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628B1 - 유자분말 포함 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강정 - Google Patents

유자분말 포함 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강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628B1
KR101149628B1 KR1020090110690A KR20090110690A KR101149628B1 KR 101149628 B1 KR101149628 B1 KR 101149628B1 KR 1020090110690 A KR1020090110690 A KR 1020090110690A KR 20090110690 A KR20090110690 A KR 20090110690A KR 101149628 B1 KR101149628 B1 KR 101149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gangjeong
citron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378A (ko
Inventor
윤여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드원
Publication of KR20110041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14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fruits, nuts, e.g. almonds, seeds, plants, plant extracts, essential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4Mouthfeel improving ag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강정의 전체 중량 대비 설탕을 5-10 중량부 포함하는 물엿 45-55 중량부, 유자분말 2-5 중량부,올리브유 4.5-5 중량부, 쌀 또는 현미 튀밥 35-40 중량부, 및 믹스넛 8-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강정이 딱딱하지 않고, 아삭한 느낌을 주며, 입에 붙지 아니하며 혈소판의 응집을 저해하는 효능을 가지는 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강정이 개시된다.
강정, 유자분말, 튀밥, 믹스넛

Description

유자분말 포함 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강정{A MANUFACTURING METHOD OF A GANGJEONG CONTAINING THE POWDER OF A CITRON AND THE GANGJEONG MADE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유자분말 포함 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유자분말 포함 강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제조되는 강정의 전체 중량 대비 설탕을 5-10 중량부 포함하는 물엿 45-55 중량부를 올리브유 4.5-5 중량부와 혼합하여 100℃로 끓이는 단계, 상기 물엿을 끓이는 단계중에 유자분말 2-5 중량부를 투입하여 150rpm으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튀밥 35-40 중량부를 투입하여 150rpm으로 혼합하는 단계, 믹스넛 8-1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평탄화, 절단 이후 실온의 실내에서 2시간 정도 방치하여, 딱딱하지 아니하고, 아삭한 느낌을 주며, 입에 붙지 아니하고 혈소판의 응집을 저해하는 효능을 가지는 유자분말 포함 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유자분말을 포함하는 강정에 관한 것이다.
전통한과는 유과류로서 강정과 산자류가 있는데, 찹쌀을 물에 오랫동안 담구었다가 빻아 찹쌀가루로 만들어 술로 반죽하여 찐 떡을 얇게 밀어 말렸다가 기름에 지져 옷을 입힌 것이다. 크게 산자, 강정류로 나뉘고 그외에 빙사과 등으로, 산자와 강정은 기본 조리법이 같다. 산자는 네모로 편하게 썬 것이고, 강정은 산자보다 적고 갸름하게 썬 것으로 일명 손가락강정이라 고도한다. 또한 이 두 종류의 과자는 고물에서도 차이가 나는데 산자는 주로 찰벼 튀긴 매화, 세반, 비늘잣, 깨 등이 쓰이고 강정은 깨, 잣, 콩가루, 송화가루, 당귀가루, 계피가루, 세반 등이 사용된다. 강정과 산자는 겉에 옷에 입히는 고물에 따라 명칭이 각각 달리 불리워지고 또 고물에 착색한 색깔에 따라 백산자, 홍산자 등으로 불리운다. 한편 강정, 산자류에는 또 빙사과라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강정과 산자를 만들고 난 부스러기를 팥알만큼씩 썰었다가 말려 기름에 지져 엿으로 서로 밀착시킨 다음 썬 것이다. 합천유과에서는 주재료엔 찹쌀에 고춧가루를 넣어 새로이 개발한 고추강정 및 산자, 청태, 백태, 속청 등의 콩을 혼합한 콩엿강정 등이 있다.
강정은 명절이나 잔치 및 제례시에 만들어서 먹는 간식거리로서 신라, 고려 시대부터 고도로 발달하여 온 음식으로서, 현재는 전통식품이나 기호식품으로 애용되고 있으며, 자연식으로 그 인식과 소비가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며, 미국의 시장조사 결과에 의하면 백인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히스패닉계가 즐겨서 먹는 음식이 되고, 또한 일본에서 애용하는 과자로서 이들 시장에의 수출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는 전통한과이다.
