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152B1 -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152B1
KR101148152B1 KR1020080064728A KR20080064728A KR101148152B1 KR 101148152 B1 KR101148152 B1 KR 101148152B1 KR 1020080064728 A KR1020080064728 A KR 1020080064728A KR 20080064728 A KR20080064728 A KR 20080064728A KR 101148152 B1 KR101148152 B1 KR 101148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elevator door
pulley bracket
plate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517A (ko
Inventor
전필웅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0064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152B1/ko
Priority to PCT/KR2009/002591 priority patent/WO2010002101A2/ko
Priority to EP09773637.5A priority patent/EP2298685A4/en
Priority to CN2009801257119A priority patent/CN102083732B/zh
Priority to JP2011516108A priority patent/JP5215463B2/ja
Publication of KR20100004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도어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 일단부에는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결합되는 행거 플레이트, 및 행거 플레이트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체결 수단에 의해 행거 케이스에 결합되는 풀리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풀리 브래킷은 제2 체결 수단에 의해 롤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상기 행거 레일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케이스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도어가 정해진 행정 구간을 벗어나 행거 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DOOR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행거 케이스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는 행거 케이스가 설치된다. 상기 행거 케이스에는 구동 장치 외에도 엘리베이터 도어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행거 레일이 구비된다. 상기 행거 레일 상에는 행거 레일을 따라 전동(轉動)하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롤러가 구비된다. 이러한 롤러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결합되는 행거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엘리베이터 도어는 행거 플레이트에 의해 행거 케이스의 행거 레일과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중이 상기 롤러를 매개로 행거 레일에 집중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행거 레일에 연결된 행거 케이스에는 롤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휘어짐이나 처짐이 발 생할 수 있다. 이러한 처짐이나 휘어짐이 발생하면 엘리베이터 도어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이동함에 있어 그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별도의 부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구동 장치 등의 이상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가 정해진 행정 구간을 벗어나더라도 엘리베이터 도어가 행거 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중이 행거 케이스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중으로 인해 행거 케이스가 휘어지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정해진 행정구간을 벗어날 경우에도 그 이동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장치 등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엘리베이터 도어가 행거 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도어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 일단부에는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하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결합되는 행거 플레이트, 및 행거 플레이트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체결 수단에 의해 행거 케이스에 결합되는 풀리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풀리 브래킷은 제2 체결 수단에 의해 롤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상기 행거 레일과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중을 풀리 브래킷과 행거 케이스로 분산시켜 행거 케이스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풀리 브래킷은 롤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제1 체결 수단에 의해 행거 케이스와 결합되는 수평 플레이트, 및 수평 플레이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제2 체결 수단에 의해 행거 레일과 결합되는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풀리 브래킷이 구성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중으로 인해 행거 케이스의 수직부에 처짐 등이 발생하더라도 풀리 브래킷은 상기 처짐 등에 따른 영향을 보다 적게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중 분산에도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풀리 브래킷에 대응되도록, 상기 행거 케이스는 롤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직 플레이트와 마주 보도록 상기 수평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그 말단부에서 행거 레일과 연결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풀리 브래킷과 상기 행거 레일 사이에는 지지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풀리 브래킷과 행거 레일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체결수단은 상기 지지 부재를 관통하여 풀리 브래킷과 행거 레일을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일면은 풀리 브래킷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타면에는 롤러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체결 수단은 행거 레일의 폭 방향 말단부에서 상기 풀리 브래킷과 상기 행거 레일 을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정해진 행정 구간을 벗어나더라도 행거 플레이트의 이동이 상기 제2 체결 수단에 의해 저지되어 엘리베이터 도어가 상기 행거 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있어, 상기 수직 플레이트는 구동 풀리의 중심부로부터 엘리베이터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대응되도록 구동 풀리의 중심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제2 