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342B1 -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342B1
KR101145342B1 KR1020110089176A KR20110089176A KR101145342B1 KR 101145342 B1 KR101145342 B1 KR 101145342B1 KR 1020110089176 A KR1020110089176 A KR 1020110089176A KR 20110089176 A KR20110089176 A KR 20110089176A KR 101145342 B1 KR101145342 B1 KR 101145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drive shaft
bogie
strawberr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숙자
Original Assignee
김숙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숙자 filed Critical 김숙자
Priority to KR1020110089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2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travelling on a belt or the like, or conveyed by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농작물을 심는 재배조와, 그 재배조를 한방향으로 늘어놓아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가설하는 거치대로 구성되는 고설재배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서 소정간격으로 평행하도록 연속되며, 상기 재배조와 직교할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열의 레일과, 상기 레일의 상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거치대가 복수의 대차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High-Position Cultivating Device For Strawberry}
본 발명은 농작물을 심는 재배조와, 그 재배조를 한방향으로 늘어놓아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가설하는 거치대로 구성되는 고설재배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서 소정간격으로 평행하도록 연속되며, 상기 재배조와 직교할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열의 레일과, 상기 레일의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거치대가 복수의 대차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딸기의 하우스 재배에 이용되는 종래의 고설재배 장치는 딸기의 모종을 심어 생육시키는 통형의 재배조와, 그 재배조를 한방향에 늘어놓아 지면에서 고위치에 가설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지부재는 일련의 재배조를 하우스내의 지면에 직접 꽂은 다수의 지주에 의해서 딸기의 재배 작업이나 수확작업이 사용자가 일어선 상태로 행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에 지지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다리 부재의 지주를 하나씩 땅속에 매립하여 똑바르게 세워 설치하는 작업에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그중에서도 돌이나 암석을 많이 포함한 농경지에서의 설치작업은 특히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고정형 하우스 재배시설은 하우스의 단위 면적당 수확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설재배 장치의 설치수를 늘리면 통로의 수도 증가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하우스가 대형화될 수밖에 없고 이를 위한 하우스의 설치비용이 증대되며 동시에 하우스 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난방 및 환기시설의 설치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각 재배조가 통로를 사이로 병렬로 설치되어 태양광이 농작물에 골고루 비췰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통로의 수가 많으면 하우스 내의 냉난방 효율이 저하되고 기온이 낮은 동계나 야간에는 하우스 내부를 난방해도 하우스의 구석에 가까운 장소는 차가운 바깥 공기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저온에 의한 생육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한, 하우스의 설치면적을 가능한 작게하기 위해 통로의 폭을 좁게하면 재배조에 넣어진 배양토를 바꿔주는 작업시에도 배양토 운반용 일륜차의 출입이 번거롭고 방향전환도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재배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지면에 고정하고 높이를 조절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경과함에따라 지면에 꽂은 지주가 재배조를 넣은 배양토의 중량감으로 서서히 침하하거나 기울기도 하여 전체적으로 재배조가 비뚤어지거나 그 높이가 고르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한정된 면적으로 재배의 유지관리 작업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많은 모종을 식재하여 재배밀도를 높이고, 일조부족으로 인한 장해과실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으로 균일한 일조효과에 의한 착색 불량과나 기형과의 발생을 억제하고 재배의 촉진과 초세 증진효과가 있으며 재배 유지 관리비를 큰 폭으로 절감할 수 있는 고설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작물을 심는 재배조와, 그 재배조를 한방향으로 늘어놓아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가설하는 거치대로 구성되는 고설재배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서 소정간격으로 평행하도록 연속되며, 상기 재배조와 직교할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열의 레일과, 상기 레일의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거치대가 복수의 대차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재배조가 안착되는 선반과 상기 선반의 하부로 돌출되는 지주로 구성되되, 상기 지주는 다단으로 구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인출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차는 거치대가 탑재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차륜으로 구성되고, 상기 차륜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대차가 레일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차륜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대차의 