국내 및 해외시장에 수출되고 있는 강정으로 특히 애용되는 것은 딱딱하지 않고, 아삭하며, 입에 붙지 않아야 하며, 다이어트를 위하여 칼로리가 높지 아니한 강정이어야 하지만, 이러한 요구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강정은 현재 시판 중에 있지 아니하다.
또한, 강정이 자연식이며 건강식으로 인식됨에 따라 여기에 여러 가지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을 첨가한 강정들의 개발에 대한 시도가 있어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84432호에는 죽엽을 포함하는 강정이 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687480호에는 더덕을 포함하는 강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유자를 포함하는 강정은 아직 시도되지 아니하였다.
유자(Citrus junos)는 운향과, 감귤류 속에 속하며 중국 양쯔강 상류가 원산지로 한국,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유자는 고흥, 완도, 장흥 등의 남해안 일대에서 자생되며 수확기가 11월에서 12월로 한정되어 있고 저장성이 좋지 않아 수확 즉시 생과나 당 절임 형태인 유자차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재배농가가 늘면서 최근 생산량이 증가되고 유자에 대한 건강기능성이 일부 밝혀지면서 새로운 가공 및 음용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유자는 노랗고 주먹보다 조금 작은 크기의 한쪽으로 치우친 공 모양.지름은 4~8cm이며, 신맛이 강하고 부드럽다. 종류에는 청유자,황유자,실유자가 있가 있으며 한국의 유자는 가장 향이 깊고 과육이 부드러우며 껍질이 두껍다. 유자의 향은 과피 부분에 함유된 방향성의 정유로서, 이는 미세한 장원형 유포에 들어 있으며 유포는 과피조직 1㎠당 약 40개 가량 존재하고 있다. 주성분은 리모넨으로서 72.5%를 차지하며 과피부위에 많으며 테르피넨, 사비넨, 마이리신, 알팔피넨 순으로 들어있다.
얇게 저며 차를 만들거나 소금이나 설탕에 절임을 하여 먹는다. 과육은 잼?젤리?양갱 등을 만들고 즙으로는 식초나 드링크를 만든다. 껍질은 얼려 진공건조한 뒤 즉석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가루를 내어 향신료로 쓰고, 기름을 짜서 식용유나 화장품용 향료로 쓴다. 술을 담그기도 한다.
유자에 들어있는 유기산 중 가장 많은 것은 구연산(Citric acid)으로 총 유기산의 60% 내외를 차지하며 수산(Oxalic acid), 능금산(Malic acid), 호박산(Saccinic acid) 순이다. 유자에 가장 많은 구연산은 피로회복, 식욕증진 등에 효과가 있는 성분이며 특히 장기 복용시 인체에 복합적으로 유익한 작용을 한다. 비타민류는 비타민 B₁,B₂, 및 C가 많다. 특히 비타민 C는 유자가 참다래의 3.8배 단감의 2배 정도가 들어있고 온주밀감 보다 많이 들어 있어서 피로회복, 식욕촉진, 감기예방 등에 매우 중요한 과일이다 비타민 B₁(티아민)은 각기병(다리가 붓고 마비되는 병)과 신경염 예방에 중요한 성분이데 사과, 복숭아의 10배 단감의 3배정도 들어 있다. 특히 쌀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인에게 비타민 B₁은 부족되기 쉬운 성분이다. 비타민 B₂(라이보플라빈)도 사과, 복숭아, 포도 등에 비해 많은 편인데 이 성분은 염증예방에 효과가 있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유자에 함유되어 있는 헤스페리딘은 감귤류에 특이하게 많은 플라보노이드계의 일종으로서 비타민 P의 활성물질이다. 이 성분의 식품적 기능을 보면 다음과 같다. 모세혈관을 강화하여 뇌출혈 예방에 특효가 있다. 항동맥경화, 혈압강화 작용을 거쳐서 고혈압 예방에 유효하다. 간의 해독작용을 도와 피로회복에 좋다. 항암 항알레르기 항염증 및 기타 항균작용을 가져 체질개선 및 병에 대한 저항력을 가진 다. 비타민 분해를 억제하여 신체의 생리활성을 높인다. 