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233B1 - 고설재배베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설재배베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233B1
KR102249233B1 KR1020190069525A KR20190069525A KR102249233B1 KR 102249233 B1 KR102249233 B1 KR 102249233B1 KR 1020190069525 A KR1020190069525 A KR 1020190069525A KR 20190069525 A KR20190069525 A KR 20190069525A KR 102249233 B1 KR102249233 B1 KR 102249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movable
cultivation bed
beds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4850A (ko
Inventor
변종기
Original Assignee
변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종기 filed Critical 변종기
Publication of KR2020005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스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하우스기둥; 상기 복수개의 하우스기둥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배치되며, 상부에 식물이 식립되는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의 사이에 구비되고, 폭방향으로 수평이동가능 하도록 구비되며, 상부에 식물이 식립되는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형재배베드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장치의 구동을 무선제어하는 무선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형재배베드는 길이방향이 서로 맞닿아 고정결합되고, 상기 이동장치에 연결되어 폭방향으로 함께 수평이동하는 제1,2재배베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재배베드는 상기 고정형재배베드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장치와 연결되는 제1이동프레임과, 상기 제1이동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면에 식립공간을 형성하여 식물이 식립되는 제1이동재배부를 포함하는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가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 사이에서 수평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배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재배면적 당 단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형재배베드의 이동을 무선으로 제어가능하여 이동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이동형재배배드의 제1,2재배베드가 길이방향이 서로 맞닿아 고정결합됨으로써 함께 수평이동가능하여, 한번의 이동으로 양측의 재배베드의 관리가 가능하여 작업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설재배베드 시스템{SYSTEM FOR HIGH-POSITION CULTIVATING BED}
본 발명은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설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고설재배베드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재배 면적표율을 향상시킨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은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인 채소나 과일의 모종 재배에 사용되기도 하며, 주로 딸기, 방울토마토, 메론 등의 재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은, 수확 및 재배기간이 길어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함에 따라, 작업자가 편하게 선 자세로 재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고설 재배베드를 이용함에 따라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상기한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입설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고 일정 두께로 토양이 깔린 재배용기로 이루어지는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35431호에는 고설 재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은, 골과 골 사이의 이동이 용이한 토경 재배와 달리 고설 재배 베드 사이를 넘어서 이동하지 못하는 제약이 발생한다. 일반적인 고설 재배 베드 배치 시에는 작업자 통행 및 작업 공간 마련을 위해 베드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띄우게 된다. 이로 인해 고설 재배 베드 설치 면적에 상당하는 공간을 비워둬야 하므로 하우스 바닥 면적 대비 재배 면적 비율은 줄어들게 되고, 재배 면적을 늘리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토지 구입 및 하우스 시설 증설 등의 비용을 지급해야 한다.
또한, 비어 있는 공간을 줄이기 위해 롤러 시스템과 같은 고설 재배 베드 이동 장치를 적용할 수 있으나, 배양토를 포함한 고중량의 길이가 긴 고설 재배 베드를 베드 끝 단에서 한 명의 작업자가 움직이기에는 복잡한 롤러 구조를 적용하거나 동력 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상기한 롤러 시스템을 보조하기 위해 구동 모터와 같은 이동용 동력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면, 작업자가 동력 장치를 가동하기 위해서 고설 재배 베드 마다 다수 개의 작동 버튼을 설치하여 조작하거나, 제어반으로 이동하여 작동 버튼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고설재배베드를 이동시키기 용이하여 재배면접 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업효율을 증대시킨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스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하우스기둥; 상기 복수개의 하우스기둥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배치되며, 상부에 식물이 식립되는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의 사이에 구비되고, 폭방향으로 수평이동가능 하도록 구비되며, 상부에 식물이 식립되는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형재배베드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장치의 구동을 무선제어하는 무선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형재배베드는 길이방향이 서로 맞닿아 고정결합되고, 상기 이동장치에 연결되어 폭방향으로 함께 수평이동하는 제1,2재배베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재배베드는 상기 고정형재배베드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장치와 연결되는 제1이동프레임과, 상기 제1이동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면에 식립공간을 형성하여 식물이 식립되는 제1이동재배부를 포함하는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형재배베드는, 상기 하우스기둥의 일측에 고정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면에 식립공간을 형성하여 식물이 식립되는 고정재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 2재배베드는, 상기 제 1이동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1재배베드와 함께 이동하는 제 2이동프레임과, 상기 제 2이동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면에 식립공간을 형성하여 식물이 식립되는 제 2이동재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하우스의 지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형재배베드의 