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138B1 -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138B1
KR102069138B1 KR1020180050078A KR20180050078A KR102069138B1 KR 102069138 B1 KR102069138 B1 KR 102069138B1 KR 1020180050078 A KR1020180050078 A KR 1020180050078A KR 20180050078 A KR20180050078 A KR 20180050078A KR 102069138 B1 KR102069138 B1 KR 102069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bed
tugboat
cultivation
shaft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5801A (ko
Inventor
김숙자
Original Assignee
김숙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숙자 filed Critical 김숙자
Priority to KR1020180050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13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5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5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내부에 딸기가 식재되어 폭방향으로 반복 설치되는 재배베드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딸기 고설재배장치는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A)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과, 비닐하우스의 우측구역(B)에서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안내축을 포함하는 구동축부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한쪽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예인선과, 한쪽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고 상기 안내축의 상부로 안내되는 제2예인선을 포함하는 예인선부와, 상기 제1예인선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1재배베드와, 제2예인선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2재배베드를 포함하는 재배베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예인선과 제2예인선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도록 고정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A)에 설치되는 제1재배베드와 우측구역(B)에 설치되는 제2재배베드가 하나의 구동장치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STRAWBERRY HIGH CULTIVATION EQUIPMENT THAT CAN MOVE UP AND DOWN IN BOTH DIRECTIONS}
본 발명은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내부에 딸기가 식재되어 폭방향으로 반복 설치되는 재배베드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딸기 고설재배장치는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A)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과, 비닐하우스의 우측구역(B)에서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안내축을 포함하는 구동축부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한쪽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예인선과, 한쪽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고 상기 안내축의 상부로 안내되는 제2예인선을 포함하는 예인선부와, 상기 제1예인선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1재배베드와, 제2예인선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2재배베드를 포함하는 재배베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예인선과 제2예인선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도록 고정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A)에 설치되는 제1재배베드와 우측구역(B)에 설치되는 제2재배베드가 하나의 구동장치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농업종사자의 고령화와 후계자 부족 때문에 작업 자세 개선이나 경작업화로 인해 지면에서 격리된 상태로 딸기 재배를 행하는 고설재배(高設裁培)방식의 본격적인 보급이 시작되었으나, 현재 고설 재배용 장치는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6-75128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재배 베드를 지지하는 다리 부재의 지주를 땅속에 매립하고, 각 다리 부재에 고정하여 다리 부재 사이에 필름 보유 지지 파이프를 2열로 걸치고, 이들 필름 보유 지지파이프 사이에 플라스틱 시트를 단면 U자형으로 걸치고, 이 단면 U자형 내에 배양토를 충전하여 재배베드를 형성하는 구성의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의 고설 재배 장치는 그 설치작업, 특히 다리 부재의 지주를 하나씩 땅속에 매립하여 똑바르게 세워 설치하는 작업에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그중에서도 돌이나 암석을 많이 포함한 경지에서의 설치작업은 특히 어려운 것이었다 이로 인해, 일본 특허 공개 평12-83478호 등에는 길이 변에 적정 간격을 두어 지주 지지부를 설치하게 되는 접지프레임과, 복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 지지부와 동일 간격을 두어 지주 연결부를 설치하게 되는 시트 보유 지지봉을 갖고, 접지 프레임의 지주 지지부에 지주를 착탈 가능하게 세워 설치하고, 지주 상단부와 상기 지주연결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지주 상에 시트 보유 지지봉을 설치하게 되는 유닛 형식의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닛 형식의 고설 재배 장치용 가대 등은 접지 프레임의 부피 및 중량이 컸으므로 접지 프레임을 접지 장소까지 운반하는데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소수인으로는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등록특허 공보 제10-1265115호(2013.05.10)에 '이동이 가능한 고설재배장치'를 개시한 바 있으며, 이는 지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양단이 구조프레임의 기둥부 일측에 고정되는 나란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직각방향으로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무빙프레임과; 상기 무빙프레임의 하측에 나란하게 매달려 설치되되 베어링이 내삽된 연결체에 의해 독립되어 회전이 가능한 회전프레임과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의 재배용기를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하여 고정된 재배베드와; 일측이 상기 