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758A -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 Google Patents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758A
KR20150064758A KR1020130147158A KR20130147158A KR20150064758A KR 20150064758 A KR20150064758 A KR 20150064758A KR 1020130147158 A KR1020130147158 A KR 1020130147158A KR 20130147158 A KR20130147158 A KR 20130147158A KR 20150064758 A KR20150064758 A KR 20150064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uide
wall
unit box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6508B1 (ko
Inventor
김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to KR1020130147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5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4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닛박스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 공간에 격자 및 사선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가 마련된 박스 형태의 본체; 및 상기 가이드를 통해 상시 본체 내부 공간을 격자 및 사선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경계 및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측면을 이루는 벽체에 마련되어, 측면 및 하중 강도를 보강하는 절곡부;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 내지는 경계하는 격벽이 마련되어, 내부 공간에 대한 격실을 조성하거나, 본체의 절단을 요할 때, 절단부에 대한 마감이 용이하여, 절단에 의한 토양 내지는 식물이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격벽이 격자 및 사선으로 각각 설치되어, 본체를 수직 및 수평은 물론, 사선방향으로의 절단과 절단부에 대한 마감이 용이한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Green space reclamation for unit box}
본 발명은 유닛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의 본체 내부를 구획 및 경계하는 격벽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의 내부를 분할하여 가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환경에 따라 본체의 절단을 요할 경우, 격벽이 절단에 대한 마감재로 사용되어 그로 인한 식재된 식물은 물론, 토양 유실을 예방할 수 있는 녹화용 식생 유닛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화용 유닛박스는 인위적 지질의 토양층을 형성한 후, 식물을 식재하거나, 수공간을 만들어 녹지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유닛박스는 육상의 평면 및 법면으로의 시공은 물론, 근래 들어 건물의 옥상 및 지붕 등 다양한 구조물에 시공되어 도심속 녹화를 조성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닛박스는 특히, 도심속 녹지공간 조성을 통해, 도심 경관 개선은 물론, 열섬현상 완화 및 건축물의 단열을 통한 에너지 절약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닛박스는 통상 정사각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방으로의 연속 배열을 통해 녹지를 조성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닛박스는 외부 충격 내지는 풍압 등에 의해 배열이 틀어지거나, 특히, 풍압에 의해 유닛박스가 뒤틀려 훼손은 물론, 토양과 식물이 유실되는 문제가 있다.
즉, 정사각의 형태로서, 바람과의 접촉면적이 넓어 풍압에 의해 일부가 들려 틀어지거나, 그로 인해 배열이 흐트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닛박스는 절단은 물론, 그에 대한 마감이 용이하지 못하여, 미관뿐만 아니라, 토양과 식물이 유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유닛박스는 통해 녹지의 경계에 맞춰 절단을 요하는 경우가 많아, 현장에서 경계에 대응하는 일부를 절단한 후, 즉석에서 마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절단면에 대한 예측이 용이하지 못하여 다양한 절단면에 대응하는 마감재를 준비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절단부에 대한 기밀한 작업이 이루어지기 힘들뿐만 아니라, 특히, 기밀하지 못한 영역을 통해 토양이 유실되는 경우가 많아 녹지가 훼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기밀한 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전용의 마감재가 아니므로, 경관을 위한 요소가 경관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693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 내지는 경계하는 격벽이 마련되어, 내부 공간에 대한 격실을 조성하거나, 본체의 절단을 요할 때, 절단부에 대한 마감이 용이하여, 절단에 의한 토양 내지는 식물이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벽이 격자 및 사선으로 각각 설치되어, 본체를 수직 및 수평은 물론, 사선방향으로의 절단과 절단부에 대한 마감이 용이한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가 5:2 내지는 5:4의 가로 세로 비율을 갖는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져, 외압에 의한 뒤틀림을 최소화하여 유닛박스의 훼손은 최소화시킬 수 있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측면을 이루는 벽체에 다수의 절곡부가 마련되어, 외압에 의한 측면 및 하중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벽체 높이를 연장하는 보조벽체를 통해, 토양의 수용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된 본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연결부가 마련되어, 다수의 본체를 사방으로 연속 배열함에 있어, 상호 결속력을 향상시켜 외압 및 풍압으로 인한 분리 및 훼손을 예방할 수 있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벽을 통해 본체 내부 공간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리하거나, 구획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식물에 대한 재배가 가능한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닛박스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 공간에 격자 및 사선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가 마련된 박스 형태의 본체; 및 상기 가이드를 통해 상시 본체 내부 공간을 격자 및 사선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경계 및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측면을 이루는 벽체에 마련되어, 측면 및 하중 강도를 보강하는 절곡부;를 개시한다.
