지지부에서는 점착 상태를 해제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이 곤란하고, 눈 내로의 삽입 후에 있어서도 탄성력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초기 형상으로 복원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었다.
그렇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10)에서는 광학부(12)의 광학면에 겹쳐지는 지지부(16, 16)의 선단부분에 돌기부(32, 32)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점착성을 나타내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채용하는 안내렌즈(10)이어도, 지지부(16, 16)의 광학부(12)에 대한 점착이 눈 내에서의 지지부(16, 16)의 전개 불량 등의 문제를 발생하기 어렵다. 즉, 광학부 전면(18)에 대하여 지지부 후면(28, 28)이 겹쳐지면, 지지부(16, 16)의 선단에서 후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32, 32)가 광학부 전면(18)에 당접하게 되고, 광학부(12)와 지지부(16, 16)가 부분적으로 접하게 되어, 지지부 후면(28, 28)의 전체가 광학부 전면(18)에 당접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당접 면적이 대단히 작아진다. 더구나,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돌기부(32, 32)는 대략 반구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광학부 전면(18)에 대하여, 돌기부(32, 32)의 돌출 선단에서의 일점에서 당접하는 상태가 되어, 한층 더 유리하게 당접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10)에서는 지지부(16, 16)가 삽입 시에 광학부(12)상에 접히더라도, 지지부(16, 16)와 광학부(12)의 사이에 작용하는 점착력이 충분히 작아져서 점 착하기 어렵게 되는 동시에, 가령 점착하더라도, 눈 내로의 삽입 후에는 지지부(16, 16)가 갖는 탄성력으로 용이하게 점착이 해제되어, 초기의 형상으로 복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내렌즈(10)에서는 눈 내에서의 안내렌즈의 초기형상으로의 복원이 특별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유리하게 실현되고 있지만, 눈 내에서의 안내렌즈(10)의 전개 후에,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기구를 사용하여, 안내렌즈(10)를 낭 내로 위치 조절함으로써, 안광학의 중심축에 대하여 광학부(12)의 광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안내렌즈(10)가 낭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는 것도 더불어 행하여질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원피스형의 안내렌즈(10)에서는, 지지부(16, 16)의 돌출 선단부분에 있어서의 지지부 후면(28, 28)으로부터 돌기부(32, 3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눈 내로의 안내렌즈(10)의 삽입시 등에 있어서, 지지부(16, 16)가 광학부(12)의 광학면(광학부 전면(18))에 겹쳐져서, 당접되는 경우에, 돌기부(32, 32)의 돌출 선단이 광학부(12)에 당접함으로써, 지지부 후면(28, 28)의 대략 전체면이 광학부(12)에 접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지지부 후면(28, 28)의 대략 전체면이 광학부(12)의 광학면에 접촉하여 점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점착하는 면적이 작게 억제되게 되어, 큰 점착력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가늘고 긴 로드형으로 되어 있는 지지부(16, 16)의 비교적 작은 탄성력이라도, 충분히 점착상태가 해제되어, 눈 내로의 안내렌즈(10)의 삽입 후에 걸리는 탄성력에 의해서 지지부(16, 16)가 전개되어, 안정하게 초기형상으로 복원되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기부(32, 32)가 반구형상으로 됨으로써, 광학부(12)에 대하여 돌기부(32, 32)가 돌출 선단에서 점(点) 당접된다. 그 때문에, 광학면에 대한 지지부(16, 16; 돌기부(32, 32))의 당접 면적을 한층 더 유리하게 작게 할 수 있고, 점착력의 저감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 후면(28, 28)의 돌출 선단부분에 후면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돌기부(32, 32)를 형성하는 한편, 지지부 전면(26, 26)이 대략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광학부 후면(20, 20)과 겹쳐지는 지지부 후면(28, 28)에 돌기부(32, 32)를 형성하여 광학부 후면(20, 20)과 지지부 후면(28, 28)의 당접 면적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지지부 전면(26, 26)을 대략 평탄면으로 함으로써, 지지부(16, 16)의 두께 치수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막아, 접음이나 롤 상태에서의 안내렌즈(10)의 사이즈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예시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하등,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이하에, 또한 몇 가지 도시하여, 예시한다. 또,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 부재 및 부위에 대해서는, 각각,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도면 중에 붙임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에 있어서의 주요 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서는 한 쌍의 지지부(16, 16)에 있어서의 지지부 후면(28)에 점착 저감부로서 1조(條)의 돌조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조부(34)는 지지부(16, 16)의 폭 방향으로 대략 일정한 반원형 단면을 갖고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돌조부(34)가 돌출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된 만곡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효과와 대략 마찬가지로 지지부(16, 16)의 광학부(12)에 대한 점착을 유효하게 막는 동시에, 눈 내로의 삽입 후에 지지부(16, 16)가 초기형상으로 안정하게 복원된다. 