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527B1 -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527B1
KR102288527B1 KR1020200107029A KR20200107029A KR102288527B1 KR 102288527 B1 KR102288527 B1 KR 102288527B1 KR 1020200107029 A KR1020200107029 A KR 1020200107029A KR 20200107029 A KR20200107029 A KR 20200107029A KR 102288527 B1 KR102288527 B1 KR 102288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roof
crop cultivation
fram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성
Original Assignee
남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성 filed Critical 남궁성
Priority to KR1020200107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76Greenhouse g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9Ligh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분 공급을 통해 생육되는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하우스 구조의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POTABLE DEVICE FOR CULTIVATION OF PLANT}
본 발명은 이동식 작물 재배기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분과 공기, 빛, 온도, 등의 환경에 생육되는 농작물류를 재배할 수 있는 하우스 구조의 이동식 전천후 식물 재배기 및 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의 안전 및 안심이 이슈화 되면서, 일반 가정에서도 감소 농약 농법에서의 가정 채소밭 만들기가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자택의 뜰에서의 가정 채소밭 뿐만 아니라, 도시 근교의 소면적의 농지를 빌려 주말에 밭일로 임하는 활동이나, 집합주택의 베란다 등의 적은 면적에서 간소한 재배기를 활용하여 농작물류 재배등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식물의 재배는 반드시 식용이 아니어도 관상용등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식물의 재배는 최초 재배공간 및 재배환경을 조성 또는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여건 및 환경을 갖추지 못한 사람의 경우, 재배의 기회가 포기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여려 형태의 장치적인 요소를 부가한 간이 재배기로 다종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콘테이너 또는 박스 형태의 다양한 이동식 식물재배기 또는 버섯재배기가 출연되고 있고, 일예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20-068778호의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및 식물 재배 방법이 있다.
상기 기술은, 간편한 구성이면서, 작업 높이 및 토양 깊이를 변경 가능이며, 가정용으로서 보수가 용이하고 저비용이며, 식물의 재배 관리도 용이해 , 작업자의 무릎이나 허리로의 육체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근채류의 재배도 가능한 신규의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및 식물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스 형태의 재배시설에 관련하여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20-096565호의 재배 하우스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식물의 재배 공간을 만들어 내고, 그 재배 공간내에서의 식물 재배에 이용하는 설비에 대해서 그 태양광 패널에 의한 발전 전력을 이용할 수 있는 재배 하우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종래 별도로 갖춰진 재배시설은 단순한 비자동 재배기 이거나 또는 고가의 과시설이거나 하는 기능적인 요인으로 재배를 최적화하고 있을 뿐, 사용자가 요구하는 저비용의 자동화 시스템이나 작업의 요소별도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이동식 전천후 작물 재배기는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20-068778호(2020.05.07.)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20-096565호(2020.06.25.)
본 발명의 목적은, 소규모의 농작물 재배를 원할 경우 건축법적용 및 인허가 비용 부담문제가 야기된다, 이에 간소한 간이 이동식 작물 재배기를 활용하면 재배를 위한 토양을 확보하지 않아도 쉽게 좁은 면적에서 다종의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재배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신규한 작물 재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식 작물 재배기 및 그 장치를 제안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는 차량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농작물 재배 환경에 적합한 소형의 하우스 구조로서,
지붕을 제외한 외관의 뼈대을 형성하는 외관 프레임과; 상기 외관 프레임의 상측에서 지붕의 뼈대를 형성하는 지붕 프레임과;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측으로 마주하는 벽면에 대하여, 마주하는 방향으로 결합된 2개가 1쌍으로, 적어도 1쌍(단) 이상 상, 하 방향으로 형성된 받침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받침 프레임에는 재배판이 결합되고,
상기 지붕 프레임 및 외관 프레임에는 판넬이 결합되어 하우스 구조를 마감되며,
상기 외관 프레임의 바닥면으로는 단열을 위해 단열판넬을 최하단에 깔고 양끝단에 U형대의 물받이 및 배수 홀을 형성하고 그 위에 철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 프레임의 하부측으로는 램프가 구성되며, 상기 램프는 하방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판의 상면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동되는 가동발판;을 포함하되,
상기 철판의 하측에 위치된 외관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프레임이 더 구비되어, 상기 가동발판과 작업자가 작업시 그 무게 하중을 견디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발판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되 2개로 구성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에 이격된 간격으로 위치되며 1개로 구성되고 그 길이가 2개의 하부 프레임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발판은,
