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400B1 - 행거식 순환형 딸기 재배시스템 - Google Patents

행거식 순환형 딸기 재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400B1
KR101514400B1 KR1020130072540A KR20130072540A KR101514400B1 KR 101514400 B1 KR101514400 B1 KR 101514400B1 KR 1020130072540 A KR1020130072540 A KR 1020130072540A KR 20130072540 A KR20130072540 A KR 20130072540A KR 101514400 B1 KR101514400 B1 KR 101514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longitudinal direction
longitudinal
moving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283A (ko
Inventor
강동현
이시영
김영중
김종구
최홍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072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40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2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travelling on a belt or the like, or conveyed by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작업 효율이 향상된 작물 재배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러한 작물 재배 시스템은 2열로 배치된 복수의 행거형 거치부들,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중 제1 열 거치부들을 상기 열 방향과 평행한 제1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 종방향 이동장치,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중 제2 열 거치부들을 상기 제1 종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 종방향 이동장치, 상기 제1 열 거치부들 중 상기 제1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를 제1 횡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2 열로 배치시키는 제1 횡방향 이동장치, 및 상기 제2 열 거치부들 중 상기 제2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를 상기 제1 횡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횡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1 열로 배치시키는 제2 횡방향 이동장치를 포함한다. 이로써, 작업자들은 제1 또는 제2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에 마주하는 위치에서 재배 관리 및 수확 작업을 수행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행거식 순환형 딸기 재배시스템{CIRCULAR STRAWBERRY CULTIVATION SYSTEM OF HANGER-TYPE}
본 발명은 작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딸기와 같은 농작물을 고밀식으로 재배할 수 있는 작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딸기와 같은 농작물은 온실 내의 토양에서 재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 농작물이 하우스와 같은 온실 내의 토양에 심어지고, 작업자에 의해 키워져 열매를 수확할 수 있다.
최근에는 상기 농작물이 일반 토양이 아니라 온실 내에 배치된 다수의 재배베드들에 각각 심어져 재배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재배베드들은 온실 내의 구조물에 거치되거나 매달려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재배베드들을 따라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물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 시스템은 2열로 배치된 복수의 행거형 거치부들,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중 제1 열 거치부들을 행거식으로 지지하며 상기 열 방향과 평행한 제1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 종방향 이동장치,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중 제2 열 거치부들을 행거식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1 종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 종방향 이동장치, 상기 제1 열 거치부들 중 상기 제1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를 행거식으로 제1 횡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2 열로 배치시키는 제1 횡방향 이동장치, 및 상기 제2 열 거치부들 중 상기 제2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를 행거식으로 상기 제1 횡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횡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1 열로 배치시키는 제2 횡방향 이동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각각은 재배베드를 수용하는 재배베트 거치틀,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 이송장치에 걸쳐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행거봉, 및 상기 재배베트 거치틀을 상기 행거봉에 매달리도록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행거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 이동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행거봉들을 지지하면서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이송레일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이송레일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행거봉들을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종방향 이송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행거봉들 각각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이송레일들과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어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레일롤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종방향 이송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레일들 사이에 배치된 종방향 이송 프레임부, 상기 종방향 이송 프레임부에 상기 행거봉들과 각각 대응되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상기 행거봉들과 걸리는 구조를 갖는 일방향 걸림부, 및 상기 종방향 이송 프레임부를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종방향 이송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걸림부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종방향 이송 프레임부에 결합된 편심추 유닛, 및 상기 편심추 유닛과 대응되게 상기 종방향 이송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행거봉들과 걸려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상기 편심추 유닛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횡방향 이동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의 행거봉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송부, 