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438B1 - 공기조화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청소기 연장노즐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청소기 연장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438B1
KR101146438B1 KR1020107002634A KR20107002634A KR101146438B1 KR 101146438 B1 KR101146438 B1 KR 101146438B1 KR 1020107002634 A KR1020107002634 A KR 1020107002634A KR 20107002634 A KR20107002634 A KR 20107002634A KR 101146438 B1 KR101146438 B1 KR 101146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dust
connecting portion
cleane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1632A (ko
Inventor
아끼히꼬 사까시따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by s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s or of parts thereof, e.g. of thei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실내유닛 내 에어필터로부터 제거된 먼지의 회수구조를 개량하여 먼지회수의 번거로움을 가능한 한 경감시킨다. 실내유닛(13)은 케이싱(34) 내에, 실내열교환기(37)와,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37)로 토출하는 실내팬(39)과, 이 실내팬(39) 흡입측에 설치되는 에어필터(40)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필터(40)에 포착된 먼지는, 먼지제거수단(50)에 의해 제거되며, 먼지포집부(60) 내에 포집된다. 포집된 먼지를 회수할 시에 이 먼지를 실내측으로 반송하는 통로로서의 먼지 회수로(77)의 하류측 출구에는, 먼지를 흡인 가능한 소정 위치에 청소기(95) 노즐(95a)을 위치시키기 위한 노즐접속부(78)를 형성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청소기 연장노즐{AIR CONDITIONER AND CLEANER EXTENSION NOZZLE}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내 에어필터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회수하기 위한 먼지회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 흡입구에 에어필터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에 있어서, 에어필터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먼지제거수단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에어필터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용기가 실내유닛 내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저류용기 내의 먼지를 버리는 경우에는, 실내유닛의 커버(그릴 등)를 분리한 후 이 저류용기를 꺼낼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05-83721호 공보)에 개시되듯이, 상기 저류용기만을 분리할 수 있도록 이 저류용기를 상기 실내유닛의 케이싱 본체 밖에 설치함과 더불어, 이 먼지제거수단에 의해 에어필터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저류용기 내로 반송하는 구성 등이 검토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에어필터에 포착된 먼지를 케이싱 본체 밖으로 배출하고 상기 저류용기 내에 먼지를 저류하여, 이 저류용기 내로부터 먼지를 간단하게 꺼낼 수 있다.
그러나, 전술과 같은 구성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사용자를 번거롭게 하는 일없이 에어필터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여 저류용기 내에 저류할 수 있다 하더라도, 이 저류용기 내에 저류된 먼지를 회수할 시에, 작업자가 천장 뒤에 설치된 공기조화장치 근방의 저류용기에 접근하여, 이 저류용기 내로부터 먼지를 회수할 필요가 있다.
즉, 전술한 구성에서는, 에어필터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회수할 시에, 작업자가 천장 가까이까지 올라갈 필요가 있어, 그다지 편리성이 좋은 구성이라고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실내유닛 내의 에어필터로부터 제거된 먼지의 회수구조를 개량하여, 먼지회수의 번거로움을 가능한 한 경감시키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에서는, 에어필터(40)로부터 제거되어 먼지포집부(60)에 포집된 먼지를 청소기(95)로 흡인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즉, 먼지가 통과하는 먼지 회수로(77)의 실내측 출구에, 이 청소기(95) 노즐(95a)이 접속되는 노즐접속부(78)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 1 발명에서는, 케이싱(26) 내에, 실내열교환기(37)와,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며 이 실내측으로 토출하는 실내팬(39)과, 이 실내팬(39) 흡입측에 배치되는 에어필터(40)를 구비한 실내유닛(13)을 갖는 공기조화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먼지제거수단(50)과, 상기 먼지제거수단(50)에 의해 제거된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먼지포집부(60)와, 상기 포집된 먼지를 회수할 시에 이 먼지를 반송하는 반송로로서의 먼지 회수로(77)를 구비하며, 상기 먼지 회수로(77)의 하류측 출구에는, 상기 포집된 먼지를 흡인 가능한 소정 위치에 청소기(95) 노즐(95a)을 위치시키기 위한 노즐접속부(78)가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실내유닛(13)의 에어필터(40)에 포착되며, 먼지제거수단(50)에 의해 제거된 먼지는 먼지포집부(60)에 일단 포집된다. 그리고, 이 먼지포집부(60)에 포집된 먼지는 먼지 회수로(77)를 개재하여, 실내측에서 청소기(95)에 의해 흡인 회수된다. 이 때, 상기 청소기(95) 노즐(95a)을, 상기 먼지 회수로(77) 하류측 출구에 형성된 노즐접속부(78)에 의해, 상기 먼지를 흡인 가능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이 청소기(95)에 의해 상기 먼지를 확실하게 흡인하여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에 의해, 종래와 같이 천장 뒤 등에 접근하여 먼지저류용기(60) 등 내부에 저류된 먼지를 회수하는 작업을 하는 일없이, 용이하게, 또 확실하게 먼지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노즐접속부(78)는, 상기 케이싱(26)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측 패널(27)의 실내측 면보다 케이싱 안쪽에 형성된다(제 2 발명). 이로써, 노즐접속부(78)가 실내측 패널(27) 표면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실내측에서 이 노즐접속부(78)를 보기 어려워지며, 실내유닛(13)의 실내측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노즐접속부(78)는, 상기 케이싱(26)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측 패널(27)의 코너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3 발명). 일반적으로 케이싱(26)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측 패널(27)은, 평면에서 보아 케이싱(26)보다 크게 형성되며, 그 4개의 코너부는 무효공간이 된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과 같이, 상기 실내측 패널(27) 코너부에 노즐접속부(78)를 형성함으로써, 실내유닛(13) 내 공간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접속부(78)는 전술과 같이 실내측 패널(27) 코너부가 아닌, 상기 실내팬(39) 흡입측에 형성된 상기 케이싱(26) 흡입구(22)에 형성되어도 된다(제 4 발명). 이와 같이, 비교적 공간이 넓은 케이싱(26) 흡입구(22)에 노즐접속부(78)를 형성한 경우에도, 실내유닛(13) 내 공간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실내팬(39) 흡입측에 형성된 상기 케이싱(26) 흡입구(22)에는, 중앙부분에 통풍 가능한 그릴부(29a)가 형성된 흡입그릴(29)이 설치되며, 상기 노즐접속부(151)는 상기 흡입그릴(29)의 그릴부(29a) 바깥쪽에 형성되어도 된다(제 5 발명).
이와 같이 함으로써, 흡입그릴(29)을 열지 않아도 이 흡입그릴(29) 그릴부(29a)보다 바깥쪽에 형성된 노즐접속부(151)에 청소기(95) 노즐(95a)을 접촉시킬 수 있으며, 이 노즐접속부(151)에 대해 접근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에 의해 먼지포집부(60) 내에 포집된 먼지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으며, 먼지회수작업의 작업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먼지포집부(60)에서 상기 케이싱(26)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측 패널(27)까지의 먼지회수경로 상에는, 이 먼지회수경로를 실내공간에 대해 연통상태 또는 비연통상태가 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폐색수단(28b)이 형성된다(제 6 발명).
이로써, 노즐접속부(78)를 개재하여 청소기(95) 노즐(95a)에 의해 먼지를 흡인 회수할 시에만 폐색수단(28b)을 열고, 먼지회수작업 시 이외에는 폐색수단(28b)을 닫아 둘 수 있다. 따라서, 먼지회수작업 시 이외에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폐색수단(28b)을 노즐접속부(78) 하류측에 형성한 경우에는, 운전 시 등에 실내측에서 상기 노즐접속부(78)가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실내유닛(13)의 실내측에서 본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노즐접속부(78)는, 상기 케이싱(26)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측 패널(27) 코너부에 형성되며, 그 실내측을 상기 폐색수단으로서의 코너커버(28b)에 의해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7 발명).
이로써, 일반적으로 무효공간이 되는 실내측 패널(27) 코너부의 유효이용을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이 코너부에 형성되는 코너커버(28)에 의해 노즐접속부(78)를 가릴 수 있으며, 실내유닛(13)의 실내측 외관 악화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에어필터(40) 실내측은 흡입그릴(29)에 의해 피복되며, 상기 노즐접속부(78)는, 상기 실내팬(39) 흡입측에 형성된 상기 케이싱(26) 흡입구(22)에 형성되며, 그 실내측이 상기 폐색수단으로서의 상기 흡입그릴(29)에 의해 피복되어도 된다(제 8 발명).
이와 같이 함으로써, 흡입그릴(29)에 의해 노즐접속부(78) 실내측을 가릴 수 있으며, 노즐접속부(78) 실내측에 별도로 폐색수단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실내측에서 본 실내유닛(13)의 외관을 악화시키는 일이 없다. 게다가, 부재 점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장치(10)의 원가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폐색수단(28b)과 상기 노즐접속부(78) 사이에는, 이 폐색수단(28b)이 닫힌 상태에서 양자 사이에 위치하며 이 노즐접속부(78)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실부재(8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9 발명).
이로써, 폐색수단(28b)을 닫은 경우, 즉 먼지회수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부재(80)에 의해 노즐접속부(78) 내부공간이 실내에 대해 밀폐되므로, 이 노즐접속부(78)에서 실내측으로 먼지가 유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폐색수단(28b)은, 한쪽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旋回) 가능하게 구성됨과 더불어, 다른 쪽 단부가, 실내측에서 이 폐색수단(28b)에 누름 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이 다른 쪽 단부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푸시록(79)에 연결 가능하게 구성된다(제 10 발명).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실내측에서 폐색수단(28b)에 누름 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이 폐색수단(28b)의 다른 쪽 단부와 푸시록(79)과의 연결이 해제되며, 한쪽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함으로써, 이 폐색수단(28b)을 개방상태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폐색수단(28b)을 실내측에서 청소기(95) 노즐(95a) 등의 선단부로 밀면, 상기 폐색수단(28b)을 열 수 있으므로, 이 폐색수단(28b)을 열 때에 사용자가 천장면 가까이까지 올라갈 필요가 없어지며, 먼지회수 시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폐색수단(101b)은 실내측에서 밀려 개방상태가 되도록 한쪽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제 11 발명). 이와 같이 폐색수단(101b)이 밀려 개방상태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실내측에서 청소기(95) 노즐(95a) 등의 선단부에 의해 이 폐색수단(101b)을 용이하게 열 수 있다. 따라서, 먼지회수 시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폐색수단(101b)의 한쪽 단부에는, 이 폐색수단(101b)을 폐쇄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바이어스수단(10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2 발명). 이 바이어스수단(102)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폐색수단(101b)을 항상 폐쇄상태로 할 수 있으며, 청소기(95) 노즐(95a) 등에 의해 밀려 올라가지 않은 상태에서는 폐색수단(101b)을 확실하게 닫아 둘 수 있다. 이로써, 먼지회수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 노즐접속부(78)가 실내측에서 보여 실내유닛(13) 외관을 손상하거나 노즐접속부(78)로부터 실내측으로 먼지가 유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폐색수단(111b)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제 13 발명). 이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폐색수단(111b)을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이 폐색수단(111b)의 개폐상태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먼지를 회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폐색수단(111b)을 폐쇄상태로 하여 실내유닛(13)의 실내측 외관 악화를 방지하면서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과 같은 폐색수단을 설치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폐색수단(111b)을 개폐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1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4 발명). 이로써, 폐색수단(111b)을 구동수단(113)에 의해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천장면 가까이까지 올라가 폐색수단(111b)의 개폐를 직접 할 필요가 없어지며, 먼지회수작업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먼지포집부(60)에 포집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먼지포집상자(90)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먼지 회수로(77)는 상기 먼지포집상자(90)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5 발명). 이와 같이, 먼지포집상자(90)를 설치함으로써, 다량의 먼지를 이 먼지포집상자(90)에 저류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먼지회수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먼지 회수로, 및 상기 먼지포집부(60)에서 먼지포집상자(90)까지의 먼지 반송로 중 적어도 한쪽은, 플렉시블 덕트(74, 77)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6 발명). 이와 같이 함으로써, 먼지 회수로 및 먼지 반송로를 보다 자유롭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 배치에 따라서는 공기조화장치의 소형화도 가능해진다. 또 상기 먼지 회수로, 및 상기 먼지포집부(60)에서 먼지포집상자(90)까지의 먼지 반송로를 구성하는 덕트(74, 77)는, 상기 먼지포집상자(90)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7 발명). 이로써, 상기 먼지포집상자(90)에 대해 덕트(74, 77)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며, 이 먼지포집상자(90)를 설치할 시나 보수관리 시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먼지 회수로(77)는, 상기 케이싱(26) 내 상기 먼지포집부(60)에 직접 접속되며, 상기 먼지포집부(60)에서 상기 먼지 회수로(77) 접속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통기공(6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8 발명). 이와 같이 먼지 회수로(77)가 먼지포집부(60)에 직접 접속되는 구성에 있어서, 이 먼지 회수로(77)를 개재하여 청소기(95) 등에 의해 먼지를 효율 좋게 흡인하기 위해서는, 공기 유입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과 같이, 상기 먼지포집부(60)의 먼지 회수로(77) 접속부분과 대향하는 위치에 통기공(60a)을 형성함으로써, 이 먼지포집부(60)에서 먼지 회수로(77)로 원활하게 공기를 보낼 수 있으며, 이 먼지 회수로(77) 실내측 출구에 형성된 노즐접속부(78)를 개재하여 청소기(95) 노즐(95a)에 의해 먼지를 보다 효율 좋게 흡인 회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먼지 회수로는, 상기 케이싱(26)에서 노즐접속부(78)까지가 플렉시블 덕트(77)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9 발명). 이와 같이 함으로써, 먼지 회수로를 보다 자유롭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 배치에 따라서는 공기조화장치의 소형화도 가능해진다. 또 상기 먼지 회수로를 구성하는 덕트(77)는, 상기 케이싱(26)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20 발명). 이로써, 상기 케이싱(26)에 대해 덕트(77)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며, 실내유닛(13)을 천장 뒤에 설치할 시나 보수관리 시에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노즐접속부(78)는 실내측으로 향할수록 먼지 통로의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도 된다(제 21 발명). 이렇게 하면, 청소기(95) 노즐(95a) 크기가 다른 경우라도 이 노즐(95a) 선단을 노즐접속부(78)에 삽입하여 이 노즐접속부(78)와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노즐 지름의 청소기(95)를 사용하여도, 먼지를 확실하게 흡인 회수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과 같이 실내측으로 향할수록 노즐접속부(78) 내 단면적이 커지는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테이퍼형으로 하거나 내면에 R부를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 노즐접속부(121a)는, 실내측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이 실내측을 향해 돌출되며, 그 돌출 단부에는 먼지가 통과 가능한 구멍부(121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22 발명). 이로써, 노즐(95a) 크기만이 아니라 이 노즐(95a) 단면형상이 다른 청소기(95)라도, 이 노즐(95a) 선단부 내부에 노즐접속부(121a)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이 노즐(95a)을 노즐접속부(121a)에 확실하게 접촉시켜 먼지를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95) 노즐(95a)의 크기나 단면형상에 영향을 받는 일없이, 먼지를 효율 좋게 회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노즐접속부(121a)는, 실내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23 발명). 이와 같이, 상기 노즐접속부(121a)를 반구형으로 함으로써, 어떠한 크기의 어떠한 단면형상의 청소기(95) 노즐(95a)이라도, 또 어느 방향에서 노즐(95a)을 노즐접속부(121a)에 근접시켜도, 이 노즐접속부(121a) 일부를 이 노즐(95a) 내부에 위치시켜 이 노즐(95a)을 노즐접속부(121a)에 대해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95) 노즐(95a)의 크기? 단면형상?노즐접속부(121a)와의 각도에 영향을 받는 일없이, 이 청소기(95) 노즐(95a)에 의해 먼지를 보다 효율 좋게 흡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노즐접속부(151)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노즐접속부(151) 상류측에는, 이 노즐접속부(151)의 상하 동작에 따라, 이 노즐접속부(151) 내부공간과 상기 먼지 회수로(77)를 연통 상태 또는 비연통 상태로 전환하는 밸브부(15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24 발명).
이로써, 노즐접속부(151)를 상하 동작시킴으로써, 이 노즐접속부(151) 내부공간과 먼지 회수로(77)의 연통?비연통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먼지회수작업 시에 폐색수단 등을 여는 작업이 불필요하며,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즐접속부(151)에 대해 청소기(95) 노즐(95a)을 하측에서 접촉시켜, 이 노즐접속부(151) 상하방향 위치를 바꿈으로써, 이 노즐접속부(151) 내부공간과 먼지 회수로(77)를 연통시켜, 그대로 먼지를 흡인하여 회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노즐(95a)을 노즐접속부(151)로부터 분리하여 이 노즐접속부(151)를 원위치로 하는 경우에 이 노즐접속부(151) 내부공간과 먼지 회수로(77)가 비연통이 되도록 상기 밸브부(152)를 구성하면,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노즐접속부(151) 내부공간은, 상기 먼지 회수로(77)에 대해 연통구(141d)를 개재하여 연통되며, 상기 밸브부(152)는 상기 노즐접속부(151)와 일체로 상하 동작하며, 이 노즐접속부(151) 위치가 실내측 최하점일 때 상기 연통구(141d)를 폐쇄상태로 하는 한편, 상기 노즐접속부(151) 위치가 상기 최하점보다 위쪽일 때 상기 연통구(141d)를 개방상태로 하도록 구성된 밸브체(15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25 발명).
이와 같이 함으로써, 노즐접속부(151)와 일체로 상하 동작하는 밸브체(154)에 의해, 이 노즐접속부(151) 상하방향 위치에 따라 내부공간과 먼지 회수로(77)의 연통?비연통을 전환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밸브체(154)는, 상기 노즐접속부(151) 위치가 실내측 최하점일 때에 연통구(141d)를 닫고 이 노즐접속부(151) 내부공간과 먼지 회수로(77)를 비연통으로 하는 한편, 이 노즐접속부(151) 위치가 상기 최하점보다 위쪽이면 상기 연통구(141d)를 열어 연통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므로, 청소기(95) 노즐(95a)을 상기 노즐접속부(151)에 닿게 하여 위쪽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이 노즐접속부(151) 내부공간과 먼지 회수로(77)를 연통시켜 먼지의 흡인 회수가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노즐접속부(151)로부터 청소기(95) 노즐(95a)을 분리하여 이 노즐접속부(151)를 최하점 위치로 하면, 이 노즐접속부(151) 내부공간과 상기 먼지 회수로(77)가 비연통 상태가 되어, 먼지가 실내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노즐접속부(151)를 아래쪽으로 밀어붙이는 바이어스수단(15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26 발명). 이로써, 노즐접속부(151)를 청소기(95) 노즐(95a)로 밀어붙이지 않는 경우에는, 이 노즐접속부(151)를 아래쪽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이 노즐접속부(151) 내부공간과 먼지 회수로(77) 사이의 연통구(141d)를 개폐하는 밸브체(154)를 보다 확실하게 폐쇄 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먼지회수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186)는, 상기 노즐접속부(181)측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27 발명). 이와 같이 함으로써, 청소기(95) 노즐(95a)에 의해 먼지를 흡인 회수할 시, 연통구(176b) 주변의 먼지로 인해 밸브부(186)가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밸브부(186)를 확실하게 개방상태로 할 수 있다. 즉, 먼지는 밸브부(186)보다 상류측에 저류되므로, 이 밸브부(186)가 상류측으로 열려지도록 구성되면, 먼지에 의해 밸브부(186)의 움직임이 저해되지만, 전술과 같이 하류측인 노즐접속부(181)측으로 밸브부(186)가 열려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이 밸브부(186)가 먼지로 인해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밸브부(186)는, 상부에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노즐접속부(181)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86a)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접속부(181)는, 상기 돌출부(186a)와 아래쪽에서 맞닿는 접촉부(181d)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28 발명).