폭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이동형재배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이동형재배베드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제어부는, 상기 이동형재배베드를 각각 상기 고정형재배베드측으로 이동시켜 중앙통로를 형성시키는 중앙모드부와, 좌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를 우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측으로 이동시켜 좌측통로를 형성시키는 좌측모드부와, 우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를 좌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측으로 이동시켜 우측통로를 형성시키는 우측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제어부는, 상기 하우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 및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에 급수하는 관수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 및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에 급수되는 물, 물거름 및 농약을 제어하는 관수탱크제어부와, 상기 하우스의 측창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 및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에 인가되는 하우스 내부 환경을 제어하는 측창 및 환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가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 사이에서 수평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배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재배면적 당 단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형재배베드의 이동을 무선으로 제어가능하여 이동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이동형재배배드의 제1,2재배베드가 길이방향이 서로 맞닿아 고정결합됨으로써 함께 수평이동가능하여, 한번의 이동으로 양측의 재배베드의 관리가 가능하여 작업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의 고정형재배베드, 이동형재베베드 및 이동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의 무선제어부의 중앙모드부, 좌측모드부, 우측모드부에 따른 고정형재배베드, 이동형재베베드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의 무선제어부의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의 무선제어부의 Wi-Fi 통신 모듈 세트 구성도,
도 6는, 도 1에 도시한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의 무선제어부의 중앙모드부, 좌측모드부, 우측모드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의 무선제어부의 서버의 구성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한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의 구성도,
도 9는, 도 1에 도시한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의 무선제어부의 서버 컴퓨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화면이미지,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의 무선제어부의 모바일 또는 원격 컴퓨터 장치에 표시되는 웹브라우저 사용자 화면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설재배베드 시스템(10)은, 미나리, 딸기와 같이 고설에서 재배되는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하우스(h)에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설재배베드 시스템(10)은 복수개의 하우스기둥(100),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200),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300), 이동장치(400), 무선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하우스기둥(100)는 하우스(H)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하우스기둥(100)은 하우스(H)를 지지하는 기둥인 것으로, 상기 하우스(H)의 내측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된다. 부연하면 상기 복수개의 하우스기둥(100)은 단동형 하우스나 연동형 하우스에서 하우스(H) 지붕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스(H)의 양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200)는 고정설치되는 고설재배베드인 것으로, 상기 복수개의 하우스기둥(100)의 일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200)는 상기 하우스(h)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배치되며, 상부에 식물이 식립된다. 상기 고정형재배베드(200)는, 고정프레임(210)과 고정재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10)는 상기 하우스기둥(100)의 일측에 고정배치된다. 즉 상기 고정프레임(210)은 상기 복수개의 하우스기둥(100)을 따라 고정배치되며, 상기 하우스(H)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재배부(220)는 식물을 식립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즉, 상기 고정재배부(220)는,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고설재배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 식립공간을 형성하여 식립공간 내에 식물이 식립된다.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300)는 식물을 식립하기 위한 고설재배베드인 것으로,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200)의 사이에 구비된다. 부연하면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300)는 상기 고정형재배배드(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300)는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200)의 사이에 구비되어 폭방향으로 수평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300)는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200)의 사이에 폭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공간을 형성하여 식물을 재배하는데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는, 제 1, 2재배베드(310,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2재배베드(310,320)는 길이방향이 서로 맞닿아 고정결합되고, 상기 이동장치(400)에 연결되어 폭방향으로 함께 수평이동한다. 상기 제 1재배베드(310)는, 제 1이동프레임(311)과, 제 1이동재배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재배베드(320)는, 제 2이동프레임(321)과, 제 2이동재배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이동프레임(311)은 상기 고정형재배베드(200)의 일측에 배치되고 후술(後述) 할 이동장치(400)와 연결된다. 즉 상기 제 1이동프레임(311)은 이동장치(400)가 연결되어 폭방향으로 함께 수평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이동재배부(312)는 식물이 식립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이동프레임(311)의 상부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제 1이동재배부(312)는, 상기 제 1이동프레임(3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고설재배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 식립공간을 형성하여 식립공간 내에 식물이 식립된다.