또한, 암예방, 면역증강, 항산화 생체내 항산화 백내장 예방, 심장질활 예방, 생체내 항산화 작용 쥐 백혈병 세포의 분화유도 악성 종양의 생장억제 항산화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항궤양 작용구강종양의 성장억제, 발암억제, 항균작용, 혈압상승작용. 또한 감귤류의 항혈전 효능이 알려져 있다(J Fd Hyg. Safety, Vol 23, No 4, page 300, 2008, 김소정 등).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효능과 함께 기호성이 적합한 유자를 포함하는 강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자를 포함하는 강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강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제조되는 강정의 전체 중량 대비 설탕을 5-10 중량부 포함하는 물엿 45-55 중량부, 올리브유 4.5-5 중량부, 유자분말 2-5 중량부, 쌀 또는 현미 튀밥 35-40 중량부, 및 믹스넛 8-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강정이 딱딱하지 않고, 아삭한 느낌을 주며, 입에 붙지 아니하며 혈소판의 응집을 저해하는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물엿(일명 조청)에는 설탕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강정의 칼로리를 줄여 다이어트용 강정을 제조하기 위하여 설탕을 5-10 중량부만 포함한다. 물엿의 상기 중량부는 튀밥을 알맞게 버무리기 위한 적정량이며, 55 중량부 이상이 되면 제조되는 강정의 절단 작업이 어려워지며, 45 중량부 미만이 되면 강정의 단맛이 충분치 않게 된다. 물엿을 상기의 중량부를 사용하여야 제조되는 강정이 아삭아삭한 특징이 부여되며, 강정을 씹고 났을 때 입에 끈적이는 감촉을 제거할 수 있다.
포함되는 유자분말은 유자의 영양 성분을 최대한 보호하기 위하여 통상의 진 공건조온도(65℃)보다 낮은 40-50℃의 진공상태에서 8-10시간동안 건조하여 분쇄기를 사용하여 약 100메쉬의 크기로 만들어 사용한다. 유자의 함량이 상기의 2 중량부 이하가 되면 혈소판 응집의 저해효과가 충분치 않으며, 5 중량부 이상이 되면 제조되는 강정의 신맛이 강하게 되어 관능적 품질이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유자차에 사용되는 유자 건더기를 이용할 경우는 강정에 이질감을 부여하기 때문에 유자분말을 사용한다.
튀밥은 쌀 또는 현미를 사용하는데, 찐쌀을 사용할 경우는 제조되는 강정이 딱딱하다는 단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중량부 이상을 사용할 경우는 제조공정을 마친 강정을 펴고 절단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중량부 이하를 사용하면 강정이 너무 물러서 절단 후 형상을 제대로 유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강정의 칼로리를 낮추기 위하여 설탕을 5-10 중량부만 사용하고 대신 믹스넛을 8-12 중량부 사용한다. 믹스넛은 넛트류를 적정함량 혼합하여 만드는 것으로 넛트류로서는 비제한적으로 밤, 땅콩, 호도, 아몬드 및 캐슈넛 등을 사용한다. 넛트를 8 중량부 이하 사용하면 너트 고유의 향미를 느낄 수 없고, 12 중량부 이상을 사용할 경우는 너트의 향이 너무 강하여 강정 고유의 맛을 해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강정의 외면에 기호에 따라 섭취할 수 있도록 볶은 깨나 쵸코렛 및 해바라기 씨 등을 적정량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자분말 포함 강정에 의하여 대한민국 국민 및 히스패닉계와 함께 일본인의 입맛과 기호에 맞는 기호 식품을 개발하여 한국 전통 한과의 수출향상에 기여하고, 유자 재배 농가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창출된다.
