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103B1 - 꽃탑 프레임 - Google Patents

꽃탑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103B1
KR100923103B1 KR1020090017622A KR20090017622A KR100923103B1 KR 100923103 B1 KR100923103 B1 KR 100923103B1 KR 1020090017622 A KR1020090017622 A KR 1020090017622A KR 20090017622 A KR20090017622 A KR 20090017622A KR 100923103 B1 KR100923103 B1 KR 100923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member
flower tower
frame
vegetation spa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뜰암
윤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뜰암, 윤영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뜰암
Priority to KR1020090017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Abstract

본 발명은 꽃탑 프레임 내의 식생공간을 격벽부재를 통해 구획하되 격벽부재와 배면플레이트 사이를 상호 이격시켜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급수수단으로도 전체 식생공간 내에 급수를 할 수 있으며, 격벽부재를 가이드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어 식생공간을 기호에 따라 구획할 수 있으며, 식생공간에 식재를 한 후에 꽃탑 프레임을 상호 적층함에 따라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꽃탑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탑 프레임은 배면플레이트와,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배면플레이트와 함께 식생공간을 이루며 내측에 가이드가 구비되는 측면플레이트와, 양단이 상기 가이드 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식생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꽃탑, 프레임, 배면플레이트, 측면플레이트, 식생공간, 격벽부재

