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805B1 - 재배베드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재배베드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805B1
KR101285805B1 KR1020120117393A KR20120117393A KR101285805B1 KR 101285805 B1 KR101285805 B1 KR 101285805B1 KR 1020120117393 A KR1020120117393 A KR 1020120117393A KR 20120117393 A KR20120117393 A KR 20120117393A KR 101285805 B1 KR101285805 B1 KR 101285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ultivation bed
frame
plant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길
Original Assignee
이봉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길 filed Critical 이봉길
Priority to KR1020120117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7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inside rotating drums or rota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e.g. carou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901Plant container with flats, filling, planting, or conve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농작물이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이격하여 농작물을 식재하는 재배베드를 좌우측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이 구비되는 제1식재판(11), 상기 제1식재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제1식재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측방향에서 인입되어 돌출 및 삽입이 가능한 가변프레임(13), 상기 가변프레임의 타측 저면에서 지면을 향해 돌출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다리부(14)로 구성되는 지지부(10); 하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 일측에서 힌지결합되어 좌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주부(20); 바닥면이 구비되는 제2식재판(31)과, 상부면이 상기 제2식재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지주부의 상부가 힌지결합되어 좌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착프레임(32)으로 구성되는 안착부(30); 및 태양의 고도에 따라 상기 제2식재판의 그림자가 상기 제1식재판의 상부에 드리워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2식재판(31)을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지지부와 지주부 및 지주부와 안착부의 체결된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베드 이동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배베드 이동장치 {GROWING BED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농작물이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이격하여 농작물을 식재하는 재배베드를 좌우측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이 구비되는 제1식재판(11), 상기 제1식재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제1식재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측방향에서 인입되어 돌출 및 삽입이 가능한 가변프레임(13), 상기 가변프레임의 타측 저면에서 지면을 향해 돌출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다리부(14)로 구성되는 지지부(10); 하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 일측에서 힌지결합되어 좌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주부(20); 바닥면이 구비되는 제2식재판(31)과, 상부면이 상기 제2식재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지주부의 상부가 힌지결합되어 좌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착프레임(32)으로 구성되는 안착부(30); 및 태양의 고도에 따라 상기 제2식재판의 그림자가 상기 제1식재판의 상부에 드리워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2식재판(31)을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지지부와 지주부 및 지주부와 안착부의 체결된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베드 이동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는 열매채소 중에서 고소득 작물로서 다른 열매채소에 비하여 생육적온이 낮으므로 겨울철 시설재배에 유리하여 남부지방에서는 재배면적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도 딸기 생산량이 많은 나라에 속한다.
또한, 딸기는 생활수준이 향상될수록 소비가 증대되는 채소로서, 껍질을 벗기지 않고 식용하므로 소비자들은 고품질 및 무공해 제품에 대한 기호도가 높으며 장래에는 수출 유망 채소로서도 기대가 큰 작목이다. 이와 같은 딸기는 키가 낮은 작물이기 때문에 심기, 잎 따기, 열매 정리 등의 재배관리나 빈번한 수확작업을 열악한 자세로 하여야 하고, 선별, 포장에 많은 노동을 필요로 하므로 딸기 생산량 증가에 큰 장해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딸기는 저온에 강하여 적은 에너지로 생산이 가능하고 단경기 출하로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식생활의 변화로 소비의 증대가 지속적으로 기대되는 작물이므로 작업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적절한 시설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이에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도록 고설재배 기술이 널리 도입되어 딸기에서 가장 심각한 토양전염성 병해인 위황병의 피해를 피할 수 있으며, 재배면적의 확대로 상업적 경영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최근에 문제시되고 있는 농업에 의한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고설재배 방식은 좋은 재배기술로 인식되어 가는 추세이다. 