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플레이트는 힘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을 제1 측면으로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받는 부분을 제2 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풀리 브래킷의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풀리 브래킷의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레일과 풀리 브래킷을 결합하는 제2 체결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중을 풀리 브래킷에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행거 케이스의 처짐이나 휘어짐의 발생을 보다 안정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풀리 브래킷이 수평 플레이트와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 플레이트가 행거 케이스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중으로 인해 행거 케이스 의 수직부에 처짐 등이 발생하더라도 풀리 브래킷은 그 영향을 보다 적게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구조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중 분산에도 보다 효과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제2 체결 수단이 행거 레일의 말단부에서 풀리 브래킷과 행거 레일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풀리 브래킷과 행거 레일을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가 행거 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케이스(110), 행거 플레이트(170) 및 풀리 브래킷(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승장측 또는 엘리베이터 칸측 출입구(이하에서는 둘을 포함하여 '엘리베이터 출입구'로 기재한다)의 상부에는 행거 케이스(110)가 설치된다. 상기 행거 케이스(110)에는 엘리베이터 승장측 또는 엘리베이터 칸측 도어(이하에서는 둘을 포함하여 '엘리베이터 도어'로 기재한다)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장치(미도시)와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폭 방향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행거 레일(112)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 장치는 일반적으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본체, 상기 구동 장치 본체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 풀리(140), 및 상기 구동 풀리(140)에 감겨져 상기 구동 풀리(140)의 회전에 의해 주회(周回) 운동하는 무단상(無端狀)의 연동 로프(1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동 로프(129)의 주회 운동에 따라 상기 연동 로프(129)에 연결된 행거 플레이트(170)는 엘리베이터 출입구(150)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행거 플레이트(170)에 결합된 엘리베이터 도어(130)는 엘리베이터 출입구(15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 장치 본체에 의해 발생한 구동력을 연동 로프(129)를 매개로 행거 플레이트(170)에 전달하는 구동 풀리(140)는, 제1 체결 수단(122)에 의해 행거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풀리 브래킷(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체결 수단에는 볼트, 너트와 같이 추가적인 구성을 별도로 구비하여 두 구성을 결합하는 수단이 일반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추가적인 구성 없이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두 구성을 결합하는 수단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행거 케이스(110)와 풀리 브래킷(120)의 구체적인 결합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행거 레일(112)은 엘리베이터 출입구(15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행거 플레이트(170)에 연결된 롤러(172)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행거 레일(112)은 롤러(172)를 매개로, 엘리베이터 도어(130)가 결합된 행거 플레이트(17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행거 레일은 행거 케이스와 별도로 제작되어 행거 케이스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행거 케이스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행거 케이스(110)와 일체로 제작된 행거 레일(112)이 예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행거 플레이트(170)는 롤러(172)를 매개로 엘리베이터 도어(130)와 행거 레일(112)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구동 장치에 의한 구동력을 엘리베이터 도어(13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구동 장치 본체에 의해 발생한 구동력은 구동 풀리(140)를 회전시키고, 이러한 구동 풀리(140)의 회전은 구동 풀리(140)에 감겨진 연동 로프(129)를 주회 운동시킨다. 이러한 연동 로프(129)의 주회 운동에 의해 행거 플레이트(170)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170)의 좌우 이동에 따라 행거 플레이트(170)에 결합된 엘리베이터 도어(130)는 엘리베이터 출입구(15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행거 플레이트(170)에는 행거 플레이트(170)의 좌우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정해진 경로 상에서 행거 플레이트(17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행거 레일(112) 상에서 전동하는 롤러(17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172)는 행거 플레이트(170)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 상부에 2개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상부는 행거 플레이트(170)를 매개로 행거 케이스(110)에 의해 지지되고,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하부는 도어 슈(door shoe)(미도시)를 매개로 가이드 레일(미도시)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130)는 안정적으로 엘리베이터 출입구(150)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있어 행거 케이스와 풀리 브래킷의 결합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행거 케이스(110)는 롤러(172)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D)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116), 및 상기 수평부(116)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그 말단부에서 행거 레일(112)과 연결되는 수직부(1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풀리 브래킷(120)은 제1 체결 수단(122)에 의해 상기와 같은 행거 케이스(11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172)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D)이라 함은 도 3에서 화살표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측면도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제1 체결 수단은 풀리 브래킷을 행거 케이스(110)의 수직부(118)에 결합시킬 수도 있으나, 행거 케이스(110)의 수평부(116)에 결합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하중은 행거 레일(112) 상에서 전동하는 롤러(172)를 통해 대부분 행거 레일(112)로 전달된 다. 