회전프레임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재배용기의 하부를 감싸며 고정되는 고정로프와 상기 회전프레임과 무빙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구동장치와 재배베드가 일대일로 대응되어 구성되어 설치 비용이 증가하거나, 회전프레임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가 토양과 작물이 식재된 재배베드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큰 출력의 구동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업자가 재배베드가 낙하되는 위험에 노출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딸기의 성장 및 수확시기에 맞추어 재배베드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져 작업관리가 용이해지고, 특히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딸기를 수확할 수 있어 작업성이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의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딸기 고설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하나의 회전축에 하나의 재배베드가 매달려 승강 또는 하강되는 종래의 구성에서 재배베드를 상승시킨채로 유지해야 하는 구동장치에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의 고장이나 오류로 인한 재배베드의 낙하의 위험을 없앨 수 있는 딸기 고설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태양광의 입사 방향에 맞추어 재배베드를 승하강시킴으로써 한정된 면적으로 재배의 유지관리 작업 공간을 확보해 많은 모종을 식재하고 육모함으로써 재배밀도를 높이고, 일조부족으로 인한 장해과실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으로 균일한 일조효과에 의한 과실의 착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기형과의 발생을 억제하고 재배의 촉진과 초세 증진효과가 있으며 재배 유지관리비를 큰폭으로 절감할 수 있는 딸기 고설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내부에 딸기가 식재되어 폭방향으로 반복 설치되는 재배베드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있어서, 비닐하우스의 소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안내축을 포함하는 구동축부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예인선과,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고 상기 안내축의 상부로 안내되는 제2예인선을 포함하는 예인선부와; 상기 제1예인선의 타측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1재배베드와, 상기 제2예인선의 타측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2재배베드를 포함하는 재배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예인선과 제2예인선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도록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재배베드와 제2재배베드가 하나의 구동장치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하는 양방향 승하강 장치가 비닐하우스 내에 복수개 설치되되, 상기 비닐하우스는 폭방향으로 좌측구역과 우측구역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재배베드는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재배베드는 우측구역에 배치되며, 상기 좌측구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재배베드는 좌측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우측구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재배베드와 한 조를 이루는 우측재배베드도 좌측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좌측구역에 배치된 제1재배베드와 우측구역에 배치된 제2재배베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하강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내부에 딸기가 식재되어 폭방향으로 반복 설치되는 재배베드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있어서, 비닐하우스의 소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안내축을 포함하는 구동축부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예인선과,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고 상기 안내축의 상부로 안내되는 제2예인선을 포함하는 예인선부와; 상기 제1예인선의 타측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1재배베드와, 상기 제2예인선의 타측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2재배베드를 포함하는 재배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예인선과 제2예인선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도록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재배베드와 제2재배베드가 하나의 구동장치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하는 양방향 승하강 장치가 비닐하우스 내에 복수개 설치되되, 상기 비닐하우스는 폭방향으로 좌측구역과 우측구역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재배베드는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재배베드는 우측구역에 배치되며, 상기 좌측구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재배베드는 좌측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우측구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재배드와 한 조를 이루는 우측재배베드는 우측부터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태양의 위치에 대응하여 재배베드를 계단식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예인선과 제2예인선은 한쪽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다른쪽 단부는 비닐하우스의 구조프레임 일측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재배베드와 제2재배베드는 제1예인선과 제2예인선에 의해 인양되는 제1도르래와 제2도르래에 각각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도르래와 제2도르래의 하부에는 각각 제1재배베드와 제2재배베드가 연결하는 연결예인선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예인선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길이조절수단으로 연결예인선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재배베드부의 부분별 쳐짐을 보정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에 매달리는 재배베드가 제1재배베드와 제2재배베드로 한 조를 구성하여 구비되며, 제1재배베드와 제2재배베드가 양쪽 방향으로 동등한 하중으로 