상기 하부프레임 각각의 상면과 발판의 하면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의 하면으로는 자석에 부착되는 재질의 단속부를 더 구비하고,
발판의 측면으로는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편을 더 구비하며,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레버와; 상기 힌지를기준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레버와 수직된 방향을 가지는 제1 링크와; 상기 제1 링크에 대하여 수직된 방향 중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제2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하측 단부에 결합된 고정자석과; 상기 제2 링크의 일측 중 상기 단속부 방향의 일측으로 구비된 단속자석;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버의 일 조작으로 인해, 상기 고정자석이 철판에 부착되도록 하여 가동발판의 움직임을 단속하고,
상기 레버의 다른 조작으로 인해, 상기 고정자석이 철판으로부터 탈착되어 가동발판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되, 동시에 상기 단속자석이 단속부에 부착됨으로써, 레버 조작을 해제하여도 가동발판이 계속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발판의 하면 일측에서부터 제2 링크 일측까지 연결된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인장스프링이 인력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제2 링크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인장스프링은 단속부가 파손된 경우에 보조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고정자석은, 상기 제2 링크와 힌지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자석이 철판에 면 접촉한 상태에서 탈착될 때, 전체 면적이 동시에 탈착되지 않고 일 면적부터 탈착되도록 함으로써, 레버 조작에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지붕 내면에는 지붕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은 '
Figure 112020089333563-pat00001
'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내측에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몸체와;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개방된 영역에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는 높이를 가지고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 하측에 위치된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관통하고 제1 몸체에 내삽된 볼트기둥과;
상기 볼트기둥의 노출된 단부에 구성되어 볼트기둥을 회전시키도록 조작되는 회전헤드와;
상기 볼트기둥의 외면에 결합되어 회전헤드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1 몸체에 축으로 결합되고, 전단에 2개 및 후단에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개방된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턱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측 휠과;
상기 제2 몸체에 축으로 결합되고, 전단에 2개 및 후단에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개방된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턱의 하면에 맞닿는 하측 휠과;
어느 일방향의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된 하측 휠 각각에 축으로 연결되어 각각 구비된 기어와;
상기 전단 및 후단 각각의 기어를 결합하는 체인과;
상기 제2 몸체에서부터 연장되어 다수 절곡되되, 다른 일방향의 전단에 형성된 하측 휠의 외측으로 구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관통하며, 상기 지지체 내측에 위치된 하측 휠에 결합된 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에 1개의 볼트를 통해 결합된 2개가 1쌍으로 된 연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을 통해 결합된 장볼트가 구성되고,
상기 장볼트의 하측으로는 연결링크를 통해 결합된 지지판이 구성되되,
상기 지지판은 하방으로 틀이 연장되고, 연장된 틀으로부터 수직된 방향으로 더 연장된 틀을 포함하여, '
Figure 112020089333563-pat00002
'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볼트와 지지판 사이에는 유로관이 안착되며, 상기 유로관은 중심의 하방으로 공기 흡입용 팬(Fan)이 내장된 흡기관이 연통되어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로관의 양 단부측에는 하방으로 유로관과 연통되어 연장된 하방 유로관이 각각 구성되며,
상기 하방 유로관에는, 다수 개의 공기 배출관 각각이 2개의 재배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방 유로관의 일측으로는, 받침 프레임의 일면에 맞닿아 움직이는 가이드 롤러가 1개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볼트와 지지판 사이에는 물 공급용 호스가 연결된 수로관이 더 안착되되, 상기 수로관의 양단부로는 하방 수로관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방 수로관 각각의 일측에는 1개 이상의 분기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관은 3방으로 분기되는 관으로서, 상기 분기관을 통해 물 배출용 노즐이 다수 개 구비된 물 배출관이 하방 수로관에 대하여 수직된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배출관은 분기관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원주방향을 따라 360°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배출관은 2개의 재배판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프레임은 인접한 다른 외관 프레임보다 더 높게 구성되고, 상기 철판 하측의 프레임 내측으로는 단열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하우스 구조는,
(1) 지붕구조가 중심영역으로 모이는 쐐기 형상의 단면구조를 가지거나,
(2) 지붕구조가 상방으로 만곡되어 볼록한 단면구조를 가지거나,