상기 상하 이송부를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방향 이송부, 및 상기 상하 이송부 및 상기 종방향 이송부를 상기 제1 또는 제2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방향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하 이송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의 행거봉를 픽업(pick-up) 또는 풋다운(put-down)시키는 걸림 지지유닛, 상기 걸림 지지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걸림 지지유닛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 이송레일, 및 상기 상하 이송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 지지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상하 동력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물 재배 시스템은 상기 제1 종방향 이동장치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열 거치부들로 재배액을 제공하는 제1 재배액 공급장치, 및 상기 제2 종방향 이동장치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열 거치부들로 재배액을 제공하는 제2 재배액 공급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또는 제2 재배액 공급장치와 상기 재배베드 거치틀 사이를 연결하여 재배액을 전송하는 재배액 전송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재배액 공급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재배액을 전송하는 수평 공급관부, 상기 수평 공급관부들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기 재배액 전송유닛들 각각으로 재배액을 분기하여 제공하는 복수의 수직 공급관부들, 및 상기 수평 공급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평 공급관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공급관 상하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관 상하이동부는 재배액을 상기 재배액 전송유닛들 각각으로 제공할 때 상기 수직 공급관부들을 상기 상기 재배액 전송유닛들 각각과 결합시키고, 상기 행거봉들을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때, 상기 수직 공급관부들을 상기 재배액 전송유닛들 각각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재배액 전송유닛은 대응되는 상기 수직 공급관부과 도킹 결합되는 도킹 결합부, 상기 도킹 결합부와 연결되어 재배액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전송부을 통해 전송된 재배액을 상기 재배베드 거치틀로 주입시키는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배베드 거치틀에는 딸기를 재배하기 위한 재배베드가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간의 거리는 30cm ~ 60c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열 거치부들 중 상기 제1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에 마주하는 위치에는 제1 작업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열 거치부들 중 상기 제2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에 마주하는 위치에는 제2 작업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작물 재배 시스템에 의하면, 딸기와 같은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재배베드가 수용된 복수의 행거형 재배 거치부들이 2열로 배치되어 제1 및 제2 종방향 이송장치들과 제1 및 제2 횡방향 이송장치들을 통해 순환식으로 회전됨에 따라, 작업자들은 제1 또는 제2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에 마주하는 위치에서 재배 관리 및 수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간의 거리를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로 최소화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작물의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이 상기 제1 및 제2 종방향 이송장치들과 상기 제1 및 제2 횡방향 이송장치들에 걸려 이송됨에 따라,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의 하부를 다른 작업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물 재배 시스템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물 재배 시스템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작물 재배 시스템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물 재배 시스템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물 재배 시스템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작물 재배 시스템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작물 재배 시스템은 복수의 행거형 거치부들(100), 제1 종방향 이동장치(200A), 제2 종방향 이동장치(200B), 제1 횡방향 이동장치(300A), 제2 횡방향 이동장치(300B), 제1 재배액 공급장치(400A) 및 제2 재배액 공급장치(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100)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2열로 배치된다.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100) 각각에는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재배베드(10)가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농작물이 예를 들어 딸기라고 할 때, 다양한 딸기 품종에 따른 화경장과 초장을 고려하여,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100) 간의 거리를 30cm ~ 60cm의 범위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40cm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100) 간의 거리가 30cm 미만일 경우,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100)에 수용된 상기 재배베드들(10) 내의 딸기 작물이 서로 그림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100) 각각은 상기 제1 종방향 이동장치(200A) 또는 상기 제2 종방향 이동장치(200B)에 행거식으로 걸려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100) 각각은 재배베드 거치틀(110), 행거봉(120) 및 적어도 하나의 행거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배베드 거치틀(110)은 상기 재배베드(1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행거봉(120)은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 이송장치(200A, 200B)에 걸쳐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행거줄(130)은 상기 재배베트 거치틀(110)을 상기 행거봉(120)에 매달리도록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행거줄(130)은 상기 재배베트 거치틀(110)이 상기 행거봉(120)에 균형적으로 매달리도록 상기 재배베트 거치틀(110)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거나 또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종방향 이동장치(200A)는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100) 중 제1 열 거치부들을 행거식으로 지지하며 상기 열 방향과 평행한 제1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종방향 이동장치(200B)는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100) 중 제2 열 거치부들을 행거식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1 종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우선, 상기 제1 종방향 이동장치(200A)는 예를 들어, 제1 이송레일(210), 제2 이송레일(220) 및 종방향 이송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레일들(210, 220)은 상기 제1 종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행거봉들(120)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 종방향으로의 이송을 가이드한다. 