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215Y1 -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 Google Patents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215Y1
KR200327215Y1 KR20-2003-0017633U KR20030017633U KR200327215Y1 KR 200327215 Y1 KR200327215 Y1 KR 200327215Y1 KR 20030017633 U KR20030017633 U KR 20030017633U KR 200327215 Y1 KR200327215 Y1 KR 200327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lant
plants
water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대연
이상로
김종직
Original Assignee
황대연
이상로
김종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대연, 이상로, 김종직 filed Critical 황대연
Priority to KR20-2003-0017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2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Abstract

본 고안은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식물 다단 재배용 장치는, 우측 상부를 향해 뻗어있는 좌측지주와 좌측 상부를 향해 뻗어 있는 우측지주를 가지며, 좌측지주와 우측지주의 사이는 통풍이 가능하도록 된 골격프레임과: 식물의 재배를 위한 토양이 수납되는 토양수납부를 갖고, 밑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하부에 위치되는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좌측지주와 우측지주의 상,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 개의 토양수납체와; 토양수납체에 심어진 식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과; 토양수납체에 공급된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식물 다단 재배용 장치를 사용하면, 하부에 위치되는 식물의 생장에 상부의 식물 및 구조물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식물 및 식물의 열매를 수확하는데 편리하고,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THE MULTI STAGE CULTIVATION EQUIPMENT FOR CROPS}
본 고안은 재배 면적당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식물을 다단으로 배열하여 재배하기 위한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정된 재배공간에서의 생산량을 늘리고, 재배에 소요되는 인력 등을 최소화하며, 연작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식물을 재배함에 있어 식물을 공중에 다단식으로 배열하여 재배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다단식 재배방법은 시설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어 비닐하우스나 온실 등의 시설재배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식물의 다단식 재배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하여는 한국 특허등록 제0338865호(다단식 식물재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다단계 식물 재배장치, 1996. 09. 11.출원) 및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188279호(식물의 다단 재배용 물공급기, 1997. 12. 09.출원) 등에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장치들은, 식물의 뿌리가 위치되는 베드 또는 재배용기가 하부에 위치된 식물에 공급될 햇볕을 차단하는 등 식물의 생육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부에 위치되는 베드 또는 재배용기와 상부에 위치되는 베드 또는 재배용기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할 경우에는 여러 개의 단을 설치할 수 없었다.
이는 상기와 같은 장치들에서 베드 또는 재배용기를 높게 설정할 경우 손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없는 동시에 작업자로부터 식물이 멀어지기 때문에 열매 등의 수확이 어렵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하부에 위치되는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고, 식물을 여러 단으로 배치하여도 위치된 식물의 높이가 낮으며 전방으로의 거리도 가까워 식물 또는 식물의 열매를 수확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 식물의 특성에 따라 토양수납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장치를 다양한 식물의 다단식 재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다수 개의 토양수납체가 설치된 골격프레임을 좌, 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에서의 공간활용 능력을 보다 높이려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식물 다단 재배용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식물 다단 재배용 장치의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물공급수단과 배수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좌측지주와 우측지주의 하부가 좌, 우로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좌측지주 및 우측지주가 좌, 우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
B : 좌측지주 및 우측지주가 최대한 이동된 상태
도 5는 토양수납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클램프를 갖는 구성
B : 끼움홀과 끼움돌기를 갖는 구성
도 6은 골격프레임의 좌, 우 이동 및 수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골격프레임 11. 좌측지주
12. 우측지주 20. 토양수납체
21. 토양수납부 30. 물공급수단
31. 물공급관 31a. 물공급구
40. 배수수단 41. 회수부
42. 배수관 50. 지주고정수단
51. 제1절첩판 52. 제2절첩판
53. 고정봉 54. 핀
55. 핀홀 60. 클램프
61. 걸림봉 62. 끼움홀
63. 끼움돌기 70. 프레임위치조정장치
71. 가이드레일 80. 양액공급수단
81. 양액공급관 81a. 양액공급홀
90. 수레 91. 가이드레일
92. 탑승석 93. 유압실린더
100. 냉,난방용 배관
본 고안은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식물이 배양되는 토양수납체의 폭을 밑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하고, 이 토양수납체는 우측 상부를 향해 뻗어있는 좌측지주와 좌측 상부를 향해 뻗어있는 우측지주의 상, 하부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계단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토양수납체를 보다 많이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식물의 열매를 수확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식물 다단 재배용 장치는,
우측 상부를 향해 뻗어있는 좌측지주와 좌측 상부를 향해 뻗어 있는 우측지주를 가지며, 좌측지주와 우측지주의 사이는 통풍이 가능하도록 된 골격프레임;을갖는다.
