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158B1 -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158B1
KR101698158B1 KR1020160083589A KR20160083589A KR101698158B1 KR 101698158 B1 KR101698158 B1 KR 101698158B1 KR 1020160083589 A KR1020160083589 A KR 1020160083589A KR 20160083589 A KR20160083589 A KR 20160083589A KR 101698158 B1 KR101698158 B1 KR 101698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lock
frame
recordi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윤
Original Assignee
정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윤 filed Critical 정종윤
Priority to KR1020160083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07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9/104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A01G2009/105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녹화 블록의 양측부 및 바닥면을 이루며, 내면으로 방근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근층의 외면으로 방수층 및 프레임부가 형성되며, 다수개의 녹화 블록들이 일체로 연결 구성될 수 있도록 양측부에 연결봉이 결합되는 연결홈과, 지지 프레임의 상측부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홈과, 바닥면의 중앙측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녹화 블록의 내부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유출홀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블록 프레임; 다수개의 녹화 블록들이 각각 셀 단위, 또는 단위 블록의 형태와 같은 독립적인 구성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1블록 프레임의 전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며, 내면에 방수층이 형성되는 제2블록 프레임; 상기 제1블록 프레임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지지패널이 내부 양측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지지패널을 관통하여 지지 프레임의 내부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과, 저장된 물을 회수하여 순환시키는 순환라인이 구성된 지지 프레임; 상기 제1블록 프레임의 돌출부의 하부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측으로 공급되는 물을 일정량 저장하는 물 저장홈과, 상기 물 저장홈의 하측으로 지지 프레임과 공급 프레임을 연결하는 공급관이 결합되는 관 고정부와, 돌출부의 하단부와 밀착되게 구성되는 받침패널이 형성된 공급 프레임; 상기 공급관에 삽입되며, 하단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저장되는 물을 흡수하고, 상단부가 상기 돌출부에 위치하여 흡수한 물을 유출홀측으로 토출시키는 물 흡수부재;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녹화 블록의 내부로 적층 구성되는 토양층들이 유출홀측으로 배출 및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수 필터망이 구성되고, 상기 물 흡수부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유출홀을 통해 유출시키는 밀폐부재;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급수라인과 연결되어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상기 순환라인과 연결되어 저장된 물을 순환시키는 배수라인과, 상기 급수라인과 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물 순환라인; 및 상기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녹화 블록에 식생되는 식생물의 상부에서 일정량의 물을 분사하여 상기 식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물 분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Building the upper layer of the recording system using the recording blocks}
본 발명은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건축물 및 신축되는 건축물 모두에 간단하게 설비가 가능하여 옥상과 같은 건축물의 상층부에 저비용으로 녹화를 조성할 수 있으며, 저부에 식생물들측으로 자동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식생물들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 각종 산업의 발달과 토지개발로 인하여 숲의 파괴와 마구잡이식 개발로 인해 하천, 강, 바다의 오염이 가속화되고, 대기공해 또한 심화시켜 호흡기 장애를 야기하며, 그 밖에도 산성비의 발생, 열섬현상, 겨울해충 등 종전에 관측되지 않았던 새로운 부작용이 관측되고 있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타개하려면 녹지율을 향상시켜야 하며, 특히 도시에서의 녹지율 향상을 위하여 도시녹화를 친환경적 방법에 입각하여 장려할 필요가 있는 바, 특히, 대도시를 중심으로 도시녹화 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도시녹지 보전에 역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대도시의 경우는 녹화를 위한 토지확보에 어려운 실정이며, 특히 녹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대도시 도심부의 경우에는 회색 건물 일색이어서 별도로 녹지를 조성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대도시 도심부에 녹지를 조성하되, 비교적 녹지환경의 조성이 용이한 건물의 옥상 내지는 주차장에 조성하고 있으며,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9566호에는, 사각 모양의 패널 구조로 형성되어,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가운데 부분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를 포함한 패널의 상면에 다수의 리브들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며, 한 쪽 양측 면은 상부 패널과 인접한 다른 상부 패널을 엇걸이 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 양측면은 상부 패널과 인접한 다른 상부 패널 사이로 저수부에서 넘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틈새를 형성하는 틈새 형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 또는 방수를 위한 상부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 이중바닥 구조물 및 