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097A - 각막교정술에 사용되는 콘택트렌즈 - Google Patents

각막교정술에 사용되는 콘택트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097A
KR20080011097A KR1020070075297A KR20070075297A KR20080011097A KR 20080011097 A KR20080011097 A KR 20080011097A KR 1020070075297 A KR1020070075297 A KR 1020070075297A KR 20070075297 A KR20070075297 A KR 20070075297A KR 20080011097 A KR20080011097 A KR 20080011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alignment
contact lens
central
corn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 스탠톤
Original Assignee
김 스탠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 스탠톤 filed Critical 김 스탠톤
Publication of KR20080011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7Contact lens fitting; Contact lenses for orthokeratology; Contact lenses for specially shaped cornea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sthes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력 교정용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 주위에 동일한 중심을 가지게 위치된 정렬부 및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정렬부 모두에 연결된 베어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부는 각막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정렬부가 상기 각막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콘택트렌즈, 각막교정술

Description

각막교정술에 사용되는 콘택트렌즈{CONTACT LENS USED IN ORTHOKERATOLOGY}
도 1a는 선행기술의 각막교정술 콘택트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다른 선행기술의 각막교정술 콘택트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각막교정술 콘택트렌즈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각막교정술 콘택트렌즈의 일실시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각막교정술 콘택트렌즈의 제 1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각막교정술 콘택트렌즈의 제 2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각막교정술 콘택트렌즈의 제 3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각막교정술 콘택트렌즈의 제 4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각막교정술 콘택트렌즈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각막교정술 콘택트렌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착용자의 각막 표면에 위치된 본 발명의 각막교정술 콘택트렌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 베어링부 11B : 커버부
12 : 정렬부 15 : 고정 브리지부
16 : 중심부 17 : 티어부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람 눈의 시력을 개선하도록 형성된(configured) 콘택트렌즈(conteact lens)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강성(semi-rigid) 가스 투과성 콘택트렌즈와 시력(visual acuity)을 개선하기 위한 해당되는 각막교정술(Orthokeratology)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당 수의 사람들이 수많은 가능한 상황으로 인하여 시력에 어려움을 경험한다. 이러한 시력 문제의 대부분은 근시(myopia) 또는 근시안(nearsightedness)으로 알려진 상태에서 기인한다. 근시는, 눈의 각막이 너무 급격하게 굴곡되어 있어서 망막에 적절히 촛점을 맞출 수 없기 때문에 눈이 먼 물체에 촛점을 맞출 수 없는 일반적인 상황이다. 또한 눈은 원시(hyperopia) 또는 원시안(farsightedness)으로 알려진 상태로 괴롭힘을 당할 수 있다. 원시의 경우는, 눈의 각막이 너무 평평하게 굴곡되어 있어서 망막에 적절히 촛점을 맞출 수 없기 때문에 눈이 가까운 물체에 촛점을 맞출 수 없는 것이다.
콘택트렌즈는 보통의 안경에 의해 교정될 수 있는 최상의 시력 상태를 교정 하기 위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콘택트렌즈는 쉽게 보이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안경 보다 더 넓은 시야를 제공한다. 최초의 콘택트렌즈는 "하드(hard)" 콘택트렌즈였는데, 이는 선반절삭되고(lathe cut) 닦임(polished) 작업되거나, 상대적으로 강성의 재질로 몰딩되고, 착용자 또는 사용자의 눈 형상에 맞추어 열과 압력에 의해 만들어졌다. 플렉시블하고 액체 흡수성이 있고 가스 투과성 재질로 만들어진 "소프트(soft)" 콘택트렌즈는 근래의 혁신적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는 시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눈에 삽입되지만, 그러나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제거되면, 영구적 또는 임시적인 시력 개선물이 없게 된다.