(3) 지붕구조가 평평하되, 모서리 영역은 라운딩져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에 의하면, 농작물재배를 위한 토양을 확보하지 않아도 좁은공간에서 쉽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재배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적합한 재배환경 및 작업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신규한 농산물 재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는 도 1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다양한 정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뼈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식물 재배 영역인 재배판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재배판 하부에 배치된 램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바닥판인 철판에 구비된 가동발판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도 5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가동발판에 구비되어 가동발판의 가동과 고정을 제어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내부 천장에 구비된 이송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이송수단에 결합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도 8의 지지판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일측에 결합되어 물(또는 가습)을 공급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이동식 작물 재배기 및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과 공기 빛 온도등의 환경이 충족될 때 생육되는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하우스 구조의 이동식 작물 재배기 및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2와 같이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뼈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농작물 재배환경에 가장 적합한 하우스 구조로서, 지붕을 제외한 외관의 뼈대을 형성하는 외관 프레임과; 상기 외관 프레임의 상측에서 지붕의 뼈대를 형성하는 지붕 프레임과;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측으로 마주하는 벽면에 대하여, 마주하는 방향으로 결합된 2개가 1쌍으로, 적어도 1쌍 이상 상, 하 방향으로 형성된 받침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지붕 프레임은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지붕이 돔 형상을 가지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1a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a는 도 1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다양한 정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a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에 따르면, (가)와 같이 중심영역으로 모이는 쐐기 형상의 지붕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나)와 같이 모서리 영역이 라운딩 형성된 지붕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다)와 같이 돔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된 받침 프레임에 있어서, 맨 하측의 받침 프레임은 외관 프레임에 결합될 때 힌지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해당 받침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이동식 재배사의 특성상 좁은 공간에 최대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내부의 재배 단을 구성할 때 최하단이 낮을 수밖에 없으므로 후술되는 최하단 재배판을 청소할 때 편리함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상시 받침 프레임의 고정을 위하여 토션 스프링을 채용하거나, 별도의 받침구성을 추가함으로써, 받침 프레임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받침구성을 제거하는 형태로 해당 받침 프레임이 힌지를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들로 뼈대가 갖춰지면, 뼈대에 판넬을 결합하여 하우스 구조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식물 재배 장치는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출입을 위한 1개이상의 도어를 포함하며,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연통될 수 있도록 하는 급기및 배기용 환기팬을 포함한다.
그리고 후방 상단 일측에는 냉,난방용 에어컨을 장착 가동하여 작물재배에 적합한 온도를 제어하고, 또한 내부의 후편에는 내부공기의 순환을 위하여 내부용 환기팬을 포함한다.
아울러, 외부로부터 물과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의 연결과 호스의 연결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겠지만, 바닥면은 단열을 위한 일정두께의 단열재 판넬을 깔고 양 끝단부에는 U형태의 물받이를 형성하고 그위에 철판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마감하는데, 이때, 철판의 일측 또는 양끝단으로는 외측 하부로 연통되는 U형홀을 형성하여, 식물 재배 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외관 프레임의 하부측으로는 별도의 배수로를 형성함으로써, 물이 식물 재배 장치 하측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식물 재배 장치 하측에 물이 고여 웅덩이를 이루게 되는 경우, 미끄럼등으로 작업자의 작업성이 떨어지거나 하측 철판이 녹슬거나 그리고 의도치 않은 과습으로 농작물에 지대한 영향을 줄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작물 재배 장치의 최 하단 바닦면과 외면을 마감하는 판넬의 경우, 샌드위치 판넬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지붕을 농작물재배환경에 적합한 돔 형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측면을 마감하는 경우, 용이한 휘어짐이 가능하다.
또한, 식물 재배 장치의 외면 마감에 사용되는 샌드위치 판넬은 평판의 경우는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어지게 하고 굴곡이 있는 샌드위치판넬은 길이 방향으로 무늬를 형성하도록 한다. 특히 굴곡있는 샌드위치 패널은 2개의 샌드위치 판넬이 만나는 지점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외관의 수려함을 주기에 평판보다 더 효과적이다.