기존 베드의 이랑 높이가 20∼30cm인 반면, 고설재배는 베드의 높이를 사람의 가슴 높이 정도인 80∼100cm로 높여서 모든 작업을 서서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2∼3단으로도 가능해 공간 활용도가 높으며, 하우스농업인들의 고질적인 근골격계 병이 발생되지 않고 작업능률을 향샹시킬 수 있어 농가가 재배규모를 확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고설재배 방식은 농촌의 고령화, 인력난에 대비한 새로운 재배법으로 각광받고 있어 이에 대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의 고설 재배 장치는 그 설치 작업, 특히 다리 부재의 지주를 하나씩 땅 속에 매립하여 똑바르게 세워 설치시키는 작업에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그 중에서도 돌이나 암석을 많이 포함한 경지에서의 설치 작업은 특히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2단으로 적재되어 재배베드를 설치하는 경우 태양의 고도에 따라 상부에 설치된 재배베드의 그림자가 하부에 설치된 재배베드의 농작물에 드리워져 농작물의 생육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면의 상태에 따라 다리부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재배베드가 안착되는 식재판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태양의 고도에 따라 상부에 안착된 재배베드가 측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부 재배베드의 그림자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재배베드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열로 설치되는 재배배드의 사이로 레일과 대차가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농작물의 수확 및 재배가 용이하고, 외부에서 유입된 물이 관로를 통해 재배베드의 상부에서 분사됨으로써 노동력을 절감하는 재배베드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농작물이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이격하여 농작물을 식재하는 재배베드를 좌우측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이 구비되는 제1식재판(11), 상기 제1식재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제1식재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측방향에서 인입되어 돌출 및 삽입이 가능한 가변프레임(13), 상기 가변프레임의 타측 저면에서 지면을 향해 돌출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다리부(14)로 구성되는 지지부(10); 하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 일측에서 힌지결합되어 좌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주부(20); 바닥면이 구비되는 제2식재판(31)과, 상부면이 상기 제2식재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지주부의 상부가 힌지결합되어 좌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착프레임(32)으로 구성되는 안착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태양의 고도에 따라 상기 제2식재판의 그림자가 상기 제1식재판의 상부에 드리워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2식재판(31)을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지지부와 지주부 및 지주부와 안착부의 체결된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착프레임(32)의 저면에는 힌지결합부의 양측에 하부로 돌출되는 제1고정고리(51); 상기 지주부(20)의 양측 벽체의 일측에 외부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권취고리(52);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에는 힌지결합부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는 제2고정고리(53);가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제1고정고리에 고정되고 권취고리를 통과하여 타단이 제2고정고리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50);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60)가 추가로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지주부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평기어부(61); 상기 평기어부(61)에 접하여 지주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웜기어부(62); 상기 웜기어부를 구동하는 모터(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배베드 이동장치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복수열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레일(71)을 구비하고, 판형상체로 형성되어 저면에 상기 레일의 상부에 안착되는 바퀴(72)가 구비되는 대차(70)가 설치되며, 상기 대차는 재배베드 이동장치의 사이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차의 전방 및 후방 일측에 손잡이 고정홈(73)이 형성되어, 대차의 이동방향에 따라 손잡이(74)를 대차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 및 지주부의 내부로 서로 연통되도록 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의 저면에 외부에서 물을 끌어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로 공급하는 펌프(81)와, 상기 지주부의 상부 측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노즐(82)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급수수단(8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된 선행출원기술로는 JP2012-055234A, JP2007-282589A, JP2001-078577A, JP08-172917A에 기재된 바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의 상태에 따라 다리부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재배베드가 안착되는 식재판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태양의 고도에 따라 상부에 안착된 재배베드가 측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부 재배베드의 그림자를 최소화하며, 복수열로 설치되는 재배배드의 사이로 레일과 대차가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농작물의 수확 및 재배가 용이하고, 외부에서 유입된 물이 관로를 통해 재배베드의 상부에서 분사됨으로써 노동력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배베드 이동장치의 외형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배베드 이동장치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배베드 이동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배베드 이동장치의 연속설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고정수단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의 결합을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부의 회전에 따른 안착부의 이동을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설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외형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수단의 설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배베드 이동장치'(10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배베드 이동장치의 외형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배베드 이동장치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배베드 이동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배베드 이동장치의 연속설치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고정수단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의 