시력을 개선하기 위한 또다른 접근 방법은 각막의 선택된 위치에 지속적으로 압박을 가하도록 고안된 콘택트렌즈를 착용함으로써 각막의 형상을 바꾸는 것이다. 콘택트렌즈는 각막이 점차로 소망하는 각막의 굴곡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처리 방법은 보통 각막교정술이라 한다. 각막교정술에 의한 시술 성공은 각막 콘택트렌즈의 형상과 구조에 달려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근시 개선을 위한 각막교정술 접근 방법에서는 착용자의 각막(2)의 만곡(curvature) 반경(radius) 보다 일반적으로 더 큰 만곡 반경을 갖는 콘택트렌즈(1)를 사용한다. 상기 콘택트렌즈(1)가 각막 위에서 해지면(worn out), 눈 위에서 렌즈의 모세관 현상(capillary action)으로 각막의 원주(periphery)에 외향력(outward force) 또는 압력(4)과 함께 각막의 중앙에 내향력(inward force) 또는 압력(3)이 가해진다. 렌즈는 착용자의 시력을 향상시키면서, 각막을 평평하게 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원시 개선을 위한 각막교정술 접근 방법에서는 착용자의 각막(2)의 만곡 반경보다 일반적으로 더 작은 만곡 반경을 갖는 콘택트렌즈(1)를 사용한다. 상기 콘택트렌즈(1)가 각막 위에서 해지면, 눈 위에서 렌즈의 모세관 현상으로 각막의 원주에 내향력 또는 압력(4)과 함께 각막의 중앙에 외향력 또는 압력(3)이 가해진다. 렌즈는 착용자의 시력을 향상시키면서, 각막을 경사지게 한다(steepen).
대략 1950년부터 1970년까지 각막교정술에 관한 연구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포함하고 그다음에 RGA(Rigid Gas Permeable) 렌즈에 관한 것이다. RGA 렌즈는 시력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많은 사용자들에게 이 렌즈가 불편하거나 또는 익숙해지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사용자 관점에서는 훨씬 편안하지만 소프트 콘택트렌즈는 사람 눈의 각막 표면을 재형상화하기에는 충분히 단단하지 않다. 최근, 실리콘 하이드로겔(Silicon Hydrogel) 재질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콘택트렌즈가 도입되었고 이러한 콘택트렌즈가 FDA로부터 30일까지 지속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것으로 승인받았다. 또한 RGA 센터를 갖고 콘택트렌즈 주변에 소프트 콘택트렌즈 재질 "스커트(skirt)"를 갖는 "하이브리드 렌즈(Hybrid Lenses)"를 이용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4,952,045호에, 만곡 반경에 보다 점차적인 변경을 제공하도록 중심부(central zone), 티어부(tear zone) 및 중심부와 티어부 사이에 동일한 중심을 가지면서 위치된 전이부(transition zone)를 포함하는 각막 콘택트렌즈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선점이 있다 하더라도, 렌즈의 착용감은 여전히 소프트 콘택트렌즈 만큼 편안하지는 않다. 따라서, 근시와 원시를 교정하는 콘택트렌즈와 이에 대응되는 처리 방법, 또한 렌즈 착용자의 불편함을 줄이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근시 또는 원시의 시력 교정이 될 뿐만 아니라 착용감이 편안한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각막교정술 콘택트렌즈는 중심부(central zone), 상기 중심부 둘레(around)에 동일한 중심을 가지면서(concentrically) 위치되는 정렬부(alignment zone), 및 베어링부(bearing zon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부는 각막에 접하도록 하고 상기 중심부와 상기 배열부가 각막에 직접 접하는 것을 막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예시된 일실시예 콘택트렌즈는 착용자의 각막에 제 1 교정력(primary correction force)을 제공하도록 형성된(configured) 원형의 중심부(16)와, 착용자의 각막 부분(corneal area)에 제 2 교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정렬링(alignment ring) 또는 정렬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부(16)를 상기 정렬부(12)에 연결시키는(coupling) 선택적인 고정 브리지(stabilizing bridge)(15)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콘택트렌즈의 전개도는 상기 중심부(16)를 상기 정렬부(12)에 연결시키는 베이스부(base zone) 또는 베어링부(11A)를 포함한다. 커버부(cover zone)(11B) 또한 중심부를 정렬부에 연결시킬 수 있고 매끄럽거나 개선된 눈꺼풀 접촉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중심부(16)는 착용자의 각막의 만곡 반경을 늘리거나(평평하게 함: flatten) 또는 만곡 반경을 줄이는(길게 늘임: elongate) 제 1 교정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심부(16)는 근시 교정을 위하여 착용자의 각막의 정 중앙에 실제적으로 집중된 지역에 적당한 힘을 가하거나, 또는 원시 교정을 위하여 착용자의 각막의 정 중앙을 둘러싼(circumscribing) 지역에 적당한 힘을 가한다. 