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130B1 -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130B1
KR102564130B1 KR1020220137106A KR20220137106A KR102564130B1 KR 102564130 B1 KR102564130 B1 KR 102564130B1 KR 1020220137106 A KR1020220137106 A KR 1020220137106A KR 20220137106 A KR20220137106 A KR 20220137106A KR 102564130 B1 KR102564130 B1 KR 102564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crop
beds
bed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연
한석수
Original Assignee
한석수
한상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석수, 한상연 filed Critical 한석수
Priority to KR1020220137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운영비용을 최소화하고 작물재배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하며 작물생육환경에 적합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 간 이격거리는 500mm±10%, 작업통로의 폭은 800mm±10%로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High Position Cultivating System for Vinyl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운영비용을 절감하고 작물재배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하며 작물생육환경에 적합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설재배장치는 주로 딸기, 상추, 고추, 미나리, 방울토마토, 멜론 등의 작물을 지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재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작물재배 베드로 이루어지는데, 종래에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형 고설재배장치가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지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형 고설재배장치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391430호 “식물 재배 베드 지지장치”에는, 상측에 식물 재배 베드가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가 상측에 결합되며, 하측 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에 결합되어 상기 톱니와 맞물리는 회전 기어의 회전을 통해 상기 이송대를 좌우 양측으로 이송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가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대를 지지하고, 상기 이송대의 홈에 삽입되는 바퀴가 상측에 결합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대를 수직으로 고정시키며, 지면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고정대를 포함하는 이동형 고설재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514065호 “고설재배장치”에는, 지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는 다수의 지지부재와,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지지부재들에 지지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거치봉이 마련된 지지유닛과, 거치봉에 지지되며, 내부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이 마련되고, 하면에 배수공이 형성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식재함을 구비하는 고정형 고설재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809043호 “공간활용을 위한 고설재배용 베드의 이동장치”에는 하우스 내에 이동레일을 설치하고, 재배용 베드가 설치되는 고정대 하단에 주행롤러를 설치하고, 고정대 하단에 설치된 주행롤러가 이동레일 상에 위치되어 재배용 베드가 이동되게 함으로서, 재배용 베드를 근접설치하더라도, 좌우로 이동시켜 재배용 베드 사이에 충분한 작업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한 이동형 고설재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2249233호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에는 하우스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하우스 기둥; 상기 복수개의 하우스 기둥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배치되며, 상부에 식물이 식립되는 한 쌍의 고정형 재배베드; 상기 한 쌍의 고정형 재배베드의 사이에 구비되고, 폭방향으로 수평이동가능 하도록 구비되며, 상부에 식물이 식립되는 복수개의 이동형 재배베드; 상기 이동형 재배베드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형 재배베드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형 고설재배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들 중 고정형 고설재배장치는 지면에 고정된 형태로 고설재배장치 사이에 작업자와 필요한 기구들이 통과하고 배양토 교체, 작물수확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통로 확보를 위해 간격을 띄워 설치하기 때문에 비닐하우스의 바닥면적에 비해 작물재배면적이 작은 문제가 있었으며, 이동형 고설재배장치는 상기와 같은 고정형 고설재배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는 했지만 작물재배면적을 크게 하는데 치중하여,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들이 서로 밀착되어 작물들이 자라면서 줄기가 뒤엉켜버리는 등 작물생육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391430호 “식물 재배 베드 지지장치”(2014. 4. 25. 등록) 등록특허 제1514065호 “고설재배장치”(2015. 4. 15. 등록) 등록특허 제1809043호 “공간활용을 위한 고설재배용 베드의 이동장치”(2017. 12. 8. 등록) 등록특허 제2249233호 “고설재배베드 시스템”(2021. 4. 30. 등록)