이때, 상기 행거봉들(120) 각각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이송레일들(210, 220)과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어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레일롤러들(122, 12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종방향 이송모듈(230)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레일들(210, 2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행거봉들(120)을 상기 제1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종방향 이송모듈(230)은 종방향 이송 프레임부, 적어도 하나의 일방향 걸림부 및 종방향 이송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방향 이송 프레임부는 상기 제1 및 제2 이송레일들(210, 2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일방향 걸림부는 상기 종방향 이송 프레임부에 상기 행거봉들(120)과 각각 대응되고 배치되고, 상기 제1 종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상기 행거봉들(120)과 걸리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종방향 이송동력부는 상기 종방향 이송 프레임부를 상기 제1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일방향 걸림부는 편심추 방식을 채용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편심추 유닛 및 스토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심추 유닛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종방향 이송 프레임부에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편심추 유닛과 대응되게 상기 종방향 이송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행거봉들(120)에 걸려 상기 제1 종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상기 편심추 유닛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종방향 이동장치(200B)는 상기 제1 종방향 이동장치(200A)와 비교할 때, 이동 방향만 반대일 뿐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제1 종방향 이동장치(2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제1 횡방향 이동장치(300A)는 상기 제1 열 거치부들(100) 중 상기 제1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를 제1 횡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2 열로 배치시킨다. 상기 제2 횡방향 이동장치(300B)는 상기 제2 열 거치부들(100) 중 상기 제2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를 상기 제1 횡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횡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1 열로 배치시킨다.
우선, 상기 제1 횡방향 이동장치(300A)는 예를 들어, 상하 이송부(310), 종방향 이송부(320) 및 횡방향 이송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하 이송부(310)는 상기 제1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의 행거봉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종방향 이송부(320)는 상기 상하 이송부(310)와 결합되어 상기 상하 이송부(310)를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횡방향 이송부(330)는 상기 종방향 이송부(320)와 결합되어 상기 상하 이송부(310) 및 상기 종방향 이송부(320)를 상기 제1 또는 제2 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상하 이송부(310)는 예를 들어, 걸림 지지유닛(312), 상하 이송레일(314) 및 상하 동력유닛(3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지지유닛(312)은 상기 제1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의 행거봉(120)을 픽업(pick-up) 또는 풋다운(put-down)시킬 수 있다. 상기 상하 이송레일(314)은 상기 걸림 지지유닛(312)과 결합되어 상기 걸림 지지유닛(312)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상하 동력유닛(316)은 상기 상하 이송레일(314)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 지지유닛(31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횡방향 이동장치(300B)는 상기 제1 횡방향 이동장치(300A)와 비교할 때, 이동 방향만 반대일 뿐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제1 횡방향 이동장치(3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제1 재배액 공급장치(400A)는 상기 제1 종방향 이동장치(200A)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열 거치부들(100)로 재배액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재배액 공급장치(400B)는 상기 제2 종방향 이동장치(200B)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열 거치부들(100)로 재배액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재배액은 딸기 재배에 사용되는 양액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100) 각각은 상기 제1 또는 제2 재배액 공급장치(400A, 400B)와 상기 재배베드 거치틀(140) 사이를 연결하여 재배액을 전송하는 재배액 전송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 재배액 공급장치(400A)는 수평 공급관부(410), 복수의 수직 공급관부들(420) 및 공급관 상하이동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공급관부(410)는 상기 제1 종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재배액을 전송한다. 상기 수직 공급관부들(420)은 상기 수평 공급관부들(410)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기 재배액 전송유닛들(140) 각각으로 상기 재배액을 분기하여 제공한다. 상기 공급관 상하이동부(430)는 상기 수평 공급관부(410)와 연결되어 상기 수평 공급관부(41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재배액을 상기 재배액 전송유닛들(140) 각각으로 제공할 때, 상기 수평 공급관부(41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직 공급관부들(420)을 상기 재배액 전송유닛들(140) 각각과 결합시키고, 상기 행거봉들(120)을 상기 제1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때, 상기 수직 공급관부들(420)을 상기 재배액 전송유닛들(140) 각각으로부터 분리시킨다.