상기 중심부(16)는 근시 또는 원시를 교정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시력의 광학 특성에 의해 정의되는 만곡 반경을 갖는다. 상기 중심부(16)의 직경은 3mm ~ 13mm일 수 있고 중앙부(16)의 만곡 반경은 6mm ~ 14mm일 수 있다. 중심부(16)의 두께는 0.1mm ~ 1mm일 수 있다. 중심부(16)는 일반적으로 가스 투과가능한 하드 또는 세미 하드(semi-hard) 재질(material)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중심부(16)는 또한 베어링부(11A) 재질과 비교하여 더 큰 밀도 또는 증가된 단단함(stiffness)을 갖는 소프트 또는 세미 소프트(semi-soft)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중심부(16)는 콘택트렌즈에 광학 렌즈 특성을 제공할 수도 있고 또는 반드시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정렬부(12)는 착용자의 각막의 거의 정중앙에서 중심부(16)를 유지하는 중심화력(centering force)을 생산하도록 형성된다. 정렬부(12)는 착용자의 각막의 광학 특성에 의해 또한 정의되는 만곡 반경을 갖는다. 정렬부(12)는 착용자의 각막에 맞추어져(match) 근시 또는 원시 상태를 보상하고(compensate) 또는 착용자의 각막의 주변 지역에 제 2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만곡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정렬부(12)의 외부 직경은 10mm ~ 14mm일 수 있고 정렬부(12)의 만곡 반경은 6mm ~ 14mm일 수 있다. 정렬부(12)는 도 4A-B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될 수 있거나, 도 4C와 같이 비연속적일 수 있다. 정렬부(12)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중앙부(16)의 두 께보다 얇다. 정렬부(12)는 중심부(16)와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는 하이드로겔 또는 실리콘 폴리머와 같은 하드, 세미 하드 또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재질을 포함하여 다른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고정 브리지(15)가 중앙부(16)와 정렬부(12) 사이에 휨(flexture) 량을 더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4A-D를 참조하면, 고정 브리지(15)는 중심부(16)와 정렬부(12)를 연결하는 단일 부재(도 4A)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복수 부재(도 2, 3 및 4B-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C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중심부(16)는 고정 브리지(15)에 연결되어 있고, 각 고정 브리지(15)는 정렬부(12)에 직접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D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브리지(15)가 베이스부 또는 베어링부(11A)(도 3)에 의해 정렬부(12)에 연결되어 있고 고정 브리지(15)는 정렬부(12)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브리지(15)는 정렬부(12) 또는 중앙부(16)와 직접적인 접촉 또는 연결되지 않고, 베이스부 또는 베어링부(11A)를 통하여 정렬부(12)와 중앙부(16)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A-D 및 도 5A-B를 참조하면, 착용자의 각막의 만곡 반경과 관련하여, 고정 브리지(15)는 중심부(16) 및/또는 정렬부(12)의 만곡 반경과 유사한 콘택트렌즈의 만곡 반경을 전체적으로 제공한다. 그러나, 고정 브리지(15) 부재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각도로 중심부(16)과 정렬부(1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착용자의 각막(2)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베이스부 또는 베어링부(11A)는 중심부(16)와 정렬부(12) 모두에 연결된다. 베어링부(11A)는, 접착제를 가하여 함께 재질을 용해 또는 히팅시키거나 베이스부(11A)와 커버부(11B) 사이에 중심부(16)와 정렬부(12)를 끼워넣음으로써(sandwich) 중심부(16)와 정렬부(12)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와 베어링부가 중심부와 정렬부를 끼워 넣거나 캡쳐하도록 형성되어, 커버(11B)는 베어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베어링부(11A)는 각막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중심부와 정렬부가 각막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형성된다. 베어링부(11A)는 또한 중심부(16)와 정렬부(12) 사이에 플렉시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베어링부(11A)는 중심부(16) 재질 보다 더 큰 유연 특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면, 하이드로겔, 실리콘 폴리머, 및 유연한 특성을 갖는 다른 소프트 또는 세미 소프트 재질이다.