옥상 구조물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옥상 구조물은 여러 상부 패널들 상부에 다공성 시트를 이어서 깔기 때문에 특정 상부 패널 등을 유지 보수할 때, 상부 패널의 상태는 물론 상부 패널의 연결 부분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토양층을 걷어낸 후에 다공성 시트를 전부 걷어 내거나 또는 일부분을 절개하여 걷어낸 다음 상부 패널 등을 점검 보수해야 하므로, 상부 패널 및 이를 지지하는 구조물의 유지 보수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9566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기존 건축물 및 신축되는 건축물 모두에 간단하게 설비가 가능하여 옥상과 같은 건축물의 상층부에 저비용으로 녹화를 조성할 수 있는 녹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부에 식생물들측으로 자동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식생물들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녹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녹화 블록의 양측부 및 바닥면을 이루며, 내면으로 방근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근층의 외면으로 방수층 및 프레임부가 형성되며, 다수개의 녹화 블록들이 일체로 연결 구성될 수 있도록 양측부에 연결봉이 결합되는 연결홈과, 지지 프레임의 상측부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홈과, 바닥면의 중앙측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녹화 블록의 내부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유출홀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블록 프레임; 다수개의 녹화 블록들이 각각 셀 단위, 또는 단위 블록의 형태와 같은 독립적인 구성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1블록 프레임의 전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며, 내면에 방수층이 형성되는 제2블록 프레임; 상기 제1블록 프레임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지지패널이 내부 양측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지지패널을 관통하여 지지 프레임의 내부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과, 저장된 물을 회수하여 순환시키는 순환라인이 구성된 지지 프레임; 상기 제1블록 프레임의 돌출부의 하부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측으로 공급되는 물을 일정량 저장하는 물 저장홈과, 상기 물 저장홈의 하측으로 지지 프레임과 공급 프레임을 연결하는 공급관이 결합되는 관 고정부와, 돌출부의 하단부와 밀착되게 구성되는 받침패널이 형성된 공급 프레임; 상기 공급관에 삽입되며, 하단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저장되는 물을 흡수하고, 상단부가 상기 돌출부에 위치하여 흡수한 물을 유출홀측으로 토출시키는 물 흡수부재;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녹화 블록의 내부로 적층 구성되는 토양층들이 유출홀측으로 배출 및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수 필터망이 구성되고, 상기 물 흡수부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유출홀을 통해 유출시키는 밀폐부재;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급수라인과 연결되어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상기 순환라인과 연결되어 저장된 물을 순환시키는 배수라인과, 상기 급수라인과 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물 순환라인; 및 상기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녹화 블록에 식생되는 식생물의 상부에서 일정량의 물을 분사하여 상기 식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물 분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에는 원주면을 따라 상기 공급 프레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녹화 블록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홀이 구성되고, 상기 공급 프레임에는 물 저장홈과 유입홀을 연결하여 저장된 물을 유입홀측으로 공급하는 연통홀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분사 시스템은 상기 공급라인과 연결되고, 공급되는 물을 흡입하는 흡입펌프가 장착된 흡입라인과, 상기 흡입라인과 연결되며, 녹화 블록의 상부에 위치하여 흡입라인으로부터 제공되는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분사노즐이 다수 구성된 분사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건축물 및 신축되는 건축물 모두에 간단하게 설비가 가능하여 옥상과 같은 건축물의 상층부에 저비용으로 녹화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부에 식생물들측으로 자동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식생물들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블록이 설치된 건축물의 상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블록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블록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블록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블록이 설치된 건축물의 상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블록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블록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블록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블록들의 다양한 연결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블록(100)은 건축물의 옥상 등에 다수 설비되어 녹화를 조성하는 것으로,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블록 프레임(130)와, 이 제1블록 프레임(130)의 전,후방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블록 프레임(190) 및 녹화 블록(100)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제1블록 프레임(130)의 하단부에 절곡 형성되는 바닥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블록 프레임(130)은 내측으로부터 방근층(110)과, 방수층(120)이 접착 구성되며, 외측면에는 제1블록 프레임(13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제1프레임부(138)가 구성된다.