이로써, 밸브부(186)를 노즐접속부(181)의 상하 동작에 의해 개폐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 24 발명의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노즐접속부(181) 구멍부(181b)에 청소기(95) 노즐(95a, 191)을 위치시키도록, 이 노즐접속부(181)를 둘러싸고 가이드부(17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29 발명). 이와 같이 함으로써, 청소기(95) 노즐(95a)을 노즐접속부(181) 구멍부(181b)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 구멍부(181b)를 통해 먼지를 청소기(95) 노즐(95a)에 의해 확실하게 흡인 회수할 수 있다.
또 상기 가이드부(178)는, 상기 노즐접속부(181)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리브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30 발명). 이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가이드부(178)를 구성할 수 있음과 더불어, 사용할 수지 등의 재료를 적게 할 수 있으며, 경량화 및 제조원가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접속부(181) 실내측을 피복하는 폐색수단(172)을 구비하며, 상기 폐색수단(172)은, 실내측에서 밀어 올려져 개방상태가 되도록 한쪽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78)에는, 개방상태인 상기 폐색수단(172)이 수납 가능한 오목부(178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31 발명).
이와 같이 가이드부(178)에 폐색수단(172)이 수납 가능한 오목부(178a)를 형성함으로써, 청소기(95) 노즐(95a)을 노즐접속부(181)에 접촉시킬 시에 상기 폐색수단(172)이 장애가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 폐색수단(172)도 가이드부의 일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로써, 청소기(95) 노즐(95a)을 상기 노즐접속부(181)에 의해 확실하게 밀어붙일 수 있다.
또 상기 제 11, 13, 31의 각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폐색수단(172)의 실내측 면에는, UV도포 처리가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32 발명). 이와 같이 함으로써, 청소기(95) 노즐(95a) 선단부를 사용하여 폐색수단(172)을 실내측에서 열 때에 이 폐색수단(172)이 더러워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폐색수단(172) 실내측에는, 때가 부착하기 어려우며, 또 흠이 잘 나지 않는 UV도포 처리가 실시되므로, 이 폐색수단(172)의 실내측 면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먼지 회수로는 플렉시블 덕트(77)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덕트(77)와 상기 노즐접속부(78)는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33 발명). 이로써, 상기 노즐접속부(78)에 대해 플렉시블 덕트(77)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으며, 실내유닛(13)을 천장 뒤에 설치 시나 보수관리 시에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34 발명은, 상기 청구항 24에 기재한 공기조화장치(10)의 노즐접속부(181)에 접촉하는 청소기 연장 노즐(191)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청소기(95)의 노즐(95a) 선단에 장착되며, 상기 청구항 24에 기재한 공기조화장치(10)의 노즐접속부(181)에 선단부(191a)가 접촉하는 청소기 연장 노즐을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선단부(191a)는, 상기 노즐접속부(181)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며, 또 외주부가 이 노즐접속부(181)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가이드부(178)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191a) 개구부분이 평면에서 보아 상기 노즐접속부(181) 구멍부(181b)와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이 구성에 따라, 청소기 연장 노즐(191)이 평면에서 보아 노즐접속부(181) 중앙에서 어긋난 위치에 삽입되어, 이 청소기 연장 노즐(191) 외주부가, 노즐접속부(181)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가이드부(178)에 접촉한 상태라도, 이 청소기 연장 노즐(191) 선단부(191a) 개구부분을 상기 노즐접속부(181) 구멍부(181b)와 확실하게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전술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통해 먼지를 확실하게 흡인 회수할 수 있고, 회수 작업 시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노즐접속부(181)는, 실내측으로 돌출하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접속부(181)에 접촉하는 선단부(191a)의 개구는 진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제 35 발명).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반구형인 노즐접속부(181)에 대해, 청소기 연장 노즐(191) 선단을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통해 먼지를 효율 좋게 또 확실하게 흡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단부(191a')는, 거의 "〈"형상으로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36 발명). 이로써, 바로 밑에서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노즐접속부(181)에 접촉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이 청소기 연장 노즐(191)에 의한 먼지 회수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 선단부(191a) 선단측은, 거의 "〈"형상으로 굴곡되는 연장관(195)이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37 발명). 이렇게 함으로써, 선단부(191a)를 연장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제 36 발명의 작용도 얻어진다.
또 상기 선단부(201a) 선단측에는 후단부(201b) 안지름과 동등한 바깥 지름을 갖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38 발명). 이로써,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청소기(95) 노즐을 더 연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청소기 연장 노즐(191)의 선단부(201a) 선단측에 형성된 연결부를 다른 청소기 연장 노즐 기단부(201b) 내로 삽입함으로써 양자를 연결할 수 있으며, 청소기(95)의 노즐 연장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청소기 연장 노즐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95) 노즐(95a)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이 노즐(95a)에 대해 병렬로 설치하기 위한 노즐고정부(196)를 구비한다(제 39 발명).
이로써, 청소기(95) 노즐(95a)로부터 분리된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노즐고정부(196)에 의해 이 노즐(95a)에 병렬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사용하지 않을 때 이 청소기 연장 노즐(191)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노즐고정부는, 상기 노즐(95a)을 감기 위한 테이프부재(196)인 것이 바람직하다(제 40 발명).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청소기(95) 노즐(95a)에 대해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외주면 상에 상기 테이프부재(196)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부(19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41 발명). 이로써, 테이프 부재(196)가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에 대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노즐(95a)에 대해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상기 테이프 부재(196)는, 상기 삽입부(192)를 통과하는 부분의 폭이 이 삽입부(192)의 안쪽 치수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상기 삽입부(192)의 안쪽 치수보다 폭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42 발명). 이와 같이 함으로써, 테이프 부재(196)가 삽입부(19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테이프 부재(196)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외주면 상에, 상기 노즐(95a)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고정부(95b)에 대해 걸어 맞출 수 있는 제 2 노즐고정부(19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43 발명). 이로써, 상기 노즐고정부(196)에 의해 청소기(95) 노즐(95a)에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고정시키기 전에, 노즐(95a) 걸림부(95b)에 대해 제 2 노즐고정부(197)를 고정시킴으로써 일시 고정할 수 있고, 상기 노즐고정부(196)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노즐(95a)에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외주면 상에 제 2 삽입부(198)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삽입부(198)에 일부가 삽입 통과되는 링형 부재(19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44 발명). 이와 같이 함으로써, 링형 부재(199)를 벽 등에 설치된 돌출부분에 걸면, 청소기 연장 노즐(191)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장치(10) 실내유닛(13)의 에어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먼지제거수단(50)에 의해 제거하고 먼지포집부(60)에 포집함과 더불어, 이 포집된 먼지를 먼지 회수로(77) 하류측 출구에 형성된 노즐접속부(78)를 개재하여 청소기(95) 노즐(95a)로 흡인 회수하도록 하므로, 사용자가 먼지포집부(60) 근방까지 접근하여 먼지를 회수할 필요가 없어져, 먼지회수작업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2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노즐접속부(78)는, 케이싱(26) 실내측에 위치하는 실내측 패널(27)의 실내측 면보다 케이싱 안쪽에 형성되므로, 실내측에서 이 노즐접속부(78)를 보기 어려워져, 실내유닛(13)의 실내측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3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노즐접속부(78)는, 상기 실내측 패널(27) 코너부에 형성되므로, 실내유닛(13)의 무효공간을 유효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4 발명과 같이, 상기 노즐접속부(78)를 비교적 공간이 넓은 케이싱(26) 흡입구(22)에 형성한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공간의 유효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5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노즐접속부(151)는, 상기 케이싱(26) 흡입구(22)에 설치되는 흡입그릴(29)의 그릴부(29a)보다 바깥쪽에 형성되므로, 먼지회수작업을 효율 좋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6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노즐접속부(78) 상류측 또는 하류측 중 어느 한쪽에는, 먼지 회수로(77)를 실내공간에 대해 연통?비연통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폐색수단(28b)이 형성되므로, 이 노즐접속부(78)에 노즐(95a)을 접속하는 경우에만 폐색수단(28b)을 열고, 통상 운전 시에는 이 폐색수단(28b)을 폐쇄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폐색수단(28b)에 의해 상기 노즐접속부(78)로부터 실내공간으로 먼지가 유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7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노즐접속부(78)는 실내측 패널(27) 코너부에 형성되며, 상기 폐색수단은 이 코너부에 위치하는 코너커버(28b)이므로, 무효공간을 유효이용 하면서 코너커버(28b)에 의해 실내공간으로의 먼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8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노즐접속부(78)는, 케이싱(26) 흡입구(22)에 형성되며, 상기 폐색수단은 흡입그릴(29)이므로, 별도로 폐색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며, 실내유닛(13)의 실내측 외관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폐색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만큼, 공기조화장치(10)의 원가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9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폐색수단(28b)과 노즐접속부(78) 사이에는, 이 폐색수단(28b)의 폐쇄상태에서 먼지 유출을 방지하는 실부재(80)가 배치되므로, 먼지를 회수하지 않는 통상운전 시 등에, 상기 노즐접속부(78)로부터 실내로 먼지가 유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0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폐색수단(28b)은, 한쪽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구성됨과 더불어, 다른 쪽 단부가 푸시록(79)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므로, 이 폐색수단(28b)을 청소기(95) 노즐(95a) 등으로 누름으로써 이 폐색수단(28b)을 용이하게 개방상태로 할 수 있으며, 먼지회수 시 회수작업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11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폐색수단(101b)은, 실내측으로부터 밀려 개방상태가 되도록 한쪽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이 폐색수단(101b)을 청소기(95) 노즐(95a)에 의해 용이하게 열어 이 노즐(95)을 노즐접속부(78)에 접촉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먼지회수 시 회수작업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제 12 발명과 같이, 상기 폐색수단(101b)의 한쪽 단부에 이 폐색수단(101b)을 폐쇄상태가 되도록 밀어붙이는 바이어스수단(102)을 배치함으로써, 먼지회수 시 이외에는 이 폐색수단(101b)을 항상 폐쇄상태로 할 수 있으며, 실내유닛(13)의 실내측 외관이 손상되거나, 먼지가 실내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3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폐색수단(111b)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이 구성으로도 이 폐색수단(111b)을 개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먼지를 회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폐색수단(111b)을 닫음으로써, 실내유닛(13) 실내측 외관이 손상되거나,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4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폐색수단(111b)을 개폐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13)을 구비하므로, 먼지회수 시에 천장면 가까이까지 오르는 일없이, 이 폐색수단을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으며, 먼지회수 시 회수작업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15 발명에 의하면, 상기 먼지포집부(60)에서 포집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먼지저류상자(90)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먼지 회수로(77)는 이 먼지포집상자(90)에 접속되므로, 이 먼지포집상자(90) 내에 다량의 먼지를 저류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먼지회수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먼지회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6 발명에 의하면, 먼지 회수로 및 먼지포집상자(90)까지의 반송로 중 적어도 한쪽을 플렉시블 덕트(74, 77)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공기조화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제 17 발명에 의하면, 상기 먼지 회수로 및 반송로를 구성하는 덕트(74, 77)와 먼지포집상자(90)를 탈착 가능하게 접속함으로써, 이 먼지포집상자(90)의 설치 시나 보수관리 시에 이 덕트(74, 77)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며,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18 발명에 의하면, 상기 먼지포집부(60)에 직접 먼지 회수로(77)가 접속되며, 이 먼지포집부(60)의 먼지 회수로(77) 접속부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통기공(60a)이 형성되므로, 이 먼지포집부(60) 및 먼지 회수로(77)를 통해 청소기(95)로 먼지를 효율 좋게 흡인할 수 있다. 특히 제 19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26)에서 노즐접속부(78)까지의 먼지 회수로를 플렉시블 덕트(77)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공기조화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제 20 발명에 의하면, 상기 먼지 회수로를 구성하는 덕트(77)와 케이싱(26)을 탈착 가능하게 접속함으로써, 실내유닛(13) 설치 시나 보수관리 시에 이 덕트(77)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며,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21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노즐접속부(78)는, 실내측으로 향할수록 먼지 회수로(77)의 통로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므로, 청소기(95) 노즐(95a)의 크기가 다른 경우라도, 이 노즐(95a)을 노즐접속부(78) 내에 삽입하여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노즐(78) 크기가 다른 청소기(95)라도 먼지를 확실하게 흡인 회수할 수 있다.
또 제 22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노즐접속부(121a)는 실내측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이 실내측을 향해 돌출되며, 그 돌출 단부에는 먼지가 통과하기 위한 구멍부(121b)가 형성되므로, 청소기(95) 노즐(95a)의 크기나 단면형상이 어떠한 것이라도, 이 노즐(95a) 선단부 내에 노즐접속부(121a)의 일부를 위치시켜, 이 노즐(95a)과 노즐접속부(121a)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95) 노즐(95a)의 크기나 단면형상에 관계없이, 상기 노즐접속부(121a)를 통해 청소기(95) 노즐(95a)로 먼지를 효율 좋게 흡인 회수할 수 있다.
또 제 23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노즐접속부(121a)는, 실내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므로, 청소기(95) 노즐(95a)의 크기?단면형상?노즐접속부(121a)에 대한 접촉하는 위치에 관계없이, 이 노즐(95a) 선단부분을 노즐접속부(121a)와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며, 먼지를 확실하게 또 효율 좋게 회수할 수 있다.
또 제 24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노즐접속부(151) 상류측에는, 이 노즐접속부(151)의 상하 동작에 따라, 이 노즐접속부(151) 내부공간과 상기 먼지 회수로(77)를 연통상태 또는 비연통상태로 전환하는 밸브부(152)가 형성되므로, 노즐접속부(151)를 청소기(95) 노즐(95a)로 상하 동작시킴으로써 이 노즐접속부(151)로의 먼지 유입을 제어할 수 있어, 폐색수단 등을 개폐하는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먼지회수작업 시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25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밸브부(152)는, 상기 노즐접속부(151)와 일체로 상하 동작하며, 상기 노즐접속부(151) 위치가 실내측의 최하점일 때에 이 노즐접속부(151) 내부공간과 먼지 회수로(77)의 연통구(141d)를 닫는 한편, 상기 노즐접속부(151) 위치가 상기 최하점보다 위쪽일 때에 상기 연통구(141d)를 열도록 구성된 밸브체(154)를 구비하므로, 상기 제 24 발명의 구성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 제 24 발명과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 26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노즐접속부(151)를 아래쪽으로 밀어붙이는 바이어스수단(155)을 구비하므로, 이 노즐접속부(151)와 일체로 상하 동작하는 밸브체(154)를, 상기 연통구(141d)를 닫는 방향으로 밀어붙일 수 있으며, 먼지회수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27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밸브부(186)는, 상기 노즐접속부(181) 측으로 열려지도록 구성되므로, 연통구(176b) 주변 먼지에 의해 밸브부(186)가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밸브부(186)를 확실하게 개방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를 확실하게 흡인 회수할 수 있다.
또 제 28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밸브부(186)는, 상부에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노즐접속부(181)의 접촉부(181d)가 아래쪽에서 접촉하는 돌출부(186a)를 구비하므로, 상기 제 24 발명의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제 29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노즐접속부(181)를 둘러싼 가이드부(178)가 형성되므로, 청소기(95) 노즐(95a)을 노즐접속부(181) 구멍부(181b)에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 구멍부(181b)를 통해 먼지를 청소기(95) 노즐(95a)에 의해 확실하게 흡인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를 확실하게 또 효율 좋게 회수할 수 있다.
또 제 30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부(178)는 상기 노즐접속부(181)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리브형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가이드부(178)를 구성할 수 있음과 더불어, 경량화 및 제조원가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31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노즐접속부(181) 실내측을 피복하는 폐색수단(172)은, 실내측으로부터 밀려 개방상태가 되도록 한쪽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78)에는 개방상태인 상기 폐색수단(172)이 수납 가능한 오목부(178a)가 형성되므로, 청소기(95) 노즐(95a)을 상기 노즐접속부(181)에 대해 보다 확실하게 밀어붙일 수 있고, 먼지를 보다 효율 좋게 또 확실하게 흡인 회수할 수 있다.
또 제 32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폐색수단(172) 실내측 면에 UV도포 처리가 실시되므로, 이 폐색수단(172)이 더러워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폐색수단(172) 실내측 면의 외관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제 33 발명에 의하면, 먼지 회수로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덕트(77)와 노즐접속부(78)가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므로, 실내유닛(13)을 설치할 시나 보수관리 시에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34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24 발명에 기재된 공기조화장치(10)의 노즐접속부(181)에 접촉하는 청소기 연장 노즐(191)에 있어서, 선단부(191a)는, 상기 노즐접속부(181)를 위쪽으로 밀고 또 외주부가 이 노즐접속부(181) 주위의 가이드부(178)에 접촉된 상태에서, 평면에서 보아 개구부분이 상기 노즐접속부(181) 구멍부(181b)와 겹쳐지도록 형성되므로, 이 청소기 연장 노즐(191)의 선단부(191a) 개구부분을 상기 노즐접속부(181) 구멍부(181b)와 확실하게 연통시키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먼지를 확실하게 흡인 회수할 수 있으며, 회수작업 시 작업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35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소기 노즐(191)은, 반구형의 노즐접속부(181)에 접촉하는 선단부(191a)의 개구가 진원형이므로, 이 노즐접속부(181)에 대해, 청소기 연장 노즐(191) 선단부(191a)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며, 먼지를 효율 좋게 또 확실하게 흡인할 수 있다.
또 제 36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선단부(191a')는 거의 "〈"형상으로 굴곡되므로, 바로 밑에서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노즐접속부(181)에 접촉시키지 않아도 되며, 이 청소기 연장 노즐(191)에 의한 먼지회수작업을 무리한 자세로 하는 일없이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또 제 37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선단부(191a) 선단측은 거의 "〈"형상으로 굴곡되는 연장관(195)이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노즐을 연장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바로 밑에서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노즐접속부(181)에 접촉시킬 필요가 없어지고, 보다 편안한 자세로 순조롭게 먼지회수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38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선단부(201a) 선단측에, 후단부(201b) 안지름과 동등한 바깥지름을 갖는 연결부를 형성하므로,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상호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청소기(95) 노즐을 더 연장시킬 수 있다.
또 제 39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은 청소기(95) 노즐(95a)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이 노즐(95a)에 대해 병렬로 설치하기 위한 노즐고정부(196)를 구비하므로,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사용하지 않을 때 이 청소기 연장 노즐(191)의 분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 40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노즐고정부는 상기 노즐(95a)을 감기 위한 테이프부재(196)이므로,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청소기(95) 노즐(95a)에 대해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제 41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 외주면 상에 상기 테이프부재(196)를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부(192)가 형성되므로, 테이프부재(196)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청소기(95) 노즐(95a)에 대해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제 42 발명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부재(196)는 상기 삽입부(192)를 삽입 통과하는 부분의 폭이 이 삽입부(192) 안쪽치수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상기 삽입부(192) 안쪽 치수보다 폭넓게 형성되므로, 테이프부재(196)가 삽입부(19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테이프부재(196)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43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 외주면 상에는, 상기 청소기(95) 노즐(95a) 외주면 상에 형성된 걸림부(95b)에 대해 연결 가능한 제 2 노즐고정부(197)가 형성되므로, 상기 노즐고정부(196)에 의해 청소기(95) 노즐(95a)에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고정하기 전에, 이 노즐(95a)의 걸림부(95b)에 대해 제 2 노즐고정부(197)를 고정시킴으로써 일시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노즐고정부(196)에 의해 상기 청소기(95) 노즐(95a)에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제 44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 외주면 상에는 제 2 삽입부(198)가 형성되며, 이 제 2 삽입부(198)에 일부가 삽입 통과되는 링형 부재(199)를 구비하므로, 청소기 연장 노즐(191)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포집상자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관계통도이다.