결합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부의 회전에 따른 안착부의 이동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설치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외형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수단의 설치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농작물이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이격하여 농작물을 식재하는 재배베드를 좌우측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이 구비되는 제1식재판(11), 상기 제1식재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제1식재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측방향에서 인입되어 돌출 및 삽입이 가능한 가변프레임(13), 상기 가변프레임의 타측 저면에서 지면을 향해 돌출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다리부(14)로 구성되는 지지부(10); 하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 일측에서 힌지결합되어 좌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주부(20); 바닥면이 구비되는 제2식재판(31)과, 상부면이 상기 제2식재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지주부의 상부가 힌지결합되어 좌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착프레임(32)으로 구성되는 안착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태양의 고도에 따라 상기 제2식재판의 그림자가 상기 제1식재판의 상부에 드리워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2식재판(31)을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지지부와 지주부 및 지주부와 안착부의 체결된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는 바닥면이 구비되는 제1식재판(11), 상기 제1식재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제1식재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측방향에서 인입되어 돌출 및 삽입이 가능한 가변프레임(13), 상기 가변프레임의 타측 저면에서 지면을 향해 돌출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다리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식재판(11)은 판형상체로 구성되어 바닥면이 구비되며, 상부로 재배베드가 안착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은 장방형 틀의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식재판(11)의 저면을 지지하며 설치되며, 지지프레임의 구조를 강하게 할 수 있도록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프레임을 추가로 보강하여 제1식재판(11)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프레임(13)은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전방 및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지지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방향에서 각각 인입되어 돌출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다리부(14)는 상기 가변프레임(12)의 타측 저면에서 지면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다리부(14)의 하측 단부에는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0)는 재배베드가 안착되는 제1식재판(11)이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지면의 굴곡에 따라 높이조절부(15)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수평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부(20)는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10) 제1식재판(11)의 상부면 일측에서 힌지결합되어 좌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지주부(20)는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하기 위해서 지주부(20)의 전방과 후방에 지지부(10)의 제1식재판(11)의 상부면에서 수직하며 돌출되고 베어링이 내삽된 한 쌍의 하부고정판(21)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고정판(21)의 베어링과 지주부(20)의 하단부에 전후방으로 관통하며 키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지주부(20)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구동축(22)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22)이 베어링에 끼움되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부(20)의 상단부에도 상기 제2식재판(31)의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며 내부에 배어링이 내삽된 한 쌍의 상부고정판(23)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고정판(23)의 베어링과 지주부(20)의 상단부에 전 후방으로 관통하며 키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지주부(20)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연결축(24)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축(23)이 베어링에 끼움되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 하우스의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재배베드를 지지하며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재배베드 이동장치(100)는 반복적으로 나란하게 구성되되, 상기 구동축(22)과 연결축(24)이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구비됨으로써 연속되어 설치되는 재배베드 이동장치(100a,100b)의 각 지주부(20a,20b)가 동일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재배베드 이동장치의 각 지주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60)를 구비하되, 구동부(60)를 구비하는 재배베드 이동장치(100a)와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고 구동축(22)과 연결축(24)에 의해 구동부를 구비하는 재배베드 이동장치(100a)의 지주부(20a)의 회전에 따라 종속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는 지주부(20b)를 구비하는 재배베드 이동장치(100b)가 번갈아 구성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30)는 바닥면이 구비되는 제2식재판(31)과, 상부면이 상기 제2식재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지주부의 상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좌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착프레임(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식재판(31)은 판형상체로 구성되어 바닥면이 구비되며, 상부로 재배베드가 안착된다.