본 발명은 설치·운영비용을 최소화하고 작물재배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하며 작물생육환경에 적합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은, 비닐하우스의 지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레일(10), 상기 레일(10) 위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20) 하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바퀴(3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작물재배 베드(40),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상기 레일(10) 위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60)를 포함하며, 비닐하우스의 일정 면적에 상기 작물재배 베드(40)를 종(縱)방향으로 배치함에 있어서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 간 이격거리는 450mm∼550mm로 하고,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의 재배작업을 위한 작업통로(50)는 상기 레일(10) 위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을 횡(橫)방향으로 좌·우 이동시켜 그 폭을 720mm∼880mm로 확보하며, 상기 작업통로(50)의 확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일시적으로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 간 이격거리가 450mm보다 작아지더라도 재배작업을 하고 난 직후에는 다시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 간 이격거리가 450mm∼550mm로 유지되도록 상기 레일(10) 위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비닐하우스의 종으로 긴 바닥면적에 좌측으로부터, 좌측단의 마주 보는 2개의 작물재배 베드(40)의 재배작업 시에는 우측 작물재배 베드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작업통로를 확보하고, 작업 직후 우측 작물재배 베드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마주 보는 2개의 작물재배 베드(40) 간 상기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다음 마주 보는 2개의 작물재배 베드의 재배작업 시 에는 우측 작물재배 베드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작업통로를 확보하고, 작업 직후 우측 작물재배 베드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마주 보는 2개의 작물재배 베드(40) 간 상기 이격거리를 확보하며, 다음 마주 보는 2개의 작물재배 베드의 재배작업 시에는 우측 작물재배 베드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작업통로를 확보하고, 작업 직후 우측 작물재배 베드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마주 보는 2개의 작물재배 베드(40) 간 상기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작업하며, 우측단의 작물재배 베드의 재배작업 시에는 좌측 작물재배 베드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작업통로를 확보하고, 작업 직후 좌측 작물재배 베드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마주 보는 2개의 작물재배 베드(40) 간 상기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10)이 설치된 비닐하우스의 바닥이 완전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장치(60)가 작동을 멈춘 후에도 지지프레임(20)과 작물재배 베드(40)의 자중에 의해 바퀴(30)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레일(10)에 착탈식 스토퍼(66)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치·운영비용을 최소화하고 작물재배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하며 작물생육환경에 적합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비교예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의 작물재배 베드와 작업통로를 나타내는 도면(A)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의 작물재배 베드의 이동과 작업통로를 나타내는 도면(B)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설치·운영비용을 최소화하고 작물재배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하며 작물생육환경에 적합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비교예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의 작물재배 베드와 작업통로를 나타내는 도면(A)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의 작물재배 베드의 이동과 작업통로를 나타내는 도면(B)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100)은 비닐하우스의 지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레일(10), 상기 레일(10) 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20) 하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바퀴(3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작물재배 베드(40),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상기 레일(10) 위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6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작물재배 베드(40)는 고설재배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비닐하우스의 일정 면적에 상기 작물재배 베드(40)를 종(縱)방향으로 배치함에 있어서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 간 이격거리는 450mm∼550mm로 한다.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 간 이격거리가 450mm보다 작으면 작물재배 베드(40)에 파종한 작물들이 자라면서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의 작물과 줄기가 뒤엉켜 이를 풀어주는데 인력이 소요되며 작물이 훼손될 우려도 있다.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 간 이격거리가 550mm보다 크면 비닐하우스의 바닥면적에 비해 작물재배면적이 너무 작아지는 문제가 생긴다.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의 작업통로(50)는 상기 레일(10) 위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을 횡(橫)방향으로 좌·우 이동시켜 그 폭을 720mm∼880mm로 확보한다. 상기 작업통로(50)의 폭이 720mm보다 작으면 작업통로(50)의 폭이 좁아 작업을 하기에 불편하게 되며, 상기 작업통로(50)의 폭이 880mm보다 크면 비닐하우스의 바닥면적에 비해 작물재배면적이 너무 작아지는 문제가 생긴다.
