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107A -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 Google Patents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107A
KR20100052107A KR1020080110989A KR20080110989A KR20100052107A KR 20100052107 A KR20100052107 A KR 20100052107A KR 1020080110989 A KR1020080110989 A KR 1020080110989A KR 20080110989 A KR20080110989 A KR 20080110989A KR 20100052107 A KR20100052107 A KR 20100052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transfer unit
irrigation
cultivation
bottom irr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9312B1 (ko
Inventor
김현환
김동억
김종구
이공인
장유섭
김성기
김용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080110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312B1/ko
Publication of KR20100052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2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travelling on a belt or the like, or conveyed by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저면관수 방식의 분화 재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는 분화재배를 위해 마련되는 복수의 저면관수베드와, 저면관수베드가 반입 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반출되도록 하는 베드이송유닛과, 순차 이동하는 각 저면관수베드에 양액을 공급하기 위해 베드이송유닛에 인접 마련되는 관수유닛을 포함하여 반입 순서대로 저면관수베드를 순차적으로 반출하기 때문에 상토충전, 삽목, 육묘, 정식, 수확운반 등을 작업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이송 중의 저면관수베드에 개별적으로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관수유닛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성장에 따른 환경조건을 달리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분화를 효율적으로 생장 및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Moving Type Sub-irrigation Bed for Pot Flower Culture}
본 발명은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화를 저면관수 방식으로 재배하는데 사용되는 베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웰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화훼작물을 활용하여 새집증후군을 방지하거나 실내 공간의 습도 조절을 하는 등 분화 식물을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런 추세로 현재 분화류는 대형 분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관리하기 용이한 소형 분 생산이 증가하고 있으며, 소형 분을 재배하기 위한 베드로는 국내 실정상 연동형 비닐하우스에 적합한 고정식 재배베드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정식 재배베드란 철재 등으로 물을 담을 수 있는 베드를 제작하고, 베드 바닥에 스티로플을 놓고 비닐 등을 깔아 저면관수 방법으로 양액을 공급하여 화분을 재배하는 방법이다.
한편, 분화는 재배 과정 중에 작물의 성장에 따라 재배분의 간격을 조절하는 등 수확을 위해서는 인력 작업이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고정식 재배베드를 사용했기 때문에 상기 인력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해당 재배베드로 이동해야 하는 등 작업이 힘들고 노동력이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안으로 재배베드를 이동시키는 방식 있지만, 이 경우 재배베드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 설비를 작업 현장에 골고루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고정식 재배베드를 이용한 반출(출하) 작업은 육안으로 반출(출하)이 임박한 분화를 선택한 후 인력으로 분화를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노동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면관수 방식의 분화 재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는 분화재배를 위해 마련되는 복수의 저면관수베드와, 저면관수베드가 반입 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반출되도록 하는 베드이송유닛과, 순차 이동하는 각 저면관수베드에 양액을 공급하기 위해 베드이송유닛에 인접 마련되는 관수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의 베드이송유닛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병렬이송유닛과, 각 병렬이송유닛을 연결하는 교차이송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의 병렬이송유닛은 복수의 저면관수베드가 이동 가능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롤러가 마련되어 있는 레일과, 레일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구동축과, 구동축과 각 롤러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구동축과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되어 있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하나의 구동모터가 병렬이송유닛에 거치 되는 복수의 저면관수베드를 동시에 이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의 교차이송유닛은 승강 가능한 베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베드 프레임은 저면관수베드에 접촉하여 베드를 이동시키는 롤러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의 저면관수베드는 경사베어링을 포함하고,베드 프레임은 경사베어링에 접촉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의 교차이송유닛은 병렬이송유닛과 동일한 레일과 롤러와 구동축과 와이어와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이송 프레임을 구비하고, 이송 프레임이 이웃하는 병렬이송유닛 사이를 이동하면서 거치된 저면관수베드를 이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의 관수유닛은 급수부와 배수부로 이루어지고, 급수부는 베드이송유닛 내를 순차적으로 이동 및 정 지하는 복수의 저면관수베드에 대응하도록 개별적으로 마련되고, 배수부는 각 저면관수베드에서 배출되는 양액을 통합 수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는 복수의 저면관수 베드를 반입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반출하기 때문에 상토충전, 삽목, 육묘, 정식, 수확작업 등을 작업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이송 중의 저면관수베드에는 개별적으로 양액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성장에 따른 환경조건을 달리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분화를 효율적으로 생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저면관수 베드장치는 복수의 저면관수베드(1)와, 저면관수베드(1)가 순차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베드이송유닛(2)을 구비한다.
저면관수베드(1)는 물을 담수할 수 있도록 측벽을 가지며, 바닥면에 발포 합성수지재가 깔려 있다. 저면관수베드(1)의 일측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3)가 마련된다.
베드이송유닛(2)은 복수의 병렬이송유닛(10)과, 병렬이송유닛(10)을 연결하는 교차이송유닛(30)을 구비한다.