여기서, 방근층(110)은 제1블록 프레임(130) 및 바닥 프레임의 내면에 구성되어 식생물의 뿌리가 자라면서 제1블록 프레임(130) 및 바닥 프레임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PP 수지, 고강도 FRP, PE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방수층(120)은 방근층(120)의 외면에 구성되는 것으로, 녹화 블록(100)측으로 물이 공급될 때,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PE수지가 도포되거나, 열융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수층(120)은 방근층(110)과 함께 일정 두께로 구성되어 제1블록 프레임(1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블록 프레임(130)은 방근층(110)과 방수층(120)이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방근층(11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방수층(120)을 형성하고, 이 방근층(110)과 방수층(120)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에 다수개의 강성리브를 이격되게 구성하면서 이 강성리브를 통해 방근층(110)과 방수층(120)이 융착되어 서로 연결 구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방근 및 방수의 기능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강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제1블록 프레임(130)은 다수개의 녹화 블록(100)들이 일체로 연결 구성될 수 있도록 양측부에 연결봉(102)이 결합되는 연결홈(135)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녹화 블록(100)은 셀 단위로 구성되어 연결봉(102)에 의해 연결 구성되며, 제1블록 프레임(130)에 형성된 연결홈(135)에 연결봉(102)이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다수개의 녹화 블록(100)들이 연결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블록 프레임(130)에는 하부 외측으로 후술할 지지 프레임(160)의 상측부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홈(134)이 형성되어 제1블록 프레임(130)과 지지 프레임(160) 간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블록 프레임(130)에는 바닥 프레임의 중앙측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137)를 구성하고, 이 돌출부(137)의 하부로 후술할 지지 프레임(160)측으로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제1블록 프레임(130)의 내부로 흡수한 물을 공급하는 공급 프레임(150)이 구성된다.
여기서, 돌출부(137)에는 하부로 공급 프레임(150)의 상부가 삽입 및 결합되는 삽입홈(132)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132)에는 원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구성되어 공급 프레임(15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녹화 블록(10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홀(140)이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37)의 상단부에는 유입홀(140)과 함께 공급되는 물을 유출시켜 식생물측으로 제공하는 유출홀(137a)이 더 구성됨은 물론이다.
여기서, 유출홀(137a)은 후술할 밀폐부재(180)가 결합되며, 밀폐부재(180)를 통해 일정량의 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공급 프레임(150)은 제1블록 프레임(130)에 구성된 돌출부(137)에 삽입되어 지지 프레임(160)과 제1블록 프레임(130)을 연결하며, 지지 프레임(160)측으로 공급되는 물을 제1블록 프레임(130)측으로 공급하여 식생물측으로 관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공급 프레임(150)은 돌출부(137)의 하부에 구성된 삽입홈(132)에 삽입되며, 내부에 지지 프레임(160)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일정량 저장되는 물 저장홈(154)과, 물 저장홈(154)과 유입홀(140)을 연결하여 저장된 물을 유입홀(140)측으로 공급하는 연통홀(152)이 형성된다.