상기 작업통로(50)의 확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일시적으로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 간 이격거리가 450mm보다 작아질 수도 있지만, 작업을 하고 난 직후에는 다시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 간 이격거리가 450mm∼550mm로 유지되도록 상기 레일(10) 위에서 지지프레임(2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상기 레일(10) 위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60)는 가장 간단하게 상기 레일(10)과 지지프레임(20) 하단의 바퀴(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상기 레일(10) 위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인력으로 밀거나 당겨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60)는 상기 레일(10) 및 바퀴(30), 핸들(61) 및 상기 핸들(61)을 돌려 바퀴(3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프라켓(63)과 체인(6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상기 핸들(61)을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상기 바퀴(30)를 회전시켜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60)는 상기 레일(10) 및 바퀴(30), 모터(62) 및 상기 모터(62)를 구동시켜 바퀴(3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프라켓(63)과 체인(6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상기 모터(6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바퀴(30)를 회전시켜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60)는 상기 레일(10), 바퀴(30), 핸들(61) 및 상기 핸들(61)을 돌려 바퀴(3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프라켓(63)과 체인(64) 및 모터(62), 상기 모터(62)를 구동시켜 바퀴(3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프라켓(63)과 체인(6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정전·고장 등으로 모터(62)가 구동이 되지 않는 경우에만 핸들(61)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62)는 모터(62)의 구동에 따라 바퀴(30)가 회전하여 정해진 거리를 이동하게 되면 모터(62)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위치조절용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60)에는 모터(62)와 연결되어, 모터(62)의 구동에 따라 바퀴(30)가 회전하여 정해진 거리를 이동하게 되면 모터(62)의 구동을 멈추게 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리미트스위치(65 ; 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60) 관련 구성은 모두 공지된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레일(10)에는 착탈식 스토퍼(66 ; 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레일(10)이 설치된 비닐하우스의 바닥이 완전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상기 이동장치(60)가 작동을 멈춘 후에도 시간이 가면 지지프레임(20)과 작물재배 베드(40)의 자중에 의해 바퀴(30)가 움직여서 스스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지지프레임(20)이 이동하지 않도록 레일(10)에 착탈식 스토퍼(66)를 끼워 바퀴(30)가 움직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스토퍼(66)는 바퀴(30)를 움직이지 않게만 하면 되며 그 형상이나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비닐하우스 바닥의 일정 면적에 종방향으로 9개의 폭 400mm인 작물재배 베드(40)를,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 간 이격거리를 500mm로 하여 배치하였다.
재배작업의 효율화를 위해 9개 작물재배 베드(40)에 베드번호 표지판을 부착하였으며, 지지프레임(20)의 이동장치(60)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장치를 사용하였다.
작업통로(50)는 지지프레임(2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폭을 800mm로 확보하였으며,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의 재배작업 직후 작물재배 베드(40) 간 이격거리가 500mm보다 작은 경우에는 작물재배 베드(40)를 이동시켜 작물재배 베드(40) 간 이격거리를 500mm로 유지하였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2 작물재배 베드의 재배작업 시에는 제2 작물재배 베드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작업통로(50)를 확보하고, 작업 직후 제2 작물재배 베드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1, 2 작물재배 베드 간 이격거리 500mm를 확보하였다.
제3, 4 작물재배 베드의 재배작업 시에는 제4 작물재배 베드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작업통로(50)를 확보하고, 작업 직후 제4 작물재배 베드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3, 4 작물재배 베드 간 이격거리 500mm를 확보하였다.
제5, 6 작물재배 베드의 재배작업 시에는 제6 작물재배 베드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작업통로(50)를 확보하고, 작업 직후 제6 작물재배 베드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5, 6 작물재배 베드 간 이격거리 500mm를 확보하였다.
제7, 8 작물재배 베드의 재배작업 시에는 제8 작물재배 베드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작업통로(50)를 확보하고, 작업 직후 제8 작물재배 베드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7, 8 작물재배 베드 간 이격거리 500mm를 확보하였다.
제9 작물재배 베드의 재배작업 시에는 제8 작물재배 베드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작업통로(50)를 확보하고, 작업 직후 제8 작물재배 베드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8, 9 작물재배 베드 간 이격거리 500mm를 확보하였다.
<비교예>
실시예와 동일한 바닥면적에 레일이나 지지프레임의 바퀴 없이 지면에 지지프레임과 폭 400mm인 작물재배 베드를 설치하고, 작물재배 베드 사이에 작업통로의 폭을 800mm로 하여 7개 작물재배 베드를 종방향으로 배치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를 대비하면 동일한 바닥면적에 실시예의 경우에는 9개 작물재배 베드를 설치하게 되고, 비교예의 경우에는 7개 작물재배 베드를 설치하게 되어, 동일한 바닥면적 대비 작물재배 면적이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보다 29%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9/7 = 1.29).