상기 본체는, 5:2 내지는 5:4의 가로 세로 비율을 갖는 직사각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유체가 공급되는 내부 밑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 형태로 돌출되어, 내부 밑면 공간을 다수의 담수부를 형성하는 리브; 및 상기 리브의 각 교차점 기준 양단 사이 영역이 함몰된 형태로 존재하는 물넘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전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녹지 조성 공간에 설치된 연결용 콘에 자웅 결합되는 콘 이입용 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상기 벽체의 외측 어느 일면에 마련되어, 유체 공급을 위한 관체를 고정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벽체의 외측 상부에 마련되며, 인접되는 상기 유닛박스와의 이격공간을 조성하여, 상기 관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는, 한 쌍의 바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본체 내부 공간을 격자 및 사선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로 방향의 각 리브 상단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벽체의 내면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되는 제1가이드; 상기 세로 방향의 각 리브 상단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벽체의 내면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되는 제2가이드; 및 상기 단수부 내부에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은, 판재로서, 상기 제1가이드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 내부를 가로 방향으로 경계 구획하는 제1격벽; 상기 제2가이드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 내부를 세로 방향으로 경계 구획하는 제2격벽; 및 상기 제3가이드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담수부를 포함하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사선으로 경계 및 구획하는 제3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은, 상호 교차하는 영역이 서로 맞물려 결합할 수 있도록 자웅의 결합홈이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닛박스는, 상기 본체의 각 모서리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를 사방으로 연속 배열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유닛박스의 각 모서리에 마련된 연결홈; 및 원반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홈과 자웅의 체결구조를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닛박스는, 상기 벽체의 각 내면 또는 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와 자웅 결합되어, 상기 벽체의 높이를 연장시키는 보조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벽체는, 상호 접하는 각 단부에 마련되어, 모서리 영역에 대한 결합을 보강하는 자웅의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수단과 함께 상기 보조벽에의 모서리 결합을 보강하는 초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 내지는 경계하는 격벽이 마련되어, 내부 공간에 대한 격실을 조성하거나, 본체의 절단을 요할 때, 절단부에 대한 마감이 용이하여, 절단에 의한 토양 내지는 식물이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벽이 격자 및 사선으로 각각 설치되어, 본체를 수직 및 수평은 물론, 사선방향으로의 절단과 절단부에 대한 마감이 용이하여 시공의 편의와 토양 유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가 5:2 내지는 5:4의 가로 세로 비율을 갖는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져, 외압에 의한 뒤틀림을 최소화하여 유닛박스의 훼손은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측면을 이루는 벽체에 다수의 절곡부가 마련되어, 외압에 의한 측면 및 하중강도를 보강이 가능하여 외부충격으로 인한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벽체 높이를 연장하는 보조벽체가 구비되어, 유효 토심층을 확장시켜, 야생화류는 물론, 식목 등 비교적 깊은 토심층을 요하는 식물에 대한 식재가 가능하여 식물의 다양성은 물론,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벽체가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져, 보조벽체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철거 시, 토양이 서로 인접된 유닛박스의 사이 공간이 매워 자연스러운 경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서로 