도 2는, 실내유닛을 나타낸 도이며, (a)는 천장 뒤에서 본 평면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케이싱 내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화장패널을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에어필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먼지저류용기를 뒤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먼지저류용기의 선회기구를 나타내는 도이며, (a)는 비선회 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선회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공급측 덕트의 댐퍼 개폐기구를 나타내는 도이며, (a)는 댐퍼 폐쇄 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댐퍼 개방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필터청소운전 동작을 나타내는 도이며, (a)는 통상운전 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필터 감김 시의 상태를 나타내며, (c)는 필터 되감김 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d)는 먼지배출 시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2는, 도 2의 XII-XII선 단면에 있어서, 커버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a)는 커버부가 폐쇄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b)는 커버부가 개방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3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도 1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4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도 1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5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3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도 1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6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4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도 1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며, (a)는 케이싱 본체를 단면으로 하여 천장 뒤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 단면에 있어서, 노즐접속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며, (a)는 흡입그릴이 폐쇄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b)는 흡입그릴이 개방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9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노즐접속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a)는 덮개부재가 폐쇄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b)는 덮개부재가 개방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20은, 도 19의 XX-XX선 단면에 있어서, 특히 관통공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노즐 삽입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a)는 덮개부재가 폐쇄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b)는 덮개부재가 개방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22는, 노즐접속부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XXIII-XXIII선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XXIV-XXIV선 단면도이다.
도 25는, 상기 커버의 핀부 및 하부 커버의 팽출부를 함께 나타내는 노즐삽입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6은, 하부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청소기 연장 노즐의 각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8은, 청소기 연장 노즐을 삽입한 경우의 도 24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29는, 청소기 연장 노즐을 청소기의 노즐에 고정한 경우의 도이다.
도 30은,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실내유닛을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1은, 실내유닛 중앙의 종단면도이다.
도 32는, 실내유닛을 나타내는 도이며, (a)는 아래쪽에서 본 횡단면도이고, (b) 및 (c)는 (a)의 옆쪽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33은, 브러시 구동수단 및 필터가이드를 뒤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4는, 필터구동수단과 에어필터의 관계를 뒤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5는, 먼지저류용기와 에어필터 폐쇄부재와의 관계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6은, 실내유닛 중앙의 종단면도이다.
도 37은, 먼지반송수단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8은, 필터청소운전 시의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실내유닛을 아래쪽에서 본 횡단면도이다.
도 39는, 필터청소운전 시의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실내유닛을 아래쪽에서 본 횡단면도이다.
도 40은,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실내유닛을 아래쪽에서 본 횡단면도이다.
도 41은,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도 17(a)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42는,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도 17(a)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43은,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44는, 노즐접속부와 덕트의 접속부분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a)는 비접속상태를 나타내고, (b)는 접속상태을 나타낸다.
도 45는, 먼지포집상자 또는 케이싱 본체와 덕트와의 접속부분 구조를 나타낸 도 44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46은,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기 연장 노즐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며, (a)는 단일체를 나타내고, (b)는 2개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에어필터(40)에서 제거된 먼지를 회수하기 위한 먼지회수구조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10)이다. 이 공기조화장치(10)에서는, 실내유닛(13)이 실내공간 천장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10)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실내유닛(13)의 구성, 먼지회수구조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전체구성>
도 1에 나타내듯이, 상기 공기조화장치(10)는 실외유닛(11)과 실내유닛(13)을 구비한다. 실외유닛(11)에는, 압축기(30), 실외열교환기(35), 팽창밸브(36), 사방밸브(33) 및 실외팬(12)이 설치된다. 실내유닛(13)에는 실내열교환기(37) 및 실내팬(39)이 설치된다.
상기 실외유닛(11)에서, 압축기(30)의 토출측은 사방밸브(33)의 제 1 포트(P1)에 접속된다. 압축기(30)의 흡입측은 사방밸브(33)의 제 3 포트(P3)에 접속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5)는 크로스핀식의 핀튜브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실외열교환기(35)의 일단은 사방밸브(33)의 제 4 포트(P4)에 접속된다. 실외열교환기(35)의 타단은, 액측 폐쇄밸브(15)에 접속된다.
상기 실외팬(12)은, 실외열교환기(35) 근방에 배치된다. 실외열교환기(35)에서는, 실외팬(12)에 의해 공급되는 실외공기와 이 열교환기(35) 내를 유통하는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실외열교환기(35)와 액측 폐쇄밸브(15)와의 사이에는, 개방도 가변인 팽창밸브(36)가 배치된다. 또 사방밸브(33) 제 2 포트(P2)는 가스측 폐쇄밸브(16)에 접속된다.
상기 사방밸브(33)는, 제 1 포트(P1)와 제 2 포트(P2)가 서로 연통하며 제 3 포트(P3)와 제 4 포트(P4)가 서로 연통하는 제 1 상태(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제 1 포트(P1)와 제 4 포트(P4)가 서로 연통하며 제 2 포트(P2)와 제 3 포트(P3)가 서로 연통하는 제 2 상태(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태)가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공기조화장치(10)에서는, 사방밸브(33)가 제 1 상태인 경우, 난방운전이 이루어지며, 사방밸브(33)가 제 2 상태인 경우, 냉방운전이 이루어진다. 난방운전에서는, 냉매회로(18)에서 실외열교환기(35)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며 또 실내열교환기(37)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이 행해진다. 한편, 냉방운전에서는, 냉매회로(18)에서 실외열교환기(35)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며 또 실내열교환기(37)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이 행해진다.
<실내유닛의 구성>
도 2에 나타내듯이, 상기 실내유닛(13)은 케이싱본체(26)(케이싱)와 화장패널(27)을 갖는 실내케이싱(34)을 구비한다. 케이싱본체(26) 밖에는, 후술하듯이, 케이싱본체(26) 내의 에어필터(40)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먼지포집상자(90)가 설치된다. 또 도 3에서 도 5에 나타내듯이, 실내케이싱(34) 내에는, 실내열교환기(37), 드레인 팬(38), 실내팬(39), 에어필터(40), 먼지제거수단(50), 먼지저류용기(60) 및 먼지반송수단(70)이 배치된다.
상기 케이싱본체(26)는, 하측이 개방된 거의 직방체의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케이싱본체(26) 안쪽 면에는 단열재(17)가 적층된다. 또, 상기 케이싱본체(26)는, 하부가 천장판(1) 개구(1a)로 삽입된 상태에서 설치되도록, 천장 뒤의 천장 면으로부터 매달려 지지된다.
상기 화장패널(27)은,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도 6 참조). 화장패널(27)을 평면에서 본 형상은, 케이싱본체(26)를 평면에서 본 형상보다 약간 크게 구성된다. 화장패널(27)은,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실부재(19)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케이싱본체(26)의 하측을 피복하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화장패널(27)은 케이싱본체(26)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측으로 노출된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상기 화장패널(27)에는, 하나의 흡입구(22)와 4개의 토출구(23)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22)는 화장패널(27) 중앙부에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슬릿형의 흡입그릴(29)이 끼워 넣어진다. 상기 각 토출구(23)는, 화장패널(27) 각 변을 따르도록 가늘고 긴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 토출구(23)에는, 풍향 조정판(23a)이 설치된다(도 3 참조). 이 풍향 조정판(23a)은, 선회함으로써 풍향(토출방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 도 2에도 나타내듯이, 화장패널(27)에는 패널 네 코너에 개략 삼각형의 개구부(27a, 27a, …)가 형성된다. 이들 개구부(27a, 27a, …)는, 일반적으로 실내유닛(13)을 보수 점검할 시에, 작업자가 천장 뒤에 접근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27a)는, 천장 뒤 천장 면에서 매달려 지지되는 케이싱본체(26)의 높이를 조정할 시 등에 작업자가 접근하기 위해 이용된다. 때문에, 통상 상기 각 개구부(27a)는 분리 가능한 커버(27b)에 의해 피복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상기 4개 개구부(27a) 중 하나의 개구부(27a)에, 후술하는 먼지포집상자(90)로부터 이어지는 회수덕트(77)(먼지 회수로)의 일단이 위치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나, 이와 같이 회수덕트(77)의 일단을 개구부(27a)에 위치시킴으로써, 이 개구부(27a)를 피복하는 커버부(28b)(폐색수단, 코너커버)를 열어 청소기(95) 노즐(95a)을 실내측에서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도 2(b) 참조). 여기서, 상기 먼지포집상자(90)에서 화장패널(27) 실내측까지의 경로가, 먼지를 회수하기 위한 먼지회수경로에 대응한다. 그리고 이 먼지회수경로는, 후술하는 먼지저류용기(60)에서 화장패널(27) 실내측까지 등, 먼지회수에 관한 모든 경로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실내팬(39)은, 이른바 터보팬이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실내팬(39)은 케이싱본체(26) 중앙 부근에 배치되며, 흡입구(22) 상측에 위치한다. 실내팬(39)은 팬 모터(39a)와 임펠러(39b)를 구비한다. 팬 모터(39a)는 케이싱 본체(26) 천장판에 고정된다. 임펠러(39b)는, 팬 모터(39a) 회전축에 연결된다. 실내팬(39) 아래쪽에는, 흡입구(22)로 연통되는 벨 마우스(25)가 배치된다. 이 벨 마우스(25)는 케이싱 본체(26) 내에서, 실내열교환기(37) 상류측 공간을 실내팬(39) 측과 흡입그릴(29) 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실내팬(39)은, 벨 마우스(25)를 통해 아래쪽에서 흡입한 공기를 둘레방향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7)는 크로스핀식의 핀트뷰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실내열교환기(37)는 평면에서 보아 "ㅁ"자형으로 형성되며, 실내팬(39)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실내열교환기(37)에서는, 실내팬(39)에 의해 공급되는 실내공기(토출공기)와 이 열교환기(37) 내를 유통하는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드레인 팬(38)은, 실내열교환기(37) 아래쪽에 배치된다. 드레인 팬(38)은, 실내열교환기(37)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생기는 드레인 수를 받기 위한 것이다. 드레인 팬(38)에는, 드레인 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펌프가 설치된다(도시 생략). 드레인 팬(38)은 드레인 펌프를 설치한 부분에 드레인 수가 모아지도록 기울기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필터(40)는, 긴 시트형으로 형성되며, 벨 마우스(25) 아래쪽(입구측)에 배치된다. 에어필터(40)는 도 7에 나타내듯이,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인 필터본체(41)와, 감김부(42)를 구비한다. 필터 본체(41)는, 벨 마우스(25) 입구를 피복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실내팬(39)으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김부(42)는, 필터 본체(41)의 한 쌍의 대향하는 각 변에 접속되도록 이 필터 본체(41)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먼지제거수단(50)의 제 1 감김 드럼(53) 및 제 2 감김 드럼(54)으로 감긴다(도 3 참조). 또 필터 본체(41)의 감김부(42)가 접속되지 않은 각 변(이하, 측변이라 함)에는, 댐퍼용 돌출편(43) 및 용기용 돌출편(44)이 형성된다. 상기 댐퍼용 돌출편(43)은, 필터 본체(41) 단부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용기용 돌출편(44)은, 대략 측변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먼지제거수단(50)은, 에어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먼지제거수단(5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브러시 부재인 회전 브러시(51)와, 필터이동수단(52)을 구비한다.
상기 필터이동수단(52)은, 에어필터(40)를 소정 위치로 유지하는 한편, 에어필터(40)를 회전브러시(51)에 대해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필터이동수단(52)은, 제 1 감김 드럼(53), 제 2 감김 드럼(54) 및 가이드 롤러(55)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감김 드럼(53) 및 제 2 감김 드럼(54)은, 벨 마우스(25)의 하방이며, 또 그 입구보다 바깥쪽에 배치된다. 제 1 감김 드럼(53)은 도 3의 우측(이하, 후방측이라 함)에 위치하며, 제 2 감김 드럼(54)은 도 3의 좌측(이하, 전방측이라 함)에 위치한다. 상기 감김 드럼(53, 54)은, 도 4에 나타내는 구동모터(56)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에어필터(40)의 감김부(42)를 감거나 되감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에어필터(40)의 필터 본체(41)는,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이동한다. 가이드 롤러(55)는, 제 1 감김 드럼(53)의 약간 전방측에 배치된다. 이 가이드 롤러(55)는 에어필터(40) 감김부(42)를 밑에서 지지함과 더불어, 에어필터(40) 이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벨 마우스(25) 하면에는, 이 벨 마우스(25) 입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프레임형 가이드 부재(57)가 설치된다(도 3 및 도 5 참조). 이 가이드 부재(57)는, 에어필터(40) 이동을 상방에서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브러시(51)는, 막대형 샤프트부와, 샤프트부 주위의 복수 식모(植毛)로 구성된 브러시부를 구비한다. 회전 브러시(51)는, 에어필터(40) 하방이며 또 전방 측에 위치되도록, 후술하는 먼지저류용기(60)의 브러시용 개구(62) 내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브러시(51)는 필터본체(41)가 이동하여 브러시부가 이 필터본체(41)에 접촉함으로써 먼지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회전 브러시(51)는, 가이드부재(57)와의 사이에 필터 본체(41)가 개재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필터 본체(41)가 확실하게 회전 브러시(51) 쪽으로 밀어붙여지므로, 먼지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먼지저류용기(60)는, 회전 브러시(51)에 의해 제거된 먼지가 일단 저류되는 곳이다. 먼지저류용기(60)는 도 8에도 나타내듯이, 약간 가늘고 긴 직방체형 용기이다. 먼지저류용기(60)는, 에어필터(40)의 하방이며 또 전방측에서 이 에어필터(40)를 횡단하도록 배치된다(도 3 및 도 4 참조).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먼지저류용기(60) 상면에 형성된 브러시용 개구(62)에는 회전브러시(51)가 설치된다.
상기 먼지저류용기(60)에는, 전방측 면에, 상하방향 중앙부분이 원호형으로 팽출된 원호부(61)가 형성된다. 에어필터(40)는, 이 원호부(61)를 따르도록 절곡되어 제 2 감김 드럼(54)에 감긴다. 또 먼지저류용기(60)의 폭방향 단면(이하, 측면이라 함) 및 후방측 면(이하, 뒷면이라 함)에는, 후술하는 먼지반송수단(70)의 플렉시블관(73, 75)이 접속되는 덕트용 개구(63)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먼지저류용기(60)는, 에어필터(40) 이동에 따라 선회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듯이, 상기 먼지저류용기(6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선회축(65)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면 단부에 돌출되도록 필터 작용부(6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저류용기(60)는, 통상 운전 시에는 후방측이 스프링(66)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밀어붙여지도록 구성된다(도 9(a) 참조). 여기서, 먼지저류용기(60)의 후방측과 가이드부재(57)와의 사이에는 실부(도시 생략)가 구성되며, 전술과 같이 먼지저류용기(60) 후방측이 상방으로 밀어붙여진 상태에서 이 먼지저류용기(60) 내부와 실내팬(39)의 흡입측이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먼지저류용기(60)는, 필터청소 시에 에어필터(40)가 이동하여 그 에어필터(40) 용기용 돌출편(44)이 필터 작용부(64)에 접촉함으로써, 아래 방향으로 밀려 선회하도록 구성된다(도 9(b) 참조). 이 상태에서는, 전술한 실부가 개구되고, 필터본체(41)가 먼지저류용기(60)와 가이드부재(57) 사이를 통과하기 쉽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선회축(65), 필터 작용부(64) 및 스프링(66)은, 에어필터(40) 이동에 의해 먼지저류용기(60)를 선회시키는 선회기구를 구성한다.
상기 먼지반송수단(70)은, 실내팬(39)의 토출공기를 상기 먼지저류용기(60)로 도입하고, 이 먼지저류용기(60)로부터 공기와 함께 먼지를 케이싱 본체(26) 밖으로 반송(배출)하는 것으로, 도 3에서 도 5에 나타내듯이, 공급측 덕트(71) 및 배출측 덕트(74)를 구비한다. 즉, 이 먼지반송수단(70)은, 실내팬(39)의 토출공기를 이용하여 먼지저류용기(60)의 먼지를 케이싱 밖까지 반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급측 덕트(71) 및 배출측 덕트(74)는, 벨 마우스(25) 하측 공간에 배치된다. 공급측 덕트(71)는, 출구단이 플렉시블관(73)을 개재하여 먼지저류용기(60) 뒷면의 덕트용 개구(63)에 접속된다. 배출측 덕트(74)는 용이하게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덕트로 구성되며, 입구단이 플렉시블 관(75)을 개재하여 먼지저류용기(60) 측면의 덕트용 개구(63)에 접속된다.
상기 공급측 덕트(71)는, 입구측 개구가 실내팬(39)의 배치공간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그 개구부에 개폐 자유로운 댐퍼(72)가 설치된다. 즉, 공급측 덕트(71)의 입구측 개구가 실내팬(39)의 토출측과 실내열교환기(37) 사이에 위치한다. 도 4 및 도 10에 나타내듯이, 이 댐퍼(72)는 에어필터(40)의 이동에 따라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공급측 덕트(71) 내부에는 일단이 댐퍼(72)의 개폐 덮개(72a)에 장착되는 개폐용 레버(81)가 배치된다. 이 개폐용 레버(81)는, 중간 부분에 선회축(82)을 가지며, 이 선회축(82)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하도록 구성된다. 개폐용 레버(81)의 타단은, 공급측 덕트(71) 상면의 개구공에서 출몰하는 필터 작용부(81a)가 된다.
즉, 상기 공급측 덕트(71)의 입구측 개구는, 실내열교환기(37)를 통과하기 전의 실내팬(39) 토출공기가 도입되는 도입구를 구성한다. 또, 상기 댐퍼(72)는 이 먼지반송수단(70)의 도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댐퍼(72)는 통상운전 시 개폐용 레버(81)의 일단측(댐퍼(72)측)이 스프링(83)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밀려, 개폐덮개(72a)가 닫히도록 구성된다(도 10(a) 참조). 이로써, 실내팬(39)의 토출공기는 공급측 덕트(71)로는 유입되지 않는다. 여기서, 이 상태에서는 개폐용 레버(81)의 필터 작용부(81a)가 공급측 덕트(71)의 상면 개구공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 상기 댐퍼(72)는, 필터청소 시 에어필터(40)의 이동에 따라 이 에어필터(40)의 댐퍼용 돌출편(43)이 필터 작용부(81a)에 접촉함으로써, 이 필터 작용부(81a)가 공급측 덕트(71) 내로 매입되도록 구성된다(도 10(b) 참조). 이 상태에서는, 개폐용 레버(81)의 일단측이 위쪽으로 선회하여, 댐퍼(72)의 개폐덮개(72a)가 개방된다. 이로써, 실내팬(39)의 토출공기가 댐퍼(72)로부터 공급측 덕트(71)로 유입되어 먼지저류용기(60)로 공급된다.
상기 배출측 덕트(74)는, 출구단이 케이싱 본체(26) 측벽을 관통하고, 도 2에 나타내듯이 이 케이싱 본체(26) 측면에 설치된 먼지포집상자(90)까지 이어진다. 즉 이 배출측 덕트(74)는, 먼지저류용기(60)에 저류된 먼지를 공급측 덕트(71)의 공기와 함께 케이싱 밖의 먼지포집상자(90)로 반송(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배출측 덕트(74)의 내부에는 반송통로(76)가 구성된다.
상기 먼지포집상자(90)는 거의 직방체형의 금속제 부재이며, 상기 도 2에 나타내듯이, 평면에서 보아(실내측에서 보아) 일부분이 상기 화장패널(27)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먼지포집상자(90)를 평면에서 보아 상기 화장패널(27)보다 바깥쪽으로 어긋나도록 배치함으로써, 이 화장패널(27) 크기에 제약받는 일없이, 용적이 큰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다량의 먼지를 포집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먼지포집상자(90)로부터 먼지를 회수하는 빈도를 적게 할 수 있고, 먼지 회수작업의 작업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먼지포집상자(90)는, 상기 케이싱 본체(26)의 측면에 설치되므로, 이 먼지포집상자(90)를 천장 뒤에서 지지하기 위한 공사를 할 필요가 없어지고, 설치 시의 작업을 경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먼지포집상자(90)는, 그 일부분이 화장패널(27)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크기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분이 상기 천장판(1) 개구(1a)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크기로 형성되면 된다.
