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313B1 - 카레맛 향미유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카레맛 향미유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313B1
KR101149313B1 KR1020090119118A KR20090119118A KR101149313B1 KR 101149313 B1 KR101149313 B1 KR 101149313B1 KR 1020090119118 A KR1020090119118 A KR 1020090119118A KR 20090119118 A KR20090119118 A KR 20090119118A KR 101149313 B1 KR101149313 B1 KR 10114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urry
flavor
powder
curry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402A (ko
Inventor
이종일
진중현
박완규
최정호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9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3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8Taste or flavour enhanc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Seasoning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레분 또는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를 식용유지로 추출하여 얻어진 카레맛 향미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80~90℃의 식용유지에 카레분 또는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를 혼합하는 단계; (b) 단계(a)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120~160 ℃에서 5~20 분 동안 가온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c) 단계(b)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레맛 향미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카레, 향미유, 향신료

Description

카레맛 향미유 및 그의 제조방법{Flavored oil having curry tast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레맛 향미유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레의 독특한 풍미를 갖는 향미유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미유(flavored oil)"라 함은, 한국식품공업협회 발간 식품공전(2008년) 제4 식품 기준 및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식용유지(다만, 압착참기름, 초임계추출참기름, 압착들기름, 초임계추출들기름은 제외)에 향신료, 향료, 천연추출물, 조미료 등을 혼합한 것(식용유지 50% 이상)으로서, 조리 또는 가공 시 식품에 풍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55184호는 식용유에 볶은참깨를 넣어 혼합 분쇄한 후 교반 및 정제한 향미유의 제조방법을 개시한 바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41005호는 추출 참깨유, 해바라기유, 옥배유, 채종유, 대두유, 및 참깨향과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식품 첨가용 향미유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71560호는 당과 아미노산이 일정한 온도(80-120℃)에서 반응하면서 창출되는 향미 성분과 향신료, 천연추출물, 조미료, 비타민-E 등이 부합되어 만들어지는 풍미성분을 식용 유지에 이전시키는 개선된 향미유의 제조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한편, 카레는, 식품공전에 따르면, 조미식품의 한 종류로 향신료를 원료로 한 카레분 또는 이에 식품이나 식품첨가물 등을 가하여 만든 것으로 정의된다. 카레분은 커민(cumin), 펜넬(fennel), 클로브(clove), 신나몬(cinnamon), 너트맥(nutmag), 터메릭(tumeric), 코리앤더(coriander), 고추(red pepper), 카르다몸(cardamom) 등의 10종 이상 강한 향신료로 구성되어 있다. 카레를 구성하고 있는 천연 향신료 성분은 위장을 튼튼하게 해주며 향산화력과 항암효과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여져 있다. 그러나, 카레분을 구성하는 각각의 천연 향신료 각각은 너무 강한 향신 특성을 가지고 있어, 조리용 카레를 제조할 경우 통상 카레분 원료를 약 80 ℃에서 볶은 다음 약 1~3개월 동안 숙성시키거나 혹은 각 향신료를 배합비에 맞게 혼합한 후 약 100℃에서 볶아서 얻어진 것을 사용함으로써, 카레분의 독특한 향신 특성을 온화하게 한 후 사용하고 있다.