또한,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삽입시의 접음이나 롤상태에서 지지부(16, 16)와 광학부(12)가 선형으로 접하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비하여, 돌조부(34) 이외의 부분에서의 지지부(16, 16)와 광학부(12)의 접촉을 유리하게 저감 내지는 회피할 수 있어, 보다 안정하게 점착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에 있어서의 주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서는, 지지부(16, 16)에 후면측에 개구하는 1조의 오목홈(36)이 점착 저감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오목홈(36)은 지지부(16, 16)의 돌출 선단부분에 있어서 대략 일정한 반원형 단면을 갖고 지지부(16, 16)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폭 방향 양측이 지지부(16, 16)의 폭 방향 양측 단면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특히 점착이 문 제가 되기 쉬운 지지부(16, 16)의 돌출 선단부분에 있어서 다른 부위(광학부(12)의 광학면 등)에 대한 당접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점착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오목홈(36)에 의해서 이러한 점착력 저감 효과를 실현함으로써, 지지부(16, 16)의 선단부분에 있어서의 광축 방향에서의 후육화를 유효하게 막을 수 있고, 안내렌즈의 눈 내로의 삽입 시에 있어서의 접음이나 롤상태 등에서의 콤팩트화를 한층 더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서는 지지부(16, 16)에 있어서의 지지부 후면(28, 28)에 극히 다수의 미소 요철(예를 들면, 1mm 이하의 폭 및 높이의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조면 가공이 실시된 조면부(38, 38)에 의해서 점착 저감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면부(38, 38)는 긁힌 흠 모양의 미세한 홈이 대략 격자형으로 다수 형성됨으로써 구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조면 가공은 몰드 성형법에 있어서의 성형용 금형의 표면에 대하여, 쇼트 블라스트(shot blast)나 에칭, 또는 레이저 조사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요철을 형성하는 것 등에 의해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서는 상기 제 3 실시형태와 대략 마찬가지로, 지지부(16, 16)의 광학부(12) 등에 대한 점착 저감 효과를 유효하게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지지부(16, 16)의 선단부분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삽입 시에 있어서의 안내렌즈의 콤팩트화를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다.
더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내렌즈에서는 지지부(16, 16)에 형성된 조면부(38, 38)가 조면 가공에 의해서 실현되어 있기 때문에, 조면부(38, 38)의 형성 개소에서의 지지부(16, 16)의 투명성이 저하되어, 액 중에서의 시인성이 향상되어 있다. 즉, 종래부터, 실질적으로 액 중에서의 조작이 되는 눈 내에서의 안내렌즈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지지부의 액 중에 있어서의 시인성을 높이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지지부에 착색을 하는 등의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원피스형 안내렌즈에 적용하는 것이 어렵거나, 재료의 한정이 부득이한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내렌즈로서는, 실질적으로 액 중에서의 조작이 되는 눈 내에서의 안내렌즈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조면부(38, 38)를 지지부(16, 16)에 형성함으로써 지지부(16, 16)의 투명성을 저하시켜, 액 중에 있어서도 충분한 시인성을 확보하는 것에 성공한 것이다. 이로써, 눈 내로의 삽입 후에 특정한 기구를 사용하여 안내렌즈의 위치맞춤을 하는 경우에, 방수나 점탄성 물질 등이 충전된 눈 내에서의 지지부(16, 16)의 시인성을 높이고, 눈 내에서의 안내렌즈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에 형성되는 돌기의 형상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돌기부(32)의 구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9,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의 주요부인 지지부(16, 16)의 선단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9,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지지부(16, 16)에서는 대략 삼각추형의 돌기부(40, 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된 돌기부(40, 40)를 갖는 안내렌즈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1,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인 지지부(16, 16)의 돌출 선단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의 지지부(16, 16)의 돌출 선단부분에는 광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대략 직방체형상의 돌기부(42, 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된 돌기부(42, 42)를 갖는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제시된 