상기 먼지포집상자(90) 뒷면(도면의 우측)에는, 상기 배출측 덕트(74)의 타단과 접속되는 덕트용 개구(90a)(흡입구)가 형성된다. 또 상기 먼지포집상자(90)에는, 그 상면에 상기 공급측 덕트(71) 및 배출측 덕트(74)를 통해 이 먼지포집상자(90) 내로 도입되는 실내팬(39) 토출공기를 천장 뒤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90b)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먼지포집상자(90) 뒷면에 덕트용 개구(90a)를, 상면에 배출구(90b)를 각각 형성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뒷면 이외의 면에 덕트용 개구(90a)를 형성하고, 상면 이외의 면에 배출구(90b)를 형성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90b)는 상기 덕트용 개구(90a)보다 개구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이 배출구(90b)에는 상기 먼지포집상자(90) 내로 벌레나 먼지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메시부재(92)가 설치된다. 또 상기 먼지포집상자(90)의 측면 하부에는, 투명한 부재(예를 들어 유리나 아크릴판 등)로 이루어진 점검 창(93)이 형성되며, 이 먼지포집상자(90) 내에는 항균제나 방충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포집상자(90) 전체 또는 적어도 한 면을 투명한 부재로 구성해도 되며, 점검 창(93) 대신에 문을 설치하여 이 문을 개방함에 따라 상자 내의 먼지저류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먼지포집상자(90)에는 상기 덕트용 개구(90a)가 형성된 면과 대향하는 면에, 용이하게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덕트로 구성된 회수덕트(77)가 접속되는 회수덕트용 개구(90c)가 형성된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덕트용 개구(90a)가 형성된 면과 대향하는 면에 회수덕트용 개구(90c)를 형성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먼지포집상자(90) 내로부터 먼지를 청소기(95)에 의해 효율 좋게 흡인 회수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면에 형성해도 된다.
<먼지회수구조>
다음은, 상기 먼지포집상자(90)에 저류된 먼지를 회수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먼지포집상자(90)의 회수 덕트용 개구(90c)에 일단측이 접속된 회수덕트(77)는, 화장패널(27) 코너부까지 이어진 후 하방으로 굴곡하며 타단측이 개구부(27a) 내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도 2 참조). 이 개구부(27a)에는, 도 12에 나타내듯이 상기 회수 덕트(77)의 타단측이 접속되는 노즐접속부(78)가 배치된다. 이 노즐접속부(78)는, 하방(실내측)을 향해 안지름이 점차 커지는 테이퍼부를 갖는 원추대형 통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안지름이 가장 작은 상부(78a)에서 상기 회수 덕트(77) 타단측에 접속 고정된다. 한편, 상기 노즐접속부(78)의 테이퍼형 하부(78b)에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플랜지부(78c)는, 상기 화장패널(27) 개구부(27a)에 설치된 후술하는 커버부재(28) 베이스부(28a)에 접속 고정된다.
상기 노즐접속부(78)는, 그 상부(78a) 또는 하부(78b)에 청소기(95) 노즐(95a) 선단 부분이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78b)를 하방을 향해 안지름이 점차 커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노즐(95a)을 삽입하여 이 노즐(95a) 선단부를 이 하부(78b)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접속부(78)에 청소기(95) 노즐(95a) 선단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 청소기(95)를 작동시킴으로써, 회수 덕트(77)를 개재하여 이 노즐접속부(78) 내의 공간과 연통하는 상기 먼지포집상자(90) 내의 공간으로부터 먼지를 흡인하여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과 같은 노즐접속부(78)를 설치함으로써, 청소기(95) 노즐(95a) 크기에 관계없이, 이 노즐(95a) 선단부를 상기 노즐접속부(78)에 접촉시켜 이 노즐접속부(78)를 통해 먼지를 흡인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28)는, 상기 화장패널(27) 개구부(27a)의 안쪽 테두리부에 고정되며, 평면에서 보아 거의 중앙부분에 오목부(28c)를 갖는 베이스부(28a)와, 이 베이스부(28a)의 오목부를 피복하는 커버부(28b)(폐색수단, 코너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28a)는, 실내측에 오목부(28c)의 개구부분이 위치하도록 상기 화장패널(27)에 설치된다. 또 상기 베이스부(28a)는, 평면에서 보아 오목부(28c)의 거의 중앙부분에 원형의 구멍부(28d)가 형성되며, 이 구멍부(28d)에 상기 노즐접속부(78)의 플랜지부(78c)가 접속 고정된다.
이로써, 상기 회수덕트(77)의 타단측과 접속된 노즐접속부(78)는, 상기 화장패널(27) 실내측 면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노즐접속부(78)를 화장패널(27) 실내측 면보다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이 노즐접속부(78)가 실내측에서 직접 보이지 않고, 실내유닛(13)의 실내측 외관을 크게 손상시키는 일은 없다.
상기 커버부(28b)는, 그 일단측이 상기 베이스부(28a)의 오목부(28c) 측벽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로써, 상기 커버부(28b)의 타단측을 하방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도 12(b)에 나타내듯이 이 커버부(28b)가 개방상태가 되어, 상기 노즐접속부(78)를 실내측으로 노출되게 한다. 한편, 상기 커버부(28b)의 타단측을 상방으로 선회시킴에 따라, 상기 도 12(a)에 나타내듯이 이 커버부(28b)가 폐쇄상태가 되어, 상기 노즐접속부(78)의 실내측을 피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부(28b)에 의해 노즐접속부(78)의 실내측을 피복함으로써, 이 노즐접속부(78)에 의해 실내측에서 본 실내유닛(13) 외관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먼지회수 시 이외에 먼지포집상자(90)와 접속된 노즐접속부(78)로부터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전술과 같이 상기 노즐접속부(78)를 화장패널(27) 실내측 면보다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노즐접속부(78) 실내측을 상기 커버부(28b)에 의해 상기 화장패널(27)과 거의 동일평면으로 피복할 수 있으므로, 이 커버부(28b)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실내유닛(13)의 실내측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화장패널(27)에 고정되는 커버부재(28)의 베이스부(28a)에는, 상기 커버부(28b)의 타단측과 탈착 가능한 푸시록(79)이 설치된다. 이 푸시록(79)은, 상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하지만, 구멍부(도시 생략)에 연결부가 삽입되면 연결 상태가 되는 한편, 이 연결부를 다시 삽입하면 이 연결부와의 연결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구성의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28b)의 타단측에는, 상기 푸시록(79)에 대응하여 이 푸시록(79)에 연결되는 연결부(28e)가 설치된다.
전술과 같이, 상기 푸시록(79)에 대해 상기 커버부(28b)의 타단측을 연결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이 커버부(28b)를 청소기(95) 노즐(95a) 등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이 푸시록(79)과의 연결을 해제시켜 이 커버부(28b)를 용이하게 개방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28b)로 피복된 노즐접속부(78)를 용이하게 실내측으로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커버부(28b)의 이면(상면)에는, 이 커버부(28b)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노즐접속부(78)와 이 커버부(28b) 사이에 개재되며, 이로써 이 노즐접속부(78) 내부공간을 밀봉하는 원통형의 실부재(80)가 설치된다. 이 실부재(80)는, 상기 커버부(28b)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노즐접속부(78) 하부(78b)에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플랜지부(78c)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부재(80)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커버부(28b)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노즐접속부(78) 내부공간을 실내공간에 대해 밀폐할 수 있으므로, 이 노즐접속부(78)를 통해 먼지가 실내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필터청소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는, 냉난방을 하는 통상운전과 에어필터(40)를 청소하는 필터청소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먼저, 통상운전에서는 압축기(30), 실외팬(12) 및 실내팬(39)이 구동된다. 실내유닛(13)에서는, 실내공기가 흡입구(22)로부터 흡입되어 벨 마우스(25)를 통과한 후, 실내팬(39)으로부터 토출된다. 이 토출공기는, 실내열교환기(37)의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 또는 가열된 후 각 토출구(23)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도 11(a)에 나타내듯이, 전술한 통상운전 시 에어필터(40)는 벨 마우스(25)를 피복하는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흡입구(22)로부터 흡입된 실내공기는 벨 마우스(25)로 유입되기 전에 에어필터(40)를 통과하는 데, 그 때 이 에어필터(40)에 먼지가 포착된다. 또 공급측 덕트(71)의 댐퍼(72)는 닫혀있고, 실내팬(39)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공급측 덕트(71)로 유입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실내팬(39)으로부터 토출된 공기 전부가 실내열교환기(37)로 공급되므로, 실내팬(39)의 운전효율 저하가 방지된다.
다음은, 필터청소운전(필터청소동작)에 대해, 도 11(b)~도 11(d)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필터청소운전에서는, 에어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동작과, 제거된 먼지를 케이싱 본체(26) 밖으로 반송하는 먼지반송동작이 이루어진다.
먼저, 필터청소운전에서는 실내팬(39)이 정지되는 한편, 먼지제거수단(50)인 2대의 구동모터(56)가 구동되어 먼지제거동작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는, 도 11(b)에 나타내듯이 에어필터(40)가 제 2 감김 드럼(54)에 감겨 이동해 간다. 그러면, 에어필터(40)의 용기용 돌출편(44)이 먼지저류용기(60)의 필터 작용부(64)에 접촉하고, 먼지저류용기(60)가 아래방향으로 선회한다. 이로써, 먼지저류용기(60) 후방측과 가이드부재(57) 사이가 개구되므로, 필터 본체(41)는 먼지저류용기(60)에 간섭하는 일없이 회전 브러시(51)와 가이드 부재(57) 사이를 통과한다. 여기서, 상기 먼지저류용기(60)와 공급측 덕트(71) 및 배출측 덕트(74)는, 각각 플렉시블관(73, 75)으로 접속되므로, 이 먼지저류용기(60)의 선회 동작에 의해 연결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필터 본체(41)는, 먼지저류용기(60)와 가이드 부재(57) 사이를 통과할 때 회전 브러시(51)에 의해 먼지가 제거된다. 제거된 먼지는 먼지저류용기(60) 내에 저류된다. 이 상태에서, 댐퍼(72)는 폐쇄상태이다. 그리고 필터 본체(41) 전체가 회전 브러시(51)를 통과하면, 자동적으로 각 구동모터(56)가 역회전하여 에어필터(40)를 되감는다(도 11(c) 참조). 이로써, 에어필터(40)는 제 1 감김 드럼(53)에 감긴다. 여기서, 전술과 같이 구동모터(56)의 회전방향이 전환될 때까지는, 에어필터(40)의 용기용 돌출편(44)이 필터 작용부(64)에 계속 접촉되므로, 먼지저류용기(60)는 아래방향으로 선회한 상태이다.
상기 에어필터(40)가 되감겨 소정 위치로 돌아오면, 에어필터(40) 용기용 돌출편(44)이 필터 작용부(64)로부터 이격되고, 먼지저류용기(60)가 위쪽으로 선회하여 원상태로 돌아온다. 즉, 먼지저류용기(60) 후방측과 가이드 부재(57) 사이가 밀봉된다. 그리고 에어필터(40)가 소정위치로 돌아오면, 실내팬(39)이 다시 구동되어 먼지반송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실내팬(39)이 다시 구동되면, 에어필터(40)가 다시 제 1 감김 드럼(53)에 감긴다. 즉, 도 11에서 에어필터(40)가 소정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에어필터(40)가 이동하면, 에어필터(40)의 댐퍼용 돌출편(43)이 공급측 덕트(71)의 필터 작용부(81a)에 접촉한다. 그러면, 도 11(d)에 나타내듯이, 공급측 덕트(71)의 개폐용 레버(81)가 선회하여 댐퍼(72)의 개폐 덮개(72a)가 열린다. 그리고, 이 때 구동모터(56)는 정지된 상태이다.
상기 댐퍼(72)가 열리면, 실내팬(39)으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일부가 공급측 덕트(71)로 유입되어 먼지저류용기(60) 내로 공급된다. 먼지저류용기(60) 내로 유입된 공기는, 먼지와 함께 배출측 덕트(74)로 흘러 케이싱 본체(26) 밖의 먼지포집상자(90) 내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먼지포집상자(90) 내에는 먼지만이 저류되고, 실내팬(38)의 토출공기는 이 먼지포집상자(90)에 형성된 배출구(90b)로부터 천장 뒤로 배출된다. 그 때, 먼지저류용기(60)와 가이드 부재(57) 사이가 밀봉되어 있으므로, 먼지저류용기(60)에 공급된 공기가 브러시용 개구(62)로부터 유출되는 일은 없다. 이 배출 동작이 소정시간 이루어지면, 구동모터(56)가 다시 구동되어 에어필터(40)가 소정위치로 되돌아온다. 이로써, 에어필터(40)의 댐퍼용 돌출편(43)이 개폐레버(81)의 필터 작용부(81a)로부터 이격되고 댐퍼(72)가 닫혀진다. 이상으로 필터청소운전이 종료된다.
여기서, 전술한 필터청소운전 시에, 구동모터(56)의 역회전 구동이나 발진 및 정지의 타이밍은 구동모터(56)가 회전한 수에 따라 계산하도록 해도 된다. 또 소정의 부분에 리미트 스위치를 배치함과 더불어, 그에 대응하는 스트라이커를 에어필터(40)에 설치함으로써, 구동모터(56)의 발진 및 정지 등의 타이밍을 취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필터청소운전에 있어서, 매번 먼지반송동작을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필터청소운전 시에 먼지저류용기(60)의 먼지 저류량이 소정량을 초과하면 검지하는 저류량 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이 검지수단이 검지했을 때만 먼지반송동작을 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포집상자(90) 내에 저류된 먼지는, 화장패널(27) 코너부에 형성된 노즐접속부(78)로 삽입되는 청소기(95) 노즐(95a)에 의해 흡인 회수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먼지포집상자(90) 내 먼지를 회수할 때, 상기 화장패널(27) 코너에 위치하는 개구부(27a)를 피복하는 커버부(28b)를 청소기(95) 노즐(95a) 등으로 상방으로 밀어 올려 푸시록(79)을 해제시키고, 이 커버부(28b)를 하방으로 선회시켜 개방상태로 한다. 그 후, 상기 개구부(27a) 내의 노즐접속부(78)에 청소기(95) 노즐(95a)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이 노즐접속부(78)와 이 노즐(95a)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청소기(95)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상기 먼지포집상자(90) 내에 저류된 먼지는, 이 먼지포집상자(90)의 회수덕트용 개구(90c)에 접속된 회수덕트(77) 및 상기 노즐접속부(78)를 통해 청소기(95)에 의해 흡인 회수된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으로부터 이 실시형태에서는, 에어필터(40)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는 먼지저류상자(90)에 일단측이 접속되는 회수덕트(77)의 타단측은 화장패널(27) 코너부까지 이어지고, 이 코너부에 위치하는 개구부(27a) 내에 위치하며, 청소기(95) 노즐(95a)이 삽입되는 노즐접속부(78)에 접속되므로, 이 청소기(95)에 의해 먼지저류상자(90) 내에 저류된 먼지를 흡인하여 회수할 수 있다.
상기 노즐접속부(78)는, 전체적으로 원추대형의 통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하부(78b)가 하방(실내측)을 향할수록 안지름이 커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므로, 청소기(95) 노즐(95a)의 크기가 다른 경우라도, 상기 하부(78b)에 이 노즐(95a) 선단부를 확실하게 접촉시켜 먼지를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에 의해, 청소기(95) 노즐(95a) 크기에 관계없이, 이 청소기(95)에 의해 먼지를 흡인 회수할 수 있다.
또 상기 노즐접속부(78)를 상기 화장패널(27)의 실내측 면보다 상방에 위치시킴으로써, 실내측에서 이 노즐접속부(78)를 보기 어렵게 할 수 있고, 실내유닛(13)의 실내측 외관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접속부(78) 실내측을 상기 화장패널(27)과 거의 동일 평면인 커버부(28b)로 피복함으로써, 실내유닛(13)의 실내측 외관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노즐접속부(78)를 통해 먼지포집상자(90) 내의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부(28b)의 한쪽 단부를 선회 가능하게 구성하며, 다른 쪽 단부를 커버부재(28)의 베이스부(28a)에 설치된 푸시록(79)에 연결시킴으로써, 이 커버부(28b)를 밀어 올림으로써 이 푸시록(79)의 연결 해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청소기(95) 노즐(95a) 등에 의해 상기 커버부(28b)를 용이하게 열 수 있으며, 먼지회수 시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부(28b) 이면(천장면 측)에, 이 커버부(28b)를 닫은 상태에서 노즐접속부(78)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이 노즐접속부(78) 내부공간을 실내공간에 대해 밀봉하는 원통형 실부재(80)를 배치하므로, 이 노즐접속부(78)를 통해 먼지가 실내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1-
이 변형예 1은 도 13에 나타내듯이, 화장패널(27) 코너부에 형성된 개구부(27a)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01)의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재(101)는 상기 개구부(27a) 안쪽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베이스부(101a)와, 이 베이스부(101a) 안쪽에서 이 베이스부(101a)의 개구를 피복하는 커버부(101b)(폐색수단)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101a)는, 그 개구측이 실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개구부(27a) 내에 배치되며, 상측에 위치하는 바닥면에는 회수 덕트(77)의 타단측에 접속된 노즐접속부(78)가 설치되는 구멍부(101c)가 형성된다. 또 상기 베이스부(101a) 개구 가장자리부는 안쪽을 향해 절곡되며 이 절곡된 부분이 상기 커버부(101b)와 접촉하는 부위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접속부(78)에 형성되는 구멍부(101c)는, 상기 베이스부(101a)의 개구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이 개구 내로 삽입된 청소기(95) 노즐(95a)이 용이하게 상기 노즐접속부(78)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도 13(b) 참조).