동일한 바닥면적에서, 비교예의 고정형 고설재배장치는 7개 작물재배 베드가 배치되고 6개 작업통로가 확보되며 작물재배 베드 간 이격거리가 과다하게 된데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동형 고설재배시스템에서는 9개 작물재배 베드가 배치되고 5개 작업통로가 확보되며 작물재배 베드 간 이격거리가 적정하게 유지되었다.
동일한 작물재배면적을 확보할 경우에는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훨씬 작은 바닥면적을 차지하게 되는 것이며, 그에 따라 고설재배장치의 설치에 필요한 토지비용과 비닐하우스의 냉난방비 등 운용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에 의하면, 충분한 작업통로를 확보하여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면서도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 간 이격거리를 유지하여 작물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대법원은 “특허등록된 발명이 그 출원 전에 공지된 발명이 가지는 구성요소의 범위를 수치로써 한정하여 표현한 경우에 있어, 그 특허발명의 과제 및 효과가 공지된 발명의 연장 선상에 있고 수치한정의 유무에서만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그 한정된 수치범위 내외에서 현저한 효과의 차이가 생기지 않는다면 그 특허발명은 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이고 반복적인 실험을 통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정도의 단순한 수치한정에 불과하여 진보성이 부정된다. 다만, 그 특허발명에 진보성을 인정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가 부가되어 있어서 그 특허발명에서의 수치한정이 보충적인 사항에 불과하거나, 수치한정을 제외한 양 발명의 구성이 동일하더라도 그 수치한정이 공지된 발명과는 상이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수단으로서의 의의를 가지고 그 효과도 이질적인 경우라면, 수치한정의 임계적 의의가 없다고 하여 특허발명의 진보성이 부정되지 아니한다.”라고 판시한 바 있습니다(대법원 2010. 8.19. 선고 2008후4998 판결).
본 발명에는 선행기술에 공지된 구성요소인 작물재배 베드와 작업통로에, 공지되지 않은 구성요소인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 간 이격거리, 작업통로의 폭이라는 구성요소가 부가되어 있어서 수치한정의 임계적 의의가 없다고 하여 본 발명의 진보성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10 : 레일 20 : 지지프레임
30 : 바퀴 40 : 작물재배 베드
50 : 작업통로 60 : 이동장치
61 : 핸들 62 : 모터
63 : 스프라켓 64 : 체인
65 : 리미트스위치 66 : 착탈식 스토퍼

Claims (2)

  1. 비닐하우스의 지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레일(10), 상기 레일(10) 위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20) 하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바퀴(3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작물재배 베드(40),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상기 레일(10) 위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60)를 포함하며,
    비닐하우스의 일정 면적에 상기 작물재배 베드(40)를 종(縱)방향으로 배치함에 있어서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 간 이격거리는 450mm∼550mm로 하고,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의 재배작업을 위한 작업통로(50)는 상기 레일(10) 위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을 횡(橫)방향으로 좌·우 이동시켜 그 폭을 720mm∼880mm로 확보하며,
    상기 작업통로(50)의 확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일시적으로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 간 이격거리가 450mm보다 작아지더라도 재배작업을 하고 난 직후에는 다시 마주 보는 작물재배 베드(40) 간 이격거리가 450mm∼550mm로 유지되도록 상기 레일(10) 위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비닐하우스의 종으로 긴 바닥면적에 좌측으로부터, 좌측단의 마주 보는 2개의 작물재배 베드(40)의 재배작업 시에는 우측 작물재배 베드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작업통로를 확보하고, 작업 직후 우측 작물재배 베드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마주 보는 2개의 작물재배 베드(40) 간 상기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다음 마주 보는 2개의 작물재배 베드의 재배작업 시 에는 우측 작물재배 베드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작업통로를 확보하고, 작업 직후 우측 작물재배 베드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마주 보는 2개의 작물재배 베드(40) 간 상기 이격거리를 확보하며,
    다음 마주 보는 2개의 작물재배 베드의 재배작업 시에는 우측 작물재배 베드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작업통로를 확보하고, 작업 직후 우측 작물재배 베드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마주 보는 2개의 작물재배 베드(40) 간 상기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작업하며,