조리용 카레는 그 형태에 따라 분말형, 고형, 플레이크 형으로 대별된다. 형태별 카레의 가장 큰 차이점은 지방(또는 식용유지)의 함량으로, 분말형 카레는 통상 10~12 중량% 식용유지 함량을 가지며, 카레분 및 기타 부재료의 단순 혼합에 의해 제조된다. 고형 카레는 약 25~30 중량% 정도의 식용유지 함량을 가지며, 소맥분과 경화유지로 루(Roux)를 만들어, 카레분과 기타부재료를 혼합하여 초콜릿 형태와 같이 경화시켜 제조된다. 플레이크형 카레는 고형 카레를 작은 조각으로 절단하거나, 고형으로 굳히기 전에 성형 틀을 사용하지 않고 절편 상으로 냉각 성형한 것을 말한다. 조리용 카레에 사용되는 식용유지로는 정제팜유, 대두유, 채종유 등 의 식물성 유지 또는 정제우지, 정제돈지 등의 동물성 유지가 사용되며,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된다. 통상, 상온에서 액체상태인 유지는 추가적인 처리공정 없이 그대로 카레분 및 기타 식품 첨가물과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온에서 고체인 유지의 경우 적절한 방법으로 용해한 후 역시 추가적인 처리공정 없이 카레분 및 기타 식품 첨가물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용 카레 제조시 카레분 자체의 강한 향신 특성으로 인하여 볶음 및 숙성을 통한 전처리를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장기간 소요되어 생산에 어려움이 따르고, 또한 전처리를 통하여 얻어진 카레분 원료를 사용할 경우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특정 열처리 조건하에서 카레분을 식용유지로 추출할 경우, 카레분을 구성하는 천연 향신료의 맛과 향이 식용유지로 이전되어, 카레의 독특한 풍미를 갖는 향미유가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얻어진 향미유를 사용하여 카레분 없이 조리용 카레를 제조하였을 때, 식용유지와 카레분을 혼합하여 얻어진 조리용 카레와 동등한 풍미를 얻을 수 있어, 카레분의 전처리(볶음 및 숙성)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얻어진 향미유를 사용하여 카레분과 함께 조리용 카레를 제조하였을 경우에는, 단순히 식용유지를 사용하여 제조한 조리용 카레에 비하여 카레의 풍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레의 독특한 풍미를 갖는 향미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레의 독특한 풍미를 갖는 향미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레맛 향미유를 포함하는 조리용 카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카레분 또는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를 식용유 지로 추출하여 얻어진 카레맛 향미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카레맛 향미유에 있어서, 상기 식용유지는 정제팜유, 대두유, 채종유, 미강유, 팜스테아린유, 및 팜올레인유로부터 선택된 식물성 유지 또는 정제우지 및 정제돈지로부터 선택된 동물성 유지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는 카레분, 흑후추, 및 건조마늘로 구성되거나 혹은 카레분, 펜넬, 쿠민, 및 흑후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a) 80~90℃의 식용유지에 카레분 또는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를 혼합하는 단계; (b) 단계(a)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120~160 ℃에서 5~20 분 동안 가온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c) 단계(b)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레맛 향미유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카레맛 향미유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용유지는 정제팜유, 대두유, 채종유, 미강유, 팜스테아린유, 및 팜올레인유로부터 선택된 식물성 유지 또는 정제우지 및 정제돈지로부터 선택된 동물성 유지일 수 있다. 단계(a)의 상기 혼합은 유화제를 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c)의 상기 여과는 30~40 mesh의 망목을 갖는 망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는 카레분, 흑후추, 및 건조마늘로 구성되거나 혹은 카레분, 펜넬, 쿠민, 및 흑후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상기 카레맛 향미유를 포함하는 조리용 카레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미유는 카레의 독특한 풍미가 식용 유지로 추출되어 얻어진 향미유로서, 카레맛을 부여하기 위한 식용 기름(즉, 식용유)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미유는 조리용 카레 제조시 카레분을 대신하여 혹은 저함량의 카레분과 함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향미유를 사용함으로써 카레분을 사용하지 않고도 종래의 조리용 카레와 동등한 풍미를 갖도록 제조할 수 있어, 카레분의 전처리(볶음 및 숙성)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카레분과 함께 조리용 카레를 제조할 경우에도, 카레의 풍미를 훨씬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관능수준의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를 식용유지로 추출하여 얻어진 카레맛 향미유를 제공한다.