상기 안착프레임(32)은 상부면이 상기 제2식재판의 저면을 지지하고 하부면에는 상기 지주부(20)의 상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한편 도4 및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고정수단(40)은 제2식재판(31)을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지지부(10)와 지주부(20) 및 지주부(20)와 안착부(30)의 체결된 각도를 고정한다.
상기 각도고정수단(40)은 지주부(20)가 힌지결합되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는 고정공(41)과, 상기 지주부(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는 하부고정판(21) 또는 상부고정판(23)의 내부에 원호형상의 장공으로 형성되는 안내공(42)과, 상기 안내공(42)과 고정공(4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볼트(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43)가 전방에 구비된 상부고정판(23)에 형성된 안내공(42)과 지주부(20)를 관통하는 고정공(41)과 후방에 구비된 하부고정판(23')에 형성된 안내공을 관통하며 너트로 체결되어 밀착됨으로써, 지주부(20)와 안착부(30)의 회전된 각도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도고정수단(40)은 지지부(10)와 지주부(20)가 결합되는 하부고정판(21)의 내측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한편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호형상의 장공으로 형성되는 안내공(42)을 대체하는 원호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체결공(44)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재배베드 이동장치(100)는 효율적으로 농작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에 2단으로 재배베드를 배열하는 고설재배 시설에서 상부 재배베드가 안착되는 제2식재판을 지지하는 지주부(20)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고 각도고정수단(4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태양의 고도에 따라 상기 제2식재판의 그림자가 상기 제1식재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하부 재배베드에 드리워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 재배베드가 안착되는 제1식재판(11)과 상부 재배베드가 안착되는 제2식재판(31)이 서로 평행하며 나란하게 설치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프레임(32)의 저면에는 힌지결합부의 양측에 하부로 돌출되는 제1고정고리(51); 상기 지주부(20)의 양측 벽체의 일측에 외부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권취고리(52); 상기 지지부(10)의 상부면 일측에는 힌지결합부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는 제2고정고리(53);가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제1고정고리(51)에 고정되고 권취고리(52)를 통과하여 타단이 제2고정고리(53)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50);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재배베드 이동장치(100)는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지주부(20)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지주부(10)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된 제2식재판(31)에 안착된 상부 재배베드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되며, 이때 상기 제2식재판(31)은 상기 와이어(50)에 의해 제1식재판(11)과 서로 평행하며 나란하게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지주부(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60)가 추가로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지주부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평기어부(61); 상기 평기어부(61)에 접하여 지주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웜기어부(62); 상기 웜기어부를 구동하는 모터(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모터(63)의 구동에 따라 웜기어부(62)가 회전되며, 웜기어부(62)와 밀착되어 결합된 평기어부(6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주부(20)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주부(20)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나란한 회전축을 가진 평기어를 맞물려 회전시켜도 무방하나, 지주부(2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 재배베드의 하중에 의해 지주부(20)가 고정되지 못하고 모터(63)가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지주부(20)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주부(20)에 형성된 평기어부(61)의 회전축방향과 치합되는 웜기어부(62)의 회전축방향은 서로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부(20)의 하단에는 상기 지주부(20)의 회전을 제한하는 멈춤돌기(64)가 구비되어 상기 지주부(20) 제2식재판(31)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 재배베드가 제1식재판(11)의 상부에 안착되는 하부 재배베드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재배베드 이동장치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복수열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1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레일(71)을 구비하고, 판형상체로 형성되어 저면에 상기 레일의 상부에 안착되는 바퀴(72)가 구비되는 대차(70)가 설치되며, 상기 대차(70)는 재배베드 이동장치의 사이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차의 전방 및 후방 일측에 손잡이 고정홈(73)이 형성되어, 대차의 이동방향에 따라 손잡이(74)를 대차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3과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부(20)의 내부로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10)의 저면에 외부에서 물을 끌어와 상기 지주부(20)의 내부로 공급하는 펌프(81)를 구비하고, 상기 지주부(20)의 상부 