일측에 재배조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되어 구비되는 롤러와, 일측이 구동축에 권취되고 타측이 롤러에 감겨 방향이 회전되고 다시 구동축에 권취되는 와이어가 추가로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의 일측이 개방되어 대차의 양측에 연결됨으로써 구동축을 회전하여 대차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측에 동일한 방향으로 롤러가 구비된 구동축의 타측에 롤러가 추가로 구비되고, 대차가 연결된 와이어가 귄취되되, 구동축에 권취되는 와이어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권취됨으로써 구동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양측 대차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열의 재배조를 각각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구동축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에서 소정간격으로 평행하도록 연속되며 상기 재배조와 직교할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열의 레일과, 상기 레일의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거치대가 복수의 대차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방법으로, 한정된 면적으로 재배의 유지관리 작업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많은 모종을 식재하여 재배밀도를 높여 생산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재배조가 안착되는 선반과 상기 선반의 하부로 돌출되는 지주로 구성되되, 상기 지주는 다단으로 구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인출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재배조를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재배조를 넣은 배양토의 중량감으로 서서히 침하하거나 기울어도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온이 낮은 동계나 야간에는 하우스 중심부로 재배조가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저온에 의한 생육 불량이 감소되고 하우스 내의 냉난방 효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복수열의 재배조를 각각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구동축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재배조의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설재배 장치의 외형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설재배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대차에 안착된 거치대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의 높이조절을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차륜구동장치가 결합된 제2실시예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구동축과 와이어가 결합된 제3실시예
도 8는 도 7의 측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타측에 대차와 와이어가 설치된 제4실시예
도 10은 제4실시예에 따라 구동축의 회전되어 대차의 이동을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복수열의 재배조와 구동축의 구성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10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설재배 장치의 외형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설재배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대차에 안착된 거치대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의 높이조절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차륜구동장치가 결합된 제2실시예이며,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구동축과 와이어가 결합된 제3실시예이고, 도 8는 도 7의 측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타측에 대차와 와이어가 설치된 제4실시예이고, 도 10은 제4실시예에 따라 구동축의 회전되어 대차의 이동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복수열의 재배조와 구동축의 구성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농작물을 심는 재배조(1)와, 그 재배조를 한방향으로 늘어놓아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가설하는 거치대(2)로 구성되는 고설재배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서 소정간격으로 평행하도록 연속되며, 상기 재배조와 직교할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열의 레일(10)과, 상기 레일(3)의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대차(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거치대(2)가 복수의 대차(4)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배조(1)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며 경량, 단열성, 성형 가공성 및 배수로 확보면에서 뛰어난 발포 합성수지재의 스티로폼 베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에도 비용면에서 우수한 자루재배, PE sheet, 작업성을 고려한 플라스틱 콘테이너, 및 화분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거치대(2)는 재배조(1)가 안착되는 선반(21)과 상기 선반의 하부로 돌출되는 지주(22)로 구성되되, 상기 지주(22)는 다단으로 구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인출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지주(23)의 상단에 나사부(24)를 형성하고 소정의 길이로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부지주(25)가 관통되어 고정부(26)가 삽입되어 상기 나사부(24)를 따라 회전되어 하부지주(23)의 상단 외주면을 압착함으로써 하부지주(23)에서 인출된 상부지주(25)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3)은 'L'형강재를 사용하여 모서리부가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레일(3)의 양끝단에는 상기 대차(4)가 레일(3)을 이탈하지 않도록 