또, 식물의 재배를 위한 토양이 수납되는 토양수납부를 갖고, 밑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하부에 위치되는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좌측지주와 우측지주의 상,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 개의 토양수납체;를 갖는다.
또, 토양수납체에 심어진 식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과;
토양수납체에 공급된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수단;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물을 다단 방식으로 재배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하부에 위치되는 식물의 생장이 상부에 위치된 식물 및 구조물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부에 위치되는 식물 및 구조물로 인하여 하부에 위치되는 식물이 햇볕을 받지 못하거나 통풍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면 생육에 지장이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부에 위치되는 식물과 상부에 위치되는 식물 사이의 간격을 식물의 특성에 맞추어 띄워 놓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하부에 위치되는 식물과 상부에 위치되는 식물 사이의 간격을 식물의 다 자란 크기에 맞추어 띄워놓는 방법을 사용하면 식물을 상, 하에 배열하여 단을 형성함에 있어 많은 단을 형성할 수 없다.
이는 식물이나 식물의 열매를 수확 가능한 높이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식물의 다 자란 크기에 맞추어 하부의 식물과 상부의 식물 사이의 간격을 띄워 놓더라도 상부에 위치되는 토양수납체가 하부의 식물에 조사되는 햇볕을 일부 차단하기 때문에 하부의 식물이 햇볕을 골고루 받지 못하여 생장에 지장을 받는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본 고안에서는 각각 우측과 좌측 상부를 향해 뻗어있는 좌측지주(11)와 우측지주(12)의 상, 하에 식물이 생육될 토양수납체(20)를 설치하여 보다 많은 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안쪽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는 좌측지주(11) 및 우측지주(12)에 토양수납체(20)를 위치시켜 계단형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에 위치되는 토양수납체와 하부에 위치되는 토양수납체 사이의 간격을 보다 좁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토양수납체(20)는 밑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 되도록 하여 상부에 위치된 토양수납체(20)와 하부에 위치된 토양수납체 사이의 간격이 식물의 크기보다 다소 짧더라도 상부의 토양수납체(20)가 하부에 위치되는 식물과 접촉될 확률을 낮추는 동시에 조사되는 햇볕이 차단되지도 않도록 한다.
또, 좌측지주(11)와 우측지주(12)의 사이는 통풍이 원활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하부의 토양수납체(20)와 상부의 토양수납체 사이의 간격은 식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한다.
즉, 딸기와 같은 식물은 덩굴이 뻗어나가는 형태이기 때문에 식물의 생육이 토양수납체(20) 사이의 간격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배추나 고추 모와 같은 식물은 위쪽으로 뻗어 나가는 것이므로 이를 감안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띄워 놓아야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토양수납체(20)는 그 전장을 짧게 할 수도 있지만 도 1과 같이 전, 후로 길게 뻗은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토양수납체(20)가 전, 후로 길게 뻗은 형태가 되는 경우 토양수납체(20)가 설치되는 골격프레임(10)도 길게 뻗은 형태가 된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물공급수단(30)은 식물이 자라는 토양수납체(20)가 지면으로부터 상당한 높이에 띄워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수분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토양수납체(20)에 심어진 식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물공급수단(3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과 같이 토양수납체(20)의 상부에서 토양수납체(20)에 물을 분사하여 토양수납체(20)에 심어진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이 있다.
또, 도 2와 같이 토양수납체(20) 내부에 충진된 흙의 밑부분에 물공급구(31a)를 갖는 물공급관(31)을 설치하고, 물공급관(31)으로 물을 유동시킴으로써 물공급구(31a)를 통해 물을 토양에 공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물이 불필요한 곳으로까지 분사되어 발생하는 문제점 즉, 지면이 질퍽거리는 문제점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물공급수단(30)이 구비됨에 따라 본 고안에는 토양수납체(20)에 공급된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수단(40)이 필요하다.
즉,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물의 과도한 공급 등으로 식물의 뿌리가 썩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배수수단(40)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배수수단(4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화분과 같이 토양수납체(20)의 하부에 배수구를 형성하여 물이 자연적으로 배수되어 지면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도시하지 않음)
또, 도 2 및 도 3과 같이 공급된 물이 토양수납체(20)의 저부에 형성된 회수부(41)로 자연스럽게 모여들고, 회수부(41)로 모여든 물은 배수관(42)을 통해 배수되도록 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골격프레임(10)에 토양수납체(20)를 설치함에 있어 식물의 특성을 감안하여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적정한 간격으로 띄워 설치한다.