이에 따라 행거 레일(112)과 연결되어 있는 행거 케이스(110)의 수직부(118)에는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하중이 집중될 수 있다. 이러한 하중의 집중으로 인해 상기 수직부(118)에는 롤러(172)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D)으로 처짐이나 휘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풀리 브래킷이 제1 체결 수단에 의해 수직부(118)와 결합되면, 상기 수직부(118)에 처짐 또는 휘어짐이 발생할 경우 그 처짐 등에 따라 풀리 브래킷도 원 위치에서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체결 수단(122)은 상기와 같은 처짐, 휘어짐으로 인한 영향을 보다 적게 받을 수 있는 행거 케이스(110)의 수평부(116)에 풀리 브래킷(120)을 결합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행거 케이스(110)의 수평부(116)에 풀리 브래킷(120)을 결합시키는 것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풀리 브래킷(120)이 수평 플레이트(126)와 수직 플레이트(128)로 구성될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하중 분산에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이 풀리 브래킷(120)을 행거 케이스(110)의 수평부(116)에 결합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풀리 브래킷(120)은 수평 플레이트(126)와 수직 플레이트(1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126)는 상기 행거 케이스(110)의 수평부(116)에 대응되도록 롤러(172)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D)으로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플레이트(128)는 상기 행거 케이스(110)의 수직부(118)와 마주 보도록 상기 수평 플레이트(126)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풀리 브래킷(120)이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1 체결 수단(122)에 의해 풀리 브래킷(120) 의 수평 플레이트(126)가 행거 케이스(110)의 수평부(116)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하중으로 인해 행거 케이스(110)에 처짐이나 휘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별도로 구비된 제2 체결 수단(124)을 통해 풀리 브래킷(120)을 행거 레일(11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 브래킷(120)의 수평 플레이트(126)와 행거 케이스(110)의 수평부(116)는 제1 체결 수단(122)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풀리 브래킷(120)의 수직 플레이트(128)와 행거 레일(112)은 제2 체결 수단(124)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결 수단(124)에 의해 풀리 브래킷(120)과 행거 레일(112)은 롤러(172)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D)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수단에는 볼트, 너트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을 통해 두 구성을 결합하는 수단이 일반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추가적인 구성 없이도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두 구성을 결합하는 수단도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수직 플레이트(128)와 행거 레일(112) 사이에는 통상적으로 일정 간격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에서는 제2 체결 수단(124)으로 통상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짐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하중을 행거 레일(112)에 뿐만 아니라, 풀리 브래킷(120)에도 분산시킬 수 있어 행거 케이스(110)의 처짐이나 휘어짐의 발생을 보다 안정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130)는 통상 행거 플레이트(170)를 매개로 행거 레일(112)을 따라 좌우 이동할 수 있다. 즉, 행거 플레이트(170)의 일단부에는 엘리베이터 도어(130)가 결합되고 그 타단부에는 행거 레일(112) 상에서 전동하는 롤러(17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상기 롤러(172)가 행거 레일(112) 상에서 전동하면 엘리베이터 도어(130)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170)와 함께 엘리베이터 출입구(150)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행거 플레이트의 좌우 이동과 관련하여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살펴보면, 행거 플레이트의 행정 구간 사이에 행거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구성이 일반적으로 갖춰져 있지 않다. 이에 따라, 구동 장치의 이상 등으로 행거 플레이트가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방 방향(P)(도 1에 도시된 화살표 참조)으로 필요 이상으로 이동할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가 행거 레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제2 체결 수단(124)이 행거 레일(112)의 폭 방향 일단부 즉,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개방 방향(P) 말단부에서 풀리 브래킷(120)과 행거 레일(112)을 결합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130)가 정해진 행정 구간을 벗어나 행거 레일(11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하면,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플레이트(170)의 일면은 풀리 브래킷(120)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행거 플레이트(170)의 타면에는 롤러(17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행거 플레이트(170)는 그 일면이 풀리 브래킷(120)과 대향하고 그 타면이 행거 레일(112)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 있어 제2 체결 수단(124)은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레일(112)의 말단부(즉,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개방 방향(P) 말단부)에서 풀리 브래킷(120)과 행거 레일(112)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풀리 브래킷(120)과 행거 레일(112)을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구동 장치의 이상 등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130)가 정해진 행정 구간을 벗어나더라도 행거 레일(112)의 말단부에서 행거 플레이트(170)의 추가적인 이동을 강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상기 제2 체결 수단(124)을 통해 엘리베이터 도어(130)가 정해진 행정 구간을 벗어나 행거 레일(11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안정성을 보다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다.