또한, 공급 프레임(150)에는 물 저장홈(154)의 하측으로 지지 프레임(160)과 공급 프레임(150)을 연결하여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공급관(155)이 결합되는 관 고정부(158)가 구성되고, 상기 관 고정부(158)가 중앙에 위치하며, 돌출부(137)의 하단부와 밀착되게 구성되는 받침패널(156)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급 프레임(150)에는 돌출부(137)에 구성된 유출홀(137a)에 결합되는 밀폐부재(170)가 구성되고, 공급관(155)의 내부에 삽입되며, 하단부가 지지 프레임(160)에 수용되는 물을 흡입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상단부가 밀폐부재(170)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물을 유출홀(137a)측으로 토출시키는 물 흡수부재(170)가 구성된다.
상기 물 흡수부재(17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튜브의 내부에 물을 흡수하는 섬유재가 구비되어 있어서, 지지 프레임(160)의 내측으로 물이 공급되면, 이 물을 섬유재가 흡수하여 공급 프레임(150)의 물 저장홈(154)측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단부에 구성된 밀폐부재(180)측으로 공급하여 녹화 블록(100)의 내부로 일정량의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물 흡수부재(170)는 물 저장홈(154)에 위치한 튜브의 외관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흡수되는 물의 일부가 물 저장홈(154)에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밀폐부재(180)는 제1블록 프레임(130)의 돌출부(137)에 형성된 유출홀(137a)에 결합되어 녹화 블록(100)의 내부로 적층 구성되는 토양층들이 유출홀(137a)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물 흡수부재(17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출홀(137a)을 통해 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토양층의 유실을 방지하는 투수 필터망(182)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제2블록 프레임(190)은 제1블록 프레임(130)의 전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녹화 블록(100)들이 각각 셀 단위, 또는 단위 블록의 형태와 같은 독립적인 구성으로 배치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수개의 녹화 블록(100)이 연결되면서 ㄱ, ㄴ, ㄷ, ㄹ, 과 같은 자음의 형상으로 연결하여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제1블록 프레임(130)들 끼리만 고정패널(194)을 통해 연결 구성하고, 개방된 전,후방측에 제2블록 프레임(190)을 결합하여 다양한 형상의 녹화 블록(100)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제2블록 프레임(190)은 제1블록 프레임(130)과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고정패널(194)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블록 프레임(190)은 셀 단위로 구성하는 경우, 녹화 블록(100) 내부에 적층 구성되는 토양층이 제1 및 제2블록 프레임(130, 190) 사이의 틈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단부가 제1블록 프레임(130)의 양측부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제1블록 프레임(130)에는 제2블록 프레임(190)이 끼움 결합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제2블록 프레임(190)에는 내면으로 방수층(120)을 형성하여 공급되는 물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녹화 블록(100)에는 제1 및 제2블록 프레임(130, 190)의 하부에 구성되며, 이 제1 및 제2블록 프레임(130, 190)의 하중을 지지하는 한편, 물 흡수부재(170)가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는 지지 프레임(160)이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160)은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제1블록 프레임(130)의 바닥 프레임이 삽입 및 안착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60)은 내부 양측으로 제1블록 프레임(130)의 바닥 프레임이 안착되는 지지패널(162)이 각각 구성되고, 이 지지패널(162) 중, 일측에 구성된 지지패널(162)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164)이 연결되며, 타측에 구성된 지지패널(162)에는 저장된 물을 회수하여 순환시키는 순환라인(166)이 구성된다.
여기서, 급수 및 순환라인(164, 166)은 후술할 물 순환라인(200)과 연결되어 물의 공급 및 순환이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물 순환라인(200)은 녹화 블록(100)측으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물을 순환시켜 지지 프레임(160)의 내부에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물 순환라인(200)은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202)와, 지지 프레임(160)에 구성된 급수라인(164)과 연결되어 일정량의 물을 급수라인(164)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라인(210)과, 지지 프레임(160)의 내부에 공급된 물을 회수하여 순환시키는 배수라인(2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급라인(210)에는 다수의 녹화 블록(100)에 구성된 급수라인(164)측으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각각의 급수라인(164)들과 공급라인(210)을 연결하는 연결라인(230)이 더 구성된다.