상기 커버부(101b)는, 상기 베이스부(101a)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이 베이스부(101a) 내에 선회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부(101b)의 한쪽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101a) 내면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상기 커버부(101b)의 한쪽 단부와 상기 베이스부(101a) 내면 사이에는 스프링부재(102)(바이어스수단)가 배치되며, 이 스프링부재(102)에 의해 상기 커버부(101b)는 베이스부(101a)의 개구를 막도록 바이어싱 된다. 여기서 당연한 것이나, 상기 베이스부(101a) 내부는 상기 커버부(101b)가 개폐동작을 해도 이 커버부(101b)의 개폐동작을 저해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로써, 먼지회수 시에는 도 13(b)과 같이 상기 커버부(101b)를 청소기(95) 노즐(95a) 선단부 등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이 커버부(101b)를 열고 이 노즐(95a)을 상기 노즐접속부(78) 내로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부러 천장 면까지 올라가 커버부(101b)를 여는 일없이, 용이하게 이 커버부(101b)를 열어 먼지회수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커버부(101b)는, 스프링부재(102)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밀리므로, 청소기(95) 노즐(95a)을 이 커버부(101b)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베이스부(101a)의 개구를 막도록 바이어싱 되어, 실내측으로 먼지가 유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2-
이 변형예 2는 도 14에 나타내듯이, 커버부(111b)(폐색수단)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점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 14에 나타내듯이 커버부재(111)는, 화장패널(27) 코너에 위치하는 개구부(27a) 안쪽 테두리부에 고정되며, 평면에서 보아 거의 중앙부분에 오목부(111c)가 형성된 베이스부(111a)와, 이 베이스부(111a)의 오목부(111c) 실내측을 피복하는 커버부(111b)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111a)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실내측에 오목부(111c) 개구부분이 위치하도록 상기 화장패널(27)에 장착된다. 또, 상기 베이스부(111a)에는, 상측에 위치하는 바닥 면에 노즐접속부(78)가 설치되는 구멍부(111d)가 형성된다. 또, 상기 베이스부(111a)에는, 오목부(111c)를 구성하는 측면에 상기 커버부(111b)가 삽입 통과 가능한 슬릿(111e)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111b)는, 거의 평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측이 실내측으로 절곡되어 손잡이부(111f)를 구성하는 한편, 타단측은 상기 베이스부(111b)의 오목부(111c)를 구성하는 측면에 형성된 상기 슬릿(111e)에 삽입 통과된다. 때문에, 상기 커버부(111b)의 손잡이부(111f)를 밀어 이 커버부(111b)를 상기 슬릿(111e)에 대해 출입시킴으로써, 이 커버부(111b)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이 커버부(111b)를 개폐동작시킬 수 있고, 먼지회수 시에만 상기 노즐접속부(78)를 실내측으로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11b)의 손잡이부(111f)는, 청소기(95) 노즐(95a) 선단부를 걸어 상기 커버부(111b)를 개폐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3-
이 변형예 3은 도 15에 나타내듯이, 상기 변형예 2의 구성에서 커버부(111b)를 모터(113)(구동수단)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점이 상기 변형예 2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 15에 나타내듯이, 커버부(111b) 상면(천장측 면)에는 복수의 이부(齒部)를 갖는 랙부(111g)가 형성된다. 그리고, 화장패널(27) 천장측에는, 상기 랙부(111g)에 맞물리는 기어(112)와, 이 기어(112)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13)가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모터(113)의 회전은 상기 기어(112)를 통해 랙부(111g)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되며, 상기 커버부(111b)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 15에서, 상기 모터(11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어(112)에 대해 랙부(111g)를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커버부(111b)를 개방상태로 하는 한편, 상기 모터(11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어(112)에 대해 랙부(111g)를 왼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커버부(111b)를 폐쇄상태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113)는, 스위치 조작에 따라 ON/OFF나 회전 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커버부(111b)를 사용자가 일부러 여는 일없이, 상기 모터(113)의 구동력에 의해 이 커버부(111b)를 열 수 있다.
그리고, 전술과 같이, 상기 커버부(111b) 상면에 랙부(111g)가 형성되므로, 베이스부(111a)의 슬릿(111e)은 이 랙부(111g)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또 상기 변형예 2에서는, 상기 커버부(111b) 일단측에 손잡이부(111f)를 형성하나, 이 변형예에서는 이 손잡이부가 필요 없으므로 상기 커버부(111b)는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또 이 변형예에서는, 전술과 같이 커버부(111b)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성에서, 이 커버부(111b)를 모터(113)나 기어(112)에 의해 구동시키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상기 제 1 실시형태나 그 변형예 1과 같이, 커버부를 선회시키는 구성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이 커버부를 선회시키도록 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4-
이 변형예 4는, 도 16에 나타내듯이, 청소기(95) 노즐(95a)을 접합시키는 노즐접촉부(121a)(노즐접속부)를 실내측에 형성함과 더불어, 먼지 유출을 방지하는 커버(122)(폐색수단)를 노즐접촉부(121a)보다 상류측에 배치한 점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 16에 나타내듯이, 화장패널(27) 개구부(27a)에 배치되는 커버부재(121)는, 내부가 빈 상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실내측 면에는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노즐접촉부(121a)가 형성되는 한편, 이 노즐접촉부(121a)와 대향하는 면에는 회수덕트(77)가 접속되는 구멍부(121b)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접촉부(121a)는, 다양한 크기나 단면형상의 노즐(95a) 선단부에 대해, 어느 위치에서도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먼지가 통과 가능하도록 복수의 관통공(121c, 121c, …)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관통공(121c)은 반구형인 노즐접촉부(121a) 돌출 단부 주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121) 내에는, 상기 구멍부(121b)를 안쪽에서 피복하도록 먼지커버(122)(폐색수단)가 배치된다. 이 먼지커버(122)는, 상기 구멍부(121b)의 개폐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121) 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상기 먼지커버(122)는, 상기 커버부재(121) 내벽 면에 대해 스프링부재(123)를 개재하여 접속되며, 이 스프링 부재(123)에 의해 상기 구멍부(121b)를 닫는 방향으로 바이어싱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먼지커버(12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노즐접촉부(121a)에 청소기(95) 노즐(95a) 선단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 청소기(95)를 동작시키면, 그 흡인력에 의해 상기 먼지커버(122)가 스프링부재(12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개방상태가 되며, 상기 커버부재(121)의 구멍부(121b)에 접속된 회수덕트(77)를 통해 먼지포집상자(90) 내로부터 먼지를 흡인 회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16(b) 참조). 한편, 전술과 같은 청소기(95)의 흡인력이 없는 경우에 상기 먼지커버(122)는, 스프링부재(123)에 의해 상기 구멍부(121b)를 닫는 방향으로 밀어붙여지므로(도 16(a) 참조), 이 구멍부(121b)를 통해 먼지가 실내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청소기(95) 노즐(95a)의 단면형상이나 크기가 어떠한 것이라도, 또 이 노즐(95a)을 어느 방향에서 노즐접촉부(121a)에 접근시켜도, 이 노즐(95a)과 노즐접촉부(121a)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이 청소기(95) 흡인력에 의해 먼지를 확실하게 흡인 회수할 수 있다. 게다가, 먼지를 회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먼지커버(122)에 의해,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먼지 회수 시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와 같이 커버부를 여는 일없이, 청소기(95) 흡인력에 의해 먼지커버(122)를 열어 그대로 먼지를 흡인할 수 있으므로, 먼지회수작업 시의 작업성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 17 및 도 1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듯이, 회수덕트(77) 타단측이 실내팬(39)의 흡입측에 위치하며, 이 타단측에 접속된 노즐접속부(131) 실내측을 흡입그릴(29)로 피복하도록 한 점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를 뿐이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한다.
즉, 상기 도 17에 나타내듯이, 먼지포집상자(90)의 회수덕트용 개구(90c)에 일단측이 접속되는 회수덕트(77)는, 그 타단측이 케이싱 본체(26) 내의 흡입구(20)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회수덕트(77)의 타단측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노즐접속부(78)와 마찬가지 구성을 갖는 노즐접속부(131)가 접속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이 노즐접속부(131)는, 그 하부에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플랜지부에서 화장패널(27)의 흡입구(22) 내주면과 일체로 구성된다. 즉, 청소기(95) 노즐(95a) 선단부가 삽입되는 노즐접속부(131)는 흡입구(22) 내에 형성되며, 이 흡입구(22)의 실내측을 피복하는 흡입그릴(29)로 피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입그릴(29)은, 그 중앙부분에만 그릴부(29a)가 형성되는 한편, 이 그릴부(29a)를 둘러싸는 외주 부분에는 커버부(29b)가 형성되며, 이 커버부(29b)에 의해 상기 노즐접속부(131)의 실내측을 피복하도록 구성된다. 이 커버부(29b)는, 단면이 거의 역'ㄷ'자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노즐접속부(131)의 내부공간을 밀봉하기 위한 원통형 실부재(132)가 배치된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먼지포집상자(90)에 일단측이 접속되는 회수덕트(77)를, 그 타단측이 흡입구(22)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므로, 이 흡입구(22)를 피복하는 흡입그릴(29)의 커버부(29b)에 의해, 상기 회수덕트(77)의 타단측에 접속되는 노즐접속부(131)의 실내측을 피복할 수 있고, 실내유닛(13)의 실내측 외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별도로 커버부재(28, 101, 111, 121)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그 만큼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원가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흡입그릴(29) 커버부(29b)에 의해 상기 노즐접속부(131)의 실내측을 피복함으로써, 이 노즐접속부(131)로부터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부(29b)에 노즐접속부(131)의 내부공간을 밀봉하기 위한 실부재(132)를 배치함으로써,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도 1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는 이 도 19에 나타내듯이, 흡입그릴(29)에 노즐접속부(151) 등을 형성한 점이나 이 노즐접속부(151) 구성 등이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다를 뿐이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형태도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먼지포집상자(90)의 회수덕트용 개구(90c)에 일단측이 접속된 회수덕트(77)의 타단측이 케이싱 본체(26) 흡입구(22)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덕트(77) 타단측에 접속되는 노즐접속부(151)는, 상기 도 19에 나타내듯이, 상기 흡입구(22) 실내측을 피복하는 흡입그릴(29) 상에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그릴(29)에서 그릴부(29a) 바깥쪽에 위치하는 커버부(29b) 뒤쪽(천장측)에는, 상자형 커버부재(141)가 형성된다. 이 커버부재(141) 측면의 상측에는 덕트용 개구(141a)가 형성되며, 상기 회수덕트(77)의 타단측이 접속된다(도시 생략).
또 상기 흡입그릴(29) 커버부(29b)에는, 상기 커버부재(141)에 대응하여 개구부(29c)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29c) 내에는, 2장의 판상 덮개부재(142, 142)(폐색수단)가 나열 배치되며, 이들 덮개부재(142, 142)가 개구부(29c)가 서로 대향하는 안쪽 테두리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선회하도록 커버부(29b) 이면에 장착된다. 즉 상기 덮개부재(142)는, 상방을 향해 양쪽으로 열리도록 개구부(29c)에 형성된다. 또, 상기 덮개부재(142)의 선회 중심측과 상기 커버부재(141) 안쪽 면과의 사이에는 스프링부재(143)가 배치되며, 이 스프링부재(143)에 의해 이 덮개부재(142)는 폐쇄 방향으로 밀어붙여진다. 이로써, 상기 도 19(a)와 같이 청소기(95) 노즐(95a)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덮개부재(142)를 항상 닫은 상태로 할 수 있으며, 실내측에서 커버부재(141)의 내부를 보기 어렵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41) 내부는, 단면에서 보아 계단형으로 형성된 구획벽(141b)에 의해, 상기 덕트용 개구(141a)로 이어지는 제 1 공간(144)과, 상기 개구부(29c)로 이어지는 제 2 공간(145)으로 구획된다. 즉, 상기 커버부재(141)는, 그 내부를 구획벽(141b)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다. 상기 구획벽(141b)에는, 도 20에 나타내듯이, 평면에서 보아 거의 중앙부분에 관통공(141c)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관통공(141c)을 둘러싸도록 거의 부채꼴형의 연통구(141d, 141d, …)가 4개 형성된다. 이 관통공(141c)에는, 후술하는 피스톤부재(150)의 축부(153)가 삽입되며, 상기 연통구(141d, 141d, …)는, 상기 제 1 공간(144)에서 제 2 공간(145)으로 먼지가 이동할 시의 통로가 된다.
또 상기 도 19에 나타내듯이, 상기 구획벽(141b)의 제 2 공간(145)측에는, 후술하는 피스톤부재(150)의 노즐접속부(151)가 수납되며 또 이 노즐접속부(151)가 슬라이드 이동할 시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가이드부(146)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부(146)는, 단면에서 보아 계단형으로 형성된 상기 구획벽(141b)의 일부와, 이 일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된 벽부에 의해 구성된다. 이 가이드부(146)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노즐접속부(151), 즉 피스톤부재(150)를 원활하게 상하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부재(150)는, 청소기(95) 노즐(95a)이 접촉하는 노즐접속부(151)와, 이 노즐접속부(151) 상측에 이 노즐접속부(151)와 일체 형성된 밸브부(152)를 구비한다. 상기 노즐접속부(151)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4와 마찬가지로, 실내측으로 돌출하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그 돌출 단부에는 구멍부(151a)가 형성된다. 이로써, 단면형상이나 크기가 다른 청소기(95) 노즐(95a)이라도, 상기 노즐접속부(151)에 대해 확실하게 접촉시켜, 상기 구멍부(151a)를 통해 먼지를 흡인 회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접속부(151)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후단측(상측)에, 상기 구획벽(141b)에 형성된 연통구(141d, 141d, …)에 대응하여 이 연통구(141d, 141d, …)와 거의 같은 형상(거의 부채꼴형) 관통구(151b, 151b, …)가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듯이, 이 관통구(151b, 151b, …) 및 상기 연통구(141d, 141d, …)를 개재하고, 상기 노즐접속부(151) 내부공간은, 상기 회수덕트(77)와 연통상태가 된다. 또, 상기 노즐접속부(151) 후단측에는, 상기 관통구(151b, 151b, …)를 둘러싸도록 상방을 향해 이어지도록 연결벽부(151c)가 형성된다. 이 연결벽부(151c)를 형성함으로써, 그 내측에 먼지의 연결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151b, 151b, …) 내로 먼지를 확실하게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밸브부(152)는, 상기 노즐접속부(151) 후단측(상측)에서 상방으로 이어지고 상기 커버부재(141) 구획벽(141b)에 형성된 관통공(141c) 내로 삽입되는 축부(153)와, 이 축부(153)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 구획벽(141b)을 개재하고 상기 노즐접속부(151)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평판형 밸브체(154)를 구비한다. 이 밸브체(154)는, 상기 구획벽(141b)에 형성된 상기 연통구(141d, 141d, …)를 피복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이 구획벽(141b) 연통구(141d, 141d, …)를 제 1 공간(144)측에서 피복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상기 밸브부(152)는, 상기 축부(153)가 상기 구획벽(141b) 관통공(141c) 내를 이동함으로써 상기 밸브체(154)가 이 구획벽(141b)에 대해 제 1 공간(144) 내를 상하 동작하므로, 이 밸브체(154)가 구획벽(141b)에 밀착된 경우(실내측의 최하점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연통구(141d, 141d, …)를 폐쇄상태로, 이 밸브체(154)가 그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 연통구(141d, 141d, …)를 개방상태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141)의 제 2 공간(145) 내에 위치하는 상기 노즐접속부(151)에 대해 청소기(95) 노즐(95a)을 닿게 하여 이 노즐접속부(151)를 상방으로 변위시키면, 상기 밸브부(152) 밸브체(154)는 축부(153)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며, 구획벽(141b)에 형성된 연통구(141d, 141d, …)를 개방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전술과 같이, 상기 노즐접속부(151)의 후단측에는, 이 노즐접속부(151)에 형성된 관통구(151b, 151b, …)를 둘러싸도록 상방을 향해 이어지는 연결벽부(151c)가 형성되므로, 상기 노즐접속부(151)가 상방으로 변위되면, 상기 도 19(b)와 같이 상기 연결벽부(151c)가 구획벽(141b) 하면에 접촉하며, 이 연결벽부(151c) 내의 연결통로에 의해 구획벽(141b)에 형성된 연통구(141d, 141d, …)와 노즐접속부(151)에 형성된 관통구(151b, 151b, …)를 확실하게 연통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노즐접속부(151)가 상방으로 변위되면, 이 노즐접속부(151) 내부공간이, 이 노즐접속부(151)에 형성된 관통구(151b, 151b, …), 구획벽(141b)에 형성된 연통구(141d, 141d, …), 커버부재(141) 내의 제 1 공간(144) 및 회수덕트(77)를 통해 먼지포집상자(90) 내부와 연통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95)를 동작시키면, 이 청소기(95)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먼지포집상자(90) 내에 저류된 먼지가 회수덕트(77), 커버부재(141)의 제 1 공간(144), 구획벽(141b)의 연통구(141d, 141d, …), 노즐접속부(151)를 통해 청소기(95) 노즐(95a)에 흡인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부(152)에는, 상기 축부(153)의 외주를 둘러싸고 스프링부재(155)가 배치된다. 이 스프링부재(155)는, 상기 구획판(141b)과 상기 노즐접속부(151) 후단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이 노즐접속부(151)를 하방으로 밀어붙이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부재(15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노즐접속부(151)에 대해 하방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 노즐접속부(151)를 최하점, 즉 밸브부(152) 밸브체(154)를 최하점으로 위치시켜, 이 밸브체(154)에 의해 상기 구획벽(141b)에 형성된 연통구(141d, 141d, …)를 피복한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9의 예에서는, 회수덕트(77)에 접속되는 덕트용 개구(141a)가 흡입그릴(29) 그릴부(29a)측을 향해 개구하도록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 19의 지면(紙面)방향으로 개구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노즐접속부(151) 상하 동작에 따라, 이 노즐접속부(151) 내부공간과 회수덕트(77)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구(141d, 141d, …)의 밸브체(154)를 상하 동작시키도록 하므로, 이 노즐접속부(151)에 청소기(95) 노즐(95a) 등을 밀어붙임으로써, 회수덕트(77)를 통해 먼지포집상자(90) 내 먼지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한편, 상기 노즐접속부(151)가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밸브체(154)가 연통구(141d, 141d, …)를 닫으므로, 상기 노즐접속부(151)를 통해 먼지포집상자(90) 내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노즐접속부(151)는, 스프링 부재(155)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바이어싱 되므로, 이 노즐접속부(151)에 청소기(95) 노즐(95a)을 밀어붙이는 경우에만 이 노즐접속부(151) 및 밸브체(154)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통구(141d, 141d, …)를 통해 먼지를 회수할 수 있는 한편, 그 이외의 경우는, 상기 노즐접속부(151) 및 밸브체(154)를 확실하게 하방에 위치시켜, 이 밸브체(154)에 의해 상기 연통구(141d, 141d, …)를 확실하게 닫을 수 있다. 따라서, 먼지회수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 상기 먼지포집상자(90) 내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노즐접속부(151) 실내측은, 흡입그릴(29)과 거의 동일 평면에 형성된 덮개부재(142)에 의해 피복되므로, 실내유닛(13)의 실내측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덮개부재(142)는 양쪽으로 열리며, 폐쇄상태가 되도록 스프링부재(143)에 의해 바이어싱 되므로, 청소기(95) 노즐(95a)을 삽입한 경우에만 열리고, 그 이외의 경우는 확실하게 폐쇄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측에서 상기 노즐접속부(151)를 보기 어렵게 하여 실내유닛(13)의 실내측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덮개부재(142)를 형성함으로써,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도 21~도 2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는, 도 21에 나타내듯이 커버부재(171)의 상부 커버(176)와 하부커버(177)가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는 점이나 노즐접속부(181)의 구성 등이 상기 제 3 실시형태와 다를 뿐이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다른 부분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수덕트(77)가 접속되는 노즐삽입부(170)는, 상기 흡입그릴(29)의 그릴부(29a)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노즐삽입부(170)는, 도 21에 나타내듯이, 상기 흡입그릴(29)의 천장 뒤측에 형성된 상자형 커버부재(171)를 구비한다. 이 커버부재(171)는, 직방체형으로 형성된 상부커버(176)와 하방으로 개구하는 상자형으로 형성된 하부커버(177)가 상하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상부커버(176) 내에는 제 1 공간(174)이, 이 하부커버(177) 내에는 제 2 공간(175)이 각각 형성된다.
또 상기 상부커버(176)는, 하부커버(177)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커버(176) 하면에는, 원형상의 개구(176a)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커버(177) 상면에는, 상기 개구(176a)의 주연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177a)가 형성되며, 이 결합부(177a)에 대해 상기 개구(176a)의 주연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커버(176)가 하부커버(177)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커버(177)의 결합부(177a)는, 상기 상부커버(176)의 개구(176a)에 대응하여 이 하부커버(177)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의 본체부(177b)와, 그 돌출단 측에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된 팽출부(177c)를 구비한다. 상기 도 21에 나타내듯이, 이 팽출부(177c)와 상기 하부커버(177) 상면 사이에, 상기 상부커버(176) 하면에 형성된 상기 개구(176a)의 주연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이 상부커버(176)를 하부커버(177)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특히 도시하지 않으나, 상기 상부커버(176)는, 폭 방향(도 21의 지면방향)으로 분할되므로, 상기 하부커버(177)에 대해 상부커버(176)를 조립할 시에는, 이 하부커버(177)의 결합부(177a)를 끼워 조립하면 된다.