분배되어 구동장치에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구동장치의 고장이나 오류로 인한 재배베드의 낙하의 위험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장치를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좌측구역(A)에 배치된 제1재배베드를 하강시키면, 우측구역(B)에 배치된 제2재배베드는 상승하게 됨으로써, 우측구역을 넓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딸기의 성장 및 수확시기에 맞추어 재배베드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져 작업관리가 용이해지고, 특히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딸기를 수확할 수 있어 작업성이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광의 입사 방향에 맞추어 재배베드를 승하강시킴으로써 한정된 면적으로 재배의 유지관리 작업 공간을 확보해 많은 모종을 식재하고 육모함으로써 재배밀도를 높이고, 일조부족으로 인한 장해과실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으로 균일한 일조효과에 의한 과실의 착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기형과의 발생을 억제하고 재배의 촉진과 초세 증진효과가 있으며 재배 유지관리비를 큰폭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단독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에 의해 우측구역에 배치된 재배베드가 승강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베드가 엇갈려 배치되도록 승강 및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베드가 계단식으로 기울어져 배치된 상태를 나타탠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베드가 계단식으로 배치되되 기울어진 각도가 커진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재배베드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단독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에 의해 우측구역에 배치된 재배베드가 승강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베드가 엇갈려 배치되도록 승강 및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베드가 계단식으로 기울어져 배치된 상태를 나타탠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베드가 계단식으로 배치되되 기울어진 각도가 커진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재배베드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내부에 딸기가 식재되어 폭방향으로 반복 설치되는 재배베드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있어서,
비닐하우스의 소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안내축(22)을 포함하는 구동축부(20)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와;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예인선(41)과,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고 상기 안내축의 상부로 안내되는 제2예인선(42)을 포함하는 예인선부(40)와; 상기 제1예인선의 타측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1재배베드(51)와, 상기 제2예인선의 타측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2재배베드(52)를 포함하는 재배베드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예인선(41)과 제2예인선(42)은 상기 회전축(21)의 외주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도록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재배베드(51)와 제2재배베드(52)가 하나의 구동장치(30)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하는 양방향 승하강 장치(1)가 비닐하우스 내에 복수개 설치되되, 상기 비닐하우스는 폭방향으로 좌측구역(A)과 우측구역(B)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재배베드(51)는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A)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재배베드(52)는 우측구역(B)에 배치되된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내부에 딸기가 식재되어 폭방향으로 반복 설치되는 재배베드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닐하우스는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1)과, 지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양단이 지지프레임의 기둥부 일측에 고정되는 횡간프레임(12)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구조프레임(10)을 구비한다.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부(20)는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A)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21)과, 비닐하우스의 우측구역(B)에서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안내축(22)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21)과 안내축(22)은 비닐하우스의 구조프레임에 안착되어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에서 상기 횡간프레임(12)에 결합된 베어링에 끼움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다.
아울러,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가 구비된다.
상기 예인선부(40)는 한쪽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예인선(41)과, 한쪽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고 상기 안내축의 상부로 안내되는 제2예인선(4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예인선(41)과 제2예인선(42)이 상기 회전축(21)의 외주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예인선은 철 등의 금속이나 피아노선 등의 합금을 선모양으로 가공한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금속사를 내부에 삽입하여 납작하게 직조한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배베드부(50)는 상기 제1예인선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1재배베드(51)와, 제2예인선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2재배베드(5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3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축(2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축에 