상기 '카레맛 향미유'라 함은 카레의 풍미를 갖는 향미유로서, 상기 향미유는 한국식품공업협회 발간 식품공전(2008년) 제4 식품 기준 및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다. 상기 카레맛 향미유는 카레맛을 부여하기 위한 식용 기름(즉, 식용유)으로서 사용되거나 조리용 카레(레토로트 카레를 포함한다)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레분'은 통상의 카레분 원료 즉, 커민(cumin), 펜넬(fennel), 클로브(clove), 신나몬(cinnamon), 너트맥(nutmag), 터메릭(tumeric), 코리앤더(coriander), 고추(red pepper), 카르다몸(cardamonm) 등의 10종 이상의 천연 향 신료로 구성된 통상의 카레분 원료로서, 볶음이나 숙성 등의 전처리를 거치지 아니한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라 함은 카레분에 추가하여 카레 식품, 예를 들어, 분말형, 고형, 플레이크 형 등의 조리용 카레 및 레토로트 카레에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식용 향신료 원료를 포함하는 향신료 혼합물을 말하며, 상기 식용 향신료 원료로는 흑후추, 건조마늘 등을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카레분의 구성 천연 향신료 예를 들어 펜넬, 쿠민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흑후추를 사용할 경우, 흑후추는 씨앗(Whole) 상태의 것을 4등분 정도로 조각내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상태의 흑후추를 사용할 경우, 얻어지는 향미유의 색상이 과도하게 진해질 수 있다. 또한, 건조마늘을 사용하는 경우, 건조마늘은 통마늘을 얇게 썰어 건조한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향을 효율적으로 추출하는데 바람직하며, 절단 크기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펜넬, 쿠민, 계피, 클로브, 코리엔더, 고추, 후추 등의 천연 향신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분말 형태가 아닌 씨앗(Whole)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분말 상태의 향신료는 씨앗을 분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향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 중의 카레분 및 기타 식용 향신료 원료의 함량비는 기호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상기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는 카레분, 흑후추, 및 건조마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구성비는, 얻어지는 향미유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카레분 5~10 중 량%, 흑후추 1~2 중량%, 및 건조마늘 2~3 중량%일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상기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는 카레분, 펜넬, 쿠민, 및 흑후추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구성비는 얻어지는 향미유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카레분 5~10 중량%, 펜넬 1~5 중량%, 쿠민 1~5 중량%, 및 흑후추 1~3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식용유지'는 정제팜유, 대두유, 채종유, 미강유, 팜스테아린유, 팜올레인유 등의 식물성 유지, 또는 정제우지, 정제돈지 등의 동물성 유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용유지로는 추출시 고온에서의 가열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가급적 산패 속도가 느린 경화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화유로는 팜경화유, 우지경화유, 돈지경화유, 팜스테아린유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80~90℃의 식용유지에 카레분 또는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를 혼합하는 단계; (b) 단계(a)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120~160 ℃에서 5~20 분 동안 가온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c) 단계(b)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레맛 향미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카레맛 향미유', '카레분', '카레분을 포함한 향신료', 및 '식용유지'는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80~90℃의 식용유지에 카레분 또는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를 혼합하는 단계[단계 (a)]를 포함한다.
80~90℃의 식용유지는 식용유지를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직화(直火)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식용유지의 온도가 80 ℃ 미만일 경우는 카레분 또는 카레분을 포함한 향신료 중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성분의 추출속도가 느려 질 수 있고, 반면에 상기 식용유지의 온도가 90 ℃를 초과할 경우에는 카레분 또는 카레분을 포함한 향신료가 고온에 의해 타는 속도가 빨라져, 얻어지는 향미유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식용유지의 사용량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원료물질(즉, 식용유지 및 카레분 또는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90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혼합은 카레분 또는 카레분을 포함한 향신료를 효과적으로 용해시키기 위하여 유화제를 가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로는 식용으로 사용되는 유화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슈가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화제의 사용량은 용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정도로 사용되는 한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얻어지는 향미유 총 중량에 대하여 0.5~1 중량%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단계(a)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120~160 ℃에서 5~20 분 동안 가온하여 추출하는 단계[단계 (b)]를 포함한다.