또한, 배수라인(220)에는 별도의 회수펌프를 구비하여 일정 시간 마다 구동함으로써, 지지 프레임(160) 상에 저장된 물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물 순환라인(200)에는 지지 프레임(160)에 구성된 급수라인(164), 물 흡수부재(170)를 통해 물을 공급하는 것 뿐만 아니라, 식생물의 상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물 순환라인(200)에는 공급 및 배수라인(210, 220)과 각각 연결되는 물 분사 시스템(300)을 더 구성하고, 이 물 분사 시스템(300)에서 공급되는 물을 일정량 흡입하여 식생물의 상부에서 분사함으로써, 식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 건축물의 상층부에 대한 온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물 분사 시스템(300)은 공급라인(210)과 연결되고, 공급되는 물을 흡입하는 흡입펌프(330)가 장착된 흡입라인(310)과, 흡입라인(310)과 연결되며, 녹화 블록(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흡입라인(310)으로부터 제공되는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분사노즐(350)이 다수 구성된 분사라인(340)이 구성된다.
여기서, 흡입라인(310)에는 공급라인(210)으로부터 흡입되는 물을 여과 처리하여 분사노즐(350)이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여과수단(320)이 구성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녹화 블록 110: 방근층
120: 방수층 130: 제1블록 프레임
140: 유입홀 150: 공급 프레임
160: 지지 프레임 170: 물 흡수부재
180: 밀폐부재 190: 제2블록 프레임
200: 물 순환라인 202: 저수조
210: 공급라인 220: 배수라인
230: 연결라인 300: 물 분사 시스템
310: 흡수라인 320: 여과수단
340; 분사라인 350; 분사노즐

Claims (3)

  1. 녹화 블록의 양측부 및 바닥면을 이루며, 내면으로 방근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근층의 외면으로 방수층 및 프레임부가 형성되며, 다수개의 녹화 블록들이 일체로 연결 구성될 수 있도록 양측부에 연결봉이 결합되는 연결홈과, 지지 프레임의 상측부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홈과, 바닥면의 중앙측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녹화 블록의 내부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유출홀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블록 프레임;
    다수개의 녹화 블록들이 각각 셀 단위, 또는 단위 블록의 형태와 같은 독립적인 구성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1블록 프레임의 전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며, 내면에 방수층이 형성되는 제2블록 프레임;
    상기 제1블록 프레임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지지패널이 내부 양측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지지패널을 관통하여 지지 프레임의 내부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과, 저장된 물을 회수하여 순환시키는 순환라인이 구성된 지지 프레임;
    상기 제1블록 프레임의 돌출부의 하부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측으로 공급되는 물을 일정량 저장하는 물 저장홈과, 상기 물 저장홈의 하측으로 지지 프레임과 공급 프레임을 연결하는 공급관이 결합되는 관 고정부와, 돌출부의 하단부와 밀착되게 구성되는 받침패널이 형성된 공급 프레임;
    상기 공급관에 삽입되며, 하단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저장되는 물을 흡수하고, 상단부가 상기 돌출부에 위치하여 흡수한 물을 유출홀측으로 토출시키는 물 흡수부재;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녹화 블록의 내부로 적층 구성되는 토양층들이 유출홀측으로 배출 및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수 필터망이 구성되고, 상기 물 흡수부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유출홀을 통해 유출시키는 밀폐부재;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급수라인과 연결되어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상기 순환라인과 연결되어 저장된 물을 순환시키는 배수라인과, 상기 급수라인과 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물 순환라인; 및
    상기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녹화 블록에 식생되는 식생물의 상부에서 일정량의 물을 분사하여 상기 식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물 분사 시스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원주면을 따라 상기 공급 프레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녹화 블록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홀이 구성되고,