측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노즐(82)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급수수단(80)이 추가로 구비되어, 펌프(81)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된 물은 관로를 통해 지주부(20)의 내부로 유입되어 노즐(82)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재배베드에 식재중인 농작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은 구동축(22)과 연결축(24)이 체결되는 지주부(2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차폐하는 차단판이 내부에 구비되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2)의 내부로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측면에서 인입되는 가변프레임(13)과 연통하여 상기 펌프(81)에서 유입된 물이 지지프레임(12) 및 가변프레임(13)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가변프레임의 단부에 노즐(82)을 구비하여 넓은 면적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하부 재배베드가 안착되는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의 일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주부(20)와, 상기 지주부(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부 재배베드가 안착되는 안착부(30)와, 상기 지지부(10)와 지주부(20) 및 지주부(20)와 안착부(30)의 체결된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재배베드 이동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100: 재배베드 이동장치
10: 지지부 11: 제1식재판
12: 지지프레임 13: 가변프레임
14: 다리부 15: 높이조절부
20: 지주부 21: 하부고정판
22: 구동축 23: 상부고정판
24: 연결축 30: 안착부
31: 제2식재판 32: 안착프레임
40: 각도고정수단 41: 고정공
42: 안내공 43: 고정볼트
44: 체결공 50: 와이어
51: 제1고정고리 52: 권취고리
53: 제2고정고리 60: 구동부
61: 평기어부 62: 웜기어부
63: 모터 64: 멈춤돌기
70: 대차 71: 레일
72: 바퀴 73: 고정홈
74: 손잡이 80: 급수수단
81: 펌프 82: 노즐

Claims (6)

  1.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농작물이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이격하여 농작물을 식재하는 재배베드를 좌우측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이 구비되는 제1식재판(11), 상기 제1식재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제1식재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측방향에서 인입되어 돌출 및 삽입이 가능한 가변프레임(13), 상기 가변프레임의 타측 저면에서 지면을 향해 돌출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다리부(14)로 구성되는 지지부(10);
    하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 일측에서 힌지결합되어 좌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주부(20);
    바닥면이 구비되는 제2식재판(31)과, 상부면이 상기 제2식재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지주부의 상부가 힌지결합되어 좌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착프레임(32)으로 구성되는 안착부(30); 및
    태양의 고도에 따라 상기 제2식재판의 그림자가 상기 제1식재판의 상부에 드리워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2식재판(31)을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지지부와 지주부 및 지주부와 안착부의 체결된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베드 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프레임(32)의 저면에는 힌지결합부의 양측에 하부로 돌출되는 제1고정고리(51);
    상기 지주부(20)의 양측 벽체의 일측에 외부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권취고리(52);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에는 힌지결합부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는 제2고정고리(53);가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제1고정고리에 고정되고 권취고리를 통과하여 타단이 제2고정고리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50);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베드 이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60)가 추가로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지주부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평기어부(61);
    상기 평기어부(61)에 접하여 지주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웜기어부(62);
    상기 웜기어부를 구동하는 모터(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베드 이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베드 이동장치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복수열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레일(71)을 구비하고,
    판형상체로 형성되어 저면에 상기 레일의 상부에 안착되는 바퀴(72)가 구비되는 대차(70)가 설치되며, 상기 대차는 재배베드 이동장치의 사이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베드 이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전방 및 후방 일측에 손잡이 고정홈(73)이 형성되어, 대차의 이동방향에 따라 손잡이(74)를 대차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베드 이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및 지주부의 내부로 서로 연통되도록 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의 저면에 외부에서 물을 끌어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로 공급하는 펌프(81)와, 상기 지주부의 상부 측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노즐(82)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급수수단(8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베드 이동장치.