한편, 샌드위치 판넬의 단부를 마감하기 위하여 기둥을 세우는데 있어서, 식물 재배 장치가 돔의 형상을 가짐에 의해,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기둥 영역의 휘어지는 영역은, 일정단열 두께를 가진 샌드위치 패널의 표면철판과 내부의 철판을 분리하여 먼저 내부의 철판을 이용하여 곡면형태를 잡아서 휘어진 기둥에 고정하고, 고정된 철판의 외면에 우레탄 등의 접착제를 도포한 후, 분리한 두께를 가진 표면철판과 폼을 이용하여 내부의 R값과 외부의 R값의 차이 만큼 V홈 형태로 차이 R값대비 컷팅 수량을 1/N로 등분하여 컷팅 가공한 후 다시 내면 철판(접착제가 도포된)의 곡면형태의 폼 위에 덮어서 결합하는 과정으로, 기둥의 만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받침 프레임 위에는 슬레이트 모양의 코팅철판이나 P/C판등의 재질의 재배판이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데, 상기 재배판의 결합은 볼팅 등을 통한 결합일 수도 있고, 받침 프레임 상에 다수 개의 재배단을 필요한 높낮이를 주어 재배판을 안착시키는 형태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식물 재배 영역인 재배판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에 따른 재배판은 도 3의 (가)와 같이 단순 판재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도 3의 (나)와 같이 요철(凹凸)이 반복되는 형상의 판재일 수도 있다.
다만, 도 3의 (나)와 같이 형상의 재배판을 채용하는 경우, 물 빠짐이 더 용이할 수 있다.
이러한 재배판의 하측, 더 구체적으로는 재배판을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의 하측으로는 첨부된 도면의 도 4와 같이 램프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재배판 하부에 배치된 램프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램프의 결합은, 소정의 고리를 포함하여 고정하는 것일 수도 있고, 혹은 종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예측 가능한 모든 구조를 채용한 고정일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램프의 하측에 위치된 재배판 상의 식물에 넓은 범위로 광원을 조사하기 위하여 'x'자 형태로 램프를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램프는 1개의 재배판 하측에 대하여 다수 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비된 위치에 있어서는 하측의 재배판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봉타입의 램프는 전선연결부 일측이 복도 중앙쪽으로 향하게 하여 배선시에 병렬로 결선되어 지도록 하고(직열시에 과부하 위험) 차후 고장시에 중앙쪽 (복도)에서 교체가 용이토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바닥판인 철판에 구비된 가동발판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도 5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바닥면 마감을 위하여 바닥 뼈대를 이루는 외관 프레임에는 프레임 사이에 일정두께의 샌드위치판넬 등의 단열재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그 상부에 철 재질의 철판을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은 용접, 볼팅 등 다양한 수단 중 선택되도록 한다.
이러한 철판의 상면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가이드레일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철판의 하부측에 위치된 외관 프레임에는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일 후술되는 가동발판의 하중을 견디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동발판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가동된다. 이때, 가동발판의 동력은 사용자가 미는 힘일 수 있다.
다만, 가동발판과 가이드레일의 결합구조, 즉 가동발판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원리는 롤러와 홈의 결합 등 종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예측 가능한 모든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즉,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출원시점에서 예측 가능한 구성이라면 한정되지 않고 모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5a에 따르면, 바닥측의 외관프레임 중, 상술된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프레임은 인접한 다른 외관프레임에 비하여 상방으로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측으로 철판을 설치하여 바닥면을 마감하는데, 이때, 철판의 하방 중 외관프레임 내측으로는 단열재가 구비되어 바닥에서부터 올라오는 냉기를 차단함과 동시에, 재배 장치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물 재배에 효율을 가지도록 한다.
위와 같이,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다른 외관프레임에 비하여 상방으로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도 5의 가동발판이 보다 상측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높이를 보강하도록 한다. 아울러, 재배판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가동발판을 피해 높이가 낮은 철판으로 유도되어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동발판은 첨부된 도면의 도 6의 상측 도면과 같이 구성된다.