상기 가온온도가 120 ℃ 미만일 경우, 정유성분 추출 속도가 느려질 수 있으며, 16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카레분 또는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가 급속하게 탄화되어 정향성분의 추출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얻어지는 향미유에서 쓴맛과 탄 냄새를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 가온은 바람직하게는 분당 2~3회 정도 교반하면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시간은 5~20 분, 바람직하게는 5~10 분 정도의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이 완료된 후, 품온이 약 100 ℃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상온에서 방치함으로써 정유성분 이 추가로 우러나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단계(b)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얻는 단계[단계 (c)]를 포함한다.
단계(b)에서 추출공정을 통하여 얻어진 추출물에는 향신료의 거친 입자들이 그대로 남아 있어 카레의 원료로 사용할 경우 이물감을 줄 수 있으므로 여과를 통해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는 통상의 여과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40 mesh의 망목을 갖는 망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망목의 크기가 45 mesh를 초과할 경우 향신료의 거친 입자가 향미유에 그대로 혼입될 수 있으며, 반대로 30 mesh 미만일 경우 여과 속도가 줄어들어 시간이 오래 소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카레맛 향미유는 식용유지에 단순히 매운맛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종래의 매운맛 향미유와는 달리 가열을 통한 정유성분 추출과 여과를 통하여 얻어지는 향미유로서, 향신료 풍미가 식용유지에 추출되어 있어 카레맛 향신료 고유의 향이 진하게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향미유는 카레의 독특한 풍미가 식용 유지로 추출되어 얻어진 향미유로서, 카레맛을 부여하기 위한 식용 기름(즉, 식용유)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미유는 조리용 카레 제조시 카레분을 대신하여 혹은 저함량의 카레분과 함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향미유를 사용함으로써 카레분을 사용하지 않고도 종래의 조리용 카레와 동등한 풍미를 갖도록 제조할 수 있어, 카레분의 전처리(볶음 및 숙성)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카레분과 함께 조리용 카레를 제조할 경우에도, 카레의 풍미를 훨씬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관능수준의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상기한 카레맛 향미유를 포함하는 조리용 카레가 제공된다. 일 예로서, 상기 카레맛 향미유를 포함하는 조리용 카레는 카레맛 향미유 10~20 중량% 및 밀가루 15~25 중량%를 직화솥에 넣고 혼합한 다음, 약 120℃까지 가열한 후, 100℃ 이하로 상온에서 방치한 다음, 조미원료(정제염 8~12 중량%, 백설탕 5~10 중량%, 전분 5~10 중량% 및 조미료 35~45 중량%)을 넣고 2차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카레분 5~10 중량%를 추가로 가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카레맛 향미유를 제조하였다. 즉, 우지경화유를 직화솥에 넣고 90 ℃로 가온하여 용융시켰다. 여기에 카레분(Titbit 사, 인도), 흑후추(씨앗(whole)을 4등분으로 조각내어 사용함), 건조마늘(통마늘을 얇게 썰어 건조시켜 사용함), 유화제(슈가에스테르)를 혼합하여 고르게 분산시킨 다음, 약한 불에서 교반하면서 가온하여 150 ℃에서 약 10분 동안 유지시킨 다음, 불을 끄고 100 ℃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품온이 약 90℃이었을 때, 40 mesh 망목을 갖는 체로 여과하여 불용물을 제거하여, 카레맛 향미유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식용유지 85.0
카레분 10.0
건조 마늘 조각 2.5
흑후추 1.9
유화제 0.6
합계 100
실시예 2.
하기 표 2의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카레맛 향미유를 제조하였다. 펜넬, 쿠민 및 흑후추는 각각의 씨앗(whole)을 4등분으로 조각내어 사용하였다.