실시예 1 : 유자분말을 포함하는 강정의 제조
상기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강정을 제조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중에서 구입한 설탕을 100g 포함하는 물엿 700g을 올리브유 80g과 혼합하여 100℃로 끓이고 여기에 전라남도 고흥에서 재배된 유자분말을 50g 투입하고 밤 30g, 땅콩 30g, 아몬드 40g, 호두 30g, 및 캐슈넛 40g으로 이루어진 믹스넛을 투입하여 이를 150rpm으로 1차 혼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혼합물에 튀밥을 550g 투입하여 역시 150rpm으로 2차 혼합하였다. 이를 사각형의 성형틀에 고르게 펴고 롤러를 사용하여 상면을 평탄하게 하였다. 상면이 평탄한 것을 칼날을 이용하여 절단하고, 절단된 강정을 실내에서 실온상태로 2시간 정도 방치시켜 건조하고, 포장하였다.
물엿 끓임단계에서는 대두유 대신 올리브유를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차후에 물엿과 혼합된 곡물을 평평하게 펴고 절단하기 편리하게 하기 때문이다. 물엿을 올리브유로 끓이는 단계에서 유자분말을 투입하게 되는데 이 때 투입하는 것이 골고루 섞이는데 효과가 있음이 실험결과 밝혀졌다.
쌀이나 현미 튀밥을 만들기 위해서는 170℃의 식용유에서 튀기게 되는데, 실험결과 상기의 온도에서 튀기는 것이 강정의 아삭함에 기여를 하게 된다.
실시예 2 : 제조된 강정의 항 혈소판 응집효과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강정의 항 혈소판 응집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웅성 흰쥐 (230g)에서 채혈하여 얻은 혈소판 다량 함유 혈장을 이용하여 혈소판 응집 유도제인 콜라젠을 가함으로써 혈소판 응집 반응을 유도하였다. 이 때, 혈소판 응집측정기(Chronolog, Harvertown, PE, USA)를 이용하여 혈소판 응집 반응을 관찰하였다.
콜라젠 2μg/ml로 혈소판 응집 반응을 유도하였으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강정 추출물을 농도별로 전 처리한 경우와 대조군을 비교 관찰하였다. 상기 유자포함 강정의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으며, 30 mg/ml, 100 mg/ml, 200 mg/ml, 300 mg/ml 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14.9 %, 19.6 %, 89.9 %, 100 %의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이 관찰 되었다.
Figure 112009070378389-pat00001
실시예 3 : 관능검사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강정을 이용하여 시중에서 시판되는 A사, B사 및 C사의 강정과 함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관능검사 요원 30명에 대해 5점 척도 기호도 검사(5:매우 좋다, 4: 좋다,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관능검사 결과
항목 실시예 1 A사 B사 C사
4.2 3.8 4.2 3.7
부드러움(딱딱하지 아니함) 4.5 4.2 3.6 3.8
아삭한 정도 4.3 3.8 3.7 2.8
입에 붙지 않는 정도 4.6 4.3 4.1 3.8
종합적인 기호도 4.5 4.0 3.8 3.5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한 강정은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강정과 비교하였을 때, 부드러움의 정도(딱딱하지 아니함), 아삭한 정도, 입에 붙지 않는 정도 등에서 현재 시중에서 시판 되고 있는 강정에 비하여 양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강정의 사진이다.

Claims (2)

  1. 강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조되는 강정의 전체 중량 대비 설탕을 5-10 중량부 포함하는 물엿 45-55 중량부를 올리브유 4.5-5 중량부와 혼합하여 100℃로 끓이는 단계;
    상기 물엿을 끓이는 단계중에 유자분말 2-5 중량부와 믹스넛 8-12 중량부를 투입하여 150rpm으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쌀 또는 현미 튀밥을 35-40 중량부 투입하여 150rpm으로 혼합 하는 단계; 및
    평탄화, 절단 이후 실온의 실내에서 2시간 정도 방치하여, 딱딱하지 아니하고, 아삭한 느낌을 주며, 입에 붙지 아니하고 혈소판의 응집을 저해하는 효능을 가지는 유자분말 포함 강정의 제조방법.