한편, 상기 재배액 전송부들(140) 각각은 도킹 결합부(142), 전송부(144) 및 주입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킹 결합부(142)는 서로 대응되는 상기 수직 공급관부(420)와 도킹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송부(144)는 상기 전송부(144) 및 상기 주입부(146) 사이를 연결하여 재배액을 전송한다. 상기 주입부(146)는 상기 전송부(144)를 통해 전송된 재배액을 상기 재배베드 거치틀(110)로 주입시킨다. 이때, 상기 주입부(146)는 예를 들어, 점적관수법을 통해 상기 재배베드 거치틀(110)에 배치된 상기 재배베드(10)로 상기 재배액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재배액 공급장치(400B)는 상기 제1 재배액 공급장치(400A)와 비교할 때, 대응되는 위치만 상이할 뿐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제1 재배액 이동장치(4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열 거치부들(100) 중 상기 제1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에 마주하는 위치에는 제1 작업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열 거치부들(100) 중 상기 제2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에 마주하는 위치에는 제2 작업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딸기와 같은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상기 재배베드(10)가 수용된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100)이 2열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종방향 이송장치들(200A, 200B)과 상기 제1 및 제2 횡방향 이송장치들(300A, 300B)을 통해 순환식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재배액 공급장치들(400A, 400B)을 통해 자동적으로 재배액이 공급됨에 따라, 작업자들은 상기 제1 및 제2 작업 공간들 중 적어도 한 곳에서 재배 관리 및 수확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100) 간의 거리를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로 최소화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작물의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100)이 상기 제1 및 제2 종방향 이송장치들(200A, 200B)과 상기 제1 및 제2 횡방향 이송장치들(300A, 300B)에 걸려 이송됨에 따라,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100)의 하부를 다른 작업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재배베드 100 : 행거형 거치부
110 : 재배베드 거치틀 120 : 행거봉
122 : 제1 레일롤러 124 : 제2 레일롤러
130 : 행거줄 140 : 재배액 전송유닛
142 : 결합 연결부 144 : 전송부
146 : 주입부 200A : 제1 종방향 이동장치
200B : 제2 종방향 이동장치 210 : 제1 이송레일
220 : 제2 이송레일 230 : 종방향 이송모듈
300A : 제1 횡방향 이송장치 300B : 제2 횡방향 이송장치
310 : 상하 이송부 312 : 걸림 지지유닛
314 : 상하 이송레일 316 : 상하 동력유닛
320 : 종방향 이송부 330 : 횡방향 이송부
400A : 제1 재배액 공급장치 400B : 제2 재배액 공급장치
410 : 수평 공급관부 420 : 수직 공급관부
430 : 공급관 상하이동부

Claims (15)

  1. 2열로 배치된 복수의 행거형 거치부들;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중 제1 열 거치부들을 행거식으로 지지하며 상기 열 방향과 평행한 제1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 종방향 이동장치;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중 제2 열 거치부들을 행거식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1 종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 종방향 이동장치;
    상기 제1 열 거치부들 중 상기 제1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를 행거식으로 제1 횡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2 열로 배치시키는 제1 횡방향 이동장치; 및
    상기 제2 열 거치부들 중 상기 제2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를 행거식으로 상기 제1 횡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횡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1 열로 배치시키는 제2 횡방향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각각은
    재배베드를 수용하는 재배베드 거치틀;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 이송장치에 걸쳐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행거봉; 및
    상기 재배베드 거치틀을 상기 행거봉에 매달리도록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행거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 이동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행거봉들을 지지하면서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이송레일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이송레일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행거봉들을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종방향 이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이송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레일들 사이에 배치된 종방향 이송 프레임부;
    상기 종방향 이송 프레임부에 상기 행거봉들과 각각 대응되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상기 행거봉들과 걸리는 구조를 갖는 일방향 걸림부; 및
    상기 종방향 이송 프레임부를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종방향 이송동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방향 걸림부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종방향 이송 프레임부에 결합된 편심추 유닛; 및