Description

꽃탑 프레임{FLOWER TOWER FLAME}
본 발명은 꽃탑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꽃탑 프레임 내의 식생공간을 격벽부재를 통해 구획하되 격벽부재와 배면플레이트 사이를 상호 이격시켜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급수수단으로도 전체 식생공간 내에 급수를 할 수 있으며, 격벽부재를 가이드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어 식생공간을 기호에 따라 구획할 수 있으며, 식생공간에 식재를 한 후에 꽃탑 프레임을 상호 적층함에 따라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꽃탑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탑은 교차로와 같은 도로변에 설치되어 도시를 아름답게 꾸미고, 체육행사와 같은 각종 행사를 홍보하기 위한 용도로 행사장 앞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꽃탑은 식생부재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이러한 프레임에 거치되며 식생부재가 구비되는 화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꽃탑의 각각의 식생공간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식생공간 내에 일일이 급수수단을 연결해 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꽃탑 프레임의 최상부까지 사다리 등을 이용해 식생부재를 일일이 형성해야 함에 따라 설치시간이 오래걸릴 뿐만 아니라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꽃탑 프레임 내의 식생공간을 격벽부재를 통해 구획하되 격벽부재와 배면플레이트 사이를 상호 이격시켜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급수수단으로도 전체 식생공간 내에 급수를 할 수 있도록 한 꽃탑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격벽부재를 가이드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어 식생공간을 기호에 따라 구획할 수 있으며, 식생공간에 식재를 한 후에 꽃탑 프레임을 상호 적층함에 따라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꽃탑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배면플레이트와,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배면플레이트와 함께 식생공간을 이루며 내측에 가이드가 구비되는 측면플레이트와, 양단이 상기 가이드 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식생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탑 프레임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배면플레이트의 배면측에는 보강프레임이 덧대어져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식생공간은 상기 격벽부재에 의해 구획되되,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전면과 맞닿지 않고 상호 이 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식생공간은 상호 연통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탑 프레임은 첫째, 꽃탑 프레임 내의 식생공간을 격벽부재를 통해 구획하되 격벽부재와 배면플레이트 사이를 상호 이격시켜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급수수단으로도 전체 식생공간 내에 급수를 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격벽부재를 가이드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어 식생공간을 기호에 따라 구획할 수 있으며, 식생공간에 식재를 한 후에 꽃탑 프레임을 상호 적층함에 따라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탑 프레임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탑 프레임의 다른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탑 프레임의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탑 프레임의 설치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탑 프레임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탑 프레임(1)은 배면플레이트(10)와, 배면플레이트(10)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배면플레이트(10)와 함께 식생공 간(24)을 이루며 내측에 가이드(22)가 구비되는 측면플레이트(20)와, 양단이 가이드(22) 내에 삽입 설치되어 식생공간(24)을 구획하는 격벽부재(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면플레이트(10)는 꽃탑 프레임(1)의 후면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직사각 또는 정사각 형상의 평면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이러한 배면플레이트(10)의 재질은 금속, 합성수지, 목재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하나의 꽃탑 프레임(1)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다수의 꽃탑 프레임(1)이 적층되어 꽃탑을 형성할 수도 있으므로 전체적인 하중 및 강도를 고려하여 그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배면플레이트(10)의 배면측에는 다수의 보강프레임(40)이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각각 덧대어져 구비되는데, 이 보강프레임(40)은 배면플레이트(10) 및 추후에 설명될 측면플레이트(20)로 이루어지는 전체 구조물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보강프레임(40) 중 세로방향의 보강프레임(40)을 배면플레이트(10) 상에 소정간격 이격시켜 고정 설치하고, 세로방향의 보강프레임(40) 상에 가로방향의 보강프레임(40)을 역시 소정간격 이격시켜 고정설치하는데, 이 세로방향의 보강프레임(40) 당부에 추후에 설명될 양측의 측면플레이트(2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추후에 설명될 측면플레이트(20)는 세로방향의 보강프레임(40) 두께만틈 배면플레이트(10)의 후방측으로 이동되어 배면플레이트(10)와 고정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보강프레임(40)과 보강프레임(40) 간의 고정 및 보강프레임(40)과 추후에 설명될 측면프레임과의 고정 방법은 용접 고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보강프레임(40)이 구비되는 배면플레이트(10)의 양측에는 측면플레이트(20)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데, 이 측면플레이트(20)는 전술한 배면플레이트(10)와 함께 식생공간(24)을 이루는 동시에 내측에 가이드(22)가 구비되어 추후에 설명될 측면플레이트(20)가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플레이트(20)의 후방 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면플레이트(10)의 다소 후방측으로 이동된 후에 배면플레이트(10)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면플레이트(10) 및 보강프레임(40)과 고정 설치된다.
전술한 배면플레이트(10)와 양측의 측면플레이트(20)로 인해 소정의 식생공간(24)을 형성하게 되며, 이 식생공간(24) 내에는 토사가 충전된 후 꽃의 종자 및 씨가 식재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양측 측면플레이트(20)의 내백면 상에는 다수의 가이드(22)가 다단이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22)는 추후에 설명될 격벽부재(30)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22)는 추후에 설명될 격벽부재(30)는 전단부가 후단부에 비해 높게 위치되도록 경사져서 형성되며 그 단부는 배면플레이트(10)와 맞닿지 않고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됨과 동시에 삽입된 격벽부재(30)가 가이드(22)를 지나 배면플레이트(10)와 맞닿지 않도록 폐쇄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가이드(22)는 추후에 설명될 격벽부재(30)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 측면플레이트(20)의 내벽 중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가이드(22) 내에는 격벽부재(30)가 삽입 설치되는데 이 격벽부재(30)는 식생공간(24)을 구획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이드(22)가 경사져서 위치됨에 따라 격벽부재(30) 역시 전단부가 후단부에 비해 상측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식생공간(24) 내에 충전되는 토사가 전방측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러한 격벽부재(30)는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 가이드(22)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식생공간(24) 전체를 균등하게 구획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식생공간(24)을 구획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식생공간(24)은 격벽부재(30)에 의해 구획되되, 이 격벽부재(30)는 전술한 가이드(22)가 배면플레이트(10)왕 맞닿지 않고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됨에 따라 식생공간(24)은 상호 연통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전술한 식생공간(24)이 상호 연통되어 구성됨에 따라 구획되어 있는 식생공간(24) 내에 따로따로 급수수단을 설치할 필요 없이 하나의 급수수단으로도 식생공간(24) 전체에 용이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꽃탑 프레임(1)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다수개가 좌우측 및 상하측에 다양한 방법으로 배열 및 적층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최하측에 위치되는 꽃탑 프레임(1)의 하단에는 하부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고, 최상측에 위치되는 꽃탑 프레임(1)의 상단에는 상부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상하측에 배치되는 꽃탑 프레임(1) 상호간에는 하측과 상측이 개방됨에 따라 공간부가 상호 연통되므로 이 방향으로 급수되는 물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어 별도의 급수수단이 설치될 필요가 없으나, 좌우측에 배치되는 꽃탑 프레임(1) 상호간에는 측면플레이트(20)에 의해 공간부가 상호 연통되지 않으므로 이 경우에는 별도의 급수수단을 구비하거나, 연통이 가능하도록 측면프레임 상에 급수를 위한 관통구(도시되지 않음)이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탑 프레임(1)의 전체적인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이드(22) 내에 격벽부재(30)를 슬라이딩 삽입하여 식생공간(24)을 구획해 준 다음 이러한 식생공간(24) 내에 적당량의 토사를 충전해 준다.
이때, 꽃탑 프레임(1)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그 상, 하부면에 선택적으로 상, 하부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꽃탑 프레임(1)이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배열 및 적층 전에 최상부 및 최히부에 위치될 꽃탑 프레임(1)에만 각각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식생공간(24)의 구획 및 토사의 충전이 마무리되면 사용자는 각각의 구획된 식생공간(24) 내에 꽃의 모종 또는 씨앗을 뿌려준다.
그런 다음, 다수의 꽃탑 프레임(1)이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이에 맞도록 각각의 꽃탑 프레임(1)을 배열 및 적층하여 상호 결합시켜준다.
이때 결합되는 방법은 용접 및 볼팅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식생공간(24)이 연통되어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급수수단을 통해 전체 식생공간(24)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다수의 꽃탑 프레임(1)이 배열 및 적층되어 형성되는 경우 상, 하측에 이웃하여 위치되는 꽃탑 프레임(1) 끼리는 상호 식생공간(24)이 연통되어 있어 하나의 급수수단으로도 급수가 가능하나 좌, 우측에 이웃하여 위치되는 꽃탑 프레임(1) 끼리는 측면플레이트(20)에 의해 상호 식생공간(24)이 연통되지 않으므로 각각 별도의 급수수단을 준비하거나 측면플레이트(20) 상에 급수를 위한 관통구(도시되지 않음)를 별도로 설치해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탑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탑 프레임의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탑 프레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탑 프레임의 설치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탑 프레임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꽃탑 프레임
10 : 배면플레이트
20 : 측면플레이트
22 : 가이드
24 : 식생공간
30 : 격벽부재
40 : 보강프레임