  2. 제조되는 강정의 전체 중량 대비 물엿 45-55 중량부, 올리브유 4.5-5 중량부, 유자분말 2-5 중량부, 쌀 또는 현미 튀밥 35-40 중량부, 및 믹스넛 8-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딱딱하지 않고, 아삭한 느낌을 주며, 입에 붙지 아니하고 혈소판의 응집을 저해하는 효능을 가지는 청구항 1항에 의하여 제조되는 유자분말 포함 강정.
KR1020090110690A 2009-10-15 2009-11-17 유자분말 포함 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강정 KR101149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091 2009-10-15
KR20090098091 2009-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378A KR20110041378A (ko) 2011-04-21
KR101149628B1 true KR101149628B1 (ko) 2012-05-25

Family

ID=4404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690A KR101149628B1 (ko) 2009-10-15 2009-11-17 유자분말 포함 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강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6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638A (ko) 2016-04-27 2017-11-06 조성란 통곡물 강정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710B1 (ko) * 2011-10-06 2012-05-22 노정호 양파를 이용한 한과 반대기, 이의 제조방법 및 한과
KR101428862B1 (ko) * 2012-10-10 2014-08-12 노둘래 현미유자후레이크 및 그 제조방법
CN103829014A (zh) * 2014-02-24 2014-06-04 郎溪县睿智生产力促进中心有限公司 一种具有护心滋阴的炒米糖
KR102079558B1 (ko) * 2018-04-04 2020-02-20 주식회사 농업법인장원식품 오브라이트를 포함하는 감귤 튀밥 강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7334B1 (ko) * 2021-01-27 2024-01-24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포성 비타민제제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355A (ko) * 1999-10-07 2001-05-07 이명구 강정의 제조 방법
KR20030073760A (ko) * 2002-03-13 2003-09-19 주식회사 더존식품 쌀과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355A (ko) * 1999-10-07 2001-05-07 이명구 강정의 제조 방법
KR20030073760A (ko) * 2002-03-13 2003-09-19 주식회사 더존식품 쌀과자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638A (ko) 2016-04-27 2017-11-06 조성란 통곡물 강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10695A (ko) 2016-04-27 2019-01-30 이한석 국내산 식자재와 튀기지 않은 여섯 가지의 통곡물을 첨가한 건강식 통곡물 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 통곡물 강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378A (ko)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63996B (zh) 一种咖啡替代物及其制备方法
KR101149628B1 (ko) 유자분말 포함 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강정
CN104222772A (zh) 一种干果肉糯米糕点及其制备方法
KR102223390B1 (ko)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02079B1 (ko) 블루베리 호두 찐빵의 제조방법
KR102075481B1 (ko) 찹쌀가루를 이용한 한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과
KR20200064393A (ko) 찰보리 찹쌀떡과 그 제조방법
KR100609450B1 (ko) 발아땅콩을 이용한 김치양념
KR101557627B1 (ko) 셀룰로오스 및 코코넛을 함유한 단호박 호두 설기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4709A (ko) 볼형 구운 단감유과
KR20080052602A (ko) 콩 또는 콩깍지의 제조방법
KR101973670B1 (ko) 국내산 식자재와 튀기지 않은 여섯 가지의 통곡물을 첨가한 건강식 통곡물 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 통곡물 강정
KR101836040B1 (ko) 기능성 식품을 갖는 곶감강정 제조 방법
KR20110138127A (ko) 무화과를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떡
KR101855463B1 (ko) 건강보조식품용 초콜릿 및 그 제조방법
KR102547623B1 (ko) 메리골드 김부각 및 그 제조방법
KR101571402B1 (ko) 12곡 영양곡물분을 이용한 쌀호떡 및 그 제조방법
KR101085968B1 (ko) 쑥, 버찌, 비트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 분말을 이용한 저장성이 향상된 매작과의 제조방법
KR102160696B1 (ko) 한방장각치킨 수제비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조된 한방장각치킨 수제비
KR102464983B1 (ko) 다이어트용 면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4950A (ko) 카카오엿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카카오엿
KR102330369B1 (ko) 카카오콩을 포함하는 칩쿠키 제조방법
KR102341579B1 (ko) 양파 강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3302B1 (ko) 동결건조 청국장과 강황 및 유기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즉석죽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7722B1 (ko) 콩과 팥을 이용한 산미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