설치된 토양수납체(20)의 토양수납부(21)에 오염되지 않은 토양을 채운 후딸기, 상추 등 식물의 모종을 이식한다.
딸기 모종과 같은 경우는 위쪽으로는 크게 자라지 않아 다 자란 모는 15㎝ 정도가 되며 그 이후에는 줄기가 자라는데 줄기는 밑으로 처지게 된다.
햇볕이 이식된 모종에 조사될 때 상부에 위치하는 토양수납체(20)가 밑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고, 상부에 위치하는 토양수납체(20)가 하부에 위치하는 토양수납체의 수직방향에 위치하지 않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들어와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부에 위치하는 토양수납체(20)로 인하여 발생하는 그늘이 하부에 위치하는 식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 이식된 모종이 평균적인 크기보다 다소 크게 자라더라도 토양수납체의 형상 및 그 설치위치로 인하여 상부의 토양수납체(20)에 접촉되지는 않는다.
또한, 좌측지주(11)와 우측지주(12)의 사이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식물 및 열매가 썩는 것이 방지되는 등 식물이 쾌적한 환경에서 생육을 하게 된다.
식물에 공급되는 수분은 물공급수단(30)을 통해 공급되고, 공급된 물 중 일부는 배수수단(40)을 통해 배수됨으로써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도 방지된다.
한편, 토양수납체(20)에서 자라는 식물의 특성에 따라 토양수납체(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장치를 다양한 식물의 다단식 재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과 같은 재배장치는 주로 비닐하우스 등의 재배시설에서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재배시설에서는 계절에 따라 종류가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딸기와 같은 식물은 위로 자라는 것이 아니라 옆으로 자라는 식물이므로 토양수납체(20) 간의 간격이 크지 않아도 되지만 배추와 같은 식물은 옆과 위로 자라므로 다 자란 크기에 맞는 적정한 간격을 초기부터 유지시켜야 한다.
그러나, 재배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장치를 작물을 재배할 때마다 해체하거나 교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므로 작물의 특성에 따라 토양수납체(20) 간의 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도 4와 같이 골격프레임(10)을 이루는 좌측지주(11)와 우측지주(12)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좌측지주(11)와 우측지주(12)의 하부를 좌, 우로 이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 도 5와 같이 토양수납체(20)가 좌측지주(11) 및 우측지주(12)와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되 결합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토양수납체(20) 간의 거리를 식물의 특성에 맞게 조절하는 방법도 있다.
골격프레임(10)을 이루는 좌측지주(11)와 우측지주(12)를 좌, 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된 좌측지주(11) 및 우측지주(12)가 움직이지 않고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주고정수단(5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주고정수단(5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와 같이 좌측지주(11)와 우측지주(12)에 각각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핀(54)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제1절첩판(51) 및 제2절첩판(52)의 절첩 각도를 조절한 후 핀(54)을 좌측지주(11)와 우측지주(12)의 중앙부에 위치된 고정봉(53)의 핀홀(55)에 끼워 넣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절첩판(51)과 제2절첩판(52)의 절첩 각도에 따라 좌측지주(11)와 우측지주(1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좌측지주(11)와 우측지주(12)의 상부는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좌측지주(11) 및 우측지주(12)의 하단 끝부분은 지면에 박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등도 있다.