Claims (3)

  1. 배면플레이트;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배면플레이트와 함께 식생공간을 이루며 내측에 가이드가 구비되는 측면플레이트; 및
    양단이 상기 가이드 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식생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식생공간은 상기 격벽부재에 의해 구획되되,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전면과 맞닿지 않고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식생공간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탑 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배면측에는 보강프레임이 덧대어져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탑 프레임.
  3. 삭제
KR1020090017622A 2009-03-02 2009-03-02 꽃탑 프레임 KR100923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622A KR100923103B1 (ko) 2009-03-02 2009-03-02 꽃탑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622A KR100923103B1 (ko) 2009-03-02 2009-03-02 꽃탑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103B1 true KR100923103B1 (ko) 2009-10-22

Family

ID=4156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622A KR100923103B1 (ko) 2009-03-02 2009-03-02 꽃탑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5168A (zh) * 2015-09-23 2015-12-16 三峡大学 一种构造墙体植生槽的垂直绿化系统及其绿化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0066U (ko) * 1981-05-28 1982-12-02
KR200327215Y1 (ko) 2003-06-05 2003-09-19 황대연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JP2007215516A (ja) * 2006-02-20 2007-08-30 S X L Corp 壁面緑化構造体
KR100837799B1 (ko) 2007-12-21 2008-06-1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적층식 꽃탑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0066U (ko) * 1981-05-28 1982-12-02
KR200327215Y1 (ko) 2003-06-05 2003-09-19 황대연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JP2007215516A (ja) * 2006-02-20 2007-08-30 S X L Corp 壁面緑化構造体
KR100837799B1 (ko) 2007-12-21 2008-06-1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적층식 꽃탑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5168A (zh) * 2015-09-23 2015-12-16 三峡大学 一种构造墙体植生槽的垂直绿化系统及其绿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2031A2 (en) Plant pot holding device
US8438781B2 (en) Vertical planting module
JPWO2008047590A1 (ja) 植栽容器
WO2010142000A1 (en) Vegetation support system
KR100923102B1 (ko) 급수가 용이한 다단화분
KR20110003195U (ko)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화 옹벽
KR100923103B1 (ko) 꽃탑 프레임
KR200472746Y1 (ko) 식물 재배 용기
KR100794671B1 (ko) 구조물의 노출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설치구조
KR101802351B1 (ko)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KR101189260B1 (ko) 다벽면 및 베란다 녹화 시스템
KR101247700B1 (ko) 조경용 화분
JP3856681B2 (ja) 植栽トレー
KR20150064758A (ko)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JP2012090559A (ja) 植生棚用支柱および植生棚
KR102081448B1 (ko) 확장형 가든 시스템
KR101252377B1 (ko) 배수가 용이한 식물 재배장치
KR200248394Y1 (ko) 화분 겸용 방음벽
JP2006283365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システム
ATE522129T1 (de) Kasten für begrünungswand
KR100654629B1 (ko)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JP5945356B1 (ja) 園芸用トレー
KR200271993Y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JP2006214137A (ja) 護岸ブロック
CN213404274U (zh) 拼装式种植箱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