    상기 편심추 유닛과 대응되게 상기 종방향 이송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행거봉들과 걸려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상기 편심추 유닛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봉들 각각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이송레일들과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어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레일롤러들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2열로 배치된 복수의 행거형 거치부들;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중 제1 열 거치부들을 행거식으로 지지하며 상기 열 방향과 평행한 제1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 종방향 이동장치;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중 제2 열 거치부들을 행거식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1 종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 종방향 이동장치;
    상기 제1 열 거치부들 중 상기 제1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를 행거식으로 제1 횡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2 열로 배치시키는 제1 횡방향 이동장치; 및
    상기 제2 열 거치부들 중 상기 제2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를 행거식으로 상기 제1 횡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횡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1 열로 배치시키는 제2 횡방향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각각은
    재배베드를 수용하는 재배베드 거치틀;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 이송장치에 걸쳐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행거봉; 및
    상기 재배베드 거치틀을 상기 행거봉에 매달리도록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행거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또는 제2 횡방향 이동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의 행거봉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송부;
    상기 상하 이송부를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방향 이송부; 및
    상기 상하 이송부 및 상기 종방향 이송부를 상기 제1 또는 제2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방향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 이송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의 행거봉를 픽업(pick-up) 또는 풋다운(put-down)시키는 걸림 지지유닛;
    상기 걸림 지지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걸림 지지유닛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 이송레일; 및
    상기 상하 이송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 지지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상하 동력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2열로 배치된 복수의 행거형 거치부들;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중 제1 열 거치부들을 행거식으로 지지하며 상기 열 방향과 평행한 제1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 종방향 이동장치;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중 제2 열 거치부들을 행거식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1 종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 종방향 이동장치;
    상기 제1 열 거치부들 중 상기 제1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를 행거식으로 제1 횡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2 열로 배치시키는 제1 횡방향 이동장치;
    상기 제2 열 거치부들 중 상기 제2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를 행거식으로 상기 제1 횡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횡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1 열로 배치시키는 제2 횡방향 이동장치;
    상기 제1 종방향 이동장치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열 거치부들로 재배액을 제공하는 제1 재배액 공급장치; 및
    상기 제2 종방향 이동장치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열 거치부들로 재배액을 제공하는 제2 재배액 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각각은
    재배베드를 수용하는 재배베드 거치틀;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 이송장치에 걸쳐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행거봉;
    상기 재배베드 거치틀을 상기 행거봉에 매달리도록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행거줄;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재배액 공급장치와 상기 재배베드 거치틀 사이를 연결하여 재배액을 전송하는 재배액 전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재배액 공급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재배액을 전송하는 수평 공급관부;
    상기 수평 공급관부들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기 재배액 전송유닛들 각각으로 재배액을 분기하여 제공하는 복수의 수직 공급관부들; 및
    상기 수평 공급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평 공급관부를 상하로 이동시켜, 재배액을 상기 재배액 전송유닛들 각각으로 제공할 때 상기 수직 공급관부들을 상기 상기 재배액 전송유닛들 각각과 결합시키고, 상기 행거봉들을 상기 제1 또는 제2 종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때, 상기 수직 공급관부들을 상기 재배액 전송유닛들 각각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공급관 상하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액 전송유닛은
    대응되는 상기 수직 공급관부과 도킹 결합되는 도킹 결합부;
    상기 도킹 결합부와 연결되어 재배액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전송부을 통해 전송된 재배액을 상기 재배베드 거치틀로 주입시키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 시스템.