    상기 공급 프레임에는 물 저장홈과 유입홀을 연결하여 저장된 물을 유입홀측으로 공급하는 연통홀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사 시스템은
    상기 공급라인과 연결되고, 공급되는 물을 흡입하는 흡입펌프가 장착된 흡입라인과,
    상기 흡입라인과 연결되며, 녹화 블록의 상부에 위치하여 흡입라인으로부터 제공되는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분사노즐이 다수 구성된 분사라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
KR1020160083589A 2016-07-01 2016-07-01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 KR101698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589A KR101698158B1 (ko) 2016-07-01 2016-07-01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589A KR101698158B1 (ko) 2016-07-01 2016-07-01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158B1 true KR101698158B1 (ko) 2017-01-19

Family

ID=5799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589A KR101698158B1 (ko) 2016-07-01 2016-07-01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5025A (zh) * 2017-09-12 2018-03-13 四川沃尔宜环保科技有限公司 生态保温防水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566B1 (ko) 2008-01-23 2008-06-19 건융건설 주식회사 조경 또는 방수를 위한 상부 패널, 이를 이용한 옥상 이중바닥 구조물 및 옥상 구조물
KR101135975B1 (ko) * 2009-04-20 2012-04-17 김범진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한 건식형 옥상 녹화패널
KR20150064758A (ko) * 2013-11-29 2015-06-12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KR101614442B1 (ko) * 2015-10-08 2016-04-22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방수방근공법을 이용한 유니트박스 녹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566B1 (ko) 2008-01-23 2008-06-19 건융건설 주식회사 조경 또는 방수를 위한 상부 패널, 이를 이용한 옥상 이중바닥 구조물 및 옥상 구조물
KR101135975B1 (ko) * 2009-04-20 2012-04-17 김범진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한 건식형 옥상 녹화패널
KR20150064758A (ko) * 2013-11-29 2015-06-12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KR101614442B1 (ko) * 2015-10-08 2016-04-22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방수방근공법을 이용한 유니트박스 녹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5025A (zh) * 2017-09-12 2018-03-13 四川沃尔宜环保科技有限公司 生态保温防水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059B1 (ko) 도로 미세먼지 및 지면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JP2018515070A (ja) 開孔浸透灌漑排水管及び密封式全自動浸透灌漑雨水回収全方位型プランタ
TWI577275B (zh) Building wall structure
KR101315287B1 (ko)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CN210226354U (zh) 一种用于房屋顶板景观的渗排水结构
KR101698158B1 (ko)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
KR101010730B1 (ko) 녹화용 식생패널
KR102092127B1 (ko) 다층재배용 점적강우관수 벙커식 비닐하우스 장치
CN213404292U (zh) 屋顶立体绿化循环系统
CN103899052B (zh) 绿能植栽复合结构系统
JP2000262150A (ja) 緑化用コンテナ
CN111719777B (zh) 建筑屋面的防水补强装置及施工方法
CN212427445U (zh) 一种海绵城市雨水处理系统
CN213044306U (zh) 一种市政工程用绿色环保墙体结构
JP4645169B2 (ja) 緑化基盤システム、スペーサ部材、及び緑化基盤システムの施工方法
CN211112994U (zh) 一种基于生态混凝土构建的城市透水性道路结构
TW201417701A (zh) 綠能植栽複合結構系統
KR100579758B1 (ko)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CN111567265A (zh) 高层建筑排水绿化装置
CN105123333A (zh) 冬暖式光伏农业大棚
CN214784677U (zh) 一种绿色节能建筑阳台结构
JP2007089412A (ja) 植裁用見切り材と植裁用見切り枠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緑化構造体
JP2003250365A (ja) 循環式散水方法及びその装置ならびに集水プレート
CN108625452A (zh) 一种海绵城市可组装式聚氨酯水景观生态自循环系统
CN219280813U (zh) 一种装配式雨水收集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