상기 제 2이동프레임(321)은 상기 제 1이동프레임(311)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장치(400)와 연결되어 상기 제1재배베드(310)와 함께 이동한다. 즉 상기 제 2이동프레임(321)은 상기 제1이동프레임(311)의 길이방향이 맞닿아 고정결합되어, 폭방향으로 함께 수평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이동재배부(322)는 식물이 식립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2이동프레임(321)의 상부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제 2이동재배부(322)는, 상기 제 1이동프레임(321)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고설재배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 식립공간을 형성하여 식물이 식립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400)는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형재재배베드(300)의 하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이동장치(400)는 액추에이터와 같은 구동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를 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직선왕복운동 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400)는, 가이드레일(410)과, 복수개의 바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410)은 상기 하우스(h)의 지면상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410)은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의 폭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바퀴(420)는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복수개의 바퀴(420)는 상기 상기 가이드레일(4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1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를 폭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복수개의 바퀴(420)는 상기 제 1이동프레임(311) 및 상기 제 2이동프레임(32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제어부(500)는 상기 이동장치(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장치(400)의 구동을 무선제어한다. 즉 상기 무선제어부(500)는 근거리 무선통신 등을 이용하여 사무실과 같은 실내에 설치된 컴퓨터 단말기나 작업자가 가진 모바일 디바이스 등을 통해 상기 이동장치(40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를 이동시켜 상기 고정형재배베드(200) 및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사이의 공간을 확보하여 작업공간을 마련할 수 있으며, 무선제어함으로써 이동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무선제어부(500)는 Wi-Fi 통신 모듈 세트(502)이 구비되며, 네트워크 중계장치(503)를 통해 서버(500)와 통신하는 Wi-Fi 통신 모듈(210)를 포함하고, 장소에 제약 없이 상기 이동장치(400)와 상기 이동장치(400)를 구동시키게 하는 모터 드라이브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Wi-Fi 통신 모듈(5021)은 ESP8266 통신 칩을 내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데이터 베이스(5043)에 작업자가 모바일장치(501)를 통해 설정한 구동 값을 조회하여 다수 개의 입출력 포트에 연결된 모터 드라이브에 해당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이동장치(4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구동 값은 0은 대기, 1은 정방향 구동, 2는 역방향 구동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400)에는 릴레이와 모터 드라이브가 있으며 구동 값에 따라 켜짐/꺼짐, 또는 정방향/역방향/대기 등의 동작을 수행가능하다.
상기 네트워크 중계 장치(503)는 작업자의 모바일 장치(501), Wi-Fi 통신 모듈 세트(502)가 원격에서 서버(504)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유무선 공유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중계장치(503)에는 Wi-Fi 통신 모듈을 다수 개 연계하고 별도의 IP 주소를 부여하면 접속된 다수의 Wi-Fi 통신 모듈을 네트워크 중계 장치를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제어부(500)는, 중앙모드부(510), 좌측모드부(520), 우측모드부(530), 관수탱크제어부(540), 측창 및 환기 제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모드부(510)는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를 각각 상기 고정형재배베드(200)측으로 이동시켜 중앙통로(C)를 형성시킨다. 즉 사용자는 상기 좌측모드부(520)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를 각각 상기 고정형재배베드(200)측으로 이동시켜 중앙통로(C)를 형성시킴으로써, 중앙통로(C)의 양측으로 한 쌍의 상기 제 2재배베드(320)가 배치되어 모두 재배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좌측모드부(520)는 좌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를 우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측으로 이동시켜 좌측통로(L)를 형성시킨다. 즉 사용자는 상기 좌측모드부(520)를 이용하여 좌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를 우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측(300)측으로 이동시켜 좌측통로(L)를 형성시킴으로써, 좌측통로(L)의 양측으로 상기 제 1재배베드(310)와 상기 고정형재배베드(200)가 배치되어 모두 재배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우측모드부(530)는 우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를 좌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측으로 이동시켜 우측통로(R)를 형성시킨다. 즉 사용자는 상기 우측모드부(530)를 이용하여 우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를 좌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측으로 이동시켜 우측통로(R)를 형성시킴으로써, 우측통로(R)의 양측으로 상기 제 1재배베드(310)와 상기 고정형재배베드(200)가 배치되어 모두 재배작업이 가능하다.