돌기부(42, 42)에 비하여 광학부(12) 등에 대한 당접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보다 안정된 당접 상태를 얻을 수 있고, 지지부(16, 16)에 있어서의 돌기부(42, 42)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부분이 광학부(12) 등에 당접되는 것을 유효하게 막고, 지지부(16, 16)의 광학부(12)에 대한 점착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3,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인 지지부(16, 16)의 돌출 선단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의 지지부(16, 16)의 돌출 선단부분에는 광축 방향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대략 일정한 사다리꼴 단면으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돌기부(44, 44)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기부(44, 44)의 돌출 선단 가장자리부에서의 지지부(16, 16)의 선단측의 각이 둔각으로 구성되어 있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형상으로 된 돌기부(44, 44)를 갖는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상기 제 6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는 동시에, 특히 낭 내면에 강하게 당접되는 경우가 많은 지지부(16, 16)의 돌출 선단부분의 각을 둔각으로 함으로써, 당접에 의한 자극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제시된 돌조부(34, 34)의 구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돌조의 형상이 하등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단면이나 삼각형 단면 등 각종 단면 형상을 갖는 돌조부도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5,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에 있어서의 지지부(16, 16)에 형성된 돌조부(46, 46)와 같이, 지지부(16, 16)의 폭 방향에 대하여 광축 직각 방향으로 경사져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돌조의 단면 형상은 반드시 대략 일정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도 17,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에 있어서의 지지부(16, 16)에 형성된 돌조부(48, 48)와 같이, 연장 방향에서 돌출 높이가 변화하고 있어도 좋다. 또,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돌조부(48, 48)는 배면에서 보아 대략 직교하도록 2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16, 16)에 형성되는 오목홈은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오목홈(36, 36)의 구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9, 도 20에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인 지지부(16, 16)의 돌출 선단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16, 16)의 돌출 선단부분에는 대략 일정한 삼각형 단면에서 지지부(16, 16)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지지부(16, 16)의 폭 방향 양측면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오목홈(50, 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1, 도 22에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의 주요부인 지지부(16, 16)의 돌출 선단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16, 16)의 돌출 선단부분에는 대략 일정한 사다리꼴 단면으로 지지부(16, 16)의 폭 방향 양측면으로 개구하도록 연장되는 오목홈(52, 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0, 제 11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도,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내렌즈와 대략 같은 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점착 저감부를 구성하는 오목홈에 있어서도, 반드시 일정한 단면 형상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홈 깊이나 홈 폭 등이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오목홈은 폭 방향 양측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돌출 선단측으로 개구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23,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16, 16)의 돌출 선단부분의 후면측이 대략 4분 원형(quarter circle)의 단면 형상으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노치부(54)에 의해서, 접음이나 롤시에 있어서의 지지부(16, 16)의 선단부분의 광학부(12) 등과의 당접 면적이 감소됨으로써, 점착 저감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지지부(16, 16)에 점착 저감부로서 조면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경사진 격자형의 홈에 의해서 구성된 조면부(38, 38)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수한 미세 요철이나 홈 등의 각종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25에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에 있어서의 지지부(16, 16)의 돌출 선단부분에 형성된 조면부(56, 56)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면부(56, 56)는 대략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잔주름 모양으로 되어 있다. 