베어링부(11A)는 중심부(16)와 정렬부(12) 사이의 렌즈 부분이 플렉스(flex) 또는 리프트(lift) 되도록 하는 유연한 또는 피봇 구역(pivoting area)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플렉스되거나 또는 리프트되는 것은 다음의 렌즈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한다:
1) 시간이 지나 렌즈의 형상이 변함에 따라 렌즈는 각막의 형상에 더 잘 맞추어진다.
2) 중심부(16)와 정렬부(12) 사이에 전이 공간(transition space) 또는 티어부(tear zone)가 개발될 수 있다.
3) 정렬부(12)가 플렉스하여 직경을 변화시키면서 정렬부(12)는 더 쉽게 플렉스된다.
4) 착용자의 각막에 렌즈를 유지시키는 모세관 현상이 증진된다.
5) 중심부의 제 1 힘에 응하여 각막의 형상이 변화됨으로써 렌즈 아래에 각막을 위한 더 넓은 공간이 제공된다.
6) 착용자의 각막의 주변 지역에 가해지는 제 2 힘의 제어 또는 변이성(variability)이 향상된다.
7) 착용자가 장시간 동일한 렌즈를 착용시 렌즈 형상의 변이성이 증진된다.
8) 착용시간을 증가시키면서 편안한 표면을 제공한다.
선택적인 티어부(17)가 중앙부(16)와 정렬부(12) 사이에 베어링부의 굴곡을 더 제어하기 위하여 콘택트렌즈에 통합될 수 있다. 이는 중간 주변(mid-peripheral) 각막 조직의 재배치(redistribution)를 용이하게 하고, 각막 표면 상에 렌즈의 안정화를 용이하게 하고, 각막 표면 위의 눈물 순환을 용이하게 한다. 티어부 굴곡 반경은 중심부의 굴곡 반경보다 작고 중심부(16)와 정렬부(12) 사이에 위치된다.
소프트 실리콘-하이드로겔에 있어서, 모노머 비율은 20% ~ 50% 함수량을 생산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 렌즈는 증가된 산소 투과성의 추가된 잇점을 가진, 표준 하이드로겔 렌즈와 매우 유사하다. 산소 투과성은 조성(formulation) 상 실리콘 모노머의 양에 의해 주로 제어된다. 이러한 렌즈는 최적의 표면 특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표면처리될 수 있다. 현재는 모든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가 몰딩되지만, 소프트하면서 강성의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는 선반절삭될 수 있다.
강성 또는 반강성 실리콘-하이드로겔 폴리머는 모노머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함수율 0 ~ 60% 범위를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낮은 함수율에서는, 폴리머 가 더 강성이 된다. 두가지 타입의 강성 실리콘-하이드로겔 물질이 있다. 첫번째 타입은, 친수성 모노머의 비율을 줄이고 크로스링크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함수율과 팽창(expansion)이 억제된다. 폴리머는 매트릭스 안으로 물을 빨아들이지 않지만, 표면은 하이드로겔 렌즈와 유사한 수화(hydrate)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두번째 타입의 실리콘-하이드로겔 폴리머는, 반응 가수분해성 모노머가 조성에 포함된다. 렌즈가 물에 놓여지면, 반응 모노머는 하이드로겔 렌즈처럼 친수성 표면을 생산하면서 가수분해한다. 이 반응은 크로스링킹에 의해 팽창이 억제되기 때문에 내부로 진행될 수 없다. 이 타입은 렌즈가 손상되거나 다시 닦여지면 친수성 표면을 재생시키는 새로운 특성을 갖는다. 또한 친수성이면서 반응성 모노머를 모두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재질이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구체적 실시예에 의해 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상술된 렌즈를 생산하기 위해 다양한 재질과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것에 더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이 상술한 기술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중앙부(16), 정렬부(12), 또는 고정 브리지(15)는 하드, 세미-하드, 또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재질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이드로겔, 소프트 실리콘-하이드로겔, 실리콘 폴리머, 실리콘-하이드로겔 폴리머, 외과용 스테인레스 스틸, 구조적 메모리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금속, 플라스틱 또는 금속 메시, 또는 실리콘.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는 근시 또는 원시의 시력 교정이 될 뿐만 아니라 착용감이 편안하여 착용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Claims (26)

  1. 시력교정용 각막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중심부 만곡 반경, 중심부 측면 두께 및 중심부 직경을 갖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 둘레에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위치되는 정렬부; 및
    상기 중심부에 연결되고 상기 정렬부에 연결되고, 각막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정렬부가 상기 각막에 직접 닿는 것을 막도록 형성된 베어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택트렌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는 시력 교정중 실제적으로 각막의 정중앙에 중심으로 조정된 지역에 중심 압축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는 각막 중심 부분의 측정된 만곡 반경 보다 더 큰 만곡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가, 상기 중심부가 실제적으로 각막의 정중앙에 유지되도록 하는 중심화력을 생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 측면 두께가 상기 중심부 측면 두께 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가 상기 중심부 재질 보다 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에 연결되고 상기 정렬부에 연결되는 고정 