부연하면 상기 모바일 장치(501)는 원격에서 서버(504)의 데이터 베이스(5043)에 해당 명령을 기록하고, Wi-Fi 통신 모듈(5021)은 이러한 명령을 PHP(5042) 통해 읽어서 상기 이동장치(400)에 구동 명령어가 전달되게 한다. 이를 통해, 장소에 제약 없이 상기 이동형재배베드(300)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관수탱크제어부(540)는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200) 및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300)에 급수되는 물, 물거름 및 농약을 무선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관수탱크와 연결된다. 즉 상기 관수탱크는 상기 하우스(h)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200) 및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300)에 급수하며, 상기 상기 관수탱크제어부(540)는 기저장된 데이터 및 센서의 감지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200) 및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300)에 급수되는 물, 물거름 및 농약을 무선제어할 수 있다.
상기 측창 및 환기 제어부(550)는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200) 및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300)에 인가되는 하우스 내부 환경을 무선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측창 및 환풍 시스템과 연결된다. 즉, 상기 측창 및 환기 제어부(550)는 상기 하우스(h)의 측창에 연결되어, 기저장된 데이터 및 센서의 감지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200) 및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300)에 인가되는 하우스 내부 환경을 무선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7를 참조하면 서버(504)는 해당 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서버 컴퓨터로서 Wi-Fi 통신 모듈(5021)과 작업자가 원격 접속하여 상기 이동장치(400)를 구동하게 하고, 구동 설정 값을 데이터 베이스(5043)에 저장하게 한다.
상기 서버(504)에는 HTTP 통신용 웹서버(5041), PHP(5042), 데이터 베이스(504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HTTP 통신용 웹서버(5041)는 Wi-Fi 통신 모듈(5021)과 HTTP 통신을 하게 하며, 상기 PHP(5042)는 HTTP 통신을 통해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구동 및 측정 정보를 조회, 입력하게 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5043)는 구동값 설정, 현황 및 이력 등이 관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설재배베드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가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 사이에서 수평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배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재배면적 당 단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형재배베드의 이동을 무선으로 제어가능하여 이동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이동형재배배드의 제1,2재배베드가 길이방향이 서로 맞닿아 고정결합됨으로써 함께 수평이동가능하여, 한번의 이동으로 양측의 재배베드의 관리가 가능하여 작업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고설재배베드 시스템
100 : 하우스기둥 200 : 고정형재배베드
210 : 고정프레임 220 : 고정재배부
300 : 이동형재배베드 310 : 제 1재배베드
311 : 제 1이동프레임 312 : 제 1이동재배부
320 : 제 2재배베드 321 : 제 2이동프레임
322 : 제 2이동재배부 400 : 이동장치
410 : 가이드레일 420 : 바퀴
500 : 무선제어부 510 : 중앙모드부
520 : 좌측모드부 530 : 우측모드부
540 : 관수탱크제어부 550 : 측창 및 환기 제어부

Claims (8)

  1. 하우스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하우스기둥;
    상기 복수개의 하우스기둥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배치되며, 상부에 식물이 식립되는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의 사이에 구비되고, 폭방향으로 수평이동가능 하도록 구비되며, 상부에 식물이 식립되는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형재배베드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장치의 구동을 무선제어하는 무선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형재배베드는,
    길이방향이 서로 맞닿아 고정결합되고, 상기 이동장치에 연결되어 폭방향으로 함께 수평이동하는 제1,2재배베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재배베드는,
    상기 고정형재배베드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장치와 연결되는 제1이동프레임과,
    상기 제1이동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면에 식립공간을 형성하여 식물이 식립되는 제1이동재배부를 포함하는 고설재배베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재배베드는,
    상기 하우스기둥의 일측에 고정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면에 식립공간을 형성하여 식물이 식립되는 고정재배부를 포함하는 고설재배베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재배베드는,
    상기 제 1이동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1재배베드와 함께 이동하는 제 2이동프레임과,
    상기 제 2이동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면에 식립공간을 형성하여 식물이 식립되는 제 2이동재배부를 포함하는 고설재배베드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하우스의 지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형재배베드의 폭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이동형재배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이동형재배베드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를 포함하는 고설재배베드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제어부는,
    상기 이동형재배베드를 각각 상기 고정형재배베드측으로 이동시켜 중앙통로를 형성시키는 중앙모드부와,
    좌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를 우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측으로 이동시켜 좌측통로를 형성시키는 좌측모드부와,
    우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를 좌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형재배베드측으로 이동시켜 우측통로를 형성시키는 우측모드부를 포함하는 고설재배베드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제어부는,
    상기 하우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 및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에 급수하는 관수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 및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에 급수되는 물, 물거름 및 농약을 제어하는 관수탱크제어부와,
    상기 하우스의 측창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형재배베드 및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재배베드에 인가되는 하우스 내부 환경을 제어하는 측창 및 환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설재배베드 시스템.