한편, 풀리 브래킷(120)과 행거 레일(112)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부재(160)는 풀리 브래킷(120)과 행거 레일(11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체결수단은 상기 지지 부재(160)를 관통하여 풀리 브래킷(120)과 행거 레일(112)을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케이스(110)와 풀리 브래킷(120)을 결합하는 제1 체결 수단(122) 이외에 행거 레 일(112)과 풀리 브래킷(120)을 결합하는 제2 체결 수단(124)을 추가적으로 구비함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하중을 행거 레일(112)에 뿐만 아니라, 풀리 브래킷(120)에도 분산시킬 수 있어 행거 케이스(110)의 처짐이나 휘어짐의 발생을 보다 안정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풀리 브래킷(120)이, 행거 케이스(110)의 수평부(116)에 결합되는 수평 플레이트(126)와 행거 레일(112)에 결합되는 수직 플레이트(128)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하중으로 인해 행거 케이스(110)의 수직부(118)에 처짐 등이 발생하더라도 그 영향을 보다 적게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하중 분산에도 보다 효과적이다.
이외에도, 제2 체결 수단(124)이 행거 레일(112)의 말단부에서 풀리 브래킷(120)과 행거 레일(112)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풀리 브래킷(120)과 행거 레일(112)을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130)가 정해진 행정 구간을 벗어나 행거 레일(11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안정성을 보다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 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와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사이의 주된 차이점은 풀리 브래킷의 수직 플레이트의 구성에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풀리 브래킷(22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풀리 브래킷(22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풀리 브래킷(120)과 유사하게, 롤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D)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제1 체결 수단(122)에 의해 행거 케이스(110)와 결합되는 수평 플레이트, 및 수평 플레이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제2 체결 수단(124)에 의해 행거 레일(112)과 결합되는 수직 플레이트(2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상기 수직 플레이트(228)는 제1 측면(228a)과 제2 측면(228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228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풀리(140)의 중심부로부터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폐쇄 방향(C)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228b)은 상기 제1 측면(228a)과 대응되도록 구동 풀리(140)의 중심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 플레이트(228)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다 적은 재료 만으로도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 풀리(14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하면, 구동 풀리(140)는 연동 로프(129)에 의해 계속적으로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폐쇄 방향(C)으로 힘을 받는다. 이러한 힘은 회전축을 통해 풀리 브래킷(220)의 수직 플레이트(228)로 전달된다. 따라서, 수직 플레이트(228)에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부에서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폐쇄 방향(C)으로 가장 강한 힘이 적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힘을 적절히 분산시켜 수직 플레이트(228)의 변형 등을 방지하여 구동 풀리(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구동 풀리(140)의 중심부에서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폐쇄 방향(C)으로 보다 두껍게 수직 플레이트(22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막연히 상기와 같은 부분을 두껍게만 형성하는 것은 수직 플레이트 제작에 소요되는 재료를 증가시켜 그 제조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 플레이트(228)는 힘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을 제1 측면(228a)으로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받는 부분을 제2 측면(228b)으로 형성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풀리 브래킷의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풀리 브래킷의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가 본 발명 사상 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행거 케이스 112 : 행거 레일
116 : 수평부 118 : 수직부
120 : 풀리 브래킷 122 : 제1 체결 수단
124 : 제2 체결 수단 126 : 수평 플레이트
128 : 수직 플레이트 140 : 구동 풀리
160 : 지지 부재 170 : 행거 플레이트
220 : 풀리 브래킷 228 : 수직 플레이트
228a : 제1 측면 228b : 제2 측면

Claims (6)

  1.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도어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
    일단부에는 상기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결합되는 행거 플레이트; 및
    상기 행거 플레이트가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행거 케이스에 결합되는 풀리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풀리 브래킷은 제2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롤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상기 행거 레일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브래킷은 상기 롤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행거 케이스와 결합되는 수평 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 플레이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2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행거 레일과 결합되는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 풀리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대응되도록 상기 구동 풀리의 중심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제2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케이스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 대응되도록 상기 롤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직 플레이트와 마주 보도록 상기 수평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그 말단부에서 상기 행거 레일과 연결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브래킷과 상기 행거 레일 사이에는 상기 풀리 브래킷과 상기 행거 레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지지 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 체결수단은 상기 지지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풀리 브래킷과 상기 행거 레일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일면은 상기 풀리 브래킷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 되고,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타면에는 상기 롤러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체결 수단은 상기 행거 레일의 폭 방향 말단부에서 상기 풀리 브래킷과 상기 행거 레일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KR1020080064728A 2008-07-04 2008-07-04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KR101148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728A KR101148152B1 (ko) 2008-07-04 2008-07-04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PCT/KR2009/002591 WO2010002101A2 (ko) 2008-07-04 2009-05-15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EP09773637.5A EP2298685A4 (en) 2008-07-04 2009-05-15 DOOR MECHANISM FOR ELEVATOR