상기 상부커버(176) 측면의 하나는, 상방으로 갈수록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 측면에는, 경사진 하방으로 개구되도록 연통구로서의 덕트용 개구(176b)가 형성되며, 이 덕트용 개구(176b)에 상기 회수덕트(77)의 타단측이 탈착 가능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이 회수덕트(77)와 덕트용 개구(176b)와의 접속부분은, 후술하는 도 44 및 도 45와 마찬가지 구성이다. 상기 덕트용 개구(176b)는, 상부커버(176) 내측에서부터 밸브체(186)에 의해 피복된다. 이 밸브체(186)는, 그 상단부(상부)에서 상기 상부커버(176)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이 상단부에서 상부커버(176) 내를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186a)가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듯이, 상기 돌출부(186a)는 피스톤 부재(180)의 일부와 접촉하며, 상기 밸브체(186)는, 이 피스톤부재(180)의 상하 동작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입그릴(29)에는, 상기 하부커버(177)에 대응하여 개구부(29c)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29c) 내에는, 2장의 판상 덮개부재(172, 172)(폐색수단)가 나열 배치되며, 이들 덮개부재(172, 172)가 개구부(29c)의 서로 대향하는 안쪽 테두리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선회하도록 흡입그릴(29) 뒷면에 설치된다. 즉, 상기 덮개부재(172)는, 상방을 향해 양쪽이 열리도록 개구부(29c)에 형성된다. 또 상기 덮개부재(172)의 선회 중심측과 상기 하부커버(177) 내면과의 사이에는 스프링 부재(173)가 형성되며, 이 스프링부재(173)에 의해 이 덮개부재(172)는 폐쇄방향으로 바이어싱 된다. 이로써, 상기 도 21(a)과 같이 청소기 노즐(95a)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덮개부재(172)를 항상 닫힌 상태로 할 수 있으며, 실내측에서 노즐접속부(170) 내부를 보기 어렵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덮개부재(172, 172)의 실내측 면에는, UV도포 처리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도료를 상기 덮개부재(172, 172) 실내측 면에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도료를 경화시킨다. 이로써, 흠이나 얼룩이 생기기 어려운 표면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1(b)에 나타내듯이, 상기 덮개부재(172)를 청소기(95) 노즐(95a)에 의해 실내측에서 열 경우, 이 덮개부재(172)의 실내측 면에 흠이 생기거나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덮개부재(172)의 실내측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177) 결합부(177a)의 원통형 본체부(177b) 내측은, 후술하는 피스톤부재(180)의 노즐접속부(181)가 삽입 통과하는 삽입공(177d)을 구성한다. 즉 상기 결합부(177a)의 본체부(177b)는, 상기 노즐접속부(181)가 슬라이드 이동할 시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노즐접속부(181), 즉 피스톤부재(180)를 원활하게 상하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피스톤부재(180)는, 청소기(95) 노즐(95a)이 접촉하는 노즐접속부(181)와, 이 노즐접속부(181) 상측에 이 노즐접속부(181)와 일체로 형성된 축부(182)를 구비한다. 상기 노즐접속부(181)는, 실내측으로 돌출하는 반구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측을 평판부(181a)에 의해 피복된다. 이 노즐접속부(181) 돌출 단부에는 구멍부(181b)가 형성된다. 이로써, 단면형상이나 크기가 다른 청소기 노즐(95a)이라도, 상기 노즐접속부(181)에 대해 확실하게 접촉시켜 상기 구멍부(181b)를 통해 먼지를 흡인 회수할 수 있다.
상기 노즐접속부(181)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도 22에 나타내듯이 그 후단측(도면 중 상측) 일부에 개구부(181c)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181c)는, 상기 노즐접속부(181)의 반구형 부분 후단측에서 평판부(181a) 일부에 걸쳐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개구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 개구부(181c) 좌우에는, 상기 평판부(181a)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이어지는 접촉부(181d)가 형성된다. 이 접촉부(181d)는, 상기 상부커버(176)의 덕트용 개구(176b)를 커버 내측으로부터 피복하는 밸브체(186)에 형성된 돌출부(186a)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밸브체(186)의 돌출부(186a)는, 이 밸브체(186)의 폭 방향 양 단부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방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노즐접속부(181)가 상승하면, 이 노즐접속부(181)의 접촉부(181d)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도 21(b)에 나타내듯이, 상기 밸브체(186)를 개방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축부(182)는, 상기 노즐접속부(181)의 평판부(181a) 상에 상방으로 이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 축부(182)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커버(176)의 상면 내측에 형성된 원통형 가이드부(176c) 내에 위치하며, 이로써, 상기 노즐접속부(181)를 상하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축부(182)의 외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176c) 하단부와 상기 노즐접속부(181) 평판부(181a) 사이에 위치하도록 스프링부재(185)가 설치된다. 이 스프링 부재(185)는, 상기 노즐접속부(181)를 하방(최하점)으로 밀어붙이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이 노즐접속부(181)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청소기 노즐(95a)을 밀어붙인 경우에는, 이 노즐접속부(181) 상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노즐접속부(181)는, 상기 스프링부재(185)에 의해 하방으로 밀어붙여진 상태에서, 평판부(181a) 외주부가 하부커버(177) 결합부(177a)의 팽출부(177c)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상의 구성에 의해, 상기 노즐접속부(181)에 대해 청소기 노즐(95a)을 하방에서 밀어붙이면, 이 노즐접속부(181)는 상기 스프링부재(18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승하며, 이 노즐접속부(181)에 형성된 개구부(181c) 전체가 상부 커버(176) 내 제 1 공간(174)으로 개구하게 된다. 또 상기 노즐접속부(181)의 상승에 따라, 이 노즐접속부(181)의 개구부(181c) 좌우에 형성된 접촉부(181d)가, 상부 커버(176)의 덕트용 개구(176b)를 커버 내측으로부터 피복하는 밸브체(186)의 돌출부(186a)를 밀어 올리며, 이로써, 이 밸브체(186)를 개방상태로 한다. 그러면, 상기 덕트용 개구(176b)를 개재하여 회수덕트(77)와 상기 노즐접속부(181) 내부공간이 연통상태가 된다.
즉 상기 노즐접속부(181)가 상방으로 변위하면, 이 노즐접속부(181) 내부공간이, 이 노즐접속부(181)에 형성된 개구부(181c), 상부 커버(176) 내의 제 1 공간(174) 및 회수덕트(77)를 통해 먼지포집상자(90) 내부와 연통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청소기를 동작시키면, 이 청소기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먼지포집상자(90) 내에 저류된 먼지가 회수덕트(77), 커버부재(171)의 제 1 공간(174) 및 노즐접속부(181)를 통해 청소기 노즐(95a)에 흡인된다.
한편, 상기 노즐접속부(181)가 청소기 노즐(95a)에 의해 밀어 올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 노즐접속부(181)는, 상기 스프링부재(185)에 의해 하방으로 바이어싱 되므로, 도 21(a)에 나타내듯이 덕트용 개구(176b)의 밸브체(186)는, 상기 노즐접속부(181)의 접촉부(181d)에 의해 올려지는 일없이, 이 덕트용 개구(176b)를 폐쇄상태로 한다. 이로써, 상기 노즐접속부(181)와 회수덕트(77)는 비연통 상태가 되며, 먼지가 실내로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하부커버(177) 내부의 측면 및 상면에는, 청소기(95) 노즐(95a)을 상기 노즐접속부(181)에 확실하게 접촉시키기 위한 노즐 가이드부(178)가 형성된다. 이 노즐 가이드부(178)는, 상기 하부커버(177) 내부의 측면과 상면에 걸쳐 형성되는 판상 부재이며, 직방체형 하부커버(177) 상면의 각 변에 대해 2개씩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듯이 상기 노즐 가이드부(178)는, 상방을 향해 돌출 길이가 길어지는 리브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즐접속부(181)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커버(177) 각 측면의 내면에서 안쪽을 향해 2개씩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노즐 가이드부(178)를 리브형 부재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적은 재료로 가이드를 구성할 수 있고, 흡입 그릴(29)의 경량화 및 제조원가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노즐 가이드부(178)를 상방으로 갈수록 돌출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청소기 노즐(95a)을 확실하게 상기 노즐접속부(181) 구멍부(181b)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노즐 가이드부(178)에는, 도 21 및 도 23에 나타내듯이 상기 덮개부재(172)가 개방상태인 경우에 이 덮개부재(172)가 수납 가능하도록 오목부(178a)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178a)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덮개부재(172)를 청소기(95) 노즐(95a)의 선단부로 열었을 때, 이 덮개부재(172)는 상기 오목부(178a) 내에 수용되며, 이 덮개부재(172)가 상기 노즐(95a)을 삽입할 시에 장애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오목부(178a)는, 상기 덮개부재(172)가 수납된 상태에서 이 덮개부재(172)가 상기 노즐(95a)을 삽입할 시의 가이드 일부가 되도록 구성되므로, 이 노즐(95a)을 보다 원활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 노즐(95a)을 상기 노즐접속부(181)에 대해 보다 확실하게 밀어붙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당연한 것이나 상기 오목부(178a)는, 덮개부재(172)가 열렸을 때에 접촉하는 노즐 가이드부(178)에만 형성된다(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마주 보는 4개의 노즐 가이드부(178)에 형성된다).
또한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듯이, 상기 노즐접속부(170)의 하부커버(177) 팽출부(177c)는, 둘레방향의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바깥 지름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팽출부(177c)는, 바깥 지름이 큰 대경부(177e)와 바깥 지름이 작은 소경부(177f)로 이루어진다(도 26 참조). 한편, 상부 커버(176)의 바닥면 내측에는, 이 상부커버(176)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위치가 하부커버(177)와 조합된 상태에서 상기 팽출부(177c)의 대경부(177e)보다 내측이며, 또 소경부(177f)보다 외측에 위치되도록 핀부(176d)가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상부커버(176)가 하부커버(177)에 대해 선회하면 이 상부커버(176)의 핀부(176d)가 하부커버(177)의 소경부(177f)와 대경부(177e)와의 단차부분에 접촉하여 이 상부커버(176)의 선회가 규제되도록 구성된다(도 26참조). 즉, 상기 상부커버(176)의 핀부(176d)가 하부커버(177)의 결합부(177a)를 구성하는 팽출부(177c)의 소경부(177f) 외주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커버(176)의 선회는 허용되는 한편, 상기 핀부(176d)가 하부커버(177)의 결합부(177a)를 구성하는 팽출부(177c)의 소경부(177f)와 대경부(177e)와의 단차부에 접촉하면, 상기 상부커버(176) 선회가 규제된다.
전술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노즐접속부(170)의 상부커버(176)가 소정 각도 이상 선회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이 상부커버(176)에 접속되는 회수덕트(77)가 굴곡된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노즐 삽입부(170)는 흡입그릴(29)에 형성되므로, 이 노즐접속부(170) 상부커버(176)의 선회 각도에 따라서는, 이 흡입그릴(29)을 닫으면 이 상부커버(176)에 접속되는 회수덕트(77)가 접힌 상태로 수납될 우려가 있다. 그러면 상기 회수덕트(77) 내 공기나 먼지의 흐름이 크게 저해됨과 더불어, 이 회수덕트(77)에 손상을 줄 우려도 있다. 이에 대해, 상기 상부커버(176)의 선회범위를, 상기 흡입그릴(29)을 닫아도 상기 회수덕트(77)가 접히지 않는 각도 범위로 함으로써, 이 회수덕트(77)가 굴곡된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25 구성의 경우, 상기 노즐 삽입부(170)가 흡입그릴(29)의 힌지부(29d) 근방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상부커버(176)의 선회범위는, 이 힌지부(29d)가 형성된 흡입그릴(29) 한 변에 대해 상부커버(176)의 덕트용 개구(176b)가 가장 근접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60도에서 -60도(합계 120도)를 제외한 범위로 설정된다. 즉, 상기 상부커버(176)는, 흡입그릴(29)의 힌지부(29d)가 형성되는 변과는 반대측인 180도 범위에 더불어, 그 범위로부터 양 방향으로 30도씩 더 선회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176)를 180도 이상 선회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이 상부커버(176)의 각도 위치에 따라서는, 이 상부커버(176)에 접속되는 회수덕트(77)를 케이싱(26) 내에 밀어 넣을 수 있으며, 이 회수덕트(77)에 방해받는 일없이 상기 흡입그릴(29)을 용이하게 닫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21 및 도 25의 예에서는, 상기 상부커버(176)는, 하부커버(177)에 대해, 회수덕트(77)가 흡입그릴(29)의 그릴부(29a) 상방에 위치하는 각도 위치로 구성되지만, 실제 공기조화장치 내에서는, 상기 상부커버(176)는, 상기 회수덕트(77)가 상기 도 21 및 도 25의 지면방향으로 이어지는 각도 위치에 설정된다.
-청소기 연장 노즐-
다음은 청소기(95) 노즐(95a) 선단에 장착되며, 전술과 같은 구성의 노즐접속부(181)에 대해 밀어 넣는 청소기 연장 노즐(191)의 구성을, 도 27~도 29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이 청소기 연장 노즐(191)은,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유닛(13)의 노즐접속부(181)에 노즐(95a)을 밀어 넣을 시에, 청소기 본체를 들어올릴 필요가 있거나, 청소기 기종에 따라서는 노즐(95a)이 상기 개구부(29c) 내로 삽입할 수 없는 크기이거나 하므로, 상기 청소기(95) 노즐(95a) 선단에 접속하는 연장 부재로서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7에 나타내듯이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은, 후단부인 한쪽 단부(191b)가 선단을 향해 끝이 가늘게 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선단부인 다른쪽 단부(191a)는 상기 노즐접속부(181)에 커다란 틈새를 만드는 일없이 접촉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의 선단부(191a)는, 도 28에 나타내듯이, 이 노즐(191)을 노즐 삽입부(170)의 제 1 공간(174) 내로 삽입하여 상기 노즐접속부(181)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 상태에서 외주부가 노즐 가이드부(178)에 접촉하며, 또 개구부분이 노즐접속부(181)의 구멍부(181b)와 연통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은, 그 선단부(191a)가 상기 노즐접속부(181)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며, 또 외주부가 이 노즐접속부(181)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노즐 가이드부(178)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191a)의 개구부분이 평면에서 보아 상기 노즐접속부(181)의 구멍부(181b)와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노즐접속부(181)에 밀어 넣으면, 이 노즐(191) 선단부(191a)의 개구부분이 이 노즐접속부(181)의 구멍부(181b)와 확실하게 연통되어, 이 구멍부(181b)를 통해 먼지를 확실하게 또 효율 좋게 흡인할 수 있다.
또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의 후단부(191b)측을 테이퍼형으로 함으로써, 어떠한 크기의 청소기 노즐(95a)에 대해서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은, 상기 도 27(b)에 나타내듯이 선단부(191a')가 거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선단부(191a')를 굴곡시킴으로써, 상기 노즐접속부(181)에 대해 바로 밑에서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밀어 넣지 않아도 되므로, 먼지를 흡인 회수할 시에 작업자는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회수 작업의 작업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도 27(c)에 나타내듯이,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은, 그 선단에 별도의 연장관(195)을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노즐 선단을 더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노즐접속부(181)에 의해 확실하게 노즐 선단을 밀어 넣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도 27(c)에 나타내듯이, 상기 연장관(195)을 거의 "〈"형상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상기 도 27(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바로 밑에서 회수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지고 작업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은, 청소기 노즐(95a)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이 노즐(95a)에 테이프부재(196)(노즐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의 외주면 상에는 축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거의 역"ㄷ"자형으로 돌출하는 삽입부(192)가 2개 형성되며, 이 삽입부(192) 내로 각각 테이프 부재(196)가 삽입 통과된다. 이 테이프부재(196)는 길이방향 양 단부에 면화스너가 배치되며, 단부가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테이프부재(196)는, 도 29에 나타내듯이, 청소기 연장 노즐(191)에 대해 청소기 노즐(95a)을 병렬로 나열한 상태에서 양자를 함께 고정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 상기 테이프 부재(196)는, 상기 삽입부(192)를 삽입 통과하는 부분 이외는, 이 삽입부(192) 안 치수보다 폭넓게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테이프부재(196)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테이프 부재(196)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 및 청소기 노즐(95a)에는, 각각 서로 고정 가능한 연장 노즐측 고정부(197)(제 2 노즐고정부) 및 본체측 고정부(95b)(걸림부)가 형성된다. 이들 고정부(197, 95b)는, 예를 들어 면화스너로 구성되며, 서로 고정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97, 95b)는, 상기 테이프부재(196)에 의해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노즐(95a)에 고정할 시, 일시 고정용으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에 형성되는 연장 노즐측 고정부(197)는, 상기 삽입부(192)와는 거의 180도 반대측의 외주면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청소기 연장노즐(191) 및 청소기(95) 노즐(95a)에, 일시 고정용 고정부(197, 95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테이프 부재(196)에 의해 청소기 연장 노즐(191)과 청소기(95) 노즐(95a)을 용이하게 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에는, 끈 삽입부(198)(제 2 삽입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링형으로 묶인 끈부재(199)(링형 부재)가 설치된다. 이 링형의 끈부재(199)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벽의 돌기부 등에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매다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청소기 연장 노즐(191)의 보관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끈부재(199)를 링형으로 형성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금속제나 수지제 링형 부재라도 된다.
-제 4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으로부터,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버부재(171)에 형성된 덕트용 개구(176b)를 이 커버부재(171)의 내부에 위치하는 노즐접속부(181)측에서 피복하도록 밸브체(186)를 형성하고, 이 밸브체(186)를 노즐접속부(181)측으로 열리도록 구성하므로, 먼지가 상기 덕트용 개구(176b) 상류측에 저류되어도 상기 밸브체(186)를 확실하게 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용 개구(176b)를 통해 먼지를 확실하게 흡인 회수할 수 있다.
또 상기 밸브체(186)는, 그 폭방향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186a, 186a)에, 상기 노즐접속부(181)의 접촉부(181d)가 접촉함으로써 개폐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노즐접속부(181)에 청소기 노즐을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밸브체(186)를 개폐시킬 수 있고, 필요한 때에만 먼지를 실내측에서 흡인 회수할 수 있다.
또 상기 노즐접속부(181) 주위를 둘러싸도록 노즐 가이드부(178)를 배치함으로써, 청소기 노즐을 이 노즐접속부(181) 구멍부(181c)에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 노즐에 의해 먼지를 확실하게 또 효율 좋게 흡인 회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노즐 가이드부(178) 중, 상기 노즐접속부(181) 실내측을 피복하는 덮개부재(172)가 개방상태일 때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오목부(178a)가 형성되므로, 상기 덮개부재(172)를 이 오목부(178a) 내에 수납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덮개부재(172)가 청소기 노즐 삽입의 장애가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 덮개부재(172)가 가이드의 일부로서도 기능하고, 청소기 노즐을 상기 노즐접속부(181)로 확실하게 삽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덮개부재(172) 실내측 면에 UV도포 처리를 함으로써, 이 덮개부재(172)를 청소기 노즐에 의해 실내측에서 여는 경우 등에 이 덮개부재(172) 실내측 면에 흠이 생기거나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덮개부재(172) 실내측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 청소기 노즐(95a) 선단에 장착되는 청소기 연장 노즐(191)의 후단부(191b)측을 끝이 가는 테이퍼형으로 함으로써, 어떠한 기종의 청소기 노즐(95a)에 대해서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 선단부(191a)는, 상기 노즐접속부(181)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 상태이며, 또 외주부가 상기 노즐 가이드부(178)에 접촉한 상태에서, 평면에서 보아 개구 부분이 상기 노즐접속부(181) 구멍부(181b)와 겹쳐지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 내부와 상기 노즐접속부(181)의 구멍부(181b)를 확실하게 연통시킬 수 있으며, 이 청소기 연장 노즐(191)에 의해 먼지를 보다 확실하게 흡인 회수할 수 있다.