인접된 유닛박스 간 식물의 뿌리, 영양분 및 수분의 상호 교류가 가능하여 식물 생육에 적합한 자연환경을 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벽체의 철거를 통해 서로 인접된 유닛박스의 사이 공간이 매워, 건축물로 하여금 열교환현상을 개선시켜, 건축물의 단열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부가 본체 외곽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관체 설치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관체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으며, 또한, 거치부에 고리가 더 형성되어 관체의 이탈은 물론, 네트를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된 본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연결부가 마련되어, 다수의 본체를 사방으로 연속 배열함에 있어, 상호 결속력을 향상시켜 외압 및 풍압으로 인한 분리 및 훼손을 예방할 수 있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벽을 통해 본체 내부 공간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리하거나, 구획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식물에 대한 재배가 가능한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유닛박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본체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의 배열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벽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초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절단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유닛박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박스(100)는 본체(110) 내부 공간을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 경계하여, 특징이 서로 다른 식물을 구획 및 경계하여 식재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상 절단을 요할 경우, 도 11과 같이 가로 및 세로는 물론, 사선으로 절단할 경우, 절단부의 마감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11과 같이 유닛박스(100)를 가로(10a)방향, 세로방향(10b), 직각방향(10c), 사선방향(10d) 및 굴곡과 사선방향(10e)으로 절단하더라도, 이에 대한 용이한 마감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닛박스(100)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이루어진 본체(110), 본체(110) 내부 공간을 경계 구획하도록 하는 가이드(130) 및 가이드(130)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 및 경계하거나, 절단부의 경계를 마감하는 격벽(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 상세한 구성을 각 구성을 나타낸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체의 평면도이다.
본체(110)는 본체(110) 강도를 보강하면서, 밑면에 담수부(125)를 형성시키는 리브(120), 본체(110)의 측면을 이루며 측면 및 하중 강도를 보강하는 절곡부(115)가 마련된 벽체(113), 본체(110) 내부 공간을 격자와 사선으로 경계 및 구획하는 격벽(140), 격벽(140)이 설치되는 가이드(130) 및 벽체 내면에 마련되어, 벽체(113)의 높이를 연장수단이 설치되도록 하는 거치대(170)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거치대(1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벽체(180)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체(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서, 대략 5 : 2 내지는 5 : 4의 비율로 이루어진 직사각의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본체(110)는 직사각으로 이루어져, 대략 종래의 비율(대략 5:5)보다 뒤틀림 강도가 높아, 외압 내지는 풍압 등에 의한 본체의 훼손은 물론, 그로 인한 토양과 식물의 유실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내부 밑면에 격자 형태로 돌출 형성된 리브(120)를 통해 본체의 강도를 한 층 더 보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브(120)는 본체(110) 밑면으로부터 소정 돌출되어, 본체(110)의 보강은 물론, 유체 일부를 담수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하고 있으며, 격자형 리브(120)의 각 교차점 기준 양단 사이 영역에는 리브(120)를 통해 구획된 영역간 즉, 각 담수부(125)간 유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물넘이부(121)가 더 마련된다.