    우측단의 작물재배 베드의 재배작업 시에는 좌측 작물재배 베드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작업통로를 확보하고, 작업 직후 좌측 작물재배 베드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마주 보는 2개의 작물재배 베드(40) 간 상기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0)이 설치된 비닐하우스의 바닥이 완전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장치(60)가 작동을 멈춘 후에도 지지프레임(20)과 작물재배 베드(40)의 자중에 의해 바퀴(30)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레일(10)에 착탈식 스토퍼(66)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KR1020220137106A 2022-10-24 2022-10-24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KR102564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106A KR102564130B1 (ko) 2022-10-24 2022-10-24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106A KR102564130B1 (ko) 2022-10-24 2022-10-24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130B1 true KR102564130B1 (ko) 2023-08-04

Family

ID=87568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106A KR102564130B1 (ko) 2022-10-24 2022-10-24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13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342B1 (ko) * 2011-09-02 2012-05-14 김숙자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KR101391430B1 (ko) 2013-07-17 2014-05-07 박천규 식물 재배 베드 지지장치
KR20140064011A (ko) * 2012-11-19 2014-05-28 지에프씨영농조합법인 수경재배 장치
KR101514065B1 (ko) 2013-12-31 2015-04-22 (주)환경개발시스템 고설재배장치
JP2016182040A (ja) * 2015-03-25 2016-10-20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作物栽培装置
KR101809043B1 (ko) 2017-03-13 2017-12-14 김영철 공간활용을 위한 고설재배용 베드의 이동장치
KR20180004440A (ko) * 2016-07-04 2018-01-12 (주)헬퍼로보텍 양송이 버섯 재배사용 배지 자동화설비
KR20200054850A (ko) * 2018-11-10 2020-05-20 변종기 고설재배베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342B1 (ko) * 2011-09-02 2012-05-14 김숙자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KR20140064011A (ko) * 2012-11-19 2014-05-28 지에프씨영농조합법인 수경재배 장치
KR101391430B1 (ko) 2013-07-17 2014-05-07 박천규 식물 재배 베드 지지장치
KR101514065B1 (ko) 2013-12-31 2015-04-22 (주)환경개발시스템 고설재배장치
JP2016182040A (ja) * 2015-03-25 2016-10-20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作物栽培装置
KR20180004440A (ko) * 2016-07-04 2018-01-12 (주)헬퍼로보텍 양송이 버섯 재배사용 배지 자동화설비
KR101809043B1 (ko) 2017-03-13 2017-12-14 김영철 공간활용을 위한 고설재배용 베드의 이동장치
KR20200054850A (ko) * 2018-11-10 2020-05-20 변종기 고설재배베드 시스템
KR102249233B1 (ko) 2018-11-10 2021-05-10 변종기 고설재배베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7579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he transfer of horticultural products between cultivation racks
KR101022025B1 (ko) 식물 재배 장치
JP2006507848A (ja) 養液栽培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養液栽培ポート
KR101145342B1 (ko) 딸기의 고설재배 장치
US11957091B2 (en) Cultivation arrangement and method
KR102564130B1 (ko)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KR100921605B1 (ko) 재배효율을 향상시킨 수평형 작물 재배장치
KR101514400B1 (ko) 행거식 순환형 딸기 재배시스템
KR200327215Y1 (ko)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JP3001511B2 (ja) 栽培装置
JP6544745B2 (ja) 園芸作物の温室栽培方法およびその栽培装置
JP4861728B2 (ja) 栽培ベンチ循環型栽培システムおよび栽培装置
WO2013041874A1 (en) Improved substrate growing system
KR100939898B1 (ko) 재배효율을 향상시킨 수직형 작물 재배장치
KR101409097B1 (ko) 이동식 베드 장치
KR101514396B1 (ko) 거치식 순환형 딸기 재배 시스템
JP4422368B2 (ja) 温室栽培装置
JP6064193B2 (ja) 栽培装置、栽培システム、植物の栽培方法
EP1310157B1 (en) Device and greenhouse for growing plants
KR20210144358A (ko)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KR101860305B1 (ko) 하우스용 대량재배형 양액재배시설장치
JP2804759B2 (ja) 植物栽培装置
CN115316150A (zh) 一种用于解决设施栽培下作物连作障碍的换土装置及方法
KR20230164425A (ko) 거터 자동 순환 식물 재배 시스템
JP2007044006A (ja) 植物栽培方法及び植物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