또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 191')의 선단부(191'a)를 굴곡시키거나, 이 선단부(191a)에 굴곡된 연장관(195)을 장착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노즐접속부(181)에 대해 바로 밑에서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밀어 넣지 않아도, 이 노즐접속부(181)에 대해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확실하게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먼지회수작업 시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에는, 청소기 노즐(95a)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이 노즐(95a)에 고정하기 위한 테이프부재(196)가 설치되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의 분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의 외주면 상에는, 테이프부재(196)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부(192)가 형성되며, 이 테이프부재(196)는 삽입부(192)에 관통되지 않는 부분이 이 삽입부(192) 안 치수보다 폭넓게 형성되므로, 상기 테이프부재(196)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테이프부재(196)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청소기 노즐(95a) 외주면 상에는, 본체측 고정부(95b)가 설치되며,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 외주면 상에도, 상기 본체측 고정부(95b)에 대응하여 연장 노즐측 고정부(197)가 설치되므로, 상기 테이프부재(196)에 의해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노즐(95a)에 고정하기 전에 일시 고정 할 수 있고, 이 테이프부재(196)에 의해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노즐(95a)에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에, 끈 삽입부(198)를 형성하고 이 끈 삽입부(198)에 끈 부재(199)를 삽입시켜, 이 끈 부재(199)를 링형으로 함으로써, 이 끈 부재(199)를 벽 등의 돌기부분에 걸도록 하면,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191)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 도 30~도 3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는, 도 30에 나타내듯이 이른바 천장 매달림형 실내유닛을 대상으로 한 것이며, 이른바 천장 매입형 실내유닛을 대상으로 하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는 이 점에서 구성이 다르다.
도 30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의 실내유닛은, 편평하고 거의 사각형인 케이싱(310)을 구비한다. 이 케이싱(310)은, 실내의 천장에 매달린다. 상기 케이싱(310) 하면(310a) 중앙에는 흡입그릴(312)이 형성되며, 이 흡입그릴(312)에 흡입구(313)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310) 전면(前面)(310b) 중앙에는 토출구(314)가 형성된다. 또, 상기 케이싱(310) 하면(310a)에는, 전면(310b)측에서 보아 우측 단부에 노즐삽입부(400)가 형성된다.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듯이, 상기 케이싱(310) 내에는 실내팬(321), 실내열교환기(322), 드레인 팬(323), 에어필터(330), 필터구동수단(340), 먼지제거수단(350), 먼지저류용기(360), 먼지반송수단(380) 및 먼지포집상자(390)가 배치된다. 또 상기 케이싱(310) 내는, 상기 흡입구(313)로 연통되는 흡입공간(310d)과, 상기 토출구(314)로 연통되는 토출공간(310c)으로 구획된다.
상기 실내팬(321)은, 이른바 시로코 팬(sirocco fan)이며, 흡입구(313) 상방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팬(321)은, 흡입측이 상기 흡입공간(310d)으로 연통되고, 토출측이 상기 토출공간(310c)으로 연통된다. 여기서, 특히 도시하지 않으나, 상기 실내팬(321)은 팬모터 및 임펠러를 구비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22)는, 크로스핀식의 핀튜브 열교환기이며, 토출공간(310c) 내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22)는, 상기 실내팬(321)의 토출측에 이 실내팬(321)으로부터의 토출공기 흐름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이 실내팬(321)에 의해 송출되는 실내공기(토출공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322) 내를 유통하는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 팬(323)은 토출공간(310c)의 상기 실내열교환기(322) 하방에 배치된다. 상기 드레인 팬(323)은, 상기 실내열교환기(322)에서 냉매와 실내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할 시에 이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생기는 드레인수를 받기 위한 것이다.
도 33~도 36에도 나타내듯이, 상기 먼지저류용기(360)는 흡입공간(310d)의 흡입구(313) 바로 위에 배치된다. 상기 먼지저류용기(360)는, 가늘고 긴 직방체형으로 형성되며, 케이싱(310) 폭방향(도 32(a)의 좌우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먼지저류용기(360) 상면에는, 2개의 브러시용 개구(363)가 형성된다(도 35 참조). 이들 브러시용 개구(363)는, 상기 먼지저류용기(360)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가늘고 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먼지저류용기(360)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먼지제거수단(350)은, 에어필터(3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회전브러시(351) 및 비회전브러시(352)를 2조, 그리고 브러시구동수단(353)을 구비한다.
상기 도 35에 나타내듯이, 상기 회전브러시(351) 및 비회전브러시(352)는, 먼지저류용기(360)의 각 브러시용 개구(363)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브러시(351)는, 샤프트부(351a)와, 이 샤프트부(351a)의 둘레방향 일부분에 형성된 브러시부(351b)를 구비한다. 상기 비회전브러시(352)는, 본체부(352a)와, 브러시부(352b)와, 스프링부(352c)를 구비한다.
또 상기 회전브러시(351)는, 브러시구동수단(353)에 의해 가역(可逆)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브러시 구동수단(353)은, 상기 도 33에 나타내듯이, 브러시 구동모터(354)와, 서로 맞물리는 구동기어(355) 및 종동기어(356)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기어(355)는, 상기 브러시 구동모터(354) 구동축에 접속되며, 상기 종동기어(356)는 각 회전브러시(351)의 샤프트부(351a)에 연결된다.
이상의 구성으로써, 상기 브러시 구동수단(353)에 의해 상기 회전브러시(351)를 회전시킴으로써, 이 회전브러시(351) 및 비회전브러시(352)의 브러시부(351b, 352b)를 서로 접촉시켜, 회전브러시(351)의 브러시부(351b)로부터 먼지를 제거한다. 이 회전브러시(351)로부터 제거된 먼지는 먼지저류용기(360) 내에 저류된다.
상기 도 34에도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2조의 에어필터(330)가 배치된다. 각 에어필터(330)는, 사각형 프레임형으로 형성된 필터본체(331)를 구비한다. 이 필터본체(331) 프레임 내는 종리브(332) 및 횡리브(333)에 의해 격자형으로 구획되며, 그 각 구획마다 시트형 메시부재(335)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본체(331)에는, 횡방향(횡리브(333)가 이어지는 방향)의 양 단부에 랙(334)이 각각 설치된다. 이들 랙(334)은, 필터본체(331)의 대략 종방향(종리브(332)가 이어지는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랙(334)은, 후술하는 필터구동수단(340)의 종동기어(343)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필터본체(331)는, 종방향의 한쪽 단부에 폐쇄부재(336)가 배치된다. 이 폐쇄부재(336)는, 필터본체(331)의 대략 횡방향 전체에 걸쳐 배치된다. 상기 폐쇄부재(336)는, 예를 들어 수지제 시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시부재(335)와는 달리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세한 것을 후술하나, 상기 폐쇄부재(336)는, 먼지저류용기(360) 브러시용 개구(363)를 폐쇄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필터구동수단(340)은 에어필터(3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필터구동모터(341)와, 구동기어(342)와, 4개 종동기어(343)와, 필터 설치대(345)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기어(342)는, 필터구동모터(341)의 구동축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4개 종동기어(343) 중 1개와 맞물린다. 상기 4개 종동기어(343)는 각각, 각 에어필터(330)에 설치된 상기 랙(334)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또 상기 4개 조동기어(343)는 1개 종동축(344)으로 연결되며, 이 종동축(344)을 개재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 33에 나타내듯이 상기 필터 설치대(345)는 가로로 나열된 2개의 개구가 형성된 사각형 프레임이며, 먼지저류용기(360)의 측면 상단에서 팽출되도록 이 먼지저류용기(360)에 일체 형성된다. 상기 필터 설치대(345) 각 개구는 회전브러시(351) 및 비회전브러시(352)의 길이방향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 상기 필터 설치대(345) 상면에는, 1개의 중앙 가이드 레일(346)과 2개의 단부 가이들 레일(347)이 형성된다. 이들 가이드 레일(346, 347)은, 도 34에 나타내듯이 에어필터(330) 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로써 이 에어필터(330)가 슬라이드 이동할 시에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상기 도 35에 나타내듯이, 상기 먼지저류용기(360)는, 에어필터(330)의 폐쇄부재(336)에 의해 회전브러시(351) 및 비회전브러시(352)를 피복함과 더불어 브러시용 개구(363)가 폐쇄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 상기 도 36에 나타내듯이, 필터구동수단(340)에 의해 에어필터(330)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이 에어필터(330)의 메시부재(335)와 회전브러시(351)의 브러시부(351b)가 접촉하여 메시부재(335)의 먼지가 제거된다.
상기 도 32나 도 33, 도 34, 도 37에 나타내듯이, 상기 먼지반송수단(380)은, 댐퍼 박스(381)와, 도입용 덕트(386)와, 흡인용 덕트(387)와, 반송용 덕트(388)와, 접속 덕트(389)를 구비한다.
상기 도입용 덕트(386)는, 일단이 토출공간(310c)으로 연통되며, 타단이 댐퍼 박스(381)에 접속된다. 상기 접속덕트(389)는, 일단이 댐퍼 박스(381)에 접속되며 타단이 먼지저류용기(360) 일단에 접속된다. 이 먼지저류용기(360) 타단에는 반송용 덕트(388) 일단이 접속되며, 이 반송용 덕트(388) 타단은 먼지포집상자(390)에 접속된다. 이 먼지포집상자(390)는 상기 먼지저류용기(360)보다 용적이 크며 배기구(391)가 형성된다. 여기서, 특히 도시하지 않으나, 상기 배기구(391)에는 필터가 설치된다.
상기 흡인용덕트(387)는, 일단이 접속덕트(389) 중간에 접속되며, 타단이 노즐접속부(400)에 접속된다. 여기서, 이 노즐 삽입부(400)의 구성은 상기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7에 나타내듯이, 상기 댐퍼박스(381) 내에는, 이 댐퍼박스(381)와 상기 접속덕트(389)의 연통부를 개폐하는 댐퍼(382)가 설치된다. 또 상기 먼지반송수단(380)은, 상기 댐퍼(382)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댐퍼구동모터(383)와, 서로 맞물리는 구동기어(384) 및 종동기어(385)를 구비한다. 이 구동기어(384)는, 상기 댐퍼구동모터(383) 구동축에 접속되며, 상기 종동기어(385)는, 댐퍼(382) 선회축에 접속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댐퍼구동모터(383)가 회전하면, 그 회전이 상기 댐퍼(382) 회전축에 전달되어, 이 댐퍼(382)가 열린 상태(도 37(a) 참조)와 닫힌 상태(도 37(b) 참조)로 전환된다.
<필터청소동작>
본 실시형태의 실내유닛에서도, 냉난방을 행하는 통상운전과 에어필터(330) 청소를 행하는 필터청소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먼저, 통상운전에서는 에어필터(330)가 도 35에 나타내는 상태로 정지된다. 이로써, 먼지저류용기(360)의 브러시용 개구(363)가 에어필터(330)의 폐쇄부재(336)에 의해 폐쇄된다. 또 댐퍼박스(381)의 댐퍼(382)가 닫힌다. 따라서, 실내팬(321) 토출공기가 댐퍼박스(381)를 통해 먼지저류용기(360)로 도입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먼지저류용기(360) 내에 저류된 먼지가 브러시용 개구(363)로부터 유출되는 일은 없다.
다음에, 필터청소운전에서는, "먼지제거동작"과 "브러시청소동작"과 "먼지반송동작"과 "먼지배출동작"으로 전환된다.
먼저, "먼지제거동작"에서는 실내팬(321)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에어필터(3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로써, 상기 에어필터(330) 메시부재(335)와 회전브러시(351)의 브러시부(351b)가 접촉하여, 이 메시부재(335)로부터 먼지가 제거된다.
"브러시청소동작"에서는 실내팬(321)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회전브러시(351)를 회전시켜 이 회전브러시(351)의 브러시부(351b)를 비회전브러시(352)의 브러시부(352b)에 접촉시킴으로써, 이 회전브러시(351)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한다. 즉, 상기 회전브러시(351)를 상기 도 35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킨 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 회전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상기 비회전브러시(352)의 브러시부(352b)에 의해, 상기 회전브러시(351)의 브러시부(351b)에 포착된 먼지가 제거된다. 이 때, 상기 회전브러시(351)와 비회전브러시(352)가 접촉함에 따라 이 비회전브러시(352)는 바깥쪽으로 밀리나, 스프링부(352c)에 의해 회전브러시(351) 측으로 밀어붙여진다. 이로써, 브러시(351, 352)가 서로 이격되는 일없이, 상기 비회전브러시(352)를 적절한 압력으로 상기 회전브러시(351)에 밀어붙일 수 있으며, 이 회전브러시(351)에 포착된 먼지가 확실하게 제거된다.
전술과 같이 하여 상기 비회전브러시(352)에 먼지가 포착된 후, 상기 회전브러시(351)를 다시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이 비회전브러시(352) 브러시부(352b)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브러시(351) 회전방향은, 상기 비회전브러시(352) 브러시부(352b) 섬유방향과 마찬가지이므로, 이 브러시부(352b)에 포착된 먼지를 상기 회전브러시(351)의 브러시부(351b)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브러시청소동작"에 의해, 회전브러시(351) 브러시부(351b)에 포착된 먼지는 먼지저류용기(360) 내에 저류된다.
"먼지반송동작"에서는, 에어필터(330)가 도 35에 나타낸 상태로 정지된다. 또 댐퍼박스(381)의 댐퍼(382)가 열린 상태(도 37(a)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실내팬(321)이 구동된다. 그러면, 도 38에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실내팬(321)의 토출공기는 토출공간(310c)으로부터 도입용 덕트(386)를 통해 댐퍼박스(381)로 도입되며, 그 후 접속덕트(389)를 통해 먼지저류용기(360)로 도입된다. 이로써, 먼지저류용기(360) 내 먼지가 공기와 함께 반송용 덕트(388)를 통해 먼지포집상자(390)로 반송된다. 이로써, 먼지반송용기(360) 내 먼지가 먼지포집상자(390)에 저류된다. 한편, 먼지포집상자(390)로 유입된 공기는 배기구(391)로부터 배출된다. 이 "먼지반송동작"에서도, 먼지저류용기(360)의 브러시용 개구(363)가 에어필터(330)의 폐쇄부재(336)에 의해 폐쇄되므로(도 35 참조), 먼지저류용기(360) 내 먼지가 브러시용 개구(363)로부터 유출되는 일은 없다.
"먼지배출동작"에서는, 전술한 "먼지반송동작"과 마찬가지로 에어필터(330)가 도 35에 나타내는 상태로 정지된다. 또 댐퍼박스(381)의 댐퍼(382)가 닫혀진다(도 37(b) 상태).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청소기 호스가 노즐삽입부(400)로 삽입된다. 그러면 도 39에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먼지포집상자(390) 내 먼지가 반송용 덕트(388), 먼지저류용기(360) 및 흡인용 덕트(387)를 차례로 통과하여 청소기로 흡입된다. 그 때, 먼지저류용기(360) 내 먼지도 청소기로 흡입된다. 이 "먼지배출동작"에서도, 먼지저류용기(360)의 브러시용 개구(363)가 에어필터(330) 폐쇄부재(336)에 의해 폐쇄되므로(도 35 참조), 먼지저류용기(360)를 통과하는 먼지 또는 먼지저류용기(360) 내에 있던 먼지가 브러시용 개구(363)에서 유출되는 일은 없다.
여기서, 상기 제 5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도 40에 나타내는 형태로 해도 된다. 즉 상기 제 5 실시행태에서, 먼지포집상자(390)를 생략하고 반송용 덕트(388a)를 옥외로 연통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먼지반송동작"에서는 먼지저류용기(360) 내 먼지가 공기와 함께 옥외로 직접 반송되어 그대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먼지 배출의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여기서, 당연한 것이나 본 변형예에서는 노즐삽입부가 필요 없게 된다.
-제 5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으로부터,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른바 천장 매달림형 실내유닛에서 전술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에어필터(3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여 먼지포집상자(390) 내로 포집시킴과 더불어, 이 먼지포집상자(390) 내 먼지를 노즐접속부(400)로부터 청소기 노즐에 의해 회수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는, 에어필터(40)로 제거한 먼지를 일단 먼지저류용기(60) 내에 저류한 후, 먼지반송수단(70)에 의해 케이싱 본체(26) 밖의 먼지포집상자(90)로 먼지를 반송하여 이 먼지포집상자(90) 내에 저류하고, 이 먼지포집상자(90) 내로부터 회수덕트(77)를 통해 먼지를 회수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도 41 및 도 42에 나타내듯이, 상기 먼지반송수단(70) 및 먼지포집상자(90)를 설치하는 일없이 상기 먼지저류용기(60)로부터 직접 먼지를 회수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1에 나타내듯이, 상기 먼지저류용기(60) 길이방향 한쪽 단면에 형성된 덕트용 개구(63)에 상기 회수덕트(77) 일단측이 접속되며, 이 회수덕트(77) 타단측은 화장패널(27) 코너에 위치하는 개구부(27a) 내에 위치한다.
상기 도 41에서는, 화장패널(27) 코너에 위치하는 개구부(27a) 내에 회수덕트(77) 타단측이 위치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2에 나타내듯이, 상기 회수덕트(77) 타단측을 흡입구(22)에 위치시켜도 된다.
여기서 상기 도 41 및 도 4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수덕트(77) 타단측에 접속되는 덕트 접속부 구성은 상기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구성이다.
또 상기 도 41 및 도 4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먼지저류용기(60)의 회수덕트(77) 접속부분과 반대측 면에 통기공(60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통기공(60a)을 형성함으로써, 청소기(95) 등으로 먼지를 흡인하는 경우 상기 먼지저류용기(60) 내에 회수덕트(77)로의 원활한 공기 흐름을 만들 수 있으며, 먼지의 흡인 회수가 용이해진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에어필터(40, 330)의 이동에 따라 댐퍼(72, 382) 등을 구동시켜, 이 에어필터(40, 330)로부터 회전브러시(51, 351)에 의해 제거된 먼지를 실내팬(39, 321)의 토출공기로 먼지포집부(60, 360) 밖으로 배출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에어필터(40, 3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고, 그 먼지를 먼지포집부(60, 360) 밖으로 배출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노즐접속부(78, 131)를 실내측으로 향할수록 통로의 단면적이 커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내측으로 향할수록 통로 단면적이 커지도록 안쪽에 R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노즐접속부(78)와 회수덕트(77), 이 회수덕트(77)와 먼지포집상자(90), 이 먼지포집상자(90)와 배출측 덕트(74), 및 이 배출측 덕트(74)와 케이싱 본체(26)를 각각 접속 고정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3에서 도 45에 나타내듯이, 각 접속부분을 탈착 가능한 구조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 43 및 도 44에 나타내듯이, 상기 노즐접속부(78)와 회수덕트(77)의 접속부(161)에 있어서, 이 노즐접속부(78)에 제 1 접속부(162)를 형성하는 한편, 그에 대응하는 상기 회수덕트(77) 단부에 제 2 접속부(163)를 형성하고, 이 제 1 접속부(162)와 제 2 접속부(163)를 연결시킨다.
상기 제 1 접속부(162)는, 개략 원통형 부재의 외주면상에 전(全) 둘레에 걸쳐 이어지는 팽출부(162a)가 형성된 것으로, 이 팽출부(162a)에 후술하는 제 2 접속부(163) 연결부(163c)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접속부(162)는, 그 한쪽 단부의 바깥지름이 상기 노즐접속부(78) 상부(78a)의 안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며, 이 한쪽 단부가 노즐접속부(78) 상부(78a) 내에 끼워진다.