이때, 유체의 공급은 본체(110) 외측에 마련된 거치부(119)에 고정되는 관체(미도시)를 통해 공급되며, 거치부(119)와 담수부(125)를 홀(H)을 통해 서로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거치부(119)에 고정된 관체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는 홀(H)을 통해 일 영역의 담수부(125)에 채워지는 것이며, 수위 상승에 따라 담수부(125)의 유체는 물넘이부(121)를 통해 상호 인접된 담수부(125)에 유체가 채워져 식물생장에 필요한 유체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거치부(119)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일면 외곽 하부에 존재하여, 종래와 같이 서로 인접된 유닛박스 수분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도 4와 같이 본체(110)의 일면 외곽 상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거치부(119)가 본체(110)의 일면 외곽 상부에 존재할 경우, 종래와 달리 거치부(119)가 외부로 노출되어, 수분공급을 위한 관체(P)에 대한 설치의 편의는 물론, 관체(P)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거치부가 본체 외곽 하부에 마련되어, 서로 인접되는 유닛박스에 가려지므로, 유닛박스와 관체의 시공을 함께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관체의 동결 내지는 막힘에 의해 훼손될 경우, 관체의 교체 및 철거가 용이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례를 통해 나타낸 거치부(119)는 본체(110)의 일면 외곽 상부에 배치되어 관체(P) 설치의 편의는 물론, 관체(P)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거치부(119)는 필요에 따라 위치가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종래와 같이 본체 외곽 하부에 마련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외곽 상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거치부(119)가 본체(110) 외곽 상부에 마련될 경우, 관체(P)의 이탈은 물론 네트(미도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거치부(119)에 고리(1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체의 공급이 담수부(125)보다 수위가 높아질 경우, 식물의 과습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담수부(125)의 적절한 수위 조절이 가능하도록 도 3과 같이 리브(120) 상단에 다수의 오버플로(123)가 마련되며, 이러한 오버플로(123)는 본체(110)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이입용 홈(111)에도 다수 형성된다. 여기서 이입용 홈(111)은 유닛박스(100)가 설치되는 지면 내지는 지붕에 설치되는 연결용 콘(미도시)과 자웅 결합되도록 하는 영역인 것이며, 이는 종래와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도록 한다.
벽체(113)는 본체(110)의 측면을 이루는 영역으로서, 본체(110)의 측면 및 하중 강도를 더욱 보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절곡부(115)가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부(115)는 사면을 이루는 벽체(113) 중 거치부(119)가 형성된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벽체(113)에 즉, 3면에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된 패턴(사다리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절곡부(115)는 도시된 패턴에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며, 그 일례로 연속된 수직 내지는 빗살은 물론, 수직과 빗살이 교번하는 패턴일 수 있으며, 측면 및 하중을 보강하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벽체(113) 단부 외측방향으로 다수의 고리(117)가 더 형성되며, 이러한 고리(117)는 네트(미도시)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네트는 통상 식재된 식물 내지는 채움재의 비산 및 유실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130)는 도 1과 같이 격벽(140)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바가 일정 간격을 두고 본체(110) 내부 공간을 격자 및 사선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가이드(130)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제1가이드(131),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제2가이드(133) 및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제3가이드(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가이드(131)는 가로 방향의 각 리브(120) 상단을 따라 형성되며, 이와 인접된 벽체(113)의 내면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 형성되어있다.
제2가이드(133)는 세로 방향의 각 리브(120) 상단을 따라 형성되며, 이와 안접된 벽체(113)의 내면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제3가이드(135)는 담수부(125)에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것이며, 이때, 제3가이드(1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X의 형태로 존재하여, 사선으로 경계 및 구획할 때, 방향을 선택적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제3가이드(135)는 도시된 X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계 및 구획에 대한 방향성이 명확할 경우, X 형태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형태)의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130)는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4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5와 6을 참조하되, 본체(110)에 대한 부호는 도 2와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격벽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40)은 가이드(130)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110) 내부 공간을 다수의 셀 단위로 경계 및 구획하거나, 또는 도 11과 같이 본체(110)를 절단할 때, 절단면에 대한 마감재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격벽(140)은 판재로서, 본체(110) 내부 공간을 가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1격벽(141), 본체(110) 내부 공간을 세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2격벽(143) 및 제1격벽(141)과 제2격벽(143)에 의해 생성된 격자 형태의 셀 단위 공간을 사선으로 구획하는 제3격벽(1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격벽(141)은 제1가이드(131)를 통해 본체(110) 내부 공간을 가로 방향으로 일정하게 구획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격벽(141)은 가로 방향의 리브(120)에 형성된 물넘이부(121)를 차단하는 제1물넘이부 커버(153)와, 제1가이드(131)와 함께 제1격벽(141)의 안정된 결합을 보강하는 제1격벽돌기(1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물넘이부 커버(153)는 물넘이부(121)에 대응하는 크기의 판재인 것이며, 내부 공간을 경계 및 구획할 때, 물넘이부(121)를 함께 경계하여, 특히, 본체(110)를 절단할 경우, 물넘이부(121)를 통한 토양 등의 유실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제2격벽(143)은 제2가이드(133)를 통해 본체(110) 내부 공간을 세로 방향으로 일정하게 구획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격벽(143)은, 세로 방향의 리브(120)에 형성된 물넘이부(121)를 차단하는 제2물넘이부 커버(153)와, 제2가이드(133)와 함께 제2격벽(143)의 안정된 결합을 보강하는 제2격벽돌기(1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물넘이부(121)는 제1물넘이부(121)와 동일한 작용을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제1격벽(141)과 제2격벽(143)은 상호 교차하는 영역이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마주하는 각 일면에 자웅의 결합홈(147)이 각각 형성되며, 결합된 제1격벽(141)과 제2격벽(143)은 제1격벽(141)에 마련된 결합가이드(149)를 통해 결합이 보강된다.