도 6은 도 5의 가동발판에 구비되어 가동발판의 가동과 고정을 제어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6에 따른 가동발판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되 2개로 구성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에 이격된 간격으로 위치되며 1개로 구성되고 그 길이가 2개의 하부 프레임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발판과; 상기 하부프레임 각각의 상면과 발판의 하면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벽;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지지벽은 발판이 소정을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업에 대한 작업 높이 맞춤을 위한 것일 뿐,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생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발판에 올라선 상태로 힘을 가해 가동발판이 가이드레일 상에서 가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고정된 위치에서 작업 중, 가동발판이 작은 힘에도 가동되게 된다면,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의 도 6과 같이, 발판의 하면으로는 자석에 부착되는 재질(예컨대, 철, 금속)의 단속부를 구비하고, 발판의 측면으로는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편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레버와; 상기 힌지를기준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레버와 수직된 방향을 가지는 제1 링크와; 상기 제1 링크에 대하여 수직된 방향 중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제2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하측 단부에 결합된 고정자석;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링크의 일측 중, 상기 단속부 방향의 일측으로는 단속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판의 하면 일측에는 인장스프링이 제2 링크의 일측까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장스프링은 단속부를 피해 위치될 수 있으며, 인장스프링이 가지는 탄성에 의해 고정자석이 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 제2 링크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장스프링을 대신하여 상술된 단속부만 구성될 수도 있으나, 단속부 없이 인장스프링만 포함할 수도 있고, 혹은 2개를 모두 구성하여, 인장스프링이 단속부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자석은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바닥면인 철판에 탈부착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레버를 도 6의 상측 도면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수직된 방향으로 위치시키게 되면, 고정자석이 철판에 부착되어 가동발판이 가동하는 것을 단속하고, 레버를 회동시키는 조작을 하면, 도 6의 하측 도면과 같이 고정자석이 철판으로부터 탈착되어 가동발판의 가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제2 링크의 단속자석이 단속부에 부착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레버의 파지를 해제하여도, 고정자석이 철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동발판의 가동에 제한을 두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링크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위한 편 구성이 힌지편과 같이 하부 프레임의 측면에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자석은 제2 링크의 단부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링크가 레버의 조작으로 인해 상승되는 경우, 상기 고정자석이 철판에 면 접촉되어있다가, 일측부터 접촉 해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따라, 면 접촉 상태의 고정자석이 한번에 철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비하여, 비교적 쉽게 철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재배판에 위치된 식물들의 재배를 위한 물 공급을 위하여 첨부된 도면의 도 7 내지 도 10과 같은 공급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내부 천장에 구비된 이송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7에 따른 이송수단은,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최상측 내부, 즉 지붕에 인접한 내부에 구성된 지붕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붕 가이드레일은, '
Figure 112020089333563-pat00003
'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지붕 가이드레일의 내측에는,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몸체와;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개방된 영역에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는 높이를 가지고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 하측에 위치된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관통하고 제1 몸체에 내삽된 볼트기둥과;
상기 볼트기둥의 노출된 단부에 구성되어 볼트기둥을 회전시키도록 조작되는 회전헤드와;
상기 볼트기둥의 외면에 결합되어 회전헤드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1 몸체에 축으로 결합되고, 전단에 2개 및 후단에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개방된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턱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측 휠과;
상기 제2 몸체에 축으로 결합되고, 전단에 2개 및 후단에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개방된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턱의 하면에 맞닿는 하측 휠과;
어느 일방향의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된 하측 휠 각각에 축으로 연결되어 각각 구비된 기어와;
상기 전단 및 후단 각각의 기어를 결합하는 체인과;
상기 제2 몸체에서부터 연장되어 다수 절곡되되, 다른 일방향의 전단에 형성된 하측 휠의 외측으로 구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관통하며, 상기 지지체 내측에 위치된 하측 휠에 결합된 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에 1개의 볼트를 통해 결합된 2개가 1쌍으로 된 연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판의 하측으로 첨부된 도면의 도 8과 같이 장볼트가 연결되어 물과 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이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8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상기 연결판은 1쌍 이상인 2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스프링은 고강도 스프링으로서, 회전헤드를 통해 회전 조작하여 볼트기둥이 노출된 길이를 짧게 할수록 제2 몸체가 제1 몸체 방향으로 인접하거나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몸체에 결합된 상측 휠 및 하측 휠이 지붕 가이드레일의 단턱에 맞닿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몸체의 볼트기둥이 관통된 홀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제1 몸체의 볼트기둥이 내삽된 홈 상에서 볼트기둥의 단부가 상승/하강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도 8은 도 7의 이송수단에 결합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도 8의 지지판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7 및 도 8의 연결판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부에 홀을 포함하여 상측 홀에는 상술된 제2 몸체에 결합되고, 하측 홀에는 장볼트를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장볼트의 양단부에는 연결링크를 이용하여 장볼트 하측에 위치된 지지판을 고정하도록 한다.