상기 제 2 접속부(163)는, 상기 제 1 접속부(162)보다 지름이 큰 개략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63a)를 구비하며, 그 외주면상에 걸림부(163b)가 일체 형성된다. 이 걸림부(163b)는, 상기 회수덕트(77)의 축방향 바깥쪽을 향해 이어지고 상기 제 1 접속부(162)의 팽출부(162a)와 연결되는 원통형 연결부(163c)와, 이 연결부(163c)와는 반대방향으로 이어지는 돌출편형 레버부(163d)와, 이 연결부(163c) 및 레버부(163d)를 그 중간부분에서 상기 본체부(163a)와 탄성적으로 접속하는 탄성변형부(163e)를 구비한다. 상기 레버부(163d)는, 선단측을 향할수록 지름방향 바깥쪽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이 레버부(163d)를 지름방향 안쪽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변형부(163e)가 변형되며, 이 레버부(163d)와는 반대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결합부(163c)를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부(163d)를 원위치로 되돌리면, 상기 탄성변형부(163e)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163c)는 원위치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상기 제 2 접속부(163)의 연결부(163c)를 상기 제 1 접속부(162)의 팽출부(162a)에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이 연결부(163c)가 팽출부(162a)에 접촉하면, 이 결합부(163c)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변형부(163e)가 탄성 변형되고 이 연결부(163c)를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변위시켜, 이 결합부(163c)와 팽출부(162a)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도 44(b) 참조). 한편, 상기 제 2 접속부(163)를 제 1 접속부(162)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레버부(163d)를 지름방향 안쪽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연결부(163c)를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변위시키고 이 연결부(163c)를 상기 제 1 접속부(162)의 팽출부(162a)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이 연결부(163c)와 팽출부(162a)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노즐접속부(78)에 대해 회수덕트(77)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으며, 실내유닛(13)이나 먼지포집상자(90) 설치 시나 보수관리 시 등에 있어서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과 같은 접속구조를 상기 회수덕트(77)와 먼지포집상자(90)와의 접속부(165)나, 이 먼지포집상자(90)와 배출측 덕트(74)와의 접속부(166), 이 배출측 덕트(74)와 케이싱 본체(26)와의 접속부(167)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도 45에 나타내듯이, 먼지포집상자(90)나 케이싱 본체(26)측에 상기 제 1 접속부(162)를 형성하고, 덕트(77, 74)측에 제 2 접속부(163)를 형성하면 된다.
또 상기 제 2 실시형태나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회수덕트(77)의 일단측이 케이싱 본체(26) 흡입구(22) 내에 위치되는 구성에 대해서도, 덕트(77)와의 접속부분에 전술과 같은 구성을 적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도 41 및 도 42에 나타내듯이, 상기 회수덕트(77)가 먼지저류용기(60)에 직접 접속되는 구성에 대해, 이 회수덕트(77)의 케이싱 본체(26)와의 접속부분이나 노즐접속부(78)와의 접속부분에 전술한 구성을 적용해도 된다.
또 상기 제 4 실시형태에서, 덮개부재(172) 실내측 면에 UV도포 처리를 행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의 커버부(111b)나 노즐접촉부(121a), 덮개부재(142) 등, 청소기(95) 노즐(95a)이 접촉하는 부분에 UV도포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 4 실시형태에서 청소기 연장 노즐(191)은, 후단부(191b)가 끝이 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6에 나타내듯이 선단부 끝이 가는 테이펴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연장 노즐(201)의 선단부(201a)는, 후단부(201b) 안지름과 바깥지름이 동등 이하가 되도록 끝이 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며, 도 46(b)에 나타내듯이, 다른 청소기 연장 노즐(201) 후단부(201b)와 연결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청소기 연장 노즐(201) 선단부(201a) 선단측에는, 후단부(201b) 안지름(φA)과 마찬가지 바깥지름을 갖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이 연결부를 다른 청소기 연장 노즐(201)의 후단부(201b)에 삽입함으로써, 청소기 연장 노즐(201)을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청소기(95) 노즐을 더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유닛(13)이 고소에 설치되는 경우라도, 청소기(95)에 의해 먼지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도 46에서는, 청소기 연장 노즐(201) 전체를 후단부(201b)에서 선단부(201a)를 향해 끝이 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선단부(201a)에 후단부(201b) 안지름과 바깥지름이 동등한 연결부를 단차(段差)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이른바 천장 매입형 실내유닛이나 천장 매달림형 실내유닛을 대상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가정용 룸 에어콘에 대해 상기 각 실시형태의 구성(에어필터의 먼지제거나 먼지반송, 먼지회수의 구성 등)을 적용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장 뒤에 설치되며, 또 에어필터 먼지제거기능과 제거한 먼지를 저류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으로서 유용하다.
10 : 공기조화장치 13 : 실내유닛
22, 313 : 흡입구 26 : 케이싱 본체(케이싱)
27 : 화장패널(실내측 패널) 27a : 개구부
28, 101, 111, 121: 커버부재
28b, 101b, 111b : 커버부(커버)
29, 312 : 흡입그릴 34 : 케이싱
37, 322 : 실내열교환기 39, 321 : 실내팬
40, 330 : 에어필터 50, 350 : 먼지제거수단
60, 360 : 먼지저류용기(먼지포집부)
60a : 통기공
77 : 회수덕트(먼지 회수로, 플렉시블 덕트)
78, 131, 151 : 노즐접속부 79 : 푸시록
80 : 실부재 90, 390 : 먼지포집상자
95 : 청소기 95a : 노즐
95b : 본체측 고정부(걸림부)
102, 143, 155 : 스프링부재(바이어스수단)
113 : 모터(구동수단)
121a : 노즐접촉부(노즐접속부) 121b, 181b : 구멍부
122 : 먼지커버(커버) 141d : 연통구
142, 172 : 덮개부재(커버)
152 : 밸브부 154 : 밸브체
178 : 노즐 가이드부(가이드부) 178a : 오목부
181 : 피스톤 접속부
181d : 접촉부 186 : 밸브체(밸브부)
186a : 돌출부 191, 191' : 청소기 연장 노즐
191a, 201a: 선단부 191b, 201b : 후단부
192 : 삽입부 195 : 연장관
196 : 테이프부재(노즐고정부)
197 : 연장 노즐측 고정부(제 2 노즐고정부)
198 : 끈 삽입부(제 2 삽입부)
199 : 끈 부재(링형 부재) 201 : 청소기 연장 노즐
310 : 케이싱 310a : 하면(실내측 패널)
387 : 흡인용덕트(먼지 회수로) 400 : 노즐 삽입부

Claims (44)

  1. 케이싱(26) 내에, 실내열교환기(37)와,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며 이 실내측으로 토출하는 실내팬(39)과, 이 실내팬(39) 흡입측에 배치되는 에어필터(40)를 구비한 실내유닛(13)을 갖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먼지제거수단(50)과,
    상기 먼지제거수단(50)에 의해 제거된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먼지포집부(60)와,
    상기 포집된 먼지를 회수할 시에 이 먼지를 반송하는 반송로로서의 먼지 회수로(77)를 구비하며,
    상기 먼지 회수로(77)의 하류측 출구에는, 상기 포집된 먼지를 흡인 가능한 소정 위치에 청소기(95) 노즐(95a)을 위치시키기 위한 노즐접속부(151, 181)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접속부(151, 181)는, 실내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싱(26) 안쪽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노즐접속부(151, 181) 상류측에는, 이 노즐접속부(151, 181)의 이동에 따라, 이 노즐접속부(151, 181) 내부공간과 상기 먼지 회수로(77)를 연통상태 또는 비연통상태로 전환하는 밸브부(152, 18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접속부(151)는, 상기 케이싱(26)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측 패널(27)의 실내측 면보다 케이싱 안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접속부(151)는, 상기 케이싱(26)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측 패널(27)의 코너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접속부(151)는, 상기 실내팬(39) 흡입측에 형성된 상기 케이싱(26) 흡입구(2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팬(39) 흡입측에 형성된 상기 케이싱(26) 흡입구(22)에는, 중앙부분에 통풍 가능한 그릴부(29a)가 형성된 흡입그릴(29)이 설치되며,
    상기 노즐접속부(151)는, 상기 흡입그릴(29)의 그릴부(29a) 바깥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먼지포집부(60)에서 상기 케이싱(26)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측 패널(27)까지의 먼지회수경로 상에는, 이 먼지회수경로를 실내공간에 대해 연통상태 또는 비연통상태가 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폐색수단(28b, 111b, 1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노즐접속부(151)는, 상기 케이싱(26)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측 패널(27) 코너부에 형성되며, 그 실내측을 상기 폐색수단으로서의 코너커버(28b)에 의해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40) 실내측은, 흡입그릴(29)에 의해 피복되며,
    상기 노즐접속부(151)는, 상기 실내팬(39) 흡입측에 형성된 상기 케이싱(26) 흡입구(22)에 형성되며, 그 실내측을 상기 폐색수단으로서의 상기 흡입그릴(29)에 의해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삭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폐색수단(28b)은, 한쪽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旋回) 가능하게 구성됨과 더불어, 다른 쪽 단부가, 실내측에서 이 폐색수단(28b)에 누름 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이 다른 쪽 단부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푸시록(79)에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폐색수단(142)은, 실내측에서 밀려 개방상태가 되도록 한쪽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폐색수단(142)의 한쪽 단부에는, 이 폐색수단(142)을 폐쇄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바이어스수단(14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폐색수단(111b)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폐색수단(111b)을 개폐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먼지포집부(60)에 포집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먼지포집상자(90)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먼지 회수로(77)는, 상기 먼지포집상자(90)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6. 삭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먼지 회수로, 및 상기 먼지포집부(60)에서 먼지포집상자(90)까지의 먼지 반송로를 구성하는 덕트(74, 77)는, 상기 먼지포집상자(90)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먼지 회수로(77)는, 상기 케이싱(26) 내의 상기 먼지포집부(60)에 직접 접속되며,
    상기 먼지포집부(60)에서 상기 먼지 회수로(77) 접속부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통기공(6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9. 삭제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먼지 회수로를 구성하는 덕트(77)는, 상기 케이싱(26)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접속부(151)는, 실내측으로 향할수록 먼지 통로의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접속부(151)는, 실내측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이 실내측을 향해 돌출되며, 그 돌출 단부에는 먼지가 통과 가능한 구멍부(15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노즐접속부(151)는, 실내측으로 돌출하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4. 삭제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접속부(151) 내부공간은, 상기 먼지 회수로(77)에 대해 연통구(141d)를 개재하여 연통되며,
    상기 밸브부(152)는, 상기 노즐접속부(151)와 일체로 이동하며, 이 노즐접속부(151) 위치가 실내측의 최하점일 때에 상기 연통구(141d)를 폐쇄상태로 하는 한편, 상기 노즐접속부(151) 위치가 상기 최하점보다 케이싱(26) 안쪽일 때에 상기 연통구(141d)를 개방상태로 하도록 구성된 밸브체(1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노즐접속부(151)를 실내측으로 밀어붙이는 바이어스수단(1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186)는, 상기 노즐접속부(181)측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186)는, 상부에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노즐접속부(181)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86a)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접속부(181)는, 상기 돌출부(186a)와 실내측으로부터 맞닿는 접촉부(181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접속부(181) 구멍부(181b)에 청소기(95) 노즐(95a, 191)을 위치시키도록, 이 노즐접속부(181)를 둘러싸고 가이드부(17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78)는, 상기 노즐접속부(181)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리브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1.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노즐접속부(181) 실내측을 피복하는 폐색수단(172)을 구비하며,
    상기 폐색수단(172)은, 실내측으로부터 밀어 올려져 개방상태가 되도록 한쪽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78)에는, 개방상태인 상기 폐색수단(172)이 수납 가능한 오목부(178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2. 청구항 11, 13,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수단(172)의 실내측 면에는, UV도포 처리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먼지 회수로는, 플렉시블 덕트(77)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덕트(77)와 상기 노즐접속부(151)는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4. 청소기(95)의 노즐(95a) 선단에 장착되며, 상기 청구항 1에 기재한 공기조화장치(10)의 노즐접속부(181)에 선단부(191a)가 접촉하는 청소기 연장 노즐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191a)는, 상기 노즐접속부(181)를 케이싱(26) 안쪽으로 밀며, 또 외주부가 이 노즐접속부(181)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가이드부(178)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191a) 개구부분이 평면에서 보아 상기 노즐접속부(181)의 구멍부(181b)와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청소기 연장 노즐.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노즐접속부(181)는, 실내측으로 돌출하는 반구형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접속부(181)에 접촉하는 선단부(191a)의 개구는 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청소기 연장 노즐.
  36.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191a')는, "〈"형상으로 굴곡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청소기 연장 노즐.
  37.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191a) 선단측은, "〈"형상으로 굴곡 되는 연장관(195)이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청소기 연장 노즐.
  38.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201a) 선단측에는, 후단부(201b) 안지름과 동등한 바깥지름을 갖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청소기 연장 노즐.
  39.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95) 노즐(95a)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이 노즐(95a)에 대해 병렬로 설치하기 위한 노즐고정부(19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청소기 연장 노즐.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노즐고정부는, 상기 노즐(95a)을 감기 위한 테이프부재(19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청소기 연장 노즐.
  41. 청구항 40에 있어서,
    외주면 상에, 상기 테이프부재(196)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부(19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청소기 연장 노즐.
  4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부재(196)는, 상기 삽입부(192)를 통과하는 부분의 폭이, 이 삽입부(192)의 안쪽 치수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상기 삽입부(192)의 안쪽 치수보다 폭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청소기 연장 노즐.
  43. 청구항 39에 있어서,
    외주면 상에, 상기 노즐(95a)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고정부(95b)에 대해 걸림 가능한 제 2 노즐고정부(19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청소기 연장 노즐.
  44. 청구항 34에 있어서,
    외주면 상에 제 2 삽입부(198)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삽입부(198)에 일부가 삽입 통과되는 링형 부재(19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청소기 연장 노즐.
KR1020107002634A 2007-07-31 2008-07-30 공기조화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청소기 연장노즐 KR101146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99194 2007-07-31
JP2007199194 2007-07-31
JPJP-P-2008-004666 2008-01-11
JP2008004666 2008-01-11
JPJP-P-2008-015625 2008-01-25
JP2008015625 2008-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632A KR20100031632A (ko) 2010-03-23
KR101146438B1 true KR101146438B1 (ko) 2012-06-07

Family

ID=4030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634A KR101146438B1 (ko) 2007-07-31 2008-07-30 공기조화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청소기 연장노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43244B2 (ko)
EP (1) EP2182301A4 (ko)
JP (2) JP4306789B1 (ko)
KR (1) KR101146438B1 (ko)
CN (1) CN101765748B (ko)
AU (1) AU2008283625B2 (ko)
WO (1) WO20090168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3000B1 (ja) * 2009-04-30 2010-11-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FR2947040B1 (fr) * 2009-06-23 2014-01-03 Cinier Radiateurs Radiateur reversible
US10337760B2 (en) * 2010-04-23 2019-07-02 Kaip Pty Limited Air diffuser and an air circulation system
JP5755088B2 (ja) * 2011-09-08 2015-07-29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267690B2 (ja) * 2012-02-03 2013-08-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内機
US20130340974A1 (en) * 2012-06-22 2013-12-26 Flight Suits Helmet cooling device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11029059B2 (en) * 2013-10-01 2021-06-08 Amazon Technologies, Inc. Passive cooling system with ambient fluid collection
EP3575704B1 (en) * 2015-03-27 2021-01-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US10408474B2 (en) * 2015-03-27 2019-09-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air filter cleaning apparatus
US20170089593A1 (en) * 2015-09-30 2017-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105865002B (zh) * 2016-05-23 2019-03-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面板以及天井机
EP3276276B1 (en) * 2016-07-28 2021-11-03 Daikin Industries, Ltd. Filter cleaning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such filter cleaning device
KR102665025B1 (ko) 2016-08-19 202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438130B1 (ko) 2017-08-28 2022-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JP6832262B2 (ja) * 2017-09-07 2021-02-24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布類乾燥装置
ES2959400T3 (es) * 2017-12-13 2024-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Unidad de intercambio de calor y dispositivo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que tiene la misma montada en él
CN108195224A (zh) * 2018-02-27 2018-06-22 苏州唯诚管道清洗技术有限公司 中央空调清洗装置及设备
JP6687917B2 (ja) * 2018-05-31 2020-04-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208567076U (zh) * 2018-07-02 2019-03-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集尘盒组件、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08834379B (zh) * 2018-07-31 2022-07-12 河北建筑工程学院 一种偏振式散热防尘电气柜
CN110729597A (zh) * 2019-09-29 2020-01-24 东莞市井岗电子有限公司 一种耐老化线材连接器
CN111474995B (zh) * 2020-04-08 2021-12-07 湖州凌科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避免内置风扇吹乱灰尘卡住零件夹缝的硬盘辅助装置
CN111991971B (zh) * 2020-08-28 2021-11-19 长沙瑞庭科技有限公司 一种螺旋扰动式自动刷灰除尘净化装置
JP7168880B2 (ja) * 2021-02-18 2022-11-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13414198B (zh) * 2021-07-05 2022-02-08 湖北省漳河土木工程设计院 一种水利工程用的管道清淤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350545B (zh) * 2022-07-27 2024-04-19 山东方大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装修用节能环保除尘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8047A (en) 1980-05-29 1981-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Filter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JP2007147141A (ja) 2005-11-25 2007-06-14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887B1 (ko) * 1988-06-15 1991-09-1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전기소제기의 쓰레기 검지장치
JPH0495212A (ja) 1990-08-09 1992-03-27 Fujitsu Ltd 磁気ディスク装置
JPH0734252Y2 (ja) * 1990-12-27 1995-08-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H0590243A (ja) 1991-09-27 1993-04-09 Canon Inc Si基体の加工方法
JPH0590243U (ja) * 1992-05-12 1993-12-10 サンデン株式会社 局所吹出し形空調機
DE19651477C2 (de) * 1996-12-11 2000-07-20 Thomas Robert Metall Elektro Elektrischer Handstaubsauger
JPH10267383A (ja) 1997-03-28 1998-10-09 Zexel Corp フィルタの取付構造
CN2357843Y (zh) * 1997-05-19 2000-01-12 及兰平 风机盘管空调机清洗装置
CN2366757Y (zh) * 1998-03-19 2000-03-01 王谦道 净化灭菌型风机盘管
US6230184B1 (en) * 1998-10-19 2001-05-08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timizing execution of a computer program
JP2005083721A (ja) * 2003-09-11 2005-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101049433B1 (ko) * 2003-09-12 2011-07-15 파나소닉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JP2006071121A (ja) 2004-08-31 2006-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4882318B2 (ja) 2005-09-07 2012-02-2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US8038517B2 (en) * 2005-09-13 2011-10-18 Fujitsu General Limited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4172484B2 (ja) * 2005-11-28 2008-10-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292737B2 (ja) * 2007-06-21 2013-09-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塵埃捕集箱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8047A (en) 1980-05-29 1981-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Filter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JP2007147141A (ja) 2005-11-25 2007-06-14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62634B2 (ja) 2013-08-14
EP2182301A1 (en) 2010-05-05
AU2008283625A1 (en) 2009-02-05
JP2009198158A (ja) 2009-09-03
KR20100031632A (ko) 2010-03-23
CN101765748B (zh) 2013-07-31
AU2008283625B2 (en) 2011-05-26
EP2182301A4 (en) 2014-10-01
US8343244B2 (en) 2013-01-01
US20100199697A1 (en) 2010-08-12
WO2009016838A1 (ja) 2009-02-05
JP2009198152A (ja) 2009-09-03
JP4306789B1 (ja) 2009-08-05
CN101765748A (zh)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438B1 (ko) 공기조화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청소기 연장노즐
AU2008252340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7614246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090104921A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JP7053940B2 (ja) 集塵ボックス組立体、エアコン室内機及びエアコン
KR101213289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JP5292737B2 (ja) 塵埃捕集箱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2007303771A (ja) 空気調和装置
CN101790664A (zh) 空调
JP551586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CN208373729U (zh) 一种高精度纺织设备自动清洁维护装置
JP2005195216A (ja) 空気調和機
JP6169015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H0651730U (ja) 空気調和機
CN208398207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2006266678A (ja) 空気調和機
JP4915355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CN116928782A (zh) 除尘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
JP2011185579A (ja) 送風装置
JP2015158309A (ja) 熱交換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