안내부(3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대차(4)는 거치대(2)가 탑재되는 안착부(41)와 안착부(41)의 하부에 구비되는 차륜(42)으로 구성되고, 상기 대차(4)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차륜(4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대차(4)가 레일(3)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차륜구동장치(4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륜구동장치(43)는 상기 안착부(41)의 일측에 고정되어 차륜(4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체인 등의 회전력 전달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재배조(1)의 하부에서 연속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는 각 대차의 차륜을 연결하여 동일한 회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대차(4)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대차(4)의 일측에 재배조(1)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동축(44)과, 상기 대차(4)의 타측에 구동축(44)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되어 구비되는 롤러(45)와, 일측이 구동축(44)에 권취되고 타측이 롤러(45)에 감겨 방향이 회전되고 다시 구동축(44)에 권취되는 와이어(46)가 추가로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46)의 일측이 개방되어 대차(3)의 양측에 연결됨으로써 구동축(44)을 회전하여 대차(4)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45)는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되 작업자의 이동을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서 지면에 가깝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에 동일한 방향으로 롤러(45)가 구비된 구동축(44)의 타측에 롤러(45')가 추가로 구비되고, 대차(4')가 연결된 와이어(46')가 귄취되되, 구동축(44)에 권취되는 와이어(46,46')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권취됨으로써 구동축(44)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양측 대차(4,4')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축(44)은 비닐하우스 시설물의 내부 중앙에서 지면에 가깝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수열의 재배조(1a,1b,1c,1d)를 각각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구동축(44a,44b,44c,44d)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47)와, 상기 기어박스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장치(4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열의 재배조(1a,1b,1c,1d)를 각 지지하는 거치대(2a,2b,2c,2d)는 각 대차(4)의 상부에 안착되어 구성되고, 각 대차는 동일한 레일(3)의 상부 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각 구동축(44a,44b,44c,44d) 상에 권취되는 와이어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구동축에 권취된 와이어에 의해 레일의 상부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한 대차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대차에 거치된 재배조를 사용자가 임의로 이동시켜 작업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동계 및 야간에 하우스 중심부로 재배조가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저온에 의한 생육 불량이 감소되고 하우스 내의 냉난방 효율이 상승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농작물을 심는 재배조와, 그 재배조를 한방향으로 늘어놓아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가설하는 거치대로 구성되는 고설재배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서 소정간격으로 평행하도록 연속되며, 상기 재배조와 직교할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열의 레일과, 상기 레일의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거치대가 복수의 대차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100: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1: 재배조 2: 거치대
21: 선반 22: 지주
23: 하부지주 24: 나사부
25: 상부지주 26: 고정부
3: 레일 31: 안내부
4: 대차 41: 안착부
42: 차륜 43: 차륜구동장치
44: 구동축 45: 롤러
46: 와이어 47: 기어박스
48: 동력장치

Claims (6)

  1. 농작물을 심는 재배조와, 그 재배조를 한 방향으로 늘어놓아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가설하는 거치대로 구성되는 고설재배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서 소정간격으로 평행하도록 연속되며, 상기 재배조와 직교할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열의 레일; 및 상기 레일의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거치대가 복수의 대차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대차는 거치대가 탑재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차륜으로 구성되고, 상기 차륜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대차가 레일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차륜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재배조가 안착되는 선반과 선반의 하부로 돌출되는 지주로 구성되어, 상기 지주는 다단으로 구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인출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일측에 재배조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동축과, 상기 대차의 타측에 구동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되어 구비되는 롤러와, 일측이 구동축에 권취되고 타측이 롤러에 감겨 방향이 회전되고 다시 구동축에 권취되는 와이어가 추가로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의 일측이 개방되어 대차의 양측에 연결됨으로써 