이때, 장볼트 상에 결합된 연결판이나 연결링크는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이 안정적이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짐에 따라, 장볼트에서부터 지지판까지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지지판과 장볼트 사이에는 공기의 흐름을 담당하는 유로관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로관은 지지판의 상면에 안착되며, 중심의 하방으로 공기 흡입용 팬(Fan)이 내장된 흡기관이 연통되어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유로관의 양 단부측에는 하방으로 유로관과 연통되어 연장된 하방 유로관이 각각 구성되는데, 상기 하방 유로관에는 다수 개의 공기 배출관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로관으로부터 형성된 흡기관과 하방 유로관의 연장을 위하여 지지판은 도 8의 하측 도면과 같이 'H'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8a와 같이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소정의 판을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유로관에 형성된 2개의 하방 유로관 및 다수 개의 공기 배출관의 형상에 대응되는 틀이 더 포함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틀은 후술되는 하방 수로관과 물 배출관은 물론, 상술된 하방 유로관 및 공기 배출관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케이블 타이 등으로 각 관들과 결합되어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은 틀을 포함한 그 단면이, '
Figure 112020089333563-pat00004
'의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배출관은 하방으로 다수 개의 공기 배출용 홀을 포함하며, 각각의 공기 배출관은 2개의 재배판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재배판 사이 중, 상측 재배판의 하측으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배출용 홀은 풍량과 풍압을 감안하여 설계된다.
본 공기주입장치는 재배단과 단사이 구석진 곳에 정체된 공기를 환기시키거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구석진 곳에 주입하기 위한 목적이 있고, 또한 작물재배시 작물에 급수할 경우 특정 작물 잎사귀 표면에 뭉쳐있는 물방울을 떨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상면 중, 유로관의 위치를 피한 일측으로는, 첨부된 도면의 도 9 및 도 10에 따른 물 공급용 호스가 연결된 수로관이 안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일측에 결합되어 물(또는 가습)을 공급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수로관의 양단부로는 하방 수로관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이로 인해 무게가 공평하도록 좌우가 대칭된 '┌┐'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하방 수로관은 지지판의 'H'자 형상으로 인해 개방된 측방향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하방 수로관 각각의 일측에는 1개 이상의 분기관이 결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하방 수로관의 일측을 절개하여 분기관을 결합하고, 상기 분기관에 다른 하방 수로관을 더 결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기관은 3방으로 분기가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분기관을 통해 물 배출용 노즐이 다수 개 구비된 물 배출관이 하방 수로관에 대하여 수직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분기관을 통한 결합으로 인해, 물 배출관은 원주방향을 따라 360°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물 배출관 역시 공기 배출관과 동일하게 2개의 재배판 사이에 위치되어, 재배판 상면에 위치된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모타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주행하여 재배판 상에 물과 공기의 동시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연에서 우천시 바람과 함께 물이 공급되어지는 효과뿐 아니라 잎이 큰 식물을 흔들기도 하며, 식물 틈사이에 물이 골고루 침투되어 수분 및 가습이 보충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공기의 공급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물이 공급된 이후에 식물에 바람을 공급함으로써 식물에 표층에 안착된 물방울(수분)이 식물의 일측에 고이지 않고 퍼지거나 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이 업치는 등의 부담이 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때, 물 배출관과 공기 배출관은 별도의 고리나 끈 등을 이용하여 묶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방 유로관의 일측에는 1개 이상의 가이드 롤러가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는 받침 프레임의 일면에 맞닿아 구동되는 것으로서, 상술된 지지판에 기반한 구성들이 모터와 휠에 의해 구동될 때, 하방 유로관이 하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흔들리면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전 후방향으로 안정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구동체와 일체화된 모터와 공기팬에 전기공급을 위한 전선과 그리고 급수을 위한 급수 호스를 천정에 장치한 고정레일에 로울러를 수개 삽입시킨 후 전선과 호스를 감아 말아 고정하고서 모터주행에 따라 늘어나고 줄어드는데 문제가 없도록한다.