즉, 조면부(56)는 지지부(16)의 대략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조의 미세한 선형 요철이 표면에 붙어 있고, 전체로서 바코드형의 요철형태로 되어 있 다. 이러한 조면부(56, 56)를 갖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의 안내렌즈에 있어서도, 상기 제 4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 돌조, 오목홈, 조면부는 모두, 지지부(16, 16)상의 복수 개소에 있어서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26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점착 저감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도 26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 돌조, 오목홈, 조면부를 지지부(16)에 형성함으로써, 지지부(16, 16)의 광학부 등으로의 당접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고, 지지부(16, 16)의 광학부(12) 등으로의 점착 저감 효과를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부(32, 40, 42, 44)나 돌조부(34, 46, 48), 오목홈(36, 50, 52) 또는 조면부(38, 56) 등은 복수를 조합하여 지지부(16, 16)에 형성할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32, 도 33에 도시되어 있는 안내렌즈의 주요부에서는 지지부(16, 16)에 복수조의 오목홈(36, 36, 36)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돌출 선단부에는 노치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 32, 도 33에 도시된 오목부를 갖는 안내렌즈에서는 이웃하는 오목홈(36, 36) 또는 오목홈(36)과 노치부(54)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께가 얇은 돌조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돌조가 광학부(12) 등에 당접시킴으로써, 지지부(16, 16)와 광학부(12) 등의 당접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점착 방지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특히, 복수조의 오목홈(36, 36, 36)과 노치부(5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조를 복수조 형성할 수 있어, 안정된 당접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34, 도 35에 도시되어 있는 안내렌즈의 지지부(16, 16)에는 복수조의 돌조부(34, 34, 34, 34)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웃하는 2조의 돌조부(34, 34)의 사이에 각 1조의 오목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 34, 도 35에 도시된 안내렌즈에 의하면, 점착 저감부가 형성된 위치에 있어서의 지지부(16, 16)의 두께를 현저하게 크게 하지 않고, 유리하게 돌조부(34, 34, 34, 34)의 돌출 높이를 얻을 수 있고, 점착 저감 효과를 안정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 복수의 돌기, 돌조, 오목홈, 조면을 잘 조합함으로써, 각 형상을 지지부(16)에 형성하는 경우에 얻어질 수 있는 효과를 복합적으로 발휘시키고, 우수한 효과를 유리하게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오목홈이나 조면부 등은 반드시 지지부(16, 16)의 전후 한쪽 면에만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지지부의 전후 양면(26, 28)에 대하여 오목홈 등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광학부(12)에 대하여, 지지부(16, 16)의 전후 어느 면이 겹쳐지더라도 유효하게 점착성 저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 양면에 대한 점착 저감부의 형성은 삽입시에 삽입 방향 전방측에 위치되는 지지부(16, 16)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 즉, 삽입 방향 전방측의 지지부(16, 16)는 플런저에 의해서 가압될 때에 삽입기구의 주벽과의 마찰 등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굴곡되어 광학부(12)상에 겹쳐지기 때문에, 광학부(12)의 소정의 면에 겹쳐지도록 구부리는 것이 비교적 어렵다. 그 때문에, 지지부 전후 양면(26, 28)에 점착 저감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될 수 있다. 특히, 조면부는 지지부 전후 양면(26, 28)에 형성되어도 형성 개소에서의 지지부(16, 16)가 국소적인 박육화나 후육화가 문제되기 어렵기 때문에, 지지부(16, 16)의 전후 양 면(26, 28)에 점착 저감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점착 저감부를 구성하는 돌기부(32, 40, 42, 44)나 돌조부(34, 46, 48), 오목홈(36, 50, 52) 또는 조면부(38, 56) 등은 상기 각 실시형태로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삽입시의 접음이나 롤 상태에서 특히 광학부(12) 등에 겹쳐지기 쉬운 지지부(16, 16)의 돌출 선단부분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점착 저감부를 구성하는 돌기, 돌조, 오목홈, 조면부 등의 형성 개소는 반드시 지지부(16, 16)의 돌출 선단부분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부(16, 16)의 돌출 방향 중간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지지부(16, 16)의 기단측 단부로부터 돌출 선단까지의 대략 전체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지지부(16, 16)의 형상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36 내지 도 3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각종 형상의 지지부가 채용될 수 있다.