제3격벽(145)은 제3가이드(135)를 통해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태로 형성된 공간을 사선으로 더 구획하거나, 또는 도 11과 같이 사선으로 절단을 요할 경우, 사선의 절단부에 대한 마감재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3격벽(145)은 담수부(125)는 물론, 제1격벽(141)과 제2격벽(143)에 의해 생성된 격자형 공간을 동시에 경계 및 구획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격벽(145)은 제3가이드(135)와의 결합에 따라 좌/우 사선으로 경계를 구획할 수 있다. 즉, 도 7a와 같이 우에서 좌측 사선으로 경계하거나, 또는 도 7b와 같이 좌에서 우측 사선으로 경계 및 구획할 수 있다. 이는 필요에 따라 영역을 경계 및 구획하거나, 또는 도 11과 같이 절단 방향에 따라 제3격벽(145)에 대한 방향을 선택 적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격벽(140)은 통해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는 물론, 격자 및 사선으로 분리 구획하여, 특성이 다른 식물을 식재하더라도 식물간 간섭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도 11과 같이 본체(110)를 절단할 경우, 격벽(140)이 절단면에 대한 마감재로 존재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로와 세로는 도시된 형태를 기준하여 표현하였으나, 가로와 세로는 보이는 방향에 따라 판단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방향에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10)는 내부를 채우는 토양 내지는 채움재 등의 수용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벽체(113)의 높이는 연장시킬 수 있는데,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벽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초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보조벽체(180)를 통해 벽체(113)의 높이를 D1에서 D2만큼 더 연장시킬 수 있다.
보조벽체(180)는 플렛한 판재로서, 본체 내면에 마련된 거치대(170)와 자웅 결합하는 거치홈(183) 및 양단에 마련되어 각 단부를 서로 자웅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수단(18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치홈(183)은 거치대(170)와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되며, 이때, 거치대(170)는 벽체(113)의 각 내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마련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13)를 사이에 두고 보조벽체(180)의 밑면과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앵글 형태의 브래킷(170-1)과, 거치홈(183)과 자웅 결합하는 돌기(170-2)를 포함하고 있다.