KR1020190069525A 2018-11-10 2019-06-12 고설재배베드 시스템 KR102249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37716 2018-11-10
KR1020180137716 2018-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850A KR20200054850A (ko) 2020-05-20
KR102249233B1 true KR102249233B1 (ko) 2021-05-10

Family

ID=7091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525A KR102249233B1 (ko) 2018-11-10 2019-06-12 고설재배베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130B1 (ko) 2022-10-24 2023-08-04 한석수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089B1 (ko) * 2024-02-13 2024-05-14 임순자 식물 재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4762A (ja) * 2002-03-25 2003-09-30 Noborien:Kk 移動式植栽構築物および緑化ゲート
KR200439544Y1 (ko) 2007-08-09 2008-04-17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전동식 모빌랙
JP2016182040A (ja) 2015-03-25 2016-10-20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作物栽培装置
KR101809043B1 (ko) * 2017-03-13 2017-12-14 김영철 공간활용을 위한 고설재배용 베드의 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212A (ko) * 2015-11-18 2017-05-26 (주)성진테크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작물재배용 하우스 원격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4762A (ja) * 2002-03-25 2003-09-30 Noborien:Kk 移動式植栽構築物および緑化ゲート
KR200439544Y1 (ko) 2007-08-09 2008-04-17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전동식 모빌랙
JP2016182040A (ja) 2015-03-25 2016-10-20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作物栽培装置
KR101809043B1 (ko) * 2017-03-13 2017-12-14 김영철 공간활용을 위한 고설재배용 베드의 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130B1 (ko) 2022-10-24 2023-08-04 한석수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850A (ko)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233B1 (ko) 고설재배베드 시스템
US11457579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he transfer of horticultural products between cultivation racks
US9457473B2 (en) Suspended robot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ame
EP3038797A1 (en) Solar powered three-axis mobile agricultural automation
EP3021656A1 (de) System zur überwachung und steuerung von aktivitäten zumindest eines gartengeräts innerhalb zumindest eines aktivitätsgebiets
KR20160027868A (ko) 온실 분무경 시스템
KR102138481B1 (ko) 스마트 팜 큐브
AU2015406091A1 (en) System for cultivating plants
WO2020161528A1 (en) Machine for agricultural use
US11957091B2 (en) Cultivation arrangement and method
KR102152011B1 (ko)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용 케이블 로봇
KR20220082754A (ko)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
KR20190008460A (ko) 이동식 무인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배시설 관리시스템
JP6060571B2 (ja) 農業ハウス
JP2021029162A (ja) 農業用ハウス管理システム、農業用ハウス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85675B1 (ko) 승강식 작업발판을 구비한 다단 재배대
CN106665191A (zh) 一种农业生产设备
KR102106087B1 (ko) 미래형 이동작업 시스템
KR102309951B1 (ko) 시설온실 내부 갠트리 로봇 거치 시스템
CN113802696A (zh) 园艺种植模块化作业台的移动棚架
JP4422368B2 (ja) 温室栽培装置
KR20220046780A (ko) 수평상태에서 운행이 가능한 갠트리 로봇 거치 시스템
KR200290947Y1 (ko) 시설하우스용 이송레일의 가변 전철기
KR102288527B1 (ko)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JPH078013A (ja) 農作業方法及び農用作業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