즉, 도 36에 도시된 안내렌즈(58)에서는 지지부(60, 60)가 그 중간의 일부에서 두 갈래로 분기하고 있고, 상기 중간의 일부보다도 돌출 선단측의 부분이 각각 광학부(12)의 둘레 방향을 따르도록 만곡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60, 60)를 갖는 안내렌즈(58)에 의하면, 낭으로의 삽입 상태에 있어서 한층 더 안정하게 광학부(12)를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7에 도시된 안내렌즈(62)에서는 지지부(64, 64)에 있어서 연결부(14)의 외주면에 접속되어 있는 측인 기단부분(66)이 선단부분(68)에 비하여 폭이 넓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선단부분(68)이 광학부(12)의 둘레 방향을 따 르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64, 64)를 갖는 안내렌즈(62)에 의하면, 비교적 폭이 넓게 된 기단부분(66)에 의해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광학부(12)를 소정의 위치에 안정하게 위치 결정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선단부분(68)이 비교적 미세하게 형성됨으로써 충분한 유연성이 얻어지고, 낭 내면에 대한 지지부(64, 64)의 당접에 의해서 낭이 손상되거나, 안내렌즈(62)가 당접 반력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38에 도시된 안내렌즈(70)에서는 지지부(72)가 대략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로드형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그 중간의 일부에서 광축 직각 방향에서 굴곡되어 있는 한편, 상기 중간의 일부보다도 연결부(14)측인 기단부분(74)이 돌출 선단부분(76)에 비하여 폭이 넓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72, 72)를 갖는 안내렌즈(70)에 의하면, 상기 도 37에 도시된 안내렌즈(62)와 대략 같은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는 동시에, 지지부(72, 72)의 돌출 선단을 낭 내면에 대하여 보다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9에 도시된 안내렌즈(78)에서는 지지부(80)의 전체가 대략 갈고리형으로 굴곡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지지부(80, 80)는 광학부(12)의 직경 방향 일 방향에서 대향 위치되는 동시에,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중간의 일부에서 굴곡 내지는 만곡되고, 광학부(12)의 둘레 방향을 따르도록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중간 부분(82, 82)이 서로 같은 둘레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 부분(82, 82)의 일부에서, 다시 굴곡 내지는 만곡되어 있고, 중간 부분(82, 82)과는 둘레 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 는 선단부분(84, 8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부분(82)과 선단부분(84)은 대략 동심원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선단부분(84)이 중간 부분(82)보다도 큰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80)를 갖는 안내렌즈(78)에 의하면, 꾸불꾸불한 형으로 굴곡된 갈고리형상으로 됨으로써, 낭 내부에 매식되는 경우에 당접에 의해서 낭에 작용되는 응력을 유리하게 완충할 수 있고, 낭의 손상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37, 도 38에 도시되어 있는 지지부(64, 72)와 같이, 지지부의 폭 치수가 기단측과 선단측에서 변화하여도 좋은 동시에, 지지부의 광축 방향에서의 치수인 두께 치수도, 지지부에 요구되는 강도 등의 특성에 따라서 적당하게 설정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지지부가 그 돌출 선단측을 향하여 점차 두께가 얇게 되어도 좋고 이러한 지지부를 채용함으로써, 돌출 선단부분의 강도를 낮추고, 당접시의 반력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기단부분의 강도를 충분하게 확보하여, 지지부에 의한 안내렌즈의 위치 결정 작용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와 연결부의 접속 부위로의 응력 집중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부의 기단측 단부의 폭 방향 양측으로 R형의 폭 확대부를 형성하여, 연결부와의 접속부분을 향하여 점차 폭이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R형의 폭 확대부를 지지부의 기단측 단부에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결부(14, 14)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한 쌍의 지지부(16, 16)가 광학부(12)의 외주가장자리부로부터 광축 직각 방향 외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연결부의 형상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하등 한정되지 않으며,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는 대략 원형상 등, 각종 형상이 적당하게 채용될 수 있다.
그 외, 일일이 열거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은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경, 수정, 개량 등을 더한 형태에 있어서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그와 같은 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6)

  1. 사람 눈의 수정체의 대체 기능을 하는 광학 특성을 갖는 렌즈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정면에서 보아 원형으로 된 광학부와, 상기 광학부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눈 내로의 삽입 상태하에서 낭의 외주부분의 내면에 당접시킴으로써 상기 광학부를 낭 내로 위치 결정하여 유지시키는 지지부가, 접음이나 롤이 가능한 연질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연질재료로서 점착성 재료를 채용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에서의 전후방향 중 적어도 한쪽 면에서 요철을 갖는 점착 저감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저감부가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돌출 선단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렌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저감부가 상기 지지부의 전면 및 후면 중 어느 한쪽 면에만 형성되어 있는 안내렌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향의 적어도 한쪽 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 양측에 걸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조를 포함하고, 상기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렌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향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양 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 양측면에 개방된 오목홈을 포함하여, 상기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렌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향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된 조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렌즈.