  13. 제1항, 제8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베드 거치틀에는
    딸기를 재배하기 위한 재배베드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형 거치부들 간의 거리는
    30cm ~ 60c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 시스템.
  15. 제1항, 제8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 거치부들 중 상기 제1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에 마주하는 위치에는 제1 작업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열 거치부들 중 상기 제2 종방향으로 최단에 배치된 거치부에 마주하는 위치에는 제2 작업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 시스템.
KR1020130072540A 2013-06-24 2013-06-24 행거식 순환형 딸기 재배시스템 KR101514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540A KR101514400B1 (ko) 2013-06-24 2013-06-24 행거식 순환형 딸기 재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540A KR101514400B1 (ko) 2013-06-24 2013-06-24 행거식 순환형 딸기 재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283A KR20150000283A (ko) 2015-01-02
KR101514400B1 true KR101514400B1 (ko) 2015-04-24

Family

ID=5247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540A KR101514400B1 (ko) 2013-06-24 2013-06-24 행거식 순환형 딸기 재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2296B (zh) * 2016-09-22 2022-05-13 青岛蓝天温室有限公司 一种多排多层吊挂升降式栽培系统
CN109924115A (zh) * 2019-03-21 2019-06-25 江苏丘陵地区南京农业科学研究所 一种草莓露天自动滴灌的穴盘育苗方法
KR20220165955A (ko) 2021-06-09 2022-12-16 신동준 딸기 재배 시스템
KR102382163B1 (ko) * 2021-11-12 2022-04-01 권영덕 밀폐형 재배시설 내부 행거타입 딸기재배 시설용 대기 습도 유지를 위한 수분액 분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225A (ja) 2000-04-05 2001-10-16 Daizo:Kk 植物の栽培方法及び栽培装置
JP2012182993A (ja) * 2011-03-03 2012-09-27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装置における可動ベッドの運用方法
KR101251903B1 (ko) * 2012-10-25 2013-04-08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식물의 대량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225A (ja) 2000-04-05 2001-10-16 Daizo:Kk 植物の栽培方法及び栽培装置
JP2012182993A (ja) * 2011-03-03 2012-09-27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装置における可動ベッドの運用方法
KR101251903B1 (ko) * 2012-10-25 2013-04-08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식물의 대량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283A (ko) 2015-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400B1 (ko) 행거식 순환형 딸기 재배시스템
US11678616B2 (en)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trolley conveyor
KR101675721B1 (ko) 모종 재배 장치
EP1763989A1 (en) Cultiv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crops
KR101393421B1 (ko)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KR101181416B1 (ko)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KR101391430B1 (ko) 식물 재배 베드 지지장치
KR101514396B1 (ko) 거치식 순환형 딸기 재배 시스템
JP2000014250A (ja) 栽培装置
KR100939898B1 (ko) 재배효율을 향상시킨 수직형 작물 재배장치
CN208095503U (zh) 一种树苗运输固定支架
JP4915988B2 (ja) 栽培ベッド水平循環システム
JP2006254744A (ja) イチゴの栽培方法及びその高設栽培装置
KR101409097B1 (ko) 이동식 베드 장치
JP3500456B2 (ja) 栽培槽による栽培方法及び栽培装置
US20230022423A1 (en) Plant processing systems
CN115489928A (zh) 一种水培自动化系统及其运输装置
KR102564130B1 (ko)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KR100788233B1 (ko) 작물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작물의 집적 재배방법
CN106818392A (zh) 一种桃树幼苗保护固定支架
CN205213579U (zh) 一种用于育苗棚内的臂挂式单轨多功能运输车
KR100788234B1 (ko) 집적재배 시스템의 작물순환설비
KR102383671B1 (ko) 수직형 스마트팜 다단 자동이송 재배 시스템
KR102624405B1 (ko) 작물 재배 시스템
KR20130000168A (ko)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