구동축을 회전하여 대차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일측에 동일한 방향으로 롤러가 구비된 구동축의 타측에 롤러가 추가로 구비되고, 대차가 연결된 와이어가 귄취되되, 구동축에 권취되는 와이어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권취됨으로써 구동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양측 대차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복수열의 재배조를 각각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구동축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KR1020110089176A 2011-09-02 2011-09-02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KR101145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176A KR101145342B1 (ko) 2011-09-02 2011-09-02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176A KR101145342B1 (ko) 2011-09-02 2011-09-02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342B1 true KR101145342B1 (ko) 2012-05-14

Family

ID=4627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176A KR101145342B1 (ko) 2011-09-02 2011-09-02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34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064Y1 (ko) 2012-11-20 2013-09-16 허순옥 수확이 용이한 이동식 베드 장치
KR101391430B1 (ko) * 2013-07-17 2014-05-07 박천규 식물 재배 베드 지지장치
KR101514396B1 (ko) 2013-06-24 2015-04-24 대한민국 거치식 순환형 딸기 재배 시스템
KR101734164B1 (ko) * 2015-06-23 2017-05-15 대한민국 행잉베드 재배 시스템용 승강식 화분의 지지장치
KR101736494B1 (ko) * 2014-06-23 2017-05-16 조미용 비닐하우스용 식물재배용기 받침고정대
KR101809043B1 (ko) * 2017-03-13 2017-12-14 김영철 공간활용을 위한 고설재배용 베드의 이동장치
KR200487596Y1 (ko) 2017-07-20 2018-12-05 한석수 딸기 고설재배용 가대
JP2021166482A (ja) * 2020-04-10 2021-10-21 株式会社カンネツ イチゴ狩りシステム
JP2022006830A (ja) * 2020-06-25 2022-01-13 株式会社カンネツ イチゴ狩りシステム
KR102564130B1 (ko) * 2022-10-24 2023-08-04 한석수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871A (ja) 1998-04-09 1999-10-26 Yazaki Ind Chem Co Ltd 栽培装置及び栽培槽
JP2001299101A (ja) 2000-04-20 2001-10-30 Kubota Corp 高設栽培装置
JP2005046025A (ja) 2003-07-31 2005-02-24 Otomi Noen 温室内に於ける植物の高設栽培方法及びそのキャスター付き栽培棚
KR20100052107A (ko) * 2008-11-10 2010-05-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871A (ja) 1998-04-09 1999-10-26 Yazaki Ind Chem Co Ltd 栽培装置及び栽培槽
JP2001299101A (ja) 2000-04-20 2001-10-30 Kubota Corp 高設栽培装置
JP2005046025A (ja) 2003-07-31 2005-02-24 Otomi Noen 温室内に於ける植物の高設栽培方法及びそのキャスター付き栽培棚
KR20100052107A (ko) * 2008-11-10 2010-05-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064Y1 (ko) 2012-11-20 2013-09-16 허순옥 수확이 용이한 이동식 베드 장치
KR101514396B1 (ko) 2013-06-24 2015-04-24 대한민국 거치식 순환형 딸기 재배 시스템
KR101391430B1 (ko) * 2013-07-17 2014-05-07 박천규 식물 재배 베드 지지장치
KR101736494B1 (ko) * 2014-06-23 2017-05-16 조미용 비닐하우스용 식물재배용기 받침고정대
KR101734164B1 (ko) * 2015-06-23 2017-05-15 대한민국 행잉베드 재배 시스템용 승강식 화분의 지지장치
KR101809043B1 (ko) * 2017-03-13 2017-12-14 김영철 공간활용을 위한 고설재배용 베드의 이동장치
KR200487596Y1 (ko) 2017-07-20 2018-12-05 한석수 딸기 고설재배용 가대
JP2021166482A (ja) * 2020-04-10 2021-10-21 株式会社カンネツ イチゴ狩りシステム
JP2022006830A (ja) * 2020-06-25 2022-01-13 株式会社カンネツ イチゴ狩りシステム
KR102564130B1 (ko) * 2022-10-24 2023-08-04 한석수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342B1 (ko)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JP5639072B2 (ja) 植物育成ボックス昇降省エネシステム、植物育成ボックス昇降省エネ方法及び家庭用植物育成省エネ装置
KR20160122780A (ko) 회전가능한 랙 시스템
JP6284095B2 (ja) 作物育成システム
KR102069138B1 (ko)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JP2005013047A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施設
JP2016182040A (ja) 作物栽培装置
KR200327215Y1 (ko)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KR101285805B1 (ko) 재배베드 이동장치
CN203492459U (zh) 花卉周转展示育苗车
JP4577871B2 (ja) 植物栽培装置
GB249499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owing crops on suspended carriers
CN112825704A (zh) 一种草莓基质育苗穴盘
KR102067454B1 (ko)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
CN112425409A (zh) 一种装配式立体观光植物栽培装置
JP2004187615A (ja) 高設栽培装置とこれを設けたハウス栽培施設
CN214046813U (zh) 一种草莓基质育苗穴盘
CN104472251A (zh) 大棚内自动迎光种植架
JP3842579B2 (ja) 栽培用台車
KR102564130B1 (ko)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ES2207409B1 (es) Sistema de cultivo hidroponico.
JP6762045B2 (ja) 作物栽培方法及び作物栽培装置
KR102580059B1 (ko) 식물 재배장치
CN216415288U (zh) 一种花卉苗木栽培用育苗喷水养护治具
KR101377149B1 (ko)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의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