성분 중량 %
식용유지 80.0
카레분 10.0
펜넬 5.0
쿠민 3.0
흑후추 1.5
유화제 0.5
합계 100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카레맛 향미유 15 중량% 및 밀가루 20 중량%를 직화솥에 넣고 혼합한 다음, 120℃까지 가열한 후, 100℃ 이하로 상온에서 방치한 다음, 조미원료(정제염 10 중량%, 백설탕 7 중량%, 전분 8 중량% 및 조미료 40 중량%)을 넣고 2차 혼합을 하여 조리용 카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카레맛 향미유 15 중량% 및 밀가루 20 중량%를 직화솥에 넣고 혼합한 다음, 120℃까지 가열한 후, 100℃ 이하로 상온에서 방치한 다음, 카레분 5 중량%, 조미원료(정제염 10 중량%, 백설탕 7 중량%, 전분 8 중량%, 및 조미료 35 중량%)을 넣고 2차 혼합을 하여 조리용 카레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카레맛 향미유의 관능시험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카레맛 향미유의 풍미를 건강한 성인남녀 각각 6명씩 12명을 대상으로 7첨 척도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후각에 의한 관능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① 매우 좋지 않음, ② 좋지 않음, ③ 조금 좋지 않음, ④ 보통임, ⑤ 조금 좋음, ⑥ 좋음, ⑦ 아주 좋음. 비교예로서 정제 팜유를 사용하였다.
전체적 기호도 선호도
카레맛 향미유 5.7 (81점) 92% (11명)
정제 팜유 3.0 (70점) 8 % (1명)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카레맛 향미유는 우수한 풍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카레맛을 부여하기 위한 식용유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시험예 2. 카레맛 향미유로부터 얻어진 조리용 카레의 관능시험
상기 실시예 3 및 4에서 제조된 조리용 카레에 대하여 관능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비교예로서 종래의 방법에 따라 조리용 카레를 제조하여 관능시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비교예의 조리용 카레는 카레분 10 중량%, 백설탕 7 중량%, 정제염 8 중량%, 밀가루 25 중량%, 조미료 35 중량%를 1차 혼합한 후, 정제팜유 15 중량%와 2차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관능시험은 건강한 성인남녀 57명을 대상으로 외관, 맛, 뒷맛의 항목에 대하여 7첨 척도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① 매우 좋지 않음, ② 좋지 않음, ③ 조금 좋지 않음, ④ 보통임, ⑤ 조금 좋음, ⑥ 좋음, ⑦ 아주 좋음
전체적 기호도 선호도 세부기호도
외관 뒷맛
실시예 3 4.1(58점) 19%(11명) 4.2 4.1 4.0
실시예 4 4.9(70점) 92%(43명) 4.4 4.8 4.7
비교예 3.4(49점) 6%(3명) 4.0 3.5 3.7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조리용 카레에 사용되는 식용유지 자체의 품질 뿐만 아니라 카레맛 향미유를 적용한 제품이 단순히 식용유지만을 사용한 기존의 카레와 비교하여 높은 품질 우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볶음; 숙성; 또는 볶음 및 숙성의 처리를 거치지 않은 카레분 또는 상기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를 식용유지로 추출하여 얻어진 카레맛 향미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유지가 정제팜유, 대두유, 채종유, 미강유, 팜스테아린유, 및 팜올레인유로부터 선택된 식물성 유지 또는 정제우지 및 정제돈지로부터 선택된 동물성 유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레맛 향미유.