브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리지, 상기 중심부 및 상기 정렬부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 상기 정렬부 및 상기 고정 브리지가 상기 베어링부 재질 보다 유연성이 덜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에 연결되고 상기 정렬부에 연결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에 연결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와 상기 베어링부 사이에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정렬부 모두를 끼워넣기 또는 캡쳐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소프트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소프트 재질은 중심부 재질 보다 더 큰 유연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막 콘택트렌즈가 적어도 하나의 가스 투과성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가 가스 투과성 세미-하드 또는 하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세미-하드 또는 소프트 재질로 만들어진 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16.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드 또는 세미-하드 재질로 만들어진 중심부와 소프트 폴리머로 만들어진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17. 청구항 1에 있어서,
    금속 메쉬 재질로 만들어진 중심부, 정렬부 또는 고정 브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 둘레에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위치되는 티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티어부는 상기 중심부의 만곡 반경 보다 더 작은 티어부 만곡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19. 시력 교정용 콘택트렌즈 디바이스에 있어서,
    중심부;
    상기 중심부 둘레에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위치되고, 실제적으로 각막의 정중앙에 중심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정렬부;
    소프트 또는 세미-소프트 재질로 만들어지되, 각막에 직접 접촉되고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정렬부가 각막에 각각 닿는 것을 막도록 형성된 베어링부; 및
    상기 베어링부에 연결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와 상기 베어링부가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정렬부를 캡쳐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에 연결되고 상기 정렬부에 연결되는 고정 브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리지, 상기 중심부 및 상기 정렬부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하드 또는 세미-하드 재질로 이루어진 중심부와 소프트 폴리머로 이루어진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23. 시력교정용 각막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세미-하드 또는 하드 재질로 만들어진 중심부;
    상기 중심부 둘레에 동일한 중심을 갖게 위치되고, 실제적으로 각막의 정중앙에 중심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정렬부;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정렬부에 연결되고, 소프트 또는 세미-소프트 재질로 만들어지되, 각막에 접촉되고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정렬부가 각막에 각각 직접 닿는 것을 막도록 형성된 베어링부; 및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정렬부에 연결되는 고정 브리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에 연결되고 상기 정렬부에 연결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에 연결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와 상기 베어링부 사이에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정렬부 모두를 끼워넣기 또는 캡쳐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디바이스.
  26. 청구항 23에 있어서,
    하드 또는 세미-하드 재질로 만들어지는 중심부와 소프트 폴리머로 만들어지는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KR1020070075297A 2006-07-28 2007-07-26 각막교정술에 사용되는 콘택트렌즈 KR200800110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94,938 US20080024717A1 (en) 2006-07-28 2006-07-28 Contact lens used in orthokeratology
US11/494,938 2006-07-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097A true KR20080011097A (ko) 2008-01-31

Family

ID=3898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297A KR20080011097A (ko) 2006-07-28 2007-07-26 각막교정술에 사용되는 콘택트렌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024717A1 (ko)
KR (1) KR200800110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3011987A (es) 2003-12-19 2005-06-23 Osio Sancho Alberto Metodo para el tratamiento de la presbicia induciendo cambios en el poder y fisiologia corneal.