그리고 천정에 위치한 모터부 구동장치는 고정레일 전, 후면 양 끝단에 리미트 스위치를 각각 설치하여 카운터 미터에 의해 목적한 주행 왕복 수량을 수행함에 제어되게 한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21)

  1.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는 하우스 구조로서,
    지붕을 제외한 외관의 뼈대을 형성하는 외관 프레임과; 상기 외관 프레임의 상측에서 지붕의 뼈대를 형성하는 지붕 프레임과;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측으로 마주하는 벽면에 대하여, 마주하는 방향으로 결합된 2개가 1쌍으로, 적어도 1쌍 이상 상, 하 방향으로 형성된 받침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지붕 내면에는 지붕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은 '
    Figure 112021081735168-pat00020
    '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내측에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몸체와;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개방된 영역에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는 높이를 가지고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 하측에 위치된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관통하고 제1 몸체에 내삽된 볼트기둥과;
    상기 볼트기둥의 노출된 단부에 구성되어 볼트기둥을 회전시키도록 조작되는 회전헤드와;
    상기 볼트기둥의 외면에 결합되어 회전헤드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1 몸체에 축으로 결합되고, 전단에 2개 및 후단에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개방된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턱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측 휠과;
    상기 제2 몸체에 축으로 결합되고, 전단에 2개 및 후단에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지붕 가이드레일의 개방된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턱의 하면에 맞닿는 하측 휠과;
    어느 일방향의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된 하측 휠 각각에 축으로 연결되어 각각 구비된 기어와;
    상기 전단 및 후단 각각의 기어를 결합하는 체인과;
    상기 제2 몸체에서부터 연장되어 다수 절곡되되, 다른 일방향의 전단에 형성된 하측 휠의 외측으로 구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관통하며, 상기 지지체 내측에 위치된 하측 휠에 결합된 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에 1개의 볼트를 통해 결합된 2개가 1쌍으로 된 연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프레임에는 재배판이 결합되고,
    상기 지붕 프레임 및 외관 프레임에는 판넬이 결합되어 하우스 구조를 마감하며,
    상기 외관 프레임의 바닥면으로는 철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프레임의 하부측으로는 램프가 구성되며,
    상기 램프는 하방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철판의 상면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동되는 가동발판;을 포함하되,
    상기 철판의 하측에 위치된 외관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프레임이 더 구비되어, 상기 가동발판의 하중을 견디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동발판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되 2개로 구성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에 이격된 간격으로 위치되며 1개로 구성되고 그 길이가 2개의 하부 프레임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동발판은,
    상기 하부프레임 각각의 상면과 발판의 하면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발판의 하면으로는 자석에 부착되는 재질의 단속부를 더 구비하고,
    발판의 측면으로는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편을 더 구비하며,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레버와; 상기 힌지를기준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레버와 수직된 방향을 가지는 제1 링크와; 상기 제1 링크에 대하여 수직된 방향 중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제2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하측 단부에 결합된 고정자석과; 상기 제2 링크의 일측 중 상기 단속부 방향의 일측으로 구비된 단속자석;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버의 일 조작으로 인해, 상기 고정자석이 철판에 부착되도록 하여 가동발판의 움직임을 단속하고,
    상기 레버의 다른 조작으로 인해, 상기 고정자석이 철판으로부터 탈착되어 가동발판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되, 동시에 상기 단속자석이 단속부에 부착됨으로써, 레버 조작을 해제하여도 가동발판이 계속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발판 하면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제2 링크 일측까지에는 상기 단속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된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석은, 상기 제2 링크와 힌지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자석이 철판에 면 접촉한 상태에서 탈착될 때, 전체 면적이 동시에 탈착되지 않고 일 면적부터 탈착되도록 함으로써, 레버 조작에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을 통해 결합된 장볼트가 구성되고,
    상기 장볼트의 하측으로는 연결링크를 통해 결합된 지지판이 구성되되,
    상기 지지판은 하방으로 틀이 연장되고, 연장된 틀으로부터 수직된 방향으로 더 연장된 틀을 포함하여, '
    Figure 112021081735168-pat00006
    '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장볼트와 지지판 사이에는 유로관이 안착되며, 상기 유로관은 중심의 하방으로 공기 흡입용 팬(Fan)이 내장된 흡기관이 연통되어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로관의 양 단부측에는 하방으로 유로관과 연통되어 연장된 하방 유로관이 각각 구성되며,
    상기 하방 유로관에는, 다수 개의 공기 배출관 각각이 2개의 재배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방 유로관의 일측으로는, 받침 프레임의 일면에 맞닿아 움직이는 가이드 롤러가 1개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장볼트와 지지판 사이에는 물 공급용 호스가 연결된 수로관이 더 안착되되,