KR1020077026673A 2005-05-20 2005-05-20 안내렌즈 KR101153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09281 WO2006123428A1 (ja) 2005-05-20 2005-05-20 眼内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126A KR20080009126A (ko) 2008-01-24
KR101153266B1 true KR101153266B1 (ko) 2012-06-07

Family

ID=3743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673A KR101153266B1 (ko) 2005-05-20 2005-05-20 안내렌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90082861A1 (ko)
EP (3) EP1882462B1 (ko)
JP (1) JP5026261B2 (ko)
KR (1) KR101153266B1 (ko)
CN (1) CN101180008B (ko)
ES (2) ES2561802T3 (ko)
HK (1) HK1220107A1 (ko)
WO (1) WO20061234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9668B2 (ja) * 2005-05-20 2011-05-25 興和株式会社 眼内レンズ
EP2060242B1 (en) * 2006-10-04 2017-12-06 Hoya Corporation Intraocular lens
JP4916351B2 (ja) * 2007-03-15 2012-04-11 Hoya株式会社 軟性眼内レンズ
FR2922096B1 (fr) * 2007-10-16 2010-01-08 Ioltechnologie Production Lentille intraoculaire pour sac capsulaire
WO2009153873A1 (ja) * 2008-06-19 2009-12-23 Hoya株式会社 軟性眼内レンズ
US9089419B2 (en) * 2008-10-15 2015-07-28 Novartis Ag System to reduce surface contact between optic and haptic areas
NZ594697A (en) 2009-02-12 2014-02-28 Univ Arizona State Diffractive trifocal lens
JP2010188067A (ja) * 2009-02-20 2010-09-02 Hoya Corp 軟性眼内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399548B1 (en) * 2009-02-20 2017-12-20 Hoya Corporation Soft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622528B2 (ja) * 2009-12-01 2014-11-1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の製造方法
CN102247222B (zh) * 2010-05-17 2015-09-09 爱博诺德(北京)医疗科技有限公司 软性人工晶体装置
JP5686486B2 (ja) * 2013-07-01 2015-03-18 Hoya株式会社 軟性眼内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281602A (zh) * 2015-08-14 2020-06-16 蒂莫西·R·威利斯 人工晶体(iol)及相关组件和眼内附着方法
CN109009566B (zh) * 2017-08-29 2024-04-26 东莞东阳光医疗智能器件研发有限公司 一种人工晶体
JP7151254B2 (ja) * 2018-08-03 2022-10-1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挿入器具
WO2020236619A1 (en) * 2019-05-17 2020-11-26 Art, Ltd Improved intraocular lens
CN111467079A (zh) * 2020-05-08 2020-07-31 泰州金云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一体式兽用人工晶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8181A (en) 1987-08-07 1989-02-28 Kelman Charles D Intraocular lens having roughened surface area
US4961746A (en) 1985-08-23 1990-10-09 American Cyanamid Company Intraocular lens with colored legs and method of making
US5074942A (en) 1990-05-15 1991-12-24 Texceed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intraocular lens with integral colored haptic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4060A (en) * 1978-12-01 1981-01-13 Hoffer Kenneth J Intraocular lens
US4343050A (en) * 1980-07-14 1982-08-10 Kelman Charles D Intraocular lenses
US4588405A (en) * 1983-06-10 1986-05-13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Intraocular lens assembly
US4661109A (en) * 1985-08-16 1987-04-28 White Thomas C Intraocular lens
US4718905A (en) * 1986-08-13 1988-01-12 Freeman Jerre M Haptic element using ion beam implantation for an intraocular lens
FR2631228B1 (fr) * 1988-05-11 1990-08-10 Domilens Laboratoires Implant intra-oculaire de chambre anterieure
GB2224214B (en) 1988-10-07 1992-12-23 Ioptex Research Inc Intraocular lens insertion instrument
ATE138553T1 (de) * 1990-01-19 1996-06-15 Pharmacia Ab Intraoculare linse mit haltebügeln hoher festigkeit
US5476513A (en) * 1992-02-28 1995-12-19 Allergan, Inc. Intraocular lens
US5425734A (en) 1993-07-02 1995-06-20 Iovision, Inc. Intraocular lens injector
US5716403A (en) * 1995-12-06 1998-02-10 Alcon Laboratories, Inc. Single piece foldable intraocular lens
FR2744908B1 (fr) * 1996-02-20 1998-06-12 W K Et Associes Implant intraoculaire myopique