WO2009149116A2 (en) 2008-06-06 2009-12-10 Global-Ok Vision, Inc. Soft contact lenses for treating ametropia
KR102184340B1 (ko) 2012-08-10 2020-12-01 오시오 코포레이션 디/비/에이 율리아 헬스 안과적 상태 치료시의 컨택트 렌즈 사용
US9668916B2 (en) 2013-11-04 2017-06-06 Vance M. Thompson Conjunctival cover and methods therefor
US9869883B2 (en) 2015-03-11 2018-01-16 Vance M. Thompson Tear shaping for refractive correction
US10353220B2 (en) 2016-10-17 2019-07-16 Vance M. Thompson Tear shaping for refractive correction
US10678067B2 (en) 2018-04-06 2020-06-09 Vance M. Thompson Tear shaping for refractive correction
US20200085564A1 (en) 2018-09-18 2020-03-19 Vance M. Thompson Structures and methods for tear shaping for refractive correction
CN109116578B (zh) * 2018-09-25 2019-12-20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微结构化角膜接触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6941A (en) * 1962-02-28 1966-04-19 Herbert L Moss Contact lens with upper crescent shaped scleral flange and having vent channels and apertures
US5191365B1 (en) * 1991-08-23 2000-08-15 Contex Inc Corneal contact lens and method for treating myopia
US5963297A (en) * 1997-06-27 1999-10-05 Reim; Thomas Russell Orthokeratology contact lens and method therefor
US6851805B2 (en) * 1999-07-02 2005-02-08 E-Vision, Llc Stabilized electro-active contact lens
US6543897B1 (en) * 2000-11-17 2003-04-08 Hsiao-Ching Tung Orthokeratology contact lens
US6481779B1 (en) * 2001-10-10 2002-11-19 Aero Industries, Inc. Retractable tarp cover system for containers
US7018039B2 (en) * 2003-11-14 2006-03-28 Synergeyes,Inc. Contact lens
JP2008508567A (ja) * 2004-08-04 2008-03-21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補剛リブ形体を中に備えた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24717A1 (en)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1097A (ko) 각막교정술에 사용되는 콘택트렌즈
TWI383190B (zh) 治療非正視眼的軟式隱形眼鏡
US4952045A (en) Corneal contact lens and method for treating myopia
JP4842266B2 (ja) 屈折手術後若しくは以前受けた角膜矯正後の、又は円錐角膜の変形した角膜を再成形するコンタクトレンズ
US5963297A (en) Orthokeratology contact lens and method therefor
EP1334398B1 (en) Contact le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6543897B1 (en) Orthokeratology contact lens
US7735997B2 (en) Rigid contact lens
US20050213030A1 (en) Corrective lens for corneal reshaping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design of the corrective lens
JP2008541788A5 (ko)
JP2005534994A (ja) 角膜矯正用2焦点コンタクトレンズ
CA1118247A (en) Contact lens with improved interior surface
JP2019045883A (ja) フィット特性が改善されたコンタクトレンズ
CN211293489U (zh) 多焦点角膜接触镜
CN211293490U (zh) 角膜接触镜
WO2017096995A1 (zh) 软性角膜接触镜
EP0683416A1 (en) Corneal contact lens for controlled keratoreformation
CN116583779A (zh) 矫正散光的隐形眼镜
US11733544B2 (en) Orthokeratology lens with displaced shaping zone
CN219046162U (zh) 一种离焦近视防控角膜接触镜
CN216927287U (zh) 一种四弧区角膜塑形镜
CN214098005U (zh) 角膜塑形镜
JPH026421Y2 (ko)
CN117170119A (zh) 减缓近视与舒压隐形眼镜
JP2000042022A (ja) 視力回復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