권취된 제1예인선(41)과 제2예인선(4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어, 상기 회전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예인선(41)은 회전축의 외주면에 감겨져 제1예인선(41)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1재배베드(51)가 상승하며 제2예인선(42)은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풀려나와 제2예인선(52)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2재배베드(52)는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구동장치(3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재1재배베드(51)와 제2재배베드(5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승하강 장치(1)는 하나의 구동장치(3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1)에 매달리는 재배베드가 제1재배베드(51)와 제2재배베드(52)로 한 조를 이루어 구비되며, 제1재배베드(51)와 제2재배베드(52)가 양쪽 방향으로 동등한 하중으로 분배되기 때문에, 하나의 회전축에 하나의 재배베드가 매달려 승강 또는 하강되는 종래의 구성에서 재배베드를 상승시킨채로 유지해야 하는 구동장치에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의 고장이나 오류로 인한 재배베드의 낙하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A)과 우측구역(B)을 구분하여, 상기 구동장치가 구비된 회전축(21)은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A)에 배치하고, 상기 회전축(21)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안내축(22)은 비닐하우스의 우측구역(B)에 배치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A)에는 회전축(21)과 구동장치(30)와 제1예인선(41) 및 제1재배베드(51)가 구비되고, 비닐하우스의 우측구역(B)에는 안내축(22)과 한쪽 단부가 회전축(21)에 고정되어 권취되고 안내축의 상부로 안내되는 제2예인선(42) 및 제2재배베드(52)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비닐하우스에 설치되는 재배베드(50)는 제1재배베드(51)와 제2재배베드(52)가 한 조를 이루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A)에는 제1재배베드(51)가 구비되고, 우측구역(B)에는 제2재배베드(5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재배베드부(50)가 복수의 조로 구성되어 반복설치할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A)에는 제1재배베드(51a,51b,51c)가 구비되고, 우측구역(B)에는 제2재배베드(52a,52b,52c)가 구비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좌측구역(A)에서 왼쪽 첫번째로 설치되는 제1재배베드(51a)와 조를 이루는 제2재배베드(52a)는 우측구역(B)에서 오른쪽 첫번째로 배치되고 회전축에 구비된 구동장치(30a)와 제1예인선(41a)과 제2예인선(42a)에 의해 서로 연동되어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측구역(A)에서 왼쪽 두번째로 설치되는 제1재배베드(51b)와 조를 이루는 제2재배베드(52b)는 우측구역(B)에서 오른쪽 두번째로 배치되고 회전축에 구비된 구동장치(30b)와 제1예인선(41b)과 제2예인선(42b)에 의해 서로 연동되어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좌측구역(A)에서 왼쪽 세번째로 설치되는 제1재배베드(51c)와 조를 이루는 제2재배베드(52c)는 우측구역(B)에서 오른쪽 세번째로 배치되고 회전축에 구비된 구동장치(30c)와 제1예인선(41c)과 제2예인선(42c)에 의해 서로 연동되어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재배베드부(50)가 3조 이상 설치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구동장치에 의해 연동되는 첫번째 조의 제1재배베드와 제2재배베드를 비닐하우의 가장 외측에 설치하고, 다음 조의 재배베드를 점차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재배베드(51)와 제2재배베드(52)가 비닐하우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하여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장치(30a,30b,30c)를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좌측구역(A)에 배치된 제1재배베드(51a,51b,51c)를 하강시키면, 우측구역(B)에 배치된 제2재배베드(52a,52b,52c)는 상승하게 됨으로써, 우측구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조의 재배베드를 구동하기 위해 구동장치(30b)를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2조의 제1재배베드(51b)는 상승하고 제2재배베드(52b)는 하강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재배베드를 상부와 하부에 번갈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7과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출과 일몰 사이의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태양의 위치에 대응하여 재배베드에 식재된 딸기와 같은 농작물의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재배베드를 계단식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30a,30b,30c)를 각각 회전시킨 정도에 따라 재배베드(51a,51b,51c,52c,52b,52a)의 배치된 각도를 작은 각도(θ)로 배치하거나 큰 각도(θ')로 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의 고도가 최고점에 이르러 점차 낮아지기 시작하더라도 재배베드의 배치된 각도를 역전시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9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예인선(41)과 제2예인선(42)은 한쪽 단부가 상기 회전축(21)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다른쪽 단부는 비닐하우스의 구조프레임(10) 일측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재배베드(51)와 제2재배베드(52)는 제1예인선(41)과 제2예인선(42)에 의해 인양되는 제1도드래(61)와 제2도르래(62)에 각각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예인선(41)과 제2예인선(42)이 한쪽 단부는 상기 회전축(21)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며, 다른쪽 단부는 각각 비닐하우스의 구조프레임(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예인선과 제2예인선의 내측에는 각각 제1예인선과 제2예인선에 의해 인양되어 승강 및 하강하는 제1도르래(61)와 제2도르래(6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도르래와 제2도르래의 하부에는 각각 제1재배베드(51)와 제2재배베드(52)가 연결되는 연결예인선(4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3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재배베드와 