토양수납체(20)와 좌측지주(11) 및 우측지주(12)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의 (A)와 같이 클램프(60)를 사용하여 좌측지주(11) 및 우측지주(12)의 상, 하부 소정의 위치에 걸림봉(61)을 설치 가능하도록 하고, 이 걸림봉(61)에 토양수납체(20)가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또, 도 5의 (B)와 같이 좌측지주(11) 및 우측지주(12)의 상,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의 끼움홀(62)을 형성한 후 단단한 재질의 토양수납체(20)에 끼움돌기(63)를 구비하여 좌측지주(11) 또는 우측지주(12)에 형성된 끼움홀(62)에 토양수납체(20)의 끼움돌기(63)를 끼워 고정하는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토양수납체(20)를 좌측지주(11) 및 우측지주(12)와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은 골격프레임(10)이 길게 뻗어 있는 경우 다수 개의 토양수납체(20)를 일일이 이동시켜야 하고, 좌측지주(11)와 우측지주(12)의 하부를 좌, 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경우는 토양수납체(20)를 분리하지 않아도 되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골격프레임(10)은 좌, 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비닐하우스 등의 재배시설에서 공간활용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골격프레임(10)과 골격프레임(10) 사이의 공간을 줄여야 하는데 수확 등을 위해서는 골격프레임(10)과 골격프레임(10) 사이에 비교적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골격프레임(10)의 좌, 우 이동에 의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작업을 하기 위한 경우에만 작업대상이 되는 골격프레임(10)의 측면으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골격프레임(10)을 좌, 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위치조정장치(7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면에 가이드레일(71)을 설치하고, 그 위에 골격프레임(10)이 안치되어 이동되는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골격프레임(10)이 가이드레일(7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에 있어서는, 수동방식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고, 모터 등의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식물을 재배함에 있어 양액을 공급하여 영양소가 풍부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토양수납체(20)의 식물에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양약공급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양액공급수단(8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물공급수단(30)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양액이 공급되는 물에 섞여 물과 함께 공급되도록 하는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도시하지 않음)
또, 물공급수단(30)과 같이 토양수납체(20) 내부에 설치되고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양액공급홀(81a)을 통해 물을 토양에 공급하는 양액공급관(81)을 갖춘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양액공급관(81)을 갖춘 경우 골격프레임(10)과 토양수납체(20)는 전, 후로 길게 뻗어 있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액을 공급함에 있어서는 양액이 식물의 뿌리가 시작되는 부분 즉, 수납된 토양의 최상단부 뿌리가 시작되는 부분에 양액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골격프레임(10)의 측면 즉, 설치된 골격프레임(10)과 골격프레임(10)의 사이로 수레(90)가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레(90)는 동력에 의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인력에 의하여 수동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수레(90)의 이동은 정해진 노선을 따라 이동되어야 식물에 피해를 주지 않게 되므로 수레(9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91)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수레(90)에 있어서,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도록 탑승석(9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탑승석(92)은 동력에 의해 상, 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높은 곳에 위치된 토양수납체(20)에서 자라는 식물 및 식물의 열매를 수확하는 것도 편리하도록 토양수납체(20)의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토양수납체(20)의 상, 하 높이조절은 유압실린더(93) 등을 사용하는 방법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경우 탑승석(92)의 상, 하 높이조절 및 수레(90)의 이동을 제어하는 컨트롤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탑승석(92) 주변에 위치시켜 탑승석(92)의 작업자가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토양수납체에는 온수 및 냉수가 유동되는 냉, 난방용 배관(100)을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식물 다단 재배용 장치는, 하부에 위치되는 식물의 생장에 상부의식물 및 구조물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 식물을 여러 단으로 배치하여도 위치된 식물의 높이가 낮으며, 식물과의 거리도 가까워 식물 또는 식물의 열매를 수확하는데 편리하다.
또, 식물의 특성에 따라 토양수납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추면 하나의 장치를 다양한 식물의 다단식 재배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 개의 토양수납체가 설치된 골격프레임을 좌, 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추면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에서의 공간활용 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Claims (7)

  1. 다단 방식으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우측 상부를 향해 뻗어있는 좌측지주와 좌측 상부를 향해 뻗어 있는 우측지주를 가지며, 좌측지주와 우측지주의 사이는 통풍이 가능하도록 된 골격프레임과:
    식물의 재배를 위한 토양이 수납되는 토양수납부를 갖고, 밑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하부에 위치되는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좌측지주와 우측지주의 상,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 개의 토양수납체와;
    상기 토양수납체에 심어진 식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과;