CN2009801257119A CN102083732B (zh) 2008-07-04 2009-05-15 用于电梯的门机构
JP2011516108A JP5215463B2 (ja) 2008-07-04 2009-05-15 エレベータド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728A KR101148152B1 (ko) 2008-07-04 2008-07-04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517A KR20100004517A (ko) 2010-01-13
KR101148152B1 true KR101148152B1 (ko) 2012-05-23

Family

ID=4146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728A KR101148152B1 (ko) 2008-07-04 2008-07-04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98685A4 (ko)
JP (1) JP5215463B2 (ko)
KR (1) KR101148152B1 (ko)
CN (1) CN102083732B (ko)
WO (1) WO201000210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203B1 (ko) 2013-04-25 2014-01-23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60225A (zh) * 2010-12-15 2011-05-18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电梯轿厢上门机的安装结构
CN103635411B (zh) * 2011-06-16 2016-12-21 富士达株式会社 电梯门防脱落装置及具有该装置的电梯门装置
EP2687475A1 (de) * 2012-07-16 2014-01-22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stür mit angebauter Laufrollenanordnung
CN105347157A (zh) * 2015-12-03 2016-02-24 苏州和阳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电梯层门上的防脱上坎结构
CN105347159A (zh) * 2015-12-03 2016-02-24 苏州和阳金属科技有限公司 应用于电梯层门上的防脱上坎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2278A (ja) * 1991-11-13 1993-05-2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乗場ドア装置
KR200297267Y1 (ko) 2002-09-11 2002-12-11 주식회사우성아이디에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의 도어 행거 구조
JP2005263448A (ja) 2004-03-19 2005-09-29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出入り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66182A (en) * 1932-06-10 1934-07-10 Westinghouse Elec Elevator Co Elevator door operator
JPS5439323Y2 (ko) * 1974-10-21 1979-11-21
JPS6172571U (ko) * 1984-10-17 1986-05-17
JPH03166189A (ja) * 1989-11-27 1991-07-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乗場のドア装置
JPH07285768A (ja) * 1994-04-20 1995-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乗場ドア装置
KR0174657B1 (ko) * 1996-01-27 1999-04-15 이종수 엘리베이터용 승강장 도어
US5797471A (en) * 1996-07-19 1998-08-25 Montgomery Kone Inc. Linear door drive operator
BR9705194A (pt) * 1996-11-07 1999-09-14 Otis Elevador Company Alojamento para um sistema multi-funcional de um sistema de operação da porta do carro de um elevador.
WO1999021789A1 (fr) * 1997-10-24 1999-05-06 Hitachi, Ltd. Dispositif de porte destine a un ascenseur
CN2382703Y (zh) * 1999-08-09 2000-06-14 番禺市富菱达电梯有限公司 电梯中分式轿门门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2278A (ja) * 1991-11-13 1993-05-2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乗場ドア装置
KR200297267Y1 (ko) 2002-09-11 2002-12-11 주식회사우성아이디에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의 도어 행거 구조
JP2005263448A (ja) 2004-03-19 2005-09-29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出入り口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203B1 (ko) 2013-04-25 2014-01-23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2101A3 (ko) 2010-03-11
WO2010002101A2 (ko) 2010-01-07
CN102083732A (zh) 2011-06-01
CN102083732B (zh) 2013-06-26
JP5215463B2 (ja) 2013-06-19
JP2011525466A (ja) 2011-09-22
EP2298685A4 (en) 2015-01-21
KR20100004517A (ko) 2010-01-13
EP2298685A2 (en)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152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US6851519B2 (en) Elevator with drive unit mounted in a superior lateral section of the elevator hoistway
EP1860056A1 (en) Interlock device for car door of elevator
EP1448470B1 (de) Aufzug mit riemenartigem übertragungsmittel, insbesondere mit zahnriemen, als tragmittel und/oder treibmittel
JP2009113976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US10597260B2 (en) Elevator door panel
WO2003008319A1 (fr) Dispositif ascenseur
JP5448306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側ドア施錠装置
EP3517477B1 (en) Deflector sheave mounting bracket
JP552312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
JP2009249155A (ja) エレベータの戸開閉装置
KR100863514B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JP2016210563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
RU2424175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вери лифта
JP6058754B1 (ja) ドア装置
JP2015171941A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WO2021240669A1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外れ防止装置
JP6937904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4841211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ドア駆動装置
JP597164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ロック装置
CN102753467B (zh) 具有配重的升降机
JPH11292431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ドア開閉装置
JPWO2020188683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US10689229B2 (en) Elevator system suspension member termination
KR100956917B1 (ko)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도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