  3. (a) 80~90℃의 식용유지에 볶음; 숙성; 또는 볶음 및 숙성의 처리를 거치지 않은 카레분 또는 상기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를 혼합하는 단계; (b) 단계(a)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120~160 ℃에서 5~20 분 동안 가온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c) 단계(b)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레맛 향미유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유지가 정제팜유, 대두유, 채종유, 미강유, 팜스테아린유, 및 팜올레인유로부터 선택된 식물성 유지 또는 정제우지 및 정제돈지로부터 선택된 동물성 유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레맛 향미유의 제조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레분을 포함하는 향신료가 볶음; 숙성; 또는 볶음 및 숙성의 처리를 거치지 않은 카레분, 흑후추, 및 건조마늘로 구성되거나 혹은 볶음; 숙성; 또는 볶음 및 숙성의 처리를 거치지 않은 카레분, 펜넬, 쿠민, 및 흑후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레맛 향미유의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카레맛 향미유를 포함하는 조리용 카레.
KR1020090119118A 2009-12-03 2009-12-03 카레맛 향미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49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118A KR101149313B1 (ko) 2009-12-03 2009-12-03 카레맛 향미유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118A KR101149313B1 (ko) 2009-12-03 2009-12-03 카레맛 향미유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402A KR20110062402A (ko) 2011-06-10
KR101149313B1 true KR101149313B1 (ko) 2012-05-23

Family

ID=44396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118A KR101149313B1 (ko) 2009-12-03 2009-12-03 카레맛 향미유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523A (ko) 2020-02-19 2021-08-2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진보식품 식품 첨가용 향미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074B1 (ko) * 2011-07-29 2013-06-19 대상 주식회사 카레용 쌀가루 루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969A (ja) * 1999-02-08 2000-08-15 Ogawa & Co Ltd カレー用香味増強組成物
JP2002325551A (ja) * 2001-04-27 2002-11-12 House Foods Corp カレー用調味料及びこれを含むカレー製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969A (ja) * 1999-02-08 2000-08-15 Ogawa & Co Ltd カレー用香味増強組成物
JP2002325551A (ja) * 2001-04-27 2002-11-12 House Foods Corp カレー用調味料及びこれを含むカレー製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523A (ko) 2020-02-19 2021-08-2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진보식품 식품 첨가용 향미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402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799B1 (ko) 죽순을 포함하는 어묵과 이의 제조방법
KR102441925B1 (ko) 이미 및 이취가 저감된 식물성 패티의 제조방법
KR101257173B1 (ko) 고추씨를 이용한 칠리소스 및 그 제조방법
JP4020350B2 (ja) カレー用香味増強組成物
KR102251181B1 (ko) 직화구이맛 비빔양념장 조성물, 이로 제조한 비빔양념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3132B1 (ko) 새우를 함유하는 튀김만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9313B1 (ko) 카레맛 향미유 및 그의 제조방법
JP5442091B1 (ja) 蒟蒻加工食品及び蒟蒻加工食品の製造方法
CN111996073A (zh) 一种芝麻冷榨工艺及由该工艺制成的芝麻食品
KR100874244B1 (ko) 참치 김밥의 제조방법
CN113519634A (zh) 一种坚果辣椒油及其制备方法
KR101327937B1 (ko) 커큐민의 체내흡수성이 우수한 카레맛 향미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8399B1 (ko) 약용작물 열매를 이용한 샐러드 드레싱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2213B1 (ko) 청고추를 재료로 이용한 떡볶이용 떡 제조방법
KR20010091281A (ko) 찐빵 제조방법
CN111903946A (zh) 一种调味红油的制作方法
KR101836940B1 (ko) 식감과 기능성을 개선한 흑삼성분을 포함하는 칡냉면용 면의 제조방법
KR20210001283A (ko) 귤 찐빵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귤 찐빵
KR20160036351A (ko) 쌀 누룽지를 포함하는 기능성 국수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국수
CN115462419B (zh) 一种调味辣椒鸡油及其制备方法
KR102499344B1 (ko) 연잎떡갈비
KR102257697B1 (ko) 해조류 맛포 제조방법
CN109393437B (zh) 一种香辣醇滑的牛蛙酱及其加工工艺
KR101848160B1 (ko) 녹차 부각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녹차 부각
JP3567353B2 (ja) 油揚げ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