    토양수납체에 공급된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지주와 우측지주의 하부는 좌, 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좌측지주와 우측지주의 하부가 좌, 우로 이동된 후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주고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수납체와 좌측지주 및 우측지주는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하여 토양수납체를 좌측지주 및 우측지주의 상, 하부 소정의 위치에 설치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프레임의 좌, 우 이동을 위하여 골격프레임이 안치되는 가이드레일을 갖는 프레임위치조정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수납체의 식물에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양약공급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골격프레임과 토양수납체는 전, 후로 길게 뻗어 있고,
    상기 물공급수단은 토양수납체 내부에 설치되고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물공급구를 통해 물을 토양에 공급하는 물공급관을 가지며,
    상기 배수수단은 토양수납체의 저부에 위치되어 물이 모여들도록 된 회수부 및 회수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프레임은 전, 후로 길게 뻗어있고,
    가이드레일을 따라 골격프레임의 측면 전, 후로 이동이 가능한 수레;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레는 동력에 의해 이동되고,
    작업자가 탑승하며, 동력에 의해 상, 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탑승석과;
    수레의 이동 및 탑승석의 상, 하 높이조절을 제어하는 컨트롤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KR20-2003-0017633U 2003-06-05 2003-06-05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KR200327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633U KR200327215Y1 (ko) 2003-06-05 2003-06-05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633U KR200327215Y1 (ko) 2003-06-05 2003-06-05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215Y1 true KR200327215Y1 (ko) 2003-09-19

Family

ID=49338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633U KR200327215Y1 (ko) 2003-06-05 2003-06-05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215Y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721B1 (ko) 2006-05-03 2008-06-09 백수곤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KR100869173B1 (ko) 2007-08-03 2008-11-19 고영춘 파티션
KR100923103B1 (ko) 2009-03-02 2009-10-22 주식회사 뜰암 꽃탑 프레임
KR101309245B1 (ko) 2011-11-04 2013-09-17 김형성 조립식 화단 및 그 화단을 이용한 담장
KR101346694B1 (ko) 2011-04-07 2013-12-3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세이프푸드 식물재배시스템
KR101454747B1 (ko) 2013-08-05 2014-10-27 이근호 다단 작물 재배장치
WO2015053542A1 (ko) * 2013-10-07 2015-04-16 손수호 다단식 소채류 재배장치
KR101675721B1 (ko) 2016-07-29 2016-11-11 한승근 모종 재배 장치
KR101873187B1 (ko) 2018-02-14 2018-07-31 한승근 모종 재배 장치
KR20210084074A (ko) * 2019-12-27 2021-07-0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경재배식물 장착형 창문 구조체
KR20210155042A (ko) 2020-06-15 2021-12-22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공간 활용도가 향상된 고추 모종 재배장치
KR20230044867A (ko) * 2021-09-27 2023-04-04 더에스팜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작물 재배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721B1 (ko) 2006-05-03 2008-06-09 백수곤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KR100869173B1 (ko) 2007-08-03 2008-11-19 고영춘 파티션
KR100923103B1 (ko) 2009-03-02 2009-10-22 주식회사 뜰암 꽃탑 프레임
KR101346694B1 (ko) 2011-04-07 2013-12-3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세이프푸드 식물재배시스템
KR101309245B1 (ko) 2011-11-04 2013-09-17 김형성 조립식 화단 및 그 화단을 이용한 담장
KR101454747B1 (ko) 2013-08-05 2014-10-27 이근호 다단 작물 재배장치
WO2015053542A1 (ko) * 2013-10-07 2015-04-16 손수호 다단식 소채류 재배장치
KR101675721B1 (ko) 2016-07-29 2016-11-11 한승근 모종 재배 장치
KR101873187B1 (ko) 2018-02-14 2018-07-31 한승근 모종 재배 장치
KR20210084074A (ko) * 2019-12-27 2021-07-0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경재배식물 장착형 창문 구조체
KR102345690B1 (ko) * 2019-12-27 2021-12-3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수경재배식물 장착형 창문 구조체
KR20210155042A (ko) 2020-06-15 2021-12-22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공간 활용도가 향상된 고추 모종 재배장치
KR20230044867A (ko) * 2021-09-27 2023-04-04 더에스팜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작물 재배 시스템
KR102624405B1 (ko) * 2021-09-27 2024-01-12 더에스팜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작물 재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21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droponic gardening
US50976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droponic gardening
KR101022025B1 (ko) 식물 재배 장치
KR20160003218A (ko) 통 형상 녹화 유닛
KR101967533B1 (ko) 다단 회전식 농작물 재배장치
KR200327215Y1 (ko)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EP2644025A1 (en) Movable aeroponic growth unit for growing plants and an improved system for growing plants aeroponically
KR200432507Y1 (ko) 작물의 공중재배용 포트
KR20140122821A (ko) 수경 재배장치
JP3320707B2 (ja) 超高密度植物垂直ミスト水耕システム及び育成パネル
KR20090088668A (ko) 트롤리컨베이어를 이용한 새싹재배장치
KR101974827B1 (ko) 상하 이동이 가능한 외대형 고설 수경 재배장치
KR100921605B1 (ko) 재배효율을 향상시킨 수평형 작물 재배장치
KR100795931B1 (ko) 다단식 분화식물 재배장치
KR100979343B1 (ko) 식물재배장치
JP2002125495A (ja) 溶液栽培装置
JPH05292834A (ja) 植物の育成方法と装置
CN212852101U (zh) 一种室内植物种植装置
KR20130131822A (ko) 수경재배 겸용 삽목용 화분 수직 재배장치
KR101507045B1 (ko)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대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경재배 시스템
JP6981084B2 (ja) 壁面緑化用プランター
KR0129738Y1 (ko) 작물의 공중육묘 장치
JP2000262153A (ja) 栽培用容器
JP3204863B2 (ja) 多段栽培装置
CN214229156U (zh) 一种升降式空气切根育苗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