    상기 수로관의 양단부로는 하방 수로관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방 수로관 각각의 일측에는 1개 이상의 분기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은 3방으로 분기되는 관으로서, 상기 분기관을 통해 물 배출용 노즐이 다수 개 구비된 물 배출관이 하방 수로관에 대하여 수직된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관은 분기관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원주방향을 따라 360°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관은 2개의 재배판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1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프레임은 인접한 다른 외관 프레임보다 더 높게 구성되고,
    상기 철판 하측의 프레임 내측으로는 단열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하우스 구조는,
    지붕구조가 중심영역으로 모이는 쐐기 형상의 단면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하우스 구조는,
    지붕구조가 상방으로 만곡되어 볼록한 단면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의 하우스 구조는,
    지붕구조가 평평하되, 모서리 영역은 라운딩져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KR1020200107029A 2020-08-25 2020-08-25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KR102288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029A KR102288527B1 (ko) 2020-08-25 2020-08-25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029A KR102288527B1 (ko) 2020-08-25 2020-08-25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527B1 true KR102288527B1 (ko) 2021-08-09

Family

ID=7731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029A KR102288527B1 (ko) 2020-08-25 2020-08-25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52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141U (ja) * 1997-09-12 1998-03-31 渡辺パイプ株式会社 収穫作物用運搬車
KR101120490B1 (ko) * 2011-08-19 2012-02-29 조장복 무인 자동 방제장치
KR20200035421A (ko) * 2017-07-27 2020-04-03 고이께 산소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주행 대차
JP2020068778A (ja) 2018-10-31 2020-05-07 東北資材工業株式会社 植物栽培装置および植物栽培方法
KR20200047044A (ko) * 2018-10-26 2020-05-07 전병태 골조와 판넬의 개별적 조립구조를 갖는 카보네이트 온실
JP2020096565A (ja) 2018-12-19 2020-06-25 合同会社ジャパンコンチネンタルコンサルタント 栽培ハウス
KR102128916B1 (ko) * 2019-10-29 2020-07-02 주식회사 휴먼씨앤디 개선된 단열 성능과 울림 소음 감쇄 기능을 갖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주택
KR102138481B1 (ko) * 2019-12-31 2020-07-28 농업회사법인 드림팜 유한회사 스마트 팜 큐브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141U (ja) * 1997-09-12 1998-03-31 渡辺パイプ株式会社 収穫作物用運搬車
KR101120490B1 (ko) * 2011-08-19 2012-02-29 조장복 무인 자동 방제장치
KR20200035421A (ko) * 2017-07-27 2020-04-03 고이께 산소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주행 대차
KR20200047044A (ko) * 2018-10-26 2020-05-07 전병태 골조와 판넬의 개별적 조립구조를 갖는 카보네이트 온실
JP2020068778A (ja) 2018-10-31 2020-05-07 東北資材工業株式会社 植物栽培装置および植物栽培方法
JP2020096565A (ja) 2018-12-19 2020-06-25 合同会社ジャパンコンチネンタルコンサルタント 栽培ハウス
KR102128916B1 (ko) * 2019-10-29 2020-07-02 주식회사 휴먼씨앤디 개선된 단열 성능과 울림 소음 감쇄 기능을 갖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주택
KR102138481B1 (ko) * 2019-12-31 2020-07-28 농업회사법인 드림팜 유한회사 스마트 팜 큐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5753B (zh) 生長系統
CN111065261B (zh) 植物工厂
US8151518B2 (en) Vertically integrated greenhouse
KR102049884B1 (ko)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운송 시스템을 갖추고 트레이에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건물
US9560813B2 (en) Building with integrated greenhouse
JP4821313B2 (ja) 養液栽培ハウス
KR101022025B1 (ko) 식물 재배 장치
US20210360887A1 (en) Soilless growing module and building system
US11350575B2 (en) Adjustable system and apparatus for promoting plant growth and production with suspended emitters
KR101429350B1 (ko) 다단재배상을 이용한 유기농 인삼 연속재배시스템
CN105875391A (zh) 一种箱式框架植物种植系统
KR102382163B1 (ko) 밀폐형 재배시설 내부 행거타입 딸기재배 시설용 대기 습도 유지를 위한 수분액 분사장치
CN107691031A (zh) 一种大棚
KR102288527B1 (ko)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CN208387418U (zh) 一种温室大棚骨架
WO2007012313A1 (de) Anlage zum anbau von pflanzen
KR101732727B1 (ko) 채소류 우량묘 생산을 위한 설비 시스템
KR102106087B1 (ko) 미래형 이동작업 시스템
JP2004073159A (ja) 農業用汎用運搬作業車及び付帯機器具
EP3964051A1 (en) Vertical farm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vertical farming
JP7355044B2 (ja) 建築物
KR100589512B1 (ko) 청정재배시설
GB2607019A (en) Vertical farm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vertical farming
JP2018117612A (ja) 栽培施設
WO2013172704A1 (en) Greenhouse with cultivation gu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