JP3529222B2 (ja) 1996-07-11 2004-05-24 株式会社メニコン 軟質眼用レンズおよびその製法
US6488707B1 (en) * 1997-08-20 2002-12-03 Thinoptx, Inc. Method of implanting a deformable intraocular corrective lens
JP3641110B2 (ja) * 1997-08-20 2005-04-20 株式会社メニコン 軟質眼内レンズ用材料
JP3805496B2 (ja) 1997-08-29 2006-08-0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
US5843188A (en) * 1997-10-20 1998-12-01 Henry H. McDonald Accommodative lens implantation
US6129759A (en) * 1997-12-10 2000-10-10 Staar Surgical Company, Inc. Frosted haptic intraocular lens
FR2782912B1 (fr) * 1998-09-07 2001-01-12 Georges Baikoff Implant intra-oculaire de chambre anterieure
FR2795944B1 (fr) * 1999-07-08 2001-11-02 Corneal Ind Implant intraoculaire
US6193750B1 (en) * 1999-10-15 2001-02-27 Medevec Licensing, B.V. Collars for lens loops
EP1108402B1 (de) * 1999-12-14 2006-09-20 Boehm, Hans-Georg, Dr. rer. nat. Fokussierfähige Intraokularlinse
FR2804860B1 (fr) * 2000-02-16 2002-04-12 Humanoptics Ag Implant cristallinien accomodatif
JP3494946B2 (ja) * 2000-03-09 2004-02-09 株式会社メニコン 粘着性が低減された軟質眼内レンズ及びその製法
JP4038319B2 (ja) * 2000-03-27 2008-01-23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の粘着性を減少させる方法
US7097660B2 (en) * 2001-12-10 2006-08-29 Valdemar Portney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30120342A1 (en) * 2001-12-21 2003-06-26 Green George F. Intraocular lens
US20030204253A1 (en) * 2002-04-30 2003-10-30 Patel Anilbhai S. Posterior chamber phakic lens
US20030208267A1 (en) * 2002-05-04 2003-11-06 Kurt Buzard Anterior chamber phakic lens and methods of implantation
GB0217606D0 (en) * 2002-07-30 2002-09-11 Rayner Intraocular Lenses Ltd Intraocular lens
US7303582B2 (en) * 2003-03-21 2007-12-04 Advanced Medical Optics, Inc. Foldable angle-fixated intraocular lens
US20060122700A1 (en) * 2003-04-28 2006-06-08 Hoya Corporation Single piece intraocular len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050187621A1 (en) * 2004-02-24 2005-08-25 Brady Daniel G. Foldable unitary intraocular lens
JP4689668B2 (ja) * 2005-05-20 2011-05-25 興和株式会社 眼内レン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1746A (en) 1985-08-23 1990-10-09 American Cyanamid Company Intraocular lens with colored legs and method of making
US4808181A (en) 1987-08-07 1989-02-28 Kelman Charles D Intraocular lens having roughened surface area
US5074942A (en) 1990-05-15 1991-12-24 Texceed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intraocular lens with integral colored hap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51477T3 (es) 2018-01-26
WO2006123428A1 (ja) 2006-11-23
EP1882462A4 (en) 2010-01-06
CN101180008B (zh) 2010-10-13
EP3263069B1 (en) 2019-07-10
EP3000435B1 (en) 2017-09-13
EP3000435A1 (en) 2016-03-30
JP5026261B2 (ja) 2012-09-12
EP1882462A1 (en) 2008-01-30
EP3263069A1 (en) 2018-01-03
KR20080009126A (ko) 2008-01-24
HK1220107A1 (zh) 2017-04-28
ES2561802T3 (es) 2016-03-01
CN101180008A (zh) 2008-05-14
US20090082861A1 (en) 2009-03-26
EP1882462B1 (en) 2015-11-04
JPWO2006123428A1 (ja) 200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266B1 (ko) 안내렌즈
KR101153264B1 (ko) 안내렌즈
JP4927371B2 (ja) 眼内レンズ
US6554860B2 (en) Foldable iris fixated intraocular lenses
WO1999027978A1 (fr) Cristallin artificiel et procedes de production de cristallins artificiels de type moules
KR20090045308A (ko) 다중 렌즈형 안내 렌즈 시스템
JP2009518148A (ja) 調節アーチレンズ
CN107847313B (zh) 人工晶状体组件
JP6588169B2 (ja) 可変多焦点眼内レンズ
KR20080011097A (ko) 각막교정술에 사용되는 콘택트렌즈
WO2013168410A1 (ja)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JP5771907B2 (ja) 眼内レンズ、及び眼内レンズ挿入器具
JP2006006484A (ja) 眼内レンズ
US9681943B2 (en) Intraocular lens
JP6934789B2 (ja) 眼内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