제2재배베드가 연동하여 승강 및 하강하게 되는데, 상기 구동장치(30)가 작은 출력을 제공하더라도 상기 제1예인선과 제2예인선의 내측에 구비된 제1도르래(61)와 제2도르래(62)에 의해 제1재배베드(51)와 제2재배베드(52)를 연동하여 승강 및 하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도르래(61)와 제2도르래(62)의 하부에는 각각 제1재배베드와 제2재배베드가 연결하는 연결예인선(43)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예인선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7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길이조절수단으로 연결예인선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재배베드부(50)의 부분별 쳐짐을 보정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예인선(43)은 제1도르래와 제2도르래에 제1재배베드와 제2재배베드를 각각 매달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도르래와 제2도르래의 각 하부에 길이조절수단(70)을 구비함으로써 재배베드가 기울어지거나 쳐지는 것을 보정하여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내부에 딸기가 식재되어 폭방향으로 반복 설치되는 재배베드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딸기 고설재배장치는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A)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21)과, 비닐하우스의 우측구역(B)에서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안내축(22)을 포함하는 구동축부(20)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와, 한쪽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예인선(41)과, 한쪽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고 상기 안내축의 상부로 안내되는 제2예인선(42)을 포함하는 예인선부(40)와, 상기 제1예인선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1재배베드(51)와, 제2예인선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2재배베드(52)를 포함하는 재배베드부(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예인선(41)과 제2예인선(42)이 상기 회전축(21)의 외주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도록 고정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A)에 설치되는 제1재배베드(51)와 우측구역(B)에 설치되는 제2재배베드(52)가 하나의 구동장치(30)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100: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10: 구조프레임 20: 구동축부
21: 회전축 22: 안내축
30: 구동장치 40: 예인선부
41: 제1예인선 42: 제2예인선
43: 연결예인선 50: 재배베드부
51: 제1재배베드 52: 제2재배베드
61: 제1도르래 62: 제2도르래
70: 길이조절수단

Claims (4)

  1.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내부에 딸기가 식재되어 폭방향으로 반복 설치되는 재배베드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있어서,
    비닐하우스의 소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안내축(22)을 포함하는 구동축부(20)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와;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예인선(41)과,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고 상기 안내축의 상부로 안내되는 제2예인선(42)을 포함하는 예인선부(40)와; 상기 제1예인선의 타측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1재배베드(51)와, 상기 제2예인선의 타측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2재배베드(52)를 포함하는 재배베드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예인선(41)과 제2예인선(42)은 상기 회전축(21)의 외주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도록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재배베드(51)와 제2재배베드(52)가 하나의 구동장치(30)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하는 양방향 승하강 장치(1)가 비닐하우스 내에 복수개 설치되되,
    상기 비닐하우스는 폭방향으로 좌측구역(A)과 우측구역(B)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재배베드(51)는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A)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재배베드(52)는 우측구역(B)에 배치되며,
    상기 좌측구역(A)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재배베드는 좌측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우측구역(B)에 배치되며 상기 제1재배베드와 한 조를 이루는 우측재배베드도 좌측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좌측구역(A)에 배치된 제1재배베드와 우측구역(B)에 배치된 제2재배베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하강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2.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내부에 딸기가 식재되어 폭방향으로 반복 설치되는 재배베드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있어서,
    비닐하우스의 소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안내축(22)을 포함하는 구동축부(20)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와;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예인선(41)과,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권취되고 상기 안내축의 상부로 안내되는 제2예인선(42)을 포함하는 예인선부(40)와; 상기 제1예인선의 타측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1재배베드(51)와, 상기 제2예인선의 타측에 매달려 설치되는 제2재배베드(52)를 포함하는 재배베드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예인선(41)과 제2예인선(42)은 상기 회전축(21)의 외주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도록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재배베드(51)와 제2재배베드(52)가 하나의 구동장치(30)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하는 양방향 승하강 장치(1)가 비닐하우스 내에 복수개 설치되되,