연결수단(181)은 보조벽체(180) 양단에 요철의 형태로 마련되어, 서로 접하는 각 단부가 자웅 결합되도록 하여, 각각의 보조벽체(180)에 대한 단부가 상호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연결수단(181)에 의한 결합이 더욱 보강할 수 있도록 연결수단(181)에 의해 결합된 부위에 초크(190)가 더 구비되며, 이러한 초크(190)는 상세도와 같이 서로 인접한 각 보조벽체(180)의 단부와 자웅 결합됨으로써, 연결수단에 의한 결합력을 한층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벽체(180)는 본체의 벽체(113)를 높이면서, 상대적 본체(110)의 깊이를 더 깊어지도록 하여, 유효 토심층을 확장시켜, 야생화류는 물론, 식목 등 비교적 깊은 토심층을 요하는 식물에 대한 식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조벽체의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여, 철거 시, 토양이 서로 인접된 유닛박스의 사이 공간을 매워 자연스러운 경관을 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된 유닛박스 간 식물의 뿌리, 영양분 및 수분의 상호 교류가 가능하여 식물 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닛박스의 사이 공간이 매워지므로, 건축물로 하여금 열교환현상을 개선시켜, 건축물의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함께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유닛박스(100)는 다수의 유닛박스(100)를 군집시켜 녹지 조성 공간을 조성하는 만큼, 각 유닛박스(100)간의 결합요소가 존재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결합요소는 도 10에 도시된 연결부(16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박스(100)는 연결부(160)를 통해 상호 자웅 결합되며, 외부 충격 내지는 풍압 등에 의한 훼손은 물론 특히, 배열상태가 틀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60)는 본체(110) 각 모서리에 마련된 연결홈(161)과, 원반 형태로서, 연결홈(161)과 자웅 결합되도록 다수의 연결돌기(165)가 구비된 연결부재(16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유닛박스(10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콘(미도시)을 이용하여 유닛박스를 시공면(지면 내지는 지붕)에 고정하는 방식을 채용하여, 유닛박스를 고정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유닛박스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어 외부 충격 내지는 풍압에 의해 틀어지거나, 이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유닛박스(100)가 연결부(160)를 통해 상호 지지력을 배가시켜, 양호한 배열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 내지는 풍압에서 유닛박스의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닛박스는 본체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 내지는 경계하는 격벽이 마련되어, 내부 공간에 대한 격실을 조성하거나, 특히, 도 11a 내지 e과 같이 본체의 절단을 요할 때, 절단부에 대한 마감이 용이하여, 절단에 의한 토양 내지는 식물이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유닛박스 110 : 본체
111 : 이입용 홈 113 : 벽체
115 : 절곡부 117 : 고리
119 : 거치부 120 : 리브
121 : 물넘이부 123 : 오버플로
125 : 담수부 130 : 가이드
131 : 제1가이드 133 : 제2가이드
135 : 제3가이드 140 : 격벽
141 : 제1격벽 143 : 제2격벽
145 : 제3격벽 147 : 결합홈
149 : 결합가이드 151 : 격벽돌기
153 : 물넘이부 커버 160 : 연결부
161 : 연결홈 163 : 연결부재
165 : 연결돌기 170 : 거치대
180 : 보조벽체 181 : 연결수단
183 : 거치홈
190 : 초크

Claims (15)

  1. 유닛박스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 공간에 격자 및 사선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가 마련된 박스 형태의 본체; 및
    상기 가이드를 통해 상시 본체 내부 공간을 격자 및 사선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경계 및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측면을 이루는 벽체에 마련되어, 측면 및 하중 강도를 보강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5:2 내지는 5:4의 가로 세로 비율을 갖는 직사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유체가 공급되는 내부 밑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 형태로 돌출되어, 내부 밑면 공간을 다수의 담수부를 형성하는 리브; 및
    상기 리브의 각 교차점 기준 양단 사이 영역이 함몰된 형태로 존재하는 물넘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녹지 조성 공간에 설치된 연결용 콘에 자웅 결합되는 콘 이입용 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벽체의 외측 어느 일면에 마련되어, 유체 공급을 위한 관체를 고정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벽체의 외측 상부에 마련되며, 인접되는 상기 유닛박스와의 이격공간을 조성하여, 상기 관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한 쌍의 바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본체 내부 공간을 격자 및 사선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로 방향의 각 리브 상단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벽체의 내면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되는 제1가이드;
    상기 세로 방향의 각 리브 상단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벽체의 내면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되는 제2가이드; 및