병렬이송유닛(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활용을 위해 나란히 배열되는 동일 방향의 이송유닛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우스 내로 이송 공급되는 저면관수베드(1)와 하우스에서 성장 후 밖으로 배출되는 저면관수베드(1)의 방향이 동일하도록 짝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병렬이송유닛(10)은 복수의 저면관수베드(1)를 연속적이며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해 하나의 구동모터(11)로 동작한다.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11)는 체인(12) 또는 벨트로 구동축(13)과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축(13)은 저면관수베드(1)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레일(14)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레일(14)에는 저면관수베드(1)의 바닥과 접촉하는 롤러(15)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 롤러(15)와 구동축(13)은 와이어(16)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11)가 구동되면, 모터의 회전력이 체인(12)과 구동축(13)과 와이어(16)를 통해 롤러(15)로 전달되면서 롤러(15)에 거치되어 있는 복수의 저면관수베드(1)가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레일(14)에는 복수의 포토센서(17)가 마련되어 있어서, 복수의 저면관수베드(1)가 이동 후 정지하는 지점을 감지한다.
또한, 병렬이송유닛(10)에는 저면관수베드(1)가 순차적으로 이동한 후 정지하는 위치마다 관수유닛(20)이 마련된다. 관수유닛(2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부와 배수부로 이루어진다. 급수부는 통상의 수전(22) 및 퀵밸브(23)로 순차적으로 이동 및 정지하는 저면관수베드(1)에 대응하도록 개별적으로 마련되고, 배수부는 각 저면관수베드(1)에서 배출된 양액을 통합하여 집수할 수 있도록 저면관수베드(1)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긴 배수통(24)을 구비한다. 배수통(24) 을 통해 집수된 물은 물탱크(26)에 저수되며, 펌프(28)를 통해 순환시켜 재사용한다.
교차이송유닛(30)은 이웃하는 병렬이송유닛(10) 사이로 저면관수베드(1)를 옮기기 위한 것으로서, 저면관수베드(1) 만을 이동시키는 롤러 방식 또는 저면관수베드(1)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자체가 이동하는 랙 방식으로 마련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방식의 교차이송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교차이송유닛(30)은 병렬이송유닛(10)의 레일(14)을 통해 이동된 저면관수베드(1)를 이동시키기 위해 베드 프레임(32)을 구비한다. 베드 프레임(32)은 승강을 위한 실린더(31)와, 도 8의 저면관수베드(1)에 마련되는 경사베어링(4)과 접촉하는 가이드봉(33) 및 저면관수베드(1)의 하면과 접촉하는 롤러부재(34)를 구비한다.
교차이송유닛(30)은 포토센서(17)에 의해 저면관수베드(1)의 도착이 감지되면, 실린더(31)로 베드 프레임(32)을 상승시켜 저면관수베드(1)를 레일(14)로부터 들어올린다. 이때 저면관수베드(1)는 가이드봉(33)과 롤러부재(34)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롤러부재(34)가 구동됨에 따라 저면관수베드(1)는 이웃하는 병렬이송유닛(1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이 완료되면, 실린더(31)로 베드 프레임(32)을 하강시켜 병렬이송유닛(10)의 레일(14)에 저면관수베드(1)를 내려놓고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 방식의 교차이송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교차이송유닛(40)은 저면관수베드(1) 만을 이동시키는 상기 실시예의 교차이송유닛(30)과 달리 교차이송유닛(40) 자체가 이동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차이송유닛(40)은 병렬이송유닛(10)과 동일하게 설치되는 레일(41)과 롤러(42) 및 롤러(42)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모터(43)를 포함하는 이송 프레임(44)을 구비하여 병렬이송유닛(10)으로부터 저면관수베드(1)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이 교차이송유닛(40)은 지면에 배치된 랙(45)과 결합하는 피니온(46)을 구비하여 이송모터(47)에 의해 구동되면서, 이웃하는 병렬이송유닛(10) 간을 이동하게 된다.