    상기 비닐하우스는 폭방향으로 좌측구역(A)과 우측구역(B)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재배베드(51)는 비닐하우스의 좌측구역(A)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재배베드(52)는 우측구역(B)에 배치되며,
    상기 좌측구역(A)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재배베드는 좌측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우측구역(B)에 배치되며 상기 제1재배베드와 한 조를 이루는 우측재배베드는 우측부터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태양의 위치에 대응하여 재배베드를 계단식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예인선(41)과 제2예인선(42)은 일측 단부는 상기 회전축(21)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비닐하우스의 구조프레임(10)에 고정되어 설치되되,
    상기 제1재배베드(51)와 제2재배베드(52)는 각각 상기 제1예인선(41)과 제2예인선(42)에 의해 인양되는 제1도르래(61) 및 제2도르래(62)에 각각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르래(61)와 제2도르래(62)의 하부에는 각각 제1재배베드와 제2재배베드가 연결되는 연결예인선(43)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예인선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7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길이조절수단으로 연결예인선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재배베드부(50)의 부분별 쳐짐을 보정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KR1020180050078A 2018-04-30 2018-04-30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KR102069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078A KR102069138B1 (ko) 2018-04-30 2018-04-30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078A KR102069138B1 (ko) 2018-04-30 2018-04-30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801A KR20190125801A (ko) 2019-11-07
KR102069138B1 true KR102069138B1 (ko) 2020-02-11

Family

ID=6857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078A KR102069138B1 (ko) 2018-04-30 2018-04-30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1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105A (ko) * 2020-10-21 2022-04-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육묘용 포트를 그대로 이용하는 식물 재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494B1 (ko) * 2019-11-27 2020-06-26 박철형 고설재배 장치
KR102107509B1 (ko) * 2019-12-30 2020-05-08 주식회사 티에스팜 거터 승강수단
CN111699882B (zh) * 2020-06-27 2022-11-22 广西八桂种苗高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温室大棚用高位栽培装置
NL2030801B1 (en) 2022-02-01 2023-08-11 Van Der Hoeven Horticultural Projects B V Greenhouse for growing a cultivation
KR102520431B1 (ko) * 2022-08-05 2023-04-11 대경에이티 주식회사 온실하우스용 낙하방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업다운 행잉베드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5178A (ja) * 2003-02-24 2004-10-07 Ikuo Kotaka 植物栽培装置
JP2005013047A (ja) * 2003-06-24 2005-01-20 Topy Green Kk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施設
KR101766364B1 (ko) * 2017-04-27 2017-08-09 사단법인 한국온실작물연구소 Ict 기반의 이동식 다단 수경재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944A (ja) * 1993-08-09 1995-02-28 Emushiki Suiko Kenkyusho:Kk 植物栽培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5178A (ja) * 2003-02-24 2004-10-07 Ikuo Kotaka 植物栽培装置
JP2005013047A (ja) * 2003-06-24 2005-01-20 Topy Green Kk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施設
KR101766364B1 (ko) * 2017-04-27 2017-08-09 사단법인 한국온실작물연구소 Ict 기반의 이동식 다단 수경재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105A (ko) * 2020-10-21 2022-04-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육묘용 포트를 그대로 이용하는 식물 재배 방법
KR102523214B1 (ko) * 2020-10-21 2023-04-21 대한민국 육묘용 포트를 그대로 이용하는 식물 재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801A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138B1 (ko) 양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JP4139744B2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施設
KR101699692B1 (ko) 식물의 재배장치
KR100488827B1 (ko) 고설 재배 장치용 가대
KR101967533B1 (ko) 다단 회전식 농작물 재배장치
KR101145342B1 (ko)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JP4935722B2 (ja) イチゴ用高設栽培ベッドおよびこれを用いたイチゴ高設栽培方法
CN107432216B (zh) 植物栽培装置
KR102127494B1 (ko) 고설재배 장치
KR101697120B1 (ko) 식물 재배시스템
JP3919614B2 (ja) 植物栽培装置
JP4577871B2 (ja) 植物栽培装置
GB249499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owing crops on suspended carriers
JP7207798B2 (ja) 栽培槽の首振り機構
KR102092696B1 (ko)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
KR102539624B1 (ko) 높낮이조절형 재배장치
KR101314529B1 (ko)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JP6635604B2 (ja) 植物栽培装置
EP3714680B1 (en) Installation for a hanging cultivation system
TWM609875U (zh) 溫室植物的生長升降扶架
JP3661152B2 (ja) 植物栽培装置
KR102107509B1 (ko) 거터 승강수단
KR101985634B1 (ko) 모판 이송장치
JP6367552B2 (ja) 植物栽培装置
KR102421276B1 (ko) 온실의 식물 재배장치용 구동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