KR1020120117393A 2012-10-22 2012-10-22 재배베드 이동장치 KR101285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393A KR101285805B1 (ko) 2012-10-22 2012-10-22 재배베드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393A KR101285805B1 (ko) 2012-10-22 2012-10-22 재배베드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805B1 true KR101285805B1 (ko) 2013-07-12

Family

ID=4899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393A KR101285805B1 (ko) 2012-10-22 2012-10-22 재배베드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8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430B1 (ko) 2013-07-17 2014-05-07 박천규 식물 재배 베드 지지장치
KR200479033Y1 (ko) * 2015-02-24 2015-12-10 강희욱 조립형 드럼 믹서
CN109258446A (zh) * 2018-09-14 2019-01-25 宁波大龙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式栽培装置
KR102665089B1 (ko) * 2024-02-13 2024-05-14 임순자 식물 재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8577A (ja) 1999-09-17 2001-03-27 Takahashi Baraen:Kk 移動栽培装置
JP2007282589A (ja) 2006-04-19 2007-11-01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栽培ベッド水平循環システム
JP2012055234A (ja) 2010-09-09 2012-03-22 Japan Carlit Co Ltd:The 栽培床の傾斜角の変化が可能な植物栽培装置
KR20120100233A (ko) * 2011-03-03 2012-09-12 김숙자 이동이 가능한 고설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8577A (ja) 1999-09-17 2001-03-27 Takahashi Baraen:Kk 移動栽培装置
JP2007282589A (ja) 2006-04-19 2007-11-01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栽培ベッド水平循環システム
JP2012055234A (ja) 2010-09-09 2012-03-22 Japan Carlit Co Ltd:The 栽培床の傾斜角の変化が可能な植物栽培装置
KR20120100233A (ko) * 2011-03-03 2012-09-12 김숙자 이동이 가능한 고설재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430B1 (ko) 2013-07-17 2014-05-07 박천규 식물 재배 베드 지지장치
KR200479033Y1 (ko) * 2015-02-24 2015-12-10 강희욱 조립형 드럼 믹서
CN109258446A (zh) * 2018-09-14 2019-01-25 宁波大龙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式栽培装置
CN109258446B (zh) * 2018-09-14 2021-02-19 宁波大龙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式栽培装置
KR102665089B1 (ko) * 2024-02-13 2024-05-14 임순자 식물 재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805B1 (ko) 재배베드 이동장치
KR101145342B1 (ko)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KR20160122780A (ko) 회전가능한 랙 시스템
KR101483391B1 (ko) 회전식 재배기 및 이를 갖는 온실 시스템
CN202773530U (zh) 一种全自动植物生长装置
CN105724081A (zh) 一种苗菜自动种植装置及系统
JP2015053927A (ja) 作物育成システム
CN206187904U (zh) 一种设有运输设施的蔬菜大棚
CN205694601U (zh) 多功能可旋转式立体烟草秧苗种植装置
CN205756209U (zh) 一种箱式框架植物种植系统
CN207820629U (zh) 一种空间立体栽培装置
CN205408710U (zh) 一种芽苗菜和食用菌的自动生发系统
CN208924760U (zh) 一种有机蔬菜培育箱
CN108935048B (zh) 草莓无土栽培方法及栽培架
CN111903388A (zh) 一种农业种植用育苗装置
KR102090452B1 (ko) 무인 수경 야채 재배용 거터 자동 이송 시스템
CN110758509A (zh) 一种农业生产用运输装置
CN207100039U (zh) 一种多层可调式立体植物培育层架
KR101555574B1 (ko) 비닐하우스용 이동식 작업장치
CN215774549U (zh) 一种农学试验用作物育苗装置
CN217038224U (zh) 一种菌菇自动输送立体种植机
CN202603249U (zh) 一种可调节型栽培架
CN202035322U (zh) 垂直旋转多层种植床
KR102257954B1 (ko) 수직 및 수평 전환이 가능한 다단 식물 재배대차
KR102125499B1 (ko) 식물 재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