랙(45)의 설치 경로에 따라 교차이송유닛(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병렬이송유닛(10)을 연결하거나 또는 하우스 외부까지 연장 마련되는 랙(45)에 의해 분화의 입하 및 출하에도 용이하게 변형 및 수정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는 복수의 저면관수 베드를 반입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반출하기 때문에 상토충전, 삽목, 육묘, 정식 등을 작업하기가 용이하며, 또한 이송 중의 저면관수베드에 개별적으로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관수유닛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성장에 따른 환경조건을 달리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분화를 효율적으로 생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이송유닛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방식의 교차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관수베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 방식의 교차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저면관수베드 2..베드이송유닛
10..병렬이송유닛 11..구동모터
12..체인 13..구동축
14..레일 15..롤러
16..와이어 20..관수유닛
22..수전 24..배수통
30,40..교차이송유닛 32..베드 프레임
44..이송 프레임

Claims (7)

  1. 분화재배를 위해 마련되는 복수의 저면관수베드와,
    상기 저면관수베드가 반입 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반출되도록 하는 베드이송유닛과,
    상기 순차 이동하는 각 저면관수베드에 양액을 공급하기 위해 베드이송유닛에 인접 마련되는 관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이송유닛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병렬이송유닛과, 각 병렬이송유닛을 연결하는 교차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이송유닛은 복수의 저면관수베드가 이동 가능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롤러가 마련되어 있는 레일과, 레일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구동축과, 구동축과 각 롤러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구동축과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되어 있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하나의 구동모터가 병렬이송유닛에 거치 되는 복수의 저면관수베드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이송유닛은 승강 가능한 베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베드 프레임은 저면관수베드에 접촉하여 베드를 이동시키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관수베드는 경사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드 프레임은 경사베어링에 접촉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이송유닛은 병렬이송유닛과 동일한 레일과 롤러와 구동축과 와이어와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이송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 프레임이 이웃하는 병렬이송유닛 사이를 이동하면서 거치된 저면관수베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유닛은 급수부와 배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급수부는 베드이송유닛 내를 순차적으로 이동 및 정지하는 복수의 저면관수베드에 대응하도록 개별적으로 마련되고, 배수부는 각 저면관수베드에서 배출되는 양액을 통합 수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KR1020080110989A 2008-11-10 2008-11-10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KR101029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989A KR101029312B1 (ko) 2008-11-10 2008-11-10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989A KR101029312B1 (ko) 2008-11-10 2008-11-10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107A true KR20100052107A (ko) 2010-05-19
KR101029312B1 KR101029312B1 (ko) 2011-04-14

Family

ID=4227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989A KR101029312B1 (ko) 2008-11-10 2008-11-10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3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342B1 (ko) * 2011-09-02 2012-05-14 김숙자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CN103704052A (zh) * 2013-12-06 2014-04-09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电动式可横向移动的苗床架
KR20190000265U (ko) * 2017-07-21 2019-01-30 서영종 과실나무 가지 지지대
KR20190143011A (ko) * 2018-06-19 2019-12-30 주식회사 제이 티 씨 미래형 이동작업 시스템
KR20220156160A (ko) * 2021-05-18 2022-11-25 한보일렉트(주) 파이프 조립 구조의 묘목 트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509B1 (ko) 2017-01-13 2018-08-21 박상현 조립식 저면관수용 베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5951Y2 (ja) * 1992-04-30 1996-08-07 有限会社川助農園 養液槽を備えない循環方式の水耕栽培用自動施肥装置
JPH08308409A (ja) * 1995-05-19 1996-11-26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水耕栽培装置
JPH0923771A (ja) * 1995-07-10 1997-01-28 Hisao Sudo 水耕栽培システム
KR100506499B1 (ko) * 2002-06-07 2005-08-0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분화식물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화식물 재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342B1 (ko) * 2011-09-02 2012-05-14 김숙자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CN103704052A (zh) * 2013-12-06 2014-04-09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电动式可横向移动的苗床架
KR20190000265U (ko) * 2017-07-21 2019-01-30 서영종 과실나무 가지 지지대
KR20190143011A (ko) * 2018-06-19 2019-12-30 주식회사 제이 티 씨 미래형 이동작업 시스템
KR20220156160A (ko) * 2021-05-18 2022-11-25 한보일렉트(주) 파이프 조립 구조의 묘목 트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312B1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312B1 (ko)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JP6876891B2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システム
AU20172878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hydroponic plant growth
CN109392532B (zh) 一种盆栽制作装置
KR101022025B1 (ko) 식물 재배 장치
CN203575232U (zh) 一种移动式穴盘育苗苗床自动灌溉装置
KR102009453B1 (ko)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 팜 자동화 시스템
KR101567559B1 (ko) 승하강이 가능한 수경재배장치
CN201682843U (zh) 高层架智能植物栽培系统
CN103552820A (zh) 一种苗床穴盘育苗自动输送机器装置与方法
CN202524806U (zh) 一种温室自动化种植槽系统
WO2015027541A1 (zh) 一种蔬菜循环生产线
KR102369710B1 (ko) 순환식 버섯재배 자동시스템
CN211090841U (zh) 一种观光生态农业种植架
CN203492500U (zh) 立体植物栽培自动浇水系统
JP2019187282A (ja) 水耕栽培装置、水耕栽培システム、リフト機構及び植物の栽培収穫方法
KR101866506B1 (ko) 자동화 식물재배 시스템
CN112514686A (zh) 一种利用垂直墙面立体种植设施及其种植方法
CN114617059B (zh) 一种螺旋塔的培育控制系统和控制方法
JP3083319U (ja) 垂直立体機械回転昇降式栽培塔
WO2007012313A1 (de) Anlage zum anbau von pflanzen
CN201781806U (zh) 循环移动种植床
CN111316794B (zh) 一种电动插秧器
KR101402744B1 (ko) 무벤치 저면매트를 이용한 원예작물 수경 재배 장치 및 그 방법
CN210016922U (zh) 一种盆栽花卉穴盘苗全自动移栽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