    상기 단수부 내부에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판재로서, 상기 제1가이드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 내부를 가로 방향으로 경계 구획하는 제1격벽;
    상기 제2가이드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 내부를 세로 방향으로 경계 구획하는 제2격벽; 및
    상기 제3가이드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담수부를 포함하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사선으로 경계 및 구획하는 제3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은,
    상호 교차하는 영역이 서로 맞물려 결합할 수 있도록 자웅의 결합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박스는,
    상기 본체의 각 모서리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를 사방으로 연속 배열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유닛박스의 각 모서리에 마련된 연결홈; 및
    원반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홈과 자웅의 체결구조를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박스는,
    상기 벽체의 각 내면 또는 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와 자웅 결합되어, 상기 벽체의 높이를 연장시키는 보조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벽체는,
    상호 접하는 각 단부에 마련되어, 모서리 영역에 대한 결합을 보강하는 자웅의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과 함께 상기 보조벽에의 모서리 결합을 보강하는 초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KR1020130147158A 2013-11-29 2013-11-29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KR101576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158A KR101576508B1 (ko) 2013-11-29 2013-11-29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158A KR101576508B1 (ko) 2013-11-29 2013-11-29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758A true KR20150064758A (ko) 2015-06-12
KR101576508B1 KR101576508B1 (ko) 2015-12-11

Family

ID=53503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158A KR101576508B1 (ko) 2013-11-29 2013-11-29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5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158B1 (ko) * 2016-07-01 2017-01-19 정종윤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
CN108083448A (zh) * 2018-01-25 2018-05-29 重庆市环境科学研究院 组合生态浮床
KR20200102304A (ko) * 2019-02-21 2020-08-31 윤택주 식물 재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332B1 (ko) * 2018-04-11 2018-10-01 이태연 도로 난간 설치용 이중 화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K1134207A2 (en) * 2009-02-09 2010-04-16 Kwok Kei Law Apparatuses and systems for cultivating pla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158B1 (ko) * 2016-07-01 2017-01-19 정종윤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
CN108083448A (zh) * 2018-01-25 2018-05-29 重庆市环境科学研究院 组合生态浮床
KR20200102304A (ko) * 2019-02-21 2020-08-31 윤택주 식물 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508B1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5555B2 (ja) 垂直または傾斜した配置でのコンテナ植栽システム
KR101576508B1 (ko)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KR101164891B1 (ko) 조립식 화단
JPH07305354A (ja) 斜面を確保または支持するための法面要素
JP2009513132A (ja) 屋上緑化システムに使用する容器及び該容器を使用した屋上緑化システム
EP2341187B1 (en) Wall for a buiding built up from a plurality of building blocks
JP4753074B2 (ja) 緑化システム
KR101303353B1 (ko) 식물 식재 용기
KR101638985B1 (ko) 조립식 식생모듈
JP2007189910A (ja) 緑化ユニット及び該緑化ユニットを備える緑化システム
KR102233372B1 (ko) 이끼 패널
NL2010815C2 (en) Modular system for arranging plant compositions.
DK2755463T3 (en) CONTAINER FOR PLANTING AND CULTIVATION OF PLANTS AND APPLICATION OF THIS
KR101232238B1 (ko)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KR101238382B1 (ko) 옥상의 정원 및 보온용 배지판
JP5557551B2 (ja) 緑化用パネル
CN218027492U (zh) 一种可拼接框槽式生态护坡结构
CN216713446U (zh) 一种可装配式多功能生态园林景观墙
KR102601920B1 (ko) 버켓형 통형상의 플랜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CN220556973U (zh) 一种多边形中空柱立体绿化模块
JP2000144750A (ja) 緑化パネル
KR102161396B1 (ko) 전면 식생에 식생철망을 구비하는 보강토 옹벽
CN215421854U (zh) 一种用于高架桥侧壁绿化种植花箱
JP2006197865A (ja) 緑化ユニット
KR100777386B1 (ko)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